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956B1 -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956B1
KR102150956B1 KR1020190154295A KR20190154295A KR102150956B1 KR 102150956 B1 KR102150956 B1 KR 102150956B1 KR 1020190154295 A KR1020190154295 A KR 1020190154295A KR 20190154295 A KR20190154295 A KR 20190154295A KR 102150956 B1 KR102150956 B1 KR 102150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blow
lens
su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화
Priority to KR1020190154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2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접토치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카메라하우징(12)과;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면에 렌즈(24)가 설치되고, 용접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0)과;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이물질이 상기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로우부재(30)와; 상기 카메라모듈(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우부재(30)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외부로 안내하는 석션부재(40);를 포함하는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반경이 증대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Camera Assembly With Lens Protection}
본 발명은 카메라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는 렌즈에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장치는 선박, 플랜트, 건설,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기술이다.
이러한 용접장치는 용접봉 등과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용접부위를 붙여줌으로써, 여러 조각으로 제조된 부품으로 서로 결합시키거나, 서로 다른 부품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최근 용접장치는 용접 공정 자동화를 위해 로봇에 용접장치가 설치되는 용접로봇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용접로봇의 일측에는 카메라모듈이 부착되어 용접로봇의 용접과정을 원거리에서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용접로봇에 카메라모듈이 부착된 형태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5-0062223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용접로봇에 적용되는 카메라모듈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용접 대상물인 파이프의 용접 이음부를 평상시 또는 용접시 실시간으로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촬영하여 용접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을 확인 및 용접이 완료된 용접 표면 비드를 검사할 수 있는 카메라 영상처리부;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면서 용접 변수를 제어하는 유선영상리모트컨트롤러; 배관자동용접장치의 각각의 구동부를 제어 및 용접 변수등을 통합 제어하는 통합제어기; 용접 대상물인 파이프의 사이즈에 맞추어 외면에 설치되어 용접진행 방향 및 주행 이동 방향에 대하여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가이드 레일; 파이프 외면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주행 및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배관자동용접장치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용접로봇에 적용되는 카메라모듈은 용접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카메라모듈의 렌즈가 오염됨에 따라 카메라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선명하게 촬영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카마레모듈의 렌즈에 이물질이 부착됨에 따라 이를 제거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용접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5-0062223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모듈의 렌즈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렌즈의 이물질 부착을 방지함에 따라 보다 선명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접토치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면에 렌즈가 설치되고, 용접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의 하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로우부재와, 상기 카메라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우부재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외부로 안내하는 석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블로우부재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의 외측에 설치되는 블로우프레임과, 상기 블로우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호스형태로 이루어져 콤프레샤와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상기 블로우프레임에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관과, 상기 블로우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블로우프레임의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압축공기안내유로와, 상기 블로우프레임의 하부면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공기안내유로와 연통되어 압축공기를 하부방향으로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홀을 포함한다.
상기 석션부재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의 하부에 설치되는 석션프레임과, 상기 석션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호스형태로 이루어져, 석션기구와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흡입하는 압축공기흡입관과, 상기 석션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압축공기흡입관과 연통되고, 상기 블로우부재에 의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는 석션홈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하부면에는, 상기 렌즈의 하부방향으로 소정 각도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블로우부재의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렌즈 측으로 안내하는 압축공기가이드리브가 더 구비된다.
용접봉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하부면에 렌즈가 설치되고, 용접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과, 상기 카메라모듈의 하부 둘레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렌즈의 하부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이물질이 상기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로우부재와, 상기 블로우부재의 반대측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우부재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의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석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모듈의 일측에 블로우부재 및 석션부재가 설치되어 렌즈의 하부에 에어커튼을 형성함에 따라 용접과정 중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렌즈에 부착되는 이물질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렌즈의 하부면에 압축공기의 분사 및 흡입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카메라하우징의 내부에 압축공기가 잔존하여 발생할 수 있는 와류 현상이 최소화되고, 렌즈의 이슬맺힘 및 습기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보다 선명한 영상 촬영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가 용접로봇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가 용접로봇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로우부재 및 석션부재가 카메라모듈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로우부재의 구성을 보인 전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로우부재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석션부재의 구성을 보인 전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가 용접로봇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로우부재 및 석션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로우부재 및 석션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가 용접로봇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가 용접로봇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로우부재 및 석션부재가 카메라모듈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로우부재의 구성을 보인 전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로우부재의 구성을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석션부재의 구성을 보인 전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용접로봇(1)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용접로봇(1)은 일반적인 용접로봇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용접로봇(1)은 용접토치(2)와 로봇암(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접토치(2)는 산소와 아세탈을 혼합하거나 팁에서 분출가스를 연소해 용접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용접방식을 산소 용접 방식이라 한다.
상기 용접로봇(1)에 적용되는 용접토치는 산소용접기구 이외에도 아크용접기구, 플라즈마용접기구, 전기용접기구, 레이저 용접기구 등 다양한 용접기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접토치(2)의 일측에는 로봇암(4)이 설치된다. 상기 로봇암(4)은 일반적인 로봇암(Robot Arm)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로봇암(4)은 다관절 형태로 이루어져, 용접부위에 따라 회전 및 절첩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봇암(4)의 끝단에는 상기 용접토치(2)가 설치되어, 용접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접토치(2)의 외부면에는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10)가 설치된다. 상기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10)는 상기 용접토치(2)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용접토치(2)에 의해 용접되는 용접부위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접토치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카메라하우징(12)과,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면에 렌즈(24)가 설치되고, 용접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0)과,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이물질이 상기 렌즈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로우부재(30)와, 상기 카메라모듈(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우부재(30)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외부로 안내하는 석션부재(40)를 포함하는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를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은 도 4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 부터 내부의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상부면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상부면을 통해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하부면에는 촬영홀(14)이 형성된다. 상기 촬영홀(14)은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하부면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로 용접부위가 보여지는 부분이다.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하부면에는 압축공기가이드리브(16)가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가이드리브(16)는 촬영홀(14)을 둘러싸는 가장자리가 하방으로 라운드지게끔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가이드리브(16)는 도 5와 같이 후술할 블로우부재(30)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후술할 렌즈(24)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에는 카메라모듈(20)이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모듈(20)은 일반적인 카메라(camera)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카메라모듈(20)은 일반적인 촬영기구(22)와 렌즈(24)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접부위의 용접과정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메라모듈(20)의 외측에는 블로우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블로우부재(30)는, 크게 블로우프레임(32), 압축공기공급관(34) 그리고 압축공기안내유로(36), 압축공기분사홀(38)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20)의 외측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은 반원링 형상을 가지는 2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은 반원링 형상을 가지는 2개의 프레임이 체결나사(50)에 의해 서로 조립되어 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상부면에는 압축공기공급관(34)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공급관(34)은 일반적인 호스(hose)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공기공급관(34)은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공급관(34)은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내부와 연통되며, 콤프레샤(미도시)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블로우프레임(32)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내부에는 압축공기안내유로(36)가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안내유로(36)는 원형 링 형상의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안내유로(36)는 상기 압축공기공급관(34)과 연통되어, 후술할 압축공기분사홀(38) 측으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하부면에는 압축공기분사홀(38)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홀(38)은 도 8과 같이,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하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홀(38)은 상기 압축공기안내유로(36)와 연통되어, 상기 압축공기공급관(34)에 의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카메라모듈(20)의 둘레면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분사한다.(도 5 참조)
상기와 같은 블로우부재(30)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는 상기 카메라하우징(12)에 형성되는 압축공기가이드리브(16)에 의해 렌즈(24)측으로 안내되며, 이로 인해 렌즈의 하부면에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에 에어커튼이 형성됨에 따라 용접과정 중 발생되는 연기에 의해 상기 렌즈(24)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모듈(20)의 하단 둘레면에는 석션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석션부재(40)는, 크게 석션프레임(42), 압축공기흡입관(44) 그리고 석션홈(4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석션프레임(42)은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20)의 하단 외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석션프레임(42)은 반원링 형상을 가지는 2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석션프레임(42)은 반원링 형상을 가지는 2개의 프레임이 체결나사(50)에 의해 서로 조립되어 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석션프레임(42)의 상부면에는 압축공기흡입관(44)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흡입관(44)은 일반적인 호스(hose)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공기흡입관(44)은 상기 석션프레임(42)의 상부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흡입관(44)은 상기 석션프레임(42)의 내부와 연통되며, 석션기구(미도시)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석션프레임(42)의 내주면에는 석션홈(46)이 형성된다. 상기 석션홈(46)은 도 9와 같이, 상기 석션프레임(42)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된다. 상기 석션홈(46)은 상기 압축공기흡입관(44)과 연통되어, 상기 블로우부재(30)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블로우부재(30)에 의해 연속적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에 에어커튼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을 지나간 압축공기는 상기 석션부재(40)의 의해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에 에어커튼이 연속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압축공기는 연속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부에 와류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렌즈의 얼룩 발생 및 습기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보다 선명한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가 용접로봇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로우부재 및 석션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에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블로우부재 및 석션부재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에 의한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10)는, 용접봉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며, 하부면에 렌즈(24)가 설치되고, 용접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0)과, 상기 카메라모듈(20)의 하부 둘레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이물질이 상기 렌즈(24)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로우부재(30)와, 상기 블로우부재(30)의 반대측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우부재(30)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모듈(20)의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석션부재(40)를 포함하는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를 특징으로 제시한다.
상기 카메라모듈(20)은 일반적인 카메라(camera)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카메라모듈(20)은 일반적인 촬영기구(22)와 렌즈(24)로 이루어져, 용접토치(2)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용접부위의 용접과정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메라모듈(20)의 외측에는 블로우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블로우부재(30)는, 크게 블로우프레임(32), 압축공기공급관(34) 그리고 압축공기분사홈(39)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은 반원 링 형태를 가지며, 상기 카메라모듈(20)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공급되어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부분이다.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상부면에는 압축공기공급관(34)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공급관(34)은 일반적인 호스(hose)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공기공급관(34)은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공급관(34)은 후술할 압축공기분사홈(39)과 연통되며, 콤프레샤(미도시)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상기 블로우프레임(32)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내주면에는 압축공기분사홈(39)이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홈(39)은 도 14와 같이,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된다. 상기 압축공기분사홈(39)은 상기 압축공기공급관(34)과 연통되어,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에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즉, 상기 압축공기공급관(34)에 의해 공급된 압축공기는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압축공기분사홈(39)을 통해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에 분사되어 에어커튼을 형성한다.(도 15 참조)
상기 블로우부재(30)의 우측면에는 석션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석션부재(40)는, 크게 석션프레임(42), 압축공기흡입관(44) 그리고 석션홈(4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석션프레임(42)은 반원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20)의 하단 외주면에 설치된다. 상기 석션프레임(42)의 내부에는 압축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카메라모듈(20)의 외측으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석션프레임(42)의 상부면에는 압축공기흡입관(44)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흡입관(44)은 일반적인 호스(hose)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압축공기흡입관(44)은 상기 석션프레임(42)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상기 압축공기흡입관(44)은 상기 석션프레임(42)의 내부와 연통되며, 석션기구(미도시)와 연결되어 압축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석션프레임(42)의 내주면에는 석션홈(46)이 형성된다. 상기 석션홈(46)은 도 14와 같이, 상기 석션프레임(42)의 내주면을 따라 소정 깊이 만큼 함몰 형성된다. 상기 석션홈(46)은 상기 압축공기흡입관(44)과 연통되어, 상기 블로우부재(30)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블로우부재(30)와 상기 석션부재(40)는 상기 카메라모듈(20)의 외주면 하단에 설치되며, 체결나사(50)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상기 카메라모듈(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공기분사홈(39)과 상기 석션홈(46)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압축공기분사홈(39)을 통해 분사된 압축공기는 석션홈(46)을 통해 즉시 카메라모듈(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블로우부재(30)에 의해 연속적으로 압축공기가 분사되어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에 에어커튼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을 지나간 압축공기는 상기 석션부재(40)의 의해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15 참조)
따라서,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에 에어커튼이 연속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압축공기는 연속적으로 배출됨에 따라 상기 카메라하우징의 내부에 와류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상기 렌즈의 얼룩 발생 및 습기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보다 선명한 촬영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카메라어셈블리 12. 카메라하우징
14. 촬영홀 16. 압축공기가이드리브
20. 카메라모듈 22. 촬영기구
24. 렌즈 30. 블로우부재
32. 블로우프레임 34. 압축공기공급관
36. 압축공기안내유로 38. 압축공기분사홀
40. 석션부재 42. 석션프레임
44. 압축공기흡입관 46. 석션홈

Claims (5)

  1.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용접토치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카메라하우징(12)과;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부면에 렌즈(24)가 설치되고, 용접과정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0)과;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24)의 하부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24)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로우부재(30)와; 상기 카메라모듈(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로우부재(30)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외부로 안내하는 석션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블로우부재(30)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20)의 외측에 설치되는 블로우프레임(32)과;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호스형태로 이루어져 콤프레샤와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상기 블로우프레임(32)에 공급하는 압축공기공급관(34)과;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내부로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안내하는 압축공기안내유로(36)와; 상기 블로우프레임(32)의 하부면을 따라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압축공기안내유로(36)와 연통되어 압축공기를 하부방향으로 분사하는 압축공기분사홀(38);을 포함하고,
    상기 석션부재(40)는, 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카메라모듈(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석션프레임(42)과; 상기 석션프레임(42)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호스형태로 이루어져, 석션기구와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흡입하는 압축공기흡입관(44)과; 상기 석션프레임(42)의 내주면을 따라 함몰 형성되며, 상기 압축공기흡입관(44)과 연통되고, 상기 블로우부재(30)에 의한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흡입하는 석션홈(46);을 포함하며,
    상기 블로우프레임(32) 및 석션프레임(42)은 반원링 형상을 가지는 2개의 프레임이 서로 결합되어 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카메라하우징(12)의 하부면에는, 렌즈(24)의 하방 측에 촬영홀(14)이 관통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촬영홀(14)을 둘러싸는 가장자리가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압축공기가이드리브(16)가 형성되어 블로우부재(30)에 의해 분사되는 압축공기를 렌즈(24) 측으로 안내하는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54295A 2019-11-27 2019-11-27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 KR102150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95A KR102150956B1 (ko) 2019-11-27 2019-11-27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95A KR102150956B1 (ko) 2019-11-27 2019-11-27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956B1 true KR102150956B1 (ko) 2020-09-02

Family

ID=7244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295A KR102150956B1 (ko) 2019-11-27 2019-11-27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9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3272A (zh) * 2021-05-14 2021-10-22 福建省长汀金龙稀土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视觉的料盒抓取系统
CN113601493A (zh) * 2021-08-19 2021-11-05 安徽长青建筑制品有限公司 一种高精度单臂机器人焊接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0429A (ja) * 2004-08-18 2006-03-02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の塵埃除去機構
KR20150062223A (ko) 2013-11-28 2015-06-08 (주)지이씨 배관 자동용접 시스템
KR101918981B1 (ko) * 2017-11-17 2018-11-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0429A (ja) * 2004-08-18 2006-03-02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の塵埃除去機構
KR20150062223A (ko) 2013-11-28 2015-06-08 (주)지이씨 배관 자동용접 시스템
KR101918981B1 (ko) * 2017-11-17 2018-11-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23272A (zh) * 2021-05-14 2021-10-22 福建省长汀金龙稀土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视觉的料盒抓取系统
CN113523272B (zh) * 2021-05-14 2023-09-29 福建省长汀金龙稀土有限公司 一种基于机器视觉的料盒抓取系统
CN113601493A (zh) * 2021-08-19 2021-11-05 安徽长青建筑制品有限公司 一种高精度单臂机器人焊接系统
CN113601493B (zh) * 2021-08-19 2023-11-10 安徽长青建筑制品有限公司 一种高精度单臂机器人焊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0956B1 (ko)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
JP6375898B2 (ja) 水中レーザ切断方法及び装置
KR20160129786A (ko) 작업용 드론
KR20130012275A (ko) 용접선 추적용 레이저 비전 센서 헤드
JP6135615B2 (ja) 塗装装置
CN109475968B (zh) 用于表面加工的方法、用于制造发动机缸体的方法、用于表面加工的装置和机动车
JP2700621B2 (ja) ロボット
JPWO2014188880A1 (ja) 洗浄位置確認装置、流体到達位置確認装置、洗浄位置確認システムおよび流体到達位置確認方法
KR20090030581A (ko) 레이저 용접기용 스패터 포집장치
JP6807016B2 (ja) 表面処理装置
KR200466953Y1 (ko) 용접기용 토치
KR200476578Y1 (ko) 레이저 가공설비의 보조 집진장치
KR102115527B1 (ko) 레이저 스폿용접장치
JP2005046721A (ja) ダクト内清掃装置及びダクト内清掃方法
KR102003194B1 (ko) 레이저 스폿용접장치 및 레이저 스폿용접방법
CN113399789B (zh) 一种焊接用视觉定位装置及方法
US20230278137A1 (en) Laser processing device and nozzle inspection method
JP2020106700A (ja) 防塵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装置
KR102654186B1 (ko) 클리닝수단을 구비한 레이저 리페어용 조명장치
JP2019155340A (ja) 汚染除去装置
JP2019166534A (ja) シールドボックス、溶接装置および溶接方法
WO2024048469A1 (ja) レーザー処理用回収装置、レーザー処理システム、及び、レーザー処理方法
KR20190105842A (ko) 길이가변 레이저 스폿용접장치
KR200145210Y1 (ko) 방진용 로봇 핸드
JP2009226555A (ja) 切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