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979B1 -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 Google Patents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979B1
KR101534979B1 KR1020130161880A KR20130161880A KR101534979B1 KR 101534979 B1 KR101534979 B1 KR 101534979B1 KR 1020130161880 A KR1020130161880 A KR 1020130161880A KR 20130161880 A KR20130161880 A KR 20130161880A KR 101534979 B1 KR101534979 B1 KR 101534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andle
rotated
motor
clutch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790A (ko
Inventor
이호상
최명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원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승원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97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10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r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상하로 연장형성된 실린더 및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이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피스톤에는 핸들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며,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하우징; 테일게이트 개폐시 구동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을 슬라이딩시키는 기어부가 마련된 작동 모듈; 및 상기 작동 모듈의 기어부 일측에 마련되고, 핸들의 인출 동작에 따라 기어부가 일정량 회전되면 기어부에 접촉되어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핸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기구;를 포함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DEVICE FOR PROTRUDE OF TAILGATE HANDLE}
본 발명은 테일게이트가 개방된 상태에서 신장이 작은 사람도 테일 게이트의 핸들을 잡고 테일게이트를 닫을 수 있도록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부에는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며, 차량의 후부에는 테일게이트가 설치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차체 바디와 테일게이트 바디의 록킹됨에 따라 적재 공간을 폐쇄한다. 이러한 테일게이트를 통해 차량 후부에 적재된 물품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실외의 이물질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테일게이트는 차량 후방의 루프 패널 상단에 테일게이트(10)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구조(H)로 설치되어 적재 공간을 개폐한다. 이러한, 테일게이트(10)는 상측으로 완전 개방될 경우 개방 높이가 높기 때문에 어린이나, 여성 운전자와 같이 신장이 작은 사람의 경우 완전 개방된 테일게이트(10)를 닫는데 불편함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테일게이트(10)의 개방 각도를 낮출 경우 상대적으로 키가 큰 사람들에게 있어 역으로 불편사항이 발생될 수 있으며 물품의 적재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테일게이트(10)에는 내측으로 인너 핸들(12)이 설치되어 상측으로 개방된 테일게이트(10)를 쉽게 닫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테일게이트(10)에 인너 핸들(12)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테일게이트(10)의 완전 개방시 인너 핸들(12)의 위치가 비교적 높게 위치되는바, 신장이 작은 사람에는 여전히 불편 사항으로 남아있게 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1-0064470 A (2001.07.09)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내측에 설치된 인너 핸들이 자동으로 인출됨에 따라 지면에서 인너 핸들까지의 높이가 감소됨으로써 신장이 작은 사람도 완전 개방된 테일게이트의 폐쇄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는 상하로 연장형성된 실린더 및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이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피스톤에는 핸들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며,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하우징; 테일게이트 개폐시 구동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을 슬라이딩시키는 기어부가 마련된 작동 모듈; 및 상기 작동 모듈의 기어부 일측에 마련되고, 핸들의 인출 동작에 따라 기어부가 일정량 회전되면 기어부에 접촉되어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핸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슬롯이 형성된 한 쌍의 실린더가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은 한 쌍의 실린더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실린더에 각기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에 관통 삽입되는 이송바가 결합되어 슬라이딩슬롯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실린더 내부에는 피스톤을 실린더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된다.
상기 작동 모듈은 테일게이트 개폐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모터 기어; 상기 모터 기어의 측면에 배치되고, 모터 기어와 연동되어 회전 동작되는 클러치 기어; 상기 클러치 기어와 치합되고, 와이어가 권취되며, 와이어를 통해 이송바에 연결됨으로써 클러치 기어의 회전시 이송바를 당김 및 풀림 동작되어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풀리;로 구성된 기어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는 제어부의 구동 신호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테일게이트 개방 또는 폐쇄됨에 따라 구동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터 기어와 클러치 기어는 상호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모터 기어에는 클러치 기어와 대면하는 측부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클러치 기어에는 모터 기어와 대면하는 측부에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기어의 외주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주에는 일정 구간만큼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의 구간 내에 구비되어 그 구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기구는 스토퍼가 클러치 기어의 일측에서 배치되며, 스토퍼의 일단이 클러치 기어를 향하고 타단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 클러치 기어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기어의 외주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는 스톱 와이어가 연결되며, 스톱 와이어는 일측이 스토퍼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터 기어의 외주를 경유하여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걸림돌기의 회전 반경에 스톱 와이어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기어의 일측면에는 스토퍼 기구의 스토퍼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풀리는 상기 이송바보다 하측에 설치되고, 클러치 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가 감길 경우 이송바를 당겨 핸들이 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는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내측에 설치된 인너 핸들이 자동으로 인출됨에 따라 지면에서 인너 핸들까지의 높이가 감소됨으로써 신장이 작은 사람도 완전 개방된 테일게이트의 폐쇄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의 인출시에만 스프링의 힘을 이겨내어 진출되고, 핸들이 완전 인출시 스토퍼 기구를 통해 핸들의 위치를 고정시켜줌으로써 추가적인 모터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아울러, 핸들의 인출 동작이 되지않는 테일게이트의 닫힘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이 원위치되고, 핸들이 원위치된 상태에서는 모터의 구동없이 스프링력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구동모터의 과부하 문제를 해소하여 구동모터의 내구 성능을 확보활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테일게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의 상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조립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의 작동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
도 6 내지 7은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의 작동 모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의 상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의 하우징을 나타낸 조립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의 작동 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6 내지 7은 도 2에 도시된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의 작동 모듈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
상기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는 상하로 연장형성된 실린더(120) 및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140)이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피스톤(140)에는 핸들(160)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며,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하우징(100); 테일게이트 개폐시 구동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20)와 구동모터(2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됨으로써 상기 피스톤(140)을 슬라이딩시키는 기어부(G)가 마련된 작동 모듈(200); 및 상기 작동 모듈(200)의 기어부(G) 일측에 마련되고, 핸들(160)의 인출 동작에 따라 기어부(G)가 일정량 회전되면 기어부(G)에 접촉되어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핸들(16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기구(3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테일게이트의 내측으로 하우징(100)이 장착되고, 하우징(100)에는 실린더(120)와 피스톤(140)을 통해 핸들(160)이 인출 동작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실린더(120)는 상하로 연장형성된다고 하였는데, 도 1을 참고하면 통상적으로 테일게이트의 완전개방시 핸들(160)은 하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바, 실린더(120)를 상하로 연장형성된다고 표현하였다. 즉, 테일게이트가 완전 개방시 핸들(160)이 하방을 향해 인출 동작되어 핸들(160)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핸들(160)의 인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작동 모듈(200)이 마련되며, 작동 모듈(200)에는 구동모터(220)의 작동시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는 기어부가 마련되고, 기어부의 회전 동작시 피스톤(140)을 실린더(120) 내에서 이동시킴으로써 핸들(160)의 인출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렇게, 핸들(160)이 적정 수준으로 인출되면 스토퍼 기구(300)가 작동 모듈(200)의 기어부에 접촉되어 기어부의 회전을 제한하고, 기어부의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핸들(16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에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슬롯(122)이 형성된 한 쌍의 실린더(120)가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140)은 한 쌍의 실린더(120) 내부에 마련되며, 슬라이딩 슬롯(122)에 관통 삽입되는 이송바(180)가 결합되어 슬라이딩슬롯(12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한 쌍으로 형성된 실린더(120)에는 각각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슬롯(122)이 형성되고, 실린더(120)의 내부에는 각각 피스톤이 마련되며, 슬라이딩슬롯(122)에 관통 삽입된 이송바(180)의 일측 및 타측으로 피스톤(140)이 각각 연결됨으로써 한 쌍의 피스톤(140)이 동시에 이동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이송바(180)가 실린더(120)의 슬라이딩슬롯(122)에서 이동시 한 쌍의 피스톤(140)이 동시에 이동됨으로써 한 쌍의 피스톤(140)에 일측과 타측이 연결된 핸들(160)이 균형되게 인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의 실린더(120) 내부에는 피스톤(140)을 실린더(120)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S1)가 마련된다.
즉, 핸들(160)의 인출 동작이 불필요한 초기 상태에서는 탄성부재(S1)가 피스톤(140)을 실린더(120)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핸들(160)을 초기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초기 상태에서 핸들(16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모터의 구동력이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구동모터(220)의 과부하를 해소하고, 내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에는 핸들(160)을 피스톤(140)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142)와 이송바(180)와 탄성부재(S1) 사이에 마련되는 링부재(144)가 더 도시되어 있으며, 링부재(144)는 탄성부재(S1)와 이송바(180)가 사이에 접촉되어 탄성부재(S1)의 탄성력이 원활히 전달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이송바(180)의 이동에 관하여는 하기 작동 모듈(200) 설명시 다시 언급하도록 하겠다.
한편, 상기 작동 모듈(200)은 테일게이트 개폐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220);와 상기 구동모터(22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20)의 작동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모터 기어(240); 상기 모터 기어(240)의 측면에 배치되고 모터 기어(240)와 연동되어 회전 동작되는 클러치 기어(260); 상기 클러치 기어(260)와 치합되고, 와이어(282)가 권취되며, 와이어(282)를 통해 이송바(180)에 연결됨으로써 클러치 기어(260)의 회전시 이송바(180)를 당김 및 풀림 동작되어 피스톤(140)을 이동시키는 풀리(280);로 구성된 기어부(G)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구동모터(220)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220)의 작동시 모터 기어(240), 클러치 기어(260), 풀리(280)가 상호 연동되어 회전됨으로써 하우징(100)에 마련된 피스톤(14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의 구동모터(220)는 제어부(미도시)의 구동 신호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테일게이트 개방 또는 폐쇄됨에 따라 구동모터(220)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A)는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싱부(B)를 통해 전달된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22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는 테일게이트가 회전됨에 따라 접촉되어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감지하는 접촉식 센서가 될 수 있으며, 테일게이트에 설치되어 테일게이트가 개방됨에 따라 위치의 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식 센서가 될 수 있다. 테일게이트의 개폐 상태를 파악하는 수단은 이미 공지된 기술인바, 센싱부는 특정 센서로 한정하지 않도록 하겠다.
이러한 센싱부의 신호에 따라 테일게이트의 개방 또는 폐쇄 여부가 판단되면 제어부는 구동모터(220)를 제어하여 회전동작시킨다. 이때, 제어부에는 트렁크 개방 및 폐쇄에 따른 구동모터(220)의 적정 회전수가 기저장되어 그 값으로 구동모터(220)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 기어(240)와 클러치 기어(260)는 상호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모터 기어(240)에는 클러치 기어(260)와 대면하는 측부에 결합부(242)가 돌출 형성되며, 클러치 기어(260)에는 모터 기어(240)와 대면하는 측부에 결합부(242)가 삽입되는 결합홈(262)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42)의 외주에는 가이드돌기(244)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62)의 내주에는 일정 구간만큼의 가이드홈(264)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44)가 가이드홈(264)의 구간 내에 구비되어 그 구간 내에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의 모터 기어(240)는 구동모터(22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220) 작동시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클러치 기어(260)는 모터 기어(240)의 측부에 연결되어 모터 기어(240)의 회전시 연동되어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모터 기어(240)와 클러치 기어(260)는 측면부가 상호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모터 기어(240)에 형성된 결합부(242)가 클러치 기어(260)에 형성된 결합홈(262)에 삽입됨으로써 모터 기어(240)와 클러치 기어(260)가 서로 연동되어 회전 동작 되도록 한다.
단, 본 발명에서는 모터 기어(240)와 클러치 기어(260)가 함께 동시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 공차를 두어 스토퍼 기구(300)의 고정 동작이 수행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 스토퍼 기구(300)에 대해서 설명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를 위해, 결합부(242)의 외주에는 가이드돌기(244)를 형성하고, 결합홈(262)의 내주에는 일정 구간만큼의 가이드홈(264)을 형성하여 가이드돌기(244)가 가이드홈(264) 구간 내에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해, 구동모터(220)의 작동시 결합부(242)의 가이드돌기(244)가 결합홈(262)의 가이드홈(264)에 접촉되면 모터 기어(240)와 클러치 기어(260)가 동시회전되고, 가이드돌기(244)가 가이드홈(264)의 일정 구간 내를 이동하는 경우 모터 기어(240)만이 회전되고 클러치 기어(260)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모터 기어(240)와 클러치 기어(260) 간에 회전동작에 따른 공차를 둠으로써 하기 설명한 스토퍼 기구(300)의 고장 동작이 적정 시점에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기구(300)는 스토퍼(320)가 클러치 기어(260)의 일측에서 배치되며, 스토퍼(320)의 일단이 클러치 기어(260)를 향하고 타단이 탄성체(S2)에 의해 지지되어 클러치 기어(260)를 향해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 기어(260)의 일측면에는 스토퍼 기구(300)의 스토퍼(320)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홈(26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클러치 기어(260)에 형성된 고정홈(266)이 클러치 기어(260)가 회전됨에 따라 스토퍼 기구(300)의 스토퍼에 위치될 경우 탄성체(S2)에 의해 지지된 스토퍼(320)가 고정홈(266) 측으로 돌출되어 삽입됨으로써 클러치 기어(26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클러치 기어(260)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풀리(280)의 회전도 제한되는바, 피스톤(140)의 위치가 고정됨에 따라 핸들(16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기구(300)의 고정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모터 기어(240)의 외주에는 걸림돌기(24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320)의 타단에는 스톱 와이어(340)가 연결되며, 스톱 와이어(340)는 일측이 스토퍼(32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터 기어(240)의 외주를 경유하여 하우징(100)에 고정됨으로써 걸림돌기(246)의 회전 반경에 스톱 와이어(340)가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기구(300)의 스토퍼(320)는 스톱 와이어(340)에 의해 입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스톱 와이어(340)는 일측이 스토퍼(320)에 연결되고, 타측이 모터 기어(240)의 외주를 경유하도록 연장되어 하우징(100)에 고정된다. 여기서, 모터 기어(240)의 회전시 외주에 형성된 걸림돌기(246)가 모터 기어(240)의 외주를 경유하도록 연장된 스톱 와이어(340)에 접촉되고, 모터 기어(240)가 회전됨에 따라 걸림돌기(246)에 걸린 스톱 와이어(340)가 당겨짐으로써 스토퍼(320)가 탄성체(S2)의 탄성력을 이기고 클러치 기어(260)에 형성된 고정홈(266)에서 이탈되는 것이다.
반대로, 클러치 기어(260)가 역회전되면 걸림돌기(246)에 의해 당겨진 스톱 와이어(340)가 느슨하게 풀리(280)게 되고, 스톱 와이어(340)의 당김력에 제거됨에 따라 탄성체(S2)의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320)가 진출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풀리(280)는 상기 이송바(180)보다 하측에 설치되고, 클러치 기어(260)가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282)가 감길 경우 이송바(180)를 당겨 핸들(160)이 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이송바(180)는 풀리(280)가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282)가 감기는 경우 이송바(180)를 당겨 핸들(160)이 인출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며, 풀리(280)의 역회전시 와이어(282)가 풀리(280)는 경우 실린더(120) 내에 설치된 탄성부재(S1)에 의해 피스톤(140)이 밀리어 핸들(160)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풀리(280)가 이송바(180)의 하측으로 설치된다고 하였는데, 하측이라 함은 핸들(160)의 인출방향으로서, 풀리(280)에 권취된 와이어(282)를 통해 이송바(180)를 당김에 따라 핸들(160)이 인출되도록 구현되는바, 하측 방향으로 기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일게이트 핸들(160) 인출 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테일게이트가 폐쇄됨에 따라 핸들(160)의 인출이 불필요한 상황에서는 하우징(100)의 실린더(120) 내부에 피스톤(140)이 탄성부재(S1)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140)에 연결된 핸들(160)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테일게이트의 열림 동작시 센싱부를 통해 테일게이트의 열림을 감지하고, 센싱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며, 제어부에서는 테일게이트가 열린 것으로 판단될 경우 구동모터(220)에 작동 신호를 제공하여 구동모터(220)가 작동시킨다.
이렇게, 구동모터(220)가 작동되어 정회전되면, 구동모터(220)에 연결된 모터 기어(240)가 연동되어 구동모터(220)와 함께 동시회전된다. 이때, 모터 기어(240)의 결합부(242)를 통해 연결된 클러치 기어(260)가 모터 기어(240)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즉, 모터 기어(240)의 결합부(242)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44)가 클러치 기어(260)의 결합홈(262)에 형성된 가이드홈(264)의 일측에 접촉되어 밀어줌으로써 클러치 기어(260)가 모터 기어(240)와 함께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이다.
이렇게, 클러치 기어(260)가 회전됨에 따라 클러치 기어(260)에 치합된 풀리(280)가 동시 회전되고, 풀리(280)에 권취된 와이어(282)가 감김에 따라 이송바(180)를 당겨주면, 피스톤(140)이 탄성부재(S1)를 압축시키면서 이동되어 핸들(160)의 인출동작이 수행된다.
이와 더불어, 클러치 기어(260)가 회전됨에 따라 클러치 기어(260)에 측면에 형성된 고정홈(266)이 스토퍼 기구(300)의 스토퍼(320)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스토퍼(320)가 탄성체(S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돌출됨에 따라 클러치 기어(260)의 고정홈(266)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클러치 기어(260)의 회전이 제한되어 핸들(160)이 인출된 상태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클러치 기어(260)에 고정홈(266)이 삽입되어 핸들(160)의 인출 동작이 제한되면, 구동모터(220)가 역회전 동작되어 모터 기어(240)의 가이드돌기(244)가 가이드홈(264)의 반대편 부분인 타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테일게이트 닫힘 동작에 따른 다음 동작이 준비되도록 한다.
테일게이트의 닫힘 동작시에는 센싱부를 통해 테일게이트의 닫힘을 감지하고, 센싱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며, 제어부에서는 테일게이트가 닫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구동모터(220)에 작동 신호를 제공하여 구동모터(220)가 작동되도록 한다.
이렇게, 구동모터(220)가 작동되어 역회전되면, 구동모터(220)에 연결된 모터 기어(240)가 연동되어 역회전된다. 이때, 모터 기어(240)에 외주에 형성된 걸림돌기(246)가 스토퍼 기구(300)의 스톱 와이어(340)에 접촉되고, 걸림돌기(246)가 스톱 와이어(340)를 당겨줌으로써 스토퍼(320)가 탄성체(S2)를 압축시키면서 클러치 기어(260)의 고정홈(266)에서 이탈된다.
이로 인해, 클러치 기어(260)의 회전이 허용되고, 모터 기어(240)의 가이드돌기(244)가 클러치 기어(260)의 가이드홈(264)부를 핸들(160) 인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고정홈(266)이 스토퍼(320)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와 더불어, 클러치 기어(260)에 치합되어 동시회전되는 풀리(280)는 역회전됨에 따라 감겨져있던 와이어(282)를 느슨하게 풀어주게 되고, 이송바(180)에 작용되던 당김력이 제거됨에 따라 피스톤(140)을 지지하는 탄성부재(S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피스톤(140)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핸들(160)이 원위치로 원복되는 것이다.
이렇게, 핸들(160)이 원위치로 원복되면, 구동모터(220)를 정회전 동작시켜 모터 기어(240)의 가이드돌기(244)가 클러치 기어(260)의 가이드홈(264)의 정방향 부분인 일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다음 동작이 준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테일게이트 핸들(160) 인출 장치는 테일게이트의 개방시 내측에 설치된 인너 핸들(160)이 자동으로 인출됨에 따라 지면에서 인너 핸들(160)까지의 높이가 감소됨으로써 신장이 작은 사람도 완전 개방된 테일게이트의 폐쇄 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핸들(160)의 인출시에만 스프링의 힘을 이겨내어 진출되고, 핸들(160)이 완전 인출시 스토퍼 기구(300)를 통해 핸들(160)의 위치를 고정시켜줌으로써 추가적인 모터 구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아울러, 핸들(160)의 인출 동작이 되지않는 테일게이트의 닫힘 상태에서는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핸들(160)이 원위치되고, 핸들(160)이 원위치된 상태에서는 모터의 구동없이 스프링력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구동모터(220)의 과부하 문제를 해소하여 구동모터의 내구 성능을 확보활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하우징 120:실린더
122:슬라이딩슬롯 140:피스톤
160:핸들 180:이송바
200:작동 모듈 220:구동모터
240:모터 기어 242:결합부
244:가이드돌기 246:걸림돌기
260:클러치 기어 262:결합홈
264:가이드홈 266:고정홈
280:풀리 282:와이어
300:스토퍼 기구 320:스토퍼
340:스톱 와이어 S1:탄성부재
S2:탄성체

Claims (12)

  1. 상하로 연장형성된 실린더 및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되는 피스톤이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피스톤에는 핸들의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며, 테일게이트에 장착된 하우징;
    테일게이트 개폐시 구동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을 슬라이딩시키는 기어부가 마련된 작동 모듈; 및
    상기 작동 모듈의 기어부 일측에 마련되고, 핸들의 인출 동작에 따라 기어부가 일정량 회전되면 기어부에 접촉되어 회전을 제한함으로써 핸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스토퍼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슬롯이 형성된 한 쌍의 실린더가 마련되고,
    상기 피스톤은 한 쌍의 실린더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실린더에 각기 형성된 슬라이딩 슬롯에 관통 삽입되는 이송바가 결합되어 슬라이딩슬롯을 따라 이동되며,
    상기 작동 모듈은, 테일게이트 개폐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시 연동되어 회전되는 모터 기어;와
    상기 모터 기어의 측면에 배치되고, 모터 기어와 연동되어 회전 동작되는 클러치 기어;와
    상기 클러치 기어와 치합되고, 와이어가 권취되며, 와이어를 통해 이송바에 연결됨으로써 클러치 기어의 회전시 이송바를 당김 및 풀림 동작되어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풀리;로 구성된 기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실린더 내부에는 피스톤을 실린더 내측을 향해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제어부의 구동 신호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테일게이트 개방 또는 폐쇄됨에 따라 구동모터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테일게이트의 개폐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 기어와 클러치 기어는 상호 대면하도록 배치되고, 모터 기어에는 클러치 기어와 대면하는 측부에 결합부가 돌출 형성되며, 클러치 기어에는 모터 기어와 대면하는 측부에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외주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주에는 일정 구간만큼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의 구간 내에 구비되어 그 구간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기구는 스토퍼가 클러치 기어의 일측에서 배치되며, 스토퍼의 일단이 클러치 기어를 향하고 타단이 탄성체에 의해 지지되어 클러치 기어를 향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모터 기어의 외주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타단에는 스톱 와이어가 연결되며, 스톱 와이어는 일측이 스토퍼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모터 기어의 외주를 경유하여 하우징에 고정됨으로써 걸림돌기의 회전 반경에 스톱 와이어가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기어의 일측면에는 스토퍼 기구의 스토퍼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리는 상기 이송바보다 하측에 설치되고, 클러치 기어가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가 감길 경우 이송바를 당겨 핸들이 진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KR1020130161880A 2013-12-23 2013-12-23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KR101534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880A KR101534979B1 (ko) 2013-12-23 2013-12-23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1880A KR101534979B1 (ko) 2013-12-23 2013-12-23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790A KR20150073790A (ko) 2015-07-01
KR101534979B1 true KR101534979B1 (ko) 2015-07-07

Family

ID=5378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1880A KR101534979B1 (ko) 2013-12-23 2013-12-23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9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285B1 (ko) * 2018-12-11 2019-04-05 주식회사 이엠티 차량용 출몰형 핸들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892B1 (ko) * 2015-12-14 2019-0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의 인너핸들
CN107662531B (zh) * 2016-07-27 2019-08-09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拉手总成和车辆
US10391846B2 (en) 2016-10-20 2019-08-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iftgate handle with adjustable height to improve reach and clearance requirement
EP3342610B1 (en) 2016-12-30 2020-09-02 Ford Otomotiv Sanayi Anonim Sirketi Tailgate for a vehicle
CN109281567A (zh) * 2018-10-23 2019-01-29 深圳市五洲龙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舱门结构、新能源客车及拉带的控制方法
KR102106518B1 (ko) * 2019-12-12 2020-05-04 강재성 자동차용 측면 견인 방식 출몰형 아웃사이드 도어핸들 조립체
CN112092850B (zh) * 2020-09-17 2021-12-07 淮北平坤锂电池科技有限公司 一种地铁用广告拉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050A (ko) * 2002-10-18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폐쇄장치
KR101327737B1 (ko) * 2012-10-05 2013-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 인너핸들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050A (ko) * 2002-10-18 2004-04-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폐쇄장치
KR101327737B1 (ko) * 2012-10-05 2013-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테일게이트 인너핸들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285B1 (ko) * 2018-12-11 2019-04-05 주식회사 이엠티 차량용 출몰형 핸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790A (ko) 2015-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979B1 (ko) 테일게이트 핸들 인출 장치
CN110494705B (zh) 冰箱
EP3078531B1 (en) Lid device
KR101198666B1 (ko) 테일게이트의 인출식 아웃사이드 핸들
EP3078792B1 (en) Lid device
US10919382B2 (en) Rotary type extension/retraction device
JP4072111B2 (ja) 動力装置
US20230137704A1 (en) Panel lock
CN110939084A (zh) 社区智能车位锁
JP5222236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210324668A1 (en) Locking mechanism with additional damping mechanism
KR102006297B1 (ko) 핸들부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CN205382797U (zh) 一种安全门锁
KR102006290B1 (ko)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KR101584003B1 (ko) 차량의 스텝 장치
EP1900940A1 (en) Slide actuator
AU2015100051A4 (en) Roll-up mechanism for roll-up gate
KR200399006Y1 (ko) 서랍 잠금장치
KR20180086571A (ko) 푸시풀 슬라이딩 도어락
KR102006307B1 (ko) 블로킹 레버를 포함하는 차량용 플러쉬 도어핸들 조립체
CN105442956A (zh) 一种安全门锁
CN111779340A (zh) 一种智慧社区用地锁
CN110397350A (zh) 一种延迟单锁舌回弹的静音智能锁锁体
CN114096731B (zh) 车门电子锁闩
CN212454074U (zh) 助推装置及具有其的车门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