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041B1 -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 Google Patents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041B1
KR102143041B1 KR1020180158802A KR20180158802A KR102143041B1 KR 102143041 B1 KR102143041 B1 KR 102143041B1 KR 1020180158802 A KR1020180158802 A KR 1020180158802A KR 20180158802 A KR20180158802 A KR 20180158802A KR 102143041 B1 KR102143041 B1 KR 102143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rip body
grip
rotated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1263A (ko
Inventor
박병학
김민석
박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58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0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6Defrosting, e.g. he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3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a single actuator for driving a lock and additional vehicle components, e.g. window wipers or window lif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결빙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팝업구동부;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가압되되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회동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트렉터블 도어핸들{retractable door handle}
본 발명은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빙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도어에 의해 실내공간이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외부에 도어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탑승자가 도어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의 도어에 탑승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 도어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되어 소음이 증가되며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에 의해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의 도어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손잡이를 도어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주행중에 바람의 간섭이나 풍절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손잡이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세히,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일면이 개구되며 형성된 함몰 공간에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면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당겨 락킹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도어손잡이는 힌지 회동되어 당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한랭지 또는 기온이 급격히 하강됨에 따라 도어의 표면에 결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지 않아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수 없게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3782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빙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팝업구동부; 및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가압되되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회동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몸체의 상단부 및 상기 연장몸체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몸체의 팝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몸체의 팝업시 회동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상기 모서리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몸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에 복수개소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부 표면의 결빙이 제거되어 상기 그립몸체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발열체의 발열시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에 열을 확산시키는 열전도시트와,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발열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팝업구동부;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가압되되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회동되는 래치부;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 및 상기 그립몸체의 결빙을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며,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스마트키가 접근시 액츄에이터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연동 회전되는 링크부에 의해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되며 1차 팝업된 그립몸체가 사용자에 의해 당겨지면 2차 회동되어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므로 사용편의성 및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액츄에이터 및 링크부를 포함하는 팝업구동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상기 그립몸체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락킹장치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그립부의 그립몸체 표면의 결빙발생여부를 감지하여 결빙 발생시 발열됨에 따라 결빙을 제거하는 발열부를 통해 극한의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이 해빙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팝업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그립부의 그립몸체가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되면 상기 그립몸체와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그립몸체가 팝업구동부의 액츄에이터에 의해 그립회동축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팝업시 경사몸체의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배치되므로 심미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그립부가 부분 투영되어 발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
도 5 및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후방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그립부가 부분 투영되어 발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후방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은 도어케이스부(310), 그립부(320), 팝업구동부(330), 링크부(340), 래치부(360), 제어부(370), 그리고 발열부(38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는 차량의 도어마다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장치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어케이스부(3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장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은 차량의 도어장치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어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도어 자체의 외측 프레임에 본 발명의 각 구성이 배치되도록 수용공간이 함몰 형성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케이스부(310)가 차량 도어에 구비되어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된다.
한편, 상기 도어케이스부(310)는 도어에 장착되되,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그립부(320)가 수용되도록 개구부(31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3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는 상기 수용공간(311)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311)은 상기 그립부(320)의 전후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개구부(313)측 테두리가 상기 그립부(320)의 측면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311)에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의 상기 그립부(320), 상기 팝업구동부(330), 상기 링크부(340), 상기 래치부(3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311)에는 상기 래치부(360)가 고정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하면부로부터 상방 연장 돌설되되 상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홀(315a)이 형성된 돌설프레임(315)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311)에는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가 권취되도록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권취돌설부(미도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311)의 상부프레임(316) 높이는 상기 링크부(340)의 회전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수용공간(311)의 내측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311)의 상부에는 상기 상부프레임(316)의 내측부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홀이 관통된 연장프레임(316a)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311)에는 상기 링크부(340)의 회전범위가 제한되도록 상기 링크부(34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링크스토퍼(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320)는 그립몸체(321)와, 상기 그립몸체(3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몸체(32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320)의 그립몸체(321) 및 연장몸체(322)의 배치 형상이 차량의 전방부 또는 후방부에서 바라보는 경우 "ㄱ"자 형상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ㄴ", "ㄷ" 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립부(320)가 "ㄱ"자 형상으로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321)는 상기 수용공간(311)에 삽입시 차량의 도어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321)는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 전원의 오프시에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되어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는 직육면체 등의 평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 높이 및 폭방향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311)의 개구된 일면이 완전 커버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개구부(313)측 테두리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상기 그립부(320)의 그립몸체(3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되면 상기 그립몸체(321)와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에 상기 발열부(380)의 열전도시트(384)가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공간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320)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상단부 및 상기 연장몸체(322)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320)에는 그립회동축(320a)이 구비되되, 상기 그립회동축(320a)은 상기 그립몸체(321)의 상단부 및 상기 연장몸체(322)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에 상기 그립몸체(321)의 길이방향, 즉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형성된 홀에 삽입되되,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부에 회동 고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는 상기 그립회동축(320a)을 기준으로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회동되며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팝업이라 함은 상기 그립부(320)의 그립몸체(3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인출되되 상기 그립회동축(320a)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인출됨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그립몸체(321)는 상기 링크부(340)에 의해 상기 그립몸체(321)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장몸체(322)가 가압시 1차 회동되어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되며,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됨에 따라 2차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된 상태로부터 1차 회동시 회동되는 각도는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된 상태로부터 2차 회동시 회동되는 각도보다 작게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321)의 하부 내측 및 후술되는 경사몸체(323)의 외측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그립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그립몸체(321)를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기면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한편, 상기 연장몸체(322)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일단부, 즉, 상단부 또는 하단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장몸체(322)가 상기 그립몸체(321) 상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각 상기 연장몸체(322)는 상기 그립몸체(321)와 실질적인 수직으로 배치되며 직육면체 등의 평판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질적으로 수직이라 함은 상기 연장몸체(322)가 상기 그립몸체(321)와 수직에 근접한 미세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와, 상기 그립몸체(321) 및 상기 연장몸체(322)의 경계면 외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321)의 팝업시 상기 그립몸체(321)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이 상기 돌설프레임(315)의 상단에 걸림되어 팝업 최대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연장몸체(322)의 외측단 상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외측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두께로 형성된 상기 개구부(313)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의 삽입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그립부(320)는 상기 경사몸체(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몸체(323)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상단부 및 상기 연장몸체(322)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 및 하측방향 사이로 경사지게 연장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팝업시, 상기 경사몸체(323)는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경사몸체(323)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311)의 내부에 삽입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사몸체(323)는 상기 돌설프레임(315)의 외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경사몸체(323)가 상기 돌설프레임(315)에 의해 걸림되므로 상기 그립부(3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 내측방향으로 삽입되는 삽입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 및 상기 경사몸체(323) 사이 각도는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회동되는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그립몸체(321) 및 상기 경사몸체(323) 사이 각도는 상기 그립부(320)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링크부(340)의 위치 및 상기 그립부(320)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링크부(340)의 위치 사이의 각도와 대응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팝업구동부(330)의 액츄에이터(331)에 의해 상기 그립회동축(320a)을 기준으로 회동되며 팝업시 상기 경사몸체(323)의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배치되므로 제품의 심미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팝업구동부(3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부 또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부(340)를 통해 상기 그립부(320)가 1차 회동되어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연장몸체(322)를 선택적으로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팝업구동부(330)는 상기 도어 내부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그립몸체를 팝업시키도록 구동되는 액츄에이터(331)와,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구동축부(332)와, 상기 링크부(34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액츄에이터(331)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일면이 개구되어 상기 도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331)는 길이방향 일면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후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개구된 일면이 상기 그립부(320)의 배치방향을 향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331)는 상기 도어의 내부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부를 관통하여 배치됨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구동축부(332)는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축부(332)의 외경이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부(332)는 일단이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331)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후술되는 상기 링크부(34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축부(322)는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구동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되,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의 상기 연장몸체(322)의 배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332)가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부(332)가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후술되는 상기 제어부(370) 및 접근감지센서(371)를 통해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액츄에이터(331)는 상기 구동축부(332)가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축부(332)를 자동 제어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팝업구동부(330)는 상기 링크부(34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340)는 직육면체 등의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그립몸체(321)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340)는 상기 구동축부(33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축부(332)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는 상기 링크부(340)에 의해 상기 연장몸체(322)의 상부가 선택적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을 통해 1차 회동되어 팝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340)는 내측단이 상기 연장프레임(316a)의 회동홀에 힌지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프레임(316a)은 상기 수용공간(311)의 상부에 상기 상부프레임(316)의 내측부로부터 하향 연장 돌설되며, 상기 연장프레임(316a)에는 전후방향으로 상기 회동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340)는 외측단이 상기 연장몸체(322)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크부(340)의 외측단이 상기 연장몸체(322)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링크부(340)의 내측단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으로 배치된 상기 구동축부(332)에 연결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부(340)는 외측단이 상기 연장몸체(322)의 상부 및 상기 상부프레임(316)의 하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프레임(316)에 의해 상방 이동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링크부(340)가 상기 연장몸체(322)와 힌지 회동되도록 링크 연결될 수도 있으며, 상기 링크부(340)가 직육면체 평판 형상이 아닌 바 형상의 복수개의 부재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부(332)에 개별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링크부(340)의 내측단 일측이 상기 회동홀에 힌지 연결되되, 내측단 타측이 상기 구동축부(332)에 맞물림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링크부(340)가 상기 구동축부(332)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는 것이 아닌, 상기 링크부(340)의 내측단에 형성된 별도의 축 외주가 상기 구동축부(332)의 외주에 맞물려 기어 연동되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340)의 내측단 타측의 외주 및 상기 구동축부(332)의 외주에 맞물린 회전을 위한 톱니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332)가 회전되면 상기 링크부(340)가 기어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은 별도로 구비된 차량의 스마트키(미도시)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37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371)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부(320)에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근감지센서(371)는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사이드미러 및 차량 전후방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 내부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접근감지센서(371)에 기설정된 반경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 제10-1302944호) '차량 인식 방법 및 장치'에는, LIDAR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에 있는 실제 차량과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은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팝업구동부(33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37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제어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331)는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액츄에이터(331)가 구동 제어됨에 따라 이에 연동된 상기 구동축부(332) 및 상기 링크부(340)가 상기 구동축부(332)의 길이방향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이라 함은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을 후방부에서 바라보는 경우 상기 링크부(3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의미하며, 역방향이라 함은 상기 링크부(3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의미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된 정방향 및 역방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예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술된 팝업구동부(330)의 정방향 및 역방향이 상호간 전환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320)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팝업구동부(33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팝업구동부(330)가 역방향 구동되면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연동된 상기 링크부(340)가 역방향 회전되어 상기 연장몸체(322)의 가압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측으로 완전 삽입되도록 탄성 복원시키기 위한 토션스프링 등의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370)에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팝업구동부(3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팝업구동부(330)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팝업구동부(330)가 정방향 구동되면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연동된 상기 링크부(340)가 정방향 회전되어 상기 연장몸체(322)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371)로부터 상기 제어부(370)로 감지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접근감지센서(371)의 기설정된 반경 범위 내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팝업구동부(3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팝업구동부(330), 상기 제어부(370), 상기 접근감지센서(371)의 상호간 구성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31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321)가 팝업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에 구비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몸체(321)의 팝업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액츄에이터(331)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331)의 역방향 구동시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33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34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링크부(340)에 의한 상기 연장몸체(322) 상부의 가압이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31)가 역방향 구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 완전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면과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이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3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액츄에이터(331)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331)가 정방향 구동시 상기 액츄에이터(331)에 의해 상기 구동축부(332)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34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링크부(340)가 상기 연장몸체(322) 상부를 가압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331)가 정방향 구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1차 회동되어 팝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근감지센서(371)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상기 액츄에이터(331)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상기 링크부(340)에 의해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되며,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기 그립몸체(321)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겨지면 2차 회동되어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구성으로 사용편의성 및 작동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팝업구동부(33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시,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이 후술되는 상기 래치부(360)의 일단부(361)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된 상태가 유지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됨과 관계없이 상기 연장몸체(322)의 하부가 상기 래치부(360)의 일단부(361)와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팝업구동부(330)에 의한 상기 그립몸체(321)의 팝업 및 삽입에 관계없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측면에 접촉센서가 구비되어, 접촉센서가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접촉부와 접촉되면 도어가 잠금되되, 손잡이가 팝업되어 접촉센서와 이격되면 도어가 잠금해제되는 구성과 차이점이 존재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노후화, 외력 작용,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해 그립몸체(321)가 의도치 않게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팝업되더라도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팝업구동부(330)에 의해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래치부(360)는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폐되도록 일단부(361)가 상기 연장몸체(322)에 의해 가압되되 타단부(363)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가 연결되어 회동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래치부(360)는 바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311)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360)의 일단부(36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으로 배치되고 타단부(363)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내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래치부(360)의 일단부(361) 상부에는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에 의해 가압되는 피접촉부가 형성되며, 타단부(363)에는 상기 와이어(w)의 일측이 연결된 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와이어(w)의 일측이 상기 래치부(360)의 타단부(363)에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w)의 타측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에 연결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연결부는 상기 래치부(360)의 타단부(363) 외주를 따라 함몰 형성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w)의 일측이 상기 와이어연결부에 권선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와이어(w)는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311)에 별도로 고정되어 구비된 와이어권선부(미도시)에 연결되되, 상기 와이어(w)의 일부분이 상기 래치부(360)의 타측에 권선되어 타측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래치부(360)의 길이방향 중앙측에는 전후방향을 따라 회동축홀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축홀이 상기 돌설프레임(315)의 관통홀(315a)에 정렬되어 고정핀(362)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힌지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래치부(36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이 상술된 링크부(340)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그립몸체(321)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몸체(321)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어 2차 회동되는 경우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이 상기 래치부(360) 일단부(361)의 피접촉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래치부(360)가 상기 고정핀(362)이 삽입된 상기 회동축홀을 기준으로 정방향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360)가 정방향 회전되면, 상기 래치부(360)의 일단부(361)가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에 의해 가압되어 하방 이동되며, 상기 래치부(360)의 타단부(363)가 이에 연동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방 이동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래치부(360)의 타단부(363)가 회전됨에 따라 상방 이동되면 상기 래치부(360)의 타단부(363)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어 2차 회동되면, 상기 연장몸체(322)의 내측단이 상기 래치부(360) 일측의 피접촉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래치부(360)가 상기 회동축홀을 기준으로 정방향 회전되어 상기 와이어(w)가 당김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321)를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된 이후에 상기 래치부(360)가 탄성 복원되어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래치부(360)는 별도의 탄성복원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380)는 상기 그립몸체(321)에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380)는 발열체(381), 열전도시트(382), 전원부(38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그립몸체(321) 외면의 결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380)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381)는 상기 그립몸체(321)에 복수개소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 및 상기 그립부(320)에 인접한 상기 도어 표면의 결빙이 제거되어 상기 그립몸체(321)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열체(381)는 상기 열전도시트(382)의 일면에 복수개소 배치되는 발열단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열전도시트(382)의 표면 전체를 따라 배치되는 전선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발열이 가능한 구조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시트(382)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발열체(381)의 발열시 상기 그립몸체(321)의 표면에 열을 확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시트(382)는 탄소나노튜브 소재의 면상발열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시트(382)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함몰공간에 상기 그립몸체(3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시트(382)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의 외측방향으로부터 노출이 방지되도록 별도로 상기 커버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그립몸체(321)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도어의 외면과 동일한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320)가 상기 수용공간(311)에 삽입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383)는 상기 발열체(38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383)는 배터리 형태로 상기 그립부(320)의 내부 또는 상기 수용공간(3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383)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400)이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383)가 차량의 전력공급원에 전선 연결될 수도 있으며, 차량의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381)는 상기 그립몸체(321)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결빙감지센서(3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빙감지센서(384)는 온도센서, 대기센서, 압력센서, 피톳튜브, 풍속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결빙감지센서(384)가 온도센서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결빙감지센서(384)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즉, 상기 그립몸체(321)의 표면에 결빙이 발생되는 경우, 결빙이 제거되도록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전원부(383)를 자동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381)에 전원을 인가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결빙감지센서(384)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임과 동시에, 상기 접근감지센서(371)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도어케이스부(31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을 감지시 상기 발열체(381)가 발열되도록 상기 제어부(370)는 상기 전원부(383)를 자동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38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 표면의 결빙발생여부를 감지하여 결빙 발생시 발열됨에 따라 결빙을 제거하는 상기 발열부(380)를 통해 극한의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몸체(321)의 표면이 해빙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321)가 상기 수용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313)를 통해 팝업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빙감지센서(384)의 결빙감지 방식이 공기역학적 방식으로 연산 및 산출되는 경우 압력센서, 피톳튜브, 풍속계 등을 통해 상기 도어 외면의 공기 흐름방향 및 각도, 미끄럼(Side Slip) 각도, 각속도, 공기역학적 하중, 차량의 속도 등의 정보가 획득됨에 따라 기설정된 연산식에 의해 결빙유무가 산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공기역학적 결빙감지 방식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연산부에 의해 결빙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체가 발열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40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310: 도어케이스부
311: 수용공간 313: 개구부
320: 그립부 320a: 그립회동축
321: 그립몸체 322: 연장몸체
323: 경사몸체 330: 팝업구동부
331: 액츄에이터 332: 구동축부
340: 링크부 360: 래치부
370: 제어부 371: 접근감지센서
380: 발열부 381: 발열체
382: 열전도시트 383: 전원부
384: 결빙감지센서

Claims (14)

  1. 도어에 배치되되 일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회전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연장몸체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팝업구동부; 및
    1차 회동되어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2차 회동시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일측이 상기 연장몸체에 의해 가압되되 타측에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회동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몸체의 상단부 및 상기 연장몸체의 외측단이 접하는 모서리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동되며,
    상기 그립부는 상기 그립몸체의 팝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몸체의 팝업시 회동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로 상기 모서리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몸체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구동부는, 상기 그립몸체를 팝업시키도록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구동축부와,
    상기 구동축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돌설되되, 상기 그립몸체가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구동축부의 회전시 상기 연장몸체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링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부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전후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대응되어 선택적으로 회전되되,
    상기 구동축부는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에 배치되되 길이방향 중앙측에 전후방향을 따라 회동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래치부에는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에 의해 가압되는 피접촉부가 형성되는 일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와이어연결부가 형성되는 타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몸체에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몸체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부와,
    상기 그립몸체의 결빙을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그립몸체에 복수개소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부 표면의 결빙이 제거되어 상기 그립몸체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발열체의 발열시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에 열을 확산시키는 열전도시트와,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는 결빙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빙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빙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임과 동시에, 접근감지센서를 통해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시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에 전원을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9. 제 1 항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및 도어의 개폐시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된 구동축부로부터 연장된 링크부가 상기 그립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1차 회동되어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정방향 제어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이동시 및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역방향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몸체 및 상기 경사몸체 사이 각도는 상기 그립몸체의 팝업시 상기 액츄에이터에 연결된 구동축부로부터 연장된 링크부의 위치 및 상기 그립몸체가 상기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시 상기 링크부의 위치 사이의 각도와 대응되도록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하면부로부터 상방 연장 돌설되되 상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된 돌설프레임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4. 삭제
KR1020180158802A 2018-12-11 2018-12-11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KR102143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802A KR102143041B1 (ko) 2018-12-11 2018-12-11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802A KR102143041B1 (ko) 2018-12-11 2018-12-11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263A KR20200071263A (ko) 2020-06-19
KR102143041B1 true KR102143041B1 (ko) 2020-08-10

Family

ID=7113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802A KR102143041B1 (ko) 2018-12-11 2018-12-11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0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150B1 (ko) * 2020-06-23 2022-02-10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KR102580497B1 (ko) * 2021-07-09 2023-09-22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차량용 레이더 제어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5826A1 (en) * 2014-05-05 2015-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CN107371372A (zh) * 2015-03-25 2017-11-21 捷豹路虎有限公司 可伸缩手柄装置
US20170370123A1 (en) * 2016-06-28 2017-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mechanism for deployable exterior door handle for a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15826A1 (en) * 2014-05-05 2015-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KR101637820B1 (ko) *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CN107371372A (zh) * 2015-03-25 2017-11-21 捷豹路虎有限公司 可伸缩手柄装置
US20170370123A1 (en) * 2016-06-28 2017-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mechanism for deployable exterior door handle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1263A (ko) 2020-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049188A (ja) 引込み式ハンドル構造
JP6293708B2 (ja) ドア又は同様のもののための格納可能なハンドル構造
KR102143041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US10435926B2 (en) 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US7905530B2 (en) Self-actuating devices
US9080352B2 (en) Controller apparatus and sensors for a vehicle door handle
US20230258019A1 (en) Retractable handle arrangement for a door or the like
WO2003004809A1 (fr) Poignee de porte equipee d'un portillon retractable automatique
EP3054071A1 (en) Opening/closing member opening/closing apparatus
US20210363793A1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KR102157301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JP7218610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694448B1 (ko) 도어 래치의 디텐트 스위치 내장 구조
KR102143038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JP3730773B2 (ja) 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及び自動車用スライドドア開閉装置の閉作動制御方法
EP3716728A1 (en) Vehicle wing element heating system
KR102157294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CN211549234U (zh) 车辆用门开闭操作装置
KR20180044495A (ko) 난방기의 안전장치
JP2670097B2 (ja) ウイング車に於ける施錠装置
KR20180044859A (ko) 난방기의 안전장치
KR20200062525A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KR20020074741A (ko) 온도감응형 키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