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983A -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983A
KR20240001983A KR1020220078994A KR20220078994A KR20240001983A KR 20240001983 A KR20240001983 A KR 20240001983A KR 1020220078994 A KR1020220078994 A KR 1020220078994A KR 20220078994 A KR20220078994 A KR 20220078994A KR 20240001983 A KR20240001983 A KR 20240001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attern
article
mold
adhesive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지상
이재정
김경규
최경석
박치균
Original Assignee
(주)아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셈스 filed Critical (주)아셈스
Priority to KR1020220078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983A/ko
Priority to EP22212999.1A priority patent/EP4299197A1/en
Priority to US18/090,150 priority patent/US11951510B2/en
Publication of KR2024000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9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1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 coating with specific electr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00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 A43B3/007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characterised by a special shape or design provided with logos, letters, signatures or the like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5/00Shoe-finishing machines
    • A43D95/06Machines for colouring or chemical treatment; Ornamenting the sole bot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02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Controlling means therefor; Control of the thickness of a coating by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the coated surface
    • B05C11/023Apparatus for spreading or distribut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lready applied to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3/00Means for manipulating or holding work, e.g. for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 B05D3/065After-treatment
    • B05D3/067Curing or cross-linking the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2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agnetic f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2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agnetic fields
    • B05D3/207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magnetic fields post-treatment by magnet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25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H01F7/0205Magnetic circuits with PM in general
    • H01F7/021Construction of PM
    • H01F7/0215Flexible form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201/00Polymeric substrate or laminate
    • B05D2201/02Polymeric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401/00Form of the coating product, e.g. solution, water dispersion, pow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4/00Epoxy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601/00Inorganic fillers
    • B05D2601/02Inorganic fillers used for pigmentation effect, e.g. metallic effect
    • B05D2601/10Other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05D7/53Base coat plus clear coa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05D7/54No clear coat specifi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7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supply of electric current or selective application of magnetism to a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for magnetic prin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1/00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 D06B11/0073Treatment of selected parts of textile materials, e.g. partial dyeing of 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패턴 또는 문양으로 자력선을 생성하도록 된 마그네틱패턴몰드 상에 물품을 적층하고, 접착성 수지 내에 강자성을 갖는 자성안료를 혼합한 도료를 물품에 분사하여 접착성 수지 내의 자성안료가 마그네틱패턴몰드의 자력선을 따라 재배열되면서 소정의 패턴 또는 문양을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하는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Pattern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n an Article}
본 발명은 물품의 표면에 자성안료에 의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패턴 또는 문양으로 자력선을 생성하도록 된 마그네틱패턴몰드 상에 물품을 적층하고, 접착성 수지 내에 강자성을 갖는 자성안료를 혼합한 도료를 물품에 분사하여 접착성 수지 내의 자성안료가 마그네틱패턴몰드의 자력선을 따라 재배열되면서 소정의 패턴 또는 문양을 표면에 코팅하여 형성하는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잡한 3차원 형상 및 다양한 크기를 갖는 제품에서 디자인의 자유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층에 다양한 패턴 및 색상을 구현함과 동시에 우수한 물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들이 많이 행해져 왔다.
예를 들어 자동차 내장재, 가전제품 등에서는 심미적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양한 공법들이 적용되어 왔으며, 특히 최근에는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도장, 도금, 수압전사, 인서트(Insert) 성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 색상, 무늬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장, 도금, 수압전사, 인서트(Insert) 성형 등의 방법은 다양한 색상의 구현은 가능하나 패턴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한계가 있고, 공정이 복잡하고 생산비가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0765호에 플라스틱 수지에 일정 조성비로 자성 안료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원재료를 금형에 주입하는 동시에, 완제품의 패턴 표면 쪽 금형에 설치한 전자석에 전류를 인가하여 자기장을 형성함으로써 자기장의 형상(자기력선)에 따라 원재료 내 자성 안료가 배열되어 3차원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금형을 개형하기 전에 금형 내에서 냉각시켜서 완전하게 경화시킨 완제품을 취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차원 패턴의 형성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3차원 패턴의 형성 방법은 제품의 원재료 내에 다량의 자성 안료가 포함되어야 하므로 제조 원가가 상승하고, 사출 금형에 전자석을 설치해야 하므로 금형 제작과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며, 제작자가 패턴을 임의로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78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535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076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9081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물품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의 변경이 용이한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는,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물품이 적층되며, 소정의 패턴으로 자력선을 생성하는 마그네틱패턴몰드; 및,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에 적층된 물품의 표면에 강자성으로 된 자성안료가 함유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에 습윤분산제, 탈포제, 경화제, 자성안료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 50~65 중량%, 유동성 조절제 0.1~0.5중량%, 습윤분산제 0.5~1.5 중량%, 탈포제 0.5 내지 1.5 중량%, 경화제 10~20 중량%, 잔부의 자성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에 소정의 패턴 또는 문양으로 음각된 비자력패턴이 형성되어 비자력패턴의 외측 영역으로 자력선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의 비자력패턴 내측에 비자성체의 수지로 된 충전재가 채워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는,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에 적층되는 약자성체 또는 비자성체로 된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는 NS극이 상하방향으로 착자된 탄성 재질의 자석으로 된 것일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S1) 마그네틱패턴몰드에 물품을 적층하는 단계; 및,
(S2) 물품에 강자성의 자성안료가 함유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분사하여 물품의 표면에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S2)에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자성안료가 마그네틱패턴몰드의 자력선을 따라 배열되면서 물품의 표면에 자성안료에 의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S2)를 수행할 때 물품에 열을 가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패턴으로 자력선을 생성하는 마그네틱패턴몰드 상에 물품을 적층하고, 접착성 수지 내에 강자성을 갖는 자성안료를 혼합한 도료를 물품의 표면에 분사하여 접착성 수지 내의 자성안료가 마그네틱패턴몰드의 자력선을 따라 재배열되면서 원하는 패턴을 물품의 표면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물품에 원하는 패턴 형상으로 자성안료를 재배열하여 코팅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패턴이나 문양은 물론이고 3차원적인 입체 착시 효과를 주는 패턴도 원하는 대로 물품의 표면에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의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 또는 문양의 형상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그네틱패턴몰드만 교체하여 간단히 패턴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패턴의 변경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물품은 표면에 자성안료가 혼합된 접착성 수지가 함께 코팅되면서 패턴이 형성되므로 물품 자체에 패턴이 표현되는 기존의 물품보다 기계적인 강도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패턴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마그네틱패턴몰드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한 패턴 형성 장치에 의해 패턴이 형성된 물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한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마그네틱패턴몰드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을 후술된 실시예들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는, 물품(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패턴으로 자력선을 생성하도록 성형된 마그네틱패턴몰드(10)와,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10) 상에 적층된 물품(1)에 자성안료를 혼합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건(20)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레이건(20)에서 분사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접착성 수지 내에 강자성을 갖는 자성안료를 혼합한 조성물로서, 스프레이건(20)에서 분사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 내의 자성안료(3)는 마그네틱패턴몰드(10)의 자력선을 따라 재배열되면서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것과 같이 물품(1)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코팅 대상 물품(1)이 3차원적인 입체 형상을 갖는 경우, 마그네틱패턴몰드(10)는 코팅 대상 물품(1)의 형상과 대응하는 입체 형상을 갖도록 미리 성형되어 코팅 공정에서 물품(1)과 적층된다. 예를 들어 이 실시예와 같이 물품(1)이 반원통 형상을 가질 경우 마그네틱패턴몰드(10) 역시 반원통 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이외에도 물품(1)이 양측부가 절곡된 평판이나 곡면판, 다각형 케이스 형태를 가질 경우, 마그네틱패턴몰드(10)는 물품(1)의 내측면에 밀착되면서 적층될 수 있도록 물품(1)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마그네틱패턴몰드(10)는 물품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과 대응하는 패턴으로 자력선을 형성하여, 접착성 수지 조성물 내의 자성안료(3)를 자력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재배열하는 작용을 한다. 마그네틱패턴몰드(10)는 자력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원하는 소정의 패턴으로 자력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원하는 패턴과 반대의 패턴으로, 즉 물품(1)에 형성하고자 하는 패턴과 반대되는 패턴으로 음각된 비자력패턴(11)이 형성되어 비자력패턴(11)의 외측 영역에서 자력선이 형성된다. 마그네틱패턴몰드(10)에 음각된 비자력패턴(11) 내측에는 비자성체의 수지로 된 충전재(12)가 채워질 수 있다. 비자력패턴(11) 내측에 채워지는 충전재(12)로서 내열성 및 안정성이 우수한 실리콘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내열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충전재(12)는 비자력패턴(11) 내측에서 마그네틱패턴몰드(10)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비자력패턴(11)의 외측 영역에 단절된 부분이 발생하더라도 패턴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마그네틱패턴몰드(10)는 고무자석과 같은 탄성 재질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물품(1)에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NS극이 상하방향으로 착자된 것이 바람직하다. 마그네틱패턴몰드(10)에 NS극이 좌우방향으로 착자될 경우 접착성 수지 조성물 내의 자성안료(21)가 의도한 패턴으로 정확하게 배열되지 않고 물품(1)에 의도치 않은 줄무늬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데, 마그네틱패턴몰드(10)의 NS극이 상하방향으로 착자되면 이러한 의도치 않은 줄무늬 패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10)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에 마그네틱패턴몰드(10)의 강도를 보강하여 마그네틱패턴몰드(1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약자성체 또는 비자성체로 된 지지플레이트(30)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30)는 마그네틱패턴몰드(10)의 자력이 자성안료(21)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얇은 두께를 가지며, 알루미늄과 같이 자성이 매우 약한 금속이나 고내열성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30)는 마그네틱패턴몰드(10)에 접합되어 코팅 공정 이전에 공지의 프레스 장치나 성형장치에 의해 마그네틱패턴몰드(10)와 함께 물품(1)과 대응하는 입체 형태로 성형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르게 지지플레이트(30)가 마그네틱패턴몰드(10)와는 개별적으로 물품(1)과 대응하는 형태로 성형된 후 마그네틱패턴몰드(10)의 면에 접합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마그네틱패턴몰드(10)와 지지플레이트(30)의 접합체는 공정 챔버(5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공정 챔버(50)의 상측에는 물품(1)의 표면으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분사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스프레이건(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건(20)은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소정의 분사 압력으로 분사하여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물품(1)의 표면에 코팅한다. 스프레이건(20)의 분사 압력은 4 내지 10 kg/㎠ 인 것이 균일한 코팅층 형성에 바람직하며, 특히 7 내지 8 kg/㎠ 의 범위에서 균일한 코팅층 형성과 자성안료(3)의 재배열이 의도하는 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프레이건(20)은 자동화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분사가 제어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사람이 수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레이건(20)을 통해 분사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물품(1)의 표면에 코팅되어 접착성 수지층(2)을 형성하는데, 이 때 접착성 수지 조성물 내에 함유된 자성안료(3)가 마그네틱패턴몰드(10)에서 생성된 자력선을 따라 배열되면서 자력선과 대응하는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스프레이건(20)에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이 물품(1)의 표면에 분사된 후 신속하게 경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정 챔버(50) 내부에 열을 방출하는 히터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자외선 광원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건(20)에서 분사되는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다양한 소재의 물품(1)의 표면에 대한 접착력이 우수하고 스프레이용으로 분무할 수 있는 적절한 점도를 갖도록 된 것으로, 에폭시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에 습윤분산제, 탈포제, 경화제, 자성안료를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수지는 50~65 중량%, 유동성 조절제 0.1~0.5중량%, 습윤분산제 0.5~1.5 중량%, 탈포제 0.5 내지 1.5 중량%, 경화제 10~20 중량%, 잔부의 자성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 수지는 구성분자의 화학적인 단위로서 에폭시결합을 갖는 고분자 물질로서,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노볼락형 등이 있다. 먼저 비스페놀 A형은 에피클로로 히드린과 비스페놀 A를 중합하여서 제조되는 가장 일반적인 에폭시 수지로서, 분자구조 중에 친수성의 수산기와 소수성의 탄화수소기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어 접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다수개의 벤젠핵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 회전이 힘들고, 환경호르몬의 일종인 페놀성분을 유출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며,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는 비스페놀 A형의 분자 가운데 있는 CH3 가 수소(H)로 치환된 것으로서, 비스페놀 A형에 비해 점도가 낮고, 다른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며, 특히 환경호르몬을 유출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는 50~6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0 중량% 미만이면 코팅층의 가교밀도가 저하되고 물성이 저해되며, 65중량%를 초과하면 조성물의 흐름성 문제로 인해 적절한 코팅층 두께 확보가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유동성 조절제는 발연 실리카(Fumed silica), 우레아수지(Urea resin), 폴리아마이드왁스(Polyamidewax), 벤토나이트(Bentonite) 중 어느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유동성 조절제는 0.1 내지 0.5중량%의 함량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중량% 미만인 경우 흐름성이 높아 수직으로 흐르는 현상이 발생하며, 0.5중량%를 초과하면 과도한 처방으로 물성이 저해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습윤분산제 및 탈포제의 함량은 각각 0.5~1.5 중량%, 0.5 내지 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데, 분산제의 함량이 낮으면 자성안료의 분산이 잘 안되고 과다하면 수지의 물성이 저해된다. 또한 탈포제의 함량이 미달되는 경우 기포 발생이 억제되지 않고, 탈포제의 함량이 초과되면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경화제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수지에 적합하도록 폴리아마이드, 지방족 아민, 지환족 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제는 10~2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0 중량% 미만이면 접착력이 낮아지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 변화로 인해 수지의 분사가 어려워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자성안료(3)는 강자성 분말로 되어, 물품(1)에 분사될 때 물품(1)에 적층되는 마그네틱패턴몰드(10)(도 2 및 도 4 참조)에서 생성되는 자력에 의해 접착성 수지층(2) 내에서 재배열되면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자성안료(3)는 자력에 의해 유동이 가능한 철, 망간, 코발트, 니켈, 이산화크롬 등의 강자성 금속을 포함하며, 초록색이나 청색, 적색 등의 소정의 색상을 가진 안료 입자로서, 공지의 금속안료와 같은 자성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패턴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물품(1)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공정 챔버(50) 내부에 마그네틱패턴몰드(10)와 물품(1)을 적층한 다음, 스프레이건(20)을 통해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분사하여 물품(1)의 표면에 도포하면, 접착성 수지 조성물 내의 자성안료가 마그네틱패턴몰드(10)에서 생성되는 자력선을 따라 배열되면서 물품(1)의 표면에 자성안료에 의한 소정의 패턴이 형성된다.
이 때, 공정 챔버(50) 내부에 고온의 열을 가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신속하게 경화시켜 물품(1)의 표면에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한 접착성 수지층(2)이 코팅되고, 패턴의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패턴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원통형의 물품(1)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물품(1)은 전자담배와 같은 전기제품의 케이스로서, 표면에 접착성 수지 조성물에 의한 접착성 수지층(2)이 도포되고, 접착성 수지층(2) 내에 자성안료(3)가 자력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된 구조를 갖는다. 물론 이 실시예에서 물품(1)은 전기제품의 케이스인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외에도 인테리어 소품, 자동차나 항공기, 선박 등의 내장재 등 다양한 입체 형태를 갖는 물품일 수 있으며, 반원통 형태, 양측부가 절곡된 평판이나 곡면판, 다각형 판 형태 등을 갖는 플라스틱 사출물이나 수지재, 금속재, 세라믹 소재, 직물지 등일 수 있다.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물품(1)은 3차원 형태를 갖는 것일 수 있으나, 물품(1)이 원단이나 직물, 패널 등 평판 형태로 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품(1)이 편평한 평면으로 이루어질 경우,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마그네틱패턴몰드(10)를 평판 형태로 제작하여 마그네틱패턴몰드(10) 위에 물품(1)을 적층하고 스프레이건(20)으로 물품(1) 위에 자성안료가 함유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분사하여 자성안료에 의한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마그네틱패턴몰드(10)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에 얇은 평판 형태의 지지플레이트(30)를 적층하여 패턴 형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물품(1)의 표면에 자성안료(3)가 함유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분사하면 마그네틱패턴몰드(10)의 자력에 의해 자성안료(3)가 소정의 패턴으로 배열되면서 물품(1)의 표면에 소정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턴의 코팅 공정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물품(1)의 표면에 코팅하고자 하는 패턴 형상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그네틱패턴몰드(10)를 교체하여 간단히 패턴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패턴의 변경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패턴 형성 방법에 의해 패턴 또는 문양이 형성된 접착성 수지층(2)이 코팅된 물품(1)은 그 표면에 코팅된 접착성 수지층(2)으로 인하여 기계적인 강도 또한 증가하게 되므로, 물품 자체에 패턴이나 문양이 표현되는 기존의 물품보다 우수한 물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 : 물품 2 : 접착성 수지층
3 : 자성안료 10 : 마그네틱패턴몰드
11 : 비자력패턴 12 : 충전재
20 : 스프레이건 30 : 지지플레이트
50 : 공정 챔버

Claims (9)

  1.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물품이 적층되며, 소정의 패턴으로 자력선을 생성하는 마그네틱패턴몰드; 및,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에 적층된 물품의 표면에 강자성으로 된 자성안료가 함유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분사하는 스프레이건;
    을 포함하는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에 습윤분산제, 탈포제, 경화제, 자성안료를 혼합한 것인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성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 수지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수지 50~65 중량%, 유동성 조절제 0.1~0.5중량%, 습윤분산제 0.5~1.5 중량%, 탈포제 0.5 내지 1.5 중량%, 경화제 10~20 중량%, 잔부의 자성안료를 포함하는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에 소정의 패턴 또는 문양으로 음각된 비자력패턴이 형성되어 비자력패턴의 외측 영역으로 자력선이 생성되는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의 비자력패턴 내측에 비자성체의 수지로 된 충전재가 채워진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의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에 적층되는 약자성체 또는 비자성체로 된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틱패턴몰드는 NS극이 상하방향으로 착자된 탄성 재질의 자석으로 된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물품의 표면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S1) 마그네틱패턴몰드에 물품을 적층하는 단계; 및,
    (S2) 물품에 강자성의 자성안료가 함유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분사하여 물품의 표면에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S2)에서 접착성 수지 조성물의 자성안료가 마그네틱패턴몰드의 자력선을 따라 배열되면서 물품의 표면에 자성안료에 의한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패턴 형성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2)를 수행할 때 물품에 열을 가하거나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성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의 패턴 형성 방법.
KR1020220078994A 2022-06-28 2022-06-28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KR20240001983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994A KR20240001983A (ko) 2022-06-28 2022-06-28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EP22212999.1A EP4299197A1 (en) 2022-06-28 2022-12-13 Apparatus for forming magnetic pigment pattern on article and method for forming magnetic pigment pattern using the same
US18/090,150 US11951510B2 (en) 2022-06-28 2022-12-28 Apparatus for forming magnetic pigment pattern on article and method for forming magnetic pigment pattern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994A KR20240001983A (ko) 2022-06-28 2022-06-28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983A true KR20240001983A (ko) 2024-01-04

Family

ID=84887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994A KR20240001983A (ko) 2022-06-28 2022-06-28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51510B2 (ko)
EP (1) EP4299197A1 (ko)
KR (1) KR2024000198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081A (ko) 2008-11-25 2010-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체패턴 형성을 위한 자기도장방법
KR101080765B1 (ko) 2008-11-28 2011-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제품에 3차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101296783B1 (ko) 2011-06-17 2013-08-14 박인화 입체 성형품의 3차원 무늬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입체성형커버
KR102153529B1 (ko) 2018-10-18 2020-09-08 김동현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218582T2 (de) * 1992-02-21 1997-07-10 Hashimoto Forming Kogyo Co Lackierung mit magnetisch hergestelltem Muster und lackiertes Produkt mit magnetisch hergestelltem Muster
US7934451B2 (en) * 2002-07-15 2011-05-03 Jds Uniphase Corporation Apparatus for orienting magnetic flakes
CN109917626B (zh) * 2017-12-12 2022-04-05 株式会社爱睦悉缇 利用磁性油墨与磁力的图案形成方法及其夹具
JP7387961B2 (ja) * 2019-03-28 2023-11-29 シクパ ホルディング ソシエテ アノニム 配向非球状磁性又は磁化可能顔料粒子を含む光学効果層を生成するための磁気アセンブリ及びプロセス
KR102095774B1 (ko) * 2019-11-12 2020-04-01 (주)아이엠씨티 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한 자성 패턴인쇄용 지그 제작 방법 및 그에 의해 제작된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081A (ko) 2008-11-25 2010-06-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체패턴 형성을 위한 자기도장방법
KR101080765B1 (ko) 2008-11-28 2011-11-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제품에 3차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101296783B1 (ko) 2011-06-17 2013-08-14 박인화 입체 성형품의 3차원 무늬 형성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입체성형커버
KR102153529B1 (ko) 2018-10-18 2020-09-08 김동현 3d 입체패턴에 다양한 인쇄가 되는 전사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99197A1 (en) 2024-01-03
US11951510B2 (en) 2024-04-09
US20230415194A1 (en)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623013A (zh) 纖維強化複合材料之製造方法、樹脂基材及預形體
KR20240001983A (ko)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EP1648680B1 (en) A method for forming a moulding comprising magnetic particles
KR20240002270A (ko) 자성안료 패턴이 형성된 입체 물품 및 그 패턴 형성 장치
KR20240075244A (ko) 물품의 패턴 형성 장치
KR20240075242A (ko) 물품의 자성안료 패턴 형성용 마그네틱 지그
KR20240075245A (ko) 다층 자성안료 패턴을 갖는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40076467A (ko) 물품의 자성안료 패턴 형성용 착탈식 마그네틱 지그
TW201219126A (en) Forming mold with du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xterior panel for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using the forming mold
JP3122355B2 (ja) 成形品の製造方法
KR100909172B1 (ko) 자력을 이용한 엠보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09476935A (zh) 耐腐蚀涂层及其制造方法
KR102539214B1 (ko) 원단의 입체 착시 패턴 형성용 마그네틱 패터닝 모듈
KR102535199B1 (ko) 자성안료 패턴을 갖는 신발 밑창과 그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539216B1 (ko) 원단의 패턴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2539213B1 (ko) 원단의 입체 착시 패턴 형성용 핫멜트 접합필름
KR20100052778A (ko) 3차원 패턴 형성을 위한 자기 도장 장치 및 방법
CA3113960C (en) Sanitary article
JP2010120312A (ja) 型内塗装品の製造方法
JP2000016850A (ja) 人工大理石およびその製法
KR20230005018A (ko) 입체 착시 패턴이 형성된 합포원단 및 이를 적용한 제품
KR20150062574A (ko) 금속질감을 갖는 자동차 부품의 사출성형방법
KR20190068158A (ko) 인몰드코팅 방법
JP4460551B2 (ja) ラバーマグネットの着色方法及びこの方法により製造した磁石
JP2016022411A (ja) 合成樹脂製の被塗装材上に塗装する製造方法及び合成樹脂製の被塗装材上に塗装が施された加飾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