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7096B1 -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 Google Patents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7096B1
KR101807096B1 KR1020170086582A KR20170086582A KR101807096B1 KR 101807096 B1 KR101807096 B1 KR 101807096B1 KR 1020170086582 A KR1020170086582 A KR 1020170086582A KR 20170086582 A KR20170086582 A KR 20170086582A KR 101807096 B1 KR101807096 B1 KR 101807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module
guide pin
elastic body
seating
contac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행수
Original Assignee
프라임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라임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라임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7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7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7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에 검사대상 카메라모듈을 안착시킨 후 카메라모듈을 검사할 때 카메라모듈이 움직이지 않도록 측면을 자동으로 지지고정 시킬 수 있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모듈안착 플레이트(10)에 카메라모듈(110)을 안착 고정시켜 카메라모듈(110)을 검사하는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모듈안착 플레이트(10)는,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되는 안착부(20); 상기 안착부(20)와 동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20)에 안착된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 및 밀착블록(52) 및 탄성체(58)로 구비되는 밀착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110) 측면 중에서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상기 밀착블록(52)이 밀착하며 상기 카메라모듈(110)을 정렬 및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Automatic alignment socket for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에 검사대상 카메라모듈을 안착시킨 후 카메라모듈을 검사하는 동안 카메라모듈이 움직이지 않도록 측면을 자동으로 지지고정 시킬 수 있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기기는 소형화 되고, 소형화 된 기기가 발휘하는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전자기기 내부에는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많은 부품들이 들어가는데, 이들 부품들은 전자기기가 소형화되고 많은 기능을 발휘할수록 더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휴대폰에 장착되는 카메라모듈이 그러하다. 이들 부품들은 모두 조립되기 전에 조립될 전자기기의 PCB에 제대로 접속되어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과정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별도의 검사용 소켓에서 부품의 작동상태를 검사하고 있다.
카메라모듈의 검사는 이미지 검사, FOCUS 검사, 전기적 검사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카메라모듈을 검사장치에 안착시키면 검사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검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카메라모듈이 검사장치에 안착된 후에 움직이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어야 검사의 오차발생이 줄어들고 정밀한 검사가 가능하다.
따라서, 소형화된 장치의 부품인 카메라모듈을 검사장치의 정확한 위치에 안착부에 안착시킨 후 고정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카메라모듈의 작동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검사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카메라모듈을 검사장치에 안착시키면 카메라모듈을 정확한 위치에 자동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검사장치로서, 카메라모듈이 안착부에 안착 시 위치가 조금 어긋나게 안착을 하더라도 측면에서 자동으로 밀어주는 방식을 적용하여 검사 시에 항상 동일한 위치에 카메라모듈이 안착되도록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모듈안착 플레이트(10)에 카메라모듈(110)을 안착 고정시켜 카메라모듈(110)을 검사하는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모듈안착 플레이트(10)는,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되는 안착부(20); 상기 안착부(20)와 동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20)에 안착된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 및 밀착블록(52) 및 탄성체(58)로 구비되는 밀착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체(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110) 측면 중에서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상기 밀착블록(52)이 밀착하며 상기 카메라모듈(110)을 정렬 및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착부(20)는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안착부(20)의 측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이 상기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밀착블록(52) 하방으로, 가이드핀(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블록(52)은 상기 탄성체(58) 방향 내측면이 상기 가이드핀(60)을 향하여 경사진 내측경사면(56)으로 구비된 가이드홈(55)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핀(60)이 상기 가이드홈(55)으로 상기 내측경사면(56)을 밀면서 삽입되면, 상기 밀착블록(52)은 상기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탄성체(58)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핀(60)의 단부는 상기 내측경사면(56)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핀(60)의 단부 또는 상기 가이드홈(55)의 하부 모서리는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밀착블록(52) 하방으로, 상기 탄성체(58)를 향하는 외측경사면(76)을 구비한 안내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블록(52)은 하부면에 결합된 안내핀(80)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핀(80) 상기 밀착블록(52)에 접근하면, 상기 안내핀(80)이 상기 외측경사면(7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밀착블록(52)은 상기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탄성체(58)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핀(80)의 단부는 상기 외측경사면(76)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의 이웃하는 두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밀착부재(5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 측면 중에서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을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의 일 측 모서리를 지지하고, 상기 밀착부재(5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 모서리 중에서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모서리에 대향하는 모서리를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탄성체(58)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에 의하면, 카메라모듈의 작동여부 검사하기 위하여 카메라모듈을 검사장치에 안착시킬 때 카메라모듈을 안착부(20)의 대략적 위치에 안착시키면 검사장치가 검사장치 안착부(20)상에서 검사위치에 카메라모듈을 자동으로 고정 지지함으로써 별도의 수작업으로 카메라모듈의 정확한 위치를 맞춰야 하는 수고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검사장치가 카메라모듈을 안착부(2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 지지함으로써 카메라모듈 검사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검사장치 안착부(20) 상에서 카메라모듈을 정확한 검사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카메라모듈을 정렬 및 고정하는 부분을 카메라모듈과 이격되는 간격이 없도록 설계해야 하는데, 안착부(20)에 카메라모듈을 안착 및 제거하는 과정에서 장치와 카메라모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의 측면이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 카메라모듈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듈안착 플레이트에 카메라모듈이 안착되고 밀착부재에 의해 고정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안착부에 카메라모듈이 안착되고 밀착부재에 의해 고정 지지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안착부에 카메라모듈이 안착되고 밀착부재에 의해 고정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모듈안착 플레이트에 카메라모듈이 안착되기 전에 밀착블록이 안착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모듈안착 플레이트의 안착부에 카메라모듈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서 가이드핀이 밀착블록으로부터 이격되며 밀착블록이 카메라모듈의 측면을 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카메라모듈이 검사를 받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가이드핀이 밀착블록에 접근하며 밀착블록이 안착부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모듈안착 플레이트의 안착부에 카메라모듈이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안내부가 밀착블록으로부터 이격되며 밀착블록이 카메라모듈의 측면을 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안내부가 밀착블록에 접근하며 밀착블록이 안착부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안착부에 안착된 카메라모듈을 고정 지지하는 지지부와 밀착블록의 배치를 구현한 일실시예로서 카메라모듈의 측면이 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지지부와 밀착블록에 의하여 카메라모듈이 정렬 및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안착부에 안착된 카메라모듈을 정렬 및 고정하는 지지부와 밀착블록의 배치를 구현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카메라모듈의 측면이 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16은 도 15에서 지지부와 밀착블록에 의하여 카메라모듈이 정렬 및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카메라모듈은 휴대폰이나 카메라 등과 같은 영상장치에 장착되어 장치의 부품으로 구동된다. 카메라모듈은 생산되면 영상장치에 장착되기 전에 먼저 이미지 검사, FOCUS 검사, 전기적 검사 등을 거치게 된다. 카메라모듈을 검사하기 위하여 검사장치에 안착시키면 검사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검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메라모듈이 안착부에 안착 시 위치가 조금 어긋나게 안착을 하더라도 측면에서 자동으로 밀어주는 방식을 적용하여 검사 시에 항상 동일한 위치에 카메라모듈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안착 플레이트(10)에 카메라모듈(110)을 안착 고정시켜 카메라모듈(110)을 검사하는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으로서, 모듈안착 플레이트(10)는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되는 안착부(20), 안착부(20)와 동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20)에 안착된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 및 밀착블록(52)과 탄성체(58)로 구비되는 밀착부재(50)를 포함한다. 카메라모듈(110) 측면 중에서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을 밀착블록(52)이 탄성체(58)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안착부(20)는 검사대상이 되는 카메라모듈(110)을 안착시키는 부분이다.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부(20)상에 안착되면 검사장치는 카메라모듈(110)과 접촉하여 제대로 작동하는지 검사하게 된다. 이때, 카메라모듈(110)의 검사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하여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부(20)상의 정확한 검사위치에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부(30)는 안착부(20)와 동일면상에 형성되어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정렬 및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카메라모듈(110)의 네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 모두가 모듈안착 플레이트(10)상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다면, 카메라모듈(110)의 생산오차에 의하여, 카메라모듈(110)의 측면과 이를 지지하는 지지부(30) 사이가 이격되어 검사하는 동안 카메라모듈(110)이 움직이거나, 카메라모듈(110)이 지지부 사이로 들어가지 않아 카메라모듈(110)을 안착부(20)에 안착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메라모듈(110)을 지지부(30) 사이에 안착시키거나 제거하는 과정에서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이나 지지부(30)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지지부(30) 사이의 거리는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카메라모듈(110)이 검사를 받는 동안에는 안착부(20)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고, 카메라모듈(110)을 안착부(20)에 안착시키거나 안착부(20)에서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부(20)에 안착되면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의 일부는 지지부(30)에 의하여 지지되고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나머지 측면은 밀착부재(50)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카메라모듈(110)이 검사를 받는 동안 움직이지 않도록 카메라모듈(110)을 자동적으로 정렬 및 고정할 수 있다. 반면에, 밀착부재(50)는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밀착부재(50)와 지지부(30) 사이의 거리가 확장됨으로써 카메라모듈(110)을 안착부(20)에 안착시키거나 안착부(20)에서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부(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카메라모듈(110)은 지지부(30)와 이에 대향하는 밀착블록(52) 사이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카메라모듈(110)의 안착과 제거가 용이하다.
반면에 도 3을 참조하면, 밀착블록(52)이 카메라모듈(110)의 측면과 밀착하면서 카메라모듈(110)은 지지부(30)와 밀착블록(52)사이에서 정렬 및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검사장치가 카메라모듈(110)을 검사하는 동안 카메라모듈(110)은 정확한 검사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검사를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밀착부재(50)는 거동 가능한 지지부(30)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30)를 모두 밀착부재(50)로 구성하여 카메라모듈(110)의 네 측면을 모두 밀착지지 할 수 있고, 카메라모듈(110)의 일 측면을 지지부(30)로 지지한 후, 나머지 측면을 밀착부재(50)로 밀착지지 할 수 있으며, 카메라모듈(110)의 이웃하는 두 측면을 지지부(30)로 지지한 후,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된 카메라모듈(110)의 두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을 밀착부재(50)로 밀착지지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카메라모듈(110)을 안착시키는데 용이한 구조로 지지부(30)와 밀착부재(50)를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지지부(30)는 안착부(20)와 동일면상에 형성될 수 있는데, 안착부(20)가 모듈안착 플레이트(10)상에서 음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지지부(30)는 안착부(20)의 측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반면에 밀착부재(50)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지만, 지지부(30)보다 다소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장치 구성의 효율을 고려하면서 지지부(30)와 밀착부재(5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실시예로, 도 13과 도 14를 참조하면, 지지부(30)는 카메라모듈(110)의 이웃하는 두 측면을 지지하고, 밀착부재(50)는 카메라모듈(110) 측면 중에서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을 밀착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와 밀착블록(52) 사이의 거리가 확장된 상태에서 안착부(20)에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에 대향하는 밀착블록(52)이 카메라모듈(110) 측면 중에서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밀착하며 카메라모듈(110)을 정렬 및 고정하게 된다.
또는,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부(30)는 카메라모듈(110)의 일 측 모서리를 지지하고, 상기 밀착부재(5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 모서리 중에서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모서리에 대향하는 모서리를 밀착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와 밀착블록(52) 사이의 거리가 확장된 상태에서 안착부(20)에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에 대향하는 밀착블록(52)이 카메라모듈(110) 모서리 중에서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모서리에 대향하는 모서리를 밀착하며 카메라모듈(110)을 정렬 및 고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밀착부재(50)는 검사장치가 안착부(20)에 안착된 카메라모듈(110)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모듈(110)을 안착부(20)에 안착시키고 검사장치를 작동시키면 밀착부재(50)는 자동으로 작동하여 밀착블록(52)이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밀착함으로써 카메라모듈(110)이 검사를 받는 동안 움직이지 않도록 정확한 검사위치에 정렬 및 고정하고, 검사가 종료되면 밀착블록(52)이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되어 카메라모듈(110)의 안착 또는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밀착부재(50)가 자동으로 작동함으로써 밀착블록(52)이 안착부(20)에 안착된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밀착하거나 카메라모듈(110) 측면의 밀착을 해제하기 위하여, 밀착부재(50)를 별도로 구동되는 구동부, 가령 유압모터 등으로 작동하게 할 수 있다. 하지만, 효율적인 장치의 구성을 고려하여 비교적 간단하게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밀착부재(50)는 카메라모듈(110), 밀착블록(52) 그리고 탄성체(58)의 순서가 되도록 배열함으로써 탄성체(58)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해 밀착블록(52)이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카메라모듈(110)에 대향하는 면으로 영상 검사부(165)가 접근할 때 영상 검사부(165) 측으로 카메라모듈(110)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여 카메라모듈(110)이 카메라모듈(110)에 대응하는 홈으로 삽입되면서 카메라모듈(11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지만, 카메라모듈(110)이 카메라모듈(110)에 대응하는 홈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카메라모듈(110)의 측면 모서리가 카메라모듈(110)에 대응하는 홈의 모서리와 간섭을 일으켜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밀착하여 카메라모듈(1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성체(58)의 탄성계수를 적절히 선택하면 밀착블록(52)이 카메라모듈(110) 측면에 적당한 하중을 가할 수 있어, 간단한 장치구성으로 카메라모듈(110) 측면에 무리한 응력을 가하지 않고 카메라모듈(110)을 정렬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동으로 작동 가능한 밀착부재(50) 구성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밀착블록(52) 하방으로 가이드핀(60)을 더 포함하고, 밀착블록(52)은 가이드핀(60)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홈(55)을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홈(55)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블록(52)을 관통하는 관통 홈일 수 있고, 상부면이 관통되지 않은 홈일 수도 있다. 가이드홈(55)의 탄성체(58) 방향 내측면은 상부로 갈수록 대향하는 내측면에 가까워지도록 구성되는 내측경사면(56)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밀착블록(52)은 탄성체(58) 방향 내측면이 경사지고, 내측경사면(56)이 가이드핀(60)을 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60)이 가이드홈(55)으로 삽입되어 밀착블록(52)을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밀착블록(52)의 거동을 구속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지지부(30)와 밀착블록(52) 사이의 거리가 확장되어 안착부(20)에 카메라모듈(110)을 안착시키거나 안착부(20)로부터 카메라모듈(110)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0)에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60)이 밀착블록(5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밀착블록(52)은 거동을 구속하는 가이드핀(60)이 제거된 상태가 되어 탄성체(58)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카메라모듈(11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밀착하게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핀(60)은 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수개로 구성된 가이드핀(60)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지만, 승하강 플레이트(170)에 결합되어 승하강 플레이트(170)의 승하강 작동에 의하여 승하강 플레이트(170)에 결합된 가이드핀(60)이 일괄적으로 밀착블록(52)에 접근하거나 밀착블록(5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승하강 플레이트(170)는 모터와 기어 또는 공압이나 유압장치로 구비되는 승하강 장치(180)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지지부(30)와 밀착블록(52)에 의하여 카메라모듈(110)이 정렬 및 고정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버 플레이트(160)가 이동하여 카메라모듈(110)에 영상 검사부(165)를 맞춰 카메라모듈(110)의 작동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카메라모듈(110)의 검사가 끝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60)이 밀착블록(5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이드홈(55)으로 내측경사면(56)을 밀면서 삽입되어, 밀착블록(52)을 안착부(20)로부터 이격시키게 되고, 밀착블록(52)을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밀착블록(52)의 거동을 구속하게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핀(60)은 독립적으로 구동되거나 승하강 플레이트(170)에 결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밀착블록(52)과 가이드핀(60)이 거동할 때에는, 밀착블록(52)은 탄성체(58)와 안착부(20)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며 다른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되고, 가이드핀(60)도 밀착블록(52)에 접근하거나 밀착블록(5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이드핀(60)의 단부 또는 가이드홈(55)의 하부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면 가이드핀(60)이 가이드홈(55)으로 삽입될 때 가이드핀(60)의 단부가 가이드홈(55)의 모서리 부분에서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핀(60)의 단부가 가이드홈(55)의 탄성체(58) 방향 내측 내측경사면(56)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가이드핀(60)이 가이드홈(55)에 삽입되면서 가이드홈(55)의 탄성체(58) 방향 내측경사면(5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가이드홈(55)의 탄성체(58) 방향 내측경사면(56)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자동으로 작동 가능한 밀착부재(50)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밀착블록(52) 하방으로 탄성체(58)를 향하는 외측경사면(76)을 구비한 안내부(70)를 더 포함하고, 밀착블록(52)은 하부면에 결합된 안내핀(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70)가 밀착블록(52)을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밀착블록(52)의 거동을 구속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지지부(30)와 밀착블록(52) 사이의 거리가 확장되어 안착부(20)에 카메라모듈(110)을 안착시키거나 안착부(20)로부터 카메라모듈(110)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부(20)에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70)가 밀착블록(5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밀착블록(52)은 거동을 구속하는 안내부(70)가 제거된 상태가 되어 탄성체(58)가 가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카메라모듈(11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밀착하게 된다.
카메라모듈(110)의 검사가 끝나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70)가 밀착블록(52)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안내핀(80)이 외측경사면(7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밀착블록(52)을 안착부(20)로부터 이격시키게 되고, 밀착블록(52)을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밀착블록(52)의 거동을 구속하게 된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내부(70)는 독립적으로 구동되거나 승하강 플레이트(170)에 결합되어 구동될 수 있다.
안내부(70)와 밀착블록(52)이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동할 때에는, 밀착블록(52)은 탄성체(58)와 안착부(20)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며 다른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되고, 안내부(70)도 밀착블록(52)에 접근하거나 밀착블록(52)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내핀(80)의 단부가 안내부(70)의 외측경사면(76)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 진 경우 안내핀(80)이 안내부(70)의 외측경사면(7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 안내부(70)의 외측경사면(76)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도면을 참조로 한 설명은 카메라모듈(110)이 모듈안착 플레이트(10) 상부면에 안착되고 밀착블록(52) 하방으로 가이드핀(60) 또는 안내부(70)가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일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카메라모듈(110)이 자동으로 정렬될 수 있는 목적과 그에 따른 효과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0: 모듈안착 플레이트 20: 안착부
30: 지지부 50: 밀착부재
52: 밀착블록 55: 가이드홈
56: 내측경사면 58: 탄성체 60: 가이드핀 70: 안내부
76: 외측경사면 80: 안내핀
100: 소켓장치 110: 카메라모듈
160: 카버 플레이트 165: 영상 검사부
170: 승하강 플레이트 175: 승하강 장치

Claims (10)

  1. 모듈안착 플레이트(10)에 카메라모듈(110)을 안착 고정시켜 카메라모듈(110)을 검사하는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모듈안착 플레이트(10)는,
    카메라모듈(110)이 안착되는 안착부(20);
    상기 안착부(20)와 동일면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20)에 안착된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30); 및
    밀착블록(52) 및 탄성체(58)로 구비되는 밀착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블록(52)은 상기 안착부(20)에 접근하거나 상기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탄성체(58)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카메라모듈(110) 측면 중에서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을 상기 밀착블록(52)이 밀착하며 상기 카메라모듈(110)을 정렬 및 고정하되,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의 이웃하는 두 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밀착부재(5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 측면 중에서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에 대향하는 측면을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20)는 음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안착부(20)의 측벽으로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모듈(110)의 측면이 상기 측벽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블록(52) 하방으로, 가이드핀(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블록(52)은 상기 탄성체(58) 방향 내측면이 상기 가이드핀(60)을 향하여 경사진 내측경사면(56)으로 구비된 가이드홈(55)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핀(60)이 상기 가이드홈(55)으로 상기 내측경사면(56)을 밀면서 삽입되면, 상기 밀착블록(52)은 상기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탄성체(58)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60)의 단부는 상기 내측경사면(56)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60)의 단부 또는 상기 가이드홈(55)의 하부 모서리는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블록(52) 하방으로, 상기 탄성체(58)를 향하는 외측경사면(76)을 구비한 안내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착블록(52)은 하부면에 결합된 안내핀(80)을 포함하며,
    상기 안내핀(80) 상기 밀착블록(52)에 접근하면, 상기 안내핀(80)이 상기 외측경사면(76)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밀착블록(52)은 상기 안착부(20)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탄성체(58)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핀(80)의 단부는 상기 외측경사면(76)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의 일 측 모서리를 지지하고,
    상기 밀착부재(50)는 상기 카메라모듈(110) 모서리 중에서 상기 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되는 모서리에 대향하는 모서리를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58)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KR1020170086582A 2017-07-07 2017-07-07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KR101807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82A KR101807096B1 (ko) 2017-07-07 2017-07-07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82A KR101807096B1 (ko) 2017-07-07 2017-07-07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7096B1 true KR101807096B1 (ko) 2017-12-11

Family

ID=60943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582A KR101807096B1 (ko) 2017-07-07 2017-07-07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709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09A (ko) * 2017-09-18 2019-03-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2039303B1 (ko) * 2019-07-17 2019-10-31 주식회사 리얼마이크로시스템 카메라 모듈의 위치결정장치
KR102165483B1 (ko) * 2019-12-06 2020-10-14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장치
KR102218871B1 (ko) * 2020-04-27 2021-02-23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
KR102231941B1 (ko) * 2020-04-10 2021-03-25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단자 얼라인장치
KR20230041859A (ko) * 2021-09-17 2023-03-27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용 회로 기판 정렬 장치
KR102654553B1 (ko) * 2023-12-13 2024-04-04 주식회사 프로이천 네스트플레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09B1 (ko) 2013-05-07 2013-10-11 프라임텍 주식회사 내구성과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킨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387418B1 (ko) * 2013-11-19 2014-04-25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KR101448961B1 (ko) 2013-09-30 2014-10-14 프라임텍 주식회사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809B1 (ko) 2013-05-07 2013-10-11 프라임텍 주식회사 내구성과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킨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448961B1 (ko) 2013-09-30 2014-10-14 프라임텍 주식회사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KR101387418B1 (ko) * 2013-11-19 2014-04-25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1709A (ko) * 2017-09-18 2019-03-27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2527104B1 (ko) 2017-09-18 2023-05-0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소켓
KR102039303B1 (ko) * 2019-07-17 2019-10-31 주식회사 리얼마이크로시스템 카메라 모듈의 위치결정장치
KR102165483B1 (ko) * 2019-12-06 2020-10-14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장치
KR102231941B1 (ko) * 2020-04-10 2021-03-25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단자 얼라인장치
KR102218871B1 (ko) * 2020-04-27 2021-02-23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
KR20230041859A (ko) * 2021-09-17 2023-03-27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용 회로 기판 정렬 장치
KR102608592B1 (ko) 2021-09-17 2023-12-04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용 회로 기판 정렬 장치
KR102654553B1 (ko) * 2023-12-13 2024-04-04 주식회사 프로이천 네스트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7096B1 (ko) 카메라모듈 자동정렬 소켓
KR101673375B1 (ko)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504961B1 (ko) Ⅴcm 모듈 검사용 소켓
KR102157780B1 (ko) 지그
WO2011096067A1 (ja) 接触子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101281693B1 (ko) 엘이디 바 검사 장치
US20180024307A1 (en) Lens assembly,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KR20190124132A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핸들러
CN108604056B (zh) 相机模块检验设备
KR20180109303A (ko) 슬라이드 수직형 테스트 소켓
KR101504948B1 (ko) Vcm 모듈 접속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검사용 자동 소켓
KR101439129B1 (ko) 모듈아이씨 핸들러
KR101077940B1 (ko) 반도체 패키지 인서트 장치
KR101514796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센서 모듈 검사방법
JP4820394B2 (ja) テストソケット
KR101135487B1 (ko) 카메라모듈 검사 및 초점 조정 장치
KR101798593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소켓
KR102167024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KR101646544B1 (ko) 부품이 간소화된 테스트 소켓
JP2007109534A (ja) Icソケット
KR100770030B1 (ko) 디바이스 테스트 소켓
US7484285B2 (en) System for mating and demating multiple connectors mounted on board of semiconductor test apparatus
KR101640473B1 (ko) 테스트 핸들러용 자동 정렬 접촉연결유닛
KR20060062244A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용 캐리어 모듈
KR101970805B1 (ko) 정밀성을 향상시킨 핀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