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978B1 - 연결구 - Google Patents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978B1
KR102155978B1 KR1020197023125A KR20197023125A KR102155978B1 KR 102155978 B1 KR102155978 B1 KR 102155978B1 KR 1020197023125 A KR1020197023125 A KR 1020197023125A KR 20197023125 A KR20197023125 A KR 20197023125A KR 102155978 B1 KR102155978 B1 KR 102155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member
flange portion
buffer
connector
co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7062A (ko
Inventor
다다카쓰 가토
사카에 미시나
게이이치 요시노
고키 에나미
Original Assignee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7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7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02B77/13Acoustic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67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 F01N13/10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having thermal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11Thermal or acoustic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0Spiral springs with turns lying substantially in plane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32Belleville-type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16F3/04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composed only of 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2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heat or sound protection, e.g. using a shield or specially shaped outer surface of exhaus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0/00Purpose; Design features
    • F16F2230/0005Attachment, e.g. to facilitate mounting onto confer adjustability

Abstract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2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칼라 부재와,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원통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에 의한,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의 변형을 줄여, 중간 부분의 튀어나옴이 없고, 또한, 차폐체가 진동해도, 결합 부재가 진동체에 충돌하기 어려운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구
본 발명은, 진동체와, 진동체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차폐체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엔진에 부설되는 배기 매니폴드, 터보 차저, 열교환 부품, 회전 전기 기기 등은, 그 자체가 진동하거나, 또는 엔진의 영향을 받아 진동하는 진동체이다. 이러한 진동체에는, 다양한 부품이 장착되어 있다. 장착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배기 매니폴드 커버, 히트 인슐레이터 등의 차폐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차폐체는, 일반적으로, 대향하는 2장의 금속판을 구비하며, 진동체로부터 발생되는 열, 소리 등의 물리 에너지가, 엔진 주위의 다른 부품이나 차 바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차폐체는, 진동체로부터의 진동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받아, 파손되거나 이음(異音)을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부터, 이러한 진동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진동체와 차폐체의 연결 부분에 방진 구조를 구비하는 연결구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칼라 부재와 접속 대상 부재의 사이에,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를 개재시키는 연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1-64194호 공보
그러나, 인용문헌 1에는, 사용을 계속하면, 완충 부재인 소용돌이형의 선재의 중간 부분이, 축 방향으로 튀어나옴으로써, 중간 부분이 칼라 부재, 결합 부재를 넘은 상태로 유지되어, 본래의 목표로 한 방진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나, 사용을 계속하는 것에 의한 완충 부재의 변형에 의해, 차폐체나 결합 부재가 진동원과 접촉하여, 부품이 파손되어 버리거나, 이음이 발생되어 버린다는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또, 진동체가 진동함으로써, 차폐체가 진동했을 때에, 연결구 중, 차폐체를 고정하고 있는 결합 부재가, 진동체에 반복하여 충돌해서, 그 부분이 파손된다는 문제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사용에 의한,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의 변형을 줄여, 중간 부분의 튀어나옴이 없고, 또한, 차폐체가 진동해도, 결합 부재가 진동체에 충돌하기 어려운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이하의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
즉, 본 발명 (1)은, 진동원이 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차폐체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구로서,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겹치는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진동체에 상기 연결구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부재의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에 둘러싸이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2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칼라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와, 상기 차폐체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와,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연결하는 결합 부재 기부(基部)로 이루어지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원통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으며,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 (2)는, 진동원이 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차폐체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구로서,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겹치는 제2 완충 부재와,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측과는 반대측에서 제2 완충 부재와 겹치는 제3 완충 부재와,
상기 진동체에 상기 연결구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부재의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완충 부재,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3 완충 부재에 둘러싸이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2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칼라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부재,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3 완충 부재의 외경측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와, 상기 차폐체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와,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연결하는 결합 부재 기부로 이루어지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원통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1 완충 부재,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고,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3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3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에 의한,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완충 부재의 변형을 줄여, 중간 부분의 튀어나옴이 없고, 또한, 차폐체가 진동해도, 결합 부재가 진동체에 충돌하기 어려운 연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구가 이용되는 엔진 및 배기 매니폴드와 차폐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형태예의 연결구로 진동체와 차폐체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인 단면도(端面圖)이다.
도 3은, 도 2 중의 연결구(5)를 제작하기 위한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칼라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에 유지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 중의 연결구(5)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 중의 완충 부재가, 축 방향의 진동 성분에 의해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 중의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칼라 부재의 최하단 위치까지의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금속판의 펀칭에 의해 제1 완충 부재를 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다른 형태예를 나타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의 다른 형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형태예의 연결구를 나타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2 완충 부재의 형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형태예의 연결구를 나타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연결구에 대해, 도 1~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결구가 이용되는 엔진 및 배기 매니폴드와 차폐체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형태예의 연결구로 진동체와 차폐체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연결구(5)를 제작하기 위한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칼라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에 유지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A)는, 제1 유지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또, 도 5(B)는, 제2 유지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2 중의 연결구(5)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 중의 완충 부재가, 축 방향의 진동 성분에 의해 변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2 중의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칼라 부재의 최하단 위치까지의 거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엔진(1)의 배기측에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의 배출관을 하나로 모은 배기 매니폴드(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엔진(1) 및 배기 매니폴드(3)로부터는, 소리 및 열 등의 물리 에너지가 바깥을 향해 발생되므로, 이들 물리 에너지를 차폐하기 위한 차폐체(2)가, 엔진(1) 및 배기 매니폴드(3)에 부착된다.
차폐체(2)는, 통상,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용 볼트(4)로, 엔진(1) 또는 배기 매니폴드(3)의 소정 개소에 부착된다. 이 때, 엔진(1) 또는 배기 매니폴드(3)로부터 차폐체(2)로의 진동의 전달을 막기 위해, 엔진(1) 또는 배기 매니폴드(3)에, 차폐체(2)가 고정용 볼트(4)로 부착되는 부분, 즉, 진동체와 차폐체의 연결 부분에, 본 발명의 연결구가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연결구는, 진동체와, 판형상의 차폐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구(5)에는 차폐체(2)가 고정되고, 차폐체(2)가 고정되어 있는 연결구(5)가, 고정 부재인 고정용 볼트(4)에 의해, 진동체인 엔진(1) 또는 배기 매니폴드(3)에 부착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구(5)는, 칼라용 제1 부재(11)와,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와,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13)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의 금속 메시재 또는 스프링 강재로 이루어지는 제2 완충 부재(14)와, 칼라용 제2 부재(15)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도 2 중, 연결구(5)에서는, 완충 부재로서,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13)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의 금속 메시재 또는 스프링 강재로 이루어지는 제2 완충 부재(14)가 서로 겹쳐, 반경 방향에서, 칼라 부재(20)와 결합 부재(1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는,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은,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를 둘러싸고 있다. 또,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은,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21)와 제2 플랜지부(22) 사이에 끼어 있다.
칼라 부재(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라용 제1 부재(11)와, 칼라용 제2 부재(15)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칼라용 제1 부재(11)는, 칼라용 제1 부재(11)의 원통부(111)와, 원통부(111)의 단부로부터 바깥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1)로 이루어지며, 또, 칼라용 제2 부재(15)는, 칼라용 제2 부재(15)의 원통부(151)와, 원통부(151)의 단부로부터 바깥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칼라용 제1 부재(11)의 원통부(111)가, 칼라용 제2 부재(15)의 원통부(151)의 내측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칼라 부재(20)가 된다. 이 때, 칼라 부재(20)에서는, 칼라용 제1 부재(11)의 돌출부(21)와, 칼라용 제2 부재(15)의 돌출부(22)는,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어, 칼라용 제1 부재(11)의 돌출부(21)가 칼라 부재(20)의 제1 플랜지부(21)가 되고, 또, 칼라용 제2 부재(15)의 돌출부(22)가 칼라 부재(20)의 제2 플랜지부(22)가 된다. 또, 칼라용 제1 부재(11)의 원통부(111) 및 칼라용 제2 부재(15)의 원통부(151)가,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가 되고, 원통부(19)의 내측이, 고정용 볼트의 삽입통과구멍(17)이 된다.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외경측은, 결합 부재(12)의 제1 유지부(124)로, 결합 부재(12)에 유지되어 있다. 결합 부재(12)의 제1 유지부(124)는,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에, 유지부를 형성하는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의 제1 유지부(124)의 형성측의 내측에,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를 배치시킨 후, 제1 유지부 형성측의 원통형의 굽힘 단부(121)의 전체를 내측으로 굽히는 가공을 행하여, 결합 부재 기부(123)와 굽힘 단부(121) 사이에,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외경측을 끼워넣게 한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12)의 제1 유지부(124)가 형성되며,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외경측이, 결합 부재(12)에 유지된다.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외경측은, 진동 시에, 결합 부재(12)의 제1 유지부(124)로부터 벗어나 버리지 않도록, 제1 유지부(124)에 유지되어 있다.
차폐체(2)는, 결합 부재(12)의 제2 유지부(125)로, 결합 부재(12)에 유지되어 있다. 결합 부재(12)의 제2 유지부(125)는,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에, 유지부를 형성하는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의 제2 유지부(125)의 형성측의 외측에, 차폐체(2)를 배치시킨 후, 제2 유지부 형성측의 원통형의 굽힘 단부(122) 전체를 외측으로 굽히는 가공을 행하여, 결합 부재 기부(123)와 굽힘 단부(122) 사이에, 차폐체(2)의 내경측을 끼워넣게 한다. 이에 따라, 결합 부재(12)의 제2 유지부(125)가 형성되며, 차폐체(2)가, 결합 부재(12)의 제2 유지부(125)에 유지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구(5)에는, 반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와,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 사이에, 간극(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극(16)은, 제2 완충 부재(14)의 반경 방향(23)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간극이다.
연결구(5)에서는, 칼라 부재로부터 완충 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은, 반경 방향(23)의 진동 성분과, 축 방향(24)의 진동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축 방향(24)의 진동 성분에 대해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완충 부재(13)와 제2 완충 부재(14)가 모두, 축 방향(24)으로 만곡됨으로써, 축 방향의 진동 성분을 흡수한다. 이 때, 연결 부재(12)의 하단(36)은 상하로 진동한다. 또, 반경 방향(23)의 진동 성분에 대해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완충 부재(13)가, 선재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거나 하는 탄성 변형을 반복함으로써, 제1 완충 부재(13)가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을 흡수한다. 이러한 것에 의해, 연결구(5)에서는, 칼라 부재로부터의 진동이 완충되어, 차폐체(2)의 방진이 이루어진다. 이 때, 제2 완충 부재(14)의 외경측은, 제1 완충 부재(13)의 외경측과 함께, 결합 부재(12)의 제1 유지부(124)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은,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게, 제1 플랜지부(21)와 제2 플랜지부(22) 사이에 끼어 있으므로, 칼라 부재로부터의 진동에 의해, 제1 완충 부재(13)가, 선재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거나 하는 탄성 변형을 반복하면, 제2 완충 부재(14)는,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에 내경측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는, 반경 방향의 이동을 반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완충 부재(14)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은,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와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 사이의 반경 방향의 간극(16)이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가능해진다.
연결구(5)에서는,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은, 상술한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에 의해,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는,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칼라 부재(20)의 제1 플랜지부(21)와 제2 플랜지부(22) 사이에 끼어 있다. 또한, 칼라 부재(20)의 제1 플랜지부(21)와 제2 플랜지부(22) 사이에,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을 끼워넣는 힘이 너무 강하면, 제1 완충 부재(13)의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도, 제2 완충 부재(14)의 반경 방향의 이동도 불가능해진다. 또,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과, 제1 플랜지부(21) 및 제2 플랜지부(22) 사이에는, 상술한 제1 완충 부재(13)의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 및 제2 완충 부재(14)의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할 정도로, 간극을 두고 있어도 되지만, 간극이 너무 크면,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이, 제1 플랜지부(21) 및 제2 플랜지부(22)의 사이로부터 벗어나 버린다.
또, 연결구(5)에서는, 제2 완충 부재(14)의 반경 방향의 이동을 반복했을 때에,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20)의 제1 플랜지부(21)와 제2 플랜지부(22)의 사이로부터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반경 방향의 간극(16)의 크기가 조절되어 있다. 환언하면, 연결구(5)에서는,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20)의 제1 플랜지부(21)와 제2 플랜지부(22)의 사이로부터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과,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의 외경과, 제1 플랜지부(21) 및 제2 플랜지부(22)의 돌출 길이가 조절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연결구(5)에서는, 칼라 부재(20)로부터 완충 부재로 전달된 진동이 완충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완충 부재(13)의 편면측에, 평판형상의 제2 완충 부재(14)가 존재하여, 진동 시에는, 제2 완충 부재(14)의 편면측을 따라, 제1 완충 부재(13)의 선재의 중간 부분(131a, 131b)이 슬라이딩되므로, 제1 완충 부재(13)의 선재의 중간 부분(131a, 131b)이, 축 방향(24)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형상의 제2 완충 부재(14)와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 사이에는 간극(16)이 존재하며, 또한, 진동 시에,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를 향해 이동하는 제2 완충 부재(14)를,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13)가 탄성 변형되어 받아내게 되므로,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에 강하게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칼라 부재로부터의 진동으로,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20)의 원통부(19)에 반복하여 강하게 충돌해서 생기는 「덜컹거리는 소리」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 연결구(5)에서는, 축 방향(24)으로 보았을 때에, 제2 플랜지부(22)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221)의 위치(223)로부터 칼라 부재(15)의 최하단의 위치(222)까지의 거리(38)(도 10)가, 제1 플랜지부(21)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224)의 위치(225)로부터 제2 플랜지부(22)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221)의 위치(223)까지의 거리(37)(도 9)보다 길기 때문에, 축 방향(24)의 진동 성분에 의해, 제1 완충 부재(13)와 제2 완충 부재(14)가 축 방향(24)으로 만곡되어, 연결 부재(12)의 하단(36)이 상하로 진동했을 때에, 연결 부재(12)의 하단(36)이 진동체인 배기 매니폴드(3)에 충돌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는, 진동원이 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차폐체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구로서,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겹치는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진동체에 상기 연결구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부재의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에 둘러싸이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2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칼라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와, 상기 차폐체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와,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연결하는 결합 부재 기부로 이루어지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원통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으며,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하란, 연결구를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1 플랜지부측이 위, 제2 플랜지부측이 아래이며, 환언하면, 차폐체측이 위이며, 진동체측이 아래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는, 진동원이 되는 진동체와, 진동체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차폐체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구이다. 즉, 진동체와 차폐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체이다. 진동원이 되는 진동체는, 엔진, 트랜스미션, 엔진에 부설되는 배기 매니폴드, 터보 차저, 열교환 부품, 회전 전기 기기 등이다. 또, 진동체에 부착되는 차폐체는, 진동원 또는 그 근방의 부품에서 발생되는 열, 소리 등의 물리 에너지가, 엔진 주위의 다른 부품이나 차 바깥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폐하는 부품이다. 차폐체는, 통상, 대향하는 2장의 금속판을 구비하고, 단열 또는 차음의 요구에 맞추어, 금속판을 2장으로 하거나, 제진재나 흡음재를 시공하거나 한다. 그리고, 차폐체가 유지되어 있는 본 발명의 연결구의 고정 부재의 삽입통과구멍에, 고정용 볼트 등의 고정 부재가 삽입통과되어, 고정 부재로, 차폐체가 유지되어 있는 본 발명의 연결구가 진동체에 고정됨으로써, 진동체에 차폐체가 부착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는,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제2 완충 부재와, 칼라 부재와, 결합 부재로 이루어진다.
제1 완충 부재는,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진다. 제1 완충 부재의 소용돌이는,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전체가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 감겨져 있다. 따라서, 제1 완충 부재의 감김 형상은, 소용돌이가 바깥을 향함에 따라 감겨지는 위치가 서서히 변화하는, 소위, 나선 소용돌이형은 아니다. 단, 제1 완충 부재의 모든 소용돌이 부분이, 축 방향으로, 완전히 동일 위치에서 감겨져 있을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소, 축 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개소가 있어도 된다. 제1 완충 부재의 소용돌이의 방향은, 우측으로 감겨도, 좌측으로 감겨도 된다. 제1 완충 부재의 소용돌이는, 내경측으로부터 외경측까지, 일정한 변화율로 곡률 반경이 변화되고 있어도 되고, 혹은, 내경측으로부터 외경측까지에서, 곡률 반경의 변화율이 다른 부분이 있어도 된다. 제1 완충 부재 중의 반경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선재끼리의 간격은 모두 일정해도 되고, 혹은, 제1 완충 부재 중의 반경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는 선재끼리의 간격에 다른 부분이 있어도 된다.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재질로서는, 경강선, 스테인리스 강선, 피아노선, 스프링 강재 등을 들 수 있으며, 내열성, 방진성, 부식성이 높아지는 점에서, 스테인리스 강선이 바람직하다.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을 들 수 있다.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굵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8~1.2mm이다.
제1 완충 부재의 제작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개의 긴 선재를 소정의 소용돌이형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이나, 도 11(A)에 나타낸 점선의 위치에서, 금속판(30)을 펀칭하여,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용돌이형의 금속판의 펀칭체인 제1 완충 부재(13b)로 성형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판을 펀칭하여 소용돌이형상의 제1 완충 부재로 성형하는 방법에서는, 제1 완충 부재의 모든 소용돌이 부분이, 축 방향으로 동일 위치에서 감겨지도록 하기 쉽게 할 수 있는 점, 및 선재를 소용돌이형으로 성형하는 경우에 비해, 소용돌이형상으로의 성형이 용이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2 완충 부재는,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의 형상이다. 또, 제2 완충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다. 제2 완충 부재의 재료 및 두께는,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완충 부재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 메시재, 스프링 강재 등의 금속 판재, 몰드 가공이나 펠트 가공 등을 실시한 무기 섬유재 등을 들 수 있으며, 스프링 강재로 이루어지는 금속 판재가 바람직하다. 또, 제2 완충 부재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2.0이다. 제2 완충 부재로서는, 도 15에 나타낸 형태예와 같이, 금속 판재,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강재로 이루어지는 금속 판재가, 대략 환상의 윤곽, 또한, 대략 원호형상의 장공부(長穴部)(141)가 형성되어 있는 형상으로 펀칭 가공된 제2 완충 부재(14a)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는 서로 겹쳐, 반경 방향에서, 칼라 부재와 결합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진동체측에 제1 완충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진동체측에 제2 완충 부재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제1 완충 부재는 선재로 이루어지므로, 열의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진동체측에 제2 완충 부재가 배치되어 있는 것이, 제1 완충 부재가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는, 칼라 부재의 원통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은, 칼라 부재의 원통부를 둘러싸고 있다. 또,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은,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다. 즉, 제1 플랜지부는, 축 방향에서, 제1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대향하며, 또한, 제2 플랜지부는, 축 방향에서,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대향한다.
칼라 부재는, 원통부와, 원통부의 양측에, 반경 방향의 바깥을 향해 돌출되는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를 갖는다. 또, 칼라 부재는, 반경 방향의 중심부, 즉, 원통부의 내측에, 고정 부재의 삽입통과구멍을 갖는다. 칼라 부재에서는,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칼라 부재의 제2 플랜지부는,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축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끼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형태예의 칼라 부재에서는, 원통부는,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1 플랜지부측으로부터 제2 플랜지부측까지가, 동일한 외경의 원통부이다. 원통부의 다른 형태로서는, 도 12에 나타낸 형태예의 칼라 부재와 같이,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1 플랜지부(21c)측의 원통부(19c1)의 외경이 작고, 제2 플랜지부(22c)측의 원통부(19c2)의 외경이 큰 원통부(19c)를 들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형태예에서는, 제1 플랜지부(21c)와, 제1 플랜지부측의 외경이 작은 쪽의 원통부(19c1)의 외경측과, 제2 플랜지부측의 외경이 큰 쪽의 원통부(19c2)의 제1 플랜지부(21c)에 대향하는 면으로, 제1 완충 부재(13)의 최내경측의 선재(131c)의 유지부가 형성되며, 이 유지부에, 제1 완충 부재(13)의 최내경측의 선재(131c)가 유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완충 부재(13)의 최내경측의 선재(131c)가, 제1 플랜지부(21c)와, 제2 플랜지부측의 외경이 큰 쪽의 원통부(19c2)의 제1 플랜지부(21c)에 대향하는 면에 의해, 강하게 끼어넣어져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낸 형태예에서는,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과 제2 플랜지부측의 외경이 큰 쪽의 원통부(19c2)의 사이에 간극(16c)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2에 나타낸 형태예에서는, 제2 완충 부재(14)가, 반경 방향의 진동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도록, 제1 완충 부재(13) 및 제2 완충 부재(14)의 내경측은,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21c)와 제2 플랜지부(22c) 사이에 끼어 있다.
결합 부재는,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와, 차폐체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와, 제1 유지부와 제2 유지부를 연결하는 결합 부재 기부로 이루어진다.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은, 결합 부재의 제1 유지부로, 결합 부재에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은, 진동 시에, 결합 부재의 제1 유지부로부터 벗어나 버리지 않도록, 결합 부재의 제1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다.
차폐체는, 결합 부재의 제2 유지부로, 결합 부재에 유지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형태예에서는, 결합 부재는, 제1 유지부 형성측의 원통형상의 굽힘 단부 전체가 내측으로 굽혀지는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제1 유지부가 형성되고, 제2 유지부 형성측의 원통형상의 굽힘 단부 전체가 외측으로 굽혀지는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제2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의 결합 부재 기부가, 제1 유지부와 제2 유지부에 연속되어 있다. 결합 부재의 다른 형태로서는, 도 13에 나타낸 형태예와 같이,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의 결합 부재 기부(123d)와, 결합 부재 기부(123d)의 외경측에 형성되며, 결합 부재 기부(123d)의 한쪽의 면(126d)측으로 굽혀지는 굽힘부(25)와, 결합 부재 기부(123d)의 내경측에 형성되며, 결합 부재 기부(123d)의 다른 쪽의 면(127d)측으로 굽혀지는 굽힘부(26)로 이루어지는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c)의 굽힘부(25 및 26)를 굽혀 형성되는 결합 부재를 들 수 있다. 도 13 중의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c)에서는, 결합 부재 기부의 한쪽의 면(126d)에,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이 배치되며, 굽힘부(25)가 내측을 향해 굽혀져, 결합 부재 기부의 한쪽의 면(126d)과 굽힘부(25) 사이에,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을 끼워넣어 유지함으로써, 연결 부재의 제1 유지부가 형성된다. 또,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c)에서는, 결합 부재 기부의 다른 쪽의 면(127d)에 차폐체가 배치되고, 굽힘부(26)가 외측을 향해 굽혀져, 결합 부재 기부의 다른 쪽의 면(127d)과 굽힘부(26) 사이에, 차폐체를 끼워넣어 유지함으로써, 연결 부재의 제2 유지부가 형성된다. 도 14 중의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c)의 굽힘부를 굽혀 형성되는 결합 부재에서는, 굽힘부(25 또는 26)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유지부가 형성되고, 그 부분에서,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과 차폐체의 내경측이 유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과 차폐체가 결합 부재에 유지되는 것이면, 제1 유지부 및 제2 유지부는, 결합 부재의 둘레 방향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결합 부재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며, 환언하면,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이 전체 둘레에 걸쳐 제1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어도 되고, 차폐체의 내경측이 전체 둘레에 걸쳐 제2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어도 되며, 혹은,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의 전체 둘레 중 일부가 제1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어도 되고, 차폐체의 내경측의 전체 둘레 중 일부가 제2 유지부에 유지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3 중, (A)는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d)의 사시도이며, (B)는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d)를 아래에서 본 도면이고, (C)는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120d)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 있어서, 결합 부재에 있어서의 제1 유지부와 제2 유지부의 형성 위치에 대해서 말하자면, 도 2에 나타낸 형태예에서는, 결합 부재의 제2 유지부가, 결합 부재의 제1 유지부에 대해, 축 방향에서, 진동체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지만, 즉, 축 방향으로, 진동체→제1 유지부→결합 부재 기부→제2 유지부의 순서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결합 부재의 제2 유지부가, 결합 부재의 제1 유지부에 대해, 축 방향에서, 진동체에 가까워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 즉, 축 방향으로, 진동체→제2 유지부→결합 부재 기부→제1 유지부의 순서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다른 형태로서는, 결합 부재의 제2 유지부가, 결합 부재의 제1 유지부에 대해, 반경 방향에서,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 즉, 반경 방향에서, 결합 부재 기부의 내측에 제1 유지부가 형성되고, 결합 부재 기부의 외측에 제2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는, 반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칼라 부재의 원통부와,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와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 사이의 간극은, 반경 방향의 진동에 의해,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극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진동체로부터 칼라 부재에 전달된 진동은, 칼라 부재로부터 완충 부재에 전달되면,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에 의해 완충되어, 차폐체의 방진이 이루어진다. 이 칼라 부재로부터 완충 부재에 전달되는 진동은,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과, 축 방향의 진동 성분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축 방향의 진동 성분에 대해서는,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가 모두, 축 방향으로 만곡됨으로써,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가, 축 방향의 진동 성분을 흡수한다. 또,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에 대해서는, 반경 방향으로,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거나 하는 탄성 변형을 반복함으로써, 제1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차폐체의 방진이 이루어진다. 이 때,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은, 제1 완충 부재의 외경측과 함께, 결합 부재의 제1 유지부 내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은,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으므로, 반경 방향으로, 제1 완충 부재가,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거나 하는 탄성 변형을 반복하면, 제2 완충 부재는,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가까워지거나, 칼라 부재의 원통부로부터 멀어지거나 하는, 반경 방향의 이동을 반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은, 칼라 부재의 원통부와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 사이의 반경 방향의 간극이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가능해진다. 또한, 실제의 진동은, 다양한 방향을 향하는, 축 방향의 진동 성분과 반경 방향의 합력이므로, 실제로는,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 및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과,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축 방향의 만곡이 복합적으로 동시에 일어난다. 또, 제2 완충 부재와 원통부의 간극이, 제1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의 선재의 폭보다 큰 형태에 있어서는, 칼라 부재로부터 완충 부재에 전달되는 진동이 작을 때는, 도 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제1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의 선재와 제1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로부터 2번째의 선재의 사이에 들어가, 제1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로부터 2번째의 선재가, 제1 플랜지부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제2 완충 부재가 기울어짐과 더불어, 제1 완충 부재가 변형됨으로써, 제1 완충 부재가, 축 방향의 진동 성분을 흡수한다. 또,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에 대해서는, 반경 방향으로,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거나 하는 탄성 변형을 반복함으로써, 제1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을 흡수한다. 즉, 제2 완충 부재와 원통부의 간극이, 제1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의 선재의 폭보다 큰 형태에 있어서는, 칼라 부재로부터 완충 부재에 전달되는 진동이 작을 때는, 제2 완충 부재는 거의 변형되지 않고, 오로지 제1 완충 부재가 변형됨으로써, 차폐체의 방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완충 부재와 원통부의 간극이, 제1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의 선재의 폭보다 큰 형태에 있어서는, 칼라 부재로부터 완충 부재에 전달되는 진동이 커지면, 축 방향의 진동 성분에 대해서는, 도 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가 모두, 축 방향으로 만곡됨으로써,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가, 축 방향의 진동 성분을 흡수하고, 또,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에 대해서는, 반경 방향으로,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거나 하는 탄성 변형을 반복함으로써, 제1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을 흡수함으로써, 차폐체의 방진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은, 상술한 반경 방향의 진동에 의해,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가까워지거나, 칼라 부재의 원통부로부터 멀어지거나 하는,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다. 여기서,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강한 힘으로,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으면,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 또는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한편,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의 사이에, 너무 큰 간극이 있으면,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의 사이로부터 벗어나 버린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 및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이 가능할 정도의 작은 간극을 갖고,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거나, 혹은,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 및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이 가능해질 정도로,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에 접촉하여,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의 내경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의 외경의 차가,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 사이의 간극의 크기 이상이 되면, 반경 방향의 진동이 전달되었을 때에, 제1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전에,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충돌하므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는,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접촉하고 있거나, 혹은, 제1 완충 부재의 내경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의 외경의 차가,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 사이의 간극보다 작은 범위 또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에서, 제1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와, 칼라 부재의 원통부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의 사이로부터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 사이의 간극의 크기가 조절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연결구에서는,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의 사이로부터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제2 완충 부재의 내경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의 외경과,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의 반경 방향의 돌출 길이가 조절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칼라 부재로부터 완충 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이 완충된다. 그리고, 제1 완충 부재의 편면측에, 평판형상의 제2 완충 부재가 존재하여, 진동 시에는, 제2 완충 부재의 편면측을 따라,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중간 부분이 슬라이딩되므로,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중간 부분이,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평판형상의 제2 완충 부재와 칼라 부재의 원통부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며, 또한, 진동에 의해 칼라 부재의 원통부로 향하는 제2 완충 부재의 이동을,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받아내므로,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강하게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칼라 부재로부터의 진동으로,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반복하여 강하게 충돌해서 생기는 「덜컹거리는 소리」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이 때문에, 축 방향의 진동 성분에 의해,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가 축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결 부재의 하단이 상하로 진동했을 때에, 연결 부재의 하단이 진동체에 충돌하기 어렵다. 한편,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짧으면, 축 방향의 진동 성분에 의해,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가 축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결 부재의 하단이 상하로 진동했을 때에, 연결 부재의 하단이 진동체에 충돌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는, 진동원이 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차폐체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구로서,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겹치는 제2 완충 부재와,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측과는 반대측에서 제2 완충 부재와 겹치는 제3 완충 부재와,
상기 진동체에 상기 연결구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부재의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완충 부재,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3 완충 부재에 둘러싸이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2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칼라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부재,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3 완충 부재의 외경측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와, 상기 차폐체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와,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연결하는 결합 부재 기부로 이루어지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원통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1 완충 부재,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고,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3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3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와는, 제2 완충 부재에 겹치는 제3 완충 부재를 더 갖는 점이 다르지만, 그 외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와 동일하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하고,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는,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제2 완충 부재와.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3 완충 부재와, 칼라 부재와, 결합 부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구(39)는,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13)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제2 완충 부재(14)와,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3 완충 부재(35)와, 칼라 부재(20)와, 결합 부재(12)로 이루어진다. 연결구(39)에서는, 진동체측으로부터, 제3 완충 부재(35)→제2 완충 부재(14)→제1 완충 부재(13)의 순서로 겹쳐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 따른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 따른 제1 완충 부재 및 제2 완충 부재와 동일하다.
제3 완충 부재는, 제1 완충 부재측과는 반대측에서 제2 완충 부재와 겹치는 것 이외는, 제1 완충 부재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와 제3 완충 부재는, 이 순서로 서로 겹쳐, 반경 방향에서, 칼라 부재와 결합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와 제3 완충 부재에서, 재질, 선경, 단면 형상, 감김수, 둘레 길이 등을 바꿈으로써, 주로 흡수하는 진동의 주파수대를 변화시켜, 분포가 많은 주파수대를 효율적으로 방진하는 설계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내측에는, 칼라 부재의 원통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은, 칼라 부재의 원통부를 둘러싸고 있다. 또,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은,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다. 즉, 제1 플랜지부는, 축 방향에서, 제1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대향하고, 또, 제2 플랜지부는, 축 방향에서,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대향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 따른 칼라 부재 및 결합 부재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 따른 칼라 부재와는, 완충 부재가,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인 것 이외는,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구에 따른 칼라 부재 및 결합 부재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는, 반경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칼라 부재의 원통부와,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와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 사이의 간극은, 반경 방향의 진동에 의한,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간극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진동체로부터 칼라 부재로 전달된 진동은, 칼라 부재로부터 완충 부재에 전달되면,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에 의해 완충되어, 차폐체의 방진이 이루어진다. 축 방향의 진동 성분에 대해서는,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와 제3 완충 부재가 모두, 축 방향으로 만곡됨으로써,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가, 축 방향의 진동 성분을 흡수한다. 또,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에 대해서는, 반경 방향으로, 제1 완충 부재의 선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선재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거나 하는 탄성 변형을 반복함으로써,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의 진동 성분을 흡수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차폐체의 방진이 이루어진다. 이 때,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은,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외경측과 함께, 결합 부재의 제1 유지부 내에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은,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으므로, 반경 방향으로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가, 선재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지거나 하는 탄성 변형을 반복하면, 제2 완충 부재는,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가까워지거나, 칼라 부재의 원통부로부터 멀어지거나 하는, 반경 방향의 이동을 반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은, 칼라 부재의 원통부와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 사이의 반경 방향의 간극이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가능해진다. 또한, 실제의 진동은, 다양한 방향을 향하는, 축 방향의 진동 성분과 반경 방향의 합력이므로, 실제로는, 제1 완충 부재의 선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선재의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 및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과,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축 방향의 만곡이 복합적으로 동시에 일어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은, 반경 방향의 진동에 의해,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가까워지거나, 칼라 부재의 원통부로부터 멀어지거 하는,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다. 여기서,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강한 힘으로,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으면, 제1 완충 부재의 선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선재의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 또는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이 불가능해진다. 한편,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의 사이에, 너무 큰 간극이 있으면, 진동이 가해졌을 때에,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의 사이로부터 벗어나 버린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의 선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선재의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 및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이 가능할 정도의 작은 간극을 갖고,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거나, 혹은, 제1 완충 부재의 선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선재의 반경 방향의 탄성 변형 및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반복 이동이 가능해질 정도로,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에 접촉하여, 제1 완충 부재, 제2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내경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의 외경의 차가,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 사이의 간극의 크기 이상이 되면, 반경 방향의 진동이 전달되었을 때에,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기 전에,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에 의해,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충돌하므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는,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접촉하고 있거나, 혹은,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내경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의 외경의 차가,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 사이의 간극보다 작은 범위 또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에서,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와, 칼라 부재의 원통부의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의 사이로부터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 사이의 간극의 크기가 조절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제1 플랜지부와 제2 플랜지부의 사이로부터 바깥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제2 완충 부재의 내경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의 외경과, 제1 플랜지부 및 제2 플랜지부의 반경 방향의 돌출 길이가 조절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칼라 부재로부터 완충 부재로 전달되는 진동이 완충된다. 그리고,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편면측에, 평판형상의 제2 완충 부재가 존재하여, 진동 시에는, 제2 완충 부재의 편면측을 따라,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선재의 중간 부분이 슬라이딩되므로, 제1 완충 부재의 선재 및 제3 완충 부재의 선재의 중간 부분이, 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제1 완충 부재와 제3 완충 부재의 사이에 제2 완충 부재가 있으므로, 진동 시에,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와 제3 완충 부재의 선재의 중간 부분들이 엉키는 것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평판형상의 제2 완충 부재와 칼라 부재의 원통부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며, 또한, 진동에 의한 제2 완충 부재의 칼라 부재의 원통부로 향하는 이동을,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 및 제3 완충 부재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받아내게 되므로,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강하게 충돌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칼라 부재로부터의 진동으로,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칼라 부재의 원통부에 반복하여 강하게 충돌해서 생기는 「덜컹거리는 소리」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의 연결구에서는,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2 플랜지부의 제3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제2 플랜지부의 제3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이 때문에, 축 방향의 진동 성분에 의해,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와 제3 완충 부재가 축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결 부재의 하단이 상하로 진동했을 때에, 연결 부재의 하단이 진동체에 충돌하기 어렵다. 한편,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제2 플랜지부의 제3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제2 플랜지부의 제3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짧으면, 축 방향의 진동 성분에 의해, 제1 완충 부재와 제2 완충 부재와 제3 완충 부재가 축 방향으로 만곡되어, 연결 부재의 하단이 상하로 진동했을 때에, 연결 부재의 하단이 진동체에 충돌하기 쉬워진다.
1 : 엔진
2 : 차폐체
3 : 배기 매니폴드
4 : 고정 나사
5, 39 : 연결구
11, 11c : 칼라용 제1 부재
12, 12c, 12d : 결합 부재
13, 13b : 제1 완충 부재
14, 14a : 제2 완충 부재
15 : 칼라용 제2 부재
16, 16c :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과 칼라 부재의 원통부 사이의 간극
17 : 삽입통과구멍
19 : 칼라 부재의 원통부
19c1 : 제1 플랜지측의 원통부
19c2 : 제2 플랜지측의 원통부
20 : 칼라 부재
21, 21c : 제1 플랜지부
22, 22c : 제2 플랜지부
23 : 반경 방향
24 : 축 방향
25, 26 : 굽힙부
30 : 금속판
35 : 제3 완충 부재
36 : 연결 부재의 하단
37 :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
38 :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
111 : 칼라용 제1 부재의 원통부
120 : 유지부 형성 전의 결합 부재
121 : 제1 유지부 형성측의 굽힘 단부
122 : 제2 유지부 형성측의 굽힘 단부
123, 123d : 결합 부재 기부
124 : 제1 유지부
125 : 제2 유지부
126d : 결합 부재 기부의 한쪽의 면
127d : 결합 부재 기부의 다른 쪽의 면
131a, 131b : 제1 완충 부재의 선재의 중간 부분
131c : 제1 완충 부재의 최내경부
141 : 장공부
151 : 칼라용 제2 부재의 원통부
221 :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
222 :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
223 :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
224 :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
225 :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

Claims (3)

  1. 진동원이 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차폐체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구로서,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겹치는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진동체에 상기 연결구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부재의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에 둘러싸이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2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칼라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외경측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와, 상기 차폐체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와,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연결하는 결합 부재 기부(基部)로 이루어지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원통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1 완충 부재 및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으며,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2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2. 진동원이 되는 진동체와, 상기 진동체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차폐체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는 연결구로서,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는 제1 완충 부재와,
    대략 환상 또한 평판형상이며, 두께 방향으로 만곡 가능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와 겹치는 제2 완충 부재와,
    평면에서 볼 때 소용돌이형의 선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측과는 반대측에서 제2 완충 부재와 겹치는 제3 완충 부재와,
    상기 진동체에 상기 연결구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 부재의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 완충 부재,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3 완충 부재에 둘러싸이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에 대향하는 제2 플랜지부로 이루어지는 칼라 부재와,
    상기 제1 완충 부재,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3 완충 부재의 외경측을 유지하는 제1 유지부와, 상기 차폐체를 유지하는 제2 유지부와,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를 연결하는 결합 부재 기부로 이루어지는 결합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완충 부재와 상기 원통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완충 부재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완충 부재의 반경 방향의 이동이 가능해지도록, 상기 제1 완충 부재, 상기 제2 완충 부재 및 상기 제3 완충 부재의 내경측이, 상기 제1 플랜지부와 상기 제2 플랜지부 사이에 끼어 있고,
    축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3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칼라 부재의 최하단의 위치까지의 거리가, 상기 제1 플랜지부의 제1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로부터 상기 제2 플랜지부의 제3 완충 부재측의 면의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완충 부재가, 대략 환상 또한 평면형상의 금속 메시재 또는 스프링 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
KR1020197023125A 2017-02-01 2018-01-26 연결구 KR102155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16735A JP6434069B2 (ja) 2017-02-01 2017-02-01 連結具
JPJP-P-2017-016735 2017-02-01
PCT/JP2018/002407 WO2018143069A1 (ja) 2017-02-01 2018-01-26 連結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7062A KR20190107062A (ko) 2019-09-18
KR102155978B1 true KR102155978B1 (ko) 2020-09-14

Family

ID=6304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125A KR102155978B1 (ko) 2017-02-01 2018-01-26 연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18651B2 (ko)
EP (1) EP3578850B1 (ko)
JP (1) JP6434069B2 (ko)
KR (1) KR102155978B1 (ko)
CN (1) CN110234903B (ko)
WO (1) WO2018143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977B1 (ko) * 2020-02-06 2020-11-17 주식회사 한텍테크놀로지 방열커버 마모 방지 기능이 구비된 배기다기관 방열커버 결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496A (ja) 2003-06-02 2004-12-24 Sanwa Packing Kogyo Co Ltd 緩衝装置及び金属製カバー
JP2016121639A (ja) 2014-12-25 2016-07-07 三和パッキング工業株式会社 カバー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9117A (en) * 1982-08-10 1987-04-21 Iwk Regler Und Kompensatoren Gmbh Flexible coupling for pipes in exhaust systems of motor vehicles
JPH01312293A (ja) * 1988-06-10 1989-12-18 Ngk Insulators Ltd 防振継手
DE4317334C2 (de) * 1993-05-25 2003-09-25 Iwka Balg Und Kompensatoren Te Vorrichtung zum flexiblen Verbinden von Rohren in Abgasleitungen von Kraftfahrzeugen
US5653478A (en) * 1995-08-30 1997-08-05 Caterpillar Inc. Flexible coupling assembly
US5639127A (en) * 1995-12-08 1997-06-17 Senior Engineering Investments Ag Flexible coupler apparatus
US5984372A (en) 1997-04-10 1999-11-16 Senior Engineering Investments Ag Integrated flange-mesh ring assembly for decoupler apparatus
US6568715B2 (en) * 2001-05-17 2003-05-27 Senior Investments Ag Vibration decoupling exhaust connector
JP2004116442A (ja) * 2002-09-27 2004-04-15 Toyota Motor Corp 防振プレート、遮熱板の防振支持構造
US6921112B2 (en) * 2002-11-26 2005-07-26 Josif Atansoski Exhaust vibration decoupling connector
JP3944174B2 (ja) * 2004-02-18 2007-07-11 富士重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接続パイプ用カバー
KR101356007B1 (ko) * 2009-08-17 2014-01-28 산와 파킹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완충장치 및 금속제 커버
JP4901992B1 (ja) 2010-12-22 2012-03-21 三和パッキング工業株式会社 緩衝装置及び金属製カバー
JP2012149698A (ja) * 2011-01-19 2012-08-09 Sanwa Packing Kogyo Co Ltd カラー部材、緩衝装置並びに金属製カバー
DE202013007501U1 (de) * 2013-08-21 2014-09-25 Boa Balg- Und Kompensatoren-Technologie Gmbh Entkopplungselement
JP6370573B2 (ja) * 2014-03-17 2018-08-08 日本テクニカ株式会社 免震装置
JP6370723B2 (ja) 2015-01-30 2018-08-08 ニチアス株式会社 連結具及び遮蔽体
US11333216B2 (en) * 2015-10-09 2022-05-17 Nichias Corporation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496A (ja) 2003-06-02 2004-12-24 Sanwa Packing Kogyo Co Ltd 緩衝装置及び金属製カバー
JP2016121639A (ja) 2014-12-25 2016-07-07 三和パッキング工業株式会社 カバー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34903A (zh) 2019-09-13
EP3578850A1 (en) 2019-12-11
JP6434069B2 (ja) 2018-12-05
US20200003273A1 (en) 2020-01-02
CN110234903B (zh) 2020-06-16
WO2018143069A1 (ja) 2018-08-09
JP2018123895A (ja) 2018-08-09
EP3578850B1 (en) 2022-02-23
EP3578850A4 (en) 2020-12-16
US11118651B2 (en) 2021-09-14
KR20190107062A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5178B2 (ja) 連結具
KR100955757B1 (ko) 완충장치와 금속제 커버
KR102155978B1 (ko) 연결구
JP6087482B1 (ja) 連結具
CN107208733B (zh) 连结件和屏蔽体
KR20200096539A (ko) 완충 장치 및 금속 커버
KR20190008336A (ko) 충격 완화 가요성 파이프
JP3944174B2 (ja) 内燃機関接続パイプ用カバー
KR101737105B1 (ko) 진동흡수용 체결구 어셈블리
JP2019167934A (ja) 後処理装置
JP2010014278A (ja) 緩衝装置及び金属製カバー
JP7411472B2 (ja) 締結具、遮蔽ユニット
JP2010014278A5 (ko)
JP2018040256A (ja) 配管の振動吸収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