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038B1 -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 Google Patents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038B1
KR102143038B1 KR1020180153415A KR20180153415A KR102143038B1 KR 102143038 B1 KR102143038 B1 KR 102143038B1 KR 1020180153415 A KR1020180153415 A KR 1020180153415A KR 20180153415 A KR20180153415 A KR 20180153415A KR 102143038 B1 KR102143038 B1 KR 102143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extension
pop
grip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6821A (ko
Inventor
박병학
정광욱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18015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0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6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16Defrosting, e.g. he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Weather or dirt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05B81/76Detection of handle operation; Detection of a user approaching a handle; Electrical switching actions performed by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3Handles creating a completely closed wing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07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Abstract

결빙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그립몸체에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부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는 발열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단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신장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의 팝업을 매개하는 링크부; 상기 그립몸체의 결빙을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제어부; 및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어 상기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리트렉터블 도어핸들{retractable door handle}
본 발명은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결빙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도어에 의해 실내공간이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외부에 도어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탑승자가 도어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의 도어에 탑승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 도어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되어 소음이 증가되며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에 의해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의 도어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손잡이를 도어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주행중에 바람의 간섭이나 풍절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손잡이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세히,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일면이 개구되며 형성된 함몰 공간에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면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당겨 락킹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도어손잡이는 힌지 회동되어 당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한랭지 또는 기온이 급격히 하강됨에 따라 도어의 표면에 결빙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지 않아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할 수 없게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3782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결빙환경에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단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는 연장링크와, 상기 연장링크의 양단 및 각 상기 연장몸체를 링크연결하는 한쌍의 팝업링크와, 상기 연장링크의 전후 이동시 상기 그립부의 팝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어 상기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는 제1회동링크, 제2회동링크, 및 제3회동링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회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신장로드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회동링크의 일단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제2회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회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3회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2회동링크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연장링크의 일단에 힌지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제공한다.
삭제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그립부의 그립몸체 표면의 결빙발생여부를 감지하여 결빙 발생시 발열됨에 따라 결빙을 제거하는 발열부를 통해 극한의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몸체의 표면이 해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가 수용공간으로부터 개구부를 통해 팝업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스마트키가 접근시 액츄에이터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자동 신축되는 신장로드부의 상태에 대응되어 가이드 이동되는 링크부의 의해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구성으로 사용편의성 및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셋째, 그립부의 각 연장몸체에 링크연결된 한쌍의 팝업링크와 상기 팝업링크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연장링크에 의해 링크 형상이 평행사변형 형상에서 사각형 형상으로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가 팝업되므로 내구성 및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액츄에이터 및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와 링크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상기 그립부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락킹장치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그립부가 수용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그립부 및 도어케이스부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그립부 및 발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발열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하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 및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나타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그립부 및 발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발열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내부가 투영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하면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의 사용상태를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예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은 도어케이스부(210), 그립부(220), 신장구동부(230), 링크부(240), 가이드부(250), 래치부(260), 제어부(270), 그리고 발열부(28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는 차량의 도어마다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장치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어케이스부(2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장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은 차량의 도어장치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어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케이스부(210)가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된다.
한편,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 일측에는 상기 그립부(220), 상기 신장구동부(230), 상기 링크부(240), 상기 가이드부(250)가 수용되도록 전면부에 개구부(213)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수용공간(211)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는 상기 수용공간(211)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11)은 상기 그립부(220)의 폭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개구부(213)측 테두리가 상기 그립부(220)의 측면과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211)에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의 상기 그립부(220), 상기 신장구동부(230), 상기 링크부(240), 상기 가이드부(250), 상기 래치부(26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하면부에는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해제를 위한 장공(214)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공(214)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타측 하면부에 원호형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케이스부(21)의 하부에는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도록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가 권취되도록 하향 연장 돌설되는 권취돌설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한편, 상기 그립부(220)는 그립몸체(221)와, 상기 그립몸체(221)와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몸체(22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그립부(220)는 "ㅁ"자 형상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T", "ㄷ", "ㄱ" 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그립부(220)가 "ㅁ"자 형상으로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221)는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시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그립몸체(221)는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 전원의 오프시에 상기 수용공간(211)에 완전 삽입되어 외면이 상기 도어 및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그립몸체(221)는 직육면체 등의 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 높이 및 폭방향 길이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개구된 일면이 완전 커버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개구부(213)측 테두리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면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에 상기 발열부(280)의 열전도시트(284)가 배치되도록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공간이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공간을 커버하는 커버부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221)를 포함하는 상기 그립부(220)는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기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팝업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팝업이라 함은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며 인출됨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연장몸체(224)는 상기 그립몸체(221)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그립부(220)가 "ㅁ"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연장몸체(224)는 상기 그립몸체(221)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장몸체(224)는 상기 그립몸체(221)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연장되는 제1연장몸체(224a) 및 제2연장몸체(224b)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220)는 상기 제1연장몸체(224a) 및 상기 제2연장몸체(224b)의 각 내측단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이음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연장몸체(224)는 상기 그립부(220)가 "T", "ㄷ", "ㄱ" 자 형상 등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그립몸체(221)의 적어도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장몸체(224)가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몸체(221)의 내측 및 각 상기 연장몸체(224)의 사이 및 상기 이음부(225)의 외측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그립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그립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그립몸체(221)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또한, 각 상기 연장몸체(224)는 상기 그립몸체(221)와 실질적인 수직으로 배치되는 직육면체 등의 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실질적으로 수직이라 함은 상기 연장몸체(224)가 상기 그립몸체(221)와 수직에 근접한 미세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우와, 상기 그립몸체(221) 및 상기 연장몸체(224)의 경계면 외측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경우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연장몸체(224a) 및 상기 제2연장몸체(224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단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되는 확장부(224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확장부(224c)는 상기 제2연장몸체(224b)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됨으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확장부(224c)의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 테두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장몸체(224a) 및 상기 제2연장몸체(224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단에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되는 상기 확장부(224c)에 의해 상기 그립부(220)의 최종 팝업시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장구동부(2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부 또는 상기 도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링크부(240)를 통해 상기 그립부(220)를 선택적으로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23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231)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일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 즉, 확장 및 수축되는 신장로드부(2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신축된다 함은 탄성적으로 신축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가 고정된 강체 상태의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2)의 내부에 수축되거나, 상기 액츄에이터(232)로부터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는 의미로 사용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일측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확장 및 수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일측에 배치됨으로 도시 및 설명되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히, 상기 액츄에이터(231)는 중공형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 일측이 개구되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231)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 내부의 측벽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개구된 일면이 상기 그립부(220)의 배치방향을 향하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주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신장로드부(232)는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형상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신장로드부(232)의 외주에는 상기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암사사산 및 상기 수나사산이 상호간 변경되어 형성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장로드부(232)의 외경이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신장로드부(232)는 일단이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측에 삽입 배치되며, 타단이 상기 액츄에이터(231)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후술되는 상기 링크부(24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구성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회전이동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나사산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이 아닌, 상기 신장로드부(232)의 일단에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부를 밀폐하는 실린더(미도시)가 구비되며,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부가 공압유로(미도시)에 의해 공압펌프(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압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기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부로 유입되면 각 상기 실린더(미도시)가 팽창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압펌프(미도시)에 의해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내부 공기가 흡입되면 각 상기 실린더(미도시)가 수축됨에 따라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후술되는 상기 제어부(270) 및 접근감지센서(271)를 통해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액츄에이터(231)는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길이방향으로 확장 또는 수축되도록 상기 신장로드부(232)를 자동 제어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은 별도로 구비된 차량의 스마트키(미도시)가 차량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27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271)는 LIDAR(d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근감지센서(271)는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사이드미러 및 차량 전후방부에 설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접근감지센서(271)에 기설정된 반경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등록 제10-1302944호) '차량 인식 방법 및 장치'에는, LIDAR 센서를 이용하여 특정 방향에 있는 실제 차량과의 거리정보를 획득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은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23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7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제어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액츄에이터(231)는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되며, 정방향 및 역방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예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술된 신장구동부(230)의 정방향 및 역방향이 상호간 전환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230)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정방향 구동된다 함은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270)에 차량 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완전 삽입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되도록 상기 신장구동부(230)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역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역방향 구동된다 함은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271)로부터 상기 제어부(270)로 감지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접근감지센서(271)의 기설정된 반경 범위 내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장구동부(230), 상기 제어부(270), 상기 접근감지센서(271)의 상호간 구성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220)가 팝업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에 구비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된다.
한편, 상기 링크부(240)는 상기 신장구동부(230)에 연결되어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의 팝업을 매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240)는 복수개의 회동링크(241,242,243)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팝업링크(245,246)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연장몸체(224)가 상기 제1연장몸체(224a) 및 상기 제2연장몸체(224b)의 한쌍으로 구비되고, 이에 따른 상기 팝업링크(245,246)가 한쌍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240)는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는 연장링크(224)와, 상기 연장링크(224)의 양단 및 각 상기 연장몸체(224)를 링크연결하는 한쌍의 상기 팝업링크(245,246)와, 상기 연장링크(244)의 전후 이동시 상기 그립부(220)가 팝업을 안내하는 상기 가이드부(25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장링크(224)가 전후이동된다 함은 상기 연장링크(224)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을 의미하며, 전방이 상기 신장구동부(230)가 배치된 상기 수용공간(211)의 일측으로, 후방이 상기 장공(214)이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211)의 타측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링크(224)의 일단 및 타단이 후술되는 제1팝업가이드부(253) 및 제2팝업가이드부(254)에 의해 각각 가이드되어 원호형 궤도를 따라 이동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링크부(240)의 상기 회동링크(241,242,243)는 제1회동링크(241), 제2회동링크(242), 및 제3회동링크(24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회동링크(241)는 일단이 상기 신장로드부(232)의 단부에 링크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일단에 힌지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회동링크(242)는 일단이 상기 제1회동링크(241)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에 힌지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회동링크(243)는 일단이 상기 제2회동링크(242)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연장링크(244)의 일단에 힌지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링크부(240)의 각 상기 회동링크(241,242,243) 및 상기 연장링크(244) 및 각 상기 팝업링크(245,246)의 양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고정핀이 구비됨에 따라 상기 고정핀에 의해 상기 링크부(240)의 각 링크(241,242,243,244,245,246)가 힌지 회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부(240)의 상기 팝업링크(245,246)는 제1팝업링크(245)와, 제2팝업링크(246)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연장링크(244)는 일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팝업링크(245)는 일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1연장몸체(224a)의 내측단에 링크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팝업링크(246)는 일단이 상기 연장링크(244)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연장몸체(224b)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된 상기 확장부(224c)에 링크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타단이 상기 제2연장몸체(224b)의 내측단에 링크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250)는 상기 수용공간(211)에 구비되어 상기 링크부(24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5)는 한쌍의 링크가이드부(251,252)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팝업가이드부(253,25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가 한쌍으로 구비됨으로 도시 및 설명된다.
그리고,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 및 각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를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부(250) 각각의 몸체는 원호형으로 구비되되, 각 몸체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부(251a,252a,253a,254a)가 원호형으로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가이드홈부(251a,252a,253a,254a)가 형성되어 개구된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 및 각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의 상면 내측 테두리의 내경은 각 상기 가이드홈부(251a,252a,253a,254a) 내부측 내경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가이드홈부(251a,252a,253a,254a)에 삽입되는 각 상기 고정핀의 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단턱지게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크부(240)의 각 링크(241,242,243,244,245,246)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상기 고정핀의 일단부가 각 상기 가이드홈부(251a,252a,253a,254a)에 클램프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의 상방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상기 가이드부(250)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하부에 결합 및 고정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각 상기 가이드부(25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211)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각 상기 가이드부(250)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하부에 결합 및 고정됨으로 설명 및 도시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는 제1링크가이드부(251)와, 제2링크가이드부(25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는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인접한 상기 수용공간(211)의 일측에 배치되되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의 오목한 부분이 상호간 대향되어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251)는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252)보다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251) 및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252)의 각 오목한 부분이 상호간 대향되어 이격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에 의해 상기 링크부(240)의 각 회동링크(241,242,243)가 이동시 이동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는 제1팝업가이드부(253)와, 제2팝업가이드부(25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는 일측이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타측이 각 상기 연장몸체(224a,224b)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에는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개방을 위해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되는 락킹해제연장부(25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길이방향 중앙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는 상기 수용공간(211)의 타측, 즉 상기 장공(214)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 및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의 일측은 상기 링크가이드부(251,252)측에 인접한 위치, 즉,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인접한 상기 수용공간(211)의 일측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 및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의 타측은 각 상기 연장몸체(224a,224b)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확장시 각 상기 팝업링크(245,246)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 상기 팝업링크(245,246) 및 상기 연장몸체(224)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므로 상기 그립부(220)가 안정적으로 팝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 및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는 각 오목한 부분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에 의해 상기 링크부(240)의 각 팝업링크(245,246)가 이동시 이동경로가 안내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팝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251)에 의해 상기 제1회동링크(241)의 타단 및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252)에 의해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타단 및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에 의해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 및 상기 연장링크(244)의 일단 및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연장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립부(220)의 팝업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액츄에이터(231)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정방향 구동시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 외측, 즉, 차량의 후방으로 확장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확장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241)의 타단 및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일단이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251)의 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타단 및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일단이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252)의 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 및 상기 연장링크(244)의 일단 및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이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의 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링크(244)의 타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이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의 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연장몸체(224)의 내측단에 링크연결된 상기 제1팝업링크(245)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각 타단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완전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과 상기 그립부(220)의 외면이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2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되도록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액츄에이터(231)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역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역방향 구동시 상기 액츄에이터(231)에 의해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상기 액츄에이터(231)의 길이방향 내측, 즉, 차량의 전방으로 수축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신장로드부(232)가 수축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241)의 타단 및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일단이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251)의 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회동링크(242)의 타단 및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일단이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252)의 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회동링크(243)의 타단 및 상기 연장링크(244)의 일단 및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이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의 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장링크(244)의 타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이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의 후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연장몸체(224)의 내측단에 링크연결된 상기 제1팝업링크(245)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각 타단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팝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근감지센서(271)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상기 액츄에이터(231)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자동 신축되는 상기 신장로드부(232)의 상태에 대응되어 이동되는 상기 링크부(240)의 의해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구성으로 사용편의성 및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220)의 각 상기 연장몸체(224)에 링크연결된 한쌍의 상기 팝업링크(245,246)와 상기 팝업링크(245,246)간의 연결을 매개하는 상기 연장링크(244)에 의해 링크 형상이 평행사변형 형상에서 사각형 형상으로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팝업되므로 내구성 및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신장구동부(230) 및 상기 링크부(240)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이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253)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이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254)의 후단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개방을 위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더 연장되는 각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일측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일측이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타측보다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 및 삽입됨과 관계없이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의 일단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개방을 위해 각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를 통과하지 않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즉, 상기 신장구동부(230) 및 상기 링크부(240)에 의한 상기 그립부(220)의 팝업 및 삽입에 관계없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따라서, 수용공간 내측면에 접촉센서가 구비되어 접촉센서가 손잡이 내측에 구비된 접촉부와 접촉되면 도어가 잠금되고 손잡이가 팝업되어 접촉센서와 이격되면 도어가 잠금해제되는 구성과 차이점이 존재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시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며 팝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의 노후화, 외력 작용,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해 그립부(220)가 의도치 않게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팝업되더라도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장구동부(230) 및 상기 링크부(240)에 의해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는 상기 그립부(220)의 팝업 여부와 관계없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유지되므로 의도치 않은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미연에 방지되어 사용안전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래치부(260)는 상기 링크부(240)에 연결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w)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폐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래치부(260)는 래치바(261)와, 래치연결부(262)와, 래치브라켓(263)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래치바(261)는 일측이 상기 팝업링크(245,246)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되,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공을 가로질러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래치바(261)의 타측 단부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고정되어 회동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바(261)의 길이방향 중앙측에 상기 래치연결부(262)의 일단이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래치연결부(262)는 일단이 상기 래치바(262)의 길이방향 중앙측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래치브라켓(263)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래치연결부(262)는 상기 래치바(261)와 상기 래치브라켓(263)을 연결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상기 와이어(w)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도록 상기 장공(214)을 통과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브라켓(263)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하부 외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원판 형상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w)는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하부에 하향 연장 돌설되는 상기 권취돌설부(215)에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w)의 단부(w1)는 상기 래치부(260)가 상기 장공(214)을 따라 이동시 걸림되도록 상기 래치연결부(262)에 인접하게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래치연결부(262)에 권취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래치부(260)가 상기 팝업링크(245,246)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걸림되어 상기 장공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시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그립부(220)가 팝업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부(220)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는 경우 상기 제1팝업링크(245)의 일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이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는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 형성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일측이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타측보다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내측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팝업가이드부(253,2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 형성된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상면을 따라 상기 가이드홈부(253a,254a)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는 연장가이드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팝업링크(245) 및 상기 제2팝업링크(246)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락킹해제연장부(255)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 상기 래치바(261)에 걸림됨에 따라, 상기 래치바(261)의 길이방향 중앙부가 상기 장공(214)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팝업링크(246)가 상기 래치바(261)에 걸림됨으로 설명 및 도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래치연결부(262)에 상기 와이어(w)의 단부(w1)가 연동 걸림되어 당겨짐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상기 와이어(w)가 풀림됨에 따라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220)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된 이후에 상기 그립부(220)를 상기 수용공간(211)측으로 탄성 복원시키기 위한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되면 상기 래치부(260)에 의해 상기 와이어(w)의 단부(w1)가 걸림되어 상기 와이어(w)가 당겨짐에 따라 상기 와이어(w)에 연결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손잡이가 힌지 회동됨에 따라 락킹이 해제되는 종래와 달리, 팝업 상태의 상기 그립부(220)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잠금 해제되므로 상기 그립부(220)의 마모가 미연에 방지되어 내구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연장몸체(224a)측 길이가 상기 제2연장몸체(224b)측 길이 및 상기 확장부(224c)의 길이의 합보다 작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그립부(220)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상기 그립몸체(220)의 외면과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면과의 각도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280)는 상기 그립몸체(220)에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280)는 발열체(281), 열전도시트(282), 전원부(283)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그립몸체(220) 외면의 결빙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발열부(280)의 발열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281)는 상기 그립몸체(221)에 복수개소 구비되어 결빙환경에서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 및 상기 그립부(220)에 인접한 상기 도어케이스부(210) 표면의 결빙이 제거되어 상기 그립부가 팝업되도록 선택적으로 발열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발열체(218)는 상기 열전도시트(282)의 일면에 복수개소 배치되는 발열단자로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상기 열전도시트(282)의 표면 전체를 따라 배치되는 전선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발열이 가능한 구조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시트(282)는 상기 그립몸체(221)의 표면을 따라 구비되되 상기 발열체(281)의 발열시 상기 그립몸체(221)의 표면에 열을 확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시트(282)는 탄소나노튜브 소재의 면상발열체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시트(282)는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에 함몰 형성된 함몰공간에 상기 그립몸체(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시트(282)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의 외측방향으로부터 노출이 방지되도록 별도로 상기 커버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그립몸체(221)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부는 상기 도어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에 삽입시 상기 커버부와 상기 도어의 외면 프로파일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부(283)는 상기 발열체(28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원부(283)는 배터리 형태로 상기 연장몸체(224)의 내부, 또는 상기 수용공간(21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원부(283)의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 리트렉터블 도어핸들(300)이 차량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283)가 차량의 전력공급원에 전선 연결될 수도 있으며, 차량의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281)는 상기 그립몸체(221)의 표면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결빙감지센서(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빙감지센서(284)는 온도센서, 대기센서, 압력센서, 피톳튜브, 풍속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결빙감지센서(284)가 온도센서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결빙감지센서(284)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 즉, 상기 그립몸체(221)의 포면에 결빙이 발생되는 경우, 결빙이 제거되도록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전원부(283)를 자동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281)에 전원을 인가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결빙감지센서(284)를 통해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미만임과 동시에, 상기 접근감지센서(271)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도어케이스부(21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로 접근을 감지시 상기 발열체(281)가 발열되도록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전원부(283)를 자동 제어하여 상기 발열체(28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그립몸체(220) 표면의 결빙발생여부를 감지하여 결빙 발생시 발열됨에 따라 결빙을 제거하는 상기 발열부(280)를 통해 극한의 결빙환경에서도 상기 그립몸체(221)의 표면이 해빙됨에 따라 상기 그립부(220)가 상기 수용공간(211)으로부터 상기 개구부(213)를 통해 팝업 가능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결빙감지센서(284)의 결빙감지 방식이 공기역학적 방식으로 연산 및 산출되는 경우 압력센서, 피톳튜브, 풍속계 등을 통해 상기 도어케이스부(210) 외면의 공기 흐름방향 및 각도, 미끄럼(side slip) 각도, 각속도, 공기역학적 하중, 차량의 속도 등의 정보가 획득됨에 따라 기설정된 연산식에 의해 결빙유무가 산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공기역학적 결빙감지 방식을 통해 획득된 정보를 기반으로 연산부에 의해 결빙이 감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전원부에 전원을 인가하여 발열체가 발열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300: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210: 도어케이스부
211: 수용공간 213: 개구부
214: 장공 215: 권취돌설부
220: 그립부 221: 그립몸체
224: 연장몸체 224c: 확장부
225: 이음부 230: 신장구동부
231: 액츄에이터 232: 신장로드부
240: 링크부 250: 가이드부
255: 락킹해제연장부 260: 래치부
261: 래치바 262: 연결부
263: 래치브라켓 270: 제어부
271: 접근감지센서 280: 발열부
281: 발열체 282: 열전도시트
283: 전원부 284: 결빙감지센서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전면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도어케이스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프로파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팝업되는 그립몸체와, 상기 그립몸체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되는 한쌍의 연장몸체를 포함하는 그립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단부에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신축되는 신장로드부를 포함하는 신장구동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전후 이동되는 연장링크와, 상기 연장링크의 양단 및 각 상기 연장몸체를 링크연결하는 한쌍의 팝업링크와, 상기 연장링크의 전후 이동시 상기 그립부의 팝업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링크부; 및
    상기 링크부에 연결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인장력을 제공하는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어 도어 락킹장치가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래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는 제1회동링크, 제2회동링크, 및 제3회동링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회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신장로드부의 단부에 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회동링크의 일단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제2회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1회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제3회동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2회동링크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연장링크의 일단에 힌지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링크는 제1팝업링크와 제2팝업링크을 포함하되,
    상기 연장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제2팝업링크의 일단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제1팝업링크는 일단이 상기 제3회동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연장몸체 중 제1연장몸체의 내측단에 링크연결되고,
    상기 제2팝업링크는 일단이 상기 연장링크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타단이 상기 연장몸체 중 제2연장몸체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된 확장부에 링크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한쌍의 링크가이드부와, 한쌍의 팝업가이드부를 포함하되,
    상기 링크가이드부 및 상기 팝업가이드부 각각은 원호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링크가이드부 및 상기 팝업가이드부 각각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부가 함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가이드부는 제1링크가이드부와 제2링크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팝업가이드부는 제1팝업가이드부와 제2팝업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링크는 제1팝업링크와 제2팝업링크를 포함하되,
    상기 제1링크가이드부에 의해 제1회동링크의 타단 및 제2회동링크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되며,
    상기 제2링크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제2회동링크의 타단 및 제3회동링크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되고,
    상기 제1팝업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제3회동링크의 타단 및 상기 연장링크의 일단 및 상기 제1팝업링크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되며,
    상기 제2팝업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연장링크의 타단 및 상기 제2팝업링크의 일단의 이동이 안내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2. 제 10 항에 있어서,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인접한 상기 수용공간의 일측에 배치되되 각 상기 링크가이드부의 오목한 부분이 상호간 대향되어 이격 배치되며,
    각 상기 팝업가이드부는 일측이 상기 링크가이드부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되, 타측이 각 상기 연장몸체의 내측단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위치에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팝업가이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측에는 상기 팝업가이드부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되는 락킹해제연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하면부에는 상기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해제를 위한 장공이 형성되되, 상기 장공은 원호형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래치부는, 일측이 상기 팝업링크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선택적으로 걸림되되 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장공을 가로질러 배치되는 래치바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는 래치브라켓과,
    상기 래치바와 상기 래치브라켓을 연결하되 팝업된 상태의 상기 그립부가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외측방향으로 당김시 상기 와이어가 선택적으로 걸림 회동되도록 상기 장공의 어느 일측을 통과하여 구비되는 래치연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몸체는 상기 그립몸체의 양단부로부터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각각 일체로 연장되는 제1연장몸체 및 제2연장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장몸체 및 상기 제2연장몸체 중 어느 하나의 내측단에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내측방향으로 일체로 더 연장되는 확장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6. 제 7 항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케이스부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와,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케이스부의 이동시 및 전원 오프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완전 삽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정방향 제어하여 상기 신장로드부를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시키며,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및 도어의 개폐시 상기 그립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팝업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역방향 제어하여 상기 신장로드부를 상기 액츄에이터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수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KR1020180153415A 2018-12-03 2018-12-03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KR102143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15A KR102143038B1 (ko) 2018-12-03 2018-12-03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15A KR102143038B1 (ko) 2018-12-03 2018-12-03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21A KR20200066821A (ko) 2020-06-11
KR102143038B1 true KR102143038B1 (ko) 2020-08-28

Family

ID=7107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415A KR102143038B1 (ko) 2018-12-03 2018-12-03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0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6915A1 (zh) * 2022-09-30 2024-04-04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车门把手及车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4020A1 (en) * 2013-11-18 2015-05-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composed of a door handle and of an actuation device for the door handle
US20150315826A1 (en) * 2014-05-05 2015-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US20170370123A1 (en) * 2016-06-28 2017-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mechanism for deployable exterior door handle for a vehicle
WO2018010939A1 (de) * 2016-07-11 2018-0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mit einem flächenbündigen grif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4020A1 (en) * 2013-11-18 2015-05-21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composed of a door handle and of an actuation device for the door handle
US20150315826A1 (en) * 2014-05-05 2015-1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US20170370123A1 (en) * 2016-06-28 2017-12-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ated mechanism for deployable exterior door handle for a vehicle
WO2018010939A1 (de) * 2016-07-11 2018-01-18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Griffvorrichtung mit einem flächenbündigen gri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6821A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3708B2 (ja) ドア又は同様のもののための格納可能なハンドル構造
JP6671437B2 (ja) 引込み式ハンドル構造
US10316565B2 (en) Ejecting device and arrangement consisting of a piece of furniture and an ejecting device
US7905530B2 (en) Self-actuating devices
US9249608B2 (en) Flush door handle with shape memory alloy drive and heated handle to body seal
US8217611B2 (en) Automated refrigerator opener
US10173510B2 (en) Active vehicle pillar arrangement for selective wind noise, wind throb, snow buildup and moisture control
KR102143038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WO2003004809A1 (fr) Poignee de porte equipee d'un portillon retractable automatique
KR102157301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US10597088B2 (en) Active vehicle pillar arrangement for selective wind noise, wind throb, snow buildup and moisture control
US20210162943A1 (en) Airbag assembly
KR102143041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US11643862B2 (en) Sensor module for vehicle cargo door
JP2005515326A (ja) トランクフードの開閉制御装置
US11732515B2 (en) Rotating flush vehicle door handle
IT201800006901A1 (it) Serratura per portello di veicolo con sensore di posizione.
KR102157297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US7562415B2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of rotary brush for use in vacuum cleaner
US9061633B2 (en) Tonneau cover device
KR102157294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개폐장치
US20220282533A1 (en)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102314798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JP7218611B2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CN109958354A (zh) 车门连接结构、车门开闭控制系统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