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579B1 -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579B1
KR102156579B1 KR1020157004950A KR20157004950A KR102156579B1 KR 102156579 B1 KR102156579 B1 KR 102156579B1 KR 1020157004950 A KR1020157004950 A KR 1020157004950A KR 20157004950 A KR20157004950 A KR 20157004950A KR 102156579 B1 KR102156579 B1 KR 102156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all surface
circuit board
accommodation space
de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629A (ko
Inventor
카즈유키 다나카
하루히코 다케우치
켄고 아부라야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3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6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related to manufacture, e.g. testing after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0/0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 B23K20/10Non-electric welding by applying impact or other pressure, with or without the application of heat, e.g. cladding or plating making use of vibrations, e.g. ultrasonic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8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82Stepped 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overlap joint-segment
    • B29C66/12821Stepped 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overlap joint-segment comprising at least two overlap joint-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8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84Stepped 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butt joint-segment
    • B29C66/12841Stepped 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butt joint-segment comprising at least two butt joint-se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8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86Stepped 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t least one bevelled joint-seg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30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area to be joined comprising melt initiators
    • B29C66/302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the area to be joined comprising melt initiators said melt initiators being integral with at least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2Measures for keeping the burr form under control; Avoiding burr formation; Shaping the burr
    • B29C66/322Providing cavities in the joined article to collect the bur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B29C66/542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joining hollow covers or hollow bottoms to open ends of contain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20Modifications of basic electric elements for use in electric measuring instruments; Structural combinations of such elements with such instruments
    • G01R1/203Resistors used for electric measuring, e.g. decade resistors standards, resistors for comparators, series resistors, shu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Battery terminal connectors with integrated 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4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combining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85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25Printed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81Housings or casings incorporating or embedd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케이스(8)와, 덮개부(24)를 구비한다. 케이스(8)에는,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기판 수용 공간(23)이 형성된다. 케이스(8)는, 당해 기판 수용 공간(23)의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를 갖는다. 덮개부(24)는, 케이스(8)의 상기 개방구를 막는다. 덮개부(24)에는, 테이퍼면(77)이 형성된다. 케이스(8)에는, 테이퍼면(77)에 접촉하는 접촉부(78)가 형성된다. 테이퍼면(77) 및 접촉부(78)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당해 케이스(8) 및 덮개부(24)를 초음파 용착(溶着)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BATTERY STAT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스의 방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배터리의 상태를 검지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배터리 센서)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션트(shunt) 저항이나 회로 기판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상기 션트 저항 및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갖는 경우가 있다.
이 케이스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션트 저항 및 회로 기판 등을 수용하는 기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이 케이스는, 상기 수용 공간의 개방단(開放端)을 닫기 위한 덮개부를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케이스 내에, 상기 션트 저항 및 회로 기판 등을 수용한 후에, 상기 덮개부를 부착함으로써, 케이스가 밀폐된다.
그런데, 특히 자동차의 분야에 있어서는, 주로 안전상의 관점에서,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 대하여 고도의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케이스의 내부에 물이 침입해 버리면, 당해 물이 회로 기판 등에 부착되어 오동작이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케이스에는, 고도의 밀폐성(방수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을, 종래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서는, 케이스와 덮개부의 사이에 O링을 배치함으로써, 당해 케이스의 밀폐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21061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215452호
그러나, O링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의 문제가 있어, 케이스의 밀폐성을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케이스의 밀폐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신뢰성이 높은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과 그 효과를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관점에 의하면, 이하의 구성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가 제공된다. 즉, 이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회로 기판과, 케이스와, 덮개부를 구비한다. 상기 회로 기판은,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기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당해 기판 수용 공간의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를 갖는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방구를 막는다. 그리고, 상기 개방구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케이스와 상기 덮개부가 용착(溶着)에 의해 접속된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의 개방구의 테두리부를 따라 당해 케이스 및 덮개부를 용착함으로써, O링을 이용하는 일 없이 케이스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용착부의 내측에 있어서, 제1 벽면이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용착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면에 대향하여 제2 벽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벽면 및 제2 벽면의 사이에는, 케이스 내 버(burr)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은, 상기 용착부에 연통(連通;communication)하고 있다.
즉, 케이스와 덮개부의 용착시에는, 버(용착 찌꺼기)가 발생한다. 그래서, 용착부의 내측에 버 수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여기에 버를 수용하여, 당해 버가 기판 수용 공간측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의 단부(端部)에 대향한 버 받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버 받이부를 형성함으로써, 용착시에 발생한 버를, 버 수용 공간 내에 가둘 수 있다. 이에 따라, 당해 버가 수용 공간 내에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용착부의 외측에 있어서, 제3 벽면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용착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제3 벽면에 대향하여 제4 벽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3 벽면 및 제4 벽면의 사이에는, 케이스 외 버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당해 케이스 외 버 수용 공간은, 상기 용착부에 연통하고 있다.
즉, 케이스와 덮개부의 용착시에는, 케이스의 외측을 향해서도 버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대로는 케이스의 외관이 나빠진다. 그래서, 용착부의 외측에도 버 수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버가 외측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막아, 케이스의 외관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션트 저항을 구비한다.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션트 저항에 흐른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 공간은,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한다.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용 공간 내에는, 복수의 움직임 방지핀이 형성되어 있다. 각 움직임 방지핀은, 테이퍼부와, 복수의 크러쉬 리브(crush rib)를 구비한다. 상기 테이퍼부는, 당해 움직임 방지핀의 선단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크러쉬 리브는, 상기 테이퍼부보다도 기단(基端)측의 위치로부터 개시되어, 당해 움직임 방지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크러쉬 리브는, 상기 움직임 방지핀의 기단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움직임 방지핀이 삽입되는 삽입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움직임 방지핀의 선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함으로써, 당해 움직임 방지핀을, 회로 기판의 삽입 통과구멍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테이퍼 형상의 크러쉬 리브가 회로 기판의 삽입 통과구멍으로 파고듦으로써, 움직임 방지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회로 기판이 위치 결정되어, 당해 회로 기판의 움직임이 방지된다.
상기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움직임 방지핀은, 위치 결정핀 및 회전 규제핀이다.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위치 결정핀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구멍과, 상기 회전 규제핀이 삽입되는 회전 규제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규제구멍은, 당해 회전 규제구멍과 상기 위치 결정구멍을 연결하는 직선을 따라 긴 장공(長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규제구멍을 장공으로 했기 때문에, 위치 결정핀과 회전 규제핀의 사이의 치수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는, 상기 움직임 방지핀의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회로 기판에 접촉하는 기판 고정 리브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판 고정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움직임 방지핀의 길이 방향에서의 회로 기판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케이스의 상기 벽면에는, 상기 기판 고정 리브의 사이에, 휨 방지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움직임 방지핀의 길이 방향에서, 휨 방지 리브의 선단측의 단부는, 상기 기판 고정 리브의 선단측의 단부보다도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의 벽면에 휨 방지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벽면이 변형되기 어려워져, 성형시의 벽면의 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휨 방지 리브는, 회로 기판의 움직임 방지에는 무관계한 보강용의 리브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기판 고정 리브보다도 낮은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회로 기판에 접촉하지 않도록 해 둔다.
상기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상기 션트 저항을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기판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션트 저항의 사이를 구분하는 구분벽이 형성된다. 상기 구분벽에는, 상기 기판 접속 단자를 통과시키는 단자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단자 통과구멍에 밀봉재가 충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용 공간과 션트 저항을 구분하는 구분벽을 형성함과 함께, 단자 통과구멍에 밀봉재를 충전함으로써, 션트 저항측으로부터 수용 공간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단자 통과구멍에만 밀봉재를 충전하면 되기 때문에, 수용 공간 내에 밀봉재를 충전하고 있던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밀봉재의 사용량을 대폭으로 삭감하면서, 종래와 손색없는 방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이하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분벽에는, 오목부로서 형성된 충전량 확인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충전량 확인부는, 상기 단자 통과구멍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단자 통과구멍보다도 얕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느 정도의 밀봉재가 단자 통과구멍에 충전되면, 그곳으로부터 넘친 밀봉재가 충전량 확인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충전량 확인부에 밀봉재가 유입된 것을 육안으로 봄으로써(또는 적절한 검출 장치로 검출함으로써), 단자 통과구멍에 소정량 이상의 밀봉재가 충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요한 양의 밀봉재를 단자 통과구멍에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다.
상기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 통과구멍은, 그 테두리부의 윤곽 형상이 모따기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단자 통과구멍의 테두리부의 윤곽 형상에 각(모서리)이 없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당해 단자 통과구멍에 주입된 밀봉재가 유동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단자 통과구멍에 밀봉재를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의하면,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제조 방법이 이하와 같이 제공된다. 즉, 이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는, 회로 기판과, 케이스와, 덮개부를 구비한다. 상기 회로 기판은, 전류를 검출한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기판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당해 기판 수용 공간의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를 갖는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방구를 막는다.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덮개부의 한쪽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덮개부의 다른 한쪽에는, 상기 테이퍼면에 접촉하는 접촉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조 방법은, 상기 테이퍼면 및 상기 접촉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덮개부를 초음파 용착하는 용착 공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테이퍼면을 접촉시켜 용착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용착시에는, 테이퍼면에 의해 덮개부와 케이스가 안내되어, 양자(兩者)가 자연히 위치 맞춤된다. 이에 따라, 정밀도가 높은 용착이 가능해져, 신뢰성이 높은 케이스 및 덮개부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용착 공정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주(外周) 벽면을 따라 변형 방지 지그를 배치한 후에, 상기 초음파 용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원 발명은, 테이퍼면을 접촉시켜 용착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당해 용착시에 있어서, 케이스는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변형하는 힘을 받는다. 역으로 말하면, 케이스는, 내측을 향하여 변형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케이스가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지 않도록 변형 방지 지그를 배치해 두면, 케이스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밀도가 높은 용착이 가능해져, 신뢰성이 높은 케이스 및 덮개부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제조 방법은,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촉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케이스에는, 상기 접촉부의 내측에 있어서, 내향(內向)의 제1 벽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덮개부에는, 상기 테이퍼면의 내측에 있어서, 외향(外向)의 제2 벽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용착 공정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 및 상기 접촉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면 및 제2 벽면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gap)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벽면 및 제2 벽면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기 때문에, 용접 공정에 있어서 발생하는 버를, 상기 간극에 수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정면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5는 션트 저항에 기판 접속 단자를 부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부호 A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용착되기 전의 케이스 및 덮개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9는 케이스에 덮개부를 세트한 모양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케이스와 덮개부를 용착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1은 움직임 방지 리브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움직임 방지 리브에 회로 기판을 압입하는 모양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13은 케이스 내의 수용 공간 및 회로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수용 공간 내에 회로 기판을 위치 결정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단자 통과구멍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다.
도 16은 밀봉재를 주입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확대 정면 단면도이다.
도 17은 밀봉재를 주입하는 모양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18(a)는 변형예에 따른 단자 통과구멍의 근방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 단면도이고, 도 18(b)는 당해 변형예에 따른 단자 통과구멍의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는, 배터리(2)가 갖는 배터리 포스트(3)에 접속되는 배터리 포스트 단자(4)와, 부하(도면 생략)에 접속된 하니스(harness;5)를 접속하기 위한 하니스 접속부(6)와, 케이스(8)를 구비하고 있다.
배터리 포스트 단자(4)는, 금속판을 프레스 내지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포스트 단자(4)는, 배터리(2)의 배터리 포스트(3)에 접속되는 배터리 포스트 접속부(20)를 갖고 있다. 배터리 포스트 접속부(20)는 대략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 형상의 부분에 배터리 포스트(3)를 삽입한 상태에서, 조임 볼트(21)를 조임으로써, 상기 통 형상의 부분이 배터리 포스트(3)의 둘레면에 파고든다. 이에 따라, 배터리 포스트 접속부(20)가 당해 배터리 포스트(3)에 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니스 접속부(6)는, 볼트(스터드(stud) 볼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니스(5)의 단부에는, 단자(13)가 형성되어 있다(도 1).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13)에 하니스 접속부(6)를 삽입 통과시키고, 추가로 당해 하니스 접속부(6)에 너트(18)를 조임으로써, 당해 하니스 접속부(6)에 대하여 상기 하니스(5)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이어서, 케이스(8)의 내부의 모양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이스(8)는 수지제이며, 대략 직방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8)에는, 그 내부에, 회로 기판(9) 등을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 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8) 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션트 저항(7)의 일부와, 상기 배터리 포스트 단자(4)의 일부가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8)에는, 기판 수용 공간(23)과 션트 저항(7)의 사이를 구분하는 구분벽(26)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션트 저항(7)은, 제1 도체부(11)와 제2 도체부(12)와의 사이에, 저항값이 기지(旣知)인 저항체(10)(예를 들면 망가닌)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도체부(11)의 일부와, 제2 도체부(12) 및 저항체(10)는, 케이스(8)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도체부(11)의 일부는 케이스(8)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고, 당해 돌출된 부분에 상기 하니스 접속부(6)가 형성되어 있다. 션트 저항(7)의 제2 도체부(12)에는, 배터리 포스트 단자(4)가 접속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8)는, 상기 기판 수용 공간(23)의 일측을 개방하는 개방구(67)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이, 기판 수용 공간(23)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도 6의 조립 사시도와 같이, 회로 기판(9) 등을 기판 수용 공간(23) 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케이스(8)에 형성된 개방구(67)의 단면(端面)의 외연 윤곽을, 「개방구(67)의 테두리부」 혹은 단순히 「테두리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방구(67)의 테두리부」란, 구체적으로는 도 6에 굵은 선으로 나타낸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8)는, 대략 직방체의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구(67)의 테두리부의 형상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8)에는, 상기 개방구(67)를 막는 덮개부(24)가 부착되어 있다. 덮개부(24)는, 케이스(8)와 동일하게 수지제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션트 저항(7)의 제1 도체부(11) 및 제2 도체부(12)에는, 각각 기판 접속 단자(15)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기판 접속 단자(15)는, 가늘고 긴 판 형상의 금속 부재를 대략 U자 형상(또는 コ자 형상)으로 절곡한 형상으로서, 2개의 접속부(30)가, 그 기단 부분을 중간부(31)에서 접속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션트 저항(7)에 대한 기판 접속 단자(15)의 부착 구조를 종래부터 변경하고 있다. 즉, 종래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 있어서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기판 접속 단자 및 션트 저항을 부착 나사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당해 션트 저항에 대하여 기판 접속 단자를 부착하고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에서는, 기판 접속 단자(15)를, 용접에 의해 션트 저항(7)에 부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접속 단자(15)의 중간부(31)를, 션트 저항(7)에 용접함으로써, 당해 기판 접속 단자(15)를 션트 저항(7)에 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한다. 이것에 의하면, 기판 접속 단자(15)를 부착하기 위해 종래 필요했던 부착 나사를 폐지할 수 있다.
각 기판 접속 단자(15)(구체적으로는, 기판 접속 단자(15)의 각 접속부(30))는, 각각 상기 회로 기판(9) 상에 실장된 전자 회로에 적절하게 접속된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9) 상의 전자 회로와, 션트 저항(7)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션트 저항(7)과 회로 기판(9)을 접속하기 위해, 기판 접속 단자(15)는, 구분벽(26)의 양 벽에 걸쳐져 배치될 필요가 있다. 그래서 구분벽(26)에는, 기판 접속 단자(15)를 통과시키기 위한 단자 통과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9)은, 상기 기판 접속 단자(15)를 통하여 펄스 방전을 행함과 함께, 이때 저항체(10)에 흐른 전류의 크기 등을 기판 접속 단자(15)를 통하여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8)는, 상기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커넥터(14)(도 1 및 도 4를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9)은, 상기 커넥터(14) 내의 출력 단자(32)(도 4)에 접속되어 있고, 당해 출력 단자(32)를 통하여 상기 검출 결과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커넥터(14)에 접속된 외부의 다른 장치(예를 들면, 자동차가 구비하는 엔진·컨트롤·유닛(ECU))는, 커넥터(14)로부터 출력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배터리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펄스 방전 등을 행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배터리 상태를 판단하는 수법은 공지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제1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는, 종래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가 케이스와 덮개부의 사이에 구비하고 있던 O링을 폐지하고, 케이스(8)와 덮개부(24)를 초음파 용착에 의해 접속한 것을 특징의 하나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8)와 덮개부(24)를 용착함으로써 양자를 일체화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케이스(8)의 밀폐성이 향상되어, 고도의 방수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O링의 경년 열화에 의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는, 케이스(8)의 밀폐성을, 장기간에 걸쳐 양호하게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케이스(8)와 덮개부(24)의 접속 부분의 구조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도 4의 부호 A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8)와 덮개부(24)를, 용착에 의해 접속하고 있다. 양자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을, 용착부(68)로서 도 7에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8)와 덮개부(24)의 접착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양자를 동일한 수지 소재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의 형편상, 도 7에서는, 용착부(68)에 있어서의 케이스(8)와 덮개부(24)의 경계면을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와 같이 뚜렷한 경계면이 용착부(68)에 존재하고 있다고는 단정할 수 없음을, 여기에서 지적해 둔다. 즉, 케이스(8)와 덮개부(24)를 용착함으로써, 양자는 용착부(68)에 있어서 완전하게 일체화할 수 있다.
용착부(68)는, 케이스(8)의 개방구(67)(도 6)의 테두리부의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용착부(68)에 의해, 케이스(8)의 개방구(67)가, 그 전체 둘레에 걸쳐 시일(seal)되어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8)와 덮개부(24)와의 사이의 간극이 완전하게 막힌 형태로 되어 있어, 케이스(8)의 밀폐성이 확보되고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착부(68)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케이스(8)에는, 내향의 제1 벽면(7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1 벽면(71)에 대향하여, 외향의 제2 벽면(72)이, 덮개부(24)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 「내」 또는 「외」라고 하는 경우에는, 케이스(8)의 내측 및 외측을 기준으로 한 내 또는 외를 말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벽면(71)은, 케이스(8)의 개방구(67)의 테두리부의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벽면(72)은, 케이스(8)의 개방구(67)의 테두리부의 전체 둘레를 따르도록, 덮개부(24)에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벽면(71)과 제2 벽면(72)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의 부분은,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69)이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69)은, 용착부(68)에 연통하고 있고, 용착부(68)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케이스(8)와 덮개부(24)를 용착할 때에는, 버(용착 찌꺼기)(75)가 발생한다. 이 버(75)는, 용착부(68)로부터 주위로 넓어지도록 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그대로는, 당해 버(75)가 기판 수용 공간(23) 내에 비산하여, 문제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용착부(68)의 내측에 있어서, 당해 용착부(68)에 연통하는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69)을 형성함으로써, 용착에 의해 발생한 버(75)를,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69)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69)의 단부(도 7에 있어서는 하단부)에 대향하도록, 버 받이부(76)를 형성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 받이부(76)는, 케이스(8)의 개방구(67)의 테두리부의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버 받이부(76)에 의해,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69) 내의 버(75)를, 당해 버가 기판 수용 공간(23)에 떨어지기 전에 받아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당해 버(75)를,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69) 내에 가두어 둘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용착에 의해 발생한 버(75)가, 기판 수용 공간(23) 내에 비산해 버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착부(68)보다도 외측에 있어서, 덮개부(24)에는 제3 벽면(7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제3 벽면(73)에 대향하는 제4 벽면(74)이, 케이스(8)에 형성되어 있다. 제3 벽면(73) 및 제4 벽면(74)은, 개방구(67)의 테두리부의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 벽면(73)과 제4 벽면(74)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의 부분은, 케이스 외 버 수용 공간(70)이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외 버 수용 공간(70)은, 용착부(68)에 연통하고 있고, 용착부(68)보다도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용착시의 버(75)는, 케이스(8)의 내측뿐만 아니라, 케이스(8)의 외측에도 발생한다. 용착시에 발생한 버(75)가 케이스(8)의 외측에 노출되면, 당해 케이스(8)의 외관이 악화된다. 또한, 용착시에 발생한 버(75)가 케이스(8) 외로 비산해 버리면, 용착 작업을 행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오염되어 버린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용착부(68)의 외측에 있어서도, 당해 용착부(68)에 연통하는 케이스 외 버 수용 공간(70)을 형성한 것에 의해, 용착에 의해 발생한 버(75)를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용착시의 버(75)가 케이스(8)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케이스(8)의 외관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용착되기 전의 케이스(8) 및 덮개부(24)의 구성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착되기 전의 덮개부(24)에는, 테이퍼면(77)이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77)은, 케이스(8)의 개방구(67)의 테두리부의 전체 둘레를 따르도록 하여, 덮개부(24)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77)은, 그 케이스(8)측의 단부(도 8의 하측의 단부)가, 덮개부(24)측의 단부(도 8의 상측의 단부)보다도 내측에 위치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테이퍼면(77)은, 비스듬하게 외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퍼면(77)은, 상기 제2 벽면(72)보다도 외측, 또한 상기 제3 벽면(73)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착되기 전의 케이스(8)에는, 접촉부(78)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78)는, 개방구(67)의 테두리부의 전체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접촉부(78)는, 덮개부(24)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테이퍼면(77)에 대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접촉부(78)는, 비스듬하게 내향으로 돌출되는 각(모서리)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부(78)는, 상기 제1 벽면(71)보다도 외측, 또한 상기 제4 벽면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케이스(8) 및 덮개부(24)를 용착시킬 때에는, 우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8)의 개방구를 막도록 하여, 덮개부(24)를 세트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케이스(8)의 접촉부(78)는, 덮개부(24)의 테이퍼면(77)에 대하여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8)에 덮개부(24)를 세트했을 때에, 가령, 케이스(8)에 대하여 덮개부(24)가 위치 어긋남되어 있었다고 해도, 상기 테이퍼면(77)에 의해 덮개부(24)가 안내됨으로써, 상기 위치 어긋남이 자연히 보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테이퍼면(77)에 의해 케이스(8)와 덮개부(24)가 접촉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양자의 위치 어긋남을 보정하여, 정밀도가 높은 용착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케이스(8)에 대하여 덮개부(24)를 세트함으로써, 제1 벽면(71)과 제2 벽면(72)의 사이에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69)이 형성되고, 제3 벽면(73)과 제4 벽면(74)의 사이에 케이스 외 버 수용 공간(70)이 형성된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24)에 대하여 케이스(8)의 반대측으로부터 초음파 혼(80)을 대고, 당해 초음파 혼(80)에 의해 덮개부(24)를 케이스(8)에 대고 누르는 방향(도 10의 하향)으로 힘을 가하면서, 당해 초음파 혼(80)을 초음파 진동시킨다. 이에 따라, 케이스(8)와 덮개부(24)와의 접촉 부분, 즉 테이퍼면(77)과 접촉부(78)가 초음파 진동에 의해 용착하여, 용착부(68)가 형성된다(용착 공정).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때 발생하는 버(75)는 버 수용 공간(69, 70)에 수용되기 때문에, 당해 버(75)가 케이스(8)의 내부 및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용접 공정에 있어서는, 초음파 혼(80)의 압압력에 의해, 덮개부(24)가 케이스(8)에 압입된다. 그런데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면(77)은, 덮개부(24)가 압입되는 방향(도 10의 하향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부(24)가 압입되면 압입될수록, 테이퍼면(77)과 접촉부(78)가 접하는 면적이 커져, 용착부(68)의 용착폭(W)이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초음파 혼(80)에 의한 압입량을 제어함으로써, 용착부(68)의 용착폭(W)을 조정할 수 있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테이퍼면(77)에 의해 케이스(8) 및 덮개부(24)를 용착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초음파 혼(80)에 의한 압입량을 제어함으로써 용착폭(W)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소망하는 방수 성능을 갖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용접 공정에 있어서는, 케이스(8)에 대하여 덮개부(24)가 밀어붙여지기 때문에, 이때 케이스(8)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당해 케이스(8)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케이스(8)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 점,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공정에 있어서는, 덮개부(24)에 테이퍼면(77)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테이퍼면(77)이 케이스(8)의 접촉부(78)에 대고 눌러지기 때문에, 케이스(8)는, 그 외주 벽면이 외향으로 넓어지는 방향의 힘을 받는다. 역으로 말하면,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공정에 있어서, 케이스(8)는, 예를 들면 외주 벽면이 내향으로 쓰러지도록 변형될 우려는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에서는, 케이스(8)가 변형되는 방향이 분명하기 때문에, 당해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용이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용접 공정에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8)의 외주 벽면에 대하여 외측으로부터 접하도록 변형 방지 지그(81)를 배치한 후에, 초음파 혼(80)에 의한 용착을 행한다. 이것에 의하면, 케이스(8)의 외주 벽면이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변형하는 것을, 변형 방지 지그(81)에 의해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밀도 좋게 용착을 행할 수 있어, 신뢰성이 높은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제조 방법은, 덮개부(24)의 테이퍼면(77) 및 케이스(8)의 접촉부(78)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당해 케이스(8) 및 덮개부(24)를 초음파 용착하는 용착 공정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테이퍼면(77)을 접촉시켜 용착하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용착시에는, 테이퍼면(77)에 의해 덮개부(24)와 케이스(8)가 안내되어, 양자가 자연히 위치 맞춤된다. 이에 따라, 정밀도가 높은 용착이 가능해져, 신뢰성이 높은 케이스(8) 및 덮개부(24)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는, 케이스(8)의 개방구(67)의 테두리부를 따라, 당해 케이스(8)와 덮개부(24)가 용착에 의해 접속된 용착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8)의 개방구(67)의 테두리부를 따라 당해 케이스(8) 및 덮개부(24)를 용착함으로써, O링을 이용하는 일 없이 케이스(8)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제2 특징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그에 앞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가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에 대해서 설명한다.
특히 자동차의 분야에 있어서,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 대하여 고도의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지만, 예를 들면,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케이스의 내부에 있어서 회로 기판이 움직이고 있으면, 진동의 영향에 의해 문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케이스 내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이 점, 종래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서는, 케이스 내에 우레탄 등의 밀봉재를 충전하고, 당해 밀봉재에 의해 회로 기판을 감싸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을 감싸는 밀봉재에 의해, 당해 회로 기판의 움직임을 방지한다는 방진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회로 기판을 밀봉재에 의해 감쌈으로써, 회로 기판에 물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방수 효과도 얻어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서는, 케이스 내에 밀봉재를 충전함으로써, 방진 효과 및 방수 효과가 얻어져,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구성에서는, 회로 기판을 밀봉재로 감싸기 때문에, 대량의 밀봉재가 필요해져,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었다. 또한, 대량의 밀봉재를 충전함으로써,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중량이 증가한다는 과제도 있다.
이상의 사정을 감안하여,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에서는, 대량의 밀봉재를 이용하는 일 없이 간소한 구성으로 회로 기판(9)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8)의 수용 공간(23) 내에는, 2개의 움직임 방지핀(위치 결정핀(56) 및 회전 규제핀(57))이 형성되어 있다. 움직임 방지핀(56, 57)은, 수용 공간(23)의 저면(底面)(전술한 구분벽(26))을 기단으로 하고, 수용 공간(23)의 개방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로 기판(9)에는, 상기 움직임 방지핀(56, 57)에 대응한 2개의 삽입 통과구멍(위치 결정구멍(58) 및 회전 규제구멍(59))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구멍(58)에는 위치 결정핀(56)이, 회전 규제구멍(59)에는 회전 규제핀(57)이,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2개의 움직임 방지핀(56, 57)은 유사한 구성이기 때문에, 도 11 및 도 12에는 위치 결정핀(56)만을 나타내고 있다. 위치 결정핀(56)과 회전 규제핀(57)의 구성의 차이에 대해서는, 수시 설명한다.
움직임 방지핀(56, 57)은, 그 선단 부분에, 테이퍼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퍼부(60)는, 움직임 방지핀(56, 57) 선단측(도 11의 상측)으로부터 기단측(도 11의 하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지름이 굵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60)의 하단부의 지름은, 대응하는 삽입 통과구멍(58)(또는 59)의 폭보다도,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움직임 방지핀(56, 57)에 있어서, 테이퍼부(60)의 하단부보다 더욱 기단측에는, 크러쉬 리브(61)가 형성되어 있다. 크러쉬 리브(61)는, 움직임 방지핀(56, 57)의 지름 방향으로 돌출되고, 당해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길이 방향을 따른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크러쉬 리브(61)는, 움직임 방지핀(56, 57)의 둘레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핀(56)에는, 크러쉬 리브(61)가 90도 간격으로 4개 형성되고, 회전 규제핀(57)에는, 크러쉬 리브(61)가 180도 간격으로 2개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러쉬 리브(61)는,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기단측(도 11의 하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지름 방향 외측으로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러쉬 리브(61)의 하단부에 있어서, 당해 크러쉬 리브(61)를 포함한 움직임 방지핀(56)(또는 57)의 지름은, 삽입 통과구멍(58)(또는 59)의 폭보다도 굵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움직임 방지핀(56, 5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2(a)와 같이, 회로 기판(9)의 삽입 통과구멍(58)(또는 59)의 중심이, 움직임 방지핀(56)(또는 57)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테이퍼부(60)에 의해 삽입 통과구멍(58)(또는 59)을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움직임 방지핀(56)(또는 57)을, 삽입 통과구멍(58)(또는 59)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도 12(a)의 상태로부터 회로 기판(9)을 더욱 압입해 가면, 테이퍼 형상의 크러쉬 리브(61)가, 삽입 통과구멍(58)(또는 59)의 내주벽에 접촉한다(도 12(b)의 상태).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로 기판(9)의 위치 결정구멍(58)은, 둥근구멍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위치 결정구멍(58)에 위치 결정핀(56)을 삽입함으로써, 당해 위치 결정구멍(58)의 내주벽에 대하여, 위치 결정핀(56)의 4개의 크러쉬 리브(61)가 4방향(도 14의 상하 좌우 방향)에서 접촉한다. 이에 따라, 위치 결정구멍(58)이, 위치 결정핀(56)의 축 중심에 센터링되어, 회로 기판(9)이 위치 결정된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규제구멍(59)은, 당해 회전 규제구멍(59) 및 위치 결정구멍(58)을 연결하는 직선(62)을 따라 긴 장공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규제핀(57)의 2개의 크러쉬 리브(61)는, 상기 직선(62)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 규제구멍(59)에 회전 규제핀(57)을 삽입함으로써, 당해 회전 규제핀(57)의 크러쉬 리브(61)가, 회전 규제구멍(59)의 내주벽에 대하여, 직선(6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접촉한다. 이에 따라, 위치 결정핀(56) 주위에서의 회로 기판(9)의 회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크러쉬 리브(61)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9)을 더욱 압입하면, 삽입 통과구멍(58, 59)의 내주벽에 대하여 크러쉬 리브(61)가 파고들어간다. 이와 같이, 삽입 통과구멍(58)(또는 59)의 내주벽에 크러쉬 리브(61)를 파고들게 함으로써, 회로 기판(9)을,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내(도 14에 나타내는 평면 내)에서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움직임 방지핀(56, 57)에 의해, 당해 핀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 있어서의 회로 기판(9)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구멍(58, 59)은, 회로 기판(9)의 대각선 상에 있어서, 당해 회로 기판(9)의 모퉁이(코너)의 근방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로 기판(9)이 위치 결정되는 2점 간의 거리(2개의 움직임 방지핀(56, 57) 간의 거리)를 길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회로 기판(9)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양호하게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규제구멍(59)을 장공으로 했기 때문에, 2개의 움직임 방지핀(56, 57)의 사이의 거리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공차를 엄격하게 하지 않아도, 회로 기판(9)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효과를 적합하게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 도 6 및,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8)의 수용 공간(23)의 내벽면에, 당해 수용 공간(23)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기판 고정 리브(63)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기판 고정 리브(63)는, 도 4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기판 고정 리브(63)는, 회로 기판(9)의 외연보다도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움직임 방지핀(56, 57)을, 회로 기판(9)의 삽입 통과구멍(58, 59)에 삽입하고, 도 12와 같이 회로 기판(9)을 압입함으로써, 기판 고정 리브(63)가,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기단측으로부터(도 12의 하측으로부터), 회로 기판(9)의 일측의 면(도 12의 하측의 면)에 대하여 접촉한다(도 12(b)의 상태). 이에 따라, 회로 기판(9)은, 그 이상은 압입할 수 없게 된다. 즉, 기판 고정 리브(63)에 의해, 회로 기판(9)을,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길이 방향(도 12의 상하 방향)에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회로 기판(9)을 확실하게 위치 결정하려면, 3개소 이상에 기판 고정 리브(63)가 필요해진다. 단, 케이스(8)의 성형 정밀도의 관계상, 다수의 기판 고정 리브(63)를 형성했다고 해도, 모든 기판 고정 리브(63)를 완전하게 동일한 높이(도 12의 상하 방향의 위치)에서 형성할 수 없다. 이 때문에, 기판 고정 리브(63)의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오히려 회로 기판(9)이 제대로 위치 결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판 고정 리브(63)의 수는, 3개소 또는 4개소가 적절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고정 리브(63)를, 케이스(8)의 장변(도 13의 좌우를 따른 변)을 형성하는 서로 마주한 벽면에 각각 2개씩(합계 4개소에) 형성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기판 고정 리브(63)는, 회로 기판(9)의 네 모퉁이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기판 고정 리브(63)에 의해, 회로 기판(9)이 네 모퉁이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당해 회로 기판(9)을 안정적으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회로 기판(9)은, 직선(62) 상에 배치된 2개의 움직임 방지핀(56, 57)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기판 고정 리브(63)가 없다고 하면, 직선(62)을 중심축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움직이기 쉽다. 직선(62)을 축으로 한 회로 기판(9)의 요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는 관점에서는, 당해 직선(62)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기판 고정 리브(63)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 적합하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8)에서는, 회로 기판(9)의 네 모퉁이에 대응하여 형성된 4개소의 기판 고정 리브(63) 중, 움직임 방지핀(56, 57)이 배치되어 있는 2개소의 모퉁이에 형성되어 있는 기판 고정 리브(63)를, 다른 2개소의 모퉁이에 형성되어 있는 기판 고정 리브(63)에 비하여, 케이스(8)의 장변을 따라 약간 중앙 가까이의 위치에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8)가 서로 마주하는 장변(도 13의 좌우를 따른 변)에 형성된 4개소의 기판 고정 리브(63)는, 당해 장변을 따른 방향에서 지그재그 형상으로(엇갈려) 배치된다. 기판 고정 리브(63)를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직선(62) 주위의 회로 기판(9)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당해 회로 기판(9)을 보다 한층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8)의 벽면에 기판 고정 리브(63)가 형성됨으로써, 당해 케이스(8)의 벽면의 강도가 향상되어,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케이스(8)의 성형시에 있어서의 벽면의 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 고정 리브(63)는, 케이스(8)의 벽면을 보강하는 역할도 겸하고 있다.
또한, 케이스(8)의 벽면을 보강한다는 관점에서는, 당해 벽면에 형성된 리브의 수가 많고, 또한, 리브끼리의 간격이 좁을수록 좋다. 단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 고정 리브(63)의 수를 많게 한 경우는, 회로 기판(9)을 제대로 위치 결정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8)에서는, 기판 고정 리브(63)와는 별도로, 휨 방지 리브(64)를 케이스(8)의 벽면에 형성하고 있다. 도 4, 도 6, 도 1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휨 방지 리브(64)는, 기판 고정 리브(63)의 사이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 휨 방지 리브(64)는, 기판 고정 리브(63)와 동일하게, 수용 공간(23)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되고,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기판 고정 리브(63) 및 휨 방지 리브(64)를 케이스(8)의 벽면에 형성함으로써, 케이스(8)의 성형시에 있어서의 벽면의 휨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스(8)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휨 방지 리브(64)의 선단(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길이 방향에서 선단측의 단부)은, 기판 고정 리브(63)의 선단보다도, 기단측(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길이 방향에서의 기단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즉,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고정 리브(63)가 회로 기판(9)에 접촉했을 때에, 휨 방지 리브(64)는 회로 기판(9)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판 고정 리브(63)는, 휨 방지 리브(64)에 의해 방해받는 일 없이, 회로 기판(9)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는, 션트 저항(7)과, 회로 기판(9)과, 케이스(8)를 구비하고 있다. 회로 기판(9)은, 션트 저항(7)에 흐른 전류를 검출한다. 케이스(8)에는, 회로 기판(9)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8)의 수용 공간(23) 내에는, 복수의 움직임 방지핀(56, 57)이 형성되어 있다. 각 움직임 방지핀은, 당해 움직임 방지핀의 선단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60)와, 상기 테이퍼부(60)보다도 기단측의 위치로부터 개시되어, 당해 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크러쉬 리브(61)를 구비하고 있다. 각 크러쉬 리브(61)는, 상기 핀의 기단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기판(9)에는, 움직임 방지핀(56, 57)이 삽입되는 삽입 통과구멍(58, 5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에 있어서, 케이스(8)의 벽면에는, 움직임 방지핀(56, 57)의 기단측으로부터 회로 기판(9)에 접촉하는 기판 고정 리브(63)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움직임 방지핀(56, 57) 및, 기판 고정 리브(63)에 의해, 회로 기판(9)을 수용 공간(23) 내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위치 결정하여,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점, 종래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 있어서는, 회로 기판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수용 공간에 밀봉재를 충전하고, 당해 밀봉재에 의해 회로 기판을 감쌀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이러한 밀봉재가 없어도, 회로 기판(9)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에서는, 회로 기판(9)을 감싸기 위한 밀봉재를 생략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 공간(23) 내에 밀봉재를 충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밀봉재의 사용량을 종래에 비하여 대폭으로 줄여,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의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회로 기판(9)의 움직임을 방지하여,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에서는, 회로 기판을 감싸도록 밀봉재를 충전하고 있었기 때문에, 당해 밀봉재가 방수 효과를 발휘하여, 케이스의 방수성을 높이는 효과도 있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로 기판(9)을 감싸는 밀봉재를 생략했기 때문에, 그대로는 종래와 동등한 방수 성능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에 있어서, 케이스(8)의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부호 33의 부분과 같이, 션트 저항(7)과 케이스(8)와의 사이의 간극의 부분이, 케이스(8) 내로의 물의 침입 경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케이스(8)는, 션트 저항(7)과 수용 공간(23)의 사이에 구분벽(26)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 구분벽(26)에는, 기판 접속 단자(15)를 통과시키기 위한 단자 통과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침입 경로(33)로부터 케이스(8) 내에 침입한 물이, 단자 통과구멍(51)을 통하여, 수용 공간(23)측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로 기판(9)을 감싸는 밀봉재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수용 공간(23) 내에 물이 일단 침입해 버리면, 당해 물이 회로 기판(9)에 부착될 가능성이 있어, 오동작이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역으로 말하면, 단자 통과구멍(51)만 막을 수 있다면, 수용 공간(23) 내로의 물의 침입을 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물이 회로 기판(9)에 부착될 일도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1)에서는, 단자 통과구멍(51)에 밀봉재(50)를 충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용 공간(23)과 션트 저항(7)을 구분하는 구분벽(26)을 형성함과 함께, 단자 통과구멍(51)에 밀봉재(50)를 충전함으로써, 션트 저항(7)측으로부터 수용 공간(23)에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단자 통과구멍(51)에만 밀봉재(50)를 충전하면 되기 때문에, 수용 공간(23) 내에 밀봉재를 충전하고 있던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밀봉재의 사용량을 대폭으로 삭감하면서, 종래와 동등한 방수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도 15에, 단자 통과구멍(51)의 모양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것은, 밀봉재(50)가 충전되기 전의 모양이다. 본 실시 형태의 단자 통과구멍(51)은, 구분벽(26)에 형성된 관통구멍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밀봉재(50)가 충전되기 전의 상태(도 15의 상태)에서는, 단자 통과구멍(51)을 통하여, 션트 저항(7)이 수용 공간(23)에 노출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션트 저항(7)은, 단자 통과구멍(51)의 일측을 막고 있다. 따라서, 션트 저항(7)은, 단자 통과구멍(51)의 저면을 구성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션트 저항(7)은, 적어도 저항체(10)의 부분이 구분벽(26)에 의해 덮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밀봉재(50)가 충전되기 전의 상태라도, 적어도 저항체(10)의 부분은 수용 공간(23)측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저항체(10)의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센싱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 접속 단자(15)는, 제1 도체부(11)와 제2 도체부(12)에 각각 1개씩 형성되어 있다(즉, 션트 저항(7)에는, 기판 접속 단자(15)가 2개 형성되어 있음).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통과구멍(51)은, 2개의 기판 접속 단자(15)에 대응하여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단자 통과구멍(51)에 밀봉재를 주입하는 모양을,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통과구멍(51)의 테두리부의 윤곽 형상의 모퉁이의 부분에, 모따기부(52)를 형성하고 있다. 즉, 단자 통과구멍(51)의 테두리부의 윤곽 형상을, 각(모서리)이 없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해 단자 통과구멍(51)에 주입된 밀봉재(50)를 양호하게 유동시켜, 당해 단자 통과구멍(51)의 전역에 밀봉재(50)를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봉재(50)가 주입되는 위치의 근방에, 단자 통과구멍(51)의 테두리부를 따른 흘러넘침 방지벽(53)이 형성되어 있다. 흘러넘침 방지벽(53)은, 구분벽(26)의 벽면으로부터 볼록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흘러넘침 방지벽(53)에 의해, 주입된 밀봉재(50)가 단자 통과구멍(51)으로부터 흘러넘쳐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당해 단자 통과구멍(51)에 밀봉재(50)를 확실하게 충전할 수 있다.
그런데, 단자 통과구멍(51)으로의 밀봉재(50)의 주입량이 소정보다도 적은 경우, 기대되는 방수 성능을 발휘할 수 없다. 그러나, 밀봉재(50)의 1회의 주입량에는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충분한 양의 밀봉재(50)가 주입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래서, 밀봉재(50)가 소정량 이상 주입된 것을, 육안에 의해(또는 다른 적절한 검사 장치에 의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스(8)의 구분벽(26)에 충전량 확인부(54)를 형성하고 있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량 확인부(54)는, 구분벽(26)에 형성된 오목부로서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단자 통과구멍(51)에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충전량 확인부(54)의 깊이는, 단자 통과구멍(51)의 깊이에 비하여, 얕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단자 통과구멍(51)에 주입된 밀봉재(50)의 양이 소정량보다도 적은 동안은, 충전량 확인부(54)에는 밀봉재(50)가 유입되지 않는다(도 16(a)나 도 17(a)의 상태). 그리고, 단자 통과구멍(51)에 주입된 밀봉재(50)의 양이 소정량을 초과하면, 충전량 확인부(54)에 밀봉재(50)가 흘러든다(도 16(b) 및 도 17(b)의 상태). 또한, 충전량 확인부(54)의 깊이는, 요구되는 방수 성능을 발휘하는 데에 필요한 밀봉재(50)의 주입량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하면 좋다.
따라서, 충전량 확인부(54)에 밀봉재(50)가 유입된 것을 육안에 의해(또는 다른 적절한 검사 장치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단자 통과구멍(51)에 소정량 이상의 밀봉재(50)가 주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밀봉재(50)의 주입량의 불균일에 의한 방수 성능의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구분벽(26)에 2개소의 단자 통과구멍(51)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고 있었지만, 이 2개소의 단자 통과구멍(51)은 서로 독립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2개소의 단자 통과구멍(51)에 대하여 따로따로 밀봉재(50)를 주입할 필요가 있다.
이 점, 도 18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2개소의 단자 통과구멍(51)이, 충전량 확인부(54)를 통하여 서로 연통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도 1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량 확인부(54)에 밀봉재(50)를 주입함으로써, 2개소의 단자 통과구멍(51)에 대하여 동시에 밀봉재(50)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도 18의 변형예에 의하면, 밀봉재(50)를 주입하는 개소가 1개소로 좋기 때문에, 상기 실시 형태에 비하여 제조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이 변형예에서는,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소의 단자 통과구멍(51)과, 충전량 확인부(54)를 합친 영역의 외테두리부의 전체 둘레에, 흘러넘침 방지벽(5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자 통과구멍(51) 및 충전량 확인부(54)로부터 밀봉재가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및 변형예를 설명했지만, 상기의 구성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테이퍼면(77)을 덮개부(24)에 형성하고, 접촉부(78)를 케이스(8)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와는 반대로, 케이스(8)에 테이퍼면(77)을 형성하고, 덮개부(24)에 접촉부(78)를 형성해도 좋다.
버 받이부(76)는, 덮개부(24)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테이퍼면(77)에 의해 케이스(8)와 덮개부(24)가 용착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버 수용 공간(69, 70)이나 버 받이부(76)에 관한 본원 발명의 구성은, 테이퍼면(77)을 형성하지 않고 용착하는 구성의 케이스 및 덮개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 접속 단자(15)를, 션트 저항(7)에 대하여 용접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으로 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션트 저항(7)에 대하여 기판 접속 단자(15)를 부착 나사로 접속하는 종래의 구성에도, 본원 발명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단, 기판 접속 단자(15)를 부착 나사로 부착하는 종래의 구성에 본원 발명의 구성을 적용한 경우, 충분한 방수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부착 나사를 밀봉재로 완전히 덮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필요한 밀봉재의 양이 많아진다. 이 점, 이 명세서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 접속 단자(15)는 용접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종래의 부착 나사가 폐지되어 있기 때문에, 당해 부착 나사를 밀봉재로 덮을 필요가 없다. 즉, 본원의 실시 형태의 경우는, 기판 접속 단자(15)의 중간부(31)만 밀봉재로 덮어 버리면, 충분한 방수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밀봉재의 양이 적어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움직임 방지핀이나 기판 고정 리브 등의 위치나 수는,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1 :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4 : 배터리 포스트 단자
7 : 션트 저항
8 : 케이스
9 : 회로 기판
23 : 기판 수용 공간
24 : 덮개부
26 : 구분벽
50 : 밀봉재
51 : 단자 통과구멍
56, 57 : 움직임 방지핀
58, 59 : 삽입 통과구멍
67 : 개방구
68 : 용착부
69 :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
70 : 케이스 외 버 수용 공간
71 : 제1 벽면
72 : 제2 벽면
73 : 제3 벽면
74 : 제4 벽면
76 : 버 받이부

Claims (14)

  1. 전류를 검출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기판 수용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당해 기판 수용 공간의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방구를 막는 덮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구의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케이스와 상기 덮개부가 용착(溶着)에 의해 접속된 용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용착부의 내측에 있어서, 제1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용착부의 내측에 있어서, 상기 제1 벽면에 대향하여 제2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벽면 및 제2 벽면의 사이에는, 케이스 내 버(burr)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케이스 내 버 수용 공간은, 상기 용착부에 연통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케이스 내 버(burr) 수용 공간의 단부(端部)에 대향한 버 받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용착부의 외측에 있어서, 제3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용착부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제3 벽면에 대향하여 제4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3 벽면 및 제4 벽면의 사이에는, 케이스 외 버(burr)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당해 케이스 외 버 수용 공간은, 상기 용착부에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션트 저항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션트 저항에 흐른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기판 수용 공간은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기판 수용 공간 내에는, 복수의 움직임 방지핀이 형성되어 있고,
    각 움직임 방지핀은,
    당해 움직임 방지핀의 선단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와,
    상기 테이퍼부보다도 기단(基端)측의 위치로부터 개시되어, 당해 움직임 방지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리브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크러쉬 리브를 구비하고,
    각 크러쉬 리브는, 상기 움직임 방지핀의 기단(基端)측으로 진행됨에 따라 외측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움직임 방지핀이 삽입되는 삽입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방지핀은, 위치 결정핀 및 회전 규제핀이며,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위치 결정핀이 삽입되는 위치 결정구멍과,
    상기 회전 규제핀이 삽입되는 회전 규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 규제구멍은, 당해 회전 규제구멍과 상기 위치 결정구멍을 연결하는 직선을 따라 긴 장공(長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벽면에는, 상기 움직임 방지핀의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회로 기판에 접촉하는 기판 고정 리브가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벽면에는, 상기 기판 고정 리브의 사이에 휨 방지 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움직임 방지핀의 길이 방향에서, 휨 방지 리브의 선단측의 단부는, 상기 기판 고정 리브의 선단측의 단부보다도 기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션트 저항을 상기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기판 접속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기판 수용 공간과 상기 션트 저항의 사이를 구분하는 구분벽이 형성되고,
    상기 구분벽에는, 상기 기판 접속 단자를 통과시키는 단자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 통과구멍에 밀봉재가 충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벽에는, 오목부로서 형성된 충전량 확인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충전량 확인부는, 상기 단자 통과구멍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단자 통과구멍보다도 얕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통과구멍은, 그 테두리부의 윤곽 형상이 모따기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12. 전류를 검출하는 회로 기판과,
    상기 회로 기판을 수용하는 기판 수용 공간이 형성됨과 함께, 당해 기판 수용 공간의 일측이 개방된 개방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방구를 막는 덮개부를 구비한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덮개부의 한쪽에 형성되는 테이퍼면과,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덮개부의 다른 한쪽에 형성되어 상기 테이퍼면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덮개부를 초음파 용착하는 용착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어 있고,
    당해 케이스에는, 상기 접촉부의 내측에 있어서, 내향(內向)의 제1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테이퍼면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어 있고,
    당해 덮개부에는, 상기 테이퍼면의 내측에 있어서, 외향(外向)의 제2 벽면이 형성되고,
    상기 용착 공정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면 및 상기 접촉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벽면 및 제2 벽면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극(gap)이 형성되며,
    상기 간극의 단부가, 상기 케이스 또는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어 있는 버 받이부와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착 공정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주 벽면을 따라 변형 방지 지그를 배치한 후에, 상기 초음파 용착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의 제조 방법.
  14. 삭제
KR1020157004950A 2013-06-20 2014-05-28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56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29728 2013-06-20
JP2013129732 2013-06-20
JPJP-P-2013-129732 2013-06-20
JP2013129728 2013-06-20
PCT/JP2014/002818 WO2014203465A1 (ja) 2013-06-20 2014-05-28 バッテリー状態検知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629A KR20160023629A (ko) 2016-03-03
KR102156579B1 true KR102156579B1 (ko) 2020-09-16

Family

ID=5210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950A KR102156579B1 (ko) 2013-06-20 2014-05-28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82542B2 (ko)
EP (2) EP3012640B1 (ko)
JP (1) JP6479472B2 (ko)
KR (1) KR102156579B1 (ko)
CN (1) CN104583783B (ko)
WO (1) WO20142034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1247A (ja) * 2015-03-04 2016-09-05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グロープラグ
CN105365922B (zh) * 2015-11-25 2018-04-27 蒙城瑞玛电动车有限公司 一种电动车防盗电池组
DE102016204942A1 (de) * 2016-03-24 2017-11-1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Deckel für ein Gehäuse, Batteriesens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Batteriesensors
JP6910762B2 (ja) 2016-06-27 2021-07-28 Koa株式会社 電流測定装置
CN110999020B (zh) * 2017-06-05 2023-10-31 Cps科技控股有限公司 电池分流实施系统和方法
JP6951877B2 (ja) * 2017-06-15 2021-10-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状態検知センサ及び被覆電線の接続方法
JP7288314B2 (ja) * 2018-03-08 2023-06-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ャント構造体、電流検出装置、電流検出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流検出装置の取付方法
US10622752B2 (en) * 2018-05-31 2020-04-14 Apple Inc. Ultrasonic weld joint with integral flash trap
DE112018007828T5 (de) * 2018-07-12 2021-03-25 HELLA GmbH & Co. KGaA Elektrische Sensoranordnung, umfassend ein Shuntwiderstandselement
JP7288315B2 (ja) * 2019-03-08 2023-06-0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シャント構造体及び電流検出装置
JP7112983B2 (ja) * 2019-04-09 2022-08-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状態検知装置
CN113632292A (zh) * 2019-04-09 2021-11-09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电池状态检测装置
JP7112984B2 (ja) * 2019-04-11 2022-08-0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状態検知装置
JP7230724B2 (ja) * 2019-07-25 2023-03-0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ユニット
JP7366781B2 (ja) * 2020-02-03 2023-10-23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基板固定具および電流検知装置
JP7480990B2 (ja) 2020-06-18 2024-05-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KR20220057245A (ko) * 2020-10-29 2022-05-09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전극판 자동공급장치
CN114295991B (zh) * 2022-01-05 2022-07-08 深圳市智佳能自动化有限公司 一种用于锂电池的自动化测试装置
FR3135529B1 (fr) * 2022-05-10 2024-04-19 Vitesco Technologies Capteur de courant haute intensité, notamment pour batterie de véhicule automobile électrique ou hybrid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2257A (ja) * 2006-09-28 2008-04-10 Daikyo Nishikawa Kk オイルストレーナ及びオイルストレーナの製造方法
JP2008519250A (ja) * 2004-11-03 2008-06-05 レオポルト・コスタール・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自動車用バッテリー電流センサー
JP2012075277A (ja) * 2010-09-29 2012-04-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箱
JP2012215452A (ja) * 2011-03-31 2012-11-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ャント抵抗器の接続端子、及びバッテリー状態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274Y2 (ja) 1992-10-22 1995-09-06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ボックスの組立構造
JPH0968343A (ja) 1995-08-30 1997-03-11 Yamatake Honeywell Co Ltd 電気機器のハウジング構造
CN1178314C (zh) * 1996-07-09 2004-12-0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可充电电池及可充电电池用安装封口板
US6524739B1 (en) * 1998-08-25 2003-02-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econdary battery
DE10256254B4 (de) * 2002-12-03 2021-07-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Verschweißen
US20050047100A1 (en) * 2003-09-02 2005-03-03 Doo-Young Kim Plasma display device and standoff of chassis base therefor
JP4626184B2 (ja) * 2004-05-26 2011-02-02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鉛蓄電池
US20070244471A1 (en) 2005-10-21 2007-10-18 Don Malackowski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operation of a battery powered surgical tool and the battery used to power the tool
CN101501886B (zh) * 2006-08-04 2012-05-16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铅蓄电池
DE102006038373A1 (de) 2006-08-12 2008-02-14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Vorrichtung
CN101862562B (zh) * 2006-09-28 2012-10-31 大协西川株式会社 过滤器以及机油集滤器
JP4677970B2 (ja) * 2006-10-11 2011-04-2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池状態判定装置および自動車用鉛電池
DE102008060668A1 (de) 2008-12-08 2010-06-10 Auto-Kabel Managementgesellschaft Mbh Batteriemessklemme
JP2011117853A (ja) 2009-12-04 2011-06-16 Denso Corp 電流検出装置
JP5582844B2 (ja) 2010-03-30 2014-09-0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ー状態検知センサ
DE102010044909A1 (de) * 2010-09-09 2012-03-15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chaltungsgehäuse mit einer darin über Positionierelemente positionierten Leiterplat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9250A (ja) * 2004-11-03 2008-06-05 レオポルト・コスタール・ゲゼルシヤフト・ミ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ウント・コンパニー・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ヤフト 自動車用バッテリー電流センサー
JP2008082257A (ja) * 2006-09-28 2008-04-10 Daikyo Nishikawa Kk オイルストレーナ及びオイルストレーナの製造方法
JP2012075277A (ja) * 2010-09-29 2012-04-1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箱
JP2012215452A (ja) * 2011-03-31 2012-11-08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ャント抵抗器の接続端子、及びバッテリー状態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82542B2 (en) 2018-09-25
EP3588116A3 (en) 2020-04-08
JPWO2014203465A1 (ja) 2017-02-23
CN104583783A (zh) 2015-04-29
JP6479472B2 (ja) 2019-03-06
KR20160023629A (ko) 2016-03-03
EP3012640B1 (en) 2019-10-02
EP3012640A1 (en) 2016-04-27
WO2014203465A1 (ja) 2014-12-24
US20160139209A1 (en) 2016-05-19
CN104583783B (zh) 2018-09-11
EP3012640A4 (en) 2017-05-31
EP3588116B1 (en) 2021-07-21
EP3588116A2 (en) 2020-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6579B1 (ko)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7084617B2 (en) Electric current sensor having magnetic gap
US20120306484A1 (en) Magnetic detection apparatus
EP2894695A2 (en) A battery cell connecting board
KR101570222B1 (ko) 커넥터 하우징을 구비하는 자동차용 제어 장치
US20120276759A1 (en) Electronic controller
US8870599B2 (en) Connector with electric component
KR102021220B1 (ko) 배터리 상태 검지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90170499A1 (en) Position detection device
US8218297B2 (en) Electronic circuit device
EP3578997A1 (en) Current sensor
JP5123710B2 (ja) 回転検出装置および回転検出装置の製造方法
US20140102225A1 (en) Sensor device
JP6366071B2 (ja) 電子装置
JP2008215959A (ja) 水道メータ用無線機
KR102376123B1 (ko) 센서 구성 요소, 센서 구성 요소를 위한 사전 조립 장치, 및 센서 구성 요소를 제조하는 방법
JP5522110B2 (ja) ターミナル構造
JP6851803B2 (ja) バッテリー状態検知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204511A (ja) ソナーユニット
CN111668638B (zh) 电子元件模块及其连接器壳体
KR101727559B1 (ko) 충격감지장치
KR102632070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668510B1 (ko) 밀봉형 전기 와이어 하네스
JP4783166B2 (ja) 電気回路装置
KR101334851B1 (ko) 스피드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