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439B1 -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 Google Patents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439B1
KR102146439B1 KR1020190000209A KR20190000209A KR102146439B1 KR 102146439 B1 KR102146439 B1 KR 102146439B1 KR 1020190000209 A KR1020190000209 A KR 1020190000209A KR 20190000209 A KR20190000209 A KR 20190000209A KR 102146439 B1 KR102146439 B1 KR 10214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 handle
trim
rib
door trim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477A (ko
Inventor
이선구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0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4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34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at the handle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는, 풀핸들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 안쪽에서 풀핸들이 결합된 제1 트림부재; 및 제1 트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개구부 안쪽에서 풀핸들에 결합된 제2 트림부재를 포함하고, 제2 트림부재에는, 개구부 안쪽에서 풀핸들에 접촉하는 터치리브가 형성되고, 풀핸들에는, 상부돌출부와 하부돌출부가 형성되어 터치리브의 상하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림부재와 풀핸들이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DOOR TRIM ASSEMBLY WITH STRUCTURAL CONSTRAINTS FOR PULL HANDLE}
본 발명은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패널을 감싸 실내 장식뿐 아니라 차음, 흡읍, 충돌시 승객 보호를 하도록 이루어지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어 트림(door trim)은 도어 패널을 감싸는 부재(部材)를 이른다. 패널 전체를 감싸는 풀 트림과 패널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하프 트림이 있다. 구조에 따라는 도어 패널에 트림을 붙이기만 한 넓적한 도어 트림과 암 레스트 등을 일체로 성형한 성형(成形) 도어 트림으로 나누어진다. 도어 트림은 실내 장식뿐 아니라 차음(遮音), 흡읍(吸音), 충돌시 승객 보호 등의 기능을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안신안공보 제430487호는 차량용 풀 핸들을 개시한다. 등록실안신안공보 제430487호는, 센터트림의 하단에서 인너패널 근방까지 수직 하방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된 수직연장부와, 수직연장부의 끝에서 실내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도어의 로어트림 근방까지 연장 형성된 바닥평면부와, 양단은 수직연장부에 덧대여져 결합되고 양단을 연결하는 중간부위는 실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타원형의 원호모양으로 굴곡 형성되는 한편 상단은 암레스트와 덧대여져 결합되고 하단은 바닥평면부의 끝단에 끼워져 결합되는 전면패널과, 바닥평면부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재를 매개로 인너패널과 결합되는 바닥돌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실안신안공보 제430487호는, 형상 및 깊이에 대한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음으로 인해 종류의 다변화를 이룩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전체적인 내구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사용자의 그립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품질에 대한 만족감 및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등록실안신안공보 제430487호는, 암레스트 전면부에 고정부재가 나사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차량 내부의 미관을 해치는 단점이 있었다. 차량 인터리어 부품의 볼트체결은 미관이나 작업성 측면은 물론 사고시 피해최소화를 위해서도 지양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 도어 트림을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종래 도어 트림의 풀핸들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A-A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센터트림(2)과 로워트림(3)은 보스(2B)의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풀핸들(4)은 센터트림(2)의 개구부에 안착된 후, 그 하단부와 로워트림(3)의 하단부가 볼트체결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워트림(3)과 풀핸들(4)의 조립위치를 정확하게 하면서 풀핸들(4)의 지지구조를 견고하게 하기 위해, 로워트림(3)에는 원형삽입부(3B)가 형성되고, 풀핸들(4)에는 원형리브(4B1)가 형성된다. 원형리브(4B1)에는 십자리브(4B2)에 의해 지지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풀핸들(4)을 센터트림(2)의 개구부에 삽입하고, 원형리브(4B1)를 원형삽입부(3B)에 삽입시킨 후, 풀핸들(4)과 로워트림(3)의 볼트체결부를 일치시키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리브(4B2)와 원형삽입부(3B)는 서로 밀착되어 접촉면을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 도어 트림(1)은, 십자리브(4B2)와 원형삽입부(3B)의 접촉면이 작아서 차량의 진동에너지나 충격력 등 외력이 십자리브(4B2)와 원형삽입부(3B)의 접촉면에 집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도어 트림(1)은, 원형삽입부(3B)가 원형리브(4B1)를 세로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안신안공보 제430487호 (등록일: 2006.11.01)
본 발명의 목적은, 트림부재와 풀핸들이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풀핸들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안쪽에서 풀핸들이 결합된 제1 트림부재; 및 상기 제1 트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 안쪽에서 상기 풀핸들에 결합된 제2 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림부재에는, 상기 개구부 안쪽에서 상기 풀핸들에 접촉하는 터치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풀핸들에는, 상부돌출부와 하부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치리브의 상하유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터치리브는, 상기 상부돌출부의 밑면이 접촉되는 상부리브; 상기 하부돌출부의 상면이 접촉되는 하부리브; 및 상기 상부리브 및 상기 하부리브를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 트림부재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돌출부는 위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 트림부재 쪽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풀핸드와 상기 제2 트림부재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풀핸드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에는 당김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트림부재에 걸리는 헤드; 상기 헤드와 함께 정방향 회전하여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 상기 결합몸체를 당겨 풀림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몸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암나사부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헤드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몸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몸체; 및 상기 바디와 상기 이동몸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몸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복력 형성방향이 역전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이동몸체가 통과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풀핸들에 상부돌출부와 하부돌출부가 형성되어 터치리브의 상하유동을 차단함으로써, 트림부재와 풀핸들이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부분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횡단면도.
도 3은 도 1의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제2 트림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결합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종래 도어 트림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도 8은 도 7은 A-A 단면도.
도 9는 도 8의 B-B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는, 트림부재와 풀핸들이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제2 트림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의 결합부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10)는, 도어 패널을 감싸 실내 장식뿐 아니라 차음, 흡읍, 충돌시 승객 보호를 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트림부재(100), 제2 트림부재(200) 및 풀핸들(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두께방향(D1)', '높이방향(D2)', '길이방향(D3)'이란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두께방향(D1)은 차량 도어(door)의 두께방향(D1)을 의미한다. 높이방향(D2)은 도어의 세로방향을 의미하고, 길이방향(D3)은 도어의 가로방향을 의미한다.
도어 트림(door trim)은 도어 패널을 감싸는 부재를 가리킨다. 도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도어 트림은 센터트림, 로워트림, 풀핸들(300) 등 복수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제1 트림부재(100)는 센터트림을 의미하고, 제2 트림부재(200)는 로워트림 또는 스피커 그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림부재(100)에는 풀핸들(300)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개구부(101)가 형성된다. 제1 트림부재(100)는 개구부(101) 안쪽에서 풀핸들(300)과 결합된다. '개구부(101) 안쪽'의 의미는 도어트림 조립체(10)와 도어패널(미도시) 사이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K는 제1 트림부재(100)와 풀핸들(300)을 결합하기 위한 브래킷(K)을 의미한다. 브래킷(K)은 복수의 볼트(B)에 의해 제1 트림부재(100) 및 풀핸들(300)과 각각 결합력을 형성한다.
제2 트림부재(200)는 제1 트림부재(100)의 하부에 결합된다. 제1 트림부재(100)와 제2 트림부재(200)는 보스(110)의 열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1 트림부재(100)에는 보스(110)가 구비되고, 제2 트림부재(200)에는 보스(11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보스(110)는 홀을 통과한 상태에서 열융착지그(미도시)에 의해 용해된다. 제1 트림부재(100)와 제2 트림부재(200)는 열융착된 보스에 의해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트림부재(200)는 개구부(101) 안쪽에서 결합부재(400)에 의해 풀핸들(30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일반적인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풀핸들(300)의 하단부에는 암나사부(330)가 형성되고, 제2 트림부재(200)의 하단부에는 관통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400)는 헤드(410)가 제2 트림부재(200)에 걸린 상태에서 관통홀(201)을 통해 암나사부(330)에 나사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트림부재(200)에는 개구부(101) 안쪽에서 풀핸들(300)에 접촉하는 터치리브(210)가 형성된다. 터치리브(210)는 상부리브(211), 하부리브(212) 및 보강리브(2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리브(211)와 하부리브(212)는 길이방향(D3)으로 긴 평판형태를 형성한다. 상부리브(211)와 하부리브(212)는 높이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된다.
보강리브(213)는 상부리브(211)와 하부리브(212)를 연결하여 상부리브(211)와 하부리브(212)의 강성을 강화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리브(211), 하부리브(212) 및 보강리브(213)의 끝단면은 풀핸드와 길이방향(D3) 및 높이방향(D2)으로 긴 접촉면을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풀핸들(300)에는 상부돌출부(310)와 하부돌출부(320)가 형성된다. 상부돌출부(310)의 밑면은 상부리브(211)의 상면과 접촉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돌출부(320)의 상면은 하부리브(212)의 밑면과 접촉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부돌출부(310)와 하부돌출부(320)는 터치리브(210)의 상하유동을 차단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종래 도어 트림을 도시하고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풀핸들(4)을 센터트림(2)의 개구부에 삽입하고, 원형리브(4B1)를 원형삽입부(3B)에 삽입시킨 후, 풀핸들(4)과 로워트림(3)의 볼트체결부를 일치시키게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리브(4B2)와 원형삽입부(3B)는 서로 밀착되어 접촉면을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 도어 트림(1)은, 십자리브(4B2)와 원형삽입부(3B)의 접촉면이 작아서 차량의 진동에너지나 충격력 등 외력이 십자리브(4B2)와 원형삽입부(3B)의 접촉면에 집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도어 트림(1)은, 원형삽입부(3B)가 원형리브(4B1)를 세로방향으로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10)는, 상부리브(211), 하부리브(212) 및 보강리브(213)의 끝단면이 풀핸드의 면과 길이방향(D3) 및 높이방향(D2)으로 긴 접촉면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두께방향(D1)의 유동을 구속하는 한편, 상부돌출부(310)의 밑면은 상부리브(211)의 상면과 접촉면을 형성하고, 하부돌출부(320)의 상면은 하부리브(212)의 밑면과 접촉면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높이방향(D2) 유동경계를 형성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에너지가 지속적으로 인가되더라도 서로에 대한 구속구조를 두께방향(D1) 및 높이방향(D2)으로 견고히 유지함에 따라,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돌출부(310)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제2 트림부재(200) 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형성하고, 하부돌출부(320)는 위쪽으로 갈수록 제2 트림부재(200) 쪽으로 돌출된 형태를 형성한다. 즉, 상부돌출부(310)는 위쪽에 제2 트림부재(200)의 면과 연속된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부돌출부(320)는 아래쪽에 제2 트림부재(200)의 면과 연속된 경사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풀핸들(300)을 제1 트림부재(100)의 개구부(101)에 삽입하고 나서, 풀핸들(300)을 위아래로 이동시키면, 터치리브(210)의 끝단면이 연속된 경사면을 미끄러져 상부돌출부(310)와 하부돌출부(320) 사이에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부(330)에는 당김부재(500)가 장착될 수도 있다. 결합부재(400)는 헤드(410) 및 결합몸체(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헤드(410)는 제2 트림부재(200)에 걸리는 구성으로서, 공지된 볼트의 헤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결합몸체(420)는 암나사부(330)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헤드(410)와 일체로 이루어져 헤드(410)와 함께 회전한다. 결합몸체(420)는 헤드(410)의 정방향 회전시 암나사부(330)에 나사결합된다. 결합몸체(420)는 헤드(410)의 역방향 회전시 암나사부(330)에서 풀린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몸체(420)에는 나사홈(421)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부재(500)는 암나사부(330)에 나사결합된 결합몸체(420)를 당기는 구성으로서, 바디(510), 이동몸체(520) 및 탄성부재(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510)는 이동몸체(520) 및 탄성부재(53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암나사부(330)에 장착된다. 바디(510)는 암나사부(330)에 나사결합되거나 용접결합될 수 있다. 바디(510)는 튜브 형태를 형성한다. 바디(510)에는 이동부(521)가 통과하는 가이드홀(511)이 형성된다. 이동부(521)는 가이드홀(511)의 내면에 의해 지지되어 흔들림이 차단된다.
이동몸체(520)는 헤드(410)의 정방향 회전시 나사홈(421)에 나사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이동부(521) 및 나사부(5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부(521)는 가이드홀(511)을 통과하는 부분으로, 긴 바(bar) 형태로 형성된다. 나사부(522)는 나사홈(421)에 나사결합되는 부분으로, 이동부(521)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나사부(522)는 이동부(521)의 단부 외면에 나사산을 가공하여 형성할 수 잇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30)는 바디(510)와 이동몸체(52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 이루어진다. 탄성부재(530)의 양단부는 바디(510)의 서로 반대쪽 내면에 각각 삽입되고, 탄성부재(530)의 중간부는 이동몸체(520)에 (삽입)결합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동몸체(520)에는 홀이 형성되고 탄성부재(530)는 홀에 삽입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30)는 결합부재(400)를 향해 볼록하게 휨 변형된 상태에서 그 양단부가 각각 바디(510)의 서로 반대쪽 내면에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몸체(420)는 헤드(410)의 정방향 회전시 암나사부(330)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이동부(521)는 탄성부재(530)에 의해 회전이 차단되므로, 나사부(522)는 나사홈(421)에 나사결합된다.
암나사부(330)의 리드는 나사홈(421)의 리드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410)의 정방향 회전시 이동몸체(520)는 나사홈(421)에 나사결합되면서 결합몸체(420)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탄성부재(530)의 중간부는 이동몸체(520)에 (삽입)결합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530)는 이동몸체(520)의 이동에 의해 탄성 변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530)의 중간부가 양단부 사이를 통과하면, 탄성부재(530)는 결합부재(400)와 반대쪽을 향해 볼록하게 휨 변형된다. 따라서, 탄성부재(530)는 그 중간부가 양단부 사이를 지나면서 탄성 회복력 형성방향이 역전된다.
당김부재(500)는, 결합부재(400)의 나사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암나사부(330)에 나사결합된 결합몸체(420)를 (풀리는 방향과 반대로) 당기는 탄성 회복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결합부재(400)의 풀림현상이 견고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풀핸들에 상부돌출부와 하부돌출부가 형성되어 터치리브의 상하유동을 차단함으로써, 트림부재와 풀핸들이 견고한 지지구조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도어트림 조립체
100 : 제1 트림부재 400 : 결합부재
101 : 개구부 410 : 헤드
110 : 보스 420 : 결합몸체
K : 브래킷 421 : 나사홈
200 : 제2 트림부재 500 : 당김부재
210 : 터치리브 510 : 바디
211 : 상부리브 511 : 가이드홀
212 : 하부리브 520 : 이동몸체
213 : 보강리브 521 : 이동부
201 : 관통홀 522 : 나사부
300 : 풀핸들 530 : 탄성부재
310 : 상부돌출부 D1 : 두께방향
320 : 하부돌출부 D2 : 높이방향
330 : 암나사부 D3 : 길이방향
1 : 종래 도어 트림
2 : 센터트림 4 : 풀핸들
2B : 보스 4B1 : 원형리브
3 : 로워트림 4B2 : 십자리브
3B : 원형삽입부

Claims (6)

  1. 풀핸들의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 안쪽에서 풀핸들이 결합된 제1 트림부재; 및
    상기 제1 트림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 안쪽에서 상기 풀핸들에 결합된 제2 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림부재에는, 상기 개구부 안쪽에서 상기 풀핸들에 접촉하는 터치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풀핸들에는, 상부돌출부와 하부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치리브의 상하유동을 차단하되,
    상기 터치리브는,
    상기 상부돌출부의 밑면이 접촉되는 상부리브;
    상기 하부돌출부의 상면이 접촉되는 하부리브; 및
    상기 상부리브 및 상기 하부리브를 연결하는 보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부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 트림부재 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하부돌출부는 위쪽으로 갈수록 상기 제2 트림부재 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핸들와 상기 제2 트림부재는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풀핸들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에는 당김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트림부재에 걸리는 헤드;
    상기 헤드와 함께 정방향 회전하여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된 상기 결합몸체를 당겨 풀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당김부재는,
    상기 암나사부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헤드의 정방향 회전시 상기 나사홈에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결합몸체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몸체; 및
    상기 바디와 상기 이동몸체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이동몸체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복력 형성방향이 역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리프 스프링(leaf spring)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디에는, 상기 이동몸체가 통과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KR1020190000209A 2019-01-02 2019-01-02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KR10214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09A KR102146439B1 (ko) 2019-01-02 2019-01-02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09A KR102146439B1 (ko) 2019-01-02 2019-01-02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252A Division KR102161642B1 (ko) 2020-08-12 2020-08-12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477A KR20200084477A (ko) 2020-07-13
KR102146439B1 true KR102146439B1 (ko) 2020-08-21

Family

ID=7157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209A KR102146439B1 (ko) 2019-01-02 2019-01-02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4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487Y1 (ko) 2006-08-14 2006-11-1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풀 핸들
KR100870826B1 (ko) * 2007-09-19 2008-11-27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풀 핸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2130B2 (ja) * 1995-10-20 1999-11-08 河西工業株式会社 ドアトリム用プルハンドルの取付構造
KR100430487B1 (ko) 2002-04-22 2004-05-10 경기산업(주) 낚시용 자동 챔질기
KR20110102527A (ko) * 2010-03-11 2011-09-19 한일이화주식회사 도어 트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487Y1 (ko) 2006-08-14 2006-11-1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풀 핸들
KR100870826B1 (ko) * 2007-09-19 2008-11-27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풀 핸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477A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086B1 (ko) 아우터 어퍼센터필러 레인포스와 시트벨트 브래킷의 결합구조
JP4405327B2 (ja) フロントフェンダ構造
KR101199061B1 (ko) 도어트림용 핸들
JP2009196429A (ja) 側部車体構造
JP4455152B2 (ja) 上部車体構造
JP5639936B2 (ja) 車体側部構造
JP5483069B2 (ja) ハンドル一体型グリップの取付構造
JP4857671B2 (ja) 車両のフード構造
WO2010026729A1 (ja) アンダートレイ
KR102146439B1 (ko)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KR102161642B1 (ko) 풀핸들 구속구조 강화형 도어트림 조립체
US8919859B2 (en) Vehicle door
JP5811825B2 (ja) 樹脂ルーフ取付構造
JP2006069430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JP4847983B2 (ja) 車体前部構造
JP6432733B2 (ja) 車両用リヤゲート
JP6137038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5922064B2 (ja) 車両のフェンダーパネル支持構造
JP2015160583A (ja) 車両ドア
JP2015160582A (ja) 車両ドア
KR102474389B1 (ko) 자전거 프레임의 드롭아웃 장착 구조
JP5229097B2 (ja) 車両用ドア構造
JP4145881B2 (ja) スライドドア付き車両の後部ボディ構造
CN105966463A (zh) 车身前部结构
JP4500605B2 (ja) 背もたれ付き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