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8226A -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8226A
KR20190108226A KR1020180029461A KR20180029461A KR20190108226A KR 20190108226 A KR20190108226 A KR 20190108226A KR 1020180029461 A KR1020180029461 A KR 1020180029461A KR 20180029461 A KR20180029461 A KR 20180029461A KR 20190108226 A KR20190108226 A KR 20190108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isplay
controller
external obje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명호
Original Assignee
장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명호 filed Critical 장명호
Priority to KR102018002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08226A/ko
Publication of KR20190108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2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7/005Signs associated with a sen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K9/003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1Comprising a presence or proximity detec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옥외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로서, 외부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와,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센싱부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대상을 인식하고, 인식된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대상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인식된 외부 대상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control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옥외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외부 대상을 인식하고, 외부 대상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가시광 등을 이용하여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한편, 상업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외부에 디스플레이 장치를 배치하는 경향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상업용 디스플레이 장치, 예를 들어,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나 전광판은, 시청자의 존재 유무와 상관없이, 동일한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표시하거나, 문자 또는 영상을 단순 재생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나 전광판은, 도로, 주유소, 교회, 절, 관공서, 병원, 박물관, 호텔, 은행, 터미널, 공항, 기차역, 백화점, 상점, 편의점, 경기장 등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각 장소?별, 목적?별 특징을 기능으로 설정할 수 없다.
이에 의하면, 불특정 다수에 대한 동일한 컨텐츠를 제공하게 되므로, 시청자가 해당 컨텐츠를 관심 있게 지켜보지 않으므로 인하여, 컨텐츠 제공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동일한 컨텐츠를 반복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소비가 소모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디지털 사이니지나 전광판 관리자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켜고 꺼야 하므로,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전원을 관리해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상황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디지털 사이니지나 전광판에서 표시되는 영상, 정보 등의 광고 효과 등에 대한 피드백이 없어, 광고 제공 효과에 대해, 정확한 정보나 통계 수립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옥외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부 대상을 인식하고, 외부 대상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옥외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외부 대상을 인식하고, 외부 대상이 시청 가능한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대상을 감지, 인식하고, 인식된 대상에 대응하는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대상을 감지, 인식하고, 인식된 대상에 대응하는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해당 컨테츠 제공 효과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자 또는 제공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소비 전력, 및 유지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상 인식, 종류 판단, 시청 판단 등에 대한 통계정보 제공기능을 모듈화하고, 모듈을 제품의 옵션 기능으로 제공하거나, 모듈을 제품화하여 테스트 결과를 마케팅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는, 옥외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로서, 외부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와,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센싱부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대상을 인식하고, 인식된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대상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와,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센싱부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대상을 인식하고, 인식된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대상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와,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센싱부에서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대상을 인식하고, 인식된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대상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인식된 외부 대상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컨텐츠 제공에 따른 컨텐츠 시청률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 대상이 선호 또는 관심 있어하는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제공 효과가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대상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소비 전력, 및 유지 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 대상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출력되는 컨텐츠를 가변하거나,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표시 크기, 표시 휘도, 표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양이 가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인식된 외부 대상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외부 대상의 접근 속도 또는 접근 거리에 따라, 출력되는 컨텐츠를 가변하거나,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표시 크기, 표시 휘도, 표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양이 가변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인식된 외부 대상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1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2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3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인식된 외부 대상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센싱부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외부 대상에 컨텐츠와 관련된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컨텐츠 인식율이 증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외부 대상이, 제1 기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1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1 외부 대상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접근하는 횟수에 따라,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학습에 의한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 주변의 대상을 감지, 인식하고, 인식된 대상에 대응하는 적합한 컨텐츠를 표시함으로써, 대상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식된 대상에 대응하는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하고, 해당 컨테츠 제공 효과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설치자 또는 제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해당 컨테츠 제공 효과를 피드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가, 대상 인식, 종류 판단, 시청 판단 등에 대한 통계정보 제공기능을 모듈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해당 결과를 마케팅 정보 등 다양한 정보롤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3 또는 도 5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일예이다.
도 9a 내지 도 17은 도 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일예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10)은, 옥외에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300), 상기 서버(30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이동 단말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의 공공 장소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광고, 뉴스, 공지 사항 등의 정보 제공을 위해, 터미널, 기차역, 공항 등의 공공 시설에 설치 가능하다. 또한, 특정 물품의 광고를 위해, 주유소, 백화점, 쇼핑몰, 대형 마트 등의 매장 내의 쇼 윈도우 주변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고정형으로 도로나 주유소 등에 설치되는 경우, 지나가는 자동차를 대상으로서 감지,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교통 안내, 지도, 지시 등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주유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고정형으로 도로, 관공서, 상점, 교회, 절 등에 설치되는 경우, 지나가는 사람, 즉 행인을 대상으로서 감지, 인식하고, 그에 대응하는 광고 정보, 안내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고정형으로 병원, 은행, 경기장, 호텔, 기차 내부, 기차역 내부, 버스 내부, 버스 정류장, 공항, 백화점, 아울렛 등에 설치되어, 각 종 안내 정보, 광고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18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외부의 대상(VC1~VC3,PD1~PD2)은, 도면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의 대상(VC1~VC3,PD1~PD2)을 인식하고, 인식된 대상(VC1~VC3,PD1~PD2)에 대응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식된 대상(VC1~VC3,PD1~PD2)에 적합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제공되는 컨텐츠가, 광고 정보, 광고 영상 등인 경우, 인식된 대상(VC1~VC3,PD1~PD2)에 적합한 광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설치자의 이익 증대에 도움이 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대상의 종류, 크기 등을 인식하기 위한 센싱부(19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차량 인식 센서(도 3의 195a), 보행자 인식 센서(도 3의 195b)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컨텐츠를, 외부의 서버(300)로부터 미리 수신 받아, 저장하였다가, 인식된 외부 대상의 종류, 크기 등에 따라, 대응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외부 대상의 종류,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인식된 외부 대상의 종류, 크기 등에 따른 특정한 컨텐츠 전송 요청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300)는, 실시간으로, 스트림 형태로, 대응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대상이, 소정 횟수 이상, 지나가는 경우, 인식된 대상 정보, 지나간 횟수 정보 등을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서버(300)는, 수신되는 대상 정보, 지나간 횟수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인식된 대상에 대해, 별도의 컨텐츠를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인식된 대상이, 소정 횟수 이상, 지나가는 경우, 별도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특정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600)에서,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600)를 구비한 사용자 또는 사용자가 탑승한 차량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접근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600)는,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조사가 제공하는 서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치되는 센싱부(195)는, 라이더, 레이더 등의 차량 인식 센서(195a)와, 카메라 등의 보행자 인식 센서(195b)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보행자 인식 센서(195b)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를, 컴퓨터 비젼(computer vision) 기반을 바탕으로 신호 처리하여, 외부 대상, 특히 보행자(PD1,PD2) 등을 인식하고,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라이더, 레이더 등의 차량 인식 센서(195a)로부터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대상 특히, 차량(VC1~VC3) 등을 인식하고,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조 및 동작 등에 대해서는,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디스플레이(180), 입력 장치(18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로변의 주유소에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 등을 통해, 연료별(휘발유, 등유) 가격 정보 등을, 텍스트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도로변의 주유소에 설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80) 등을 통해, 연료별(휘발유, 등유) 가격 정보 등을,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의 디스플레이(180)는, 액정 기반의 패널, 유기발광패널, LED 패널, 전기 영동 패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는, 디스플레이(180)에 컨텐츠 표시를 위해 처리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는, 제어부 등을 포함하는 제어 보드(CB),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하는 타이밍 컨트롤러 보드(TB)를 구비할 수 있다.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미도시)는, 제어 보드(CB)로부터의 영상 신호(DVI), 또는 별도의 제어 PC(CPC)로부터의 영상 신호(DVI)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패널 구동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 및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미도시)는, 영상 신호(DVI) 외에, 제어 보드(CB)로부터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을 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이밍 컨트롤러(timing controller)(232)는, 영상 신호(DVI) 외에, 제어 신호, 수직동기신호(Vsync) 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패널 구동을 위한 데이터 구동 신호 및 게이트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의 데이터 구동 신호는, 패널이 RGB의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경우, RGB 서브픽셀 구동용 데이터 구동 신호일 수 있으며, RGBW의 서브픽셀을 구비하는 경우, RGBW 서브픽셀 구동용 데이터 구동 신호일 수 있다.
한편, 제어 PC(CP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된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PC(CP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외부 대상이 인식된 경우, 인식된 외부 대상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인식된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 PC(CP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외부 대상이 인식된 경우, 인식된 외부 대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히스토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PC(CPC)는, 인식된 대상이, 소정 횟수 이상, 지나가는 경우, 별도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입력 장치(185)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85)는, 전원 버튼 등의 복수의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 장치(185)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를 위한 입력 신호를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로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모니터링을 위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 장치(185)는, 입력과 표시가 가능한, 터치 기반의 표시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특히, 도 2의 제어 보드(CB) 내의 내부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 보드(CB)는,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이미지 처리부(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전원 공급부(190), 센싱부 (19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130)는, 다양한 접속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30)는, HDMI 단자, RGB 단자, 컴포넌트 단자, USB 단자(133), 마이크로 SD 단자, IR 수신 단자(134), DVI 수신 단자(131), 디스플레이(180)로의 영상 신호 전송을 위한 DVI 송신 단자(131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30)는, USB 통신, 유선 통신(RS-232C 등), 또는 무선 통신(WiFi, 블루투스, WiDi, 이동 통신 등)을 수행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데이터 통신을 위한 LAN 단자(132)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RAM, ROM, HDD 또는 SSD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60)는, 제어부(170)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미지 처리부(160)는, 영상 인코더, 영상 디코더, 스케일러, 프레임 레이트 컨버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미도시)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미도시)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내의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SoC(system on chip), MCU, CPU, 또는 Micom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모리(140)에 저장되는 영상,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180)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와, 직류 전원의 레벨을 변환하는 dc/dc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센싱부(195)는, 차량 인식 센서(195a), 보행자 인식 센서(195b), 조도 센서(195c), 태양광 센서(195d), 열감지 센서(미도시), 열추적 센서(미도시), GPS 센서, IOT 센서(예를 들어, 습도 센서, 온도 센서, 먼지 센서, 자외선 센서, 지진 센서 등)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차량 인식 센서(195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주변에 접근하는 차량을 인식하기 위한 센서로서, 레이더, 또는 라이더를 구비할 수 있다.
레이더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외부로 레이더 신호, 또는 레이더 빔을 송신하고, 차량에서 반사된 신호 또는 빔을 수신할 수 있다.
보행자 인식 센서(195b)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는, 가시광 기반의 카메라 또는 적외선 기반의 카메라일 수 있다.
제어부(170) 또는 차량 인식 센서(195a)는, 송신된 신호와 수신된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차량의 거리 또는 차량의 속도 등을 위상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라이더는, 안테나를 사용하여, 외부로 라이더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에서 반사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 또는 차량 인식 센서(195a)는, 송신된 신호와 수신된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차량의 거리 또는 차량의 속도 등을 위상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조도 센서(195c)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주변의 조도를 센싱할 수 있다.
태양광 센서(195d)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주변의 태양광을 센싱할 수 있다.
제어부(170) 또는 차량 인식 센서(195a)는, 태양광 센서(195d)로부터의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태양광의 광전 효율을 연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195)는, 대상의 존재 감지, 종류, 숫자, 인식 및 대상 추적을 위해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95)는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감지 영역(ZN1) 내에 대상이 감지되면, 대상의 존재 유무를 인식하고, 대상이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서 인식되면, 인식된 대상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제어부(170)로 송부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모리(140)에 기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인식된 대상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감지된 대상의 정보와 기 저장된 정보를 비교한 후 학습을 통하여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정보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인식된 대상에 대해 센싱부(195)에서 추출된 정보를,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한 결과에 기초하여 관심대상으로 분류할 수 있다.
관심 대상일 경우 그 종류를 더 세분할 수 있는데, 관심 대상은 차량일 수도 있고 사람일 수도 있으며, 차량은 버스, 트력, 승용차, 오토바이, 자전거 그리고 택시 등일 수 있고, 사람은 성인남녀, 어린이, 청년, 중년, 장년, 노년 등으로 구분하여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95)는 대상 인식 영역(ZN2) 내 인식된 관심 대상의 각 개체 숫자를 카운트하되 대상 인식 영역(ZN2)을 벗어나면 더 이상 카운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상 감지 영역(도 9b의 ZN1)은 센싱부(195)가 대상을 인식하는 거리보다 긴 거리의 기 설정된 영역을 말하며, 대상 인식 영역(도 9b의 ZN2)은 센싱부(195)가 대상을 인식하는 기 설정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대상 감지 영역(ZN1)과 대상 인식 영역(ZN2)은 같을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감지 거리를 더 멀리 설정해 놓고, 감지 거리 내에서 대상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다가,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 대상이 인식 되었을 때 대상이 관심 대상인지 여부를 인지하고, 관심 대상일 경우 그 종류를 더 세분화 하여 인식 및 추적할 수 있다.
또한,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감지 영역(ZN1)은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인식 영역(ZN2)과 같거나 더 길 수도 있으며,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서 컨텐츠가 재생이 되기 때문에 재생 영역은 대상 인식 영역(ZN2)과 같거나 더 짧을 수도 있다.
대상 감지 영역(ZN1)과 대상 인식 영역(ZN2)은 관심 대상이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되는 쪽을 기준으로 전면에 위치하며, 관심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ZN2)을 벗어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의 컨텐츠 재생이 종료가 되고, 대상 감지 영역(ZN1)보다 더 멀리 있는 대상에 대해서 센싱부(195)는 감지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센싱부(195)는 카메라, 레이더, 라이더, 적외선, 열감지, 열추적 등 여러 가지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는 싱글 카메라를 사용할 수도 있고, 두 개로 구성된 스테레오 카메라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레이더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레이더와 다른 센서 예를 들면 카메라와 같은 센서와 병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195)는 현재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GPS 등과 같은 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현재 위치를 인식하여 관련 정보를 제어부(17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9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모드(Stand By Mode)에 있을 때에도 켜져 있도록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모드(Stand By Mode)에 있고, 센싱부(195)가 대상 감지 영역(ZN1) 내 대상이 나타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실행모드(Operating Mode)로 진입할 수 있도록 켜짐신호(Power-up/Wake-up Signal)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대기모드(Stand By Mode) 중에도 센싱부(195)로부터 켜짐신호(Power-up/Wake-up Signal)를 받는 기능은 실행되며, 특별한 경우 그 기능은 제어부(170)의 SoC나 MCU 외부에 별도 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켜짐신호(Power-up/Wake-up Signal)를 수신 후, 메모리(140), 인터페이스부(130), 전원 공급부(190), 이미지 처리부(160), 디스플레이(180) 등에 전원을 인가하고 실행모드(Operating Mode)로 진입하도록 각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관심 대상에게 맞춤형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표시해주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항상 실행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이 없을 경우에는 대기모드(Stand By Mode) 상태에 있다가 대상이 나타나는 경우에 필요에 따라 실행모드(Operating Mode)로 진입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컨텐츠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센싱부(195)는,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감지 영역(ZN1) 내에 기 정의된 소정의 시간동안 대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제어부(170)에 대기모드(Stand By Mode)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실행모드(Operating Mode)에서 대기모드(Stand By Mode)로 진입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140), 통신부, 인터페이스부(130), 전원 공급부(190), 이미지 처리부(160), 디스플레이(180)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센싱부(195)로부터 켜짐신호(Power-up/Wake-up Signal)를 수신할 수 있는 기능은 실행모드(Operating Mode) 상태로 있게 되는데, 기능은 SoC나 MCU 내부에 있을 수도 있고 외부에 별도의 장치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센싱부(195)가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감지 영역(ZN1) 내에 대상이 없는 경우, 센싱부(195)는 감지되는 대상의 존재가 없음을 알리는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기 정의된 소정의 시간동안 센싱부(195)로부터 대상의 존재가 없다는 신호를 계속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실행모드(Operating Mode)에서 대기모드(Stand By Mode)로 진입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140), 통신부, 인터페이스부(130), 전원 공급부(190), 이미지 처리부(160), 디스플레이(180) 등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195)는, 대상들의 정보를 제어부(170)로 소정의 시간마다 전송하는데, 이 정보는 존재, 인식, 숫자 등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대기모드(Stand By Mode)일 경우에는 실행모드(Operating Mode) 보다 전송하는 소정의 시간의 간격이 길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95)는, 대상의 이동, 동작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95)는,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 있는 관심 대상의 종류가 제어부(170)에서 인식되면,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 있는 관심 대상의 이동에 대하여, 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하여 관심 대상까지의 거리, 관심 대상이 차량일 경우 관심 대상과 앞의 차량 간의 차간거리, 관심 대상의 이동 속도, 관심 대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까지의 도달 예상시간, 대상 인식 영역(ZN2)내 관심 대상의 예상 잔존시간, 관심 대상의 방향 등을 인식하여 제어부(170)로 소정의 시간마다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센싱부(195)는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 있는 관심 대상의 종류를 제어부(170)가 수신하면, 제어부(170)로부터 관심 대상의 이동을 인식하고 추적하여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170)로 소정의 시간마다 전송하라는 명령을 전송 받으며, 이 명령을 기초로 센싱부(195)는 관심 대상의 이동을 인식하고 추적하여 인식된 정보를 제어부(170)로 소정의 시간마다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195)는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 있는 관심 대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텐츠 시청과 관련된 특정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차량의 경우 차량제어에 의한 이동의 변화가 발생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소정의 시간마다 제어부(170)로 전송하는데, 예를 들면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서 스피드 다운과 같은 가속도의 변화, 차선 변경, 진행방향과 그 변화, 그 외에 관심 대상의 이동의 변화가 발생한 동작을 인식하여 제어부(170)로 소정의 시간마다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경우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서 얼굴의 방향이나 얼굴 방향의 고정, 또는 시선의 방향이나 시선의 고정 등에 대한 동작을 인식하여 제어부(170)로 소정의 시간마다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대상의 종류, 이동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계산하고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싱부(195)가 감지한 대상의 존재와 인식한 관심 대상의 종류, 숫자, 이동, 동작 등에 대한 정보를 센싱부(195)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관심 대상의 정보를 기초로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컨텐츠 리스트를 이용하여 컨텐츠들의 적합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의 종류, 숫자, 이동 등에 대한 계산된 적합도 정보를 이용하여 관심 대상에 가장 적합한 컨텐츠들을 필터링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다시 적합도 순을 기초로 결정하여, 적합도가 높은 컨텐츠들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컨텐츠 재생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선택되는 컨텐츠를 판단하는 방법은 관심 대상에 따른 적합도와 센싱부(195)에서 수신된 정보에 기초한 가중치를 이용 계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센싱부(195)에 의해 인식된 관심 대상이 차량인데, 제어부(170)가 수신한 관심 대상의 속도가 기 저장된 기준 속도보다 소정치 이상으로 높으면,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에게 적합한 컨텐츠 적합도 판단을 대상의 종류, 거리, 차간거리, 숫자, 속도, 도달 예상시간, 대상 인식 영역(ZN2) 내 예상 잔존시간, 방향 등을 기초로 하게 되는데, 속도, 차간거리, 방향, 숫자 등의 가중치에 따라 각각의 컨텐츠를 판단하면 제어부(170)는 현재 관심 대상에게 가장 적합도가 높은 컨텐츠는 속도를 줄이는 것에 관련된 컨텐츠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속도를 줄이는 것과 관련된 컨텐츠들을 필터링 또는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이 차량일 경우, 센싱부(195)로부터 관심 대상의 동작이 변경된 정보를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를 시청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재생 중인 컨텐츠를 확인 후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와 관련이 있으면 컨텐츠의 목적을 달성했으므로, 관심 대상의 정보와 재생 리스트와 센싱부(195)의 센싱 정보와 컨텐츠 재생의 효과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재생 리스트 컨텐츠의 가중치를 변경하고, 적합도를 다시 판단하여 컨텐츠 재생 리스트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만약 제어부(170)가 수신한 관심 대상의 동작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 중인 컨테츠와 관련이 없으면, 기 저장된 컨텐츠들의 적합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을 위한 컨텐츠 재생 방법을 다시 판단하게 되는데, 적합도 판단에 따라 관심 대상을 위한 관련 컨텐츠가 추가 될 수도 있고, 동일한 컨텐츠를 반복재생 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재생속도를 정상 속도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재생 하는 등 다양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신호대기를 위해 정지한 차량이나 서행으로 이동하는 차량이 관심 대상일 경우, 차량의 종류에 대한 정보는 센싱부(195)로부터 동일하게 수신하지만, 이동이나 동작에 대한 정보가 변경되어 컨텐츠 적합도 판단을 다시 실행하며, 관심 대상의 이동이나 동작에 맞도록 컨텐츠 재생방법도 다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센싱부(195)는, 관심 대상의 동작을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하고, 제어부(170)는 재생목적을 달성했는지를 다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만약 다수 개의 관심 대상이 같은 종류이거나 다른 종류이더라도 같은 이동을 하는 정보를 제어부(170)가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들의 종류, 숫자, 이동 등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관심 대상들에 가장 적합한 컨텐츠를 판단하여 가장 적합도가 높은 컨텐츠들을 선택 또는 필터링하게 된다. 그리고 적합도가 높은 순서대로 재생할 컨텐츠 리스트를 결정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스피드 업 또는 다운과 같은 가속도와 그 변화, 방향과 그 변화, 그 외에 관심 대상의 이동의 변화가 발생한 동작에 대한 정보를 센싱부(195)로부터 수신하여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와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현재 관심 대상의 이동이나 동작 정보가 재생 중인 컨텐츠와 관련하여 변화했을 때,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의 동작이 변화했다고 판단하고, 해당 정보를 모두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컨텐츠 재생의 목적을 달성했다고 판단하고, 그것을 메모리(140)에 저장하며, 가중치를 변경하여 컨텐츠 재생 목적달성을 적합도 판단에 반영하고, 적합도 판단을 다시 수행하여 컨텐츠 재생 리스트가 업데이트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에 적합한 컨텐츠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에게 표시될 가장 적합한 컨텐츠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게 되며, 관심 대상의 이동정보를 기초로 재생순서, 전체 재생길이 등을 계산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관심 대상까지의 거리, 관심 대상의 속도, 관심대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까지의 도달 예상시간, 대상 인식 영역(ZN2) 내 예상 잔존시간, 관심 대상의 방향 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리스트를 재생할 시간(재생시작, 재생길이, 재생속도, 재생종료 등)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계산된 재생 시간을 기초로 생성된 컨텐츠 재생 리스트로부터 관심 대상에게 표시하기 가장 적합한 컨텐츠들을 선택하여 표시될 컨텐츠들의 순서를 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제어부(170)가 판단한 다른 관심 대상들에게 상기의 방법으로 사용하여 컨텐츠 재생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컨텐츠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컨텐츠들이 이 전의 관심 대상에게 디스플레이 되는 컨텐츠 재생이 끝나면 재생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현재 하나의 컨텐츠 재생리스트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중에 다른 관심 대상을 위한 컨텐츠 리스트를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을 위해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중에도 센싱부(195)에 의해 인식된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 있는 관심 대상의 동작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재생 중인 컨텐츠와 관련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특히 관심 대상이 과속 차량인데, 제어부(170)가 과속 차량을 위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했고, 센싱부(195)에 의해 수신된 관심 대상 차량의 이동 또는 동작 정보가 속도가 줄어든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과 관심 대상을 위해 재생한 컨텐츠 리스트 및 관련 정보들을 모두 저장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어부(170)는, 컨텐츠 재생 리스트의 컨텐츠를 재생할 때, 컨텐츠의 목적과 센싱부(195)로부터 수신된 관심 대상의 동작 정보를 비교하여 컨텐츠의 목적에 해당하는 동작을 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의 경우, 감속, 가속, 차간거리, 차선변경, 방향지시 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컨텐츠 재생 리스트에서 아직 재생이 시작되지 않은 컨텐츠들 중에 가장 먼저 표시될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하는데, 메모리(140)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미지 처리부(160)로 전송하고, 이미지 처리부(160)는 해당 컨텐츠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재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이미지 처리부(160)가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명령하고, 이미지 처리부(160)는 해당 컨텐츠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하면 디스플레이(180)의 스크린에서 보여지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재생 리스트의 재생 종료 조건을 판단 후 제어하는데, 만약 관심 대상이 소정의 대상 감지 영역(ZN1) 또는 소정의 대상 인식 영역(ZN2)을 지나친 것으로 판단되거나 재생 리스트의 컨텐츠를 모두 재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심 대상을 위해 생성된 컨텐츠 리스트 및 관련 정보 중 일부를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생성된 컨텐츠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컨텐츠의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컨텐츠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나 신호를 기초로 하여 관심 대상에 대한 컨텐츠 재생 조건을 판단하고 판단된 조건을 기초로 컨텐츠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히는 제어부(17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나 신호를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재생조건이 비상조건인지 디폴트조건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조건에 맞도록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비상조건은 제어부(170)가 센싱부(195)나 통신부로부터 교통사고, 화재, 지진 등과 같은 재난정보를 수신한 경우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와 같은 정보를 수신하면 메모리(140)나 외부 장치에 기 저장된 비상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폴트 조건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관리자로부터 명령신호를 수신 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모리(140)나 외부 장치에 기 지정한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심 대상을 위한 컨텐츠 재생 리스트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안 다른 관심 대상의 이동이나 동작에 변화가 발생하면 제어부(170)가 관심 대상의 종류와 이동에 맞는 컨텐츠 적합도 계산 결과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 리스트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부(170)는 재생해야 할 컨텐츠 재생 리스트 자체를 변경하거나 컨텐츠 재생 리스트에 포함된 특정한 컨텐츠가 삭제 되고 다른 컨텐츠가 추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심 대상의 변화된 이동이나 동작에 따라 제어부(170)로부터의 재생명령도 변경될 수 있는데, 고속재생, 반복재생, 연속재생, 느린재생, 정지 등을 포함하여 재생명령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시간 동안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감지 영역(ZN1) 내에 대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관리자에 의해 기 저장된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기 저장된 정보에 관리자가 지정한 기본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를 재생하도록 선택하고, 확인된 기 저장된 정보에 관리자가 지정한 기본 컨텐츠가 없을 경우는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임의로 선택하거나 센싱부(195)로부터 수신되는 주변 조건 신호를 기초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디스플레이(180)에 재생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주변 조건은 날씨, 밤과 낮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센싱부(195)로부터 대상에 대한 신호를 수신 받고 이를 기초로 그 대상이 관심 대상이라고 인식될 때까지 기본 컨텐츠나 임의의 컨텐츠 혹인 센싱부(195)로 수신된 주변 조건 신호를 기초로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기 정의된 소정의 시간 동안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감지 영역(ZN1) 내에 대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센싱부(195)는 대기모드(Stand By Mode)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송하고, 제어부(170)는 해당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대기모드(Stand By Mode)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모니터링이 가능한 입력 장치(185) 또는 주변의 모바일 장치로 정보를 전송 및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입력 장치(185)를 통해 관리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끄거나 켜도록 제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대기모드(Stand By Mode)에서 실행모드(Operating Mode)로 진입하게 하거나 실행모드(Operating Mode)에서 대기모드(Stand By Mode)로 진입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관리자는 입력 장치(18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정보의 목록을 검색하고, 입력 장치(185)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시간/날짜/주/달 등과 같이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행에 대한 정보 및 관심 대상에 대한 정보와 컨텐츠 또는 컨텐츠 재생 리스트 정보를 모니터로 전송 및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관리자가 현재 관심 대상과 재생 중인 컨텐츠 등에 대한 정보, 그리고 기 설정된 소정의 기간 동안의 관심 대상 및 재생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크린을 보지 않고도 모니터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관리자는, 관리하는 사람이거나 로봇, 비전기능이 포함되어 컴퓨터 등을 포함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 관리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재생되는 컨텐츠의 효과, 재생횟수나 빈도에 대한 정보, 디스플레이 장치(100) 앞을 지나는 대상에 대한 정보, 소비전력 절감에 대한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재생 중인 컨텐츠를 모니터에도 재생할 수 있으며, 컨텐츠 외에 메모리(140)에 저장된 정보들을 함께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로부터 입력 장치(185)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행에 대한 정보 및 관심 대상에 대한 정보와 컨텐츠 또는 컨텐츠 재생리스트 정보는 디스플레이(180)에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전송될 수도 있으며, 컨텐츠의 재생이 없는 시간을 별도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입력 장치(185)로 전송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행에 대한 정보 및 관심 대상에 대한 정보와 컨텐츠 또는 컨텐츠 재생리스트 정보는 압축되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입력 장치(185)로 전송되는 정보를 기 설정된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정보를 수신 및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센싱부(195)로부터 대상의 존재에 대한 정보 또는 이동이나 특정동작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재생 중인 컨텐츠의 영상의 밝기를 낮추거나 디스플레이(180)의 스크린의 밝기를 낮추거나 기 설정된 특정 컨텐츠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스크린의 광원이나 스크린 자체의 전원을 끄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대기모드(Stand By Mode)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동안 센싱부(195)로부터 대상의 존재에 대한 정보 또는 이동이나 특정동작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특정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장치(100) 관리자가 기 설정한 컨텐츠나 재생 빈도 최상위 컨텐츠나 기 설정된 로고 이미지나 지정된 문구를 재생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모드(Stand By Mode)에 있는데 제어부(170)가 센싱부(195)로부터 켜짐신호(Power-up/Wake-up Signal)를 수신하면 제어부(170)는 메모리(140), 통신부, 인터페이스부(130), 전원 공급부(190), 이미지 처리부(160), 디스플레이(180) 등에 전원을 인가하고 실행모드(Operating Mode)로 진입하도록 각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실행모드로 진입하면 제어부(170)는 소비전력을 계산하여 모니터 또는 모바일 장치로 소비전력 정보를 전송하여 모니터 또는 모바일 장치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실행모드로 진입하면 제어부(170)는 소비전력을 계산하여 모니터 또는 모바일 장치로 소비전력 정보를 전송하여 모니터 또는 모바일 장치에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센싱부(195)로 부터 대상의 존재에 대한 정보 또는 이동이나 특정 동작에 대한 정보가 다시 수신되면 낮춰진 영상의 밝기를 정상으로 높이거나 낮춰진 디스플레이(180)의 스크린의 밝기를 높이거나 기 설정된 특정 컨텐츠로 재생 중이던 것을 중지하고 인식된 대상을 위한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꺼진 스크린의 광원이나 스크린 자체의 전원을 다시 켜지도록 하거나 대기모드(Stand By Mode)에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실행모드(Operating Mode)로 진입하도록 각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켜짐신호(Power-up/Wake-up Signal)를 수신 후, 메모리(140), 통신부, 인터페이스부(130), 전원 공급부(190), 이미지 처리부(160), 디스플레이(180) 등에 전원을 인가하고 실행모드(Operating Mode)로 진입하도록 각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가 대기모드(Stand By Mode) 중에 있으나 센서로부터 켜짐신호(Power-up/Wake-up Signal)를 받는 장치는 실행 중이며, 특별한 경우 그 장치만 제어부(170)의 SoC나 MCU 외부에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관심 대상을 위한 컨텐츠를 재생 후 관심대상이 특정 동작을 하는 등과 같이 컨텐츠 재생의 효과가 있는 컨텐츠를 대상과 함께 우수한 컨텐츠 재생 정보를 모니터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며, 반대로 관심 대상을 위한 컨텐츠를 재생 후 관심대상이 아무런 이동이나 동작을 하지 않아 컨텐츠 재생의 효과가 없는 컨텐츠를 대상과 함께 열등한 컨텐츠 재생 정보를 모니터나 모바일 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관리자는 알림정보를 보고 재생할 컨텐츠의 내용이나 방법에 대한 효과나 방향이나 빈도 및 개선책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대상에 대한 정보, 컨텐츠에 대한 정보, 제어부(170)의 판단이나 제어에 대한 정보 등을 메모리(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데, 시간이나 날짜 별로 저장할 수도 있고 대상 별로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기 설정된 기간, 일/주/월 별로 주요 대상과 재생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40)에서 입력 장치(185)나 모바일 장치롤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외부에 기 정의된 소정의 감지 거리 내에 대상이 나타나면 대상의 존재유무를 인식하고 기 정의된 소정의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 있는 대상의 종류와 이동 및 특정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센싱부(195)로 부터 대상에 대한 존재유무, 종류, 숫자, 이동, 또는 특정동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대상의 종류, 이동, 또는 특정 동작에 맞는 컨텐츠 적합도를 계산 및 컨텐츠를 필터링 또는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필터링 또는 선택된 컨텐츠들로 재생 리스트를 생성 및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필터링 또는 선택된 컨텐츠들로 재생 리스트를 생성 및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며, 대상에 대한 정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상황정보 등을 메모리(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옥외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부(170)는, 필터링 또는 선택된 컨텐츠들로 재생 리스트를 생성 및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옥외의 차량 등과 같이 움직이는 물체 외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부(170)는, 필터링 또는 선택된 컨텐츠들로 재생 리스트를 생성 및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옥외의 차량 등과 같이 움직이는 물체 내부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부(170)는, 필터링 또는 선택된 컨텐츠들로 재생 리스트를 생성 및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부(170)는, 필터링 또는 선택된 컨텐츠들로 재생 리스트를 생성 및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며, 대상에 대한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입력 장치(185)로 전송 및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관리하는 사람이 현재 관심 대상과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 그리고 기 설정된 소정의 기간 동안의 관심 대상 및 재생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크린을 보지 않고도 모니터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부(170)는, 현재 시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인지 확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시간에 관한 정보를 센싱부 또는 인터페이스부(130)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수신하여,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취득한 컨텐츠의 시간 정보와 현재 시간에 관한 정보를 비교하고, 현재 시간에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인지 확인 후 재생 가능한 시간일 경우에 컨텐츠의 재생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컨텐츠를 재생 중에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시간으로 진입했을 경우, 제어부(170)는, 현재 컨텐츠 재생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다음 컨텐츠에 대하여 시간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인지 확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시간인 제한 시간의 일예로, 출근/등교 시간일 수 있다. 또는 낮 시간, 또는 퇴근/하교 시간 또는 야간일 수 있다.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시간인 제한 시간은, 컨텐츠의 종류 또는 속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광고 컨텐츠의 경우, 낮 시간에 해당 컨텐츠를 표시할 수 없을 수 있다.
이러한 제한 시간은, 정부 또는 지자체의 법규에 의해 결정된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입력 장치(185), 특히 모니터는, 시스템 구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함체에 부착되어 있을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에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부(170)는, 모바일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부(170)는, 필터링 또는 선택된 컨텐츠들로 재생 리스트를 생성 및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며, 대상에 대한 정보와 컨텐츠 정보를 모바일 장치로 전송 및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관리하는 사람이 현재 관심 대상과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한 정보, 그리고 기 설정된 소정의 기간 동안의 관심 대상 및 재생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스크린을 보지 않고도 원거리의 모바일 장치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모바일 장치의 앱의 통해 디스플레이한 컨텐츠, 주요 관심 대상, 효과가 있는 대상, 소비전력 감소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부(170)는, 서버(300)로 소정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부(170)는, 필터링 또는 선택된 컨텐츠들로 재생 리스트를 생성 및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180)에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영상신호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며, 대상에 대한 정보, 컨텐츠 재생 정보, 또는 상황정보 등을 메모리(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하고, 저장된 정보를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다른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디스플레이(180), 입력 장치(18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사하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에, 제어 보드(CB) 대신에 제어 PC(CPCb)가 대체되고, 제어 PC(CPCb)와 별도로 센싱부(195)가 구비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이다. 특히, 제어 PC(CPC)의 내부 블로도의 일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5의 제어 PC(CPCb)는, 도 3의 제어 보드(CB)와 유사하나, 센싱부(195)가 별도로 마련되는 것에 그 차이가 있다.
도 6a 내지 도 6b는 도 3 또는 도 5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의 다양한 예를 예시한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차량 인식 센서(195a)로부터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대상 거리 연산부(431), 대상 검출부(434), 대상 확인부(436), 대상 트래킹부(440), 어플리케이션부(450)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대상 거리 연산부(431)는, 송신되는 레이더 신호 또는 라이더 신호와,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대상에 대한 거리 검출, 속도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거리 연산부(431)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위상 차이에 기초하여, 거리 또는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다음, 대상 검출부(434)는, 송신되는 레이더 신호 또는 라이더 신호와,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대상에 대한 거리 검출, 속도 검출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검출부(434)는, 수신되는 반산 신호 중 일부가 커지는 경우, 커지는 영역의 사이즈에 따라, 대상의 크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음, 대상 확인부(object verification unit)(436)는, 대상 검출부(434)에서 검출된 대상에 기초하여, 검출 및 분리된 대상을 분류하고(classify), 확인한다(verify).
대상 트래킹부(object tracking unit)(440)는, 확인된 대상에 대한 트래킹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확인된 대상의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를 연산하며, 연산된 움직임 또는 움직임 벡터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의 이동 등을 트래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확인된 차량의 움직임 등을 트래킹할 수 있게 된다.
어플리케이션부(450)는, 트래킹된 대상에 대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래킹된 대상에 대한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보행자 인식 센서(195b)로부터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보행자 인식을 수행하기 위해, 영상 전처리부(410), 디스패러티 연산부(420), 세그멘테이션부(432), 대상 검출부(434), 대상 확인부(36), 대상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를 구비할 수 있다.
대상 검출부(434), 대상 확인부(36), 대상 트래킹부(440), 및 어플리케이션부(450)에 대한 설명은 도 6a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생략한다.
영상 전처리부(image preprocessor)(410)는, 카메라(195b)로부터의 이미지를 수신하여, 전처리(preprocessing)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전처리부(410)는, 수신되는 이미지에 대한, 노이즈 리덕션(noise reduction), 렉티피케이션(rectification),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색상 강화(color enhancement), 색상 공간 변환(color space conversion;CSC),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 카메라 게인 컨트롤(camera gain control)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보다 선명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패러티 연산부(disparity calculator)(420)는, 영상 전처리부(410)에서 신호 처리된, 이미지를 수신하고, 소정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수신된 복수의 이미지 또는 스테레오 이미지에 대한 스테레오 매칭(stereo matching)을 수행하며, 스테레오 매칭에 따른, 디스패러티 맵(dispartiy map)을 획득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에 대한, 디스패러티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스테레오 매칭은, 이미지들의 픽셀 단위로 또는 소정 블록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디스패러티 맵은, 이미지, 즉 좌,우 이미지의 시차(時差) 정보(binocular parallax information)를 수치로 나타낸 맵을 의미할 수 있다.
세그멘테이션부(segmentation unit)(432)는, 디스패러티 연산부(420)로부터의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내의 세그먼트(segment) 및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그멘테이션부(432)는, 디스페러티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배경(background)과 전경(foreground)을 분리할 수 있다.
다음, 대상 검출부(object detector)(434)는, 세그멘테이션부(432)로부터의 이미지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대상 검출부(434)는, 디스페러티 정보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 검출부(434)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 세그먼트에 의해 분리된 전경으로부터 대상을 검출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b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7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을 도시하며, 도 7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을 도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면 케이스(CAS) 내에, 배치되는 센싱부(195)와 센싱부(195) 하부의 디스플레이(18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에는, 배면 케이스(BCAS)로 덮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일예이고, 도 9a 내지 도 17은 도 7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는 외부 대상이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810), 해당하는 경우, 외부 대상을 인식한다(S815).
예를 들어, 센싱부(195) 내의 차량 인식 센서(195a)는, 레이더 신호 또는 라이더 신호를 출력하고, 대상에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 인식 센서(195a) 또는 제어부(170)는, 반사 신호의 레벨이 제1 기준치 미만인 경우, 외부 대상이 감지 거리 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반사 신호의 레벨이 제1 기준치 이상인 경우, 외부 대상이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센싱부(195) 내의 보행자 인식 센서(195b)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보행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제1 소정치 미만인 경우, 외부 대상이 감지 거리 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보행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제1 소정치 이상인 경우, 외부 대상이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는 외부 대상이 시청 가능 영역 이내에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820), 해당하는 경우, 인식된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한다(S825).
예를 들어, 차량 인식 센서(195a) 또는 제어부(170)는, 차량 인식 센서(195a에서 수신되는 반사 신호의 레벨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제2 기준치 미만인 경우, 외부 대상이 시청 가능 영역 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반사 신호의 레벨이 제2 기준치 이상인 경우, 외부 대상이 시청 가능 영역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보행자 인식 센서(195b)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보행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제1 소정치 이상이며, 제2 기준치 미만인 경우, 외부 대상이 시청 가능 영역 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보행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제2 소정치 이상인 경우, 외부 대상이 시청 가능 영역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인식 센서(195a) 등에 기초하여 인식된 차량이, 제1 차량(VC1)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주유소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빌딩 벽 또는 옥상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제품 광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관공서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행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인식 센서(195a) 등에 기초하여 인식된 차량이, 제2 차량(VC2)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차량(VC2)을 위한 제2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주유소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차량(VC2)을 위한 등유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빌딩 벽 또는 옥상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차량(VC1)을 위한 제2 제품 광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관공서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차량(VC2)을 위한 제2 행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보행자 인식 센서(195b) 등에 기초하여 인식된 보행자가, 제1 보행자(PED1)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보행자(PED1)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휴대폰 매장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보행자(PED1)를 위한 제1 휴대폰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빌딩 벽 또는 옥상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보행자(PED1)를 위한 제2 제품 광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교회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보행자(PED1)를 위한 제1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보행자 인식 센서(195b) 등에 기초하여 인식된 보행자가, 제2 보행자(PED2)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2 보행자(PED2)을 위한 제2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휴대폰 매장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2 보행자(PED2)을 위한 등유 가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빌딩 벽 또는 옥상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2 보행자(PED2)을 위한 제2 광고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교회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2 보행자(PED2)을 위한 제2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식된 외부 대상에 따라,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외부 대상의 컨텐츠 집중도, 시청율 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는 외부 대상이 시청 가능 영역을 벗어났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830), 해당하는 경우, 인식된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한다(S835).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주유소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를 제공하다가, 제1 차량(VC1)이, 시청 가능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또는 주유소를 지나간 경우, 휘발유 가격 정보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가 휴대폰 매장에 설치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보행자(PED1)를 위한 제1 휴대폰 가격 정보를 제공하다가, 제1 보행자(PED1)가, 시청 가능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또는 휴대폰 매장을 지나간 경우, 제1 휴대폰 가격 정보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외부 대상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출력되는 컨텐츠를 가변하거나,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표시 크기, 표시 휘도, 표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양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외부 대상의 접근 속도 또는 접근 거리에 따라, 출력되는 컨텐츠를 가변하거나,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표시 크기, 표시 휘도, 표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양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1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1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2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3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센싱부(195)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1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1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1 외부 대상이, 제1 기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1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인식된 외부 대상의 접근 속도 또는 외부 대상의 종류에 따라, 대상 인식 영역이 가변될 수 있다.
도 9a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센싱부(195)에서, 레이저 신호 또는 라이더 신호와 같은 출력 신호(RES)가 출력되어, 외부 대상인 제1 차량(VC1)에, 도달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출력 신호(RES)는, 제1 차량(VC1)에 반사되며, 센싱부(195)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부(195) 또는 제어부(170)는, 제1 차량(VC1)의 거리, 위치, 속도 등을 연산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출력 신호와 반사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외부 대상의 거리, 속도, 및 크기를 연산하고, 연산된 거리, 속도, 및 크기에 기초하여, 외부 대상, 즉 제1 차량(VC1)을 인식할 수 있다.
도 9b는, 제1 차량(VC1)의 주행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대상 감지 영역, 대상 인식 영역 등이 구분되는 것을 예시한다.
센싱부(195)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 및 그에 따른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대상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면과 같이, 대상 감지 영역(ZN1),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량(VC1)이, 대상 감지 영역(ZN1) 외에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의해 제1 차량(VC1)에서 반사되는 반사 신호의 레벨이 제1 기준치 미만일 수 있다.
한편, 제1 차량(VC1)이, 도 9b와 같이, L1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감지 영역(ZN1)으로 진입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의해 제1 차량(VC1)에서 반사되는 반사 신호의 레벨이 제1 기준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부(195) 또는 제어부(170)는, 제1 차량(VC1)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1 차량(VC1)이, 도 9c와 같이, L2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c는,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910)와, 이벤트 정보(91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ZN2) 이내에 있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외부 대상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d는, 도 9c에 비해, 제1 차량(VC1)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더 접근한 경우에,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910)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대상 인식 영역(ZN2) 이내이더라도, 디스플레이(100)의 시청 가능한 영역이 다를 수 있다. 도 9c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의 전 영역이 시청 가능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0)의 전 영역에,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9d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의 일부 영역이 시청 가능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0)의 일부 영역에,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시청율이 향상되며, 불필요한 컨텐츠 제공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1 차량(VC1)이, 도 9e와 같이, L3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인식 영역(ZN2)을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의 시청이 불가능하므로, 제1 컨텐츠의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외부 대상의 접근 속도 또는 접근 거리에 따라, 출력되는 컨텐츠를 가변하거나,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표시 크기, 표시 휘도, 표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양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9f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f는, 도 9c의 제1 속도(V1)와 달리, 더 빠른 제2 속도(V2)로,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를 예시한다.
더 빠른 제2 속도(V2)로,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하는 경우, 시청 가능한 데이터 양이 더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도 9f와 같이, 도 9c에 비해, 표시되는 컨텐츠의 양이 더 작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9f는,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910)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제2 차량(VC2)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접근하는 것을 예시한다.
먼저, 제2 차량(VC2)이, 도 10a와 같이, L1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감지 영역(ZN1)으로 진입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의해 제2 차량(VC2)에서 반사되는 반사 신호의 레벨이 제1 기준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싱부(195) 또는 제어부(170)는, 제2 차량(VC2)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2 차량(VC2)이, 도 10b와 같이, L2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차량(VC2)을 위한 제2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제2 차량(VC2)을 위한 제2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0b는, 제2 차량(VC2)을 위한 등유 가격 정보(1010)와, 이벤트 정보(101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ZN2) 이내에 있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특히, 외부 대상의 거리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c는, 도 10b에 비해, 제2 차량(VC2)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더 접근한 경우에, 제2 차량(VC2)을 위한 등유 가격 정보(1010)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대상 인식 영역(ZN2) 이내이더라도, 디스플레이(100)의 시청 가능한 영역이 다를 수 있다. 도 10b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의 전 영역이 시청 가능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0)의 전 영역에,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10c와 같이, 디스플레이(100)의 일부 영역이 시청 가능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100)의 일부 영역에,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시청율이 향상되며, 불필요한 컨텐츠 제공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2 차량(VC2)이, 도 10d와 같이, L3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인식 영역(ZN2)을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컨텐츠의 시청이 불가능하므로, 제2 컨텐츠의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복수의 차량(VC1,VC2)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접근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1a는, 복수의 차량(VC1,VC2)이, 대상 감지 영역(ZN1) 이내에 있으며, 특히, 제1 차량(VC1)만이,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복수의 차량(VC1,VC2) 중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a는,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91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도 11b는, 제1 차량(VC1)과 제2 차량(VC2) 모두가,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복수의 차량(VC1,VC2)을 위한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복수의 차량(VC1,VC2)을 위한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b는,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910)와 제2 차량(VC2)을 위한 등유 가격 정보(101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1b와 달리, 제1 차량(VC1)과 제2 차량(VC2) 모두가,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특히, 제2 차량(VC2)이 새롭게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이미, 제1 컨텐츠가 제공되었었으므로, 제1 컨텐츠와 제2 컨텐츠 중 제2 컨텐츠만 제공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 11c는, 제2 차량(VC2)을 위한 등유 가격 정보(1010)만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복수의 차량(VC1,VC2)이, 도 11d와 같이, L3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인식 영역(ZN2)을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70)는, 컨텐츠의 시청이 불가능하므로, 컨텐츠의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대기 모드시, 제어부(170)는, 도 11d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의 휘도(LUMb)가 낮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센싱부(195)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시각 외에 청각으로도 컨텐츠 확인이 가능하게 되므로, 컨텐츠 인식율이 상당히 증대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2는, 제1 차량(VC1)이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컨텐츠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센싱부(195)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RES)에,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Sou)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도면에서는, 출력 신호(RES) 내의 캐리어 신호(Car)에 사운드 신호(Sou)가 부가되어 출력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에는,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910)와, 이벤트 정보(915)가 표시되며, 제1 차량(VC1)의 스피커를 통해,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1210)와, 이벤트 정보(1215)가 사운드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캐리어 신호(Car)는, RF 신호로서, 라디오 주파수 등 방송 신호에 대응하거나, 이동 통신 주파수, 블루투스 주파수, 또는 와이파이 주파수 등 양방향 통신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캐리어 신호(Car)가 방송 신호에 대응하며, 제1 차량(VC1)의 라디오가 켜진 경우, 스피커를 통해,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1210)와, 이벤트 정보(1215)가 사운드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캐리어 신호(Car)가 양방향 통신 신호에 대응하며, 제1 차량(VC1)의 블루투스가 온 된 상태에서, 제1 차량(VC1)이 대상 인식 영역(ZN2) 이내의 페어링 가능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의 페어링 신호와, 제1 차량(VC1)의 페어링 응답 신호에 기초하여, 양방향 통신 접속이 되며, 캐리어 신호(Car)에 부가된 사운드 신호(Sou)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1210)와, 이벤트 정보(1215)가 사운드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Sou)가 부가되어 출력되는 것은, 차량 외에, 무선 헤드셋을 착용한 보행자에게도 적용 가능하다. 즉, 차량 대신에 보행자가 착용한 무선 헤드셋 또는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여, 보행자를 위한, 광고 정보, 이벤트 정보 등이, 무선 헤드셋을 통해, 사운드로 출력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제1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1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1 외부 대상이, 제1 기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1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a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3a는, Ta 시점에, 제1 차량(VC1)이,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제1 차량(VC1)을 위한 휘발유 가격 정보(910)와, 이벤트 정보(91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차량(VC1) 인식 정보를, 서버(300)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차량(VC1)이 제1 기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 도 13b는, Tb 시점에, 제1 차량(VC1)이,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를 예시한다.
서버(300)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차량(VC1)이 제1 기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지나간 횟수 등을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1310), 별도의 컨텐츠인, 특별 할인 휘발유 정보(1315)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80)는, Tb 시점에, 지나간 횟수 등을 포함하는 히스토리 정보(1310), 별도의 컨텐츠인, 특별 할인 휘발유 정보(1315) 등이,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a 내지 도 13b는, 제공되는 컨텐츠로, 텍스트 정보를 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정지 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켄텐츠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a 내지 도 14f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4a는 제1 차량(VC1)이,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컨텐츠(141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4b는 제1 차량(VC1)이, 대상 인식 영역(ZN2) 이내에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 제1 컨텐츠(1410)에 후속하여 제2 컨텐츠(1415)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4c는, 제1 차량(VC1)이, 도 14a의 제1 속도(v1) 보다 큰 제2 속도(v2)로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제1 차량(VC1)을 위한 제1 컨텐츠(141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4d는, 제1 차량(VC1)이, 대상 인식 영역(ZN2) 이내에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 도 14b와 달리, 제1 컨텐츠(1410)가 계속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즉, 제어부(170)는, 외부 대상의 접근 속도가 빠를수록,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이 작아지거나, 컨텐츠의 표시 크기가 커지도록 하거나, 표시 휘도가 커지도록 하거나, 표시 위치가 더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거나, 컨텐츠의 양이 작아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4e는 제2 차량(VC2)이,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제2 차량(VC2)을 위한 제3 컨텐츠(143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4f는 제2 차량(VC2)이, 대상 인식 영역(ZN2) 이내에서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 제3 컨텐츠(1430)가 계속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도 14b와 달리, 인식되는 대상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의 제공 시간 등이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보행자 인식 센서(195b)에서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보행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제1 소정치 이상이며, 제2 기준치 미만인 경우, 외부 대상이 시청 가능 영역 외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보행자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크기가 제2 소정치 이상인 경우, 외부 대상이 시청 가능 영역 이내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행자에 제공되는 컨텐츠와 관련하여, 도 15a 이하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5a는, 제1 보행자(PED1)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대상 감지 영역, 대상 인식 영역 등이 구분되는 것을 예시한다.
센싱부(195)에서 획득되는 이미지에 기초하여, 외부 대상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면과 같이, 대상 감지 영역(ZN1),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행자(PED1)가, 대상 감지 영역(ZN1) 외에 있는 경우, 보행자 인식 센서(195b)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내의 보행자 오브젝트의 크기가 제1 소정치 미만일 수 있다.
한편, 제1 보행자(PED1)가, 도 15a와 같이, L1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감지 영역(ZN1)으로 진입한 경우, 보행자 인식 센서(195b)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내의 보행자 오브젝트의 크기가 제1 소정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1 보행자(PED1)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1 보행자(PED1)가, 도 15b와 같이, L2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보행자(PED1)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제1 보행자(PED1)를 위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b는 제1 보행자(PED1)가,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제1 보행자(PED1)를 위한 제1 컨텐츠(151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제1 보행자(PED1)가, 도 15c와 같이, L3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인식 영역(ZN2)을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컨텐츠의 시청이 불가능하므로, 제1 컨텐츠의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제2 보행자(PED2)가, 도 16a와 같이, L1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감지 영역(ZN1)으로 진입한 경우, 보행자 인식 센서(195b)에서 획득되는 이미지 내의 보행자 오브젝트의 크기가 제1 소정치 이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제2 보행자(PED2)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제2 보행자(PED2)가, 도 16b와 같이, L2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제어부(170)는, 제2 보행자(PED2)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제2 보행자(PED2)를 위한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b는 제2 보행자(PED2)가,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제2 보행자(PED2)를 위한 제2 컨텐츠(152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다음, 제2 보행자(PED2)가, 도 16c와 같이, L3 위치 이내로 진입하여, 대상 인식 영역(ZN2)을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2 컨텐츠의 시청이 불가능하므로, 제2 컨텐츠의 제공을 종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180)는, 대기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복수의 보행자(PEDS)가, 대상 인식 영역(ZN2) 이내에 있는 경우, 복수의 보행자(PEDS)를 위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7은 복수의 보행자(PEDS)가, 대상 인식 영역(ZN2)으로 진입한 경우, 복수의 보행자(PEDS)를 위한 제3 컨텐츠(1530)가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보행자(PEDS)를 위한 맞춤형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보행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주시하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계속 주시 여부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을 연장하거나, 제공되는 컨텐츠를 관심 있어 하는 컨텐츠로 가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보행자의 성별, 연령대, 인원 수 등을 연산하고, 이에 기초로, 제공되는 컨텐츠를 가변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에서 획득된 정보 또는 연산된 정보는, 일자 별, 시간 별로, 제어 PC(CPC) 또는 서버(300)에 제공되어 관리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보행자 또는 차량 등의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ZN2)에 진입하여, 대상 인식 영역(ZN2)을 벗어나는 시간, 즉, 대상 인식 영역(ZN2)에 머무르는 시간을 연산하고, 연산된 시간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를 가변하거나,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표시 크기, 표시 휘도, 표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양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보행자 또는 차량 등의 대상의 속도, 가속도, 또는 진행 방향 등을 연산할 수 있으며, 대상의 속도, 또는 진행 방향에 따라, 제공되는 컨텐츠를 가변하거나,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표시 크기, 표시 휘도, 표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양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차량 인식시, 차량의 종류를, 승용차, 버스, 트럭, 택시 등으로 구분하거나, 가솔린 차량, 경유 차량,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 차량, 오토바이 등으루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복수의 차량 또는 보행자 인식시, DB에 저장된 차량 또는 보행자를 먼저 인식하고, 먼저 인식된 차량 또는 보행자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조도 센서(195)에서 감지되는 조도에 따라, 표시되는 컨텐츠의 휘도가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조도가 높아질수록, 컨텐츠의 휘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 센싱부(195)에서 유효한 센싱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휘도가 낮아지도록 제어하며, 센싱부(195)에서 유효한 센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대기 모드를 종료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휘도가 높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대기 모드 종료시, 특정 광고, 로고 등을 먼저 재생하고, 그 이후, 인식되는 대상이, 시청 가능 영역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 인식되는 대상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 센싱부(195)에서 유효한 센싱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하여, 특정 광고, 로고 등이 반복적으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특정 광고, 로고 등의 표시 휘도는, 일반 모드일 때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센싱부(195)에서 유효한 센싱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대기 모드를 종료하여, 특정 광고, 로고 등의 휘도를 높여 표시하다가, 인식되는 대상이, 시청 가능 영역 이내로 진입하는 경우, 인식되는 대상에 따른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인식되는 대상에 따른 컨텐츠 제공시, 복수의 컨텐츠 제공이 가능하며, 이때, 인식된 대상에 적합도가 높은 순서대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인식되는 대상이 가변되어, 시청 가능 영역 이내에 도달하는 경우, 제1 컨텐츠의 재생을 중단하고, 새로운 대상을 위한 제2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자연스런 화면 전환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70)는, 인식되는 대상의 움직임 속도 등에 따라, 컨텐츠의 재생 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즉, 재상 속도가 더 빨라지거나, 더 느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인식되는 대상이, 재생되는 컨텐츠 중 특정 구간에 대한 집중도가 높을 때, 특정 구간을 반복하여, 적응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컨텐츠의 재생 구간 가변 등을 위해, 컨텐츠는, 데이터 베이스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재생할 컨텐츠에 대한, 제목, 대상, 목적, 재생 길이, 재생 짜, 재생 시간, 반복 횟수, 재생 횟수, 순위 등에 대한 정보가 부가거나, 별도로 관리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설치 장소, 인식되는 대상, 대상의 행동, 움직임, 대상의 종류, 대상의 총수 등에 대한 정보가 부가되거나, 별도로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화되는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메모리(140) 또는 제어 PC(CPC) 또는 서버(300) 등에서 관리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의 일예이다.
먼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대상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5), 대상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실행 모드를 수행한다(S82).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대상 감지 및 인식을 수행한다(S10). 이에 대해서는 도 19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컨텐츠 재생 조건을 판단한다(S70). 이에 대해서는 도 21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센싱부(195)에서 인식된 대상에 기초하여, 적합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30). 이에 대해서는 도 20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한편, 제5 단계(S5)에서, 대상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 또는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경과하였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7),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82). 대기 모드 관련 내용은, 도 23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는, 크게, 대상의 감지 및 인식, 대상에 대한 판단, 대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대상의 인식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대상에 대한 판단, 및 제어는 도 20 내지 23 등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도 19는, 대상의 감지 및 인식을 위해 참조되는 순서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도 18의 제5 단계(S5)에서, 대상이 존재하는 경우, 관심 대상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S11).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대상 감지 영역(ZN1) 내에, 대상이 나타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관심 대상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S12).
예를 들어, 기본 저장되어 있는 정보와 비교하여 인식 및 학습을 수행하여, 차량 또는 사람 등의 대상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메몰(140) 등에 기 저장된 정보와 비교 및 업데이트하여, 대상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으며, 관심 대상이 아닌 경우, 대상의 감지 및 인식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심 대상이, 차량의 종류인 경우, 차량은 버스, 트럭, 승용, 오토바이, 자전거, 택시 등으로 구분되어 인식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심 대상이, 사람의 종류인 경우, 사람은, 성별, 키, 남녀, 어린이, 청년, 중년, 장년, 노년 등으로 구분되어 인식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대상 인식 영역(ZN2) 내에 있는 대상을 추적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인식 영역(ZN2)은 정의된 소정의 센서의 추적 거리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대상 인식 영역(ZN2) 내의 대상의 숫자를 카운트하며, 대상 인식 영역(ZN2)을 벗어나면 인식 대상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관심 대상의 이동을 인식할 수 있다(S21).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관심 대상의 이동, 동작, 또는 이동 거리 또는 대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까지의 거리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170)가 컨텐츠를 재생할 시작시간을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대상의 속도에 따라, 관심 대상의 이동, 동작, 또는 이동 거리 또는 대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까지의 거리가 실시간으로 변하므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실시간으로, 관심 대상의 이동, 동작, 또는 이동 거리 또는 대상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까지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대상이 출발하는 경우, 출발시의 속도를 연산하거나, 대상이 정지하는 대상의 정지 속도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신호등에서 대상이 정지하는 경우, 관련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대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 죽 Time-To-Arrival을 연산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제어부(170)는, 재생할 시작시간, 재생길이, 재생속도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대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상 인식 영역(ZN2)내 관심 대상의 예상 잔존시간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대상의 속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가변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관심 대상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S22).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대상의 가속도, 특히, 속도가 상승하는 지, 속도가 하강하는 지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170)가 재생 중인 컨텐츠의 효과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가, 대상의 동작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추후 재생 방법의 변화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S61).
또한,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170)가 반복재생, 연속재생, 느린재생, 고속재생, 정지, 후속재생 등의 명령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센싱부(195)는, 대상의 졸음운전, 오른쪽, 왼쪽, 직진, 후진 등의 방향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170)가 대상의 동작변화를 판단하는데 사용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쪽으로 진입, 차선변경, 졸음해제 등을 위해 사용되거나, 제어부(170)가 재생 명령을 변경하는 명령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가 이동에 대한 정보를 수신 후 컨텐츠 재생 중, 동일 대상의 이동 정보가 컨텐츠와 관련하여 변화했을 때, 제어부(170)는, 대상의 동작이 변화했다고 판단하고, 해당 정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다시 제어하며, 해당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대상의 제어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센싱부(195)로부터의 대상의 종류, 인식 정보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컨텐츠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이 특정 동작을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41).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현재 컨텐츠를 재생중이며 대상이 특정 동작을 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정 동작을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 확인할 수 있다(S42).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재생 중인 컨텐츠의 대상, 목적 등과 인식된 대상의 특정 동작을 비교하여, 관련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 관련 없는 경우, 제31 단계(S31)가 바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관련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재생목적 달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S44).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감속, 차간거리, 차선변경, 방향 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모든 정보를 메모리(14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컨텐츠 재생 목적 달성을 반영하도록 제어하기 위해, 가중치를 변경하고(S45), 컨텐츠 적합도 계산하고(S46), 재생 리스트 업데이트할 수 있다(S47), 그리고, 재생 리스트 업데이트 이후, 제32 단계(S32)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의 종류에 적합한 컨텐츠를 찾기 위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S31).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기 저장된 대상의 종류 정보를 토대로 관련성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이 자동차인 경우, 버스인지 승용차인지, 또는 대상이 사람인 경우, 성인 여자 인지 등에 따른 컨텐츠를 찾기 위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보유한 컨텐츠들 중에 관련성이 가장 높은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32).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 및 이동을 점수화하여 가장 많은 대상 및 이동과 높은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상이 버스이며, 120Km의 속도로 진입하는 경우, 제1 컨텐츠를 선택하고, 대상이 20~30대 여성이며, 서로 마주보고 걸어오는 경우, 제2 컨텐츠를 선택하고, 버스 5대가 진입하는 경우, 제3 컨텐츠를 선택하고, 7명의 여성과 2명의 남성이 걸어오는 경우, 제4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의 이동 정보 및 동작 정보를 사용에 의한 컨텐츠 선택시, 장소, 대상, 동작 마다 특징이 모두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관련성 계산과 컨텐츠 선택을 위한 학습 또는 AI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PC(CPC)가 데이터를 서버(300)로 전송하면 서버(300)에서 그것을 수신하여 학습 또는 AI 알고리즘을 구동하고, 결과를 제어 PC(CPC)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 PC(CPC)는 결과를 수신하여 컨텐츠를 선택 후 디스플레이(180)로 전송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서버(300)는 다른 제어 PC(CPC)가 전송한 데이터도 누적하여 통계화 후 해당지역 및 장소에 대한 빅데이터화 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물론 시스템에 따라 학습 또는 인공지능 알고리듬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이나 제어 PC(CPC)에서 운영할 수도 있다.
한편, 서버(300)는 제어 PC(CPC)가 전송한 데이터 및 컨텐츠 선택 결과, 통계자료 등을 모두 저장하고,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 필요시 전송할 수도 있다.
반대로, 제어 PC(CPC)에서 AI 알고리즘을 구동하고 그 결과를 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계산(S31) 결과로 적합도 점수가 나오면 대상의 종류와 관련이 있는 컨텐츠들을 필터링을 수행하여, 대상의 종류,이동,계산,필터링을 기초로 대상에게 적합한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S33).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적합도 점수가 큰 순서대로 재생할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에 맞는 컨텐츠 리스트 생성할 수 있다(S51).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재생 중인 컨텐츠 리스트를 공유할 수도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에 대한 컨텐츠 리스트 재생시간 계산할 수 있다(S52).
예를 들어, 관심 대상이 이동하는 경우, 이동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재생 리스트의 전체 재생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기 연산된 time to arrival에 따라, 주어진 시간 동안 컨텐츠 N개를 재생할 수 없는 경우, N-1개의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N개의 컨텐츠 재생 속도를 가변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선택된 컨넨츠를 메모리(140)에서 이미지 처리부(16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S61),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2)
이미지 처리부(160)는 디코더, 스케일러, 인코더, FRC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부(160)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도록 재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이미지 처리부(160)가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명령을 생성하고, 이미지 처리부(160)는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여 디스플레이(18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대상의 동작이 특정 동작인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의 동작에 맞는 업데이트 된 컨텐츠 재생 리스트를 재생하거나, 변경된 재생 명령을 생성하여, 해당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의 반복재생, 연속재생, 느린재생, 고속재생, 정지, 또는 후속재생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광고의 효과가 발생한 부분이므로 대상, 컨텐츠, 대상의 동작 등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140) 등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의 컨텐츠 재생 리스트가 업데이트 된 경우, 메모리(140)에서 이미지 처리부(160)로 컨텐츠가 전송되며, 디스플레이(180)에서 표시되도록 재생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의 동작이 일반 동작일 경우, 원래 재생리스트와 재생 명령으로 재생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대상 감지 영역(ZN1)을 벗어나거나, 재생 리스트의 컨텐츠를 모두 재생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S63), 해당하는 경우, 컨텐츠 리스트 및 관련정보를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4).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에 대한 컨텐츠 재생 종료할 수 있다(S65).
도 21은 제21 단계(S21)에서 대상의 이동이 비상 상황인 경우 등에 수행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제21 단계(S21)에서의 대상의 이동 인식시, 디폴트 상황인지, 비상 상황인지 일반 상황인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상 상황인 경우(S71a),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센싱부(195) 또는 외부 통신기기로부터 비상 정보를 수신하고,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비상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2).
예를 들어, 비상 상황은, 119, 경찰차 등 비상 자동차 출동하는 경우, 교통사고 상황, 지진, 화재 등 재난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폴트 상황인 경우(S71b),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디폴트 재생 명령 수신하고, 다음 대상을 위한 컨텐츠를 재생하기 전까지 디폴트 상황에 대응하는 디폴트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3).
여기서 디폴트 컨텐츠는, 광고주가 선택한 컨텐츠, 또는 주어진 기간(일/주/월) 동안 가장 적합도가 높은 컨텐츠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일반 상황인 경우(S71c),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일반 또는 다음 컨텐츠 재생 리스트 선택할 수 있다(S31).
도 22는 대상이 없는 경우에 수행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 감지 영역(ZN1) 내에 대상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하는 경우, 소정 시간 경과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9).
즉,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소정 시간 동안 대상 감지 영역(ZN1) 내에 대상이 존재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정 시간 동안 대상 감지 영역(ZN1) 내에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기 설정된 기본 컨텐츠 정보 확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74b).
이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기본 컨텐츠가 있는 경우(S74c), 해당의 기본 컨텐츠를 선택하고(S74d), 기본 컨텐츠가 없는 경우, 기타 컨텐츠, 특히 적합도가 가장 높은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S74e).
도 23은 대기 모드 설명을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기 모드 진입시,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S231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소정의 시간 동안 대상, 또는 대상의 동작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영상의 밝기를 낮출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영상의 밝기 등을 낮춘 후,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S2315), 사용자 설정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320).
그리고, 사용자 설정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컨텐츠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S2325). 예를 들어, 사용자 설정에 따라, 특정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설정이 없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스크린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S2330).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스크린의 밝기 제어 이전에, 재생빈도 최상위 컨텐츠 재생하거나, 지정된 로고 이미지 재생하거나, 지정된 문구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스크린(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패널)의 밝기를 낮출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스크린 제어 이후,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S2335), 스크린이 오프(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340).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스크린 오프 이후,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S2345), 스탠 바이 모드가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2350).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각 구성 유닛이, 스탠 바이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특히, 센싱부(195)와 제어부(170)(SoC)의 인터럽트 수신부만 제외하고 모든 유닛이 스탠바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다시 대상 또는 대상의 동작 신호가 감지되면, 영상의 밝기를 정상으로 복원하거나, 스크린의 밝기를 정상으로 복원하거나, 특정 컨텐츠가 아닌 대상에 대한 컨텐츠를 재생하거나, 스크린이 온(o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가 센싱부(195) 내의 센서로부터 대상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Wake-up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tand By Mode로 있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모든 블럭에 wake-up 신호를 인가하고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스탠바이 모드에서 센서 신호가 감지되면 LAN으로 Wake-up 신호를 전송하여 제어 PC(CPC)가 부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에 대해 센싱된 신호에 기초하여, 대상의 컨텐츠 시청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가 재생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광고에 대한 컨텐츠 시청 정보 또는 컨텐츠 정보를, 입력 장치(185) 또는 모바일 장치(600)로, 광고 효과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이 광고에 집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우수한 광고 효과가 있는 컨텐츠 정보를, 컨텐츠를 입력 장치(185) 또는 모바일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대상이 광고에 집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광고 효과가 낮은 컨텐츠 정보를, 입력 장치(185) 또는 모바일 장치(6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 및 상황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40)는, 대상에 대한 정보, 컨텐츠 재생 리스트, 상황정보 등을 메모리(140) 등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140)는, 데이터를 테이블화 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날짜 별로 저장할 수도 있고, 대상 별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메모리(140)는, 재생 중인 컨텐츠와 관련 있는 동작이 있는 경우(S34), 광고의 효과가 발생한 부분이므로 대상, 컨텐츠, 대상의 동작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표시가 가능한 입력 장치(185)로 간단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 내의 제어부(170)는, 일/주/월 별로 주요 대상과 재생한 컨텐츠 정보를 입력 장치(185)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입력 장치(185)는, 시스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서버(300) 또는 이동 단말기(600)는, 통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 또는 제어 PC의 메모리(140)에 저장된 정보는, 서서버(300) 또는 이동 단말기(600)로 전송될 수 있다.
서버(300) 또는 이동 단말기(600)는, 서버(300)에서 대상과 컨텐츠에 대한 통계적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 또는 이동 단말기(600)는, 광고 효과가 있는 컨텐츠, 광고 효과가 없는 컨텐츠, 광고 수정이 필요한 컨텐츠, 광고 방법 변경이 필요한 컨텐츠, 광고가 필요한 내용 추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서버(300)는 이동 단말기(6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재생 정보 또는 통게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600)는, 수신되는 재생 정보 또는 통게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재생할 컨텐츠를 이동 단말기(600)에서 서버(300)로 전송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이용자의 계정에 따라 컨텐츠가 서버(300)에 저장되며, 서버(3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가 전송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모리(140)에 수신된 컨텐츠가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IPA)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메모리(140), 서버(300), 제어 PC(CPC) 등에 저장되는 컨텐츠의 데이터 필드는, 제어부(170) 등에서의 컨텐츠를 선택하고 재생하가 위한 계산을 용이하게 수행하도록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컨텐츠의 데이터 필드는, 입력금지 필드(B), 고객에게 안 보이는 히든 필드(H)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DB용 컨텐츠의 데이터 필드는, 다음의 각 항목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컨텐츠 DB용 컨텐츠의 데이터 필드는, 제목, 대상, 목적, 가중치, 재생 가능한 시간 정보, 재생 가능한 지역 정보, 재생 추천(Priority) 지역 정보, 재생횟수(B), 적합도(B), 특정동작(B)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리 DB용 컨텐츠의 데이터 필드는, 다음의 각 항목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즉, 관리 DB용 컨텐츠의 데이터 필드는, 상호(H), 장소(H), 인식대상(H), 컨텐츠리스트(H), 재생컨텐츠(H), 동작(H), 목적달성/효과(H), 의사결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2)

  1. 옥외에 고정형으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에 있어서,
    외부 대상을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센싱부에서 감지된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대상 인식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컨텐츠의 출력을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상기 대상 인식 영역 보다 더 먼 대상 감지 영역 이내에, 상기 외부 대상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외부 대상에 출력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외부 대상에서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신호와 상기 반사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대상의 거리, 속도, 및 크기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거리, 속도, 및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대상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대상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출력되는 컨텐츠를 가변하거나,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표시 크기, 표시 휘도, 표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양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대상의 접근 속도 또는 접근 거리에 따라, 출력되는 컨텐츠를 가변하거나, 출력되는 컨텐츠의 재생 시간, 표시 크기, 표시 휘도, 표시 위치 또는 컨텐츠의 양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외부 대상이, 상기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1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외부 대상이, 상기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2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복수의 외부 대상이, 상기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3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대상이,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외부 대상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센싱부에서 출력되는 출력 신호에,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가 부가되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외부 대상이, 상기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제1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외부 대상이, 제1 기간 동안 소정 횟수 이상, 상기 대상 인식 영역 이내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제1 컨텐츠와 다른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외부 대상의 접근 속도 또는 상기 외부 대상의 종류에 따라, 상기 대상 인식 영역이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대상은, 차량 또는 보행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레이더 또는 라이더;
    카메라; 및
    조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조도에 따라, 표시되는 상기 컨텐츠의 휘도가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12. 디스플레이; 및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29461A 2018-03-13 2018-03-13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108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461A KR20190108226A (ko) 2018-03-13 2018-03-13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461A KR20190108226A (ko) 2018-03-13 2018-03-13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113A Division KR102180258B1 (ko) 2018-10-18 2018-10-18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226A true KR20190108226A (ko) 2019-09-24

Family

ID=68068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461A KR20190108226A (ko) 2018-03-13 2018-03-13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08226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963B1 (ko) * 2021-01-19 2021-09-28 주식회사 지엘미디어 배전함 광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10123991A (ko) * 2020-04-05 2021-10-14 주식회사 스마트플랫 교내용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WO2022149676A1 (ko) * 2021-01-07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4057265A1 (de) * 2021-03-11 2022-09-14 LightnTec GmbH Leuchtanordnung sowie betriebsverfahren und herstellverfahren hierfür
KR102499789B1 (ko) * 2022-09-28 2023-02-14 오디하이텍(주)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28109B1 (ko) * 2022-11-02 2023-05-02 한대성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WO2023177156A1 (ko) * 2022-03-14 2023-09-21 오디하이텍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3991A (ko) * 2020-04-05 2021-10-14 주식회사 스마트플랫 교내용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WO2022149676A1 (ko) * 2021-01-07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05963B1 (ko) * 2021-01-19 2021-09-28 주식회사 지엘미디어 배전함 광고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EP4057265A1 (de) * 2021-03-11 2022-09-14 LightnTec GmbH Leuchtanordnung sowie betriebsverfahren und herstellverfahren hierfür
WO2023177156A1 (ko) * 2022-03-14 2023-09-21 오디하이텍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99789B1 (ko) * 2022-09-28 2023-02-14 오디하이텍(주) 터치스크린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528109B1 (ko) * 2022-11-02 2023-05-02 한대성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디지털 컨텐츠 출력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108226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665155B1 (en) Autonomous vehicle interaction system
EP12506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dvertisement and information displays on vehicles based on an e-commerce site
KR101741001B1 (ko) 스마트 윈도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및 그의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
US958196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nd using simulated 3D images
KR101559313B1 (ko) 디지털 사이니지를 이용한 맞춤형 광고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1212893B1 (ko) 광고 시스템 및 광고 디스플레이 방법
US20020111146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signs
US20040036622A1 (en) Apparatuse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signs
US20120089462A1 (en) Traffic light electronic display interface system and method
US20060089870A1 (en) Intelligent and time varying out of home information or advertising system
TW201702956A (zh) 智慧型告示牌
US20040193313A1 (en) Kiosk system
KR101896236B1 (ko) 디지털 사이니지 기반 무선통신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80258B1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JP2009109887A (ja) 合成プログラム、記録媒体及び合成装置
CN110827724A (zh) 一种智能标识牌系统
KR20200122040A (ko) 스마트폰과 디지털 사이니지를 연동한 지능형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9919A (ko) 스마트 광고 시스템
KR102124705B1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20190108227A (ko)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22189378A (ja) 表示制御装置、速度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59318B1 (ko) 공공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안내 디스플레이장치
WO2019078867A1 (en) CONTENT ARRANGEMENTS ON MIRROR DISPLAY DEVICES
CN115943409A (zh) 利用车辆外部显示器的基于数字智能化信息共享的广告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