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314B1 - 전력 변환 장치 - Google Patents

전력 변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314B1
KR102149314B1 KR1020130142072A KR20130142072A KR102149314B1 KR 102149314 B1 KR102149314 B1 KR 102149314B1 KR 1020130142072 A KR1020130142072 A KR 1020130142072A KR 20130142072 A KR20130142072 A KR 20130142072A KR 102149314 B1 KR102149314 B1 KR 10214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lytic capacitor
positive
negative
terminal
positiv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1899A (ko
Inventor
모리 케이스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71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4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 H02M5/45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45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to convert the intermediate dc into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03Constructional details, e.g. physical layout, assembly, wiring or busba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67Converter structures employing plural converter units, other than for parallel operation of the units on a single load
    • H02M1/007Plural converter units in casca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4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4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4Arrangements for reducing ripples from dc input or out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onverters or i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verter Devices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콘덴서를 결합하는 도전체의 인덕턴스가 보다 감소된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한다.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전해 콘덴서, 및 직렬로 접속된 제3 및 제4 전해 콘덴서를 포함하는 평활 회로를 구비한 전력 변환 장치로서,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제3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의 거리는,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의 거리보다 짧고,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제2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의 거리는,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의 거리보다 짧다.

Description

전력 변환 장치{POWER CONVERTER}
본 개시는 콘덴서를 갖는 평활 회로를 구비한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류를 입력으로서 받고, 부하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교류를 출력하는 전력 변환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력 변환 장치는 입력된 교류를 정류기 및 평활 회로에 의해 직류로 우선 변환한다. 이어서 전력 변환 장치는 직류를 인버터에 의해 교류로 변환하고, 얻어진 교류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력 변환 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1. 일본 특허공개 제2010-193593호 공보
평활 회로는 정류기로부터 출력된 맥류를 직류로 변환한다. 이 평활 회로는 복수의 전해 콘덴서를 포함한다. 이 복수개의 전해 콘덴서들은 도전체에 의해 결합된다. 이 도전체의 인덕턴스를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덴서를 결합하는 도전체의 인덕턴스가 보다 감소된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전해 콘덴서, 및 직렬로 접속된 제3 및 제4 전해 콘덴서를 포함하는 평활 회로를 구비한 전력 변환 장치로서, 상기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는 양전위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와 상기 제3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는 음전위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와 상기 제2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는 공통 전위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3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4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는 상기 공통 전위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3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의 거리는, 상기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2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의 거리는, 상기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의 거리보다 짧은 전력 변환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덴서를 결합하는 도전체의 인덕턴스가 보다 감소된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전력 변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프린트 회로 기판에 마련된 양전위 도전체(P)인 양전위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마련된 음전위 도전체(N)인 음전위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대체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프린트 회로 기판 등에 마련된 도전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프린트 회로 기판 등에 마련된 도전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종래 기술의 평활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평활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평활 회로의 양전위 도전체 및 음전위 도전체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의 예시적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 나타낸다.
(시스템의 개략)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력 변환 장치(100)는 정류기(110), 평활 회로(120), 및 인버터(130)를 포함한다. 정류기(110)는 그 입력 노드에서 예를 들어 3상 교류를 입력받는다. 인버터(130)는 그 출력 노드에서 예를 들어 3상 교류를 출력한다.
정류기(110)는 예를 들어 3개의 레그(3R, 3S, 3T)를 포함한다. 레그(3R, 3S, 3T)의 각 레그는 2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는 예를 들어 MOSFET(금속 산화막 반도체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이다. 정류기(110)는 예를 들어 PWM(펄스폭 변조)에 의해 제어된다. 정류기(110)는 다이오드 브릿지일 수도 있다. 정류기(110)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정류기일 수 있다. 정류기(110)는 임의의 적절한 스위칭 소자 또는 정류 소자를 임의의 적절한 개수 포함할 수 있다.
평활 회로(120)는 예를 들어 8개의 콘덴서(C1~C8)를 포함한다. 평활 회로(120)가 포함하는 콘덴서의 개수는 8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개수일 수 있다. 콘덴서(C1~C8)는 전형적으로는 대용량의 전해 콘덴서이다. 평활 회로(120)는 임의의 적절한 콘덴서를 임의의 적절한 개수 포함할 수 있다.
양전위 도전체(P)는 콘덴서(C1, C4, C5, C8)의 양극 단자를 서로 접속시킨다. 양전위 도전체(P)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도전 패턴일 수도 있고, 또는 금속제의 버스바(부스바로도 칭함)일 수도 있다. 음전위 도전체(N)는 콘덴서(C2, C3, C6, C7)의 음극 단자를 서로 접속시킨다. 음전위 도전체(N)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도전 패턴일 수도 있고, 또는 금속제의 버스바일 수도 있다. 공통 전위 도전체(C)는 콘덴서(C1, C4, C5, C8)의 음극 단자와 콘덴서(C2, C3, C6, C7)의 양극 단자를 서로 접속시킨다. 공통 전위 도전체(C)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도전 패턴일 수도 있고, 또는 금속제의 버스바일 수도 있다.
인버터(130)는 3개의 레그(3U, 3V, 3W)를 포함한다. 레그(3U, 3V, 3W)의 각 레그는 2개의 스위칭 소자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는 예를 들어 MOSFET이다. 인버터(130)는 임의의 적절한 타입의 인버터일 수 있다. 인버터(130)는 임의의 적절한 스위칭 소자를 임의의 적절한 개수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레그에 포함되는 스위칭 소자의 개수는 상기 구체적인 개수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개수일 수 있다.
도 2는 전력 변환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전해 콘덴서(C1~C8)는 프린트 회로 기판(210) 상에 마련된다. 전해 콘덴서(C1~C8)의 근방에는 인버터(130)의 레그(3U, 3V, 3W)가 마련된다. 전해 콘덴서(C1~C8)는 레그(3U, 3V, 3W) 중 대응하는 레그와 결합된다.
프린트 회로 기판(220) 상에는, 전형적으로는 전력 변환 장치(100)에 부수하는 전자 회로의 부품이 마련된다. 프린트 회로 기판(210, 220)의 배치 관계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배치 관계를 취할 수 있다. 전술한 양전위 도전체(P), 음전위 도전체(N), 및 공통 전위 도전체(C)는 예를 들어 프린트 회로 기판(210)의 도전 패턴으로서 실현된다. 양전위 도전체(P), 음전위 도전체(N), 및 공통 전위 도전체(C)를 금속제의 버스바로 실현하면, 프린트 회로 기판과 비교하여 보다 큰 전류를 흘릴 수 있다.
(도전체 패턴)
도 3은 프린트 회로 기판(210)에 마련된 양전위 도전체(P)인 양전위 패턴(3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지면 안쪽에 전해 콘덴서(C1~C8)가 있다. 전해 콘덴서(C1~C8)는 양극 단자(참조부호 P로 나타냄) 및 음극 단자(참조부호 N으로 나타냄)를 각각 갖는다. 예를 들어 전해 콘덴서(C1)는 양극 단자(C1P) 및 음극 단자(C1N)를 갖는다. 이러한 참조부호의 부가 방법은 전해 콘덴서(C2~C8)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양전위 패턴(310)은 전해 콘덴서(C1)의 양극 단자(C1P), 전해 콘덴서(C4)의 양극 단자(C4P), 전해 콘덴서(C5)의 양극 단자(C5P), 및 전해 콘덴서(C8)의 양극 단자(C8P)를 서로 접속시킨다. 노드(391~393)는 인버터(130)의 레그(3U, 3V, 3W)의 양극에 접속된다. 양전위 패턴(310)은 인버터(130)로 양의 전압을 공급한다. 도 3의 화살표는 양극 단자(C1P, C4P)로부터 노드(391)를 향해 흐르는 전류의 패스를 나타낸다.
공통 전위 패턴(352)은 전해 콘덴서(C1)의 음극 단자(C1N), 전해 콘덴서(C2)의 양극 단자(C2P), 전해 콘덴서(C3)의 양극 단자(C3P), 및 전해 콘덴서(C4)의 음극 단자(C4N)를 서로 접속시킨다. 공통 전위 패턴(354)은 전해 콘덴서(C5)의 음극 단자(C5N), 전해 콘덴서(C6)의 양극 단자(C6P), 전해 콘덴서(C7)의 양극 단자(C7P), 및 전해 콘덴서(C8)의 음극 단자(C8N)를 서로 접속시킨다.
공통 전위 패턴(352, 354)은 전력 변환 장치(100)의 공통 전위를 갖는다. 즉 공통 전위 패턴(352, 354)은 전력 변환 장치(100)의 그라운드로서 기능한다. 도 3에 나타낸 참조부호 중, 위의 설명에서 참조되지 않은 것은 도 4에 대한 아래의 설명에서 참조된다.
도 4는 프린트 회로 기판(210)에 마련된 음전위 도전체(N)인 음전위 패턴(410)을 나타낸 도면이다. 음전위 패턴(410)은 전해 콘덴서(C2)의 음극 단자(C2N), 전해 콘덴서(C3)의 음극 단자(C3N), 전해 콘덴서(C6)의 음극 단자(C6N), 및 전해 콘덴서(C7)의 음극 단자(C7N)를 서로 접속시킨다. 노드(491~493)는 인버터(130)의 레그(3U, 3V, 3W)의 음극에 접속된다. 음전위 패턴(410)은 인버터(130)로 음의 전압을 공급한다. 도 4의 화살표는 노드(491)로부터 음극 단자(C2N, C3N)를 향해 흐르는 전류의 패스를 나타낸다.
양전위 패턴(310) 및 음전위 패턴(410)은 정류기(110)로부터 맥류 전력을 받아 평활화하여 인버터(130)로 직류 전력을 공급한다. 양전위 패턴(310) 및 음전위 패턴(410)은 노드(391~393, 491~493) 외에도, 정류기(110)로부터의 전력을 받기 위한 노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노드는 예를 들어 양전위 패턴(310) 및 음전위 패턴(410) 상에서, 노드(391~393, 491~493)가 위치하는 변에 대향하는 변의 근방에 위치한다. 이 노드들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이나 위치를 취할 수 있다.
프린트 회로 기판(210)은 예를 들어 2층 이상의 레이어를 갖는다. 전형적으로는 양전위 패턴(310) 및 음전위 패턴(410)은 프린트 회로 기판(210)의 복수의 레이어 중 2개에 각각 마련된다.
대체 실시형태에서는, 양전위 패턴(310) 및 음전위 패턴(410)은 서로 다른 프린트 회로 기판상에 마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양전위 패턴(310) 및 음전위 패턴(410)은 도 2의 프린트 회로 기판(210, 220)에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프린트 회로 기판(210)을 이용하는 대신에, 양전위 패턴(310) 및 음전위 패턴(410)은 버스바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대체 실시형태에 따른 전력 변환 장치(500)의 사시도이다. 전력 변환 장치(500)에서는, 양전위 도전체(P), 음전위 도전체(N), 및 공통 전위 도전체(C) 중 적어도 2개는 금속제의 버스바(510, 520)이다. 버스바(510, 520)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591~592)에 접속된다.
(콘덴서 단자의 배치 관계)
도 6은 전해 콘덴서(C1~C4)의 양극 단자 및 음극 단자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해 콘덴서(C1, C2)는 직렬 접속되고 전해 콘덴서(C3, C4)도 직렬 접속된다. 이 직렬 접속된 전해 콘덴서(C1, C2)의 페어와 직렬 접속된 전해 콘덴서(C3, C4)의 페어는 서로 병렬로 접속된다. 도 6의 전해 콘덴서(C1~C4)는 도 1의 평활 회로(120)의 일부이다. 구체적으로는, 평활 회로(120)는 도 6의 전해 콘덴서(C1~C4)를 2세트 포함한다. 이때, 8개의 전해 콘덴서는 도 3의 양전위 패턴(310) 및 도 4의 음전위 패턴(410)에 의해 접속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d1<d2 및 d3<d4의 관계(이하, "배치 관계"라 함)가 성립된다. 여기서 d1은 전해 콘덴서(C1)의 양극 단자(C1P)와 전해 콘덴서(C3)의 음극 단자(C3N)와의 거리를 나타낸다. d2는 전해 콘덴서(C1)의 양극 단자(C1P)와 전해 콘덴서(C2)의 음극 단자(C2N)와의 거리를 나타낸다. d3은 전해 콘덴서(C4)의 양극 단자(C4P)와 전해 콘덴서(C2)의 음극 단자(C2N)와의 거리를 나타낸다. d4는 전해 콘덴서(C4)의 양극 단자(C4P)와 전해 콘덴서(C3)의 음극 단자(C3N)와의 거리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따른 배치 관계에서는, 전해 콘덴서(C1)의 양극 단자(C1P)와 전해 콘덴서(C4)의 양극 단자(C4P)를 연결하는 선분은, 전해 콘덴서(C2)의 음극 단자(C2N)와 전해 콘덴서(C3)의 음극 단자(C3N)를 연결하는 선분과 교차한다.
도 3의 양전위 패턴(310) 및 도 4의 음전위 패턴(410)은 도 6의 전해 콘덴서(C1~C4)를 포함하는 그룹을 2 세트 포함한다. 다양한 실시형태는 2 세트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개수의 전해 콘덴서 그룹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체 실시형태에서는, 직렬 접속된 전해 콘덴서(C1, C2) 대신에 단일의 전해 콘덴서를 사용하고, 직렬 접속된 전해 콘덴서(C3, C4) 대신에 단일의 전해 콘덴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는 상기 배치 관계를 만족한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 콘덴서(C1~C4)를 흐르는 전류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그 결과, 후술하는 상호 인덕턴스에 의해 평활 회로(120)의 인덕턴스가 감소되는 각별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나아가 양전위 도전체(P), 음전위 도전체(N), 및 공통 전위 도전체(C)를 동일한 프린트 회로 기판(210)에 의해 실현하면, 더욱 전류의 유로가 근접하게 되므로 더욱 인덕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프린트 회로 기판 등에 마련된 도전체(7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전체(710)는, 길이(l), 폭(w), 및 두께(t)를 갖는다. 이때 도전체(710)의 인덕턴스(L)는, L=μ0l/2π[ln(2l/w+t)+1/2+0.2235(w+t)/l]로 주어진다. μ0은 진공의 투자율이고, π는 원주율이며, ln은 자연대수이다.
도 8은 프린트 회로 기판 등에 마련된 도전체(810, 81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전체(810, 812)는 길이(l), 폭(w), 및 두께(t)를 각각 가지며, 간격(d)를 두고 배치된다. 이때 도전체(810)가 인덕턴스(Lg)를 갖고 도전체(812)가 인덕턴스(Ls)를 가지며 도전체(810, 812)의 상호 인덕턴스가 M이라고 하면, 도전체(810, 812)의 합성 인덕턴스(L)는 L = Lg + Ls - 2M이다. 도전체(810, 812)의 상호 인덕턴스(M)는 M=μ0l/2π[ln(2l/d)-1+d/l]로 주어진다.
(인덕턴스 감소)
도 9는 종래 기술의 평활 회로(900)를 나타낸 도면이다. 평활 회로(900)는, 직렬 접속된 전해 콘덴서(C1, C2)와 직렬 접속된 전해 콘덴서(C3, C4)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패턴(910)은 전해 콘덴서(C1)의 양극 단자(P1)와 전해 콘덴서(C4)의 양극 단자(P2)를 서로 접속시킨다. 패턴(912)은 전해 콘덴서(C2)의 음극 단자(N1)와 전해 콘덴서(C3)의 음극 단자(N2)를 서로 접속시킨다.
구체적으로, 평활 회로(900)에서는 전해 콘덴서(C1)의 양극 단자(P1)와 전해 콘덴서(C3)의 음극 단자(N2)의 거리가, 전해 콘덴서(C1)의 양극 단자(P1)와 전해 콘덴서(C4)의 양극 단자(P2)의 거리보다 길다. 또한, 평활 회로(900)에서는 전해 콘덴서(C2)의 음극 단자(N1)와 전해 콘덴서(C4)의 양극 단자(P2)의 거리가, 전해 콘덴서(C2)의 음극 단자(N1)와 전해 콘덴서(C3)의 음극 단자(N2)의 거리보다 길다.
패턴(910, 912)의 두께는 0.018mm, 패턴폭은 5mm이다. 이때 루프(LP1)의 인덕턴스는 14nH + 14nH = 28nH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평활 회로(1000)를 나타낸 도면이다. 평활 회로(1000)는 직렬 접속된 전해 콘덴서(C1, C2)와 직렬 접속된 전해 콘덴서(C3, C4)가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패턴(1010)은 전해 콘덴서(C1)의 양극 단자(P1)와 전해 콘덴서(C3)의 음극 단자(N2)를 서로 접속시킨다. 패턴(1012)은 전해 콘덴서(C2)의 음극 단자(N1)와 전해 콘덴서(C4)의 양극 단자(P2)를 서로 접속시킨다.
구체적으로, 평활 회로(1000)에서는 전해 콘덴서(C1)의 양극 단자(P1)와 전해 콘덴서(C3)의 음극 단자(N2)의 거리가, 전해 콘덴서(C1)의 양극 단자(P1)와 전해 콘덴서(C4)의 양극 단자(P2)의 거리보다 짧다. 또한, 평활 회로(1000)에서는 전해 콘덴서(C2)의 음극 단자(N1)와 전해 콘덴서(C4)의 양극 단자(P2)의 거리가, 전해 콘덴서(C2)의 음극 단자(N1)와 전해 콘덴서(C3)의 음극 단자(N2)의 거리보다 짧다.
패턴(1010, 1012)의 두께는 0.018mm, 패턴폭은 5mm이다. 이때 루프(LP2)의 인덕턴스는, 14nH + 14nH - 12nH = 16nH이다. 따라서 평활 회로(1000)의 루프(LP2)의 인덕턴스는 종래의 루프(LP1)의 인덕턴스보다 작다.
도 11은 평활 회로(120)의 양전위 도전체(1110) 및 음전위 도전체(1120)의 개략도이다. 영역(1112, 1122)에는 인버터(130)의 양극 및 음극이 각각 위치한다. 도전체(1110, 1120)는 도 3의 양전위 패턴 및 도 4의 음전위 패턴을 각각 2 세트 갖는다.
양전위 도전체(1110) 및 음전위 도전체(1120)는 예를 들어 양전위 패턴(310) 및 음전위 패턴(410)에 각각 대응한다. 따라서 양전위 도전체(1110) 및 음전위 도전체(1120)는 프린트 회로 기판(210)의 레이어 중 2개에 마련된다. 프린트 회로 기판(210)을 이용하는 대신에, 양전위 도전체(1110) 및 음전위 도전체(1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제의 버스바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양전위 도전체(1110)에서는 전해 콘덴서에 전류(Pf1, Pf2)가 흐른다. 음전위 도전체(1120)에서는 전해 콘덴서에 전류(Nf1, Nf2)가 흐른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류 Pf1과 Nf1은 서로 상쇄되고 전류 Pf2와 Nf2는 서로 상쇄된다. 다시 말해, 근접하는 패턴(또는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 Pf1과 Nf1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르고, 근접하는 패턴(또는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 Pf2와 Nf2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흐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인덕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전력 변환 장치(100)는 정류기(110), 평활 회로(120), 및 인버터(130) 외에 추가의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대로 전력 변환 장치(100)는, 정류기(110), 평활 회로(120), 및 인버터(130)의 일부의 요소가 생략될 수도 있다. 전력 변환 장치(100)가 갖는 다양한 기능은, 정류기(110), 평활 회로(120), 및 인버터(130)와 같이 블록화될 필요는 없고,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블록화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형태에서 사용되는 양전위, 음전위, 및 공통 전위 도전체는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재료에는, 예를 들어 구리, 황동, 철, 스텐레스강이 있다. 양전위, 음전위, 및 공통 전위 도전체는 전술한 배치 관계를 만족하는 한, 임의의 적절한 패턴 형상 및 패턴 두께를 이용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술한 다양한 요소(예를 들어 하드웨어의 요소)는 그 일부가 생략될 수도 있다. 반대로, 부가적인 요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덴서를 결합하는 도전체의 인덕턴스가 보다 감소된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유용하다.
C1~C4 전해 콘덴서
d1~d4 거리
C1P~C4P 양극 단자
C1N~C4N 음극 단자

Claims (4)

  1. 직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 전해 콘덴서에 의해 형성된 제1 전해 콘덴서 페어(pair)와,
    직렬로 접속된 제3 및 제4 전해 콘덴서에 의해 형성된 제2 전해 콘덴서 페어(pair)를 포함하는 평활 회로를 구비한 전력 변환 장치로서,
    상기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는 양전위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와 상기 제3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는 음전위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와 상기 제2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는 공통 전위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3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4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는 상기 공통 전위 도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3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의 거리는, 상기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2 전해 콘덴서의 음극 단자의 거리는, 상기 제4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와 상기 제1 전해 콘덴서의 양극 단자의 거리보다 짧은 전력 변환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프린트 회로 기판이 상기 양전위 도전체, 상기 음전위 도전체, 및 상기 공통 전위 도전체를 마련하는 전력 변환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정류기 및 인버터를 더 구비하는 전력 변환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변환 장치는 3상 전력을 변환하기 위해 3개의 세트의 상기 평활 회로를 구비하는 전력 변환 장치.
KR1020130142072A 2012-12-04 2013-11-21 전력 변환 장치 KR102149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5118A JP2014110721A (ja) 2012-12-04 2012-12-04 電力変換装置
JPJP-P-2012-265118 2012-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899A KR20140071899A (ko) 2014-06-12
KR102149314B1 true KR102149314B1 (ko) 2020-08-31

Family

ID=4975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072A KR102149314B1 (ko) 2012-12-04 2013-11-21 전력 변환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44359B2 (ko)
EP (1) EP2741411B1 (ko)
JP (1) JP2014110721A (ko)
KR (1) KR102149314B1 (ko)
CN (1) CN10385606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66765A1 (en) * 2014-07-11 2016-01-13 ABB Technology Oy Converter system with DC conductors comprising carbon fibres
US10084310B1 (en) * 2016-02-08 2018-09-25 National Technology & Engineering Solutions Of Sandia, Llc Low-inductance direct current power bus
JP6980630B2 (ja) 2018-09-25 2021-12-15 日立Astemo株式会社 高電圧フィルタおよび電力変換装置
JP7303087B2 (ja) * 2019-10-15 2023-07-0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平滑コンデンサ部及びスナバコンデンサを有するモータ駆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4089A1 (en) * 2000-09-06 2002-03-21 Hitachi, Ltd. Semiconductor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JP2009219175A (ja) * 2008-03-07 2009-09-24 Hitachi Ltd 電力変換装置
JP2010199473A (ja) 2009-02-27 2010-09-09 Meidensha Corp 電力変換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431Y1 (ko) * 1990-08-31 1992-09-17 주식회사 파워트론 전력변환장치의 배선인덕턴스저감구조
US20030076696A1 (en) * 2001-10-18 2003-04-24 Delta Electronics, Inc. Device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6822850B2 (en) * 2002-09-27 2004-11-23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Laminated bus bar for use with a power conversion configuration
JP2005065412A (ja) 2003-08-12 2005-03-10 Fuji Electric Fa Components & Systems Co Ltd 電力変換装置のスタック構造
JP2005166867A (ja) 2003-12-02 2005-06-23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電力変換装置の導体構造
JP4640425B2 (ja) * 2008-03-04 2011-03-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力変換装置
KR101010352B1 (ko) * 2008-05-30 2011-0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4929299B2 (ja) 2009-02-17 2012-05-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力変換装置
EP2296156A1 (en) * 2009-08-13 2011-03-16 ABB Research Ltd Composite capacitance and use thereof
AT12748U1 (de) * 2009-09-08 2012-10-15 Siemens Ag Frequenzumrichteranordnung
JP5678597B2 (ja) * 2010-11-16 2015-03-04 富士電機株式会社 電力変換器の主回路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4089A1 (en) * 2000-09-06 2002-03-21 Hitachi, Ltd. Semiconductor electric power conversion device
JP2009219175A (ja) * 2008-03-07 2009-09-24 Hitachi Ltd 電力変換装置
JP2010199473A (ja) 2009-02-27 2010-09-09 Meidensha Corp 電力変換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10721A (ja) 2014-06-12
CN103856068A (zh) 2014-06-11
KR20140071899A (ko) 2014-06-12
EP2741411A3 (en) 2018-01-03
EP2741411A2 (en) 2014-06-11
US20140153300A1 (en) 2014-06-05
EP2741411B1 (en) 2019-09-25
US9444359B2 (en) 2016-09-13
CN103856068B (zh)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314B1 (ko) 전력 변환 장치
JP2009027925A (ja) 基板
US10897795B2 (en) Induction heating power supply apparatus
US9281755B2 (en) Inverter with coupled inductances
JP6035766B2 (ja) Led照明装置
CN112187081A (zh) 逆变器和光伏设备
US10090753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power conversion system
EP3503366A1 (e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pparatus
JP2014121117A (ja) Dc−dcコンバータ装置
JP2012191761A (ja) 交流−直流変換回路
KR101522134B1 (ko) 전력 변환 장치
JP6317516B1 (ja) 直流平滑回路、インバータ、及び電源装置
JP2013123295A (ja) 交流直流変換装置
JP6658915B2 (ja) 電力変換装置
JP6341051B2 (ja) 5レベル電力変換装置
US11239766B2 (en) Flying capacitor circuit, circuit module and power conversion apparatus
GB2573318A (en) SYNDEM converter
JP2019088038A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6206090B2 (ja) 3レベル電力変換装置
JP6996660B2 (ja) 半導体デバイスのための電圧バランス回路
JP2005166867A (ja) 電力変換装置の導体構造
JP2018182880A (ja) 電力変換装置
JP2013004683A (ja) 印刷基板の電力変換装置
JP2007006571A (ja) 電力変換装置
JP2017005212A (ja) パワー半導体回路及びパワー半導体素子の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