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941B1 -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941B1
KR102149941B1 KR1020140028878A KR20140028878A KR102149941B1 KR 102149941 B1 KR102149941 B1 KR 102149941B1 KR 1020140028878 A KR1020140028878 A KR 1020140028878A KR 20140028878 A KR20140028878 A KR 20140028878A KR 102149941 B1 KR102149941 B1 KR 10214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intermediate holder
assembly
guide rail
glov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417A (ko
Inventor
Christoph Wagner
Original Assignee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filed Critical 파우레시아 이넨라움 시스템 게엠바하
Publication of KR2014011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박스(2), 특히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1)에 관한 것이며, 조립 장치는
- 박스(2);
- 조립 프레임(3); 및
-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4)을 포함하며,
가이드 레일(4)은 박스(2)에 지향된 접촉 표면부(26)를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박스(2)는 가이드 레일의 접촉 표면부(26)에 베어링되고, 접촉 표면부(26)는 박스(2)의 저면에 10~80°로 기울여진다.
본 발명에 따라, 조립식 배열(1)은 적어도 하나의 중간 홀더(11)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간 홀더(11)를 통하여 가이드 레일(4)이 조립 프레임(3)과 결합되며, 중간 홀더(11)는 적어도 박스(2) 및 조립 프레임(3)에 대한 구성 요소이다.

Description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ASSEMBLY ARRANGEMENT OF A GLOVE COMPARTMENT}
본 발명은 박스, 조립 프레임(assembly frame) 및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을 포함하는, 박스의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이드 레일은 박스에 지향된 접촉 표면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영역에서 박스는 가이드 레일의 접촉 표면부에 받쳐 있다. 접촉 표면부는 10~80°로 박스의 저면(base surface)에 기울어지며 및/또는 수평면에 기울어진다.
이미 현재 이용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조립 장치는 수평면에 기울어진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횡방향으로 박스의 제조 공차(manufacturing tolerances)가 수직 방향에서 박스의 위치 이동을 유도하는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이동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박스의 박스 뚜껑의 차선적 배열을 유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스의 제조 공차가 부품의 수직 변위(vertical displacement)을 유도하지 않거나 한정된 한도만을 유도하지 않는 부품용 조립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에 따른 조립 장치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추가 개선은 종속항으로부터 추론된다.
가이드 레일이 중간 홀더(intermediate holder)를 통하여 조립 프레임과 결합되는 사실로 인하여, 중간 홀더는 박스 및 조립 프레임의 구성 요소이며, 하나는 더이상 박스의 수직 변위, 즉 박스의 저면에 직각으로 이동 또는 무시할 수 있는 크기만을 유도하지 않는 제조 공차 때문에 박스의 폭을 변화시킬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중간 홀더는 또한 가이드 레일의 구성 요소이다. 특히 이 구체예는 더 어렵게 조립체를 렌더링하는 중간 홀더가 없이 가이드 레일이 처음에 박스에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체에 대하여 실용적이다. 그러나, 중간 홀더는 또한 가이드 레일에 일체로 설계될 수 있고, 박스의 방향으로 지향된 중간 폴더의 표면은 가이드 레일을 형성한다. 중간 홀더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로 변형의 이점은 분리된 가이드 레일로 변형에 대하여 조립 장치의 필요한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는 것이다.
구체예 뿐 아니라 본 발명의 선택적 특징은 글로브 박스에 의해 하기에 설명된다. 그러나, 차량의 다른 부품은 하기에 설명되는대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글로브 박스가 하기에 언급됨에도 불구하고, 다른 타입의 박스를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글로브 박스로의 응용으로, 선택적 특징 뿐 아니라 본 발명은 기술적 수준과 비교하여 상당한 이점을 제공하며 차량 탑승자의 직시(direct view)에 있는 글로브 박스이기 때문에 수직 배열에 관한 오류가 성가시게 나타나므로 이러한 단점의 방지가 특히 중요하다.
조립 프레임은 박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간 홀더가 배치되는 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 프레임은 예를 들어 차량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 홀더는 조립 프레임의 접촉 측면(contact side)에 있을 수 있다. 접촉 측면은 공차 보상(tolerance compensation)이 이루어지는(제조 공차가 보상되는) 방향으로 10°미만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특히, 접촉 측면은 수평면(또는 박스의 저면)에 병렬인 방향으로 10°미만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글로브 박스의 폭 공차는 박스의 조립 높이에 영향을 주지 않고 횡방향으로 중간 홀더를 배치시켜 보상될 수 있다.
응용의 문맥 내에서 "횡방향(lateral direction)"은 조립 장치가 차량에 설치될 때 차량 종방향 및 수직 방향(평지에 배치된 차량에 주어진 중력의 방향)에 직각으로 구동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박스의 저면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병렬이며 동시에 가이드 레일의 종방향에 직각인 방향은 응용의 맥락에서 "횡방향"으로 볼 수 있다. 접촉 측면은 박스의 저면에 10°미만으로 가이드 레일의 종방향(longitudinal direction)으로 추가적으로 기울여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조립 장치는 중간 홀더로 각각의 경우에 접촉하거나 포함되는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두 개의 중간 홀더는 글로브 박스의 반대측에 배치되고, 즉 조립 장치를 갖춘 차량의 주행 방향에서 볼 수 있고, 하나의 중간 홀더는 글로브 박스의 왼쪽 옆에 배치되며, 다른 중간 홀더는 글로브 박스의 오른쪽 옆에 배치된다. 각각의 경우에 중간 홀더 둘 다는 조립 프레임과 결합되고 10°미만으로 횡방향에서 글로브 박스의 저면에 기울어지는 접촉 측면을 가진다.
두개의 가이드 레일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게다가, 횡방향에서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의 접촉 표면은 박스의 저면에 서로의 반대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차량의 주행 방향의 왼쪽에서 보이는 가이드 레일의 접촉 표면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증가하는 차량의 주행 방향의 오른쪽에서 보인 가이드 레일의 접촉 표면으로서 왼쪽에서 오른쪽까지 동일한 각도로 내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왼쪽 가이드의 접촉 표면은 45°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내려질 수 있고, 오른쪽 가이드 레일의 접촉 표면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45°로 올려질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의 종방향은 차량 종방향에 대응할 수 있고, 즉 가이드 레일은 종방향에서 수평으로 구동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 및 중간 홀더는 부분적으로 단독으로 및 부분적으로 복수로 하기에 언급된다. 그러나 이후에 설명되는 특징은 하나의 가이드 레일 및 하나의 중간 홀더와 함께 구체예로 및 복수, 특히 두 개의 가이드 레일 및 중간 홀더와 함께 변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은 다중 부분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러,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의 두 부분은 가이드 레일의 종 방향에서 서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은 종 방향에서 서로 이동 가능한 내부 레일 및 외부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레일의 부분(예를 들어, 내부 레일 및 외부 레일)은 저마찰 이동 가능성을 이루기 위하여 베어링 수단(bearing means), 예를 들어 볼(balls)에 의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은 추가 구체예에서 박스의 저면에 30~60°,40~50° 또는 약 45°로 기울어진다. 각각의 경우, 경사각의 크기는 특정 값을 의미한다.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제 1 부분은 예를 들어 스크류로 설계될 수 있는 제 1 결합 소자에 의하여 글로브 박스에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스냅-인 결합 장치(snap-in connectors)와 같은 다른 결합 소자는 스크류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제 1 결합 소자는 형상 결합 결합부(positive-fit connection)를 형성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고, 즉 결합부로 결합 파트너는 서로에 결합되며, 따라서 결합부의 해제을 방지한다.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레일의 제 2 부분은 제 2 결합 소자에 의하여 중간 홀더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결합 소자는 스크류(screw)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형상 결합부를 생성하는 다른 결합 소자는 제 2 결합 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제 2 결합 소자는 적어도 영역에서 가이드 레일을 감싸거나 가이드 레일에 결합될 수 있는 클립(clip)을 포함한다. 클립은 교대로 중간 홀더에 결합된다. 결합 홀더 및 클립 사이의 결합부는 예를 들어 스크류 결합부로서 설계될 수 있다.
제 2 결합 소자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 및 중간 홀더의 결합에 대한 대안으로, 가이드 레일(또는 가이드 레일의 제 2 부분)은 위에 언급된대로 중간 홀더에 통합될 수 있다.
중간 홀더는 조립 프레임으로 조립 프레임의 접촉 측면을 통하여 제 3 결합 소자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제 3 결합 소자는 다수의 결합 위치에서 조립 프레임으로 중간 홀더를 고정시키는데 적합할 수 있고, 결합 위치는 횡방향에서 중간 홀더 및 조립 프레임의 상대적 배열에 대하여 서로와 다르며, 결합 위치는 조립 프레임에 중간 홀더의 수직 배열에 대하여 동일할 수 있다. 다른 결합 위치는 연속 방식으로 서로에 결합된다. 따라서, 중간 홀더는 중간 홀더가 (특히 좁은 박스의 공차 보상을 보장하기 위하여) 짧은 거리로 서로에 조립되는 제 1 단부 위치 및 중간 홀더가 (특히 넓은 박스의 공차 보상을 보장하기 위하여) 서로에 긴 거리로 조립되는 제 2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고, 중간 홀더는 두 개의 단부 위치 사이의 직선을 따라 모든 위치에서 균일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로써, 중간 홀더의 위치는 공차 때문에 구조적으로 동일한 박스의 평균 폭으로부터 박스의 폭의 실제로 존재하는 차이에 정확히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설치 높이에 대하여 박스의 설치 높이의 변화를 유도하여 공차에 의해 야기되는 박스 폭의 편향을 방지할 수 있다.
제 3 결합 소자는 해제가능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중간 홀더는 특히 제 3 결합 소자가 해제되는 경우 횡방향으로 조립 프레임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배치된 중간 홀더를 가지는 글로브 박스가 조립 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며, 중간 홀더의 수평 배열은 글로브 박스의 폭에 자동적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글로브 박스의 폭에 대한 제조 공차는 중간 홀더의 측면으로 어긋나있는 배열만을 유도한다. 글로브 박스의 설치 위치의 수직 변위와 대조적으로 차량 이용자에게 불리하지 않으며 따라서 수용가능하다.
중간 홀더 또는 조립 프레임은 연장된 홀(elongate hole)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다른 구성 요소(조립 프레임 또는 중간 홀더)는 추가 홀을 포함할 수 있고, 홀은 포켓-홀(pocket-hole) 또는 관통-홀(through-hole)로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된 홀은 조립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추가 홀은 중간 홀더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립 프레임에 가이드 레일 및 중간 홀더에 결합된 글로브 박스의 삽입 후, 예를 들어 스크류로 설계되는 제 3 결합 소자는 중간 홀더의 접촉 측면과 결합되어 있는 조립 프레임의 하부측에서 연장된 홀을 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추가 홀에 삽입될 수 있거나 나사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홀은 나사산(thread)을 포함할 수 있어서, 조립 프레임에 중간 홀더의 간단한 체결(screwing)은 조립 프레임의 하부측에서 가능하다. 이러한 변형은 조립 프레임의 하부측이 보통 조립 동안 어떤 문제 없이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특히 단순한 구조를 허용한다. 비용은 자동 절단 스크류(self-cutting screw)의 이용으로 더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 홀은 스크류 자체가 나사산을 절단하기 때문에 스크류의 삽입 전 나사산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이는 추가 홀에 나사산을 결합시키는 작업 단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중간 홀더의 제조에 의해 수반되는 효과를 감소시킨다. 일반적으로, 중간 홀더에 연장된 홀을 배치할 수 있으며, 조립 프레임에 추가 홀을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중간 홀더가 설계될 수 있어서 접촉 표면의 상부 측은 중간 홀더의 연장된 홀을 통하여 스크류를 푸시하기 위하여 이용가능하다. 중간 홀더의 설계로 접촉 표면의 상부 측의 이용 가능성을 가능한 우수하게 할 지라도, 대체로 조립 프레임의 하부측의 이용 가능성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수하다. 따라서, 접촉 표면의 상부측에서 조립은 조립 프레임의 연장된 홀 및 중간 홀더의 추가 홀로 처음에 기술된 변형과 비교하여 더 어렵다.
특히 이전에 기술된 조립 장치로, 중간 홀더를 통하여 간접적으로만 조립 프레임에 결합되는 글로브 박스를 예상할 수 있거나 두 개의 중간 홀더를 통한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의 이용으로 예상할 수 있고, 이러한 결합부는 글로브 박스의 위치를 정의한다. 글로브 박스의 위치를 정의하는 결합부는 글로브 박스 및 조립 프레임의 상대적인 위치를 고정하는 결합부를 의미한다. 또한, 글로브 박스, 예를 들어 글로브 박스의 상단부에서 조립 프레임에 접할 수 있으나 글로브 박스의 설치 위치는 베어링 접촉부에 의해 고정적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또한, 추가적인 탄성 결합부(resilient connections)는 글로브 박스 및 조립 프레임 사이에 존재할 수 있으며, 조립 프레임으로 글로브 박스를 편향시키나 글로브 박스의 위치를 고정적으로 정의하지 않는다. 이러한 탄성 결합부는 주행 시 떨림 때문에 글로브 박스의 바람직하지 않고 잠재적으로 소음이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전에 기술한대로, 조립 장치는 특히 예를 들어 횡방향에서 연장에 대하여 1mm에 의해서만 글로브 박스와 다른 구조적으로 동일한 글로브 박스로 글로브 박스를 교환시킬 때 글로브 박스의 설치 높이가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 장치의 설계는 다양한 결합 위치에서 조립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는 중간 홀더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횡방향에서 다를지라도 결합 위치는 수평 방향에서 다르지 않다. 여러(예를 들어 2개) 중간 홀더가 제공되는 경우, 중간 홀더 중 하나는 서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중간 홀더의 결합 위치를 설정할 수 있어서, 양 중간 홀더 사이의 거리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홀더 사이의 거리는 박스의 폭에 적용될 수 있다. 박스의 설치 높이는 폭이 미리 정의된 최소 및 최대 폭 사이에 있어 아주 긴 박스의 폭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다. 따라서, 글로브 박스의 폭 영역(즉, 최소 및 최대 폭 사이의 연속 영역)이 존재 할 수 있고, 폭 영역에서 글로브 박스의 폭 변화는 설치 높이의 변화를 유도하지 않는다. 최소 폭 및 최대 폭은 조립 프레임, 글로브 박스 및 중간 홀더의 정확한 패셔닝(fashioning)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최대 폭은 조립 프레임에 측면으로 인접한 중간 홀더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따라서 더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수 없다. 중간 홀더의 이동 가능성은 조립 프레임 및/또는 중간 홀더의 연장된 홀에 의해 이루어지며, 글로브 박스의 최대 및 최소 폭 사이의 거리는 연장된 홀의 길이 및 연장된 홀의 폭 사이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다. 두 개의 중간 홀더가 박스의 반대측에 적용되는 경우, 박스의 최대 및 최소 폭 사이의 차이는 연장된 홀의 길이의 합 및 연장된 홀의 폭의 합 사이의 차이에 대응할 수 있으며, 두 개의 중간 홀어는 연장된 홀을 통하여 각각의 경우 조립 프레임에 결합된다.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를 제외하고, 본 발명은 연장된 방향 및 횡방향을 가지며 이전에 기술된 조립 장치로 제공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박스의 설치를 위한 조립법에 관한 것이다. 조립법으로, 글로브 박스는 제 1 방법 단계의 순서에서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며, 가이드 레일은 중간 홀더에 결합된다. 그 결과, 가이드 레일에 글로브 박스의 결합 또는 가이드 레일에 중간 홀더의 결합 둘 중 하나는 처음에 구체예에 의존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글로브 박스에 가이드 레일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가이드 레일의 가능한 개구부가 중간 홀더 및 가이드 레일의 설계에 의존하여 중간 홀더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처음 언급된 시퀀스는 조립 장치의 많은 변형에 대하여 가장 실용적인 것이다. 중간 홀더에 포함된 가이드 레일로의 변형으로, 포함된 가이드 레일로 중간 홀더만 제 1 방법 단계의 순서에서 글로브 박스에 고정된다.
가이드 레일 및 중간 홀더와 함께 글로브 박스는 글로브 박스가 가이드 레일헤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이 중간 홀더에 결합된(또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가이드 레일 및 두 개의 중간 홀더가 글로브 박스에 결합된) 후 조립 프레임으로 밀려진다. 그 후, 글로브 박스는 조립 프레임으로 중간 홀더의 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도면에 의하여 이후에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글로브 박스의 표준 조립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중간 홀더의 영역에서, 글로브 박스에 대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 장치를 통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체예에 따라, 안에 배치되는 중간 홀더 및 가이드 레일을 가지는 조립 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조립 장치를 통한 섹션의 투시도이다;
도 5는 아래로 경사질 뿐 아니라 위로 경사진 중간 홀더의 투시도이다;
도 6은 아래로 배치된 중간 홀더를 가지는 조립 프레임의 도면이며;
도 7a 및 7b는 공차 보상을 가지는 중간 홀더의 작용 원리의 도식도이다.
글로브 박스의 표준 조립 장치는 도 1에 나타낸다. 조립 프레임(3')의 글로브 박스(2')는 조립 장치(1')에 배치된다. 글로브 박스(2') 및 조립 프레임(3') 사이의 결합부를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4')은 조립 프레임에 글로브 박스(2')를 고정하기 위하여 경사진 표면으로 각각의 경우 글로브 박스의 양 측에 배치된다. 글로브 박스(2')는 박스의 횡방향 또는 저면에 경사진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양 가이드 레일(4')의 배열 때문에 특히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의 단점은 글로브 박스(2')의 조립체 높이의 상대적으로 큰 변동이 몇몇 구조적으로 동일한 조립 장치(1') 사이에서 발생하는 사실에 있다. 본 발명에서 확인된대로, 배열의 단점은 설계 때문에 방지될 수 없는 글로브 박스(2') 폭의 변동이 항상 가이드 레일(4')의 경사진 배열 대문에 글로브 박스의 설치 위치의 변화를 유도하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조립 장치(1)을 통한 단면의 상세도는 도 2에 나타낸다. 이에 의하여 도 2에 나타낸 상세도는 글로브 박스(2)의 오른측에 배치된 차량의 주행 방향에서 고려되는 가이드 레일의 환경을 나타낸다. 가이드 레일은 내부 레일(4), 외부 레일(10) 및 선택적으로 볼(15)을 가지는 케이지(cage)를 포함한다. 볼(15)을 통하여 내부 레일은 외부 레일(10)과 접촉하며, 외부 레일(10)에 상대적으로 선형으로 이동 가능하다. 대체적인 변형으로, 무한한 다른 선형 가이드 레일은 가이드 레일의 나타낸 변형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내부 레일(4)은 본 구체예에서 제 1 내벽(5) 및 제 2 외벽(6)으로 설계되는 글로브 박스(2)에 나사결합된다. 이로 인하여, 스크류(8)가 삽입되는 개구부(7)는 제 2 벽(6)에 제공된다. 스크류(8)는 내부 트레일(4)의 나사산 개구부(threaded opening, 9)로 나사결합된다. 스크류(8)의 헤드(head)는 제 1 벽(5) 및 제 2 벽(6)을 가지는 글로브 박스(2)의 설계 때문에 양 벽 사이에 배열될 수 있어서, 스크류 헤드는 조립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조립 장치의 완전한 조건에서 스크류 헤드는 글로브 박스의 내부에서 인식 가능하지 않다. 내부 레일(4)은 영역에서 글로브 박스로 접하는 접촉 표면(26)을 포함한다. 내부 레일(4)은 외부 레일(10)을 통하여 중간 홀더(11)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외부 레일(10)은 중간 홀더(11)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추가 스크류(12)에 의하여 중간 홀더(11)에 고정적으로 나사결합된다. 도 1의 표준 조립 장치에서와 같이 내부 레일(4)은 미리 정의된 양에 의해 글로브 박스(2)의 수평면 또는 저면에 대하여 45도 기울여진다. 중간 홀더(11)는 조립 프레임(3)에 접하는 중간 홀더(11)에 의하여 접촉 측면(13)을 포함한다. 이 결과, 접촉 측면(13)은 적어도 횡방향 x에서 반드시 수평으로 구동되며, 즉 횡방향에서 접촉 측면은 글로브 박스의 수평면 또는 저면(27)으로 10도 미만의 각도를 가진다. 중간 홀더(11)의 접촉 측면(13)은 본 구체예에서 자가 절단 방식으로 설계되는 스크류(24)를 통해 조립 프레임(3)에 고정되고, 다른 위치에서 조립 프레임(3)으로 중간 홀더(11)의 나사결합은 가능한 횡방향으로 서로 어긋난다. 이를 위하여 조립 프레임(3)은 연장된 홀(22)을 포함한다. 도 1의 배열과 비교하여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의 나타낸 구체예는 글로브 박스의 폭에 관한 공차, 즉 횡방향에서 글로브 박스(2)의 연장이 글로브 박스(2)의 설치 높이의 변화를 유도하지 않는 이점을 가진다. 글로브 박스(2)가 공차 때문에 나타난 것보다 광대하게 형성되는 경우, 중간 홀더는 글로브 박스 설치의 더 오른쪽으로 미끄러지고, 글로브 박스(2)의 넓은 폭은 x-방향에서 중간 홀더(11)의 이동에 의해 보상된다. 따라서, 홀더는 좁은 글로브 박스(2)가 주어진 더 왼쪽으로 미끄러진다. 또한, 조립 장치의 제조 비용은 글로브 박스(2)의 큰 폭 공차가 제조의 거부율(rejection rate)의 감소를 유도하거나 더 적은 정확성 및 더 적은 값 비싼 제조 설비를 허용하는 제조를 유도하는 배열로 설치 높이에 영향을 주지 않는 사실로 수용될 수 있다.
배치된 글로브 박스(2) 없이 조립 장치의 변형은 설명을 위하여 도 3에 다시 나타낸다. 본 구체예에서, 조립 프레임(3)은 5개의 측, 특히 글로브 박스의 상부측, 하부측, 양 측표면 및 배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조립 프레임에 관하여, 이 경우에 조립 프레임은 글로브 박스가 매달려지지만 적어도 더 큰 크기의 조립체가 글로브 박스용 설치 공동을 둘러싸는 오직 프로파일 프레임(profile frame)의 경우가 아니다. 게다가, 도 3에서 가이드 레일(4)은 글로브 박스(2)로 고정부를 제공하는 조립 돌출부(assembly projections, 14)를 포함한다. 글로브 박스(2)의 설치로, 처음 가이드 레일의 내부 레일(4)이 글로브 박스(2)에 결합될 수 있고, 그 후 중간 홀더(110)이 조립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가이드 레일의 외부 레일(10)에 결합될 수 있다. 그 이후에서만 조립 프레임(3)에 삽입된, 그 위에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 및 중간 홀더(11)과 함께 글로브 박스이며, 중간 홀더(11)의 측 위치는 자동적으로 글로브 박스(2)의 폭에 적용된다. 이러한 조립법의 변형으로, 도 3에 나타낸 상태는 발생하지 않는다(중간 홀더가 아니라 글로브 박스가 조립 프레임에 배치된다). 완전한 조립 장치로, 중간 홀더(11) 및 가이드 레일은 도 3에 나타낸대로 배치될 수 있으며, 중간 홀더(11) 및 가이드 레일(4)은 주로 완전한 조립 장치에 대응하는 관점으로 글로브 박스에 의해 보호될 것이다.
완전한 조립 장치(1)을 통한 단면도는 도 4에 나타낸다. 인식되듯이, 중간 홀더는 횡방향 x에서 조립 프레임의 측벽(17)에 거리를 두고 떨어져있으며, 거리부(distance, 18)는 글로브 박스(2)의 폭에 의존한다.
도 4에서, 글로브 박스는 탄성 스냅인 훅(resilient snap-in hook, 25)에 의하여 조립 프레임(3)에 직접 결합된다. 그러나, 스냅인 훅(25)은 글로브 박스의 설치 위치를 정의하지 않으나 조립 프레임에 글로브 박스의 베이스(base)를 편향시킨다. 이에 의하여, 주행 시 흔들림 때문에 진동으로 설정될 수 있는 글로브 박스의 베이스를 방지한다. 글로브 박스(2)의 베이스의 진동은 특히 글로브 박스의 베이스에 규칙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소음을 발생시키는 글로브 박스에 배치되는 객체를 유도할 수 있다. 왼쪽의 중간 홀더(11)는 도 5의 아래로 경사질 뿐 아니라 위로 경사진 도면을 나타낸다. 상부로 경사진 도면에서, 가이드 레일(4)에 중간 홀더의 결합부를 제공하는 다양한 돌출부(19) 및 개구부(20)를 나타낸다. 대조적으로, 아래로 경사진 투시도에서, 홀(21)은 조립 프레임으로, 가이드 레일 및 중간 홀더를 갖춘 글로브 박스의 삽입 후 조립 프레임에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을 포한한다. 게다가, 조립 프레임에 중간 홀더의 반제품(preassembly)을 제공하는 스냅인 클립(snap-in clips, 16)이 인식된다.
아래로 경사진 조립 프레임의 투시도는 도 6에 나타내며, 중간 홀더는 조립 프레임(3)에 고정된다. 중간 홀더의 고정을 위하여, 조립 프레임은 도 2에 이미 언급되고 면에서 연장된 홀을 통하여 삽입된 와셔(washers, 23) 및 스크류(24)에 의해 보호되는 연장된 홀(22)을 포함한다. 연장된 홀은 횡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중간 홀더의 고정을 허용하며, 글로브 박스(2)의 제조 공차는 횡방향에서 중간 홀더(11)의 위치에 의하여 폭으로만 보상된다. 연장된 홀이 표준 제조 공차의 크기(5mm미만 및 일반적으로 1mm미만)로 중간 홀더의 위치 변화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연장된 홀은 차량의 종방향에서 보다 약간 큰 횡방향에서의 연장으로 설계된다. 나타낸대로, 연장 홀은 연장 홀의 매우 조금 연장된 설계 때문에 와셔(23)에 의해 완전히 보호된다. 그러나 상당히 긴 형상을 가지는 연장 홀은 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대안의 구체예로 이용될 수 있다.
나타낸 구체예에서, 조립 프레임에 중간 홀더의 결합, 가이드 레일에 중간 홀더의 결합 및 글로브 박스에 가이드 레일의 결합을 위해 이용되는 스크류에도 불구하고, 스크류는 거의 무한한 다른 결합 소자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벳(rivets) 또는 스냅인 클립을 통한 결합이 가능할 수 있다. 공차가 동일한 구조 타입의 평균 박스 보다 넓기 때문에 박스의 설치 위치는 도 7a에 도식적으로 나타내며, 즉 중간 홀더 사이의 거리는 평균 박스 보다 크다. 대조적으로, 공차가 동일한 구조 타입의 평균 박스 보다 좁기 때문에 박스의 설치 위치는 도 7b에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인식될 수 있듯이, 두 경우에서 설치 높이는 동일하며, 제조 공차는 중간 홀더의 변화된 위치에 의해 보상된다.

Claims (12)

  1. 차량용 박스(2)의 조립 장치(1)로서,
    - 박스(2);
    - 조립 프레임(3); 및
    -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레일(4)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4)은 상기 박스(2)를 향하는 접촉 표면부(26)를 포함하며,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박스(2)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기 접촉 표면부(26)에 접하고, 상기 접촉 표면부(26)는 상기 박스(2)의 저면에 10~80°로 기울어지며,
    상기 조립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홀더(11)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홀더(11)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이 상기 조립 프레임(3)에 결합되며, 상기 중간 홀더(11)는 적어도 상기 박스(2) 및 상기 조립 프레임(3)에 대하여 별개의 구성 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장치(1).
  2. 제 1항에 있어서,
    접촉 측면(contact side, 13)을 가지는 상기 중간 홀더(11)는 상기 조립 프레임(3)에 놓이며,
    상기 접촉 측면(13)은 횡방향에서 상기 박스의 저면에 10°미만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장치(1).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제 1 결합 소자에 의하여 상기 박스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장치(1).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제 2 결합 소자(12)에 의하여 상기 중간 홀더에 결합되는, 조립 장치(1).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제 1 레일부(4) 및 제 2 레일부(10)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레일부(10)는 상기 중간 홀더(1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장치(1).
  6. 제 1항에 있어서,
    제 3 결합 소자(24)는 상기 조립 프레임(3)에 상기 중간 홀더(11)의 접촉 측면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장치(1).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결합 소자(24)는 상기 중간 홀더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3 결합 소자(24)가 해제될 때 상기 중간 홀더는 횡방향(x)에서 조립 프레임(3)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장치(1).
  8.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홀더(11)는 다양한 결합 위치에서 조립 프레임(3)에 고정가능하며,
    상기 결합 위치는 횡방향(x)에서 상기 중간 홀더(11) 및 조립 프레임(3)의 상대적 배열에 관하여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장치(1).
  9.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홀더(11) 또는 상기 조립 프레임(3)은 적어도 하나의 연장된 홀(elongate 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장치(1).
  10.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2)는 상기 중간 홀더(11)를 통해 상기 조립 프레임(3)에 간접적인 결합부만 가지며,
    상기 간접적인 결합부는 상기 박스(2) 및 상기 조립 프레임(3)의 상대 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장치(1).
  11. 제 1항 내지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 장치(1)은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은 각각 상기 중간 홀더(11)와 접촉하며,
    상기 중간 홀더(13)는 상기 박스(2)의 반대쪽에 있는 측면에 배치되는, 조립 장치(1).
  12. 삭제
KR1020140028878A 2013-03-15 2014-03-12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 KR1021499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4547.6 2013-03-15
DE102013204547.6A DE102013204547A1 (de) 2013-03-15 2013-03-15 Montageanordnung eines Handschuhfach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417A KR20140113417A (ko) 2014-09-24
KR102149941B1 true KR102149941B1 (ko) 2020-08-31

Family

ID=5141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878A KR102149941B1 (ko) 2013-03-15 2014-03-12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2149941B1 (ko)
CN (1) CN104044515B (ko)
DE (1) DE102013204547A1 (ko)
FR (1) FR3003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9042B1 (ja) * 2019-08-05 2019-10-30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引出式収納箱
KR102390625B1 (ko) * 2020-07-29 2022-04-26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390626B1 (ko) * 2020-07-29 2022-04-25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유동방지구조
KR102450391B1 (ko) * 2020-11-17 2022-10-04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착탈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박스
KR102501242B1 (ko) * 2020-11-18 2023-02-16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462429B1 (ko) * 2020-12-02 2022-11-02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의 하중 지지구조
KR102478817B1 (ko) * 2020-12-28 2022-12-19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착탈형 스톱퍼를 구비한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478810B1 (ko) * 2020-12-28 2022-12-19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멈춤 구조를 가지는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KR102530050B1 (ko) * 2021-03-17 2023-05-08 케이비아이동국실업 주식회사 슬라이딩형 글로브 박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628A (en) 1997-06-25 2000-04-18 Ford Motor Company Glove box for a vehicle
JP2010501800A (ja) 2006-08-23 2010-01-21 アキュライド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摺動支持アセンブリ
JP2011047494A (ja) 2009-08-28 2011-03-10 Toyoda Gosei Co Ltd スライド装置
EP2397370A1 (en) 2010-06-17 2011-12-21 Iveco S.p.A. Guide for sliding glove box of a vehicle's dashboard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07680A5 (en) * 1976-05-18 1978-10-13 Akides Ag Drawer with parallel guide
JP3108017B2 (ja) * 1996-07-02 2000-11-13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車両用引出しテーブル装置
EP1416829B1 (en) * 2001-08-17 2005-04-13 ACCURIDE INTERNATIONAL, Inc. LOCK LATCH INCORPORATING A JAcket AND A SLIDE INCORPORATING THE LOCK LATCH AND JACKET
JP2004033267A (ja) * 2002-06-28 2004-02-05 Toyo Seat Co Ltd 車両用シートのトレイ装置
JP5016558B2 (ja) * 2008-06-23 2012-09-05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収納ボックスのストライカー保持構造
JP4515517B2 (ja) * 2008-11-05 2010-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収納装置
JP5968678B2 (ja) * 2012-05-18 2016-08-1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内部の収納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0628A (en) 1997-06-25 2000-04-18 Ford Motor Company Glove box for a vehicle
JP2010501800A (ja) 2006-08-23 2010-01-21 アキュライド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摺動支持アセンブリ
JP2011047494A (ja) 2009-08-28 2011-03-10 Toyoda Gosei Co Ltd スライド装置
EP2397370A1 (en) 2010-06-17 2011-12-21 Iveco S.p.A. Guide for sliding glove box of a vehicle's dash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44515B (zh) 2017-12-01
CN104044515A (zh) 2014-09-17
FR3003215A1 (fr) 2014-09-19
FR3003215B1 (fr) 2018-02-16
DE102013204547A1 (de) 2014-09-18
KR20140113417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941B1 (ko) 글로브 박스의 조립 장치
US8028965B2 (en) Adjustable bracket for a slide assembly
JP6330050B2 (ja) スイッチギヤキャビネット用ラックのベースアセンブリ
US20140016269A1 (en) Fan chassis, fan unit, and communication device
TWI640275B (zh) 機架系統及其滑軌總成
US8596731B2 (en) Installation support unit for slide assembly
WO2016084670A1 (ja) 留め具およびコネクタ取付構造
CN116548753A (zh) 滑轨总成
JP4531668B2 (ja) 電子装置
CN210121043U (zh) 一种电动窗帘轨道
CN103455111A (zh) 风扇固定装置
JP5257992B2 (ja) プリント基板押さえ構造
JP5796226B2 (ja) 壁面収納装置
KR100838666B1 (ko) 도어 실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의 잠금장치
JP5178150B2 (ja) 鏡の取付構造
TWI842633B (zh) 支撐總成
JP4220915B2 (ja) システムラックキャビネット
JP6624649B2 (ja) 支持装置、固定具及び支持方法
KR100577809B1 (ko) 트레이의 가이드 구조
JP6844447B2 (ja) 電気機器のユニット取り付け構造
JP6985845B2 (ja) 階段及び階段の組み立て方法
JP4563790B2 (ja) 移動棚の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856488B1 (ko) 채널형 브라켓 구조
JP2022020864A (ja) 階段及び階段の組み立て方法
TWI603694B (zh) 安裝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