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529B1 -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 Google Patents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529B1
KR102153529B1 KR1020180124188A KR20180124188A KR102153529B1 KR 102153529 B1 KR102153529 B1 KR 102153529B1 KR 1020180124188 A KR1020180124188 A KR 1020180124188A KR 20180124188 A KR20180124188 A KR 20180124188A KR 102153529 B1 KR102153529 B1 KR 102153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layer
dimensional pattern
transf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3623A (ko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80124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5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43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3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82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 B41M5/38207Contact thermal transfer or sublim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aspe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41M5/385 - B41M5/395
    • B41M5/38214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 B41M1/305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using mechanical, physical or chemical means, e.g. corona discharge, etching or organic solvents, to improve ink ret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B41M5/446Fluorine-containing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12Preparation of material for subsequent imaging, e.g. corona treatment, simultaneous coating, pre-trea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2205/00Printing methods or features related to printing methods; Location or type of the layers
    • B41M2205/40Cover layers; Layers separated from substrate by imaging layer; Protective layers; Layers applied before im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By Transfer Pi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PET film 패턴(문양) primer 및 이형성(박리성)을 갖는 고내후성을 특성으로 내화학성, 내용제성의 향상으로, 전사시트로 사용시 긴 수명과 제품내 친유성 성질 부여로 코팅시 우수한 표면 레벨링 및 인쇄성을 개선하며 실란을 사용해 보다 강한 부착성과 이형성을 함께 부여한 친환경 고내후성 PET film 패턴(문양) primer 및 이형성(박리성)을 가지는 전사시트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하면에 코로나처리 되는 기재시트; 상기 기재시트의 하면에 형성되는 유광층; 상기 기재시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무광(MATTING)층; 및 상기 무광(MATTING)층 상면에 형성되는 입체패턴 3D 보호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광층과 무광(MATTING)층은 폴리우레탄 아크릴 페이스트 96 중량부와 소광제 3.0~5.0 중량부 및 소포제 0.5~1.0 중량부를 함유한 조성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량 다품종 생산과 더불어 저렴한 비용으로 소량 생산이 가능하고 공급면에서도 원가 절감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제품에 다양한 특성의 문양(패턴)이 조합된 캐릭터, 상표, 로고, 문구 등을 제공하며 마찰 결여도, 내열성, 내마모성, 복원력, 탄성이 우수한 부착력, 접착성과 더불어 다양한 특성의 문양(패턴)을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TRANSFER SHEET PRINTED ON 3D PATTERN}
본 발명은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존 PET film 패턴(문양) primer 및 이형성(박리성)을 갖는 고내후성을 특성으로 내화학성, 내용제성의 향상으로, 전사시트로 사용시 긴 수명과 제품내 친유성 성질 부여로 코팅시 우수한 표면 레벨링 및 인쇄성을 개선하며 실란을 사용해 보다 강한 부착성과 이형성을 함께 부여한 친환경 고내후성 PET film 패턴(문양) primer 및 이형성(박리성)을 가지는 전사시트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제품을 포함한 의류, 신발, 핸드백, 모자, 가방, 문구 팬시류 등의 각종 제품에는 문자, 그림, 문양(양각,음각) 등이 조합되어 캐릭터, 로고, 상표, 문구 등의 다양한 디자인이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을 구현함에 있어서는 인쇄층이 포함되거나 동판을 사용하여 얻은 PET FILM 전사시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사시트는, 기재시트(1)의 상하면에 이형제층(2)과 패턴 몰드 UV층(3)이 형성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동판에 10마이크론 정도의 박막 코팅만을 할 수 있었고, 동판 비용으로 인해 소비자의 다양한 구매조건에 부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소량 다품종 생산과 더불어 고가의 동판 금형을 사용하지 않고 저렴한 비용으로 소량 생산할 수 있으며 공급면에서도 원가 절감을 하여 다양한 제품에 다양한 패턴(문양)의 문자, 그림, 문양 등이 조합된 캐릭터, 상표, 로고, 문구 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 결여도, 내열성, 내마모성, 복원력이 우수하며 부착성 및 탄성이 우수한 접착력과 더불어 다양한 특성의 문양(패턴)을 가지는 3D 입체 패턴 전사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하면에 코로나처리 되는 기재시트; 상기 기재시트의 하면에 형성되는 유광층; 상기 기재시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무광(MATTING)층; 및 상기 무광(MATTING)층 상면에 형성되는 입체패턴 3D 보호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광층과 무광(MATTING)층은 폴리우레탄 아크릴 페이스트 96 중량부와 소광제 3.0~5.0 중량부 및 소포제 0.5~1.0 중량부를 함유한 조성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입체패턴 보호층은, 실란올(디메틸실록산 하드옥시로 터미네이트, Mw 500~700, viscosity: 65 cSt ) 20~40 중량부, 아디픽산 10~2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8 중량부를 넣고, 25℃ ~ 170℃에서 2시간, 170℃ ~ 200℃에서 4시간 반응 후 이소프탈릭산 5~ 8 중량부, 1,6-헥산디올 3~5 중량부, 트리메틸롤프로판 5~8 중량부를 넣고, 200℃에서 1시간 유지 반응하고, 다시 200℃ ~ 230℃ 승온하여 4시간 반응하고 230℃로 유지 반응 후, 축합반응으로 나오는 물을 증류하여 반응을 완성한 축합반응물 50 ~70 중량부의 친유성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40~50 중량부, 촉매제인 비스무스 카르복실레이트(bismuth carboxylate) 1~5 중량부, 부착증진제인 3-(2,3-에폭시프로폭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1~5 중량부에 용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ether acetate) 40~50 중량부를 2시간 혼합교반후 탈포하고,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Poly(hexamethylene diisocyanate))를 혼합교반 탈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입체패턴 보호층 상면에는 3D 입체패턴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3D 입체패턴 인쇄층은, 축합반응물 50~70 중량부의 친유성 실리콘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5~45 중량부, 촉매제인 비스무스 카르복실레이트(bismuth carboxylate) 1~5 중량부, 부착증진제인 3-(2,3-에폭시프로폭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2,3-Epoxypropoxy) propyltrimethoxysilane} 1~5 중량부, 용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ether acetate) 40~50 중량부, 슬립성 에이전트(EU BEADS 입자사이즈 5마이크론) 2~3 중량부, 소광제(PE왁스 5%함유) 1~3 중량부, 불소 마이크로파우더(PTFE 입자사이즈3마이크론 이하) 1~2 중량부를 2시간 혼합교반후 탈포한 후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oly(hexamethylene diisocyanat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체패턴 3D 보호층 상면에는 입체 몰드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체 몰드 인쇄층은, 축합반응물 50~70 중량부의 친유성 실리콘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40~50 중량부에 촉매제인 비스무스 카르복실레이트(bismuth carboxylate) 1~5 중량부와 부착증진제인3-(2,3-에폭시프로폭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1~5 중량부에 용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ether acetate) 35~45 중량부와 슬립성 에이전트(EU BEADS 입자사이즈 20마이크론) 5~10 중량부, 불소 마이크로파우더(PTFE 입자사이즈3마이크론 이하) 1~2 중량부를 2시간 혼합교반후 탈포한 후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oly(hexamethylene diisocyanat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체 몰드 인쇄층 상면에는 투명소재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소재 인쇄층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 70 ~ 80 중량부에, Silica 20~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co-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릴 터미네이디드 10 중량부에 유기 및 무기로 이루어진 각종 소재와 펄, 홀로그램, 글리터, 비즈, 포토크로믹, 써모크로믹, Glass beads 중 어느 하나의 소재 5~10 중량부와 백금촉매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그림이나 문자, 도형을 실크 스크린하고 열콘베어 130~150도에 1분~3분 통과시켜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명소재 인쇄층 상면에는 수지잉크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지잉크층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 70 ~ 80 중량부에, Silica 20~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co-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릴 터미네이디드 10 중량부에 유기 및 무기안료 5~35 중량부를 롤라로 밀링하여 10㎛이하의 수지잉크에 백금 촉매 0.3 중량부를 혼합교반하여 진공탈포하고, 다층(5~10번) 실크스크린 인쇄에는 층과 층을 작업시 열건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체패턴 3D 보호층 상면 또는 3D 입체패턴 인쇄층 또는 입체 몰드 인쇄층 상면에는 볼륨수지잉크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볼륨수지잉크층은 벌크 고분자 폴리에스테르 15~17 중량부, 선형고분자 폴리에스테르 10~ 15 중량부,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18~20 중량부, 파라톨루엔셜포닉산 1~ 3 중량부, 마이크로글라스비드 3 ~ 10 마이크로 50 중량부에 부착증진을 위해 3(2,3-에폭시프로필)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5 중량부를 넣어 바인더를 제조하며, 점도는 10,000 ~ 30,000 cps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벌크 고분자 폴리에스테르는, 디펜타에리트리톨 7~10 중량부, 디메칠올프로피오닉산 70~77 중량부를 넣고, 파라톨루엔설폰산과 사이크로 헥사논이 50:50으로 혼합된 용액 5~ 8 중량부, 코코졸 100, 5~ 8 중량부를 넣은 후 온도를 80도로 올리면서 디졸핑을 30분정도 하면서 원료들을 완전 용해시킨 후, 촉매, 파라톨루에셜포닉산 약 1~ 2 중량부를 넣고 디졸빙하면서 140℃를 1시간동안 유지 반응하고, 170~ 200℃로 승온하면서 3시간 동안 반응 후 다시 200℃에서 1시간 동안 유지 반응하여 200℃~230℃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선형 고분자 폴리에스테르는, 2-메틸-1,3-프로판디올 10~1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2~3 중량부, 트리메틸프로판 1 중량부, 이소프탈릭산 10~15 중량부, 아디픽산 15~20 중량부, 도데실벤젠설포닉산 0.1 중량부를 넣고 디졸빙하면서 25℃~170℃로 승온하면서 2시간, 170℃~200℃에서 4시간 동안 반응하고, 200℃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며 유지하고, 다시 200℃~23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이후 230℃에서 1시간 동안 유지 반응하면서 반응중 생성된 물을 증류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지잉크층 상면에는 프라이머 접착제층이 형성되고, 상기 볼륨 수지잉크층 또는 프라이머 접착제층의 상면에는 액상수지 접착제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라이머 접착제층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 60 ~ 70 중량부, 1,1,1-트리메틸-N-(트리메틸실릴)실란아민 하이드록시 실리카 20 ~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co-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릴 터미네이디드 10 중량부, 백금 촉매 0.3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상수지 접착제층은 폴리우레탄 펠렛(Co-Polyurethane Pellet) 30 ~ 35 중량부 및 용제 65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중탕 교반하여 얻은 페이스트(paste)에 0~30㎛입도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를 10~20 중량부의 용제에 분산 교반하여 혼합하여 접착제층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량 다품종 생산과 더불어 저렴한 비용으로 소량 생산이 가능하고 공급면에서도 원가 절감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제품에 다양한 특성의 문양(패턴)이 조합된 캐릭터, 상표, 로고, 문구 등을 제공하며 마찰 결여도, 내열성, 내마모성, 복원력, 탄성이 우수한 부착력, 접착성과 더불어 다양한 특성의 문양(패턴)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재시트의 상하에 유무광층과 3D 입체패턴 보호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2는 도 1의 3D 입체패턴 보호층 상면에 3D 입체패턴 인쇄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3은 도 1의 3D 입체패턴 보호층 상면에 입체몰드 인쇄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4는 도 2의 3D 입체패턴 인쇄층 상면에 입체몰드 인쇄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5는 도 4의입체몰드 인쇄층 상면에 투명소재 인쇄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6은 도 2의 3D 입체패턴 인쇄층 상면에 수지잉크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4의 입체몰드 인쇄층 상면에 수지잉크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8은 도 5의 투명 소재 인쇄층 상면에 수지잉크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9는 도 1의 3D 입체패턴 보호층 상면에 볼륨수지 잉크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10은 도 2의 3D 입체패턴 인쇄층 상면에 볼륨수지 잉크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11은 도 4의 입체몰드 인쇄층 상면에 볼륨수지 잉크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12는 도 6의 수지잉크층의 상면에 프라이머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13은 도 10의 볼륨수지 잉크층의 상면에 액상수지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14는 도 12의 프라이머 접착제층 상면에 액상수지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15는 도 12의 프라이머 접착제층 상면에 핫멜트(HOTMELT) 도포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16은 도 14의 액상수지 접착제층 상면에 핫멜트(HOTMELT) 도포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 예시도
도 17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사시트의 단면 구성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전사시트는 상하면에 코로나처리 되는 기재시트(10)와 기재시트의 하면에 형성되는 유광층(20)과 기재시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무광(MATTING)층(21) 및 무광(MATTING)층의 상면에 형성되는 입체패턴 3D 보호층(30)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광층(21) 상면에 형성되는 3D 입체패턴 보호층(30)은 실란올(디메틸실록산 하드옥시로 터미네이트, Mw 500~700, viscosity: 65 cSt ) 20 ~ 40 중량부, 아디픽산 10~2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8 중량부를 넣고 25℃~170℃에서 2시간, 170℃~200℃ 4시간 반응 후 이소프탈릭산 5~ 8 중량부, 1,6-헥산디올 3~5 중량부, 트리메틸롤프로판 5~8 중량부를 넣고 20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을 유지한다.
그리고 다시 200℃~230℃로 승온 후 4시간 반응시키고 230℃로 1차 유지 반응 후, 축합반응으로 나오는 물을 증류하여 반응을 완성한 축합반응물 50 ~70 중량부, 친유성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40~50 중량부에, 촉매제인
Figure 112020054002490-pat00001
비스무스 카르복실레이트(bismuth carboxylate) 1~5 중량부와 부착증진제인
Figure 112020054002490-pat00002
3-(2,3-에폭시프로폭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1~5 중량부, 용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ether acetate) 40~50 중량부를 2시간 혼합교반후 탈포한다.
그리고, 경화제인
Figure 112020054002490-pat00003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Poly(hexamethylene diisocyanate))를 혼합교반 탈포하여 사용한다.
Scheme 1 : 비스므스 트리옥사이드는 친환경 염기성 촉매로써 기존의 환경호르몬 영향을 미치는 틴 촉매 (DBTDL: Dibutyltin dilaurate)를 대체한다. Isocyanate와 폴리올간의 우레탄 결합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04
<R : 친유성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R1 :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는 Trimer로 3차원 Network 결합을 이룰 수 있어 내구성이 매우 우수해진다. 특히 내용제성과 내충격성 내화학성에 탁월한 구조를 만들게 된다.
R2 : Epoxy silane, 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이며, coupling 결합을 유도하며 지금까지 PET film 소지 부착력이 나쁜 것을 개선한다. 이 에폭시 실란은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 네이트와 결합하며 PET film과 본 발명 프라이머와의 화학결합을 공고히 한다.
Scheme 2 : 에폭시 실란 [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과 이소시아네이트의 결합 반응. 특히 본 발명에는 소재 (PET film)과의 보다 강한 화학결합과 이형성(박리성)을 이루기 위해 Epoxy silane을 채택했다. 결합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05
Scheme 3 : 에폭시 실란 [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의 가수분해 및 자기 축합반응에 의한 coupling 반응으로 PET film과 프라이머의 부착력을 증대 개선한다. 반응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06
아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및 이형제를 PET film 도장 후 완전 경화시의 최종 화학결합 구조도이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07
친유성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합성은 다음과 같다.
실란올(디메틸실록산 하드옥시로 터미네이트, Mw 500~700, viscosity: 65 cSt ) 20 ~ 40 중량부, 아디픽산 10 ~ 2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8 중량부를 넣고 25 ~ 170℃에서 2시간, 170 ~ 200℃에서 4시간 반응 후 이소프탈릭산 5~ 8 중량부, 1,6-헥산디올 3~5 중량부, 트리메틸롤프로판 5~8 중량부를 넣고 200℃에서 1시간 반응 유지한 후, 다시 200 ~ 230℃로 승온 후 4시간 반응하고, 230℃에서 유지 반응 후 축합반응으로 나오는 축합반응물을 증류하여 반응을 완성한다. 친유성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고형분은 50 ~70 중량부, 점도 15,000 cps 이며, 색상은 아파칼라 5 이하를 유지한다. 친유성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는 트리메틸롤 프로판과 같은 포화지방족으로 내후성등에 매우 강한 특성을 가지며 이소프탈릭산의 함유로 도망표면의 레벨링성과 경도증대를 가져오면 특히 실리콘 알코올의 적용로 친유성 특성과 내광성, 내열성, 내후성, 내오염성의 물리적 특성을 부여한 배합이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08
<친유성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합성 구조>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3D 입체패턴 보호층(30)의 상면에는 3D 입체패턴 인쇄층(31) 및/또는 입체몰드 인쇄층(3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09
<입체몰드 인쇄층이 전사된 상태의 전사시트 예시 사진>
3D 입체패턴 보호층(30)은 무광층(21)에 실크 스크린 100~300목으로 코팅 인쇄되는데, 열콘베어(IR 챔버) 150℃에서 60초 동안 가열되어 건조 경화되면서 매우 우수한 부착력을 갖는다. 즉, 3D 입체패턴 보호층(30)이나 3D 입체패턴 인쇄층(31), 입체몰드 인쇄층(32)은 같은 계열의 물성이기 때문에 상호간에 부착성이 매우 우수하고 다른 물성과 사용시에는 이형성(박리성)을 갖는 물질이다.
따라서, 표면 위에 인쇄되는 우레탄 계열이나 실리콘 타입, 열경화성 전사잉크를 깨끗이 이형(박리) 시키게 된다. 첨가제에 따라 5마이크론에서 200마이크론으로 그림,문양 및 도형, 글씨,캐릭터와 패턴을 인쇄코팅할 수 있으며, 다층구조로 몰드형태를 부여하여 입체감과 볼륨감이 있는 전사시트지를 얻을 수 있다.
3D 입체패턴 인쇄층(31)은, 축합반응물 50~70 중량부의 친유성 실리콘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5~45 중량부, 촉매제인 비스무스 카르복실레이트(bismuth carboxylate) 1~5 중량부, 부착증진제인 3-(2,3-에폭시프로폭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1~5 중량부, 용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ether acetate) 40~50 중량부, 슬립성 에이전트(EU BEADS 입자사이즈 5마이크론) 2~3 중량부, 소광제(PE왁스 5%함유) 1~3 중량부, 불소 마이크로파우더(PTFE 입자사이즈3마이크론 이하) 1~2 중량부를 2시간 혼합교반후 탈포한 후 경화제인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oly(hexamethylene diisocyanate))를 혼합 교반하여 사용한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10
Figure 112020054002490-pat00011
<3D 입체패턴 인쇄층이 형성된 상태의 전사시트 예시 사진>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제품을 손쉽게 얻을 수 있으며, 실크 스크린 목수 460목 이상의 스크린 메쉬 망사을 사용하면 1~3마이크론 정도의 초박막 3D 입체패턴인쇄층(31)을 얻을 수 있어 소량 다품종 생산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의 3D 입체패턴보호층(30) 상면에 입체몰드 인쇄층(32)을 형성함에 있어서, 유효성분 함량 50~70 중량부의 친유성 실리콘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40~50 중량부에 촉매제인 비스무스 카르복실레이트(bismuth carboxylate) 1~5 중량부와부착증진제인3-(2,3-에폭시프로폭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1~5 중량부에 용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ether acetate)35~45 중량부와 슬립성 에이전트(EU BEADS 입자사이즈 20마이크론) 5~10 중량부, 불소 마이크로파우더(PTFE 입자사이즈3마이크론 이하) 1~2 중량부를 2시간 혼합교반하여 탈포한 후,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oly(hexamethylene diisocyanate)) 입체몰드 인쇄층을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 입체패턴보호층(30) 상면에 3D 입체패턴인쇄층(31), 그리고 3D 입체패턴인쇄층(31) 상면에 입체몰드 인쇄층(32)을 형성하여 다양한 그림, 문양 및 도형, 글씨, 캐릭터와 패턴은 물론, 피전사체에 열프레스 전사시 이중 삼중으로 입체형태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인쇄용칼라도 적층구조에 따라 달리 적층 함으로써 표면과 칼라의 다양성을 함께 구현할 수 있는 전사시트이다.
본 발명은 실크스크린 인쇄 80목~150목으로 피전사체에 열프레스 전사시 이중 삼중으로 입체형태를 표현할 수 있으며 인쇄용 칼라도 적층구조에 따라 달리 적층 함으로써 다양한 칼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그림, 문양 및 도형, 글씨, 캐릭터 패턴을 5마이크론에서 200마이크론으로 실크 스크린 인쇄100~300목으로 인쇄코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입체 몰드 인쇄층(32) 상면에는 투명소재 인쇄층(41)이 형성될 수 있다. 투명소재 인쇄층(41)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 70 ~ 80 중량부에, Silica 20~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co-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릴 터미네이디드 10 중량부에 유기 및 무기로 이루어진 각종 소재와 펄, 홀로그램, 글리터, 비즈, 포토크로믹, 써모크로믹, Glass beads 중 어느 하나의 소재 5~10 중량부와 백금촉매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그림이나 문자, 도형을 실크 스크린하고 열콘베어 130~150℃에서 1분~3분 통과시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12
<투명 소재 잉크층이 전사된 상태의 전사시트 예시 사진>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3D 입체패턴인쇄층(31) 상면 또는 입체몰드 인쇄층(32) 상면 또는 투명소재 잉쇄층 상면에는 수지잉크층(42)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지잉크층(42)은
Figure 112020054002490-pat00013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 70 ~ 80 중량부, Silica 20~30 중량부에,
Figure 112020054002490-pat00014
폴리(디메틸실록산)-co-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릴터네이디드 10 중량부에 각종 유기/무기안료를 5~35 중량부를 롤라로 밀링하여 10㎛ 이하의 수지잉크에 백금 촉매 0,3 중량부를 혼합교반 라여 진공탈포하여 다층(5~10번)으로 실크스크린 인쇄하며, 층과 층을 작업시 130 ~150℃에 1 ~ 3분 열콘베어를 통과시켜 열건조를 시킨다.
이때, 폴리(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는 Elongation 850%, Tensile strength 2.8 MPa인 것을 사용한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15
Figure 112020054002490-pat00016
<수지잉크층이 전사된 상태의 전사시트 예시 사진>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 입체패턴 보호층(30) 상면 또는 3D 입체패턴인쇄층(31) 상면 또는 입체몰드 인쇄층(32) 상면에는 볼륨수지잉크층(5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볼륨수지잉크층(50)은
Figure 112020054002490-pat00017
벌크 고분자 폴리에스테르 15~17 중량부,
Figure 112020054002490-pat00018
선형고분자 폴리에스테르 10~ 15 중량부,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18~20 중량부, 파라톨루엔셜포닉산 약 1~ 3 중량부, 마이크로글라스비드 3 ~ 10 마이크로 50 중량부에 부착증진을 위해 3(2,3-에폭시프로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5 중량부를 넣어 바인더를 만든다. 이때 점도 70,000 ~ 100,000 cps 정도를 유지한다. 볼륨수지잉크층(50)은 고내마모성, 내후성, 내광성, 내화학성, 내용제성을 갖으며 실크 스크린 목수 50목으로 유제 두께 300마이크론으로 각종 그림, 문양 및 도형, 글씨, 캐릭터를 패턴 등을 1층 내지 다층구조로 적재하여 실크 스크린 인쇄한 후에 열콘베어 150℃에서 60초~80초로 가열 건조하여 볼륨감 있는 전사시트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벌크 고분자 폴리에스테르는 디펜타에리트리톨 7~10 중량부, 디메칠올프로피오닉산 70~77 중량부를 넣고, 파라톨루엔설폰산과 사이크로 헥사논이 50:50으로 혼합된 용액 5~ 8 중량부, 코코졸 100, 5~ 8 중량부를 넣은 후 온도를 80도로 올리면서 디졸핑을 30분정도 하면서 원료들을 완전 용해시킨 후, 촉매, 파라톨루에셜포닉산 약 1~ 2 중량부를 넣고 디졸빙하면서 140℃를 1시간동안 유지 반응하고, 170~ 200℃로 승온하면서 3시간 동안 반응 후 다시 200℃에서 1시간 동안 유지 반응하여 200℃~230℃ 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후 230'C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면 반응 종결되며, 반응중 생성된 축합생성물 중류하여 수득물을 얻는다. 이때 수득물을 높은 가교도의 벌크한 폴리에스터 폴리올이 생성된다. 고형분은 약 70 ~ 85 중량부, 색상은 아파칼라 20 이하를 유지한다.
또한, 선형 고분자 폴리에스테르는 2-메틸-1,3-프로판디올 10~1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2~3 중량부, 트리메틸프로판 1 중량부, 이소프탈릭산 10~15 중량부, 아디픽산 15~20 중량부, 도데실벤젠설포닉산 0.1 중량부를 넣고 디졸빙하면서 25℃~170℃로 승온하면서 2시간, 170℃~200℃에서 4시간 동안 반응하고, 200℃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며 유지하고, 다시 200℃~23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것이 끝나면 230'C에서 1시간 유지 반응 하면서 반응중 생성된 축합생성물을 증류하여 수득물을 얻는다. 추후 사이크로헥사논 5~10 중량부, 코코졸100 5~10 중량부를 넣어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수득물을 높은 분자량의 선형구조를 가지며 고형분은 70 ~ 80 중량부를 유지하며, 점도는 가드너 V~X, 색상은 아파칼라 약 5정도이다.
배합구조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19
<벌크 고분자 폴리에스테르>
Figure 112020054002490-pat00020
<선형 고분자 폴리에스테르>
즉, 다양한 그림, 문양 및 도형, 글씨, 캐릭터와 패턴이 인쇄코팅 된 3D 입체패턴인쇄층(31) 상면에 볼륨수지잉크층(50)을 형성시켜 피전사체에 열프레스기로 전사시킨 후 박리시 볼륨감(200~600마이크론) 있는 제품 표면에 다양한 그림, 문양 및 도형, 글씨, 캐릭터와 패턴이 구현된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21
<볼륨수지 잉크층이 전사된 상태의 전사시트 예시 사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잉크층(42) 상면에 프라이머 접착제층(60)을 형성하는데, 프라이머 접착제층(60)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
Figure 112020054002490-pat00022
60 ~ 70 중량부, 1,1,1-트리메틸-N-(트리메틸실릴) 실란아민 하이드록시 실리카
Figure 112020054002490-pat00023
20 ~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co-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릴 터미네이디드
Figure 112020054002490-pat00024
10 중량부, 백금 촉매 0.3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며, 촉매 존재하에서 120-150℃ 의 40”~90”초 열콘베어를 통과 가열하는 조건에서 쉽게 화학결합하게 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륨 수지 잉크층(50) 상면 또는 프라이머 접착제층(60) 상면에 액상수지 접착제층(71)이 형성되는데, 폴리우레탄 펠렛(Co-Polyurethane Pellet) 30 ~ 35 중량부 및 용제 65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중탕 교반하여 얻은 페이스트(paste)에 0~30㎛ 입도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를 10~20 중량부 용제에 분산교반하여 혼합하여 접착제층을 얻는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페이스트층을 구성하는 폴리우레탄 펠렛(Co-Polyurethane Pellet)은 녹는점(Melting Point) 128℃, 세척저항(Wash Resistance) 90℃, 굳기 경도(Hardness) 78A인 것이 좋으며, 상용화된 제품으로서 네덜란드 DSM사의 023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용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아세테이트(PGMA ; Propylene Glycol Monomethylether Acetate), 에탄올(Ethanol), 메틸에톡시 아세테이트(Methylethoxy Acetate)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저독성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수지잉크층(42)을 다층 구조로 적층 한 후에 프라이머 접착제층(60)을 적층시 반건조 상태로 열콘베어 120~130℃에서 40초 미만으로 통과 시킨 후에 핫멜트(HOTMELT) 도포 접착제층(72)이나 액상수지 접착제층(71)을 실크 스크린인쇄하고 영콘베어를 통과 시키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핫멜트(HOTMELT) 도포 접착제층(72)이나 액상수지 접착제층(71)이 완전히 열콘베어 내에서 용융(Melting)되는 것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머 접착제층(60)의 상면 또는 액상수지 접착제층(71) 상면에 핫멜트(HOTMELT) 도포 접착제층(72)이 형성됨에 있어서, 핫멜트(HOTMELT) 도포 접착제층(72)은 80 ~ 700㎛ 입도 크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Co-Polyurethane) 등의 핫멜트 수지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핫멜트 수지 분말은 상용화된 제품으로서 네덜란드 DSM사의 015, 018 등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핫멜트 수지 분말층은 프라이머 접착제층(60)의 상면에 스캐터(SCATTER) 장치를 통해 미세한 수지 분말 입자를 도포하고, 에어브러시(Airbrush)를 통해 강하게 불어준 후, 폴리우레탄 페이스트층에 투입되지 않은 수지 분말 입자를 흡입 펌프(Suction pump)를 통해 빨아들이고, 이후 열콘베어로에서 150℃ 온도에서 10 ~ 12초로 통과하여 용융시킨 후, 냉각장치를 통해 냉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분말 도포접착제층을 포함하는 전사시트를 피전사체 150℃ 온도에서 7 ~ 15초로 가압, 부착박리한 경우, 매우 우수한 접착력을 가진다. 또한, 핫멜트 수지 분말은 그 입도 크기에 있어서, 작은 글씨나 로고 등에는 80 ~ 100㎛이 유리하며, 그림이나 문양 등에는 100 ~ 200㎛이 유리하다.
Figure 112020054002490-pat00025
Figure 112020054002490-pat00026
<3D 입체패턴 인쇄층 상면에 수지잉크층과 핫멜트 도포 접착제층이 형성된 전사시트의 예시 사진>
Figure 112020054002490-pat00027
Figure 112020054002490-pat00028
<입체몰드 인쇄층 상면에 수지잉크층과 프라이머 접착제층 및 핫멜트 도포 접착제층이 형성된 전사시트의 예시 사진>
한편, 수지잉크층(42)을 다층 구조로 적층 한 후에 프라이머 접착제층(60)을 적층시 반건조 상태로 열콘베어 120~130℃에서 40초미만으로 통과 시킨 후에 핫멜트(HOTMELT) 도포 접착제층(72)이나 액상수지 접착제층(71)을 실크 스크린인쇄 하고 140~150℃에서 60초 ~90초 열콘베어를 통과 시킨다. 이때, 중요한 것은 액상수지 접착제층(71)이나 핫멜트(HOTMELT) 도포 접착제층(72) 완전히 열콘베어 내에서 용융(Melting) 되어야 한다. 이는 이형성(박리성)을 양호하게 하여 다양한 그림이나 문양 등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이다.
10 : 기재시트 20 : 유광층
21 : 무광(MATTING)층 30 : 3D 입체패턴 보호층
31 : 3D 입체패턴 인쇄층 32 : 입체 몰드 인쇄층
41 : 투명 소재 인쇄층 42 : 수지 잉크층
50 : 볼륨수지 잉크층 60 : 프라이머 접착제층
71 : 액상수지 접착제층 72 : 핫멜트(HOTMELT) 도포 접착제층

Claims (14)

  1. 상하면에 코로나처리 되는 기재시트;
    상기 기재시트의 하면에 형성되는 유광층;
    상기 기재시트의 상면에 형성되는 무광(MATTING)층; 및
    상기 무광(MATTING)층 상면에 형성되는 입체패턴 3D 보호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광층과 무광(MATTING)층은 폴리우레탄 아크릴 페이스트 96 중량부와 소광제 3.0~5.0 중량부 및 소포제 0.5~1.0 중량부를 함유한 조성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패턴 보호층은,
    실란올(디메틸실록산 하드옥시로 터미네이트, Mw 500~700, viscosity: 65 cSt ) 20~40 중량부, 아디픽산 10~20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5~8 중량부를 넣고, 25℃ ~ 170℃에서 2시간, 170℃ ~ 200℃에서 4시간 반응 후 이소프탈릭산 5~ 8 중량부, 1,6-헥산디올 3~5 중량부, 트리메틸롤프로판 5~8 중량부를 넣고, 200℃에서 1시간 유지 반응하고,
    다시 200℃ ~ 230℃ 승온하여 4시간 반응하고 230℃로 유지 반응 후,
    축합반응으로 나오는 물을 증류하여 반응을 완성한 축합반응물 50 ~70 중량부의 친유성 실리콘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40~50 중량부, 촉매제인 비스무스 카르복실레이트(bismuth carboxylate) 1~5 중량부, 부착증진제인 3-(2,3-에폭시프로폭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1~5 중량부에 용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ether acetate) 40~50 중량부를 2시간 혼합교반후 탈포하고,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Poly(hexamethylene diisocyanate))를 혼합교반 탈포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패턴 보호층 상면에는 3D 입체패턴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3D 입체패턴 인쇄층은,
    축합반응물 50~70 중량부의 친유성 실리콘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35~45 중량부, 촉매제인 비스무스 카르복실레이트(bismuth carboxylate) 1~5 중량부, 부착증진제인 3-(2,3-에폭시프로폭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1~5 중량부, 용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ether acetate) 40~50 중량부, 슬립성 에이전트(EU BEADS 입자사이즈 5마이크론) 2~3 중량부, 소광제(PE왁스 5%함유) 1~3 중량부, 불소 마이크로파우더(PTFE 입자사이즈3마이크론 이하) 1~2 중량부를 2시간 혼합교반후 탈포한 후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oly(hexamethylene diisocyanat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패턴 3D 보호층 상면 또는 3D 입체패턴 인쇄층에는 입체 몰드 인쇄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몰드 인쇄층은,
    축합반응물 50~70 중량부의 친유성 실리콘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40~50 중량부에 촉매제인 비스무스 카르복실레이트(bismuth carboxylate) 1~5 중량부와 부착증진제인 3-(2,3-에폭시프로폭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2,3-Epoxypropoxy)propyltrimethoxysilane} 1~5 중량부에 용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ether acetate) 35~45 중량부와 슬립성 에이전트(EU BEADS 입자사이즈 20마이크론) 5~10 중량부, 불소 마이크로파우더(PTFE 입자사이즈3마이크론 이하) 1~2 중량부를 2시간 혼합교반후 탈포하고, 폴리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Poly(hexamethylene diisocyanat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몰드 인쇄층 상면에는 투명소재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투명소재 인쇄층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 70 ~ 80 중량부에, Silica 20~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co-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릴 터미네이디드 10 중량부에 유기 및 무기로 이루어진 각종 소재와 펄, 홀로그램, 글리터, 비즈, 포토크로믹, 써모크로믹, Glass beads 중 어느 하나의 소재 5~10 중량부와 백금촉매 0.3 중량부를 혼합하여 그림이나 문자, 도형을 실크 스크린하고 열콘베어 130~150도에 1분~3분 통과시켜 적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소재 인쇄층 상면에는 수지잉크층이 형성되며,
    상기 수지잉크층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 70 ~ 80 중량부에, Silica 20~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co-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릴 터미네이디드 10 중량부에 유기 및 무기안료 5~35 중량부를 롤라로 밀링하여 10㎛이하의 수지잉크에 백금 촉매 0.3 중량부를 혼합교반하여 진공탈포하고, 다층(5~10번)으로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패턴 3D 보호층 상면 또는 3D 입체패턴 인쇄층 또는 입체 몰드 인쇄층 상면에는 볼륨수지잉크층이 더 형성되며,
    상기 볼륨수지잉크층은 벌크 고분자 폴리에스테르 15~17 중량부, 선형고분자 폴리에스테르 10~ 15 중량부,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18~20 중량부, 파라톨루엔셜포닉산 1~ 3 중량부, 마이크로글라스비드 3 ~ 10 마이크로 50 중량부에 부착증진을 위해 3(2,3-에폭시프로필)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0.5 중량부를 넣어 바인더를 제조하며, 점도는 10,000 ~ 30,000 cps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고분자 폴리에스테르는,
    디펜타에리트리톨 7~10 중량부, 디메칠올프로피오닉산 70~77 중량부를 넣고, 파라톨루엔설폰산과 사이크로 헥사논이 50:50으로 혼합된 용액 5~ 8 중량부, 코코졸 100, 5~ 8 중량부를 넣은 후 온도를 80도로 올리면서 디졸핑을 30분정도 하면서 원료들을 완전 용해시킨 후, 촉매, 파라톨루에셜포닉산 1~ 2 중량부를 넣고 디졸빙하면서 140℃를 1시간동안 유지 반응하고,
    170~ 200℃로 승온하면서 3시간 동안 반응 후 다시 200℃에서 1시간 동안 유지 반응하여 200℃~230℃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고분자 폴리에스테르는,
    2-메틸-1,3-프로판디올 10~15 중량부, 에틸렌글리콜 2~3 중량부, 트리메틸프로판 1 중량부, 이소프탈릭산 10~15 중량부, 아디픽산 15~20 중량부, 도데실벤젠설포닉산 0.1 중량부를 넣고 디졸빙하면서 25℃~170℃로 승온하면서 2시간, 170℃~200℃에서 4시간 동안 반응하고, 200℃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하며 유지하고, 다시 200℃~23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이후 230℃에서 1시간 동안 유지 반응하면서 반응중 생성된 물을 증류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잉크층 상면에는 프라이머 접착제층이 형성되고, 상기 프라이머 접착제층의 상면에는 액상수지 접착제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접착제층은 폴리(디메틸실록산), 비닐 터미네이티드 60 ~ 70 중량부, 1,1,1-트리메틸-N-(트리메틸실릴)실란아민 하이드록시 실리카 20 ~ 30 중량부, 폴리(디메틸실록산)-co-메틸하이드로실록산) 트리메틸실릴 터미네이디드 10 중량부, 백금 촉매 0.3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수지 접착제층은 폴리우레탄 펠렛(Co-Polyurethane Pellet) 30 ~ 35 중량부 및 용제 65 ~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중탕 교반하여 얻은 페이스트(paste)에 0~30㎛입도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를 10~20 중량부의 용제에 분산 교반하여 혼합하여 접착제층을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KR1020180124188A 2018-10-18 2018-10-18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KR10215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188A KR102153529B1 (ko) 2018-10-18 2018-10-18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188A KR102153529B1 (ko) 2018-10-18 2018-10-18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623A KR20200043623A (ko) 2020-04-28
KR102153529B1 true KR102153529B1 (ko) 2020-09-08

Family

ID=70456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188A KR102153529B1 (ko) 2018-10-18 2018-10-18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5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983A (ko) 2022-06-28 2024-01-04 (주)아셈스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240002271A (ko) 2022-06-28 2024-01-05 (주)아셈스 입체 물품의 패턴 코팅 장치 및 방법
KR20240002270A (ko) 2022-06-28 2024-01-05 (주)아셈스 자성안료 패턴이 형성된 입체 물품 및 그 패턴 형성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103B1 (ko) * 2006-07-25 2007-03-08 주식회사 아트포일 열 승화 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KR100819438B1 (ko) * 2007-11-23 2008-04-04 김동현 표면성이 우수한 전사시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2104B1 (ko) * 2000-08-23 2002-04-10 정숙희 입체문양용 용해 열전사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68749B1 (ko) * 2010-11-30 2013-05-29 (주)엘지하우시스 유광 또는 무광 무늬를 갖는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103B1 (ko) * 2006-07-25 2007-03-08 주식회사 아트포일 열 승화 전사지 및 이를 이용한 전사 방법
KR100819438B1 (ko) * 2007-11-23 2008-04-04 김동현 표면성이 우수한 전사시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983A (ko) 2022-06-28 2024-01-04 (주)아셈스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240002271A (ko) 2022-06-28 2024-01-05 (주)아셈스 입체 물품의 패턴 코팅 장치 및 방법
KR20240002270A (ko) 2022-06-28 2024-01-05 (주)아셈스 자성안료 패턴이 형성된 입체 물품 및 그 패턴 형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3623A (ko) 2020-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3529B1 (ko)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CN100519676C (zh) 用于聚碳酸酯基材的墨水
KR100844385B1 (ko) 열전사형 복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130314470A1 (en) Method for printing metal-tone printed matter and metal-tone printed matter
CN104968855A (zh) 织物或皮革制品的印刷方法和使用该方法印刷的印刷品
CN102369112A (zh) 包括承载膜的粘附性标示元件及其制备方法
CN102026818A (zh) 将紫外线固化油墨施加到逆向反射片材的方法
KR102166550B1 (ko) 인쇄물용 열라미네이팅 필름
CN110774790A (zh) 一种抗菌耐腐蚀热转印花膜及其生产工艺
CN110408249A (zh) 一种高分子复合薄膜的制备方法
CN111332056A (zh) 一种抗菌耐腐蚀热转印花膜及其生产工艺
CN105196727A (zh) 一种印刷工艺
CN103106839A (zh) 一种不干胶印刷的亮银不干胶标签及其制备方法
KR101469199B1 (ko) 입체 라벨 및 그 제조방법
KR101759167B1 (ko) 폴리에틸렌수지 표면 전사용 전사지
KR100892031B1 (ko) 접착 및 부착성이 매우 우수한 실리콘 전사시트
KR100502546B1 (ko) 투명홀로그램 전사인쇄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345125A (zh) 两用转印膜
CN112406347A (zh) 耐磨工艺转印花膜及其生产工艺
WO2022257107A1 (zh) 具有功能性表层的电竞椅及其功能性表层的制造方法
CN101735755A (zh) 胶粘剂组合物及使用其制作挠性印制电路板的方法
KR102206897B1 (ko) 접합유리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CN114475032A (zh) 一种含可变隐藏信息的void防伪标签的生产方法
JP2010167747A (ja) ホログラム箔接着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品
CN101758678A (zh) 具有紫外光胶印层和紫外光增强层的转印纸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