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5483B1 - 제품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5483B1
KR102165483B1 KR1020190161592A KR20190161592A KR102165483B1 KR 102165483 B1 KR102165483 B1 KR 102165483B1 KR 1020190161592 A KR1020190161592 A KR 1020190161592A KR 20190161592 A KR20190161592 A KR 20190161592A KR 102165483 B1 KR102165483 B1 KR 10216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od
test
actuato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훈
권수환
주형기
장현진
Original Assignee
디플러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플러스(주) filed Critical 디플러스(주)
Priority to KR1020190161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4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제품 테스트 장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며 제품의 단자가 지지 되는 단자 지지대;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 지지대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1 변위를 발생시키는 로드를 포함하는 제1엑츄에이터; 상기 로드에 결합 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단자 지지대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변위를 발생시키는 제2엑츄에이터; 상기 제2엑츄에이터에 결합 되며 상기 단자와 결합 되어 상기 단자에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는 테스트 단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유닛; 상기 단자 지지대에 결합 되며 상기 테스트 단자를 상기 단자에 결합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테스트 단자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가이드 될 때 발생되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엑츄에이터에 변위가 발생 되도록 하는 변위 발생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품 테스트 장치{APPARATUS FOR TESTING PRODUCT}
본 발명은 제품의 단자 및 테스트 신호가 인가된 테스트 단자가 다양한 이유에 의하여 어긋나게 배치되더라도 제품의 단자에 테스트 단자가 정확하게 접속 되도록 하여 테스트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품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는 스마트폰, 차량용 후방카메라, 차량용 주행기록장치, 감시용 카메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매우 작은 부피 내에 매우 작고 정밀한 부품들이 다수 집약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은 조립된 후 테스트 소켓에 탑재되어 테스트 된 후 양품으로 판정된 카메라 모듈만 선별되어 출하된다.
테스트 소켓에 탑재되어 테스트 되는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 및 PCB 기판 등을 포함하는 카메라 몸체부 및 PCB 기판에 연결된 플랙시블 기판 및 플랙시블 기판에 연결된 단자를 포함한다.
테스트 소켓은 카메라 모듈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카메라 모듈의 단자로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는 테스트 단자를 포함한다.
카메라 모듈의 단자 및 테스트 소켓의 테스트 단자는 지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테스트 소켓의 테스트 신호가 카메라 모듈의 단자로 제공되어 카메라 모듈의 테스트가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테스트 소켓의 테스트 단자 및 카메라 모듈의 단자가 지정된 위치에서 정렬되지 않을 경우 테스트 단자가 카메라 모듈의 단자와 접속되지 않고 이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테스트 불량이 발생 되고, 카메라 모듈의 단자 또는 테스트 단자가 손상되는 불량이 발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모듈의 단자와 테스트 소켓의 단자가 상호 어긋나게 배치되어 테스트 불량이 발생 될 경우, 작업자는 테스트 소켓의 테스트 단자의 위치를 수작업으로 조절해야 하고 이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테스트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증가 되고 이에 더하여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 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등록특허 제10-1504989호, VCM 모듈 접속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등록일 : 2015년 3월 17일)
본 발명은 제품의 단자 및 테스트 신호가 인가된 테스트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더라도 테스트 단자의 위치를 자동 정렬하여 테스트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 테스트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및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품 테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일실시예로서, 제품 테스트 장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며 제품의 단자가 지지 되는 단자 지지대;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 지지대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1 변위를 발생시키는 로드를 포함하는 제1엑츄에이터; 상기 로드에 결합 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단자 지지대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변위를 발생시키는 제2엑츄에이터; 상기 제2엑츄에이터에 결합 되며 상기 단자와 결합 되어 상기 단자에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는 테스트 단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유닛; 상기 단자 지지대에 결합 되며 상기 테스트 단자를 상기 단자에 결합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테스트 단자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가이드 될 때 발생되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엑츄에이터에 변위가 발생되도록 하는 변위 발생 유닛을 포함한다.
제품 테스트 장치의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테스트 단자와 접촉되면서 상기 테스트 단자를 상기 단자로 가이드 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제품 테스트 장치는 상기 제1 엑츄에이터의 상기 로드의 전방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단부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더 포함한다.
제품 테스트 장치의 상기 변위 발생 유닛은 상기 제2 엑츄에이터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가 슬라이드 되게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로드 결합부, 상기 로드 결합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제1 스프링, 상기 로드 결합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제2 스프링, 상기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 및 상기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제품 테스트 장치는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며 제품의 단자가 지지 되는 단자 지지대;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 지지대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1 변위를 발생시키는 로드를 포함하는 제1엑츄에이터; 상기 제1엑츄에이터에 결합 되며 테스트 신호가 인가되는 테스트 단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유닛; 상기 단자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테스트 유닛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변위를 발생시키는 제2엑츄에이터; 상기 단자 지지대에 결합 되며 상기 테스트 단자를 상기 단자에 결합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테스트 단자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가이드 될 때 발생되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엑츄에이터에 변위가 발생되도록 하는 변위 발생 유닛을 포함한다.
제품 테스트 장치의 상기 변위 발생 유닛은 상기 제2 엑츄에이터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가 슬라이드 되게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로드 결합부, 상기 로드 결합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제1 스프링, 상기 로드 결합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제2 스프링, 상기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 및 상기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품 테스트 장치는 제품의 단자 및 테스트 신호가 인가된 테스트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더라도 자동으로 제품의 단자 및 테스트 단자의 위치를 정렬하여 제품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어 제품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제품 테스트 시 단자 파손 방지 및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품 테스트 장치의 작동을 설명한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실시예들이 각각 기재되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별다른 기재가 없더라도 각 실시예들은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호 병합 및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품 테스트 장치(600)는 베이스 몸체(100), 단자 지지대(150), 제1 엑츄에이터(200), 제2 엑츄에이터(250), 테스트 유닛(300), 가이드 부재(350) 및 변위 발생 유닛(400)을 포함한다.
베이스 몸체(100)는 단자 지지대(150) 및 제1 엑츄에이터(200)를 고정하는 베이스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100)는 외력에 의하여 변형이 쉽게 발생 되지 않는 금속 소재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단자 지지대(150)는 베이스 몸체(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단자 지지대(150)는 베이스 몸체(100)에 고정될 수 있다.
단자 지지대(150)의 상면에는 다양한 소형 제품이 배치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단자 지지대(150)의 상면에 배치된 제품은, 예를 들어, 대기압보다 낮은 진공압에 의하여 단자 지지대(150)에 진공 흡착될 수 있다.
단자 지지대(150)의 상면에 배치된 제품은, 예를 들어, 이미지 센서가 내장된 몸체부(1), 몸체부(1)에 연결된 신호선(2) 및 신호선(2)에 연결된 단자(3)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단자 지지대(150)에 배치되는 제품이 카메라 모듈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단자 지지대(150)에는 신호선 및 단자를 포함하는 다양한 제품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단자 지지대(150)의 상면에는 몸체부(1), 신호선(2) 및 단자(3)가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엑츄에이터(200)는 베이스 몸체(100)의 상면 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엑츄에이터(200)는 단자 지지대(150)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제1엑츄에이터(200)는 도 1에 정의된 제1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로드(225)를 포함하며, 로드(225)는 단자 지지대(150)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제1 방향으로 제1 변위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엑츄에이터(200)는 공기 또는 오일과 같은 유체를 이용하여 제1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로드(225)를 포함하는 유체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 몸체(100)의 상면에는 스톱퍼(230)가 배치되는데, 스톱퍼(230)는 제1엑츄에이터(200)의 로드(225)의 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서, 스톱퍼(230)는 로드(225)가 직선 왕복 운동할 때 로드(225)의 단부가 항상 지정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엑츄에이터(250)는 로드(225)에 의하여 제1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도 1에 도시된 제2방향을 따라 제2 변위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엑츄에이터(250)는 공기 또는 오일과 같은 유체에 의하여 작동되는 유체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방향으로 제1변위를 발생시키는 제1엑츄에이터(200) 및 제2방향으로 제2변위를 발생시키는 제2엑츄에이터(250)에 의하여 후술 될 테스트 유닛(300)은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엑츄에이터(200) 및 제2엑츄에이터(250)를 사용할 경우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제품 테스트의 자동화를 구현하게 된다.
테스트 유닛(300)은 제2엑츄에이터(250)에 결합 되는데 이로 인해 테스트 유닛(300)은 제1 엑츄에이터(200)에 의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 및 제2엑츄에이터(250)에 의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된다.
테스트 유닛(300)은 제2엑츄에이터(250)의 상부에 결합 되는 테스트 몸체(310), 테스트 몸체(310)에 결합 된 회로기판(320) 및 회로기판(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단자 지지대(150)에 배치된 단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테스트 단자(330)를 포함한다.
회로기판(320)에서 생성된 테스트 신호는 테스트 단자(330)를 통해 단자(3)로 제공되고, 단자(3)로 제공된 테스트 신호는 신호선(2)을 통해 몸체부(1)로 제공되어 몸체부(1)는 테스트 신호에 의하여 구동되면서 성능 테스트가 수행된다.
한편, 제2엑츄에이터(250)에 결합 된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는 제1엑츄에이터(200)의 구동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단자 지지대(150)의 상부에 배치된 제품(1)에 연결된 단자(3)의 상부로 이동되고, 테스트 단자(330)는 제2 엑츄에이터(250)의 구동에 의하여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단자(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후 테스트가 수행된다.
그러나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는 단자(3)에 정확하게 접속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엑츄에이터(200)가 구동될 때 스트로크 길이 오차가 발생되어 테스트 단자(330)가 지정된 위치보다 적게 이동될 경우 테스트 단자(330)는 단자(3)에 정확하게 접속되지 못하게 된다.
특히 제품 종류가 변경되어 단자 지지대(150)에 배치된 제품의 단자(3)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 작업자가 제1엑츄에이터(200)의 스트로크 길이를 수작업으로 조절해야 하는데 제1엑츄에이터(200)의 스트로크 길이 조절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수작업에 의한 조절에 의하여 매우 미세한 피치를 갖는 테스트 단자(330) 및 단자(3)의 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되지 못하여 테스트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가이드 부재(350) 및 변위 발생 유닛(400)을 이용하여 상호 어긋나게 배치된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 및 단자(3)를 자가 정렬한다.
가이드 부재(350)는 단자 지지대(150)의 측면에 결합 되며, 가이드 부재(350)는 단자(3)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된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를 단자(3)의 정확한 위치로 가이드 한다.
가이드 부재(350)는, 예를 들어, 단자 지지대(150)의 측면에 결합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부재(350)의 상면에는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의 모서리 부분과 접촉되어 테스트 단자(330)를 지정된 위치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경사면(355)이 형성되고, 경사면(335)은 매끈하게 경면 처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1개의 가이드 부재(350)가 단자 지지대(150)에 결합된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가이드 부재(350)는 적어도 2개가 단자 지지대(150)에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거나 단자 지지대(150)에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복수개의 가이드 부재(350)들을 이용하여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들을 가이드할 경우 보다 정확하게 빠르게 테스트 단자(330)를 지정된 위치로 가이드 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다수개의 가이드 부재(350)를 사용할 경우, 제2엑츄에이터(250)가 XY 평면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한편, 단자(3)에 대하여 어긋나게 배치된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는 제2엑츄에이터(250)에 의하여 하강되면서 가이드 부재(350)의 경사면(355)에 접촉된다.
테스트 단자(330)가 가이드 부재(350)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 될 경우, 테스트 유닛(300)에는 경사면(355)을 미는 힘이 가해지는데, 이 힘을 제거하지 못할 경우 테스트 단자(330) 또는 가이드 부재(350)는 파손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가 가이드 부재(350)를 따라 이동되면서 발생 되는 변위를 수용하여 테스트 단자(330) 또는 가이드 부재(35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변위 발생 유닛(400)이 제1엑츄에이터(200)의 로드(225)에 결합 된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변위 발생 유닛(400)은 제1엑츄에이터(200)의 로드(225)에 결합되어 테스트 단자(330)가 가이드 부재(350)의 경사면(355)을 따라 하강되면서 발생되는 힘에 대응하여 제2 엑츄에이터(250)에 변위가 발생 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변위 발생 유닛(400)은 로드 결합부(410), 제1 스프링(420), 제2 스프링(430), 제1 이탈 방지부(440) 및 제2 이탈 방지부(450)를 포함한다.
로드 결합부(410)는 블럭 형상으로 형성되며, 로드 결합부(410)에는 로드(225)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로드 결합부(410)의 관통홀의 사이즈는 로드(225)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로드(225)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로드 결합부(410)는 제2엑츄에이터(25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 또는 제2엑츄에이터(250)에 조립될 수 있다.
제1 스프링(420)은 로드 결합부(41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제1 스프링(420)은 중공이 형성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스프링(420)의 중공으로는 로드(225)가 통과한다.
한편, 제1 스프링(420)이 지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로드(225)에는 제1 이탈 방지부(440)가 형성된다. 제1 이탈 방지부(440)는 로드(225)의 표면으로 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420)과 대응하는 로드 결합부(410)에는 제1 스프링(420)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430)은 로드 결합부(410)의 일측과 대향하는 타측에 배치되며, 제2 스프링(420)은 중공이 형성된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스프링(430)의 중공으로는 로드(225)가 통과한다.
한편, 제2 스프링(430)이 지정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드(225)에는 제2 이탈 방지부(450)가 형성된다. 제2 이탈 방지부(450)는 로드(225)의 표면으로부터 링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 제2 스프링(430)과 대응하는 로드 결합부(410)에는 제2 스프링(430)의 일부를 수용하는 오목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품 테스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지지대(150)의 상면에는 몸체부(1), 신호선(2) 및 단자(3)를 갖는 제품이 탑재된다.
단자 지지대(150)의 상면에 제품이 탑재된 후 진공압에 의하여 제품이 단자 지지대(150)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엑츄에이터(200)의 로드(225)가 단자 지지대(150)와 가까워지는 제1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로 인해 제2엑츄에이터(250)에 결합된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도 단자 지지대(150)의 상부로 이동된다.
이때, 테스트 단자(330)의 위치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단자(3)의 위치에 정렬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제2엑츄에이터(250)가 하방으로 이동될 경우 테스트 단자(330)는 단자(3)와 정확하게 접속되지 못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엑츄에이터(250)가 하부로 이동되면 테스트 유닛(300)도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와 단자(3)가 정렬되지 않을 경우 테스트 유닛(300)의 테스트 단자(330)는 가이드 부재(350)의 경사면(355)에 접촉되고, 제2엑츄에이터(250)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테스트 단자(330)는 경사면(355)을 따라 이동된다.
테스트 단자(330)가 가이드 부재(350)의 경사면(355)을 따라 이동될 경우, 제1엑츄에이터(200)의 로드(225)가 스톱퍼(230)에 의하여 지정된 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제2엑츄에이터(250)에는 제1방향으로 변위가 발생되도록 하는 힘이 발생된다.
제2엑츄에이터(250)에 제1방향으로 향하는 변위가 발생되도록 하는 힘이 인가될 때 제2엑츄에이터(250)가 로드(225)에 고정되어 변위가 발생되지 못할 경우 테스트 단자(330), 가이드 부재(350) 또는 제2엑츄에이터(250)가 파손될 수 있다.
테스트 단자(330)가 가이드 부재(350)의 경사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발생되는 힘에 의하여 제1방향으로 발생된 변위는 로드 결합부(420)에 인가되고, 로드(225)는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로드 결합부(420)는 상기 힘에 의하여 로드(225)를 따라 전진되고, 테스트 단자(330)는 가이드 부재(350)의 가이드에 의하여 단자(3)에 정확하게 정렬된다.
테스트 단자(330)에 가이드 부재(350)가 접속되어 테스트가 될 때 변위 발생 유닛(400)의 제2 스프링(430)은 압축된 상태이고, 제품(1)의 테스트가 종료되어 제2엑츄에이터(250)가 상승 될 경우, 압축된 제2 스프링(430)에 의하여 로드 결합부(420)는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테스트 과정이 종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품 테스트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제품 테스트 장치는 제2엑츄에이터의 배치를 제외하면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도시 및 설명한 제품 테스트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기술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 부호를 제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품 테스트 장치(600)는 베이스 몸체(100), 단자 지지대(150), 제1 엑츄에이터(200), 테스트 유닛(300), 제2 엑츄에이터(260), 가이드 부재(350) 및 변위 발생 유닛(4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엑츄에이터(260)는 로드(225)에 결합하지 않는 대신 단자 지지대(150)의 하부에 배치되어 단자 지지대(150)를 제2 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제품 테스트 장치는 제품의 단자 및 테스트 신호가 인가된 테스트 단자의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더라도 자동으로 제품의 단자 및 테스트 단자의 위치를 정렬하여 제품의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어 제품 테스트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 제품 테스트 시 단자 파손 방지 및 작업자의 피로도를 저감 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베이스 몸체 150...단자 지지대
200...제1엑츄에이터 250,260...제2엑츄에이터
300...테스트 유닛 350...가이드 부재
400...변위 발생 유닛 600...제품 테스트 장치

Claims (6)

  1.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며 제품의 단자가 지지 되는 단자 지지대;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 지지대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1 변위를 발생시키는 로드를 포함하는 제1엑츄에이터;
    상기 로드에 결합 되어 제1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단자 지지대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변위를 발생시키는 제2엑츄에이터;
    상기 제2엑츄에이터에 결합 되며 상기 단자와 결합 되어 상기 단자에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는 테스트 단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유닛;
    상기 단자 지지대에 결합 되며 상기 테스트 단자를 상기 단자에 결합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테스트 단자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가이드 될 때 발생되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엑츄에이터에 변위가 발생되도록 하는 변위 발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변위 발생 유닛은 상기 제2 엑츄에이터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가 슬라이드 되게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로드 결합부, 상기 로드 결합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제1 스프링, 상기 로드 결합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제2 스프링, 상기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 및 상기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제품 테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는 상기 테스트 단자와 접촉되면서 상기 테스트 단자를 상기 단자로 가이드 시키는 경사면이 형성된 제품 테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엑츄에이터의 상기 로드의 전방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로드의 단부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제품 테스트 장치.
  4. 삭제
  5. 베이스 몸체;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며 제품의 단자가 지지 되는 단자 지지대;
    상기 베이스 몸체 상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 지지대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1 변위를 발생시키는 로드를 포함하는 제1엑츄에이터;
    상기 제1엑츄에이터에 결합 되며 테스트 신호가 인가되는 테스트 단자를 포함하는 테스트 유닛;
    상기 단자 지지대 및 상기 베이스 몸체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테스트 유닛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 변위를 발생시키는 제2엑츄에이터;
    상기 단자 지지대에 결합 되며 상기 테스트 단자를 상기 단자에 결합 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로드에 결합되어 상기 테스트 단자가 상기 가이드 부재에 가이드 될 때 발생되는 힘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엑츄에이터에 변위가 발생되도록 하는 변위 발생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변위 발생 유닛은 상기 제2 엑츄에이터의 하면에 결합되며 상기 로드가 슬라이드 되게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로드 결합부, 상기 로드 결합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제1 스프링, 상기 로드 결합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로드가 통과하는 제2 스프링, 상기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 이탈방지부 및 상기 로드에 결합되며 상기 제2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2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제품 테스트 장치.
  6. 삭제
KR1020190161592A 2019-12-06 2019-12-06 제품 테스트 장치 KR102165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592A KR102165483B1 (ko) 2019-12-06 2019-12-06 제품 테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592A KR102165483B1 (ko) 2019-12-06 2019-12-06 제품 테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483B1 true KR102165483B1 (ko) 2020-10-14

Family

ID=72847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592A KR102165483B1 (ko) 2019-12-06 2019-12-06 제품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48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510A (ko) * 2008-12-05 2010-06-15 한국기계연구원 모델 적응형 카메라모듈 테스트소켓 및 그 테스트소켓을 이용한 카메라모듈 변화에 따른 적응방법
KR101316816B1 (ko) * 2013-05-15 2013-10-18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504989B1 (ko) 2014-04-24 2015-03-23 현석호 태양열 전기 겸용 난방기
KR101685468B1 (ko) * 2015-08-29 2016-12-14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101807096B1 (ko) * 2017-07-07 2017-12-11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KR20180020037A (ko) * 2016-08-17 2018-02-2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4510A (ko) * 2008-12-05 2010-06-15 한국기계연구원 모델 적응형 카메라모듈 테스트소켓 및 그 테스트소켓을 이용한 카메라모듈 변화에 따른 적응방법
KR101316816B1 (ko) * 2013-05-15 2013-10-18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504989B1 (ko) 2014-04-24 2015-03-23 현석호 태양열 전기 겸용 난방기
KR101685468B1 (ko) * 2015-08-29 2016-12-14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20180020037A (ko) * 2016-08-17 2018-02-27 주식회사 아이에스시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1807096B1 (ko) * 2017-07-07 2017-12-11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8314B2 (en) Electronic device assembling apparatus
KR101442035B1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장치
CN107770515B (zh) 用于检验照相机模块的装置
US7618277B2 (en) Method of mounting and demounting a semiconductor device, device for mounting and demount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nd socket for a semiconductor device
KR101616391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807096B1 (ko)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WO2011096067A1 (ja)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102218871B1 (ko) 제품 테스트 소켓
KR101504961B1 (ko)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574486B1 (ko) 테스트 소켓
CN108604056B (zh) 相机模块检验设备
JP4891348B2 (ja) 部品装着検出装置
JP2018163152A (ja) スライド垂直型テストソケット
US642288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mating connectors
KR102165483B1 (ko) 제품 테스트 장치
CN108072521B (zh) 一种立式端子检测装置
CN109278057B (zh) 电子设备组装装置以及电子设备组装方法
KR10216702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1674016B1 (ko) 카메라 모듈의 vcm 검사용 소켓
CN213240468U (zh) 一种连接器测试装置
KR20180104796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테스트장치
CN113777467A (zh) 一种柔性电路板的测试系统及测试方法
KR102149698B1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양변 검사장치
KR101858949B1 (ko) 카메라 모듈의 Pre- Focus 오토 소켓
KR102557253B1 (ko) Pcb cnt와 ffc의 자동 체결 및 해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