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694B1 -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694B1
KR102146694B1 KR1020200003280A KR20200003280A KR102146694B1 KR 102146694 B1 KR102146694 B1 KR 102146694B1 KR 1020200003280 A KR1020200003280 A KR 1020200003280A KR 20200003280 A KR20200003280 A KR 20200003280A KR 102146694 B1 KR102146694 B1 KR 102146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guide
user
digital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기
Original Assignee
박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기 filed Critical 박영기
Priority to KR1020200003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4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devices for accepting orders, advertisement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와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은,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모션명령을 인식하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촬상하는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주변에서의 사용자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마이크 및 터치입력, 음성명령 및 모션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명령을 수신하면 사용자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촬상하도록 카메라를 제어하며, 촬상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주시인영역에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서버는,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에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전송하는 서버통신부,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해당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저장하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으로 해당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및 외부로부터 광고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와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변경된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경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서비스정보와 변경된 안내정보를 전송하도록 서버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Digital Information System including Advanced digital signage combining online and offline advertising products}
본 발명은 공공의 장소에 설치되는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와 홍보 및 광고를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와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공의 장소에 설치되는 공공시설 특히, 역사, 버스터미널, 공항 및 여객터미널 등의 교통시설에는 시설을 안내하는 안내도와 시설의 주변을 안내하는 안내지도 등이 사용자를 위해 판넬형식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정지된 안내정보만을 제공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홍보 및 광고 자료를 제공하고 있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안내도와 안내지도 등은 아날로그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어 급격하게 변화하는 시설의 안내정보와 주변의 변화정보 등을 제때에 제공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아날로그로 안내정보가 제공되므로 사용자의 키, 나이 및 상태 등의 상황을 고려할 수 없으므로 모든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공의 장소에 설치되는 시설 및 주변의 상황변화에 대응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안내정보와 함께 홍보 및 광고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모든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하여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안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와 홍보 및 광고를 제공하는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와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은,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모션명령을 인식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서의 사용자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마이크; 및 상기 터치입력, 상기 음성명령 및 상기 모션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촬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며, 촬상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주시인영역에 상기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전송하는 서버통신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해당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으로 해당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및 외부로부터 광고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와 상기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변경된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서비스정보와 상기 변경된 안내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및 외부로부터 광고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와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변경된 안내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모든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하여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이 시설 및 주변의 상황변화에 대응한 신속하고 정확한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과금된 내역에 기초하여 시간, 장소, 빈도를 포함하는 상기 광고컨텐츠의 노출조건이 결정되며, 결정된 노출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광고컨텐츠를 전송하면 광고를 필요로 하는 업체에서는 중요한 마켓팅 수단을 확보할 수 있으며 광고를 보는 사용자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정보와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면 시설의 주변으로부터의 정보를 시시각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안내정보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메인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안내정보에 대한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면 메인디스플레이부에서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고 서브디스플레이부에서 자세한 세부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제1서브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세정보에 대한 추가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제2서브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시설은 지하철이며, 상기 안내정보는, 역 이용 안내도 및 비상 대피로, 주변 지역 안내도 및 나가는 곳의 정보를 포함하면 지하철 시설을 접하지 않고 외부에 나가지 않아도 지하철 내에서 지하철 시설 및 주변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역 이용 안내도 및 비상 대피로에 대한 상기 상세정보는, 역사안내도, 열차시간표, 범례, 광역지하철노선도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 지역 안내도에 대한 상기 상세정보는, 검색, 연계버스, 지하철노선도, 길찾기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나가는 곳에 대한 상기 상세정보는, 출구정보, 연계교통, 관광안내도, 이벤트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면 지하철 시설 및 주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시설 이용방법, 이동장소 및 이동방법 등의 정보를 풍부하게 접하고 이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지도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면 사용자가 현재 위치 및 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지도 중 어느 한 제1지점을 가리키는 사용자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1지점에 대한 이미지, 영상, 길안내정보, 안내음성 및 길안내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면 정지된 지도를 보는 정도의 정보 이상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길안내정보는, 출구, 버스정보, 지하철정보, 연계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버스정보, 상기 지하철정보 및 상기 연계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버스, 지하철 및 연계교통의 위치, 혼잡도 및 도착시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문자,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제공하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길안내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목적지까지의 이동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계교통정보 중 택시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상기 택시를 선택하면 택시예약메뉴를 표시하면 사용자가 편리하게 연계교통를 이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QR코드를 포함하는 정보제공메뉴를 표시하며, 사용자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면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안내정보를 볼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점자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 입력된 사용자명령에 대한 상기 안내정보를 표시하면 디스플레이부로 제공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볼 수 없는 사용자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시설의 장착벽에 대하여 폴딩되도록 구동하는 폴딩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주시인의 높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도록 상기 폴딩구동부를 제어하면 사용자의 시각이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디스플레이부에 제공되는 안내정보를 비스듬히 보는 것보다 정확하게 볼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주시인의 높이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부로 갈수록 영상의 크기가 증가되어 표시되게 하면 대부분의 안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보다 높게 설치되므로 디스플레이부의 영상을 바라볼 때 생기는 왜곡을 보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네트워크 및 외부로부터 광고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와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변경된 안내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모든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하여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이 시설 및 주변의 상황변화에 대응한 신속하고 정확한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의 광고 예시도.
도 3은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로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 설명도.
도 4는 시설에 설치된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의 상세 안내도.
도 5는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6은 폴딩구동부의 예시도.
도 7은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의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안내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안내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광고 예시도이며, 도 3은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로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 설명도이고, 도 4는 시설에 설치된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상세 안내도이며, 도 5는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6은 폴딩구동부(60)의 예시도이며, 도 7은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블록도이다.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지하철의 안내판넬(4)을 구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설명한다.
먼저 기반시설인 지하철의 종합안내도의 현황을 파악한다. 기존의 종합안내도를 파악하며 신설할 안내판넬(4) 즉, 디지털 안내시스템을 구분하여 선정한다. 이렇게 선정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각 지하철의 유동인구 및 출구에 따라 그 위치가 선정되어 구축된다. 여기서 설문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불편사항이나 편의사항을 수렴하여 위치를 선정할 수 있다.
위치가 선정된 시설에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설치를 위한 전원공사, 통신공사, 현장구축공사 등을 포함한 공사를 시행하고,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를 제작한다.
선정된 위치에 따라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종류를 달리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넓은 출구를 위한 A 타입, 대합실을 위한 B 타입, 좁은 통로를 위한 C 타입 및 출구기둥에 설치되는 D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는 종류별로 그 크기를 달리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A 타입의 경우 메인디스플레이부(11),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 및 제3서브디스플레이부(14)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크기는 49인치(inch), 49인치(inch), 49인치(inch), 86인치(inch)로 마련될 수 있다.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와 서버(2)를 포함한다.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추가로 관리자의 사용자단말기(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2)는 통합운영센타에 위치하여 관리자가 모니터링 및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서버(2)는 서버통신부(201)와 서버제어부(202)를 포함한다.
서버통신부(201)는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에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전송한다.
서버제어부(202)는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 각각에 대응하는 해당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저장하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 각각으로 해당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및 외부로부터 광고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와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변경된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경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 중 적어도 하나로 서비스정보와 변경된 안내정보를 전송하도록 서버통신부(201)를 제어한다.
서버제어부(202)는 서버통신부(201)를 통해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와 연결하여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를 대신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하드웨어적인 장애 이 외의 소프트웨어적 장애인 경우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제어부(70)로 연결하여 장애를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툴을 구비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02)는 과금된 내역에 기초하여 시간, 장소, 빈도를 포함하는 광고컨텐츠의 노출조건이 결정되며, 결정된 노출조건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 중 적어도 하나로 광고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02)는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 각각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신호에 기초하여 서비스정보와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제어부(202)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지하철역사의 주변 시설 및 정보를 획득하여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안내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 예컨대, 폐점하는 상점이나 개설되는 상점으로 정보를 직접 확인하지 않고 SNS 나 네트워크 상의 정보를 파악하여 안내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다.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는 시설 내에 사용자가 많이 지나다니는 장소의 측벽에 배치되어 있는 안내판넬(4)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제공한다.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는 디스플레이부(10), 카메라(20), 마이크(30), 스피커(32), 통신부(40), 사용자입력부(50), 폴딩구동부(60) 및 제어부(7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시설 및 시설주변의 안내정보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0)는 디지털 TV, 모니터 등으로 구형될 수 있으며, 메인디스플레이부(11)(11)와 서브디스플레이부를 갖는다.
메인디스플레이부(11)는 안내정보메뉴를 포함하는 안내정보를 제공한다. 카테고리의 가장 상위의 메뉴를 제공한다. 안내정보메뉴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오브젝트형태로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다.
서브디스플레이부는 안내정보에 대한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상세메뉴정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안내정보메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오브젝트이다. 서브디스플레이부는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으며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서브디스플레이부는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 및 제3서브디스플레이부(14)를 포함한다.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는 상세메뉴정보의 사용자 선택에 따른 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세정보는 문자를 통해서 제공되는 정보를 주로 일컬으나 이미지나 동영상의 정보일 수도 있다.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는 상세정보에 대한 추가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상세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에서 제공된 상세정보 즉, 어느 장소에 대한 소개의 글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세정보의 일 영역 즉, 길찾기 메뉴를 터치한 경우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는 찾아가는 길을 따른 이미지를 순서대로 제공하거나 찾아가는 영상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장소를 찾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시설이 지하철이라고 하여 설명한다. 이에 대한 안내정보는 역 이용 안내도 및 비상 대피로, 주변 지역 안내도 및 나가는 곳의 정보를 포함한다.
역 이용 안내도 및 비상 대피로에 대한 상세정보는 역사안내도, 열차시간표, 범례, 광역지하철노선도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며, 주변 지역 안내도에 대한 상세정보는 검색, 연계버스, 지하철노선도, 길찾기의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며 나가는 곳에 대한 상기 상세정보는 출구정보, 연계교통, 관광안내도, 이벤트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의 다양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설에 따라 그 메뉴는 다르게 제공될 수도 있다.
카메라(20)는 사용자의 모션명령을 포함하는 사용자명령을 인식하며 디스플레이부(10)의 전방을 촬상한다. 카메라(20)는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하나로 마련되며 디스플레이부(10)의 복수의 영역을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카메라(20)가 디스플이부의 복수의 영역을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경우 카메라이동구동부(21)를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30)는 디스플레이부(10) 주변에서의 사용자 음성명령을 인식한다.
스피커(32)는 사용자에게 음성정보를 제공한다.
통신부(40)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사용자입력부(50)는 사용자명령을 수신 입력한다. 사용자입력부(50)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부(10)와 음성인식을 위한 마이크(30), 사용자 모션을 인식하기 위한 카메라(20) 및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점자입력부(5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50)는 따로 마련된 터치패드로 마련되어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폴딩구동부(60)는 디스플레이부(10)가 시설의 장착벽에 대하여 폴딩되도록 구동한다. 폴딩구동부(60)는 디스플레이부(10)의 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축(61)과 폴딩축(61)을 구동하여 디스플레이부(10)가 장착벽으로부터 이격되거나 접근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폴딩모터(62)를 갖는다. 폴딩구동부(60)는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부(70)는 터치입력, 음성명령 및 모션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명령을 수신하면 사용자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촬상하도록 카메라(20)를 제어하며, 촬상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주시인영역에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0)를 제어한다.
제어부(70)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한 사용자명령을 저장하며, 사용자의 음성에 대한 사용자명령을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음성정보를 저장한다.
제어부(70)는 상세메뉴정보를 지도를 포함하여 메인디스플레이부(11)(11)와 서브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지도 중 어느 한 제1지점을 가리키는 사용자명령을 수신하면, 제1지점에 대한 이미지, 영상, 길안내정보, 안내음성 및 길안내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길안내정보는 출구, 버스정보, 지하철정보, 연계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제어부(70)는 버스정보, 지하철정보 및 연계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버스, 지하철 및 연계교통의 위치, 혼잡도 및 도착시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문자,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연계교통정보 중 택시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택시를 선택하면 택시예약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QR코드를 포함하는 정보제공메뉴를 표시하며, 사용자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3)로 안내정보를 사용자단말기(3)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사용자입력부(50)로 입력된 사용자명령에 대한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주시인의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가 폴딩되도록 폴딩구동부(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사용자의 주시인의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의 상부로 갈수록 영상의 크기가 증가되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디스플레이부(10)에 광고에 대한 컨텐츠를 표시하며, 광고에 대한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터치하면 제품에 관한 정보, 해당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주시인영역이 디스플레이부(10)의 소정 영역 비율 이내라면 주시인영역 이 외의 디스플레이부(10) 영역에는 광고에 대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시설 및 주변의 안내정보를 얻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0)를 터치하면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의 카메라(2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주시인영역이 어디 인지를 파악한다.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는 카메라(20)에 의해 촬상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눈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눈 높이를 확정한 후 사용자의 눈높이를 중심으로 하는 주시인영역의 디스플레이부(11, 12, 13)에 안내정보가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는 편안하게 볼 수 있는 높이에 안내정보가 표시됨으로써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를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 예시를 설명한다.
메인디스플레이부(11)에는 역 이용 안내도 및 비상 대피로,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에는 주변 지역 지도 및 상세정보,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에는 나가는 곳 지명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0)의 다른 표시 예시를 설명한다.
메인디스플레이부(11)에는 열차시간표를 표시하고 있으며,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에는 열차시간표 관련 노선도 및 열차운행정보를 표시하고 있으며,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에는 현재의 지하철 위치 검색 즉, 지하철의 운행 위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0)의 또 다른 표시 예시를 설명한다.
메인디스플레이부(11)에는 버스정류장 검색 정보를 표시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출구를 선택하면,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에는 선택한 출구의 연계 버스 실시간 정보를 표시하며,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에는 버스를 이용하지 않는 사용자를 위한 역사 주변의 공공 자전거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자전거 정보 외에 택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관련 연계 교통정보인 전동보드 등의 정보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의 또 다른 표시 예시를 설명한다.
나가는 곳의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인데, 메인디스플레이부(11)에는 한국어로 제공하고 있으며,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에는 중국어로 표시하고 있으며,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에는 일본어로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언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원하는 언어로 안내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의 또 다른 표시 예시를 설명한다.
메인디스플레이부(11)에는 나가는 곳의 정보를 표시하고 있으며,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에는 나가는 곳의 지도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는 이동하려는 곳의 거리뷰를 보기위하여 일영역을 선택하여 터치하면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에는 터치한 주변의 거리뷰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의 일영역을 터치하여 거리뷰가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된 상태에서 터치영역을 이동시키면 터치영역에 대응하는 거리뷰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거리를 걸으며 이동하는 것처럼 거리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상세정보의 예시를 설명한다.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된 연계 교통의 버스 번호를 터치하면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에는 터치한 버스번호의 운행 현황을 표시한다. 현재위치의 정류장을 표시함과 동시에 이동하고 있는 버스의 위치를 표시하며, 또한 이동하고 있는 버스라면 대응하는 속도로 이동되도록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에 대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버스의 도착시간을 정확히 알려줄 수 있다. 예컨대 현재 2개 정류장 전에서 출발하여 사거리 신호에 걸려 있거나 길이 막히는 것 등의 교통상황을 감안하여 도착시간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세정보의 다른 예시를 설명한다.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된 연계 교통 메뉴 중 택시를 선택하면 해당 출구에 배치되어 있는 택시를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하며, 사용자가 택시를 선택하면 도착지입력메뉴를 제공하며 사용자가 도착지를 입력하는 경우 도착시간과 예상요금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원하는 경우 예약버튼으로 택시를 예약할 수도 있다.
상세정보의 또 다른 예시를 설명한다.
사용자는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에 표시된 시설 주변의 지도에서 이동하고자 하는 목표위치를 터치하게 되면 해당 출구로부터 목표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으며, 동시에 도보로 30분, 자전거로 1분, 택시로 3분 등의 연계 교통으로의 소용시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자전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자전거를 선택하는 경우 자전거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택시를 선택하는 경우 택시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연계 교통을 이용하려는 경우라면 교통상황 등을 고려하여 해당 출구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의 우측 하단에는 상기의 안내정보를 사용자단말기(3)로 전송할 수 있는 QR코드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에서 제공되는 안내정보를 이동하면서 사용자단말기(3)를 통해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50)의 예시를 설명한다.
디스플레이부(10)의 일영역 또는 디스플레이부(10)를 벗어난 다른 영역에 사용자입력부(50)를 마련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특히, 점자를 입력하거나 출력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점자판(51) 즉, 점자입력부(51)가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마이크(30)를 점자판(51) 인근에 배치하여 음성으로 사용자입력을 할 수 있도록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피커(32) 또한 점자판(51)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배치하여 사용자에게 정확한 음성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점자판(51)을 이용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는 광고를 표시할 수도 있고, 시설 및 주변의 지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폴딩구동부(60)의 예시도이다.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는 키가 작은 어린이 사용자가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어린이 사용자의 주시인영역에 안내정보를 표시하는데 부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폴딩구동부(60)를 구동하여 어린이 사용자의 시각이 디스플레이부(1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한 각도에 가깝도록 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사용자가 편안하게 디스플레이부(10)에 제공되는 안내정보를 비스듬히 보지 않고 편안히 정확하게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의 표시 예시를 설명한다.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는 키가 작은 어린이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는데 대부분의 안내 디스플레이부(10)가 사용자 보다 높게 설치되므로 위로 쳐다보면 가까운 영역의 영상은 크게 보일 것이며 상측으로 갈수록 작게 보일 것이다. 이를 감안하여 디스플레이부(10)의 상부로 갈수록 영상의 크기가 증가되게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카메라(20)로 촬상하여 소정치 이상의 키를 갖는 사용자의 경우 디스플레이부(10)의 상부로 갈수록 영상의 크기가 증가되게 표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제품의 상세 예시를 설명한다.
메인디스플레이부(11)에서 주변 핫스팟 메뉴를 선택하여 일 영역을 터치하면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에 맛집 및 상점 등의 위치에 대응하는 방향에 핫스팟 관련 제품의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사진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제품에 대한 가격, 점포명, 재료 등의 관련 정보를 제공하며, 선택한 제품 이외의 다른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 우측상단에 표시된 음식을 터치하여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에 터치한 음식의 가격, 음식점명, 음식의 재료 및 음식점의 다른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좌측하단의 옷을 터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메인디스플레이부(11)에 옷의 가격, 옷가게명, 옷의 사양 및 옷가게의 다른 옷에 대한 사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음식과 옷에 대한 안내정보가 제공된 이후에 사용자가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 우측하단의 신발을 터치하면 메인디스플레이부(11) 또는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 중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공해야 하는 정보가 많거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화면을 분할하여 다양한 안내정보를 시차를 두고 또는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홍보 및 광고에 대한 예시를 설명한다.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접근을 감지하는 접근 감지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시설의 CCTV 및 공공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로의 접근을 알 수도 있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로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또는 머무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안내정보를 얻으려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안내정보에 대한 메뉴 및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시설의 기설정된 시간, 사용자의 수 등을 고려하여 홍보 및 광고를 위한 광고컨텐츠나 안내정보가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안내정보를 얻으려는 것이 아닌 상태에서는 홍보 및 광고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하여 광고효과를 최대화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안내정보를 얻으려는 경우에는 상세한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중에도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나 주시인영역 외의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영역에는 홍보 및 광고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화면을 분할하거나 영역을 구획하여 각각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 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CCTV를 활용하여 시설 및 주변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사생활 침해부분을 배제하며 시설 및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감시카메라의 촬상정보를 활용하여 건물의 신축 및 붕괴, 상점의 신설 및 폐쇄, 도로의 신설 및 변경 등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지하철 출구 및 시설 내에 카메라(20)를 설치하여 출구 주변 및 시설 내를 촬상할 수 있으며, 촬상된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 및 시설의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시청이나 경찰청의 자료를 수신하여 공공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수신된 자료를 근거로 하여 안내정보를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디지털 안내시스템은 광고를 의뢰한 의뢰자에게 광고의 노출에 대한 장소, 시간, 노출면적 등의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안내정보는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해당 디스플레이부(10)의 전체 화면에서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고, 이미지와 동영상을 화면 분할하여 동시에 제공할 수도 있다.
교통수단 즉, 지하철 및 전철의 연착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0)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다른 조작과 관계 없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화재나 재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안내정보의 제공을 중지하고 경보와 함께 대피로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고 있고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0)를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차폐하도록 하며 화재로부터 격리되로고 하는 방화덮개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등을 구비하여 소정치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를 방화덮개로 덮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디지털 안내시스템으로 인하여, 네트워크 및 외부로부터 광고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와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변경된 안내정보를 지속적으로 획득하여 모든 사용자의 상황에 대응하여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1) 각각이 시설 및 주변의 상황변화에 대응한 신속하고 정확한 안내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과금된 내역에 기초하여 시간, 장소, 빈도를 포함하는 광고컨텐츠의 노출조건이 결정되며, 결정된 노출조건에 따라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 중 적어도 하나로 광고컨텐츠를 전송하여 광고를 필요로 하는 업체에서는 중요한 마켓팅 수단을 확보할 수 있으며 광고를 보는 사용자는 광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1) 각각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신호에 기초하여 서비스정보와 안내정보를 제공하여 시설의 주변으로부터의 정보를 시시각각으로 수집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1)로 제공할 수 있다.
메인디스플레이부(11)와 적어도 하나의 서브디스플레이부로 인하여 메인디스플레이부(11)에서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고 서브디스플레이부에서 자세한 세부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제1서브디스플레이부(12) 및 상세정보에 대한 추가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제2서브디스플레이부(13)로 인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시설은 지하철이며 안내정보는 역 이용 안내도 및 비상 대피로, 주변 지역 안내도 및 나가는 곳의 정보이므로 지하철 시설을 접하지 않고 외부에 나가지 않아도 지하철 내에서 지하철 시설 및 주변에 대한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역 이용 안내도 및 비상 대피로에 대한 상세정보는 역사안내도, 열차시간표, 범례, 광역지하철노선도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며, 주변 지역 안내도에 대한 상세정보는 검색, 연계버스, 지하철노선도, 길찾기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며, 나가는 곳에 대한 상세정보는, 출구정보, 연계교통, 관광안내도, 이벤트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여 지하철 시설 및 주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시설 이용방법, 이동장소 및 이동방법 등의 정보를 풍부하게 접하고 이용할 수 있다.
상세메뉴정보를 지도를 포함하여 메인디스플레이부(11)와 서브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면 사용자가 현재 위치 및 이동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지도 중 어느 한 제1지점을 가리키는 사용자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제1지점에 대한 이미지, 영상, 길안내정보, 안내음성 및 길안내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여 정지된 지도를 보는 정도의 정보 이상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길안내정보는, 출구, 버스정보, 지하철정보, 연계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버스정보, 지하철정보 및 연계교통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사용자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버스, 지하철 및 연계교통의 위치, 혼잡도 및 도착시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문자, 이미지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제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길안내정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목적지까지의 이동방법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연계교통정보 중 택시에 대한 위치를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며, 사용자가 택시를 선택하면 택시예약메뉴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연계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안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QR코드를 포함하는 정보제공메뉴를 표시하며, 사용자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3)로 안내정보를 사용자단말기(3)로 전송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3)를 이용하여 이동하면서 안내정보를 볼 수 있으므로 편리하고 정확하게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점자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입력부(50)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입력부(50)로 입력된 사용자명령에 대한 안내정보를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10)로 제공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을 볼 수 없는 사용자도 이용하여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주시인의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가 폴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시각이 디스플레이부(1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안하게 디스플레이부(10)에 제공되는 안내정보를 비스듬히 보지 않고 정확하게 볼 수 있다.
사용자의 주시인의 높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의 상부로 갈수록 영상의 크기가 증가되어 표시되게 하면 대부분의 안내 디스플레이부(10)가 사용자 보다 높게 설치되므로 디스플레이부(10)의 영상을 바라볼 때 생기는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1 :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2 : 서버
3 : 사용자단말기 4 : 안내판넬
10 : 디스플레이부 11 : 메인디스플레이부(11)
12 :제1서부디스플레이부 13 : 제2서브디스플레이
20 : 카메라 21 : 카메라이동구동부
30 : 마이크 32 : 스피커
40 : 통신부 50 : 사용자입력부
51 : 점자입력부 60 : 폴딩구동부
61 : 폴딩축 62 : 폴딩모터
70 : 제어부 201 : 서버통신부
202 : 서버제어부

Claims (15)

  1.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와 서버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은,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모션명령을 인식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방을 촬상하는 카메라;
    상기 디스플레이부 주변에서의 사용자 음성명령을 인식하는 마이크; 및
    상기 터치입력, 상기 음성명령 및 상기 모션명령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를 촬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며, 촬상된 사용자의 상황에 따른 사용자의 주시인영역에 상기 안내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전송하는 서버통신부;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에 대응하는 해당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으로 해당 시설 및 그 주변의 안내정보를 전송하고, 네트워크 및 외부로부터 광고컨텐츠를 포함하는 서비스정보와 상기 복수의 시설 및 그 주변의 변경된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서비스정보와 상기 변경된 안내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서버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안내정보메뉴를 포함하는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는 메인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안내정보에 대한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는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각각의 GIS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정보와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눈을 확인하고 사용자의 눈 높이를 확정한 후 사용자의 눈높이를 중심으로 하는 일 영역을 주시인영역으로 결정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상의 상기 주시인영역 이 외의 영역에 광고에 대한 컨텐츠를 표시하되, 상기 광고에 대한 컨텐츠가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터치하면 상기 터치된 제품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품을 구매하기 위한 상기 안내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상기 안내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QR코드를 포함하는 정보제공메뉴를 표시하며, 사용자명령에 기초하여 사용자단말기로 상기 안내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설은 지하철이며,
    상기 안내정보는,
    역 이용 안내도 및 비상 대피로, 주변 지역 안내도 및 나가는 곳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과금된 내역에 기초하여 시간, 장소, 빈도를 포함하는 상기 광고컨텐츠의 노출조건이 결정되며, 결정된 노출조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광고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제1서브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상세정보에 대한 추가정보 및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추가상세정보를 제공하는 제2서브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역 이용 안내도 및 비상 대피로에 대한 상기 상세정보는,
    역사안내도, 열차시간표, 범례, 광역지하철노선도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 지역 안내도에 대한 상기 상세정보는,
    검색, 연계버스, 지하철노선도, 길찾기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나가는 곳에 대한 상기 상세정보는,
    출구정보, 연계교통, 관광안내도, 이벤트의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세메뉴정보를 지도를 포함하여 상기 메인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서브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003280A 2020-01-09 2020-01-09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KR102146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280A KR102146694B1 (ko) 2020-01-09 2020-01-09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280A KR102146694B1 (ko) 2020-01-09 2020-01-09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694B1 true KR102146694B1 (ko) 2020-08-21

Family

ID=7223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280A KR102146694B1 (ko) 2020-01-09 2020-01-09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69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7047A (ko) * 2008-08-05 2010-02-16 (주)메버릭시스템 철도역 안내 및 광고 패널 시스템
KR20100020335A (ko) * 2008-08-12 2010-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JP2010176510A (ja) * 2009-01-30 2010-08-12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表示装置
KR20140026969A (ko) * 2012-08-24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의 교통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교통 서비스 관리 서버의 교통 서비스 관리 방법, 및 교통 서비스 제공 차량의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31508A (ko) * 2012-09-03 2014-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6290A (ko) * 2016-05-09 2017-11-17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IoT 기반 도시철도 역사 및 시설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098071A (ko) * 2017-02-24 2018-09-03 네모유엑스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7047A (ko) * 2008-08-05 2010-02-16 (주)메버릭시스템 철도역 안내 및 광고 패널 시스템
KR20100020335A (ko) * 2008-08-12 2010-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유저 인터페이스
JP2010176510A (ja) * 2009-01-30 2010-08-12 Sanyo Electric Co Ltd 情報表示装置
KR20140026969A (ko) * 2012-08-24 2014-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의 교통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교통 서비스 관리 서버의 교통 서비스 관리 방법, 및 교통 서비스 제공 차량의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40031508A (ko) * 2012-09-03 2014-03-1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6290A (ko) * 2016-05-09 2017-11-17 주식회사 엘비씨소프트 IoT 기반 도시철도 역사 및 시설물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80098071A (ko) * 2017-02-24 2018-09-03 네모유엑스 주식회사 디지털 사이니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4471B2 (ja) 経路誘導システム
JP5401131B2 (ja) 経路案内システムとその情報提供方法
KR101212893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JP3908137B2 (ja) 情報表示方法及びシステム
JP398227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50371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サーバ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KR20190108226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120187A (ja) 地理情報と連携した撮影イメージを利用する道路案内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4182027A (ja) 案内サーバ、案内方法および案内プログラム
Miura et al. Barrier-free walk: A social sharing platform of barrier-free information for sensory/physically-impaired and aged people
KR101768210B1 (ko) 양방향 버스정보안내 단말기
JPWO2020157995A1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端末
KR20140017042A (ko) 방범시스템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승강장 및 그 방법
KR102159318B1 (ko) 공공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KR102580576B1 (ko) 스마트 사이니지를 이용한 경로 안내 방법 및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146694B1 (ko) 온오프라인 광고상품을 융합한 첨단 디지털 사이니지를 포함하는 디지털 안내시스템
WO2018230649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468970A (zh) 一种基于增强现实技术的校园导览方法
KR102180258B1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US20200065856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JP7267137B2 (ja) 情報処理装置
JP5836670B2 (ja) 案内システム、撮影装置、および制御装置
US20220253197A1 (en) Method of providing real-time vr service through avatar
KR101946202B1 (ko) 사용자 참여형 건축물정보 서비스 플랫폼 서버
JP2021071967A (ja) 対応支援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