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910B1 -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910B1
KR102153910B1 KR1020190041504A KR20190041504A KR102153910B1 KR 102153910 B1 KR102153910 B1 KR 102153910B1 KR 1020190041504 A KR1020190041504 A KR 1020190041504A KR 20190041504 A KR20190041504 A KR 20190041504A KR 102153910 B1 KR102153910 B1 KR 102153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amp
signal transmission
display pane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빈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엘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엘피
Priority to KR102019004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910B1/ko
Priority to CN202010249352.6A priority patent/CN111798776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H01L51/0031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6Electronic inspection or testing of displays and display drivers, e.g. of LED or LCD displays
    • H01L27/32
    • H01L51/5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01L2227/323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해 일측변에 제1 신호전달 패드와 타측변에 제2 신호전달 패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검사를 위해 놓이는 베이스; 상기 제1 신호전달 패드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고정하고, 검사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1차 컨택유닛; 그리고 상기 베이스 상에서, X축 방향 이동, Y축 방향 이동 및 Z축을 회전축으로한 회전이동되어,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에 얼라인 및 컨택되어 검사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2차 컨택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INSPECTION APPARATUS CAPABLE OF ALIGNING AND INSPECTING BOTH SIDES OF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택유닛을 병진 및 회전이동시켜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얼라인 및 검사를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TV, 모니터, 이동통신단말기 등 넓은 범위에서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표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이 사용되었지만, 최근 들어 AMOLED 패널(Active Mod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AMOLED 패널은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형태로 배열된 화소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화소들을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이다.
AMOLED 패널은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테블릿 PC, 휴대형 음향 장치 및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에 적용되는 표시수단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생산공정 중에 여러 단계의 테스트 공정을 거치게 되고, 이러한 테스트 공정은 디스플레이 패널이 팔레트(Pallet)에 올려진 상태에서 점등 검사 등 이상 유무의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신호전달을 위한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또는 신호전달 패드를 일측변에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이 올려진 팔레트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과 함께 각종 신호를 인가할 수 있도록 레버에 의해 로딩 또는 언로딩되는 컨택터가 구비되며, 컨택터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FPCB 또는 신호전달 패드와 전기적 접촉을 하는 프로브 또는 FPC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가 눌러져서 컨택터가 오픈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팔레트에 로딩되고, 팔레트 상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호전달 패드가 팔레트에 대해 얼라인 된다. 이후, 레버의 푸시상태가 해제되면 이미 팔레트에 대해 얼라인되어 있는 컨택터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신호전달 패드 간에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사용 용도에 따라 사양이 다양하게 제작되어서, 종래의 검사장치로 효과적으로 검사하는 데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고해상도의 중형급 패널은 고속 동작을 해야 하고 신호 감쇄를 억제할 필요성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하 양변에 각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일측변 및 타측변에 각각 신호전달 패드를 가지는 구성을 채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검사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변에만 컨택하는 구성으로서, 전술한 양변에 각각 신호전달 패드를 가져서 양변 컨택을 필요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검사를 수행하기에는 불편하고, 양변에 신호를 인가할 수 없어서 검사 자체가 어렵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변에 각각 컨택터를 구비하여 검사하는 것을 가정하더라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변의 신호전달 패드와 컨택터가 얼라인 및 컨택된 경우, 타측변의 신호전달 패드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다른 컨택터와 얼라인을 위해 타측변의 신호전달 패드를 병진 및 회전이동시키기 곤란한 상태가 되어서, 검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변에 신호전달 패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편리하고 간편하게 양측에 각각 컨택부를 얼라인시키고 신뢰성 높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해 일측변에 제1 신호전달 패드와 타측변에 제2 신호전달 패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검사를 위해 놓이는 베이스; 상기 제1 신호전달 패드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고정하고, 검사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1차 컨택유닛; 그리고 상기 베이스 상에서, X축 방향 이동, Y축 방향 이동 및 Z축을 회전축으로한 회전이동되어,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에 얼라인 및 컨택되어 검사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2차 컨택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 컨택유닛은, 검사시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와 접촉되는 컨택터부; 그리고,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와의 얼라인을 위해, 상기 베이스 상의 일정 범위에서, 상기 컨택터부가 X축 방향 이동, Y축 방향 이동, 및 상기 회전이동이 되는 것을 허용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컨택터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컨택유닛은, 상기 제1 신호전달 패드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제1 클램프;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클램프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클램프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 하는 제1 서포터; 그리고 상기 제1 서포터에 결합되며,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프를 승하강시키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 컨택유닛의 상기 컨택터부는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제2 클램프; 상기 제2 클램프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상기 컨택터부의 이동을 위해 외력이 인가되는 제어용 후크; 상기 제2 클램프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클램프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 하는 제2 서포터;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프와 상기 제2 서포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클램프가 승강시, 상기 제2 클램프와 상기 제2 서포터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용 후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Z축을 회전축으로, 일정 범위에서 상기 제2 서포터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 이동부; 상기 회전 이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상기 회전 이동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X축 이동부; 상기 X축 이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상기 X축 이동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Y축 이동부; 그리고 상기 Y축 이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를 가압하도록 X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압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서포터의 복수의 상기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된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용 후크는 상기 돌출부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 사이에서, 상기 제2 서포터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는 상기 1차 컨택유닛의 상기 레버를 푸시 및 푸시해제하는 1차 조작부; 그리고 상기 2차 컨택유닛을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에 대해 얼라인시키는 2차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차 조작부는, 상기 베이스가 설치된 테이블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어용 후크를 잡는 집게부를 가진 로봇팔 형태의 제어유닛으로서, 상기 2차 컨택유닛의 상기 컨택터부를 상기 이동부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이동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작업 테이블에 설치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검사시 상기 제1 신호전달 패드를 지지하는 제1 슬라이딩부로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 상에 상기 1차 컨택유닛이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부; 그리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부판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검사시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를 지지하는 제2 슬라이딩부로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 상에 상기 2차 컨택유닛이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병진 및 회전이 가능한 컨택유닛 및 조작부의 특별한 구조로 인해, 양측에 각각 신호전달 패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편리하고 간편하게 컨택유닛의 컨택부를 얼라인시키고 신뢰성 높은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은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2차 컨택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1차 조작부 및 2차 조작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1차 조작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2차 조작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2차 조작부의 제어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작동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 일측변 및 타측변에 각각 신호전달 패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제1 얼라인 투시창 및 제2 얼라인 투시창을 통해 보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1차 컨택유닛 및 2차 컨택유닛의 얼라인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는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해 일측변에 제1 신호전달 패드(51)와 타측변에 제2 신호전달 패드(53)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에 얼라인 및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는 두 개의 컨택유닛을 가질 수 있으며, 하나의 컨택유닛은 제1 신호전달 패드(51)를 먼저 위치고정시키고, 다른 하나의 컨택유닛은 제2 신호전달 패드(53)에 대해, X축 방향 이동, Y축 방향 이동 및 Z축을 회전축으로한 회전이동되어 얼라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검사를 위해 놓이는 베이스(100), 1차 컨택유닛(200) 및 2차 컨택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컨택유닛(200)은 베이스(100)에 대해 제1 신호전달 패드(51)의 위치를 고정시키고, 검사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2차 컨택유닛(300)은 외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100) 상에서, X축 방향 이동, Y축 방향 이동 및 Z축을 회전축으로한 회전이동되어, 제2 신호전달 패드(53)에 얼라인 및 컨택되어 검사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2차 컨택유닛(300)은, 검사시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53)와 접촉되는 컨택터부(303) 및 이동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305)는 제2 신호전달 패드(53)와의 얼라인을 위해, 베이스(100) 상의 일정 범위에서, 컨택터부(303)가 X축 방향 이동, Y축 방향 이동, 및 Z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이동이 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부(305)는 베이스(100) 및 컨택터부(303)에 결합될 수 있다.
1차 컨택유닛(200)은, 제1 신호전달 패드(51)를 베이스(100)에 대해 위치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제1 클램프(210), 제1 서포터(230), 및 레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포터(230)는 베이스(100)에 결합되며, 제1 클램프(210)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제1 클램프(210)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레버(250)는 제1 서포터(230)에 결합되며,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제1 클램프(210)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베이스(100)는 본체(600: 도 5 참조)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판(101), 하부판(10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부(102), 및 제1 슬라디딩부와 대향하도록 하부판(101)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102)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시 제1 신호전달 패드(51)를 지지할 수 있다. 1차 컨택유닛(200)이 제1 슬라이딩부(102)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104)는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시 제2 신호전달 패드(53)를 지지할 수 있다. 2차 컨택유닛(300)이 제2 슬라이딩부(104) 상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102)는 1차측 얼라인 상태를 보여주는 제1 얼라인 투시창(110 : 도 1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라이딩부(104)는2차측 얼라인 상태를 보여주는 제2 얼라인 투시창(1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00)의 하부판(101)에는 제1 얼라인 투시창(110) 및 제2 얼라인 투시창(13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108)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판(101)의 상면의 가장자리에는 슬라이딩을 위한 레일(106)이 설치되어 있고, 제1 슬라이딩부(102) 및 제2 슬라이딩부(104)는 레일(106) 상에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102) 및 제2 슬라이딩부(104)의 간격 조절은 수동으로 할 수도 있고, 제1 슬라이딩부(102) 및 제2 슬라이딩부(104)나 하부판(101)에 액추에이터를 설치하여 제1 슬라이딩부(102) 및 제2 슬라이딩부(104)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슬라이딩부(102)와 제2 슬라이딩부(104) 간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1차 컨택유닛(200)과 2차 컨택유닛(300) 간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검사 대상이 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 예를 들어, 신호전달 패드가 양변에 각각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변 간의 간격이 달라지는 경우, 제1 신호전달 패드(51)와 얼라인 되는 1차 컨택유닛(200)과 제2 신호전달 패드(53)와 얼라인되는 2차 컨택유닛(300) 사이 간격을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하고,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1차 컨택유닛(200)은, 제1 클램프(210), 제1 서포터(230), 및 레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램프(210)는 제1 신호전달 패드(51)를 제1 슬라이딩부(102)에 대해 위치고정 및 고정해제할 수 있다.
제1 서포터(230)는 제1 슬라이딩부(102) 상에 설치되며, ""ㄱ""자형 지지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포터(230)에는 도 1 내지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210)의 승하강 움직임을 가이드하고, 레버(250)의 설치를 위한 가이드홈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서포터(230)는 인덱싱 플런저(Indexing Plungers, 미도시)를 통해 제1 슬라이딩부(102)와 결합하여, 원 터치(One Touch)로 제1 슬라이딩부(102)와의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클램프(210)는 제1 서포터(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판형상의 바(bar)와, 판형상의 바로부터 돌출된 ""凸""형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들이 제1 서포터(230)의 가이드홈들에 각각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클램프(210)의 하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50)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컨택패드(도13참조)가 부착될 수 있다. 컨택패드로는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MEMS 컨택터(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Contactor) FPCB, 블래이드 컨택터(Blade Contactor), 핀 컨택터(Pin Contactor) 등 여러 종류의 컨택터가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패널 에이징시 점등을 시키면서 히터를 이용해 외부에서 열을 가하는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는 히터의 열 때문에 FPCB를 컨택패드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FPCB는 열에 약하고 열 변형이 심해서 가열방식의 에이징 작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블래이드나 핀 타입의 컨택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양산되는 패널(Panel)의 패드 피치(Pad Pitch)가 200um pitch에 패드 폭이 150um정도인데, 고해상도의 패널의 경우에는 패드(Pad) 폭과 피치(Pitch)가 좀더 미세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MEMS FPCB 컨택터를 적용할 수 있다.
연성 재질인 FPCB 타입의 컨택패드를 적용할 경우에는 컨택패드의 접촉단이 위치하게 되는 제1 클램프(210)의 하부에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은 쿠션재를 삽입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신호전달 패드와의 접촉(Contact)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클램프(210)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각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복수의 제1 클램프(210)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클램프(210)의 각 돌출부의 좌우측에는 제1 서포터(230)에 형성된 홀에 삽입설치되는 스프링(270)이 구비되어 제1 클램프(210)를 하측으로 가압하므로, 그 탄성에 의해 컨택패드(215: 도12참조)와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제1 신호전달 패드(51) 간의 접촉력을 확보할 수 있다.
레버(250)는 제1 서포터(230)의 가이드홈을 기준으로 제1 서포터(230)의 배면부에 설치되며, 제1 클램프(210)측으로 일부 개방된 공간을 통해 레버(250)의 일부 끝단이 제1 클램프(210)에 설치되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의 하부에 걸려 제1 클램프(21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베어링은 반복되는 레버(250)의 동작으로 인한 제1 클램프(210)와의 마찰을 감소시켜 피로도를 줄이고 기계적 손상을 예방한다.
가이드홈들에 각각 레버(250)가 설치되고 이들 레버(250)가 하나의 연결바(25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1차 조작부(400)가 하강하면서 연결바(251)를 누르면 클램핑이 해제되고, 1차 조작부(400)가 상승하면서 연결바(251)와 떨어지면 스프링(270)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클램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은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2차 컨택유닛(3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2차 컨택유닛(300)은 컨택터부(303)와 이동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2차 컨택유닛(300)의 컨택터부(303)는 제2 클램프(310), 제2 클램프(310)에 형성된 제어용 후크(350), 제2 서포터(330) 및 스프링(3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포터(330)도 제1 서포터(23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서포터(330)에는 가이드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제2 클램프(310)가 제2 서포터(330)와 제2 슬라이딩부(104)의 사이에 위치하며, 제2 클램프(310)의 요철형상의 돌출부들이 가이드홈들에 삽입되어 가이드될 수 있다.
제2 클램프(310)와 제2 서포터(330) 사이에는 스프링(370)이 개재되어 제2 클램프(310)의 승강 동작시 가압력과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클램프(310)의 요철형상의 복수의 돌출부 중 대략 중앙의 돌출부에는 더욱 상측으로 돌출된 제어용 후크(350)가 형성될 수 있다. 제어용 후크(350)의 상측 단부는 걸림턱 구조를 가지고, 제어용 후크(350)의 측면이 각진 형상을 가져서, 후술될 2차 조작부(500)가 제어용 후크(350)를 잡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어용 후크(350)가 제2 클램프(3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2 클램프(31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어용 후크(350)를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가이드홈을 따라 제2 클램프(310)가 상승하며, 이때 스프링(370)에 의해 힘을 받는다. 제어용 후크(350)를 당기는 힘이 제거되면 스프링(270370)의 복원력에 의해 제2 클램프(310)가 가이드 홈을 따라 하강할 수 있다.
이동부(305)는 지지부(307), Y축 이동부(380), X축 이동부(360) 및 회전이동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07)는 제2 슬라이딩부(104)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Y축 이동부(380)는 지지부(307)에 결합될 수 있다.
X축 이동부(360)는 Y축 이동부(380) 상에 결합될 수 있고, Y축 이동부(380)는 Y축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X축 이동부(360)가 전진 후진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회전이동부(390)는 X축 이동부(360) 및 제2 서포터(330)에 결합될 수 있다.
X축 이동부(360)는 X축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회전이동부(390)가 전진 후진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회전이동부(390)는 제어용 후크(35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Z축을 회전축으로, 일정 범위에서 제2 서포터(330)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이동부(360)는 X축 방향 슬라이딩 홈, 그리고 상기 X축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X축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Y축 이동부(380)는 Y축 방향 슬라이딩 홈 그리고 Y축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Y축 슬라이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07)는 고정홀부 그리고 고정홀부를 관통하여 베이스(100)에 결합되어 지지부(307)를 베이스(100)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서포터(330)는 X축 이동부(360) 및 Y축 이동부(380)의 허용범위에서 X축 및 Y축 방향으로 운동을 있으며, 회전이동부(390)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Z축을 회전축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1차 조작부(400) 및 2차 조작부(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1차 조작부(4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2차 조작부(5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8을 참조하면,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는 본체(600), 제1 카메라부(710), 제2 카메라부(730) 및 제어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600)는 작업테이블(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100)는 본체(600)의 상면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본체(600) 상에서 위치가 기구적으로 구속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르게, 베이스(100)는 본체(600)의 상면에 나사 또는 볼트와 같은 결합부재를 통해 고정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710,730) 및 제어부(800)는 본체(6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카메라부(710)는 제1 슬라이딩부(102) 아래에서 제1 얼라인 투시창(110)을 촬상할 수 있다. 제2 카메라부(730)는 제2 슬라이딩부(104) 아래에서 제2 얼라인 투시창(130)을 촬상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1 카메라부(710) 및 제2 카메라부(730)로부터 촬상된 이미지 정보를 전달받고, 에이징 검사 또는 점등 검사를 위한 신호를 상기 1차 컨택유닛(200) 및 2차 컨택유닛(300)을 통해 각각 상기 제1 신호전달 패드(51) 및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53)에 전달할 수 있다.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는 1차 조작부(400) 및 2차 조작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1차 조작부(400)는 1차 컨택유닛(200)의 레버(250)를 푸시 및 푸시해제할 수 있다. 1차 조작부(400)는 제1 이송모듈(410) 및 레버 푸시부(430)(Lever Push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모듈(410)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레버 푸시부(430)는 제1 이송모듈(410)에 장착되며, 수직(z) 및 수평(x)으로의 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800)는 입력된 지시에 따라 레버 푸시부(430)를 X축상에 목표 위치로 이동시키고 레버 푸시부(430)를 하강시켜 레버(250)를 눌러서 제1 클램프(210)를 상승시켜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제1 신호전달 패드(51)의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레버 푸시부(430)가 상승하면 제1 클램프(210)가 스프링(270)에 의해 복원되면서 제1 신호전달 패드(51)와 접촉되면서 제1 슬라이딩부(102)에 대해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50)이 검사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1차 컨택유닛(200) 및 2차 컨택유닛(300)은 복수 개가 길이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50)이 함께 검사될 수도 있다.
2차 조작부(500)는 디스플레이 패널(50)을 베이스(100) 상에 로딩시에 디스플레이 패널(5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2차 컨택유닛(300)을 1차 컨택유닛(200)에 대해 일정 범위에서 후퇴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로딩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제2 신호전달 패드(53)에 2차 컨택유닛(300)을 얼라인 및 전기적 접촉을 시키기 위해, 2차 조작부(500)는 2차 컨택유닛(300)을 일정 범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1차 컨택유닛(200)은 베이스(100)에 대해 미리 얼라인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제1 신호전달 패드(51)가 1차 컨택유닛(200)에 대해 얼라인되도록 베이스(100)에 로딩되고, 디스플레이 패널(50)이 1차 컨택유닛(200)에 대해 얼라인된 이후, 도 6에 예시된 바와같이, 제2 신호전달 패드(53)에 대해 2차 컨택유닛(300)이 얼라인될 수 있다.
본체(600)에는 명령입력부(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 있다. 명령입력부는 디스플레이 패널(50) 검사를 위한 작동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명령입력부의 복수의 입력 버튼을 통해 1차 조작부(400) 및 2차 조작부(500)의 동작, 즉, 1차 컨택유닛(200) 및 2차 컨택유닛(300)의 얼라인 및 신호전달 패드(51,53)에 대한 접촉 동작(예: 클램핑)을 지시할 수 있다.
도 9는 2차 조작부(500)의 제어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차 조작부(500)는 제2 이송모듈(510) 및 제어유닛(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송모듈(510)은 X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유닛(530)은 제2 이송모듈(510)에 장착되며, 수직(z) 및 수평(x)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어유닛(530)은 일종의 로봇팔과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어유닛(530)은 X축 제어부(531), Y축 제어부(533), 회전 제어부(535) 및 집게부(537)를 포함할 수 있다. X축 제어부(531), Y축 제어부(533), 회전 제어부(535) 및 집게부(537)는 모터 등 엑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제어부(531)는 제2 이송모듈(510)에 장착되며 X축 제어부(531)가 구동됨에 따라 X축 제어부(531)는 제2 이송모듈(510)에 대해 수평(x)으로 이동될 수 있다.
Y축 제어부(533)는 X축 제어부(531)에 결합되어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회전 제어부(535)는 Y축 제어부(533)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고, Z축을 회전축으로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집게부(537)는 회전 제어부(535)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고, 2차 컨택유닛(300)의 제어용 후크(350)를 잡을 수 있는 집게 형상을 가지며, 제어용 후크(350)의 측면의 각진 모양에 맞춤되도록 각이진 집게면을을 가질 수 있다.
도 10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의 작동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 일측변 및 타측변에 각각 신호전달 패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제1 얼라인 투시창(110) 및 제2 얼라인 투시창(130)을 통해 보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1차 컨택유닛(200) 및 2차 컨택유닛(300)의 얼라인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1)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을 검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1차 컨택유닛(200)의 제1 클램프(210)의 하면에 검사에 적합한 컨택패드를 장착할 수 있다(S101). 이후, 1차 컨택유닛(200)은 레버(250)가 상승된 상태로, 즉 클램핑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만약, 검사 대상인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를 변경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슬라이딩부(102)와 제2 슬라이딩부(104)를 필요한 만큼 이격시키고, 핀과 같은 부재로 제1 슬라이딩부(102) 및 제2 슬라이딩부(104)를 하부판(101)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102)와 제2 슬라이딩부(104)의 이동은 수동으로 또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동작시킬 수도 있다.
이후, 카메라부(710)가 제1 슬라이딩부(102)의 하부에서 제1 얼라인 투시창(110)을 통해 클램핑 상태에 있는 1차 컨택유닛(200)의 컨택패드(215)의 위치를 캡쳐(Capture)한다(S102).
이후, 디스플레이 패널(50)이 로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1차 조작부(400)가 레버 푸시부(430)를 하강하여 레버(250)를 누르고, 이에 따라 컨택패드가 장착된 제1 클램프(210)를 상승시킨다(S103).
이후, 2차 조작부(500)가 작동하여, 제어유닛(530)이 2차 컨택유닛(300)의 제어용 후크(350)를 잡아 위로 당기고 후퇴시킨다(S104).
2차 조작부(500)는 디스플레이 패널(50)을 베이스(100)에 로딩시에 디스플레이 패널(5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2차 컨택유닛(300)을 1차 컨택유닛(200)에 대해 일정 범위에서 후퇴시킬 수 있다. 2차 조작부(500)는 2차 컨택유닛(300)의 제어용 후크를 잡고, 제2 서포터(330)를 이동부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을 위해서, 2차 조작부(500)가 제어용 후크(350)를 높이방향(Z방향)으로 약간 당긴 상태에서, 즉, 제2 클램프(310)가 상승한 상태에서, 제2 서포터(330)를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2차 조작부(500)가 제어용 후크(350)를 잡은 상태에서 제2 서포터(33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즉, 2차 조작부(500)에 의해 제2 서포터(330)(따라서 제2 클램프(310)도)가 X축 및 Y축 선형운동과 Z축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50)이 로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후, 이송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50)이 로딩되고, 제1 신호전달 패드(51)가 1차 컨택유닛(200)의 컨택패드와 자동 얼라인될 수 있다(S105).
고해상도의 중형급 패널은 고속 동작을 해야 하고 신호 감쇄를 억제할 필요성 등으로 인해,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상하 양변에 각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일측변 및 타측변에 각각 신호전달 패드(51,53)를 가지는 구성을 채택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신호전달 패드에는,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얼라인용 마크(5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는 1차 컨택유닛(200)의 레버(250)의 푸시가 해제된 상태에서, 1차 컨택유닛(200)의 제1 클램프(210)의 하면에 부착된 컨택패드(215)가 제1 얼라인 투시창(110)을 통해 보이는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1차 컨택유닛(200)은 미리 베이스(100)의 기준점, 투시창에 형성된 얼라인 마크 등에 대해 얼라인 되어 있고, 제1얼라인 투시창(110)을 통해 카메라부(710)가 컨택패드(215)를 촬상하고 제어부(800)에 제공하여, 이러한 얼라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이송장치는 레일을 따라 X, Y, Z 축으로 이동되는 기구를 이용하여 구성하거나 일반적으로 이송 메니퓰레이터를 가지는 로봇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800)는 캡쳐되어 있던 1차 컨택유닛(200)의 컨택패드의 위치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이송장치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0)을 1차 컨택유닛(200)에 대해 얼라인할 수 있다.
이후, 카메라부(73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제2 신호전달 패드(53)가 제2 얼라인 투시창(130)을 통해 촬상되어 제어부(800)에 제공될 수 있다.
계속해서, 2차 컨택유닛(300)을 수평이동 및 회전하여 얼라인하고 클램핑한다(S106).
로딩된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제2 신호전달 패드(53)에 2차 컨택유닛(300)을 얼라인 및 전기적 접촉을 시키기 위해, 2차 조작부(500)는 2차 컨택유닛(300)을 일정 범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2차 조작부(500)가 작동되어 제어유닛(530)은 X축 제어부(531), Y축 제어부(533), 회전 제어부(535), 집게부(537)를 작동시켜 2차 컨택유닛(300)의 컨택패드(315)를 제2 신호전달 패드(53) 위에 얼라인 시킬 수 있다.
이후, 집게부(537)가 제어용 후크(350)를 놓으면 스프링(270370)에 의해 제2 클램프(310)가 복원되면서, 제2 신호전달 패드(53)와 2차 컨택유닛(300)의 컨택패드가 접촉되면서 클램핑될 수 있다.
카메라부(730)는 제2 얼라인 투시창(130)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제2 신호전달 패드(53)의 위치를 캡쳐하고, 2차 컨택유닛(300)의 얼라인시 제2 신호전달 패드(53)의 위치에 대한 캡쳐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후, 1차 건텍유닛 및 2차 컨택유닛(300)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디스플레이 패널(50)에 인가하여 에이징 수행 및 점등 검사 등 각종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S107).
제어부(800)는 양변 검사장치(1)의 디스플레이 패널(50) 검사를 위한 상기 각부 또는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며 그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800)는 PCB(Printed Circuit Board)보드와 연결되어 각 채널 별로 연결된 컨택유닛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0)에 대한 에이징 작업 및 점등 검사 등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검사가 완료되면, 1차 컨택유닛(200) 및 2차 컨택유닛(300)의 클램핑을 해제하고 디스플레이 패널(50)을 베이스(100)로부터 언로딩할 수 있다.
양변 검사장치(1)는 더 이상 검사할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존재하지 않거나 작동 중지 명령이 수신되면 검사를 종료할 수 있다(S108).
반면, 검사할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존재하는 경우 다음 검사를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50)이 자동으로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1)에 로딩될 수 있다(S109).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1)에 의하면, 양변에 또는 복수의 변에 신호전달 패드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패널(50)의 양측의 검사를 위해, 일측을 1차 컨택유닛으로 클램핑하고, 타측을2차 컨택유닛을 수평 및 회전이동시켜서 얼라인시킬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양측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양변의 검사를 자동화된 상태로 수행할 수 있고, 신뢰성 높은 작동을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50 : 디스플레이 패널
51 : 제1 신호전달 패드(51)
53 : 제2 신호전달 패드(53)
100 : 베이스
101 : 하부판(101)
102 : 제1 슬라이딩부(102)
104 : 제2 슬라이딩부(104)
110 : 제1 얼라인 투시창(110)
130 : 제2 얼라인 투시창(130)
200 : 1차 컨택유닛(200)
210 : 제1 서포터(230)
230 : 제1 클램프(210)
250 : 레버(250)
270 : 스프링
300 : 2차 컨택유닛(300)
303 : 컨택터부
305 : 이동부
310 : 제2 서포터(330)
330 : 제2 클램프
350 : 제어용 후크
360 : X축 이동부(360)
370 : 스프링
380 : Y축 이동부(380)
400 : 1차 조작부(400)
410 : 제1 이송모듈
430 : 레버 푸시부
500 : 2차 조작부(500)
510 : 제2 이송모듈
530 : 제어유닛
531 : x축 제어부
533 : Y축 제어부
535 : 회전 제어부
537 : 집게부
600 : 본체
710,730 : 카메라부
800 : 제어부

Claims (10)

  1. 전기적 신호 전달을 위해 일측변에 제1 신호전달 패드와 타측변에 제2 신호전달 패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검사를 위해 놓이는 베이스;
    상기 제1 신호전달 패드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고정하고, 검사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1차 컨택유닛; 그리고
    상기 베이스 상에서, X축 방향 이동, Y축 방향 이동 및 Z축을 회전축으로한 회전이동되어,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에 얼라인 및 컨택되어 검사를 위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2차 컨택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2차 컨택유닛은,
    검사시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와 접촉되는 컨택터부; 그리고,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와의 얼라인을 위해, 상기 베이스 상의 일정 범위에서, 상기 컨택터부가 X축 방향 이동, Y축 방향 이동 및 상기 회전이동이 되는 것을 허용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2차 컨택유닛의 상기 컨택터부는,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제2 클램프;
    상기 제2 클램프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부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상기 컨택터부의 이동을 위해 외력이 인가되는 제어용 후크;
    상기 제2 클램프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2 클램프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 하는 제2 서포터;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프와 상기 제2 서포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클램프가 승강시, 상기 제2 클램프와 상기 제2 서포터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컨택터부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컨택유닛은,
    상기 제1 신호전달 패드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제1 클램프;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클램프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클램프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 하는 제1 서포터; 그리고
    상기 제1 서포터에 결합되며,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프를 승하강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서포터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용 후크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Z축을 회전축으로, 일정 범위에서 상기 제2 서포터의 회전을 허용하는 회전 이동부;
    상기 회전 이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상기 회전 이동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X축 이동부;
    상기 X축 이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상에서 Y축 방향으로 일정 범위에서 상기 X축 이동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Y축 이동부; 그리고
    상기 Y축 이동부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를 가압하도록 X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압부;
    상기 가압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서포터의 복수의 상기 제2 가이드홈에 각각 삽입된 복수의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용 후크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돌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이드 돌출부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은 복수의 상기 제2 가이드홈 사이에서, 상기 제2 서포터와 상기 가압부의 사이에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컨택유닛은,
    상기 제1 신호전달 패드를 상기 베이스에 대해 위치고정 및 고정해제하는 제1 클램프;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제1 클램프의 일부가 삽입되는 제1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클램프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 하는 제1 서포터; 그리고,
    상기 제1 서포터에 결합되며, 외력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제1 클램프를 승하강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컨택유닛의 상기 레버를 푸시 및 푸시해제하는 1차 조작부; 그리고
    상기 2차 컨택유닛의 상기 컨택터부를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에 대해 얼라인시키는 2차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조작부는,
    상기 베이스가 설치된 테이블의 상측에 구비된 가이드 레일; 그리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어용 후크를 잡는 집게부를 가진 로봇팔 형태의 제어유닛으로서, 상기 2차 컨택유닛의 상기 컨택터부를 상기 이동부가 허용하는 범위에서 이동시키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작업 테이블에 설치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검사시 상기 제1 신호전달 패드를 지지하는 제1 슬라이딩부로서, 상기 제1 슬라이딩부 상에 상기 1차 컨택유닛이 결합되는 제1 슬라이딩부; 그리고
    상기 제1 슬라이딩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하부판 상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검사시 상기 제2 신호전달 패드를 지지하는 제2 슬라이딩부로서, 상기 제2 슬라이딩부 상에 상기 2차 컨택유닛이 결합되는 제2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KR1020190041504A 2019-04-09 2019-04-09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KR102153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504A KR102153910B1 (ko) 2019-04-09 2019-04-09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CN202010249352.6A CN111798776A (zh) 2019-04-09 2020-04-01 显示面板的两侧对准及检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504A KR102153910B1 (ko) 2019-04-09 2019-04-09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910B1 true KR102153910B1 (ko) 2020-09-09

Family

ID=72469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504A KR102153910B1 (ko) 2019-04-09 2019-04-09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3910B1 (ko)
CN (1) CN11179877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648A (ja) * 2006-09-27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点灯検査装置
KR101346952B1 (ko) * 2012-11-21 2014-01-16 주식회사 이엘피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8997B1 (ko) * 2012-12-14 2014-03-27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일체형 패널 검사 장치 및 패널 검사 장치 정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8371B2 (ja) * 1989-08-15 1997-08-27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Tabディバイスの検査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tabディバイス用キャリア並びに測定モジュール及びインサート装置
JP4799880B2 (ja) * 2005-02-23 2011-10-26 オー・エイチ・ティー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並びに位置決め方法
JP2007033822A (ja) * 2005-07-26 2007-02-08 Optrex Corp 検査用治具
KR20150066018A (ko) * 2013-12-05 2015-06-16 주식회사 이엘피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2378B1 (ko) * 2014-09-24 2016-12-07 주식회사 디이엔티 액정표시패널의 검사장치
JP5720845B1 (ja) * 2014-10-14 2015-05-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検査装置
KR101906793B1 (ko) * 2017-09-14 2018-10-15 주식회사 디이엔티 디스플레이 패널 검사를 위한 fpcb 교체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4648A (ja) * 2006-09-27 200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点灯検査装置
KR101346952B1 (ko) * 2012-11-21 2014-01-16 주식회사 이엘피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KR101378997B1 (ko) * 2012-12-14 2014-03-27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일체형 패널 검사 장치 및 패널 검사 장치 정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798776A (zh) 2020-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59271B (zh) 用於檢測amoled面板的顯示面板檢測裝置及其方法
KR102149703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사이즈에 따른 간격 가변 검사장치
US7525303B2 (en) Automatic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JP4808135B2 (ja) プローブ位置合わせ方法及び可動式プローブユニット機構並びに検査装置
KR101346952B1 (ko)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4457180B1 (ja) ウエハトレイおよび試験装置
JP4123408B2 (ja) プローブカード交換装置
KR101732629B1 (ko) 멀티 프로브 검사기용 정렬장치
US8659311B2 (en) Test apparatus and test method
JP2006322918A (ja) インターフェース、及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テスト装置
WO2020103768A1 (zh) 自动下料机及下料方法及相应的治具
EP2341353A1 (en) Self-aligning test fixture for printed circuit board
KR102149698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변 검사장치
CN207424001U (zh) 一种用于柔性oled面板和fpc的自动对位点灯设备
KR10215391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측 얼라인 및 검사장치
KR20140080166A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KR101674016B1 (ko) 카메라 모듈의 vcm 검사용 소켓
JP4646037B2 (ja) バーイン装置槽内ラック
JP2007294146A (ja) 位置決め治具
JP2008267928A (ja) 検査装置
JPH10318896A (ja) 基板曲げ試験機
JP4788181B2 (ja) 表示パネルの組立装置
KR102570532B1 (ko) 멀티 프로브 검사장치
KR102165483B1 (ko) 제품 테스트 장치
CN216526105U (zh) 显示屏测试系统、结构及其压合机构、导向机构和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