KR20200062525A -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2525A
KR20200062525A KR1020180148020A KR20180148020A KR20200062525A KR 20200062525 A KR20200062525 A KR 20200062525A KR 1020180148020 A KR1020180148020 A KR 1020180148020A KR 20180148020 A KR20180148020 A KR 20180148020A KR 20200062525 A KR20200062525 A KR 20200062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rip
actuator
door ca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7297B1 (ko
Inventor
박병학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48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2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56Control of actu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신장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를 선택적으로 팝업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측 폭방향 외측에 고정되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가압되어 도어 락킹장치의 래치개방신호를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전센서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apparatus for retractable door handle}
본 발명은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도어에 의해 실내공간이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외부에 도어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탑승자가 도어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의 도어에 탑승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 도어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되어 소음이 증가되며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에 의해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의 도어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손잡이를 도어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주행중에 바람의 간섭이나 풍절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손잡이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세히,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일면이 개구되며 형성된 함몰 공간에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면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당겨 락킹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도어손잡이는 힌지 회동되어 당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어의 개폐를 위해 상기 래치를 해제하도록 상기 도어손잡이를 조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회동시 상기 힌지에 부하가 집중되며 작용되므로 상기 도어손잡이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고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3782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신장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를 선택적으로 팝업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측 폭방향 외측에 고정되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가압되어 도어 락킹장치의 래치개방신호를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전센서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를 선택적으로 팝업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신장로드부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를 포함하는 링크부;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측 폭방향 외측에 고정되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가압되어 래치개방신호를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전센서부;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로드부를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시키는 상기 엑추에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래치개방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상기 래치개방신호가 수신시 구동되는 래치구동부를 통해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락킹장치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스마트키가 접근시 엑츄에이터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자동 확장 및 수축되는 신장로드부의 상태에 대응되어 각 링크부재가 개별 힌지 회동되며 펼침되는 링크부의 의해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액츄에이터 및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와 링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상기 그립부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압전센서부의 압전면 및 통전모듈부 사이가 이격되어 락킹장치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도어의 손잡이가 힌지 회동됨에 따라 락킹이 해제되는 종래와 달리, 팝업 상태의 그립부를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압전센서부의 압전면 및 통전모듈부가 접촉됨에 따라 락킹장치가 전기적으로 제어되어 잠금 해제되므로 상기 그립부의 마모가 미연에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그립부가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그립부 및 도어케이스부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의 내부가 부분 투영된 사시도.
도 3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의 내부가 부분 투영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200)는 도어케이스부(110), 그립부(120), 신장구동부(130), 링크부(140), 그리고 압전센서부(1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110)는 차량에 복수개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장치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어케이스부(1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장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200)는 차량의 도어장치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어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어케이스부(110)가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그립부(120), 상기 신장구동부(130), 상기 링크부(140), 상기 압전센서부(150)가 수용되도록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1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케이스부(110)는 상기 수용공간(111)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11)은 상기 그립부(120)의 폭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 내벽면(113) 개구부측 테두리(113a)가 상기 그립부(120)의 측면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11)에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200)의 각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120)는 그립몸체(121)와, 상기 그립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몸체(12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120)는 "ㄷ"자 형상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T", "ㅁ", "ㄱ" 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립부(120)가 "ㄷ"자 형상으로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121)는 상기 수용공간(111)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몸체(121)는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 전원의 오프시에 상기 수용공간(111)에 완전 삽입되어 외면이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121)는 직육면체 등의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몸체(121)의 외면 높이 및 폭방향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111)의 개구된 일면이 완전 커버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 내벽면(113) 개구부측 테두리(113a)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수용공간(111)에 삽입되면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121)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부(120)는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개구부를 통해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팝업이라 함은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인출됨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연장몸체(124)는 상기 그립몸체(121)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120)가 "ㄷ"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장몸체(124)는 상기 그립몸체(121)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124)는 "T", "ㅁ", "ㄱ" 자 형상 등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몸체(121)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장몸체(124)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121)의 내측 및 각 상기 연장몸체(124)의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그립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그립몸체(121)를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도어 락킹장치(L)가 개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또한, 각 상기 연장몸체(124)는 상기 그립몸체(121)와 실질적인 수직으로 배치되는 직육면체 등의 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질적으로 수직이라 함은 상기 연장몸체(124)가 상기 그립몸체(121)와 수직에 근접한 미세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와, 상기 그립몸체(121) 및 상기 연장몸체(124)의 경계면 외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몸체(124)에는 상기 연장몸체(124)의 내측단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부(125)의 내측단에는 후술되는 제3힌지부(140c)가 연결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부(125)의 외측단에는 상기 압전센서부(150)가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장구동부(1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부(120)를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1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131)와, 상기 엑츄에이터(131)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장로드부(132a,132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엑츄에이터(131)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된 경우를 예시로 하여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엑츄에이터(131)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엑츄에이터(131)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 내부의 측벽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그립부(120)보다 더 내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엑츄에이터(131)는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측 및 외측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엑츄에이터(131)의 회전이동을 매개하는 레일가이더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가이더부는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벽면(112)과 수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되, 바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엑츄에이터(131)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레일가이더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함몰홈(미도시)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131)의 내주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엑츄에이터(131)의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산은 길이방향 중심부를 기준 구획되어 상호간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는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외주에는 상기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사사산 및 상기 수나사산이 상호 변경되어 형성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외경이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는 길이방향 내측 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며, 길이방향 외측 단부가 상기 액츄에이터(131)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131)가 상기 레일가이더부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131)가 상기 레일가이더부에 의해 가이드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액츄에이터(131)가 회전이동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나사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확장 및 수축하는 것이 아닌, 각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길이방향 내측단에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내부를 밀폐하는 실린더(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내부가 공압유로(미도시)에 의해 공압펌프(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압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기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내부로 유입되면 각 상기 실린더(미도시)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펌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면 각 상기 실린더(미도시)가 수축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131)가 상기 레일가이더부를 따라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내측 및 외측방향으로 이동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131)에 후술되는 제어부(170) 및 접근감지센서(171)를 통해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액츄에이터(131)는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길이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되도록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를 자동 제어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200)는 별도로 구비된 차량의 스마트키(미도시)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17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171)는 LIDAR(d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근감지센서(171)는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사이드미러 및 차량 전후방부에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접근감지센서(171)에 기설정된 반경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접근감지센서(1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 제10-1302944호) '차량 인식 방법 및 장치'에는, LIDAR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에 있는 실제 차량과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20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1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130)를 제어하며, 상기 래치개방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1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엑추에이터(131)에 제어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엑추에이터(131)는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되며, 정방향 및 역방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예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술된 신장구동부(130)의 정방향 및 역방향이 상호 전환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13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130)가 역방향 구동된다 함은 상기 엑츄에이터(1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엑츄에이터(13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170)에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신장구동부(1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에 완전 삽입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1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130)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신장구동부(130)가 정방향 구동된다 함은 상기 엑츄에이터(1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엑츄에이터(13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1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171)로부터 상기 제어부(170)로 감지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접근감지센서(171)의 기설정된 반경 범위 내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신장구동부(1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장구동부(130), 상기 제어부(170), 상기 접근감지센서(171)의 상호간 구성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11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120)가 팝업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에 구비된 도어 락킹장치(L)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한편, 상기 링크부(140)는 상기 신장구동부(130)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120)를 선택적으로 팝업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140)는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구비 개수에 대응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제1링크부재(142)와, 제2링크부재(14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142)는 일단이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외측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몸체(124)의 내측단, 즉 상기 확장부(125)에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링크부재(141)는 일단이 상기 도어케이스(110) 내벽면(112)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외측단부에 힌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외측단부라 함은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길이방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단부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링크부(140)는 전체 형상이 "V"자 형태로 구비되어 "V"자의 하부 모서리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에 힌지 연결되며, "V"자의 상부 양단부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기 도어케이스(110) 내벽면(112) 및 상기 연장몸체(124)의 내측단에 각각 힌지 연결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는 구부러짐, 휨 등에 의한 변형이 방지되도록 강성 재질의 금속, 탄소나노튜브 등의 프레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는 각각 개별 힌지 회동되어 상기 엑츄에이터(131)에 의한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확장 및 수축 상태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케이스부(10)의 외측방향으로 펼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링크부(140)가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케이스부(10)의 외측방향으로 펼침되므로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될 수 있다.
따라서, 접근감지센서(171)에 의해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상기 엑츄에이터(131)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자동 확장 및 수축되는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상태에 대응되어 각 링크부재(141,142)가 개별 힌지 회동되며 펼침되는 상기 링크부(140)의 의해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간단한 구성으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부재(141)의 타단 및 상기 제1링크부재(142)의 일단이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외측단부에 힌지 연결되도록 상기 제2링크부재(141), 상기 제1링크부재(142),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외측단부의 경계에 제1힌지부(140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부재(141)의 일단 및 상기 도어케이스(110) 내벽면(112)의 경계에 제2힌지부(140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링크부재(142)의 타단 및 상기 연장몸체(124)의 내측단, 즉 상기 확장부(125)의 경계에 제3힌지부(140c)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는 상기 엑츄에이터(131)에 의한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의 확장 및 수축 상태에 대응되어 상호간 기설정된 간격 및 각도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수축되는 경우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 사이 간격 및 각도는 기설정된 제1간격(d1) 및 제1각도(θ1) 이하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간격(d1)은 상기 제2힌지부(140b) 및 상기 제3힌지부(140c)의 상호간 밀착시의 사이 간격을 의미하며, 상기 제1각도(θ1)는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 사이 각도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 사이 간격 및 각도가 최소화되며 상호간 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힌지부(140b)가 상기 도어케이스(110) 내벽면(112)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1힌지부(140a)에 연결된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수축되면 상기 제3힌지부(140c)가 상기 제2힌지부(140b)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는 강성 재질로 고정된 길이가 유지된 상태이므로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되면 상기 제3힌지부(140c)가 상기 제2힌지부(140b)측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확장부(125)에 연결된 상기 제3힌지부(140c)가 상기 제2힌지부(140b)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확장되는 경우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 사이 간격 및 각도는 기설정된 제2간격(d2) 및 제2각도(θ2)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간격(d2)은 상기 제2힌지부(140b) 및 상기 제3힌지부(140c)가 상호간 이격된 사이 간격을 의미하며, 상기 제2각도(θ1)는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 사이 각도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제2간격(d2)은 후술되는 상기 압전센서부(150)의 압전면(151)이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 내벽면(113)에 배치된 통전모듈부(152)에 접촉시의 상기 제2힌지부(140b) 및 상기 제3힌지부(140c) 사이 간격인 제3간격(d3)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간격(d1)을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제2각도(θ2)는 제1각도(θ1)를 초과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며 후술되는 제3각도(θ3) 미만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13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면, 고정된 길이로 구비된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가 힌지 회동되며 상호간 사이 간격이 이격되며 상호간 사이 각도가 증가되어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통해, 상기 확장부(125)에 연결된 상기 제3힌지부(140c)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팝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상기 액츄에이터(131)에 의해 확장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 사이 간격 및 각도가 상기 제2간격(d2) 및 상기 제2각도(θ2)로 배치시, 상기 압전센서부(150)의 압전면(151) 및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 내벽면(113)에 배치된 통전모듈부(152) 사이 간격이 기설정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면과 상기 그립부(120)의 외면이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신장구동부(130) 및 상기 링크부(14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압전면(151) 및 상기 통전모듈부(152)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됨과 관계없이 상기 압전면(151) 및 상기 통전모듈부(152)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상기 도어 락킹장치(L)가 개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신장구동부(130) 및 상기 링크부(140)에 의한 상기 그립부(120)의 팝업 및 삽입에 관계없이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L)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측면에 접촉센서가 구비되어 접촉센서가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접촉부와 접촉되면 도어가 잠금되고 손잡이가 팝업되어 접촉센서와 이격되면 도어가 잠금해제되는 구성과 차이점이 존재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L)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노후화, 외력 작용,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해 그립부(120)가 의도치 않게 상기 수용공간(111)으로부터 팝업되더라도 상기 도어 락킹장치(L)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장구동부(130) 및 상기 링크부(140)에 의해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는 상기 그립부(120)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L)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상기 도어 락킹장치(L)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120)가 팝업된 상태, 즉,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 사이 간격 및 각도가 상기 제2간격(d2) 및 상기 제2각도(θ2)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120)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경우 상기 그립부(120)가 이동되어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 사이 간격 및 각도가 기설정된 제3간격(d3) 및 제3각도(θ3)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간격(d3)은 상기 제2힌지부(140b) 및 상기 제3힌지부(140c) 사이 간격을 의미하며, 상기 제3각도(θ1)는 상기 제1링크부재(142) 및 상기 제2링크부재(141) 사이 각도를 의미한다.
물론, 경우에 따라,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상기 링크부(140)가 상기 제2간격(d2) 및 상기 제2각도(θ2)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되, 상기 그립부(120)를 상기 수용공간(111)측으로 탄성 복원시키기 위한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면 상기 압전면(151) 및 상기 통전모듈부(152)가 상호간 접촉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L)가 전기식으로 제어되어 개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레일가이더부, 상기 제2링크부재(141), 상기 제2힌지부(140b)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엑츄에이터(131)가 상기 도어케이스(110) 내벽면(112)에 인접한 부분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케이스(110) 내벽면(112)에 인접한 부분에 고정된 상기 엑츄에이터(131) 적어도 어느 일단부로부터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될 수 있다.
또한, 각 신장로드부(132a,132b)의 길이방향 외측단에 상기 제1힌지부(140a)가 연결되며, 상기 제1힌지부(140a)에 상기 제1링크부재(142)가 연결되고, 상기 제1링크부재(142)의 길이방향 외측단에 상기 그립부(120)의 확장부(125)에 연결된 상기 제3힌지부(140c)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110) 내벽면(112)에 고정된 상기 엑츄에이터(131)로부터 상기 신장로드부(132a,132b)가 선택적으로 확장되면 상기 제1힌지부(140a) 및 상기 제3힌지부(140c)가 힌지 회동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142)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그립부(120)가 팝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그립부(120)의 팝업을 위해 상기 레일가이더부, 상기 제2링크부재(141), 상기 제2힌지부(140b)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엑츄에이터(131)가 상기 도어케이스(110) 내벽면(112)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요구되는 부품이 절감되면서도 동일한 기능이 제공되므로 경제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전센서부(150)는 상기 연장몸체(124)의 내측단측 폭방향 외측에 고정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전센서부(150)는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개구부측 테두리(113a)에 가압되어 상기 도어 락킹장치(L)의 래치개방신호를 발신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전센서부(150)에는 가압 통전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L)가 개폐되도록 매개하는 압전면(151)이 구비되되, 상기 압전면(151)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 내벽면(113)에 배치된 통전모듈부(152)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압전센서부(150)의 일단부는 상기 연장몸체(124)의 내측단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상기 확장부(125)에 고정되며, 상기 압전센서부(150)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압전면(151)이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 내벽면(113)과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전면(151) 및 상기 통전모듈부(152)는 상기 그립부(120)의 팝업시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호간 이격 배치되며,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면 상기 압전면(151) 및 상기 통전모듈부(152)가 상호간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통전모듈부(152)는 상기 압전면(151)이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일측이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 내벽면(113)에 밀착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L)가 전자식으로 제어되어 개방되도록 상기 제어부(170)에 회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압전면(151) 및 상기 통전모듈부(152)는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호간 접촉되며, 상기 압전면(151) 및 상기 통전모듈부(152)의 상호간 접촉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L)가 개방되도록 래치개방신호가 상기 제어부(170)로 전송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1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면 상기 압전면(151) 및 상기 통전모듈부(152)가 상호간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170)에 래치개방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170)에 래치개방신호가 전송되면 별도로 구비된 래치구동부(미도시)의 래치개폐모터(미도시)가 제어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L)에 연결된 와이어(미도시)가 당김되어 상기 도어 락킹장치(L)가 개방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손잡이가 힌지 회동됨에 따라 락킹이 해제되는 종래와 달리,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120)를 상기 도어케이스부(1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도어 락킹장치(L)가 전기적으로 제어되어 잠금 해제되므로 상기 그립부(120)의 마모가 미연에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20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110: 도어케이스부
111: 수용공간 120: 그립부
121: 그립몸체 124: 연장몸체
125: 확장부 130: 신장구동부
131: 액츄에이터 132a,132b: 신장로드부
140: 링크부 140a: 제1힌지부
140b: 제2힌지부 140c: 제3힌지부
141: 제2링크부재 142: 제1링크부재
150: 압전센서부 151: 압전면
152: 통전모듈부 170: 제어부
171: 접근감지센서 L: 락킹장치

Claims (12)

  1.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신장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를 선택적으로 팝업시키는 링크부; 및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측 폭방향 외측에 고정되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가압되어 도어 락킹장치의 래치개방신호를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전센서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와,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로드부를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시키는 상기 엑추에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래치개방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이동시 및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역방향 제어하여 상기 신장로드부를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시키며,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개폐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정방향 제어하여 상기 신장로드부를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신장로드부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도어케이스 내벽면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신장로드부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 및 외측방향으로 가이드되며 선택적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 내측부에 구비되되 상기 엑츄에이터의 회전이동을 매개하는 레일가이더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2링크부재 사이 간격 및 각도는,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상기 신장로드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축시 기설정된 제1간격 및 제1각도로 배치되며,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로드부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확장시 상기 제1간격 및 상기 제1각도를 각각 초과하는 제2간격 및 제2각도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센서부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 내벽면과 대향 배치되는 일면에 압전면이 형성되되,
    상기 압전면이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 내벽면에는 락킹장치에 회로 연결되는 통전모듈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면 및 상기 통전모듈부는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호간 접촉되며,
    상기 압전면 및 상기 통전모듈부의 상호간 접촉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락킹장치가 개방되도록 래치개방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면 및 상기 통전모듈부는 상기 그립부의 팝업시 기설정된 간격으로 상호간 이격 배치되며,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면 상기 압전면 및 상기 통전모듈부가 상호간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몸체에는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으로 확장되는 확장부가 구비되되,
    상기 압전센서부의 일단부가 상기 확장부에 고정되며, 상기 압전센서부의 타단부에 형성된 상기 압전면이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 내벽면과 대향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12.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엑츄에이터의 양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를 선택적으로 팝업시키도록, 일단이 상기 신장로드부의 단부에 힌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에 힌지 연결되는 제1링크부재를 포함하는 링크부;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측 폭방향 외측에 고정되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가압시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가압되어 래치개방신호를 발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압전센서부;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로드부를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시키는 상기 엑추에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래치개방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상기 래치개방신호가 수신시 구동되는 래치구동부를 통해 도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락킹장치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KR1020180148020A 2018-11-27 2018-11-27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KR10215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020A KR102157297B1 (ko) 2018-11-27 2018-11-27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020A KR102157297B1 (ko) 2018-11-27 2018-11-27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525A true KR20200062525A (ko) 2020-06-04
KR102157297B1 KR102157297B1 (ko) 2020-09-17

Family

ID=7108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020A KR102157297B1 (ko) 2018-11-27 2018-11-27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2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07B1 (ko) * 2004-01-09 2007-07-30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101875658B1 (ko) * 2016-08-24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507B1 (ko) * 2004-01-09 2007-07-30 아빈메리터 라이트 비이클 시스템즈 - 프랑스 도어 등의 외측 개방조작장치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101875658B1 (ko) * 2016-08-24 2018-07-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 핸들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297B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820B1 (ko)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IT201600104772A1 (it) Sistema per la chiusura di un portello del serbatoio carburante.
US20160340931A1 (en) Clutch driving module of a lock
US20060005588A1 (en) Steering lock
KR102157301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CN111137246B (zh) 一种车辆的无把手车门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534979B1 (ko)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KR101795131B1 (ko) 테일게이트 인너핸들조립체 및 테일게이트 인너핸드조립체의 그립부재 인출방법
WO2004065731A3 (en) Storage compartment security system
GB2318382A (en) Anti-slam mechanism for shoot bolt lock
KR20200062525A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CN106608165B (zh) 汽车及其车身、与车身相配合的控制系统
JP2007500103A (ja) 乗物
KR102143041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KR20200075384A (ko) 연료 도어 오프너 어셈블리
CN105239856A (zh) 门锁装置及具有其的储物箱
CN106562588B (zh) 隐藏式抽屉柜
KR20200066821A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WO1997017519A3 (de) Verriegelungsvorrichtung
KR102255474B1 (ko) 도어 개폐장치
KR102157294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KR102314798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RU2542861C1 (ru) Шторочное за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210158017A (ko)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US20230272651A1 (en) Motion control of telescoping multi-panel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