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599B1 - 도어 핸들 - Google Patents
도어 핸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50599B1 KR102150599B1 KR1020190035172A KR20190035172A KR102150599B1 KR 102150599 B1 KR102150599 B1 KR 102150599B1 KR 1020190035172 A KR1020190035172 A KR 1020190035172A KR 20190035172 A KR20190035172 A KR 20190035172A KR 102150599 B1 KR102150599 B1 KR 1021505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locking knob
- latch
- door
- c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3—Pop-out handles, e.g. sliding outwardly before rot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05C3/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the handle or member moving essentially towards or away from the plane of the wing or frame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27/00—Cylinder locks or other locks with tumbler pins or balls that are set by pushing the key in
- E05B27/0082—Side bar lock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00—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 E05B5/006—Handles completely let into the surface of the wing essentially defining a completely closed surface together with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보안이 필요없는 현장에 적합하고 편리한 도어 잠금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어핸들 잠금노브(3)를 레버(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해당 핸들의 정면에서 잠금노브(3)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그 길이 방향의 폭을 당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폭보다 큰 것으로 하여, 직교 방향의 폭 부분을 엄지손가락과 다른 어떤 손가락으로 잡아서 상기 잠금노브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레버(2)에는 엎드린 상태에서 케이스의 레버수용부(13) 내에 수용되는 부분에 잠금노브의 회전에 따라 출몰하는 래치(44)를 구비하고, 레버 수용부(13)에는 돌출된 래치(44)가 걸리는 래치걸림부(17)가 마련되어 잠금노브(3)를 잡고 회전 하면 래치(44)가 몰입하여 래치걸림부(17)에서 래치(44)를 분리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면 핸들이라고 하는 도어 핸들은 배전반의 개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어에 장착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수용되거나 돌출하도록 일어남과 엎드림(기복)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축으로 고정되는 레버와, 레버의 회동으로 도어에서 나오고 들어가는(출몰) 걸림쇠를 포함한다.
특히 도어를 열거나 닫고 잠그는 상기한 도어 핸들은, 배전반의 도어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특허 문헌 1 ~ 3)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것은 케이스의 정면에 누름버튼과 실린더자물쇠를 포함한 것이다. 열쇠로 상기 실린더자물쇠를 열은 후, 상기 누름버튼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스프링에 탄지되어 있는 레버가 해지되어 일어나 돌출한다.
특허 문헌 2에 나타내는 것은 상기 누름버튼을 구비하지 않고, 열쇠로 여는 실린더자물쇠만 구비하는 것으로, 실린더 자물쇠를 열면 레버를 케이스에 고정하던 래치편이 해제되면서 스프링에 탄지된 레버가 일어나 돌출하게 된다.
특허 문헌 3에 나타내는 것은 레버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레버수용부에 자물쇠고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레버에는 레버를 앞뒤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가 엎드려서 케이스의 레버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자물쇠고리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해 레버의 전면으로 노출한다. 이와 같이 레버의 전면으로 노출한 자물쇠고리에 자물쇠의 걸고리를 통과시킴으로써, 레버는 정면이 자물쇠의 걸고리에 닿아 일어남이 제한된다.
상기 특허 문헌 1~3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은 모두가 자물쇠를 갖추고 자물쇠를 걸어서 잠금으로써 레버의 일어남을 제한하고 있었다. 따라서 특허 문헌 1~3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은 불특정인이 출입하는 장소에서는 보안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출입 통제가 엄격하게 시행되고 외부인이 출입할 수 없는 공장과 같이 보안이 요구되지 않는 곳에서는 일일이 자물쇠를 걸어서 잠그는 것이 번거롭기 때문에 자물쇠을 잠그지 않은 상태로 두는 것이 종종 이루어졌다.
그러나 자물쇠를 잠그지 않은 상태에서는 불가항력에 의해 레버가 일어나 돌출되어 도어가 열릴 우려가 있고, 레버의 고정 상태가 불명확하고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특히, 특허 문헌 2에서는 자물쇠를 열은 상태에서 레버가 일어나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서 불편하고, 특허 문헌 3에서는 레버를 일일이 자물쇠로 걸어서 고정하여야 하는 등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것도 실린더자물쇠 이외에 누름버턴을 구비하고 있지만, 예기치 않게 누름버튼에 접촉하면 레버가 쉽게 튀어 올라 고정상태가 불명확하고 사용에 불편한 문제점을 없어지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은 레버의 개량에 의해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도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전반의 개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거나 돌출하도록 일어남과 엎드림(기복)이 자유롭게 축으로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으로 도어에서 출몰하는 걸림쇠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선단이 일어나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핸들이 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쇠는 도어로부터 돌출하여 배전반용 상자(t)의 본체(t1)에 마련된 걸림쇠홀더(t6)에 걸려서 도어를 배전반 본체에 걸어주는 것으로, 이와 같은 도어 핸들에서 다음의 구성을 채택할 것을 제안한다.
즉, 상기 케이스는 레버를 수용하는 레버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선단 측이 엎드린 상태로하여 레버가 상기 레버수용부에 수용되고, 일어난 상태로하여 레버는 상기 레버수용부에서 도어의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레버와 상기 케이스의 어느 한쪽에 회전자재 하도록 잠금노브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노브는 잡고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잠금노브가 상기 레버와 상기 케이스의 어느 한 편에 직접 설치되어 다른 어느 한 편을 잠금노브의 래치를 걸어서, 엎드린 상태의 상기 레버의 일어남을 저지하고, 상기 잠금노브를 잡아서 회전시킴으로써 잠금노브의 래치가 풀려서 상기 레버가 일어나 돌출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개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일어남과 엎드림(기복)이 자유자재로 이루어지도록 축으로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으로 상기 도어에서 나오고 들어가는(출몰) 걸림쇠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일어나 돌출된 상태에서 도어의 핸들이 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쇠는 핸들에 의하여 도어에서 돌출되어 배전반용 상자(t)의 본체(t1)에 마련된 걸림쇠홀더(t6)에 걸려서 도어의 열림을 방지하도록 하는 구성을 하되, 상기 케이스는 레버를 수용하는 레버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선단 측이 엎드린 상태에서 레버수용부 내에 레버가 수용되며, 일어난 상태에서는 레버가 레버수용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것이며, 상기 레버의 정면에는 상기 레버의 전방으로 노출하는 잠금노브가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잠금노브는 그 길이 방향의 크기가 폭보다 크게 구성하여 길이 방향, 즉 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길이 방향의 폭을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폭보다 크게 하여서 직교 방향의 폭 부분을 잡아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버가 엎드린 상태에서 상기 레버의 레버수용부 내에 수용되는 부위에 상기 잠금노브의 회전에 따라 출몰하는 래치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수용부에는, 돌출된 상기 래치를 걸기 위한 래치걸림부가 제공되고, 상기 잠금노브를 잡아서 회전하면 래치걸림부에 래치가 들어가 걸려서 레버를 고정하거나 래치걸림부로부터 래치를 해제시켜 레버의 기복이 자유롭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잠금노브의 조작만으로 레버를 일어켜 돌출시키거나 엎드려서 케이스에 수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열쇠를 사용하여 래치편이 출, 몰하면서 잠그거나 여는 작업을 수행하는 자물쇠를 갖추지 않고, 상기 열쇠를 사용하는 래치편과는 다르게 본 발명의 잠금노브에 래치를 형성하여 키의 사용에 관계없이 잠금노브의 회전 조작에 의해 래치가 출몰하며 레버를 단속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는 레버를 수용하는 레버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선단 측이 엎드린 상태에서 상기 레버수용부 내에 레버가 들어가고, 레버의 선단 측이 일어난 상태에서 레버가 상기 레버수용부에서 도어 앞으로 돌출하는 것이며, 이때의 레버는 앞뒤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케이스의 레버수용부에는 잠금노브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해당 잠금노브는 정면에서 볼 때, 길이 방향이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폭보다 큰 것으로, 상기 직교 방향의 폭 부분을 잡아서 잠금노브를 회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레버의 선단 측을 엎드려 레버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잠금노브는 레버의 관통구멍을 통해 레버의 정면으로 노출되어서, 상기 레버의 정면으로 노출된 상기 잠금노브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잠금노브의 방향을 바꿀 수 있고, 상기 잠금노브의 방향을 바꿈으로써 상기 레버 전면에 상기 잠금노브가 걸려 상기 잠금노브는 상기 관통구멍을 빠져나갈 수 없는 것이며, 상기 잠금노브를 원래 방향으로 복원하여 상기 잠금노브를 상기 관통구멍 내에서 분리하여서 상기 레버를 일으켜 돌출시키면 레버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상기 레버의 전면에 상기 레버의 일어남이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인디게이터를 구비한 핸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쇠를 삽입해서 잠그거나 여는 자물쇠를 설치하지 않은 본 발명의 잠금노브는, 실린더자물쇠가 장착되는 핸들의 레버에 실린더자물쇠 대신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회전체의 잠금노브와 반대쪽면에 회전체의 회전중심에서 벗어나는 돌기를 마련하고, 래치에는 상기 돌기를 삽입하는 안내부를 설치하여, 기존 레버에 구비된 실린더자물쇠의 수용부에 실린더 자물쇠를 대신하여 잠금노브의 회전 조작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래치를 수용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돌기가 선회하면서 돌기가 상기 래치의 안내부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를 출몰시킬 수 있는 도어 핸들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도어 핸들은 자물쇠의 걸고리를 삽입하기 위한 자물쇠고리를 레버수용부내에 장착한 케이스와, 접어서 엎드린 상태에서 상기 자물쇠고리를 레버 앞쪽에 노출 시킬 수 있는 관통구멍을 갖춘 레버로 구성한 기존의 도어 핸들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잠금노브를 상기 자물쇠고리 대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자물쇠고리를 설치할 위치에 설치하면, 레버를 접어서 엎드린 상태에서 잠금노브가 상기 레버의 관통구멍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도어 핸들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은 출입이 통제되는 공장 등 보안이 불필요한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도어에 사용되는 핸들에 대해 키를 잠그고 여는 동작을 필요로하지 않고 레버를 케이스에서 출몰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레버의 출, 몰에 즈음하여 잠금노브를 잡아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레버가 일어나 돌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거나 제한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불의의 접촉에 의해 레버가 일어나 돌출하는 위기를 배제할 수 있기에 보안이 필요없는 현장에 적합한 사용이 편리한 도어 핸들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청구항 4에 관한 본 발명은 레버의 일어남과 엎드림(기복) 가능 여부의 상태를 인디게이터를 보고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따른 본 발명은 실린더자물쇠를 설치하였던 기존의 레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청구항 2의 본 발명에 관련한 핸들을 제조함에 있어서, 전용 레버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청구항 6에 관한 본 발명은 자물쇠를 가진 기성의 케이스와 레버를 이용하여서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핸들을 생산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상기 청구항 3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들을 생산하는 전용 케이스와 레버를 준비 할 필요가 없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레버가 엎드린 상태의 도어 핸들 h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A)의 측면도, (C)는 도어에서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A)의 도어 핸들 h의 평면도, (D)는 (C)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저면도.
도 2(A)는 도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A) 도어 핸들의 사시도, (B)는 (A)의 도어 핸들 h 대해 레버를 열림 (돌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도 2(A)의 도어 핸들 h의 일부 절개 요부 종단면도, (B)는 (A)의 일부 절개 요부 정면도, (C)는 (B)의 레버를 투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D)는 (B)의 래치 주변의 배면도 (E)는 레버의 래치를 몰입한 상태를 표시한 (A)의 도어 핸들 h의 일부 절개 요부 종단면도, (F)는 (E)의 일부 절개 요부 정면도, (G)는 (F)의 레버를 투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H)는 (F)의 래치 주변의 배면도.
도 4(A)는 도 3(B)와 (F)에 나타내는 잠금노브를 구비한 회전체의 정면도, (B)는 (A)의 회전체의 측면도, (C)는 (A)의 회전체의 배면도, (D)는 (A)의 회전체의 평면도, (E)는 (A)~(D)에 나타내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인디게이터의 정면도, (F)는 (A)~(D)에 나타내는 회전체에 (E) 인디게이터를 장착한 상태를 표시한 정면도, (G)는 (F)의 회전체의 측면도, (H)는 (F)의 회전체의 배면도, (I)는 (F)에 나타내는 회전체의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h의 레버를 접어서 잠금노브를 옆으로 돌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A)에 나타내는 핸들의 잠금노브를 수직으로 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C)는 (B)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정면도.
도 6(A)는 도 5(A)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잠금노브를 수직으로 하여 레버를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면도, (B)는 (A)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사시도.
도 7(A)는 도 5(A)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레버와 잠금노브를 정면에서 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도 5(B)와 (C)에 나타내는 핸들의 레버와 잠금노브를 정면에서 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C)는 기판에 부착된 잠금노브의 측면도, (D)는 (C)의 정면도, (E)는 잠금노브 설치 이전 상태를 나타내는 (D) 기판의 정면도, (F)는 (D) 잠금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A)는 도 6(B)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B)는 (A)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9(A)와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를 연 상태 도어 핸들 h의 사시도, (C)는 (A)와 (B)에 나타내는 레버를 닫은 상태의 도어 핸들 h의 종단면도, (D)는 (C)의 도어 핸들의 레버를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A)는 도 4(F)의 인디ㅣ케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A)의 정면도, (C)는 (A)의 측면도, (D)는 (A)~(C)의 인디게이터를 레버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도어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A) 도어 핸들의 사시도, (B)는 (A)의 도어 핸들 h 대해 레버를 열림 (돌출 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는 도 2(A)의 도어 핸들 h의 일부 절개 요부 종단면도, (B)는 (A)의 일부 절개 요부 정면도, (C)는 (B)의 레버를 투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D)는 (B)의 래치 주변의 배면도 (E)는 레버의 래치를 몰입한 상태를 표시한 (A)의 도어 핸들 h의 일부 절개 요부 종단면도, (F)는 (E)의 일부 절개 요부 정면도, (G)는 (F)의 레버를 투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H)는 (F)의 래치 주변의 배면도.
도 4(A)는 도 3(B)와 (F)에 나타내는 잠금노브를 구비한 회전체의 정면도, (B)는 (A)의 회전체의 측면도, (C)는 (A)의 회전체의 배면도, (D)는 (A)의 회전체의 평면도, (E)는 (A)~(D)에 나타내는 회전체에 장착되는 인디게이터의 정면도, (F)는 (A)~(D)에 나타내는 회전체에 (E) 인디게이터를 장착한 상태를 표시한 정면도, (G)는 (F)의 회전체의 측면도, (H)는 (F)의 회전체의 배면도, (I)는 (F)에 나타내는 회전체의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어 핸들 h의 레버를 접어서 잠금노브를 옆으로 돌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A)에 나타내는 핸들의 잠금노브를 수직으로 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C)는 (B)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정면도.
도 6(A)는 도 5(A)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잠금노브를 수직으로 하여 레버를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측면도, (B)는 (A)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사시도.
도 7(A)는 도 5(A)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레버와 잠금노브를 정면에서 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B)는 도 5(B)와 (C)에 나타내는 핸들의 레버와 잠금노브를 정면에서 본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C)는 기판에 부착된 잠금노브의 측면도, (D)는 (C)의 정면도, (E)는 잠금노브 설치 이전 상태를 나타내는 (D) 기판의 정면도, (F)는 (D) 잠금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A)는 도 6(B)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B)는 (A)에 나타내는 도어 핸들 h의 일부 절결 측면도.
도 9(A)와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버를 연 상태 도어 핸들 h의 사시도, (C)는 (A)와 (B)에 나타내는 레버를 닫은 상태의 도어 핸들 h의 종단면도, (D)는 (C)의 도어 핸들의 레버를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A)는 도 4(F)의 인디ㅣ케이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B)는 (A)의 정면도, (C)는 (A)의 측면도, (D)는 (A)~(C)의 인디게이터를 레버에 장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각 도면에서, U를 상향 S를 하향 F를 앞으로, B를 뒤로한다.
실시예 1
(기본 구성)
이 도어 핸들(h)은 배전반용상자(t)의 본체(t1)의 도어(t2)에 설치되어, 도어(t2)의 핸들로 사용된다.(도 1(A)와(B))
이 도어 핸들(h)은 상기 도어(t2)의 핸들 장착면(t3)에 마련된 장착구멍(t4)에 삽입되어 도어(t2)에 고정되는 것이다.(도 1(B))
도어(t2)를 닫은 상태에서 도어 핸들(h)은 걸림쇠(j)를 도어(t2)의 끝에서 돌출시켜 걸림쇠(j)를 배전반용 상자(t)의 본체(t1)에 마련된 걸림쇠홀더(t6)에 걸리게 한다.(도 1(A))
도어 핸들(h)은 상기 장착구멍(t4)에 삽입되는 케이스(1)와 해당 케이스(1)에 접어서 엎드려 수납되었다 일어나서 돌출하는 레버(2)를 포함한다.
여기서 케이스(1)는 특허 청구 범위의 「레버수용부」를 구비한 "케이스"에 해당 한다.(도 1(A),(B))
레버(2)의 끝 측은 접어서 엎드린 상태에서는 케이스(1)의 레버수용부(13)에 들어가고, 펼쳐서 일어난 상태에서는 케이스(1)에서 도어(t2)의 전방으로 돌출한다. 해당 레버(2)는 케이스(1)에서 일어난 상태 즉, 상기 돌출상태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걸림쇠(j)는 레버(2)의 회전에 의해 동작한다. 레버(2)의 회전조작에 의해 걸림쇠(j)를 걸림쇠홀더(t6)에서 분리하면 도어(t2)를 열수 있다.
레버(2)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노브(3)와 래치(44)를 구비한다.(도 3(A),(E))
잠금노브(3)는 레버(2)의 전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엄지와 검지나 다른 손가락으로 잠금노브(3)를 잡고 돌릴 수 있다.
레버(2)를 엎드리도록 접어서 레버수용부(13) 내에 레버(2) 선단 측을 수용한 상태에서, 잠금노브(3)를 회전시면 레버수용부(13) 내에서 상기 래치(44)를 출몰시킬 수 있다.
레버수용부(13)에는 돌출된 상기 래치(44)를 잡아거는 래치걸림부(17)가 구비되어있다. 레버(2)가 엎드려 레버수용부(13)에 수납한 상태로 래치(44)가 돌출되어 래치걸림부(17)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잠금노브(3)을 잡고 돌려서 래치(44)를 래치걸림부로부터 벗기면 레버(2)를 일으켜 돌출시킬 수있다.
또한, 실시예1에서 키 조작으로 개폐하는 기존의 실린더자물쇠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지만, 상기 잠금노브(3)와 함께 키 조작으로 개폐하는 자물쇠를 갖추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보안이 필요없는 곳의 전용이라면, 도시한 예와 같이, 실린더 자물쇠 등의 자물쇠를 갖추지 않은 것이 제조 비용면에서 유리하다.
이하, 각부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케이스)
케이스(1)는, 케이스 본체(10)와 고정부재(11)와 패킹(12)을 구비한다.(도 1(B))
고정부재(11)와 패킹(12)은 각각 케이스 본체(10)와 별도로 형성되어있다.
케이스 본체(10)는 레버수용부(13)와 플랜지(14)가 형성되어 있다.(도 1(B) 및 도 2(B))
레버수용부(13)는 케이스 본체(10)의 정면에서 뒤로 후퇴하는 오목한 형상이며, 상기 레버(2)를 수용한다. 레버수용부(13)의 후면은 케이스 본체(10)의 후방으로 융기한 융기부분이다.
레버수용부(13)는 상하로 연장하게 형성되어 레버(2)를 수직으로 보관하여 끝을 아래로 향하게 한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레버수용부(13)를 좌우로 연장하게 형성하여 레버(2)를 옆으로 수용하는 것으로 하여도 된다.
레버(2)의 끝(하단) 측은 케이스 본체(10)의 전면으로 개구된 레버수용부(13)의 개방부(13e)에서 출몰한다.(도 2(B))
레버수용부(13)는 레버(2)의 선단측을 수용하는 제 1 후퇴부(13a)와 제 1 후퇴부(13a)에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레버(2)의 몸체가 수용되는 제 2 후퇴부(13b)를 구비한다.(도 2(B) 및 도 3(A),(E))
제 1 후퇴부(13a)의 내부는 제 2 후퇴부(13b)의 내부보다 후방으로 더 후퇴하고 있다. 제 1 후퇴부(13a)는 레버(2)를 닫을 때 레버(2)에 설치된 회전체케이스(4)를 수용한다. 제 1 후퇴부(13a)의 내 측면에는 상기 래치걸림부(17)가 설치되어있다.(도 3(A))
상기 래치걸림부(17)는 여기에서는 제 1 후퇴부(13a)의 내 측면 중 상기 측면에 설치된 오목부이다. 단, 잠금노브(3)의 래치(44)가 걸리는 것이라면 래치걸림부(17)는 해당 측면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후퇴부(13b)에는 제 1 후퇴부(13a)와 반대측, 즉, 여기에서는 제 2 후퇴부(13b)의 가장자리 측에 관통부(13c)가 형성되어있다.(도 1(C) 및 도 2(B))
관통부(13c)는 케이스 본체(10)를 앞뒤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플랜지(14)는 레버수용부(13)의 개방부(13e)((도 1(C) 및 도 2(B)) 주변에 설치되어 도어(t2)의 설치면(t3)에 접하는 플랜지이다.(도 1(A)~(D) 및 도 2(B))
케이스 본체(10)의 후면으로 상기 레버수용부(13)의 후면이 도어(t2)의 설치구멍(t4)에 삽입 된다.(도 1(B))
패킹(12)은 케이스 본체(10)의 플랜지(14) 뒷면에서 레버수용부(13)의 뒤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패킹(12)은 도어(t2)의 상기 설치구멍(t4)에 케이스(1)를 설치하기 전에 상기 플랜지(14)의 후면에 장착된다.
패킹(12)으로는, 고무, 우레탄, 플라스틱 또는 기타의 탄력과 방수성을 갖춘 소재를 채용하면된다. 플랜지(14)의 후면에 상기 패킹(12)을 배치함으로써, 플랜지(14)와 도어(t2)의 설치면(t3) 사이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레버수용부(13)를 장착구멍(t4)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부재(11)가 레버수용부(13)의 후면에 배치되는 고정나사(16)로 고정된다.(도 1(B))
상기 플랜지(14)와 고정부재(11)는 도어(t2)의 설치면(t3)에 앞뒤로 마주하면서 고정되어 도어 핸들(h)을 도어(t2)에 고정한다
고정나사(16)는 나사, 볼트 또는 핀 등 주지의 고정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고정부재(11)는 상하로 뻗어 좌우로 정렬된 2개의 누름부(11a)와 양 누름부(11a) 사이에 설치되어 양 누름부(11a)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11b)를 구비한다.(도 1(B)~(D))
연결부(11b)는 상기 고정나사(16)가 통과하는 고정나사 삽입부가 설치되어있다.(도시 생략)
당해 고정나사 삽입부는 연결부(11b)를 앞뒤로 관통하는 구멍이나 절결부로 형성될 수 있다.
위의 고정나사(16)에 의해서 연결부(11b)는 레버수용부(13)의 후면에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하는 양 누름부(11a)는 도어(t2)의 상기 설치면(t3)에 설치된 부위를 사이에두고, 플랜지(14)의 후방에 위치 한다.(도 1(B))
(레버)
레버(2)는, 케이스(1)에 설치되어 도어(t2)를 열거나 닫을 때의 핸들로 사용되는 것이다.(도 1(A),(B) 및 도 2(A),(B))
레버(2)는 접어서 엎드린 상태로 케이스(1)에 수납하거나 일어나 돌출 가능하게 케이스(1)에 장착되어 돌출 상태 즉, 케이스(1)에서 일어난 상태에서 상단 측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할 수 있고. 레버(2)의 회전에 의해 걸림쇠(j)를 회전시킬 수 있다.
레버(2)에는 경첩부(미도시)와 개구부(21)와 회전체케이스(4)가 형성되어 있다.(도 3(A))
상기 힌지부는 레버(2)의 바닥 후면에 설치되어있다. 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케이스(1)에서 레버(2)를 케이스(1)로 엎드리게 접거나 펼쳐서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레버(2)와 별도로 형성된 힌지축과 힌지핀을 포함한다 (도시는 생략).
상기 힌지부는 레버(2)의 바닥 후면에 설치되어있다. 이 힌지부를 중심으로 케이스(1)에서 레버(2)를 케이스(1)로 엎드리게 접거나 펼쳐서 돌출시킬 수 있다. 상기 힌지부는 레버(2)와 별도로 형성된 힌지축과 힌지핀을 포함한다 (도시는 생략).
삭제
위의 힌지축은 원형이며, 표면(표면)에 상기 힌지핀이 관통할 수 있는 한 쌍의 돌출부분을 갖춘다.
상기 양 돌출부분 사이에 레버(2)의 단부가 배치되어 상기 돌출부분과 레버(2)의 후단부에 상기 힌지핀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힌지축이 레버(2)의 단부에 연결되게 되어있다.
상기 힌지핀은 주지의 핀을 사용할 수있다 (도시 생략). 위의 힌지축은 레버 수용부(13)의 관통부(13c)에 수용된다.(도 1(C) 및 도 2(B))
상기 힌지축의 중심은 관통부(13c)의 중심과 일치한다. 상기 힌지축과 관통부(13c)의 중심은 도어핸들 h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관통부(13c)에는 전후로 연장되는 힌지축이 삽입되어 해당 힌지축의 선단 측이 상기 관통부(13c)의 중심에 관통되어있다. 해당 힌지축의 끝단 측에 상기 걸림쇠(j)가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해당 축볼트(g)가 힌지축이다.
레버(2)를 돌출시켜 레버(3) 선단측을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관통부(13c)의 힌지축이함께 회전하여 상기 걸림쇠(j)를 회전시킬 수있다.
레버(2)의 뒤 측에는 상기 회전체케이스(4)가 설치되어있다. 회전체 케이스(4)는 후술하는 회전체(30)를 수용하는 케이스이다. 레버(2)에는 회전체 케이스(4) 쪽에 레버(2)의 앞쪽으로 개구하는 개구부(21)를 구비한다. 회전체 케이스(4)와 개구부(21)는 상기 힌지부 보다 레버(2)의 선단측에 형성되어있다.(도 1(A),도 2(A),(B) 및 도 3(A),(B),(E),(F))
회전체케이스(4)는, 여기에서는 레버(2)와 일체로 형성되어 레버(2)의 후방으로 들어가는 오목부이다. 이때, 회전체케이스(4)는 레버(2)와 별도로 구성하여 나사나 볼트, 핀 또는 용접이나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으로 레버에 일체로 결합고정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레버(2) 측에 레버(2)와 일체의 걸림 부분을 형성하고, 회전체케이스(4) 측에 회전체케이스(4)와 일체로 결합 부분을 마련하여 이들을 일체로 결합하도록 실시할 수 있다.
해당 걸림부는 결합부가 끼워 맞추어진 이후에는 해제될 수 없는 구성을 한다.
예를 들어 걸림 부분과 일체로 결합한 부분 중 하나에 대한 탄력성을 갖는 고리를 가진 수컷 부재로 다른 한편에 대해 해당 수컷 부재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 자물쇠고리가 걸리는 암컷 부재로 형성 수 있다.
회전체케이스(4) 및 레버(2)의 개구부(21)의 내경은 회전체(30)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상기 개구부(21)는 잠금노브(3)를 노출 시킴과 동시에, 후술하는 인디게이터(38)를 표출시키는 표시부를 겸하는 것이다. 회전체 케이스(4)의 내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홈 모양의 부분(이하 홈부 (41))이 설치되어 있다.(도 3(A),(E))
상기 회전체(30)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이다.(도 3(A),(E))
회전체(30)에는 빠짐방지부재(3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회전체(30)는 내부에 빠짐방지부재(37)와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미도시)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구비하며, 빠짐방지부재(37)의 일부를 회전체(30)의 외부로 돌출시키는 관통구(35)를 구비한다. 빠짐방지부재(37)는 빠짐방지부재(37)의 일부를 관통구(35)을 통해 회전체(3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도록 항상 상기 탄성부재로 가압되어 있다.
핸들 제조시에 회전체(30)를 개구부(21)로부터 회전체케이스(4)에 먼저 삽입한다,
빠짐방지부재(37)는 회전체케이스(4)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대항하며 상기 관통구(35)로부터 회전체(30)내로 삽입된다.
빠짐방지부재(37)는 회전체케이스(4)의 내주면과 접촉하며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대항하여 상기 관통구(35)로 강제 삽입된다. 또한, 회전체(30)를 회전체케이스(4) 내로 밀어넣어 상기 관통구(35)가 회전체케이스(4)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기 홈부(41)에 도달하면 빠짐방지부재(37)는 상기 관통구(35)로부터 돌출되는 것이 가능해져, 빠짐방지부재(37) 일부가 홈부(41)에 삽입된다.
회전체(30)가 회전체케이스(4) 내에서 개구부(21)쪽으로 후퇴하려고 하면 빠짐방지부재(37)가 홈부(41)에 걸려 회전체(30)의 후퇴를 막는 것이다.
상기 예에서는 빠짐방지부재(37)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받아 위와 같이 관통구(35)로 돌출하도록 한다. 이 밖에 빠짐방지부재(37)를 탄성체로 준비하여 별도의 탄성부재를 마련하지 않도록 실시할 수 있다.
빠짐방지부재(37)의 탄성력을 이용해 빠짐방지부재(37)의 일부를 상기 홈부(41)에 삽입하는 경우, 회전체(30)의 내부에 상기 수용실 및 관통구(35)를 마련하지 않고 실시하는 것이다.
회전체(30)에 상기 수용실 및 관통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빠짐방지부재(37)를 직경 내외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C자 와셔 등의 스프링부재로 회전체(30)의 외주면에는 회전체(30)의 원주방향(반경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오목한 홈을 마련해 해당 凹 홈에 상기 빠짐방지부재(37)를 끼우는 것으로도 실시할 수도 있다.(미도시)
또한, 회전체케이스(4)는 상기 래치(44)를 출몰시키는 개구(42)가 설치되어있다.(그림 3(A),(E)).
개구(42)는 회전체케이스(4)를 관통하고 레버(2)를 접은상태에서 회전체케이스(4) 상측에 설치된 레버수용부(13) 내에서 윗쪽으로 향해 래치(44)를 출몰시킬 수있다.
(잠금노브)
회전체케이스(4)에 수용된 회전체(30)의 정면 즉 회전체(30)의 전면(31)은 상기 잠금노브(3)가 설치되어 있다.(도 3(A) 및 도 4(B))
잠금노브(3)는 레버(2)의 정면에서 볼 때, 일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그 길이 방향의 폭 w1 (길이)를 당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 (폭 방향)의 폭w2보다 크게 한다.(도 3(B))
도 3(A),(B),(E),(F)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잠금노브(3)의 길이 방향은 상하 방향이다. 잠금노브(3)의 상기 직교 방향의 폭 부분을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잡고 돌림으로서 잠금노브(3)는 레버(2)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잠금노브(3)는 상기와 같이 손가락으로 잡아서 돌리기에 적합하며, 접어서 엎드린 상태의 레버(2) 전면으로 노출되는 폭 w3을 갖는다. (도 1(B))
노출 폭 w3은 적어도 3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mm~15mm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러나 손가락으로 잡을 수 있다면 잠금노브(3)는 상기 수치 범위 외의 치수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는(도 3(B)) 상기 직교 방향의 폭 부분 즉 잠금노브(3)의 좌우 측면(3a) 사이의 두께는 상기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거의 동일하다.
그러나 잠금노브(3)의 좌우 측면(3a) 사이의 두께는 길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잠금노브(3)는 상기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이 정면에서 볼 때 길이 방향의 양단 측보다 폭이 좁게 되도록 하여 잠금노브(3)의 양측면(3a)가 오목 곡선을 그리는 것으로도 좋고, 반대로 잠금노브(3) 상기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이 정면에서 볼 때 길이 방향의 양단 측보다 폭이 커지도록 잠금노브(3) 양측면(3a)이 볼록 곡선을 그리는 것으로도 해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그리고 상기 정면에서 볼 때 잠금노브(3)를 고른 모양으로 굴곡 된 것으로도 좋고 볼록 모양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으로도 좋다.
또한, 상기 곡선을 그리는 것은 어떤 경우든 커브는 잠금노브(3)의 좌우 한쪽 측면(3a)에만 설정해 두는 것으로도 좋다.
회전체(30)의 후단면(32)은 회전체(30)의 회전중심 x에서 벗어난 위치에 돌기(36)를 구비한다. (도 3(A),(C),(D),(E),(G),(H) 및 도 4(B)~(D),(G)~(I))
회전체(30)의 후단면(32)은 회전체(30)의 회전중심 x에서 벗어난 위치에 돌기(36)를 구비한다. (도 3(A),(C),(D),(E),(G),(H) 및 도 4(B)~(D),(G)~(I))
삭제
래치(44)는 회전체(30)와 별도로 형성된 작은 조각이며, 안, 밖을 관통하는 장공을 안내부(44a)로 갖춘다.(그림 3(A),(C),(D),(E),(G),(H))
회전체 케이스(4) 내부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44a) 내에는 회전체(30)의 돌기(36)가 배치된다.
회전체(30)에 고정된 잠금노브(3)를 잡고 회전하여 회전체(30)를 회전시키면, 돌기(36)는 회전체(30)의 중심축 x를 중심으로 선회한다.
회전체(30)의 회전으로 인해, 돌기(36)는 안내부(44a)를 가압하면서 안내부(44a)의 그 위치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레버(2)가 엎드려 접힌 상태에서 개구(41)로부터 돌출된 래치(44)의 선단 측이 상기 래치걸림부(17) 내에 침입하여 레버(2)가 케이스(1)에서 열리는 것을 차단한다.(그림 3(A)~(D))
또한, 래치걸림부(17)를 제 1 후퇴부(13a)의 내측면 중 상면 측에 마련과 함께 개구(42)를 회전체케이스(4) 상 측면 측에 설치하여 래치(44)가 회전체 케이스(4)에서 위쪽으로 향해 출몰(돌출)시키는 것으로도 해도 좋다 (도시하지 않음).
래치(44) 끝을 래치걸림부(17)에 삽입한 상태에서 잠금노브(3)를 잡고 회전시키거나 또는 반전시킴으로써 돌기(36)를 선회시켜 래치(44)를 원래 위치로 몰입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도 3(A ~(D)에 나타내는 래치(44)의 돌출상태에서 잠금노브(3)를 180도 회전시키거나 혹은 180도 역전시킴으로써 도 3(E)~(H)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래치(44)는 개구(42)에 출몰하도록 할 수 있다.
단, 잠금노브(3)의 방향을 위 180도 이외의 범위로 바꿈으로써 래치(44)를 출몰시키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 예제에서는 레버(2)의 선단은, 접어서 엎드린 상태에서 케이스(1)의 아래쪽으로 수납되어 있다. 따라서 래치(44)가 몰입된 상태에서 레버(2) 선단에 손가락을 걸고 끌어서 레버(2)를 돌출시킬 수 있다.
단, 케이스(1)에 스프링 등의 탄발부재를(도시하지 않는다.) 마련하고 레버(2)를 상시 돌출하는 방향으로 탄지하여 래치(44)가 몰입하면 자동으로 레버(2)가 일어나 돌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제에서는 래치(44)의 출몰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인디게이터(38)가 회전체(30)에 장착되어있다.(도 3(A),(E) 및 도 4(E)~(I)) 인디게이터(38)는 C 자 모양 링이며, C자의 외주에는 노치로 회전방지부(38a)를 구성한다.(도 4(F))
회전체케이스(4)의 내주면에 해당 회전방지부(38a)가 꼭 끼일 돌출부(도시하지 않는다.)를 마련하고, 잠금노브(3)의 조작에 의해 회전체(30)가 회전하여도 인디게이터(38)는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한다.
인디게이터(38)의 표면(전면)에는 분류된 2개의 영역을 포함한다.(도 4(E))
회전체(30)의 외주면에는 회전체(30)의 원주방향(레이디얼방향)을 따라 홈(33)이 형성되어 있고,(도 4(B),(D),(G),(I)) 해당 홈(33)에 상기 인디게이터 (38)가 끼워지게 된다.(도 4(F)~(I))
원통형 회전체(30)는 정면에서 볼 때 대체로 원호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원호의 일부가 홈부(34)를 가진다.(도 3(B),(F) 및 도 4(A),(B),(F),(G))
여기서는 정면에서 볼 때 홈부(34)는 상기 원호에 직선을 나타낸다. 즉 홈부(34)는 회전체(3)의 정면(앞쪽면) 호에 현을 나타내고 있다.
회전체(30)의 측면도에서 홈부(34)는 회전체(30)의 전면(31)에서 홈(33)에 걸쳐 설치되어 있고, 회전체(30)의 정면상에서 홈부(34)와 레버(2)의 개구부(21)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그 틈새를 인디게이터로 하고, 상기 인디게이터(38) 표면의 일부에 해당 틈새를 통해 외부로 표출시킨다 (도 3(B),(F)).
홈부(34)의 그 틈새를 일으키게 하는 것이면, 곡선 등 위의 직선 이외의 윤곽을 갖추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잠금노브(3)를 잡고 돌려서 회전체(3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홈부(34)의 방향을 바꾸어 인디게이터(38) 표면의 상기 틈새에서 표출시키는 색으로 구분된 영역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4(E)는 C자 인디게이터(38)의 일단 측 표면에 대한 진한 색상(검은 색)을 붙인 영역으로 그려 인디게이터(38)의 표면에 당해 진한 색상을 붙인 영역 이외의 다른 부분에 얼룩점(회색)을 붙인 영역으로 묘사되어있다.
이 예제에서는 래치(44)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34)는 위쪽으로 향하도록하며, 인디게이터(38) 표면의 상기 진한 색상의 영역이 상기 틈새에서 관측할 수 있는(도 3(B)) 한편, 래치(44)가 함몰된 상태에서 상기 홈부(34)는 아래쪽으로 향하게되어 인디게이터 표면의 상기 반점 영역을 상기 틈새에서 관측할 수 있다.(도 3(F))
인디게이터(38)에서, 상기 진한 색상의 영역을 빨간색으로 색칠한 영역으로하고 위 반점 영역을 녹색으로 착색한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색상에 대해서는 빨간색과 녹색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색상의 조합 또는 다른 모양을 붙인 영역의 조합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보충색, 즉 적색과 녹색을 이용하여, 래치(44)의 출몰 상태를 사용자가 명확하게 식별하여 인식할 수 있다.
핸들 제조시 상기 회전체 케이스(4)로 실린더자물쇠를 대신하여 핸들 레버(2)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해당 실린더자물쇠의 수용부(자물쇠 케이스)를 상기 회전체케이스(4)로 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5964218호(특허 문헌 2)에 나타내는 핸들 실린더자물쇠의 자물쇠케이스(자물쇠 수용케이스)를 상기 회전체케이스(44)로 이용할 수 있다.
레버(2)를 새롭게 설계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와 같이 기존의 자물쇠가 있는 핸들의 레버를 본 발명의 레버(2)로 이용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잠금노브(3)를 레버(2) 측에 설치하여 레버(2)에서 출몰하는 래치(44)가 레버(2)를 케이스(1)(케이스 본체 (10))에 접어서 엎드려 수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이때 다른 잠금노브(3)를 케이스(1)(케이스 본체(10)) 측에 설치하여 케이스(1)에서 출몰하는 래치(44)가 레버(2)를 케이스(1)에 접어서 수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케이스(1) 측에 잠금노브(3)를 설치하고, 잠금노브(3)를 회전시킴으로써 레버(2)에 직접 잠금노브(3)를 걸어 상기 레버(2)를 접어서 수납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실시예 2로서 레버(2)를 잠금노브(3)가 직접 거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 레버(2)를 앞뒤로 관통하는 관통구멍(22)을 구비한다(도 5(A),(C), 도 6(B) 및 도 7(A),(B)).
케이스(1)의 레버수용부(13)에 상기 잠금노브(3)를 회전가능하게 설치한다.(도 6(A),(B))
관통구멍(22)은 길이가 있다. 즉 관통구멍(22)은 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으로 그 길이 방향의 구멍 폭 w10이 당해 직교 방향의 구멍 폭 w20보다 큰 것으로 한다.(그림 5(C))
상기 구멍 폭 w10은 잠금노브(3)의 길이 방향의 폭 w1보다 약간 크다.(도 5(C) 및 도 7(A)) 구멍 폭 w20은 잠금노브(3) 직교 방향의 폭 w2보다 약간 크고, 잠금노브(3)의 세로 폭 w1보다 작다. 즉, 잠금노브(3)의 길이 방향을 관통구멍(22)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켜서 레버(2)를 접어서 엎드리거나 펼쳐 일으킬 때 잠금노브(3)가 관통구멍(22)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도 5(B),(C) 도 6(A),(B) 및 도 7(B))
레버(2)를 접은 상태로 관통구멍(22)을 통하여 레버(2) 앞쪽으로 노출되는 상기 잠금노브(3)를 잡고 돌려서 잠금노브(3)의 길이 방향을 관통 구멍(22)의 길이 방향과 교차시킴으로써 잠금노브(3)가 레버(2)를 걸어서 레버(2)의 돌출을 저지하는 것이다(도 5(A) 및 도 7 (A)).
도시된 예에서, 관통구멍(22)은 길이방향을 상하 수직 방향으로 하되, 좌우 측면 및 기타 상하 방향 이외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레버(2)의 관통구멍(22) 대신 레버(2)의 측면 좌우에 절개 부분을 마련해 해당 절개 부분을 통해 잠금노브(3)가 레버(2) 전면으로 노출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도시하지 않음).
삭제
여기에서 잠금노브(3)는 기판(5)의 전면(표면)에 세워 설치된 축부재(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도 6(A),(B) 및 도 7(A)~(E))
상기 기판(5)은 사각형의 판 모양의 조각을 예시하지만, 원형이나 그 이외의 형상을 채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정면에서 기판(5)의 모서리 중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기판(5)을 전후(앞뒤)로 관통하는 나사체결구멍(51)이 형성되어있다. 기판(5)은 두 나사체결구멍(51)의 사이에 축 부재 설치구멍(52)이 구성된다. 나사체결구멍(51)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위의 나사체결구멍(51)은 기판(5)의 모서리에 마련하는 것으로도 좋고, 축 부재 설치구멍(52)을 사이에 두고 축 부재 설치구멍(52)의 상하에 배치하여도 된다.
축 부재(6)의 후단(61)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축 부재(6)의 전단 측에 머리(62)가 형성되어 있다.(도 7(C)).
축 부재(6)의 머리(62)는 안착면을 갖추고 있다.
잠금노브(3)의 길이방향 중간 위치에 잠금노브(3)를 앞뒤로 관통하는 삽통공(39)이 구비되어있다.
상기 축부재(6)에 관형 스페이스(60)와 함께 잠금노브(3)의 삽통공(39)을 통과시킨 후, 축부재(6)의 후단을 축 부재 설치구멍(52)에 끼워 축부재(6)를 기판(5)에 고정(세워)할 수 있다.
상기 축부재(6)의 머리(62)는 안착면이 접촉하여 잠금노브(3)가 축부재(6)에서 빠지지 않는다.
상기에서 잠금노브(3)를 장착한 기판(5)의 나사체결구멍(51)에 나사(53)를 결합하여 해당 나사(53)가 케이스(1)의 레버수용부(13) 내에 형성된 기판장착부(13d)에 체결되어 기판(5)을 케이스(1)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노브(3)를 장착한 기판(5)의 나사체결구멍(51)에 나사(53)를 결합하여 케이스(1)의 레버수용부(13) 내에 설치된 기판장착부(13d)에 나사(53)를 체결함으로써 기판(5)을 케이스(1)에 고정할 수 있다.(그림 6(A),(B))
기판장착부(13d)는 케이스(1)의 레버수용부(13) 저부에 설치된 기판(5)을 장착하기 위한 면이다. 기판장착부(13d)의 상하에는 레버수용부(13)의 바닥으로부터 융기하는 돌출부(13f)가 형성되어있다.
돌출부(13f)는 기판(5)을 나사(53)로 기판장착부(13d)에 고정할 때 기판(5)의 위치 결정을 위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잠금노브(3)는 길이방향의 중앙에 삽통공(39)를 구비하는 것으로 했지만, 길이 방향의 일단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상기 삽통공(39)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도 7(F)), 레버(2)의 전면 관통구멍(22)의 좌우 한쪽에만 걸리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도 1 내지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의 회전체(30)를 수용하는 회전체케이스(4)에 상당하는 위치에 자물쇠수용케이스(7)가 설치되어서, 자물쇠수용케이스(7)는 자물쇠수용케이스(7) 내에서 출몰하는 래치편(72)이 실린더자물쇠(70)와 함께 보관되어 있다.(도 6(A))
더욱이 자물쇠수용케이스(7)는 래치편(72)을 자물쇠수용케이스(7)에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이 수용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케이스(1)의 레버수용부(13)에는 래치편걸림부(81)가 설치되어 있다.(도 6(B))
레버(2)를 접어서 엎드린 상태로 하여 래치편(72)(도 6(A))은 래치편걸림부(81)에 걸리도록 구성한다.(도시하지 않음).
래치편걸림부(81)는 케이스(1) 내에 회동 가능하게 축에 고정된다.(도 6(B))
레버(2)의 정면에는 누름버튼(8)이 설치되어있다. 케이스(1)는 누름버튼(8)의 조작에 연동하여 래치편(72)을 다시 밀어주는 작동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있다.
잠금노브(3)의 길이 방향이 레버(2)의 관통구멍(22)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누름버튼(8)을 누르면 래치편(72)은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가라앉는 방향으로 후퇴하며 래치편걸림부(81)에서 분리한다.
상기에서 래치편(72)을 래치편걸림부(81)에서 분리하여 레버(2)를 돌출시킬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케이스(1)에는 레버(2)를 상시 기립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는 스프링 등의 탄발부재가 설치되어 있고(도시하지 않은) 래치편(72)이 상기와 같이 래치편걸림부(81)에서 해방 됨으로써 레버(2)는 자동으로 펼쳐져서 돌출한다.
상기 실린더자물쇠(70)는 열쇠구멍(71)에 키(미도시)를 삽입하여 조작함으로써 잠그거나 열 수 있다. 실린더자물쇠(70)의 잠금상태에서 래치편(72)은 자물쇠수용케이스(7)에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자물쇠를 잠근상태에서는 누름버튼(8)을 눌러도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서 래치편(72)을 도로 밀어넣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실시예2에서는 잠금노브(3)의 방향을 보면 레버(2)의 접힘과 돌출이 가능한 상태인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실시예2에서 잠금노브(3) 자체는 실시예1에서의 인디게이터(38)을 겸하고있다.
실시예2에서, 일본국 특허 제3161336호(특허 문헌 3)에 나타내는 케이스를 상기 케이스(1)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허 제3161336호(특허 문헌 3)에 나타내는 케이스는 자물쇠의 걸고리를 통과시킬 수 있는 자물쇠고리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당해 자물쇠고리를 대신하여 케이스에 잠금노브(3)를 장착한 상기 기판(5)을 설치하면 좋다. 그러나 특허 제3161336호에 나타내는 핸들 레버의 관통공은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이기 때문에 잠금노브(3)를 걸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2의 레버로 상기 자물쇠고리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으로 길이를 갖는 타입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케이스(1)와 레버(2)에 잠금노브(3)의 구성을 새롭게 설계하여 실시하는 것을 제외 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특허 제3161336호 등 기존의 핸들의 구성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물쇠고리가 다른 자물쇠의 걸고리, 예를 들어 다이얼자물쇠의 걸고리를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것이어도 좋고, 그런 환상 부재를 구비한 레버를 본 발명의 실시(생산)에 이용하려면 관통구멍이 길이를 갖는 타입을 채용할 필요가 있다.
케이스(1)와 레버(2)에 잠금노브(3) 부분의 구성을 새롭게 설계하여 실시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특허 제3161336호 등 기존의 핸들의 구성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2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실시예1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 5 내지도 7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핸들 잠금부재로 실린더자물쇠를 구비하며, 이와 다른 실시예2에서 핸들에 상기 자물쇠를 구비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에서, 레버(2)에 관통구멍(22)을 마련하고 케이스(1) 측 잠금노브(3)를 레버(2)의 관통구멍(22)으로 통과시켜서 레버(2)를 잠금노브(3)가 걸도록 하는 것으로, 이와 다른 것으로는 케이스(1)의 전면개방부(13e) 부근에 잠금노브(3)를 축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레버(2)에 관통구멍을 마련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2에서 도 8(A),(B)의 케이스(1)에 잠금노브(3)를 설치하는 구조의 변경 예를 나타 낸다.
이 예에서는 도 7(A),(B)에 나타내는 돌출부(13f)를 케이스(1)에 마련하지 않고 기판장착부(13d)를 레버수용부(13)의 깊숙한 저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위치결정부(13g)를 구성한다. 기판(5)은 상기 기판장착부(13d)의 위치결정부분(13g)에 끼우는 것으로 기판(5)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배면측의 장착부(54)에 구성된다.(도 8(B)).
기판(5)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중공인 언덕모양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언덕모양부(55)의 상부는 언덕모양부(55)를 전후에 관통하는 구멍(56)을 구비하고, 구멍(56)은 중공의 언덕모양부(55)의 내부공간과 언덕모양부(55) 외부와 연통한다.
여기에서 잠금노브(3)는 상기 삽통공(39)을(도 7(C)) 구비하고, 또한 별도의 상기 축부재(6)를 구성하는 대신에 축부가 잠금노브(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해당 축부는 소경부(6a)와 대경부(6b)로 구성된다.
소경부(6a)는 잠금노브(3)의 후면에 형성된 잠금노브(3)뒤로 돌출한다. 소경부(6a)의 뒤로는 소경부(6a)와 연속하는 대경부(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축부에서 대경부(6b)의 직경은 상기 구멍(56)의 내경보다 크고 소경부(6a)의 직경은 구멍(56)의 내경보다 작다.
소경부(6a)를 상기 언덕모양부(55)의 내부 공간에 수용할 때 소경부(6a)를 구멍(56)에 통과시킴으로써 기판(5)에 잠금노브(3)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기판(5)을 하반부(5a)와 상반부(5b)로 분할하여 형성된 것이며, 기판(5)의 케이스(1)에 장착시 하반부(5a)와 상반부(5b)를 분리한 상태로, 상기 대 경부(6b)를 분할된 언덕모양부(55)의 내부 공간에 수용하면 된다. 기판(5)의 하반부(5a)와 상반부(5b)는 상기 기판장착부(13d)에 각각 나사(53)로 고정되어 일체가 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누름버튼(8)의 상단에는 누름버튼(8)의걸림부(82)가 구비되고, 레버(2)의 끝(하단)에는 누름버튼(8)의걸림부(82)를 착, 탈 가능하게 걸림하는 레버(2)의 걸림부(23)가 구비되어 있다.
누름버턴(8)은 스프링 등의 탄성체(미도시)에 직간접적으로 탄성력이 공급되어 있으며, 탄성력에 대항하여 누름버튼(8)을 밀어 넣을 수 있다.
잠금노브(3)의 길이 방향을 관통구멍(22)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킨 상태에서, 누름버튼(8)을 밀어 넣는 것으로, 걸림부(23)에 걸린 누름버튼(8)의 걸림부(82)는, 레버(2)의 걸림부(23)에서 분리되어서 레버(2)를 돌출시킬 수 있다.
이 예에서는 누름버튼(8)의걸림부(82)는 누름버튼(8)의 상단에 형성된 볼록부분이며, 걸림부(23)는 레버(2) 선단(하단)에 형성된 오목부분이다. 그러나 위와는 반대로 누름버튼(8)의걸림부(82)를 상기 오목부분으로 하고, 레버(2)의 걸림부(23)를 볼록부분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누름버튼(8)은 걸림부(82)를 통해 상기 탄성체에 간접적으로 탄지되어 있다. 누름버튼(8)의 걸림부(82)는 케이스(1)의 레버수용부(13)에 일단을 축으로 지지하며, 상기 탄성체에 탄지된 다른 쪽 끝은 누름버튼(8)의 뒷면에 항상 맞닿아 있다.
(기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 된 실시예1에 따른 핸들에 대해 상기 실시예2와 마찬가지로 누름버튼(8)을 갖추도록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도 9(A)~(D)) 즉, 실시예1의 케이스(1)에 상기 도8과 유사한 누름버튼(8)의 걸림부(82)를 갖춘 누름버튼(8)과 이를 탄지하는 탄성체(미도시)를 구성하고,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버(23) 선단에 상기 걸림부(23)를 마련하여 실시하는 것이다.
또한, 도 1~4 및 도 9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인디게이터(38)의 회전방지턱(38a)은 절개한 부분이다.(도 4(F)) 이 밖에 레버(2)는 회전체 케이스(4)의 내주면(24)에 회전방지받침(26)을 설치하고, 회전방지턱(38a)을 당해 회전방지받침(26)에 삽입할 수 있는 삽입 부로 형성할 수 있다.(도 10(A)~(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인디게이터(38)의 외주면은 전후방향에 대하여 전단을 인디게이터(38) 정면(38b)으로 하는 대직경부분(38c)과 대직경부분(38c)의 뒤측 후단을 인디게이터(38)의 후면(38e)으로 하는 소직경부분(38d)으로 구성된다.
소직경부분(38d)에는 인디게이터(38) 외주면의 둘레방향(레이디얼방향)의 다른 2개소에 상기 회전방지턱(38a)을 마련해 둔다.
회전방지턱(38a)은 소직경부분(38d)에서 상기 둘레방향의 다른 부분보다 돌출부분(돌출부)으로 한다.
이 예에서는 인디게이터(38)의 정면이나 및 배면에서 회전방지턱(38a)의 돌출방향의 끝은 대직경부분(38c)의 외경과 일치하고 있다. 즉 인디게이터(38)의 전후 방향에 대해 대직경부분(38c)의 외주면과 회전방지턱(38a)의 끝은 연속하는 면이다.(단 차가 없는 면)
또한, 이 예에서는 회전방지턱(38a)은 인디케이트가 나타내는 C자의 상부 측과 하부측의 2곳에 설치되어있다 (도 10(A),(C)).
또한, 도 10(A),(D)에서 도면의 번잡을 피하기 위해 인디게이터(38)는 전면측 색과 구분하는 영역을 선택하여 그려져 있다.
한편 회전체케이스(4)의 내주면(24)의 내경은 상기 C자 모양의 인디게이터(38)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내주면(24)의 뒤쪽(레버(2)의 개구부(21)와 반대 측)은 내주면(24)의 입구 측(개구부(21)쪽)보다 내경이 작은 소경부(25)가 형성되어있다. 소경부(25) 내경은 인디게이터(38)의 대직경부분(38c)의 외경보다 작고 소직경부분(38d)의 외경보다 크다. 내주면(24)의 둘레 방향에 대해 상기 소직경부(25)는 내주면(24)의 입구 측과 연속하여 상기 입구 측과 내경을 동일하게 하는 부분(오목)인 상기 회전방지받침(26)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회전방지턱(38a)에 대응하여 회전체케이스(4)의 소경부(25) 상하 2개소에 회전방지받침부(26)가 설치되어있다.
회전체(30)를 수용한 후 회전체케이스(4)에 표시부(38)를 수용하고 회전방지턱(38a)을 회전방지받침(26)에 배치함으로써 잠금노브(3)와 함께 회전체(30)가 회전해도 인디게이터(38)는 회전하지 않는다.
인디게이터(38)의 회전방지턱(38a)은 위치 및 개수를 상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변경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전방지받침(26)의 위치 및 개수도 상기 회전방지턱(38a)의 배치와 수의 변경에 따라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방지턱(38a)을 인디게이터(38)의 1개소에 구성하거나 3개소 이상에 구성하여도 좋고, 회전방지받침(26)의 위치 및 개수도 해당 회전방지턱(38a)의 배치 수의 변경에 따라 변경하면 된다.
도 1~4,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각 실시 예에서, 핸들은 상기 잠금부재를 구비 하는 주물을 예시한 것으로, 실시예1 및 실시예3에 있어서도 잠금부재를 구비하는 것으로 실제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해온 각 실시 예에서, 도어 핸들 h는 배전반 용 상자의 도어에 설치된 것으로 했지만 다른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도 실시 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핸들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식의 핸들에 대해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접어서 엎드린 상태에서 케이스(1)에 레버(2)를 수용하지 않는 타입의 핸들에 본 발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 및 그 변경 예의 각각에서 잠금노브(3)를 길게 갖추는 것으로 했지만, 잠금노브를 돌릴 수 있다면, 잠금노브(3)를 길게 갖추지 않은 형상의 것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1에서, 레버전방에서 볼 때 잠금노브(3)의 윤곽을 원형이나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 모양이 또는 다른 정다각형으로도 실시할 수 있으며, 해당 윤곽을 정다각형 이외의 다각형이나 호 이외의 곡선으로 둘러싸인 형상 혹은 곡선과 직선을 복합한 형태를 취한 것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2에 있어서도 잠금노브(3)가 레버(2)의 관통구멍(22)을 통과 하여 레버(2)에서 전방으로 노출된 후 잡고 방향을 바꾸면 레버(2)의 관통구멍 (22)이 걸려서 되돌아갈 수 없는 것이면 좋고, 위에서 언급한 길이를 갖추지 않은 것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2)의 전면에서 잠금노브(3)를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 기타 정다각형으로하고 관통구멍(22)도 상기 잠금노브(3)의 정삼각형이나 정사각형 기타 정다각형과 대응하는 정다각형, 즉 잠금노브(3)가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하며, 잠금노브(3)를 레버(2)의 전방에 노출시켜서 잡고 방향을 바꾸는 것으로 다각형의 모서리가 레버(2) 전면에 걸리는 것으로 하면 된다.
또한, 실시예2에 있어서도 잠금노브(3)를 상기 모양과 대응하는 모양으로 꿰뚫어 통공(22)을 갖추어 잠금노브(3)를 레버(2) 앞쪽으로 돌출시킨 후 방향을 바꾸면 레버(2)에 잠금노브(3)를 걸 수 있는 것이면 잠금노브(3) 관통구멍(22)을 상기 형상을 각각을 상기 정다각형 이외의 다각형이나 호 이외의 곡선으로 둘러싸인 형상 혹은 곡선과 직선을 복합한 형태를 취하여 실시할 수 있다.
1: 케이스 2: 레버 3: 잠금노브
3a: 잠금노브(3)의 좌우측면 4: 회전체케이스 5: 기판
5a: 기판(5)의 하반부 5b: 기판(5)의 상반부 6: 축부재
6a: (축부의)소경부 6b: (축부의)대경부 7: 자물쇠수용케이스
8: 누름버튼 10: 케이스본체 11: 고정부재
11a: 누름부 11b: 연결부
12: 패킹 13: 레버수용부 13a: 제1후퇴부
13b: 제2후퇴부 13c: 관통부 13d: 기판장착부
13e: 레버수용부(13)의 개방부
13f: 돌출부 13g: 위치결정부 14: 플랜지
16: 고정나사 17: 래치걸림부 21: 레버(2)의 개구부
22: 레버(2)의 관통구멍 23: 레버(2)의 걸림부
24: 회전체케이스(4)의 내주면 25: 회전체케이스(4)내주면(24)의 소경부
26: 회전체케이스(4)의 회전방지받침 30: 회전체
31: 회전체(30)의 전면 32: 회전체(30)의 후면 33: 회전체(30)의 홈
34: 회전체(30)의 홈부 35: 회전체(30)의 관통구 36: 회전체(30)의 돌기
37: 회전체(30)의 빠짐방지부재 38: 인디게이터
38a: 인디게이터(38)의 회전방지턱 38b:인디게이터(38)의 정면
38c 인디게이터(38)의 대직경부분 38d: 인디게이터(38)의 소직경부분
38e: 인디게이터(38)의 뒷면 39: 잠금노브(3)의 삽통공
41: 회전체케이스(4) 내주면의 홈부 42: 개구
44: 래치 51: 나사체결구멍 52: 축 부재설치구멍
53: 나사 54: 기판(5) 장착부
55: 기판(5)의 언덕모양부 56: 기판(5)의 구멍부
60: 스페이서 61: 축 부재(6)의 후단부 62: 축 부재(6)의 머리
70: 실린더 자물쇠 71: 열쇠구멍 72: 래치편
81: 래치편걸림부 82: 누름버튼(8)걸림부 83: 래치편
g: 볼트 h: 도어 핸들 j: 걸림쇠
k: 열쇠 t: 배전반용 상자
t1: 배전반용 상자(1)본체 t2: 배전반용 상자(1) 도어
t3: 도어 (t2)의 장착면 t4: 도어 (t2)의 장착구멍
t5: (설치면(t3)과 반대편)의 대항면 t6: 걸림쇠홀더
w1: 잠금노브(3)의 종방향 폭 w2: 잠금노브(3)의 직교방향 폭
w10: 관통구멍(22)의 길이 방향의 구멍 폭
w20: 관통구멍(22)의 직교 방향의) 구멍 폭
x: 회전체(30) 중심
3a: 잠금노브(3)의 좌우측면 4: 회전체케이스 5: 기판
5a: 기판(5)의 하반부 5b: 기판(5)의 상반부 6: 축부재
6a: (축부의)소경부 6b: (축부의)대경부 7: 자물쇠수용케이스
8: 누름버튼 10: 케이스본체 11: 고정부재
11a: 누름부 11b: 연결부
12: 패킹 13: 레버수용부 13a: 제1후퇴부
13b: 제2후퇴부 13c: 관통부 13d: 기판장착부
13e: 레버수용부(13)의 개방부
13f: 돌출부 13g: 위치결정부 14: 플랜지
16: 고정나사 17: 래치걸림부 21: 레버(2)의 개구부
22: 레버(2)의 관통구멍 23: 레버(2)의 걸림부
24: 회전체케이스(4)의 내주면 25: 회전체케이스(4)내주면(24)의 소경부
26: 회전체케이스(4)의 회전방지받침 30: 회전체
31: 회전체(30)의 전면 32: 회전체(30)의 후면 33: 회전체(30)의 홈
34: 회전체(30)의 홈부 35: 회전체(30)의 관통구 36: 회전체(30)의 돌기
37: 회전체(30)의 빠짐방지부재 38: 인디게이터
38a: 인디게이터(38)의 회전방지턱 38b:인디게이터(38)의 정면
38c 인디게이터(38)의 대직경부분 38d: 인디게이터(38)의 소직경부분
38e: 인디게이터(38)의 뒷면 39: 잠금노브(3)의 삽통공
41: 회전체케이스(4) 내주면의 홈부 42: 개구
44: 래치 51: 나사체결구멍 52: 축 부재설치구멍
53: 나사 54: 기판(5) 장착부
55: 기판(5)의 언덕모양부 56: 기판(5)의 구멍부
60: 스페이서 61: 축 부재(6)의 후단부 62: 축 부재(6)의 머리
70: 실린더 자물쇠 71: 열쇠구멍 72: 래치편
81: 래치편걸림부 82: 누름버튼(8)걸림부 83: 래치편
g: 볼트 h: 도어 핸들 j: 걸림쇠
k: 열쇠 t: 배전반용 상자
t1: 배전반용 상자(1)본체 t2: 배전반용 상자(1) 도어
t3: 도어 (t2)의 장착면 t4: 도어 (t2)의 장착구멍
t5: (설치면(t3)과 반대편)의 대항면 t6: 걸림쇠홀더
w1: 잠금노브(3)의 종방향 폭 w2: 잠금노브(3)의 직교방향 폭
w10: 관통구멍(22)의 길이 방향의 구멍 폭
w20: 관통구멍(22)의 직교 방향의) 구멍 폭
x: 회전체(30) 중심
Claims (6)
- 배전반용 상자(t)의 개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거나 돌출하도록 일어나거나 엎드림(기복)이 자유롭게 힌지축에 힌지핀으로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으로 상기 도어에서 나오고 들어가는(출몰) 걸림쇠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일어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핸들이 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쇠는 상기 도어에서 돌출되어 배전반용 상자(t)의 본체(t1)에 마련된 걸림쇠홀더(t6)에 걸려서 도어를 배전반 본체에 거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는 레버를 수용하는 레버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선단 측이 엎드린 상태에서는 레버가 상기 레버 수용부에 수용되고, 일어난 상태에서는 레버가 상기 레버수용부에서 도어 전방으로 돌출하는 도어 핸들에 있어서,
회전체 전면에 회전체와 일체로, 정면에서 볼 때, 일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그 길이 방향의 폭 w1 (길이)를 당해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 (폭 방향)의 폭w2보다 크게 하여, 상기 직교 방향의 폭 부분을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잡고 돌림으로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3mm 이상 전면으로 노출되는 폭 w3을 갖도록 구성한 잠금노브와;
상기 잠금노브의를, 상기 레버나 상기 케이스의 어느 한쪽에 회전이 자유롭게 갖추고, 다른 레버나 케이스의 어느 한 편에 잠금노브의 래치가 걸려서, 레버 수용부에 엎드린 상태의 상기 레버의 일어남을 저지하고, 상기 잠금노브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잠금노브가 걸린 것을 풀어 상기 레버를 일어남이 가능하게 한 것과;
상기 잠금노브와 일체로 된 회전체 후단면에, 회전중심 x에서 벗어난 위치에 돌기를 구비하여, 별도로 형성된 래치를 래치에 장공으로 형성된 안내부에 결합고, 상기 회전체 연동하는 래치를 준비하여, 상기 잠금노브를 잡아서 회전시킴으로써 해당 래치가 상기 레버나 상기 케이스의 다른 일쪽에 걸려서 엎드린 상태의 상기 레버의 일어남을 저지하거나, 레버가 일어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하는 도어 핸들. - 배전반용 상자(t)의 개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거나 돌출하도록 일어나거나 엎드림(기복)이 자유롭게 힌지축에 힌지핀으로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으로 상기 도어에서 나오고 들어가는(출몰) 걸림쇠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일어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핸들이 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쇠는 상기 도어에서 돌출되어 배전반용 상자(t)의 본체(t1)에 마련된 걸림쇠홀더(t6)에 걸려서 도어를 배전반 본체에 거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는 레버를 수용하는 레버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선단 측이 엎드린 상태에서는 레버가 상기 레버 수용부에 수용되고, 일어난 상태에서는 레버가 상기 레버수용부에서 도어 전방으로 돌출하는 도어 핸들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정면에는 상기 레버의 전방으로 노출하는 잠금노브가 상기 레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잠금노브는 그 길이 방향의 크기가 폭보다 크게 구성하여 길이 방향, 즉 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길이 방향의 폭을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폭보다 크게 하여서 직교 방향의 폭 부분을 잡아서 회동시키도록 구성한 것과;
상기 잠금노브와 일체로 구성한 회전체 후단면에, 회전중심 x에서 벗어난 위치에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에 회전체와는 별도로 형성된 래치의 장공으로 형성된 안내부를 결합하여 잠금노브의 회전에 따라 래치가 출몰하도록 상기 레버의 회전체케이스에 구성한 것과;
상기 레버수용부에는, 상기 회전체 케이스에 구성되어 돌출된 상기 래치를 걸기 위한 래치걸림부가 제공되고, 상기 잠금노브를 잡아서 회전하면 래치걸림부에 래치가 들어가 걸려서 레버를 고정하거나 래치걸림부로부터 래치를 해제시켜 레버의 기복이 자유롭도록 한 것과;
상기한 잠금노브의 구성이 기존 자물쇠를 구성한 도어 핸들의 잠금키와는 별도로 구성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 배전반용 상자(t)의 개구를 폐쇄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도어에 장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수용되거나 돌출하도록 일어나거나 엎드림(기복)이 자유롭게 힌지축에 힌지핀으로 고정되는 레버와, 상기 레버의 회동으로 상기 도어에서 나오고 들어가는(출몰) 걸림쇠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는 일어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핸들이 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쇠는 상기 도어에서 돌출되어 배전반용 상자(t)의 본체(t1)에 마련된 걸림쇠홀더(t6)에 걸려서 도어를 배전반 본체에 거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는 레버를 수용하는 레버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의 선단 측이 엎드린 상태에서는 레버가 상기 레버 수용부에 수용되고, 일어난 상태에서는 레버가 상기 레버수용부에서 도어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레버는 앞뒤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도어 핸들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레버수용부 내부에 설치하는 잠금노브는, 기판의 전면(표면)에 세워 설치된 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기판의 모서리 중 대향하는 두 모서리에 기판을 전후(앞뒤)로 관통하는 나사체결구멍을 형성하고 두 나사체결구멍의 사이에 축 부재 설치구멍을 구성하며, 축 부재의 후단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축 부재의 전단 측에 안착면을 갖춘 머리를 형성하며, 잠금노브의 길이방향 중간 위치에 잠금노브를 앞뒤로 관통하는 삽통공을 구비하여, 상기 축부재에 관형 스페이스와 함께 잠금노브의 삽통공을 통과시킨 후, 축부재의 후단을 축 부재 설치구멍에 끼워 축부재를 기판에 고정(세워)하여 잠금노브를 장착한 기판의 나사체결구멍에 나사를 결합하여 케이스의 레버수용부 내에 형성된 기판장착부에 체결기판을 결합하여 구한 것과;
상기 레버에 형성하는 관통구멍은, 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그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직교 방향으로 규정할 때, 그 길이 방향의 구멍 폭 w10이 당해 직교 방향의 구멍 폭 w20보다 크고, 상기 구멍 폭 w10은 잠금노브의 길이 방향의 폭 w1보다 약간 크며, 구멍 폭 w20은 잠금노브 직교 방향의 폭 w2보다 크고 잠금노브의 세로 폭 w1보다 작게 구성하여 잠금노브의 길이 방향을 관통구멍의 길이 방향과 일치시켜서 레버를 접어서 엎드리거나 펼쳐 일으킬 때 잠금노브가 관통구멍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정면에 래치의 출몰 상태를 나타내는 인디게이터를 회전체에 장착함에 있어서, 인디게이터는 C자 모양 링이며, C자의 외주에는 노치로 회전방지부를 구성하며, 잠금노브의 조작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하여도 인디게이터는 방향이 바뀌지 않도록 하며, 인디게이터의 표면(전면)에는 분류된 2개의 영역을 포함하며, 회전체의 외주면에 인디게이터가 끼워지며, 원통형 회전체는 정면에서 볼 때 원호의 일부가 홈부를 가지며, 회전체의 정면상에서 홈부와 레버의 개구부 사이 틈새로 인디게이터 표면의 일부가 외부로 표출시키도록 한 인디게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 기존의 실린더자물쇠가 장착되는 도어 핸들의 레버에 실린더자물쇠를 제거하고, 상기 실린더 자물쇠가 장착되었던 자물쇠수용케이스에, 레버의 전방으로 노출하는 잠금노브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되, 길이 방향의 크기가 폭보다 크게 구성하고, 길이 방향의 폭을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직교 방향의 폭보다 크게 하여서 직교 방향의 폭 부분을 잡아서 회동시키도록 구성한 상기 잠금노브와;
상기 잠금노브와 일체로 구성한 회전체 후단면에, 회전중심 x에서 벗어난 위치에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에 회전체와는 별도로 형성된 래치에 장공으로 형성된 안내부에 결합하여 잠금노브의 회전에 따라 출몰하도록 래치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돌기가 선회하면서 돌기가 상기 래치의 안내부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를 자물쇠수용케이스 외부로 출몰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제조 방법. - 레버에 앞뒤로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형성하고, 레버를 접어서 엎드린 상태에서 상기 관통구멍에 자물쇠고리가 관통하여 별도의 자물쇠를 자물쇠고리에 결합하여 레버를 고정하도록 구성한 기존의 도어 핸들에, 상기 자물쇠고리를 제거하고 자물쇠고리를 설치한 곳에 기판장착부로 레버수용부의 깊숙한 저면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위치결정부를 구성하며, 기판은 상기 기판장착부의 위치결정부분에 끼우는 것으로 기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배면측의 장착부에 구성하며, 기판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중공인 언덕모양부를 형성하며, 언덕모양부를 전후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고, 축부를 잠금노브와 일체로 형성하여 기판에 잠금노브를 설치하여서, 자물쇠고리 대신 본 발명의 잠금노브를 설치하여, 레버를 접어서 엎드린 상태에서 잠금노브가 상기 레버의 관통구멍으로 통과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핸들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012671A JP7193129B2 (ja) | 2019-01-29 | 2019-01-29 | 扉のハンドル |
JPJP-P-2019-012671 | 2019-01-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94048A KR20200094048A (ko) | 2020-08-06 |
KR102150599B1 true KR102150599B1 (ko) | 2020-09-01 |
Family
ID=71794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5172A KR102150599B1 (ko) | 2019-01-29 | 2019-03-27 | 도어 핸들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7193129B2 (ko) |
KR (1) | KR102150599B1 (ko) |
CN (1) | CN111485775A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9303B1 (ko) * | 2012-08-02 | 2014-02-10 | (주)디에스이 | 박스용 록커 |
KR101697873B1 (ko) * | 2015-10-28 | 2017-02-01 | 주식회사 공진 | 도어록킹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9097Y2 (ja) * | 1980-02-15 | 1984-06-01 | 本田興業株式会社 | 押ボタン式平面ハンドル装置 |
JPH0648307U (ja) * | 1991-03-07 | 1994-06-28 | ジャパン・ハードウェアー株式会社 | 平面ハンドル |
US5964218A (en) | 1994-08-31 | 1999-10-12 | Lifepro, Inc. | Face mask with back-up smoke inhalation protection and method of operation |
JP2912580B2 (ja) * | 1996-04-22 | 1999-06-28 | 株式会社栃木屋 | 平面ハンドル |
KR200142405Y1 (ko) * | 1996-10-01 | 1999-06-01 | 이관수 | 가방용 결착구 |
DE29711740U1 (de) * | 1997-07-04 | 1998-11-05 | Ramsauer, Dieter, 42555 Velbert | Durch Vorhängeschloß sichtbare Schwenkhebelbetätigung für den Verschluß von Schaltschranktüren o.dgl. |
TW471517U (en) * | 1999-08-31 | 2002-01-01 | Takigen Mfg Co | Flush handle assembly |
JP3339842B2 (ja) * | 1999-11-10 | 2002-10-28 | 株式会社ホシモト | 扉開閉用ハンドル装置 |
DE10049637C2 (de) * | 2000-10-05 | 2002-10-31 | Rittal Gmbh & Co Kg | Verschlusseinrichtung |
US6612795B2 (en) * | 2001-09-26 | 2003-09-02 | Illinois Tool Works Inc. | Quarter turn panel fastener |
CN2734919Y (zh) * | 2004-10-20 | 2005-10-19 | 查福鼎 | 密码锁具 |
KR200444046Y1 (ko) * | 2007-06-27 | 2009-04-07 | 김금덕 | 단자함 시건 장치 |
CN101990590B (zh) * | 2008-04-09 | 2012-11-28 | 索斯科公司 | T形把手致动器和闩锁 |
JP2011096891A (ja) * | 2009-10-30 | 2011-05-12 | Nec Corp | 機器取付具及びラックシステム |
KR20110005319U (ko) * | 2009-11-23 | 2011-05-31 | 가부시키가이샤 호시모토 | 이중잠금장치를 갖는 전기기기박스용 도어핸들구조 |
JP5408786B2 (ja) * | 2010-02-17 | 2014-02-05 | 日東工業株式会社 | 扉鎖錠装置 |
JP3161336U (ja) * | 2010-05-14 | 2010-07-29 | 株式会社ホシモト | 扉開閉用ハンドル |
CN201963089U (zh) * | 2011-02-24 | 2011-09-07 | 浪潮电子信息产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旋钮开关解锁机构 |
DE202011003768U1 (de) * | 2011-03-10 | 2011-12-13 | Beloxx Gmbh & Co. Kg | Möbelschloss |
CN202202672U (zh) * | 2011-08-03 | 2012-04-25 |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 锁紧装置及包括该锁紧装置的车载工具箱 |
JP5822782B2 (ja) * | 2012-04-27 | 2015-11-24 | 株式会社栃木屋 | ロック機構付き掛止装置 |
JP5964218B2 (ja) * | 2012-11-27 | 2016-08-03 | 株式会社ホシモト | 平面ハンドル |
CN104005600A (zh) * | 2013-02-20 | 2014-08-27 | 星本股份有限公司 | 平面把手 |
CN203499394U (zh) * | 2013-09-27 | 2014-03-26 |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 一种柜门自锁紧装置 |
-
2019
- 2019-01-29 JP JP2019012671A patent/JP7193129B2/ja active Active
- 2019-03-27 KR KR1020190035172A patent/KR10215059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4-12 CN CN201910295352.7A patent/CN111485775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9303B1 (ko) * | 2012-08-02 | 2014-02-10 | (주)디에스이 | 박스용 록커 |
KR101697873B1 (ko) * | 2015-10-28 | 2017-02-01 | 주식회사 공진 | 도어록킹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1485775A (zh) | 2020-08-04 |
JP7193129B2 (ja) | 2022-12-20 |
KR20200094048A (ko) | 2020-08-06 |
JP2020122258A (ja) | 2020-08-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31299B1 (en) | Combination lock and padlock combination with opening warning device | |
US6598434B2 (en) | Dual mechanism lock | |
US6199413B1 (en) | Security lock for portable articles | |
US20080034816A1 (en) | Security lock having a hook assembly engageable with a slot | |
US5862690A (en) | Low profile handle | |
US5461892A (en) | Fastener for a suitcase | |
JP3229296B2 (ja) | 南京錠 | |
US20020073747A1 (en) | Flexible shackle lock with a replaceable shackle | |
KR102150599B1 (ko) | 도어 핸들 | |
KR900001944A (ko) | 피봇된 단일 새클 조립체를 갖춘 자물통 | |
CA2603301A1 (en) | Door lock assembly having a support structure to support a tailpiece and a retaining plate | |
US2662390A (en) | Key slot plug | |
JP5964218B2 (ja) | 平面ハンドル | |
JP5503042B1 (ja) | 飲料用容器の栓体 | |
US20060162400A1 (en) | Combination lock having a deceptive structure to protect the lock from being unlocked via inappropriate measure | |
JP3686168B2 (ja) | 抽斗のラッチ装置 | |
US20060021401A1 (en) | Tubular lock having two-stage operable latch bolt mechanism | |
JPH102134A (ja) | シリンダー錠 | |
KR101956699B1 (ko) | 도어 락킹장치 | |
KR200175232Y1 (ko) | 도난방지 기능을 구비한 잠금 장치 | |
US1532765A (en) | Lock | |
JP3957813B2 (ja) | キー装置 | |
JPH07331941A (ja) | 二輪車の盗難防止装置 | |
JP6909044B2 (ja) | シリンダー錠 | |
KR940006487Y1 (ko) | 도어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