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981B1 -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8981B1
KR101918981B1 KR1020170153511A KR20170153511A KR101918981B1 KR 101918981 B1 KR101918981 B1 KR 101918981B1 KR 1020170153511 A KR1020170153511 A KR 1020170153511A KR 20170153511 A KR20170153511 A KR 20170153511A KR 101918981 B1 KR101918981 B1 KR 10191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hotographing hole
flow path
photographing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순
김성렬
박진형
백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5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17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23/81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by dust removal, e.g. from surfaces of the image sensor or processing of the image signal output by the electronic image sens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5/2251

Abstract

본 발명은 촬영수단의 렌즈부나 필터부에 이물질의 접근을 차단하도록 양호한 상태의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부 또는 필터부로 광이 유입되도록 렌즈부 또는 필터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인 촬영공과, 상기 촬영공을 둘러싸는 환형의 유동안내부재와, 상기 유동안내부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유동안내부재와의 사이에 공기유동로를 환형으로 형성시키는 커버부재와, 상기 촬영공을 향해 공기유동로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공기유동로에서 촬영공을 향하는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공기배출구와, 상기 공기유동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TICKING UNNECESSARY SUBSTANCE TO PHOTOGRAPHING MEANS}
본 발명은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이 이루어지는 용접부를 촬영하여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용접선 추적장치, 용접상태 검사장치 등에 사용되는 촬영수단에 용접흄 등 이물질이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이프, 판재 등에 대한 맞대기 용접에서 용접선을 추적하거나, 용접된 부분에 대한 용접상태의 검사를 위해 레이저비전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비전센서(2)는 용접봉(1)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레이저를 용접부에 조사하는 레이저조사기(4)와 레이저가 조사된 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인 카메라(3)를 구비하고, 그루브 또는 용접부에 조사된 레이저에 의한 영상을 카메라(3)가 촬영하여 처리함으로써 용접선을 추적하거나 용접부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었다.
그러한 비전센서(2)는 용접이 실시되는 작업영역 근방에 접근한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용접 스패터와 같은 용접파편은 차단스크린을 설치하여 차단하더라도, 용접열에 의해 증발하여 고체상의 미립자로 부유하는 용접흄이 카메라(3)의 렌즈부나 필터부에 증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카메라(3)의 렌즈부나 필터부의 전면에 증착된 용접흄은 촬영할 대상을 가려 촬영을 방해하고, 촬영된 이미지에 오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용접선 추적의 오작동을 유발하거나, 용접부의 검사결과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정확한 용접부의 이미지 획득 및 판단을 위해 카메라의 렌즈부나 필터부에 용접흄이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일본실용신안공보 평5-46380호(실용신안출원번호 소63-23763호)에 기재된 것으로서, 이물질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TV카메라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2의 카메라장치(5)에서는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먼지가 투명창(6)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투명창(6) 전방에 고압의 공기가 가득 차게 되므로 먼지가 투명창(6)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선명한 촬영화면을 얻을 수 있다.
도 2의 카메라장치는 환형의 공기통로(7)로부터 공기배출구(7b)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어 반사판(9)에 부딪힌 공기가 투명창(6)의 전방으로 배출됨으로써 에어커튼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환형의 공기통로(7)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도입구(7a)는 공기통로(7)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공기배출구(7b)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도입구(7a)와 근접한 위치(B위치)에서 공기배출구(7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과, 공기도입구(7a)로부터 먼 위치(C위치)에서 공기배출구(7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투명창(6)의 전방에서 환형의 고른 에어커튼이 발생하지 않고 불균일한 상태의 에어커튼이 형성된다.
환형의 둘레를 따라 발생하는 불균일한 에어커튼은 위치에 따라 부분적인 와류를 형성하게 되므로, 그러한 와류와 섞여 용접흄이 투명창(6)으로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에어커튼의 불균일에 따른 와류는 공기도입구(7a)로부터 근접한 위치와 먼 위치에서 공기배출구(7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는 경우는 더 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투명창(6)과 용접흄이 접촉함으로써 투명창(6)에 증착되는 용접흄은 촬영수단이 촬영하는 영상을 불량하게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부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비전센서 등 촬영수단이 구비된 장치에 있어서, 렌즈부나 필터부에 이물질이 접근하여 부착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양호한 상태의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촬영수단의 렌즈부 또는 필터부의 표면에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에 있어서, 렌즈부 또는 필터부로 광이 유입되도록 상기 렌즈부 또는 필터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인 촬영공과, 상기 촬영공을 둘러싸는 환형의 유동안내부재와, 상기 유동안내부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동안내부재와의 사이에 공기유동로를 환형으로 형성시키는 커버부재와, 상기 촬영공을 향해 상기 공기유동로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유동로에서 상기 촬영공을 향하는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공기배출구와, 상기 공기유동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공급구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촬영공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인 상기 공기유동로에 접선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로를 따라 공기가 환형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배출구가, 상기 유동안내부재의 하단부와, 상기 커버부재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환형돌출턱이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는 환형의 틈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동안내부재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배출구의 일부 공기를 상기 촬영공의 상부로 안내하는 공기유동골을 구비하여 상기 촬영공의 상부의 둘레에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분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공기분기부재가 상기 유동안내부재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기 위한 나선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골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도록 골을 형성한 것으로서 공기분기부재의 둘레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기부재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고 간격형성턱이 상면에 다수 설치되며, 상기 공기배출구에 삽입되는 환형테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환형테의 하측에서 촬영공을 향해 분사됨과 함께, 일부는 상기 간격형성턱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공기유동골을 통과하여 상기 촬영공의 상부로 안내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촬영공기 상기 필터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유동안내부재는 상기 필터부를 형성하는 환형프레임인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촬영수단의 렌즈부 또는 필터부의 표면에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비전센서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부착방지장치는, 렌즈부 또는 필터부로 광이 유입되도록 상기 렌즈부 또는 필터부의 전방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인 촬영공과, 상기 촬영공을 둘러싸는 환형의 유동안내부재와, 상기 유동안내부재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동안내부재와의 사이에 공기유동로를 환형으로 형성시키는 커버부재와, 상기 촬영공을 향해 상기 공기유동로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유동로에서 상기 촬영공을 향하는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공기배출구와, 상기 공기유동로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서 상기 공기공급구가, 상기 커버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촬영공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인 상기 공기유동로에 접선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공기유동로를 따라 공기가 환형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서 상기 유동안내부재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배출구의 일부 공기를 상기 촬영공의 상부로 안내하는 공기유동골을 구비하여 상기 촬영공의 상부의 둘레에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분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용접장치에 설치되는 비전센서 등에서 촬영수단의 렌즈부 또는 필터부에 접근하는 용접흄 등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하여, 환형의 공기유동로에서 공기를 환형으로 유동시킨 후 공기배출구를 따라 촬영공 내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촬영공의 둘레를 따라 배출되는 위치에 따른 공기배출량의 차이를 감소시키고 균일화함으로써 양호한 상태의 에어커튼을 형성하여 이물질의 접근을 차단하고, 촬영수단이 양질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촬영공의 둘레에서 촬영공의 중심부를 향해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에어커튼을 형성함과 함께, 공기분기부재가 일부 공기를 촬영공의 상부로 분기 및 유동시켜 촬영공의 중심부에서 하방 외측을 향해 불어낼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촬영공의 중심부에서 난류의 발생으로 렌즈부 또는 필터부까지 난류와 섞여 유입될 수 있는 용접흄 등 이물질을 외부로 밀어낼 수 있는 바, 촬영수단에 유입되는 이물질에 대하여 확실한 차단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비전센서가 설치된 용접장치를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2는 종래 카메라의 투명창의 전방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전센서의 구성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에서 공기가 촬영공의 내부로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에서 일부공기가 촬영공의 상부로 유도되어 배출되는 작용을 설명하는 작용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에서 일부공기가 촬영공의 상부로 유도되는 것 없이 공기배출구를 통해 회전하면서 배출되는 과정에서 촬영공의 중심부에 공기의 와류유동이 발생할 수 있음을 설명하는 설명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부착방지장치는, 용접부 또는 그루브에 대한 촬영이 이루어지는 비전센서(10)에 설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비전센서(10)는 용접부 또는 그루브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하는 레이저조사수단(15)과, 용접부 또는 그루브에 조사된 레이저의 상을 촬영하는 촬영수단(20)을 구비함으로써,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용접부의 용접상태를 판단하거나, 용접이 이루어질 용접선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비전센서(10)에 부착되는 촬영수단(20)은 용접장치 뿐 아니라 이물질 부착의 우려가 있는 타분야의 촬영수단(20)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촬영수단(20)은 전단부에 렌즈부(21)가 노출되거나, 렌즈부(21)의 전방을 필터부(23)가 커버함으로써 필터부(23)가 전단부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용접장치에 설치되는 비전센서(10)의 경우, 용접부에서 발생하는 아크광 등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필터부(23)가 최전방에 설치됨으로써 필터부(23)의 표면에 용접흄의 증착 등 이물질이 부착되어 촬영하는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킨다.
비전센서(10)의 측면에는 용접시 발생하는 용접파편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스크린(80)이 설치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부착방지장치(30)는, 렌즈부(21) 또는 필터부(23)로 광이 유입되도록 렌즈부(21) 또는 필터부(23)의 전방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인 촬영공(35)과, 상기 촬영공(35)을 둘러싸는 환형의 유동안내부재(40)와, 상기 유동안내부재(4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유동안내부재(40)와의 사이에 공기유동로(71)를 환형으로 형성시키는 커버부재(60)와, 상기 촬영공(35)을 향해 공기유동로(71)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공기유동로(71)에서 촬영공(35)을 향하는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공기배출구(73)와, 상기 공기유동로(71)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구(62)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공(35)은 필터부(23)로 광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필터부(23)의 전방에 위치하는 공간으로서 유동안내부재(40)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다. 필터부(2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촬영공(35)은 렌즈부(21)의 전방에 위치한다.
상기 유동안내부재(40)는 촬영공(35)을 둘러싸도록 환형으로 형성되는 부분으로써, 커버부재(60)와 협동하여 공기유동로(71)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유동안내부재(40)의 내측부분은 촬영공(35)이 되고, 외측부분은 공기유동로(71)가 된다.
유동안내부재(40)는 별도의 부재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유동안내부재(40)는 필터부(23)에서 필터유리가 끼워지는 환형프레임이고, 촬영공(35)은 필터부(23)의 환형프레임에 둘러싸인 상태에서 필터부(23)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60)는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서, 내부에 환형의 유동안내부재(40)와 공기분기부재(50)가 위치하고 촬영공(35)이 형성될 수 있는 관통공(6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68)의 하단부의 둘레에는 관통공(68)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돌출부(65)가 형성되어 있고, 환형돌출부(65)의 상면의 단부모서리는 모따기가공되어 환형경사면(66)을 형성한다.
환형돌출부(65)의 상면의 단부모서리에 환형경사면(66)이 형성되어 공기배출구(73)의 형성시, 촬영공(35)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촬영수단(20)의 전방을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원활히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유동안내부재(40)가 커버부재(60)의 관통공(68)에 위치함으로써, 커버부재(60)의 관통공(68)의 내주면과 유동안내부재(40)의 외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게 되어 환형의 공기유동로(71)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동로(71)는 촬영공(35)을 중심으로 하는 환형의 공간으로서 공기배출구(73)를 제외하고는 공기공급구(62)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수 없는 폐쇄된 공간이다.
상기 공기공급구(62)는 공기유동로(71)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커버부재(60)의 일측에 설치되고, 공기공급관(76)에 연결된 공급공(64)를 통해 공기가 공급된다.
상기 공기공급구(62)는 공기공급공(64)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유동로(71)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공기의 공급방향을 안내하고 있다. 즉, 도 6과 같이 공기공급구(62)는 환형의 공기유동로(71)을 따라 공기를 환형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기공급이 촬영공(35)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는 공기유동로(71) 궤적의 접선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배출구(73)는 유동안내부재(40)의 하단부(42)와 커버부재(60)의 환형돌출부(65)가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는 환형의 틈이므로, 공기배출구(73)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촬영공(35)을 향해 둘레에서 분사된다. 이에 따라, 촬영공(35)의 하부에서는 촬영공(35)의 내주면을 따라 중심부를 향하는 압축공기가 배출되어 용접흄을 차단하는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만일, 공기공급구(62)가 공기유동로(71)의 일측에 설치되어 단순히 공기유동로(71)에 공기를 공급하는 경우, 환형의 공기배출구(73) 중 공기공급구(62)와 근접한 위치인 일측(B위치)에서는 공기가 강한 압력으로 많은 공기량이 배출되고, 그 반대측인 타측(C위치)에서는 공기공급구(62)와 멀어져 상대적으로 압력이 약해지고 배출되는 공기량이 감소하게 되는 바, 촬영공(35)의 둘레에서 공기배출량이 위치에 따라 불균일해지게 된다.
이러한 공기배출량의 위치에 따른 편차에 의해 발생되는 에어커튼이 불안정해지면서 소정영역에서 와류의 발생을 초래하게 되고, 이러한 와류를 타고 용접흄이 찰영창(3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그러한 문제를 해결 또는 완화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공급구(62)가 일측에서 연결되되 환형의 공기유동로(71)를 따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기공급구(62)를 통한 공기공급이 촬영공(35)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하는 공기유동로(71) 궤적의 접선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도 4 및 도 6과 같이, 공기공급구(62)를 통해 공기유동로(71)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배출구(73)로 즉시 배출되지 않고 공기유동로(71)를 따라 환형으로 순환하면서 환형의 공기배출구(73)로 점진적으로 배출되는 바, 공기공급구(62)가 설치된 일측(B위치)에서와, 그 반대측인 타측(C위치)에서의 공기배출량의 차이가 완화되면서 비교적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고, 촬영공(35)의 둘레에서 비교적 양호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촬영공(35)의 둘레를 따라 양호한 상태의 에어커튼커튼이 형성될 수 있으나, 공기배출구(73)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회전하면서 배출되어 촬영공(35)의 하부에서 사이클론과 같은 회전운동을 하는 에어커튼이 형성되므로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공(35)의 중심부에서는 난류가 발생하거나 상승기류가 발생함으로 인해 용접흄이 촬영공(35)의 내부로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공기배출구(73)의 일부 공기가 촬영공(35)의 상부로 유입되어 촬영공(35)의 중심부에서 하측으로 진행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공기분기부재(50)가 더 설치된다.
상기 공기분기부재(50)는 유동안내부재(40)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공기배출구(73)의 일부 공기를 촬영공(35)의 상부로 안내하고 촬영공(35)의 상부의 둘레에서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촬영공(35)의 상부의 중심부 근방에 모인 공기가 하부로 진행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공기분기부재(50)는 외주면에 나선(52)이 형성되어 유동안내부재(4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47)에 나선결합되고, 하단에는 외측으로 환형으로 돌출되는 환형테(53)가 형성된다.
상기 환형테(53)의 상면에는 간격형성턱(55)이 소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공기분기부재(50)가 유동안내부재(40)와 완전한 나선결합시, 간격형성턱(55)이 유동안내부재(40)의 하단(42)과 접촉한다. 공기분기부재(50)의 외주면에는 나선(52)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골(골짜기)의 형상으로 공기유동골(54)이 형성되고, 공기유동골(54)은 공기분기부재(50)의 둘레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공기배출구(73)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환형테(53)의 하측에서 촬영공(35)을 향해 분사됨과 함께, 일부는 간격형성턱(55) 사이의 공간(55a)을 통해 공기유동골(54)을 통과하여 상기 촬영공(35)의 상부로 안내된다.
즉, 도 7과 같이, 공기가 촬영공(35)의 하부에서 내주면을 따라 배출됨과 함께, 일부 공기는 공기분기부재(50)에 의해 유도되어 간격형성턱(55) 사이의 공간(55a)과 다수의 공기유동골(54)을 통해 촬영공(35)의 상부에서 배출되어 사방으로부터 촬영공(35)의 중심부(D 위치)로 유입된다.
촬영공(35)의 상부로 유입된 공기는 필터(43)와 근접한 상태로 촬영공(35)의 중심부인 D위치를 향해 사방으로부터 모인 후, 촬영공(35)의 하방인 A위치를 향해 유동해 나가면서 배출된다.
공기유동로(71)에서 발생하던 공기의 회전은 공기분기부재(50)의 공기유동골(54)를 통해 상승하는 과정에서 회전력이 소멸하므로, 촬영공(35)의 상부에서는 회전없이 중심부(D 위치)에 원활히 모일 수 있고 그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유동해 A위치로 내려가면서 이물질을 밀어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일의 공기공급구(62)를 통해 공기유동로(71)로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배출구(73)로 즉시 배출되지 않고 공기유동로(71)를 따라 환형으로 순환하면서 환형의 공기배출구(73)로 점진적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둘레의 위치에 따른 공기배출량의 차이를 완화시켜 양호한 에어커튼의 형성을 유도한다.
이와 동시에, 공기배출구(73)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회전하면서 배출되어 촬영공(35)의 하부의 중심부에서 난류가 발생하거나 상승기류가 발생하여 용접흄이 촬영공(35)의 내부로 침투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일부 공기를 촬영공(35)의 상부로 유도하여 중심부에서 하방으로 유동시키는 공기분기부재(50)를 설치함으로써 촬영공(35)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고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비전센서 15; 레이저조사수단
20; 촬영수단 21; 렌즈부
23; 필터부 35; 촬영공
40; 유동안내부재 50; 공기분기부재
52; 나선 53; 환형테
54; 공기유동골 55; 간격형성턱
55a; 공간 60; 커버부재
62; 공기공급구 64; 공급공
65; 환형돌출부 66; 환형경사면
68; 관통공 71; 공기유동로
73; 공기배출구 76; 공기공급관

Claims (9)

  1. 렌즈부(21) 또는 필터부(23)의 전방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인 촬영공(35)과,
    상기 촬영공(35)을 둘러싸는 환형의 유동안내부재(40)와,
    상기 유동안내부재(4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동안내부재(40)와의 사이에 공기유동로(71)를 환형으로 형성시키는 커버부재(60)와,
    상기 촬영공(35)을 향해 상기 공기유동로(71)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유동로(71)에서 상기 촬영공(35)을 향하는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공기배출구(73)와,
    상기 커버부재(60)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동로(71)를 따라 공기가 환형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공기유동로(71)에 접선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구(62)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안내부재(40)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배출구(73)의 일부 공기를 상기 촬영공(35)의 상부로 안내하는 공기유동골(54)을 구비하여 상기 촬영공(35)의 상부의 둘레에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분기부재(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분기부재(50)는 상기 유동안내부재(40)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기 위한 나선(52)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골(54)은 상기 공기분기부재(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52)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도록 골을 형성한 것으로서 공기분기부재(50)의 둘레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기부재(5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73)에 삽입되는 환형테(53)가 설치되고, 상기 환형테(53)의 상면에는 간격형성턱(55)이 소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기배출구(7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환형테(53)의 하측에서 촬영공(35)을 향해 분사됨과 함께, 일부는 상기 간격형성턱(55) 사이의 공간(55a)을 통해 상기 공기유동골(54)을 통과하여 상기 촬영공(35)의 상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73)는, 상기 유동안내부재(40)의 하단부와, 상기 커버부재(6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환형돌출부(65)가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발생하는 환형의 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공(35)은 상기 필터부(23)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유동안내부재(40)는 상기 필터부(23)를 형성하는 환형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7. 촬영수단(20)의 렌즈부(21) 또는 필터부(23)의 표면에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를 구비한 용접장치용 비전센서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부착방지장치는,
    렌즈부(21) 또는 필터부(23)의 전방에 형성되는 개방된 공간인 촬영공(35)과,
    상기 촬영공(35)을 둘러싸는 환형의 유동안내부재(40)와,
    상기 유동안내부재(40)를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동안내부재(40)와의 사이에 공기유동로(71)를 환형으로 형성시키는 커버부재(60)와,
    상기 촬영공(35)을 향해 상기 공기유동로(71)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유동로(71)에서 상기 촬영공(35)을 향하는 내측에 형성되는 환형의 공기배출구(73)와,
    상기 커버부재(60)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동로(71)를 따라 공기가 환형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공기유동로(71)에 접선방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구(62)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안내부재(40)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공기배출구(73)의 일부 공기를 상기 촬영공(35)의 상부로 안내하는 공기유동골(54)을 구비하여 상기 촬영공(35)의 상부의 둘레에서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분기부재(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분기부재(50)는 상기 유동안내부재(40)의 내주면에 나선결합되기 위한 나선(52)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골(54)은 상기 공기분기부재(5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52)을 수직으로 가로지르도록 골을 형성한 것으로서 공기분기부재(50)의 둘레에 소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상기 공기분기부재(50)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환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73)에 삽입되는 환형테(53)가 설치되고, 상기 환형테(53)의 상면에는 간격형성턱(55)이 소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됨으로써, 상기 공기배출구(7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환형테(53)의 하측에서 촬영공(35)을 향해 분사됨과 함께, 일부는 상기 간격형성턱(55) 사이의 공간(55a)을 통해 상기 공기유동골(54)을 통과하여 상기 촬영공(35)의 상부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장치용 비전센서
  8. 삭제
  9. 삭제
KR1020170153511A 2017-11-17 2017-11-17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KR10191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511A KR101918981B1 (ko) 2017-11-17 2017-11-17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511A KR101918981B1 (ko) 2017-11-17 2017-11-17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981B1 true KR101918981B1 (ko) 2018-11-15

Family

ID=6436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511A KR101918981B1 (ko) 2017-11-17 2017-11-17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9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9397A (zh) * 2019-07-02 2019-10-25 高新兴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清理设备
KR102150956B1 (ko) * 2019-11-27 2020-09-02 주식회사 건화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
KR102606327B1 (ko) * 2023-08-10 2023-11-29 (주)제이솔루션 카메라모듈 및 제어박스의 모듈화 구조를 갖는 반도체또는 디스플레이 제조장비의 반응부산물 가스 배출관 내부 모니터링 시스템
WO2024010426A1 (ko) * 2022-07-08 2024-0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용접 장치, 배터리 제조 장치 및 자동차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975A (ja) * 2002-02-12 2003-08-22 Kawaso Electric Industrial Co Ltd 光学観測装置におけるエアパージ装置
JP2009067341A (ja) * 2007-09-18 2009-04-02 Eitaro Terakawa 撮像装置防御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2975A (ja) * 2002-02-12 2003-08-22 Kawaso Electric Industrial Co Ltd 光学観測装置におけるエアパージ装置
JP2009067341A (ja) * 2007-09-18 2009-04-02 Eitaro Terakawa 撮像装置防御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9397A (zh) * 2019-07-02 2019-10-25 高新兴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摄像头的清理设备
KR102150956B1 (ko) * 2019-11-27 2020-09-02 주식회사 건화 렌즈 보호기능을 가지는 카메라어셈블리
WO2024010426A1 (ko) * 2022-07-08 2024-01-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용접 장치, 배터리 제조 장치 및 자동차 제조 장치
KR102606327B1 (ko) * 2023-08-10 2023-11-29 (주)제이솔루션 카메라모듈 및 제어박스의 모듈화 구조를 갖는 반도체또는 디스플레이 제조장비의 반응부산물 가스 배출관 내부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981B1 (ko) 촬영수단의 이물질 부착 방지장치
US5938954A (en) Submerged laser beam irradiation equipment
US20150048059A1 (en) Laser Welding Apparatus, Preventive Maintenance Method for Reactor Internal of Nuclear Power Plant, and Laser Cutting Apparatus
JP5875630B2 (ja) 不完全切断を識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511040B1 (de) Kassetten zur Halterung einer Optik in einem Laserbearbeitungskopf mit einer transparenten Schutzvorrichtung
DE102011119478B4 (de) Vorrichtung zur fremdbeleuchteten Visualisierung eines mittels eines hochenergetischen Bearbeitungsstrahls erfolgenden Bearbeitungsprozesses sowie Umlenkelement
KR100620505B1 (ko) 레이저 가공용 노즐장치
US453240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molten pools in arc welding
TW201803675A (zh) 雷射處理裝置以及雷射處理方法
JP2004195502A (ja) 溶接用レーザセンサ
JP2014240090A (ja) 溶接ヘッドおよび溶接装置
JP3006370B2 (ja) 水中加工装置
JP2003220469A (ja) 狭開先用溶接装置
US11154952B2 (en) Laser processing apparatus
JP4363933B2 (ja) 水中レーザ補修溶接装置及び水中レーザ補修溶接方法
JP2002361467A (ja) レーザ加工装置
JPH1085982A (ja) 局部シールド水中レーザ光照射装置
DE19634881C1 (de) Optische Prüfvorrichtung
CN210548858U (zh) 一种激光焊接夹具
US9791387B2 (en) Insp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879066B1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US7847208B2 (en) Methods for performing manual laser deposition
JP6524766B2 (ja) 溶接装置
CN218903932U (zh) 一种基于沙姆角的激光焊缝跟踪器
JPH0989788A (ja) 筒内面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