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8017A -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8017A
KR20210158017A KR1020200076262A KR20200076262A KR20210158017A KR 20210158017 A KR20210158017 A KR 20210158017A KR 1020200076262 A KR1020200076262 A KR 1020200076262A KR 20200076262 A KR20200076262 A KR 20200076262A KR 20210158017 A KR20210158017 A KR 20210158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nit
opening
cover
selective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150B1 (ko
Inventor
박병학
김민석
권준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Priority to KR1020200076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150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3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e.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4Vascular 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G06K2009/009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외면부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상기 삽입공간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윤곽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 테두리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커버부;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동력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바디부의 삽입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도어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생체인식수단;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생체인식수단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도어 락킹장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smart door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도어에 의해 실내공간이 개폐된다. 이러한 자동차의 도어는 외부에 도어손잡이가 설치되어 있어 탑승자가 도어손잡이를 파지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차의 도어에 탑승자가 파지하도록 구비된 도어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발생되어 소음이 증가되며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에 의해 주행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자동차의 도어 외측으로 돌출된 도어손잡이를 도어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시켜 주행중에 바람의 간섭이나 풍절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손잡이에 관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손잡이는 상기 도어의 일측에 일면이 개구되며 형성된 함몰 공간에 선택적으로 팝업 및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도어손잡이 및 상기 도어의 외면 윤곽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되어 미려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손잡이가 상기 도어의 함몰 공간으로부터 팝업되면 사용자가 도어손잡이를 당겨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내부에 구비된 락킹장치의 래치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도어손잡이는 힌지 회동되어 당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도어손잡이는 오작동으로 팝업된 경우에도 단순히 당기는 것만으로 락킹장치가 기계적으로 개방되므로 차량의 보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3782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개선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면부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상기 삽입공간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윤곽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 테두리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커버부;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동력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바디부의 삽입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도어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생체인식수단;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생체인식수단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도어 락킹장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외면부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상기 삽입공간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윤곽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 테두리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커버부;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동력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바디부의 삽입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도어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생체인식수단;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바디부의 폭방향 외측에 연결되며,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되,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 및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 테두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생체인식수단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도어 락킹장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접근감지센서에 의해 스마트키가 접근시 구동부가 구동 제어됨에 따라 커버부가 도어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면 삽입공간에 배치된 생체인식수단을 통해 사용자의 생체정보 등록 여부를 판별하여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커버부 후측에 상하 연장된 구동연결부가 구동부와 랙-피니언 결합되되, 바디부 측면부에 라운드지게 연장된 가이드장공에 구동연결부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커버부가 삽입공간을 커버하며 도어 외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으로 라운드진 상승궤적으로 안내되며 슬라이드 승강되므로 작동정밀성이 개선되며 고급화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커버부가 삽입공간을 커버시 도어의 외면 윤곽과 연속적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커버부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가 바디부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에 형합되고 상면 테두리가 개구부의 상측 테두리에 형합되어 생체인식수단이 먼지, 빗물 등의 외부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므로 인식정확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넷째, 커버부가 바디부의 삽입공간을 커버시 지정맥센서부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되, 접근감지센서가 스마트키의 접근을 감지시 커버부가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지정맥센서부가 활성화되어 사용전력이 절감되므로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다섯째, 커버부가 도어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더라도 지정맥센서부에 의한 지정맥 인증이 되기 전에는 도어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차단되어 의도치 않은 커버부의 개방시에도 도어의 개방이 예방되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커버부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생체인식수단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의 내부가 투영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바디부의 수용공간이 커버부에 의해 커버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커버부가 도어의 개구부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지정맥센서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탑커버부가 제외된 지정맥센서부를 나타낸 부분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바디부의 수용공간이 커버부에 의해 커버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커버부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생체인식수단이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의 내부가 투영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바디부의 수용공간이 커버부에 의해 커버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커버부가 도어의 개구부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지정맥센서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탑커버부가 제외된 지정맥센서부를 나타낸 부분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100)은 도어케(10), 바디부(20), 커버부(30), 구동부(40), 생체인식수단(50), 그리고 제어부(7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도어(10)는 차량에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로 도시 및 설명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도어(10)는 차량에 구비되는 도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100)은 차량의 도어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도어에도 적용 가능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10)가 차량 도어로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한편, 상기 도어(10)는 외면부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12)와 연통되는 수용공간(11)이 내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10)는 상기 수용공간(11)이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두께 및 폭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11)은 상기 도어(10)의 외면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1)은 상기 바디부(20) 및 상기 구동부(40)가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부(20) 및 상기 구동부(40)의 전후방향 길이를 초과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도어(10)의 개구부(12)측 테두리가 상기 커버부(30)의 외면 테두리와 미세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10)에 형성된 상기 수용공간(11)에 상기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100)의 상기 바디부(20), 상기 커버부(30), 및 상기 구동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디부(20)는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디부(20)는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디부(20)에는 상기 도어(10)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간(21)은 상기 도어(10)의 외면부측으로 개구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0)는 상기 바디부(20)의 외측에 상기 삽입공간(21)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도어(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윤곽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12) 테두리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커버부(30)는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 전원의 오프시에 외면이 상기 도어(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윤곽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30)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직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0)의 외면 높이 및 폭방향 길이는 상기 삽입공간(21)의 개구된 일면이 완전 커버되도록 상기 바디부(20)의 개구부측 테두리의 크기에 실질적으로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30)와 더불어 후술되는 접근감지센서(71)와 긴급개방수단(80)의 외면 전체가 상기 개구부(12) 테두리의 크기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주행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하면 상기 커버부(30), 상기 접근감지센서, 상기 긴급개방수단(80) 및 상기 도어(10)의 외면 윤곽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바디부(20)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는 상기 커버부(30)의 측면 및 하면을 선택적으로 감싸며 실링하도록 상기 커버부(30)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의 윤곽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디부(20)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라 함은 상기 가이드장공(22) 및 상기 생체인식수단(50)보다 더 전방으로 배치된 영역인 상기 삽입공간(21)의 개구측 내면 테두리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30)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는 상기 바디부(20)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형합되고, 상기 커버부(30)의 상면 테두리는 상기 개구부(12)의 상측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실질적으로 형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시 상기 커버부(30)와 상기 도어(10)의 외면 윤곽이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30)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가 상기 바디부(20)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에 형합되고, 상기 커버부(30)의 상면 테두리가 상기 개구부(12)의 상측 테두리에 형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시 후술되는 구동장공(33a)의 상단에 후술되는 회전축(44) 및 피니언(45)이 배치됨과 더불어 후술되는 가이드돌기(34)가 후술되는 가이드장공(22)의 하단에 배치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시 상기 도어(10)의 외면 윤곽에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30)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가 상기 바디부(20)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에 형합되고, 상기 커버부(30)의 상면 테두리가 상기 개구부(12)의 상측 테두리에 실질적으로 형합되어 상기 생체인식수단(50)이 먼지, 빗물 등의 외부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므로 인식정확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30)의 후측에는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40)와 랙-피니언 결합에 의해 슬라이드 승강되는 구동연결부(3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버부(30)의 외면측 커버의 후면 측부에 상기 구동연결부(31)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커버부(30) 전체가 동시에 슬라이드 승강 및 이동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구동연결부(31)는 상기 커버부(30)의 후면 폭방향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구동연결부(31)가 상기 커버부(30)의 후면 폭방향 양측에 한쌍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상기 구동연결부(31)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한 상태로부터 상기 개구부(12) 테두리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되도록 상기 수용공간(21)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연결부(31)는 상기 커버부(30)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커버부(30)의 외면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후향 경사지게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연결부(31)의 상단이 상기 커버부(30)의 외면측 커버로부터 상측으로 더 연장 돌설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연결부(31)의 후측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래크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커버부(30)에는 상하단이 상기 구동연결부(31)의 상하단에 연결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부가 후술되는 회전축(44)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래크부(32)와 이격 배치되는 래크가이드부(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연결부(31)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장공(33a)이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구동장공(33a)은 상기 래크가이드부(33)와 상기 구동연결부(31)의 후측면의 상기 래크부(32)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44)은 상기 구동장공(33a)에 관통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공(33a)은 상하방향을 따라 후술되는 가이드장공(22)에 대응되어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장공(33a)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도어(10)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수용공간(11)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 테두리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되도록 상기 커버부(30)에 동력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수용공간(11)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구동연결부(31)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연결부(31)를 향하여 배치된 구동축에 주동기어(41a)가 구비되는 구동모터(4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주동기어(41a)에 기설정된 기어감속비로 기어 결합되는 종동기어(43)와, 상기 종동기어(43)의 반경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구동연결부(31)의 래크부(32)를 향햐여 연장되는 상기 회전축(44)과, 상기 회전축(44)에 연결되되 외주가 상기 구동연결부(31)에 형성된 상기 래크부(32)에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45)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4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주동기어(41a)의 직경이 상기 종동기어(43)의 직경보다 작게 구비되어 상기 구동모터(41)의 구동력을 기설정된 기어감속비로 변환시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동부(40)는 상기 주동기어(41a) 및 상기 종동기어(43)가 내부에 수용되는 기어케이스(4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4)은 상기 구동연결부(31)의 후측면에 대향 배치되되 상기 구동장공(33a)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니언(45)은 상기 구동연결부(31)의 구비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래크부(32)에 각각 기어 결합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40)의 구동모터(41) 및 동력전달부(42)가 상기 수용공간(11) 내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구동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회전축(44)이 회전되면 랙-피니언 결합에 의해 슬라이드 승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수용시 라운드진 상승궤적을 안내하도록, 상기 바디부(20)의 삽입공간(21) 측면부에는 상기 구동장공(33a)에 대응되어 상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가이드장공(22)이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장공(22)은 상기 바디부(20)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장공(22)이 상기 바디부(20)의 양측부에 관통된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상기 리운드장공(22)은 상기 구동연결부(31)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장공(22)은 상기 구동장공(33a)에 대응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도어(10)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연결부(31)의 측면부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장공(22)에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장공(22)에 의해 안내되며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가이드돌기(34)가 연장 돌설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100)은 별도로 구비된 차량의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도어(1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71)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접근감지센서(71)는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 카메라, LED 센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초음파센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접근감지센서(71)는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되 상기 바디부(20)의 폭방향 외측에 연결되며, 외면이 상기 도어(10)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이때, 노출 배치된다 함은 외부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와, 투명/반투명한 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경우를 포괄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접근감지센서는 차량에 설치되는 경우 사이드미러 및 차량 전후방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한 사용자가 상기 접근감지센서(71)에 기설정된 반경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 테두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되도록 상기 구동부(40)를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구동부(4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40)는 선택적으로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구동부(40)가 구동 제어됨에 따라 이에 연동된 상기 회전축(44)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술 및 후술될 정방향 및 역방향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예시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정방향 및 역방향이 상호간 전환되는 구성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도어(10)의 이동시 및 전원 오프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하며 상기 도어(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모터(41)를 역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10)의 개폐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 테두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40)에 구비된 구동모터(41)를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도어(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및 차량의 전원 오프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하며 상기 도어(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모터(41)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량 또는 상기 도어(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를 감지하는 별도의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70)에 차량 또는 상기 도어(10)의 이동,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에 대한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구동모터(41)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역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41)가 역방향 구동되면 상기 회전축(44)이 역방향 회전됨에 따라 랙-피니언 결합에 의해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구동장공(33a)의 상단에 상기 회전축(44) 및 상기 피니언(45)이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돌기(34)가 상기 가이드장공(22)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도어(10)의 이동시, 즉 차량의 주행시 그리고 차량의 전원 오프시에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완전 커버함에 따라 바람에 의한 풍절음이 예방되어 차량 내부의 소음이 저감되며 공기 흐름 개선에 따른 차량의 주행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공간(21)에 배치된 상기 생체인식수단(50)이 외부로부터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1)의 개폐 또는 차량의 정지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 테두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41)를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방향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하면 상기 접근감지센서(71)로부터 상기 제어부(70)로 감지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상기 접근감지센서(71)의 기설정된 반경 범위 내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1)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41)가 정방향 구동되면 상기 회전축(44)이 정방향 회전됨에 따라 랙-피니언 결합에 의해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 테두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된다.
이때, 상기 구동장공(33a)의 하단에 상기 회전축(44) 및 상기 피니언(45)이 배치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돌기(34)가 상기 가이드장공(2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가이드돌기(34) 및 상기 가이드장공(22)의 안내를 따라 라운드진 상승궤적으로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수용되면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도어(10)의 외면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회전되며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 테두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되면 사용자가 상기 삽입공간(21)에 배치된 상기 지정맥센서부(50)가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41), 상기 제어부(70), 상기 접근감지센서(71)의 상호간 구성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한 상태의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됨에 따라 상기 삽입공간(21)에 배치된 상기 생체인식수단(50)이 노출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근감지센서(71)에 의해 상기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상기 구동부(40)가 전기적으로 제어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되며, 상기 삽입공간(21)에 배치된 상기 지정맥센서부(50)에 사용자의 지정맥을 포함하는 생체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별하여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잠금이 해제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30)가 오작동 되더라도 상기 지정맥센서부(50)에 의한 지정맥 인증이 되기 전에는 도어 락킹장치의 자동 해제가 차단된다. 따라서, 장치의 노후화, 외력 작용, 또는 오작동 등에 의해 상기 커버부(30)가 의도치 않게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더라도 도어(10)의 개방이 예방되어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생체인식수단(50)이 활성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를 감지시 상기 생체인식수단(5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생체인식수단(50)은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시 전원이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시에만 전원이 인가되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생체인식수단(50)은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시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상기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을 감지시 활성화되어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 가능하므로 사용전력이 절감되어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생체인식수단(50)은 상기 바디부(20)의 삽입공간(21) 내부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도어(10)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생체인식수단(50)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생체인식수단(50)에서 인식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등록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에 개방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생체인식수단(50)은 지정맥센서부(50a)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지정맥센서부(50a)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생체인식수단(50)에서 인식된 데이터는 상기 지정맥센서부(50a)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기저장된 등록데이터는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상기 삽입공간(21)의 바닥면에 배치되되,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지정맥데이터를 인식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부(20)의 삽입공간(21) 바닥면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시 상기 삽입공간(21)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노출이 차단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시 상기 수용공간(21)의 바닥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을 접촉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지정맥센서부(50a)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전송받아 상기 제어부(70)의 기억장치에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지정맥센서부(50a)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가 상기 지정맥등록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에 개방신호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지정맥센서부(50a)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가 등록되지 않아 기저장된 상기 지정맥등록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지 않는다.
이때, 지정맥센서부(50a)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상기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는 방식은 지문인식, 홍채인식, 얼굴인식, 손바닥정맥을 이용한 방식에 비해 데이터 취득 난이도 및 데이터 복제 난이도가 높아 보안성이 우수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상기 지정맥데이터 뿐만 아니라 지문데이터를 동시에 인식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70)의 기억장치에는 지문등록데이터가 기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스마트키(미도시)를 소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70)에 지정맥등록데이터가 기저장된 경우에만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접근감지센서(71)를 통해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키(미도시)의 접근이 감지되면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지정맥센서부(50a)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지정맥센서부(50a)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가 기저장된 상기 지정맥등록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도어 락킹장치(미도시)가 개방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상기 삽입공간(21)의 바닥면에 배치되되 복수개로 구비되어 전후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되 적외선 및 백색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복수개의 조광부(51)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광부(51)는 상기 제어부(70)에 회로 연결되는 피씨비부(59)에 회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광부(51)가 4개소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또한,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각 상기 조광부(51)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광부(51)에서 조사된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을 수집하는 수광렌즈(5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광렌즈(52)는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이 수집되도록 외면 윤곽이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수광렌즈(52)의 폭방향 양측에 각 상기 조광부(51)가 전후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며, 상기 수광렌즈(52)의 전후방향 양측에는 한쌍의 터치플레이트(58)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 상기 터치플레이트(58)는 상기 피씨시부(59)에 연결 및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상기 수광렌즈(52)와 상기 피씨시부(59)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촬상하여 획득하는 지정맥인식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상기 수광렌즈(52)의 외곽을 감싸며 구비되되, 상기 수광렌즈(52)가 상기 삽입홀(21d)을 통해 상기 삽입공간(21)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광렌즈(52)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의 관통홀(54a)이 관통 형성되는 렌즈가이드부(54)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상기 렌즈가이드부(54)를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양측 테두리에 한쌍의 장공(56b)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관통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관통홀(54a)에 연통되는 지정맥안착홀(56a)이 관통 형성되는 탑커버부(56)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탑커버부(56)는 오목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커버부(56)의 각 모서리에는 연결로드가 각각 연장 형성되어 상기 피씨비부(59)와 정렬된 상태에서 상호간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탑커버부(56)의 면적이 상기 피씨비부(59)에 대응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렌즈가이드부(54)의 면적이 상기 탑커버부(56)의 면적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정맥안착홀(56a)의 테두리부는 손가락이 정확하게 안내되며 안착되도록 실제 인체의 손가락 표준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지정맥 인증시 손가락이 상기 지정맥안착홀(56a)의 테두리부에 정확하게 안내되며 안착되므로 상기 조광부(51)에서 조사된 적외선 및 백색광이 상기 지정맥인식부에 실질적인 손실없이 수신되어 제품의 정밀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상기 렌즈가이드부(54) 및 상기 탑커버부(56)의 사이에 배치되되 각 상기 조광부(55)에서 조사되는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을 집광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구비되는 투명 재질의 집광필터부(55)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집광필터부(55)는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폭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집광필터부(55)의 폭방향 양측 외면이 각 상기 조광부(55)에 대향 배치되며, 폭방향 양측 내면이 상기 장공(56b)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광필터부(55)의 중앙 외면이 상기 수광렌즈(52) 및 상기 관통홀(54a)에 대향 배치되며, 중앙 내면이 상기 지정맥안착홀(56a)에 대향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집광필터부(55)는 상기 렌즈가이드부(54)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지정맥안착홀(56a)에 지정맥을 안착시키면 상기 조광부(55)에서 조사되는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이 지정맥을 통과한 후 상기 집광필터부(55) 및 상기 수광렌즈(52)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지정맥인식부에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정맥인식부는 상기 적외선을 통해 지정맥데이터를 획득하며, 상기 백색광을 통해 지문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지정맥데이터는 손가락 첫번째 마디를 기준으로 22~24mm 범위의 지정맥에 대하여 획득되는 이미지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지정맥인식부는 상기 제어부(70)에 회로 연결되며, 손가락영역 추출 및 마디 추출, 세그멘테이션 및 스켈레톤, 영상매칭 등의 알고리즘을 수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지정맥인식부를 통해 상기 지정맥데이터에 마디 개수, 거리 등의 특징점이 획득되어 저장되며,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상기 제어부(70)의 기억장치에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지정맥센서부(50a)는 상기 탑커버부(56)의 상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피씨비부(59)에 회로 연결되는 발광가이더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가이더부(57)는 엘이디(LED)로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가이더부(57)는 양단부가 하향 절곡 연장되어 상기 피씨비부(59)에 연결되되 중앙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광가이더부(57)의 중앙부 형상이 상기 지정맥안착홀(56a)의 테두리부 윤곽과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어두운 공간에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수용시 상기 발광가이더부(57)의 발광에 의해 상기 삽입공간(12)이 밝아져 사용자가 상기 발광가이더부(57)측으로 손가락을 삽입하면 상기 지정맥안착홀(56a)에 용이하게 정렬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100)은 상기 도어(10)의 개방을 매개하는 긴급개방수단(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긴급개방수단(80)은 긴급상황, 즉, 사고, 차량 배터리 방전, 회로 단선 등의 원인으로 인한 상기 구동부(40)의 미작동시 또는 사고, 결빙 등의 원인으로 인한 상기 커버부(30)의 미작동시 수동으로 구동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긴급개방수단(80)은 상기 수용공간(11)에 배치되되 상기 바디부(20)의 폭방향 외측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긴급개방수단(80)이 상기 바디부(20)의 폭방향 좌측에 연결되되,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상기 바디부(20)의 폭방향 우측에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긴급개방수단(80)은 상기 도어(10) 개방을 위한 열쇠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키홀더(8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긴급개방수단(80)은 상기 키홀더(82)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부(20)의 폭방향 외측에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81a)가 구비되고 상기 도어(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10)의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키홀더커버(8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긴급상황에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키홀더커버(81)가 상기 힌지부(80a)를 중심으로 상기 도어(10)의 외측으로 회전되어 개방되면 상기 키홀더(82)의 열쇠삽입부에 사용자가 열쇠를 꽂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도어(10)가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긴급상황에서 상기 구동부(40) 또는 상기 커버부(30)의 미작동시 상기 키홀더(82)를 포함하는 상기 긴급개방수단(80)을 통해 상기 도어(10)를 강제 개방 가능하므로 사용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에서 바디부의 수용공간이 커버부에 의해 커버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본 변형예서는 바디부(120)의 가이드장공(122)과 커버부(130)의 구동장공(133a)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로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100A)에는 상기 커버부(130)의 가이드돌기(134)가 전방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가이드장공(122)의 하단(122a)이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절곡지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공(133a)의 상단(133b)이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절곡지게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부(130)의 래크부(132)와 구동부의 회전축(44)에 연결된 피니언(45)이 랙-피니언 결합되어 구동되면 상기 가이드돌기(134)가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장공(122)의 하단(122a)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축(44) 및 상기 피니언(45)이 고정된 상태에서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절곡지게 연장된 상기 구동장공(133a)의 상단(133b)에 의해 상기 커버부(130)가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장공(122)의 하단(122a)과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절곡지게 연장된 상기 구동장공(133a)의 상단(133b)이 상호 대응되는 전후방향 길이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방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장공(122)의 하단(122a)과 후방으로 연속적으로 절곡지게 연장된 상기 구동장공(133a)의 상단(133b)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 상기 커버부(130)의 테두리가 상기 바디부(120) 및 상기 개구부(12)의 각 테두리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형합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커버부(1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안내되며 이동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130)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가 상기 바디부(120)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에 형합되고, 상기 커버부(130)의 상면 테두리가 상기 개구부(12)의 상측 테두리에 형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커버부(130)의 테두리에 대한 형합도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부(1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시 상기 도어(10)의 외면 윤곽에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130)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가 상기 바디부(120)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에 형합되고, 상기 커버부(130)의 상면 테두리가 상기 개구부(12)의 상측 테두리에 실질적으로 형합되어 생체인식수단이 먼지, 빗물 등의 외부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므로 인식정확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100)는 상기 접근감지센서(71)에 의해 스마트키(미도시)가 접근시 상기 구동부(40)가 구동 제어됨에 따라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도어(10)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면 상기 바디부(20)의 삽입공간(21) 내부에 배치된 상기 생체인식수단(50)을 통해 사용자의 지정맥을 포함하는 생체정보의 등록 여부를 판별하여 도어 락킹장치의 잠금이 해제되는 이중 보안구조로 사용편의성 및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30)의 후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구동연결부(31)가 상기 구동부(40)와 랙-피니언 결합되되, 상기 바디부(20)의 삽입공간(21) 측면부에 라운드지게 연장된 상기 가이드장공(22)에 상기 구동연결부(31)의 측면부 하단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돌기(34)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하며 상기 도어(10) 외면에 연속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라운드진 상승궤적으로 안내되며 슬라이드 승강되어 수용되므로 작동정밀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고급화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시 상기 도어(10)의 외면 윤곽에 실질적인 연속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부(30)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가 상기 바디부(20)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에 형합되고, 상기 커버부(30)의 상면 테두리가 상기 개구부(12)의 상측 테두리에 실질적으로 형합되어 상기 생체인식수단(50)이 먼지, 빗물 등의 외부요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므로 인식정확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도어(10)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더라도 상기 지정맥센서부(50a)에 의한 지정맥 인증이 되기 전에는 도어 락킹장치(미도시)의 자동 해제가 차단되어 의도치 않은 상기 커버부(30)의 개방시에도 상기 도어(10)의 개방이 예방되므로 보안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삽입공간(21)을 커버시 상기 지정맥센서부(50a)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접근감지센서(71)가 스마트키의 접근을 감지시 상기 커버부(30)가 상기 개구부(12)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지정맥센서부(50a)가 활성화되어 사용전력이 절감되므로 에너지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10: 도어
11: 수용공간 12: 개구부
20: 바디부 21: 삽입공간
30: 커버부 31: 구동연결부
40: 구동부 41: 구동모터
42: 동력전달부 50: 생체인식수단
50a: 지정맥센서부 51: 조광부
52: 수광렌즈 54: 렌즈가이드부
55: 집광필터부 56: 탑커버부
57: 발광가이더부 70: 제어부
71: 접근감지센서 80: 긴급개방수단

Claims (17)

  1. 외면부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상기 삽입공간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윤곽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 테두리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커버부;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동력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바디부의 삽입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도어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생체인식수단; 및
    상기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생체인식수단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도어 락킹장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후측에는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부와 랙-피니언 결합에 의해 슬라이드 승강되는 구동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연결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동장공이 폭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상기 구동장공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으로 수용시 라운드진 상승궤적을 안내하도록, 상기 바디부의 삽입공간 측면부에는 상기 구동장공에 대응되어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가이드장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동연결부의 측면부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장공에 삽입되되 상기 가이드장공에 의해 안내되며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가이드돌기가 연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구동연결부의 폭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연결부를 향하여 배치된 구동축에 주동기어가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주동기어에 기설정된 기어감속비로 기어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반경방향 중심으로부터 상기 구동연결부를 향햐여 연장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되 외주가 상기 구동연결부에 형성된 래크부에 기어 결합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에는 상하단이 상기 구동연결부의 상하단에 연결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부가 상기 회전축의 직경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상기 래크부와 이격 배치되는 래크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장공은 상기 래크가이드부와 상기 래크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은 상기 구동장공에 관통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연결부는 상기 커버부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커버부의 외면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수용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후향 경사지게 연장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의 윤곽에 대응되어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의 측면 및 하면 테두리는 상기 바디부의 전방측 내면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형합되고, 상기 커버부의 상면 테두리는 상기 개구부의 상측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형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후측에 형성된 구동연결부의 측면부 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전방으로 안내되도록 상기 바디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가이드장공의 하단이 전방으로 절곡지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식수단은 지정맥센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정맥센서부에서 인식된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지정맥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맥센서부는
    상기 삽입공간의 바닥면에 배치되되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호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며 적외선 및 백색광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조광부와,
    각 상기 조광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광부에서 조사된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을 수집하는 수광렌즈와,
    상기 지정맥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촬상하여 획득하는 지정맥인식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맥센서부는
    상기 수광렌즈의 외곽을 감싸며 구비되되, 상기 수광렌즈가 상기 삽입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수광렌즈의 외경에 대응되는 내경의 관통홀이 관통 형성되는 렌즈가이드부와,
    상기 렌즈가이드부를 커버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구비되되 양측 테두리에 한쌍의 장공이 관통 형성되며 중앙부에 상기 관통홀에 연통되되 테두리부가 인체의 손가락 표준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로 굴곡지게 형성된 지정맥안착홀이 관통 형성되는 탑커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맥센서부는
    상기 렌즈가이드부 및 상기 탑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되 각 상기 조광부에서 조사되는 상기 적외선 및 상기 백색광을 집광하도록 굴곡지게 구비되는 투명 재질의 집광필터부와,
    상기 탑커버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발광되는 발광가이더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 테두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생체인식수단이 활성화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체인식수단에서 인식된 상기 데이터가 상기 등록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 락킹장치에 개방신호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및 상기 도어의 개폐시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 테두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에 구비된 구동모터를 정방향 제어하며,
    상기 도어의 이동시 및 전원 오프시 상기 커버부가 상기 삽입공간을 커버하며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 윤곽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역방향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감지센서는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바디부의 폭방향 외측에 연결되며,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17. 외면부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도어;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에 연결되되 상기 도어의 내측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외측에 상기 삽입공간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도어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외면윤곽을 갖도록 구비되며, 상기 개구부 테두리의 내측으로 선택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커버부;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커버부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커버부에 동력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바디부의 삽입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의 테두리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도어의 선택적인 개폐를 위한 도어 락킹장치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는 생체인식수단;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바디부의 폭방향 외측에 연결되며, 외면이 상기 도어의 외측으로 노출 배치되되,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키가 상기 도어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감지센서; 및
    상기 접근감지센서가 상기 스마트키를 감지시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부 테두리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고, 상기 생체인식수단에서 인식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기저장된 등록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상기 도어 락킹장치에 선택적으로 개방신호를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KR1020200076262A 2020-06-23 2020-06-23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KR102361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62A KR102361150B1 (ko) 2020-06-23 2020-06-23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62A KR102361150B1 (ko) 2020-06-23 2020-06-23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017A true KR20210158017A (ko) 2021-12-30
KR102361150B1 KR102361150B1 (ko) 2022-02-10

Family

ID=7917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62A KR102361150B1 (ko) 2020-06-23 2020-06-23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1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171B1 (ko) * 2022-12-29 2023-06-30 (주)쉴드론 전동차 검수용 마스콘 키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55021A (ja) * 2007-12-17 2008-07-10 Hitachi Ltd 個人認証装置
KR20080112922A (ko) * 2007-06-22 2008-12-2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손가락 정맥 인증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KR101331796B1 (ko) * 2012-06-15 2013-11-21 (주)우진하이텍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20200071263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2922A (ko) * 2007-06-22 2008-12-26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손가락 정맥 인증 장치 및 정보 처리 장치
JP2008155021A (ja) * 2007-12-17 2008-07-10 Hitachi Ltd 個人認証装置
KR101331796B1 (ko) * 2012-06-15 2013-11-21 (주)우진하이텍 자동차 도어의 손잡이
KR101637820B1 (ko) 2015-03-24 2016-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KR20200071263A (ko) * 2018-12-11 2020-06-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171B1 (ko) * 2022-12-29 2023-06-30 (주)쉴드론 전동차 검수용 마스콘 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150B1 (ko)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0221B2 (en) Illuminated virtual handle for power door system in motor vehicles
US8091280B2 (en) Arms full vehicle closure ac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JP4576837B2 (ja) 車両用開閉体作動装置
US202002322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closure panel of a vehicle
JP5663729B2 (ja) 原動機付き車両の開閉パネルを自動的にロック解除する装置
JP4793118B2 (ja)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WO2012137608A1 (ja) 車両用開閉体作動装置
KR102361150B1 (ko) 차량용 스마트 도어장치
CN110242162A (zh) 用于机动车辆中的无把手闭合面板的挡板
JP2000045582A (ja) 閉鎖システム
KR100888514B1 (ko) 푸쉬풀식 디지털 도어록 장치
CN111688637A (zh) 具有冷镜盖的基于电磁的传感器
US11983978B2 (en) Pet door
KR102314798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JP4936918B2 (ja) 電気錠用取手及び該取手を用いた電気錠システム
JP2018155059A (ja) 車両用扉開閉システム
JP2017218783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KR101336394B1 (ko) 디지털 출입구 개폐장치
KR20230103181A (ko) 차량용 스마트 도어핸들
CN209874718U (zh) 一种智能锁的控制系统
CN106683384B (zh) 智能遥控器、家用电器及方法
CN211956577U (zh) 一种血管识别的门锁
KR200312770Y1 (ko) 용이한 시정기능을 갖는 도어락 장치
KR100616277B1 (ko) 도어록 장치
JP6372199B2 (ja) 開閉体の自動開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