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603B1 - 오토 본딩머신 - Google Patents

오토 본딩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603B1
KR102145603B1 KR1020170175229A KR20170175229A KR102145603B1 KR 102145603 B1 KR102145603 B1 KR 102145603B1 KR 1020170175229 A KR1020170175229 A KR 1020170175229A KR 20170175229 A KR20170175229 A KR 20170175229A KR 102145603 B1 KR102145603 B1 KR 102145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rotary
bonding
bas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3958A (ko
Inventor
갈승영
원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노
갈승영
원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노, 갈승영, 원준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노
Priority to KR1020170175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60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9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into and out of processing chamber
    • H01L21/67742Mechanical parts of transf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토 본딩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메인 프레임(20);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되며 본딩 대상물에 본딩액을 분사하는 시린지 니들(95)을 구비한 본딩 유닛; 상기 본딩 유닛의 상기 시린지 니들(95) 위치에 상기 본딩 대상물을 이동시켜서 본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 조절유닛; 상기 본딩 대상물을 촬영하는 비젼 카메라(130) 유닛; 상기 비젼 카메라(130) 유닛에 의해 촬영된 본딩 대상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모니터(1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토 본딩머신{Automatic bonding machine}
본 발명은 오토 본딩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딩 대상물의 본딩 작업시에 카메라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하고 우수한 본딩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오토 본딩머신에 관한 것이다.
본딩 머신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및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제품 제조시 유리기판과 드라이브 IC 또는 드라이브 IC와 인쇄회로기판(PCB)을 접착시키는데 사용된다. 즉, 본딩 머신에 장착된 열압착기의 열과 압력을 드라이브 IC 또는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함으로써 유리기판과 드라이브IC 또는 드라이브 IC와 PCB를 접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OLB 공정을 설명하자면, 먼저 유리기판(10) 위에 도전볼(21)이 산포된 접착성수지(22)로 이루어진 이방성 도전필름(20)을 탑재한다. 계속해서, 열압착기(40)를 사용하여 테프론 시트나 완충 시트(50)를 거쳐 이방성 도전필름(20) 위로 드라이브 IC(30)를 간접적으로 열압착함으로써 유리기판(10)과 드라이브 IC(30)를 접착하게 된다.
한편, 다이 본딩 머신은 반도체 제품 조립장치의 전 공정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리드프레임의 패드상에 웨이퍼로 부터 취출된 칩을 취출하여 부착하여 후 공정인 와이어 본더로 넘겨주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이 본딩 머신은 대량의 칩을 가지는 웨이퍼를 공급받아서 X,Y축으로 가변하는 웨이퍼스테이지에 의하여 취출할 칩의 위치를 결정되고, 취출될 위치의 칩은 헤더상에 역시 X,Y축으로 이동하는 픽업툴이 픽업하여 웨이퍼스테이지의 전방에 구비되는 프레임유니트상에 한 피치씩 이동하는 리드프레임의 패드상에 본딩하게 되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0-0045242호(2000.07.15 공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24090호(2003.08.09 등록)
본 발명은 본딩 대상물의 본딩 작업시에 본딩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거치함은 물론 카메라를 이용하여 본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하고 우수한 본딩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오토 본딩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며 본딩 대상물에 본딩액을 분사하는 시린지 니들을 구비한 본딩 유닛; 상기 본딩 유닛의 상기 시린지 니들 위치에 상기 본딩 대상물을 이동시켜서 본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 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본딩머신이 제공된다.
상기 본딩 대상물을 촬영하는 비젼 카메라 유닛; 상기 비젼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된 본딩 대상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터치 모니터;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딩 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장착된 로터리 서포터; 상기 시린지 니들이 구비되어 상기 로터리 서포터에 장착된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 조절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부의 상면에 구비된 X축 가이드 레일; 상기 X축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X축 로봇 베이스; 상기 X축 로봇 베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석션 플레이트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Y축 가이드 레일; 상기 X축 로봇 베이스와 상기 석션 플레이트를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이동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석션 플레이트에 얹혀진 본딩 대상물과 상기 시린지 니들의 배치 상태를 촬영하는 비젼 카메라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딩 유닛의 상기 시린지 니들의 위치를 조절하는 니들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오토 본딩머신은 본딩 대상물의 본딩 작업시에 본딩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거치함은 물론 카메라를 이용하여 본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하고 우수한 본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토 본딩머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좌측면도
도 4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1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확대된 정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각 조작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오퍼레이션 윈도우의 확대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승강 서포트 프레임과 로터리 서포터 및 시린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좌측면도
도 11은 도 9의 우측면도
도 12는 도 9의 우측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9의 배면도
도 14는 도 13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15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시린지와 로터리 서포터 부분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로터리 하우징을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5의 일측면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시린지의 부분 확대된 사시도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시린지의 구조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캠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된 사시도
도 21은 도 15에 도시된 캠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확대된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시린지의 확대된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시린지 니들이 장착된 시린지 브라켓의 확대된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터치 모니터의 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배면 사시도
도 26과 도 27은 본 발명의 비젼홀더와 이동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8과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석션 플레이트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0은 본 발명에서 센터링 지그의 눈금을 이용해서 시린지 니들의 높이와 좌우위치를 맞추는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오토 본딩머신은 기본적으로 메인 프레임(20)에 구비된 디스펜서 유닛과 본딩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오토 본딩머신은 시그널 램프, 비젼카메라 이동장치, 비젼카메라 출력 모니터, 비젼카메라 유닛, 메인컨트롤 터치스크린, 시린지(90) 지지대, 크리닝 지그, 트레이(6) 진공 흡입장치, 니들 크리닝 장치, 컨트롤 스위치 박스(12)를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20)과, 이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되며 본딩 대상물에 본딩액을 분사하는 시린지 니들(95)을 구비한 본딩 유닛과, 상기 본딩 유닛의 상기 시린지 니들(95) 위치에 상기 본딩 대상물을 이동시켜서 본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 조절유닛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딩 대상물을 촬영하는 비젼 카메라(130) 유닛과, 상기 비젼 카메라(130) 유닛에 의해 촬영된 본딩 대상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터치 모니터(110)을 포함한다.
상기 본딩 유닛은 로터리 서포터(60)와, 시린지 니들(95)이 구비되어 로터리 서포터(60)에 장착된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조절유닛은 메인 프레임(20)의 하부 프레임부(21)의 상면에 구비된 X축 가이드 레일(142)과, 상기 X축 가이드 레일(14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X축 로봇 베이스(143)와, 상기 X축 로봇 베이스(143)에 구비되며 석션 플레이트(14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Y축 가이드 레일(144)과, 상기 X축 로봇 베이스(143)와 석션 플레이트(140)를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이동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20)에 지지되어 석션 플레이트(140)에 얹혀진 본딩 대상물과 상기 시린지 니들(95)의 배치 상태를 촬영하는 비젼 카메라(130) 유닛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딩 유닛의 시린지 니들(95)의 위치를 조절하는 니들 조절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은 하부 프레임부(21)와 직립 프레임부(23) 및 상부 프레임부(25)를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부(21)는 사각 박스 형상이고, 직립 프레임부(23)는 직사각 박스 형상이다. 직립 프레임부(23)는 하부 프레임부(21)의 후방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상부 프레임부(25)는 사각 박스 형상으로서 직립 프레임부(23)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부 프레임부(25)는 하부 프레임부(21)와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부(21)의 상면과 직립 프레임부(23)의 전면 및 상부 프레임부(25)의 저면 사이에 공간부가 확보되어 있다.
상기 디스펜서 유닛은 메인 프레임(20)의 상부 프레임부(25)에 내장된 복수개의 디스펜서(31)로 구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31)는 메인 프레임(20)의 상부 프레임부(25)에 상하 좌우 위치에 각각 구비되어, 상부 프레임부(25)에 네 개의 디스펜서(31)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31)에는 레귤레이터(32), 프레셔부(33), 배큐엄 조절부(34), 에어 아웃풋(35), 파워 스위치(36), 숏스위치(37), 디스플레이 오퍼레이션 윈도우(38)가 구비된다.
상기 레귤레이터(32)는 공기압을 조절하는 부분이다. 레귤레이터(32)는 다이얼식 로터리(62) 레귤레이션 스위치로 구성되어, 레귤레이터(32)를 다이얼식으로 돌려서 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딩을 위한 본딩액의 디스펜스 공기압을 레귤레이터(32)에 의해 조절한다. 상기 프레셔부(33)는 샷압력을 나타내는 부분이다. 본딩액의 샷압력(분사압력)을 프레셔부(33)가 나타낸다. 상기 배큐엄 조절부(34)는 다이얼식으로 돌릴 수 있도록 다이얼식 로터리(62) 배큐엄 스위치로 구성된다. 배큐엄 조절부(34)를 다이얼식으로 돌려서 진공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아웃풋(35)은 에어가 나오는 부분이다. 본딩액 분사를 위한 에어가 나온다. 상기 파워 스위치(36)를 누르면 디스펜서(31)에 전원이 들어오고 파워 스위치(36)를 길게 누르면 디스펜서(31)의 전원이 꺼진다. 상기 샷스위치를 누르면 디스펜서(31)에서 디스펜스를 실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오퍼레이션 윈도우(38)에는 LCD 디스플레이부(38A), MODE(38B), SET(38C), 상향 버튼부(38D)와 하향 버튼부(38E)가 구비된다. 상기 LCD 디스플레이부(38A)의 Shot MODE(38B)에서 상부는 경과시간 하부는 셋팅 시간을 나타낸다. Function Select MODE(38B)에서는 상부는 셋팅항목 하부는 셋팅값을 나타낸다. 상기 MODE(38B)의 Shot MODE(38B)에서는 Auto에서 Steady로 이동하고 Function Select MODE(38B)에서는 셋팅 항목을 변경한다. Shot MODE(38B)에서 Function Select MODE(38B)로 변경할 때에는 버튼을 길게 누른다. 상기 SET(38C)은 셋팅할 숫자의 자리를 선택한다. 상향 버튼부(38D)와 하향 버튼부(38E)에 의해서는 채널들이나 셋타임을 올리거나 내리고, 셋팅 항목의 값을 올리거나 내린다.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서 4개의 디스펜서에 각 채널에 본드 토출시간 및 토출량을 터치스크린을 통해서 신호를 주면 PLC에서 각 개별로 제어할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에는 승강 서포트 프레임(40)과 승강 프레임(50)이 장착된다. 메인 프레임(20)의 직립 프레임부(23)에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이 세워진 상태로 장착된다.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은 상하로 세워진 직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성되고,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좌우 측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슬롯(42)이 구비된다.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은 메인 프레임(20)의 직립 프레임부(23) 전면에 장착된다. 상기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내부에는 볼스크류 스톱퍼(43)가 구비된다.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내부 상하 위치에 각각 상부 볼스크류 스톱퍼(43)와 하부 볼스크류 스톱퍼(43)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 볼스크류 스톱퍼(43)와 하부 볼스크류 스톱퍼(43)에는 스크류 샤프트(4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크류 샤프트(44)는 외주면에 나사 형태의 스크류부가 구비된 바아 형상으로서,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내부에 스크류 샤프트(44)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스크류 샤프트(44)는 스크류 모터(45)에 의해 회전한다. 스크류 모터(45)는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스크류 모터(45)의 모터축은 커플러와 같은 연결수단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44)에 연결된다. 스크류 모터(45)의 모터축이 연결수단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44)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모터(45)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 샤프트(44)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에는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이 구비된다.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은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에 구비된다.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이 각각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좌우 양쪽 측면에 하나씩 고정될 수 있다. 이때,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은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한쪽 측면에만 고정될 수도 있다. 이때,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에는 전후면으로 연통된 센싱홀(48H)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센싱홀(48H)이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다. 상기 승강 프레임(50)의 승강할 때에 메거진 버티칼 플레이트가 상기 센싱홀(48H)과 만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Z축 로봇 센서(52RS)가 감지함으로써 상기 승강 프레임(50)을 원하는 높이에 맞추어서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 프레임(50)은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승강 프레임(50)은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와 Z축 로봇 플레이트(53), 모터 베이스(54), Z축 로봇 플레이트 서포터(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내부에는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가 승강 가능하게 내장된다. 상기 상부 볼스크류 스톱퍼(43)와 하부 볼스크류 스톱퍼(43)는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배면판에 고정되고,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는 상부 볼스크류 스톱퍼(43)와 하부 볼스크류 스톱퍼(43)의 앞쪽에서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상하 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어,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의 좌우 양쪽 측면부가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좌우 양쪽 측면에 형성된 슬롯(42)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내부에서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의 후면에는 볼너트(56)가 구비된다. 볼너트(56)는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에 내장된 스크류 샤프트(44)에 결합된다. 스크류 샤프트(44)가 스크류 모터(45)의 모터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볼너트(56)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므로, 상기 볼너트(56)이 결합된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도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 프레임(50)에는 Z축 로봇 센서(52RS)가 구비된다. 승강 프레임(50)의 좌우 양쪽 측면에 인접한 후면에 각각 하나씩 Z축 로봇 센서(52RS)가 구비된다. 상기 Z축 로봇 센서(52RS)는 승강 프레임(50)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Z축 로봇 센서(52RS)는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에 구비된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상기 승강 서프트 프레임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승강 프레임(50)에는 Z축 로봇 센서(52RS)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프레임(50)에 승강할 때에 Z축 로봇 센서(52RS)가 같이 승강하고, 상기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의 각각의 센싱홀(48H)에 Z축 로봇 센서(52RS)가 배치됨으로써 상기 승강 프레임(50)의 상하 위치를 센싱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프레임(50)의 상하 위치를 센싱함으로써 승강 프레임(50)과 이에 장착된 본딩 유닛과 시린지 브라켓(80)과 시린지(90)의 상하 높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Z축 로봇 플레이트(53)는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에 연결되어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전면 앞쪽에 배치된다.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에서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좌우 측면에서 돌출되어 나온 좌우 측면 돌출부의 전면에 Z축 로봇 플레이트(53)의 후면이 고정되어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전면 앞쪽에 Z축 로봇 플레이트(53)가 배치된다. 상기 Z축 로봇 플레이트(53)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플레이트홀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 베이스(54)는 Z축 로봇 플레이트(53)에 고정된다. 모터 베이스(54)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모터 베이스(54)의 후단부가 Z축 로봇 플레이트(53)의 전면에 고정되어 모터 베이스(54)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모터 베이스(54)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베이스홀이 구비된다. 베이스홀은 Z축 로봇 플레이트(53)의 플레이트홀과 연통된다.
상기 Z축 로봇 플레이트 서포터(55)는 Z축 로봇 플레이트(53)와 모터 베이스(54)에 연결된다. Z축 로봇 플레이트 서포터(55)는 옆에서 볼 때에 삼각형 틀 형상으로 구성되며, Z축 로봇 플레이트 서포터(55)의 후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Z축 로봇 플레이트(53)의 전면과 모터 베이스(54)의 상면에 연결된다. 한 쌍의 Z축 로봇 플레이트 서포터(55)가 좌우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모터 베이스(54)에는 연결 바디(50CB)를 매개로 로터리 서포터(60)가 연결된다. 연결 바디(50CB)는 블록 형상으로서, 연결 바디(50CB)에는 상하로 연통된 연결 바디홀이 구비된다. 연결 바디홀은 모터 베이스(54)의 베이스홀과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 서포터(60)는 로터리(62)와 로터리 하우징(64) 및 로터리 베이스(66)를 포함한다.
상기 로터리(62)는 원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로터리(62)는 상기 연결 바디에 베어링과 같은 회전지지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 바디(50CB)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로터리(62)의 일부가 연결 바디(50CB)의 저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 하우징(64)은 원통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연결 바디(50CB)의 저면에 로터리 하우징(64)의 상면이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로터리(62)에 로터리 하우징(64)에 연결된다. 로터리 하우징(64)에는 상하면으로 관통된 하우징홀이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홀은 연결 바디(50CB)에 구비된 연결 바디홀과 연통된 구조이다.
상기 로터리 베이스(66)는 원판 형상으로서 로터리 하우징(64)의 하단부에 로터리 베이스(66)가 고정된다. 상기 로터리 베이스(66)에는 상하면으로 연통된 로터리 베이스홀이 구비된다. 상기 로터리 베이스홀은 로터리 하우징(64)에 형성된 하우징홀과 연통된다. 상기 로터리 베이스(66)에는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이 구비된다.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은 로터리 베이스(66)의 상하면으로 연통된 홀이다. 복수개의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이 상기 로터리 베이스홀의 주위에 배치된다. 즉, 상기 로터리 베이스홀을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이 배치된 구조이다.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은 로터리 베이스(66)의 위에서 볼 때에 사각홀 형상이다.
상기 원형 블록 형상의 로터리(62)와 원통형의 로터리 하우징(64)과 원판 형상의 로터리 베이스(66)가 로터리 서포터(60)를 구성한다. 즉, 로터리 서포터(60)는 원통형 배럴 형상으로 구성되며, 중심부에는 상하부로 연통된 홀을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로터리 하우징(64)은 상기 로터리(62)에 연결되고, 상기 로터리 하우징(64)의 내부에 내장된 캠플레이트(67)는 로터리(62)와 로터리 하우징(64)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로터리 베이스(66)에 장착된 로터리 모터(67)의 모터축에는 로터리 풀리(68)가 동축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로터리 풀리(68)와 상기 캠플레이트(67)에는 벨트(69)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 모터(67)의 모터축이 회전하면 로터리 풀리(68)가 회전하고, 로터리 풀리(68)가 회전하면 캠플레이트(67)가 회전하면서 상기 로터리 하우징(64)과 상기 로터리 베이스(66)를 회전시키며, 상기 로터리(62)와 로터리 하우징(64) 및 로터리 베이스(66)가 회전하면 상기 로터리 베이스(66)에 장착된 시린지(9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린지(90)가 로터리 베이스(66)에 장착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캠플레이트(67)와 로터리 풀리(68)와 벨트(69)가 로터리 서포터(60)를 회전시키는 로테이션 구동유닛이 되는데, 이러한 로테이션 구동유닛은 캠플레이트(67)와 로터리 풀리(68)와 벨트(69) 이외에 로터리 서포터(60)를 연결 바디를 기준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채용이 가능하다.
상기 로터리 베이스(66)에는 캠슬라이딩 플레이트(71)가 구비된다. 상기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의 옆에 배치되도록 캠슬라이딩 플레이트(71)가 로터리 베이스(66)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캠슬라이딩 플레이트(71)는 로워 플레이트(71A)와 어드져스트 유닛바디(71B)를 포함한다. 캠슬라이딩 플레이트(71)의 상면에는 내측 지지부와 외측 지지부가 구비된다. 내측 지지부와 외측 지지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캠슬라이딩 플레이트(71)에는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가 구비된다. 상기 캠슬라이딩 플레이트(71)의 전후방 지지부에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가 결합된다.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는 로터리 베이스(66)의 상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며 동시에 로터리 베이스(66)의 둘레부에서 로터리 베이스(66)의 중심부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캠슬라이딩 플레이트(71)의 외측 지지부에는 록너트(74)가 구비된다. 록너트(74)는 내주면에 나사부가 있는 너트 구조이다. 록너트(74)는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와 동축적으로 배치된다. 록너트(74)의 중심부는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의 중심부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록너트(74)가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와 동축적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상기 록너트(74)에는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가 결합된다.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의 외주면에는 나사부가 구비되어, 록너트(74) 내주면의 나사부에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 외주면의 나사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를 회전시키면 볼트식으로 록너트(74)에서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가 전후진한다.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는 상기 캠슬라이딩 플레이트(71)의 외측 지지부의 전후면으로 관통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는 로터리 베이스(66)의 중심부 쪽으로 전진하거나 로터리 베이스(66)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상기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는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파이프 구조로서, 상기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의 일부가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 내부의 중공부에 들어가 있다. 상기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가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와 동축적으로 배치된 구조이다.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의 선단부가 로터리 베이스(66)의 외측 지지부의 안쪽면에서 더 안쪽으로 들어와 있는 구조를 취한다.
상기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에는 어드져스트 유닛 캐리어(76)가 결합된다. 어드져스트 유닛 캐리어(76)가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어드져스트 유닛 캐리어(76)의 외측단에는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의 선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어드져스트 유닛 푸셔(75)가 회전하면서 전후진할 때에 어드져스트 유닛 캐리어(76)가 어드져스트 유닛 가이드 샤프트(73)를 따라 로터리 베이스(66)의 중심부 쪽으로 전진하거나 로터리 베이스(66)의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후퇴하게 된다.
상기 어드져스트 유닛 캐리어(76)에는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가 연결된다. 어드져스트 유닛 캐리어(76)의 한쪽 측면에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가 연결된다.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는 로터리 베이스(66)에 형성된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에 수용되어 있다. 로터리 베이스(66)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로터리 베이스(66)의 각각의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 옆에 상기 캠슬라이딩 플레이트(71), 로워 플레이트(71A), 어드져스트 유닛 바디(71B), 어드져스트 유닛 캐리어(76)가 각각 구비되므로, 로터리 베이스(66)의 각각의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마다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에는 로터리 샤프트(82)가 구비된다. 로터리 샤프트(82)는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의 옆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 샤프트(82)에는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이 결합된다.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은 로터리 샤프트(8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에는 시린지 브라켓(84)이 고정된다. 시린지 브라켓(84)의 바깥면이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의 안쪽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때, 시린지 브라켓(84)은 상기 로터리 서포터(60)의 옆에서 볼 때에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시린지 브라켓(84)의 하단부보다 시린지 브라켓(84)의 상단부가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에서 더 바깥쪽으로 나와 있어서 로터리 서포터(60)의 옆에서 볼 때에 시린지 브라켓(84)이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내향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복수개의 시린지 브라켓(84)이 배치되는데, 복수개의 시린지 브라켓(84)이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내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즉, 각각의 시린지 브라켓(84)의 상단부가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에서 더 바깥쪽으로 나와 있고 각각의 시린지 브라켓(84)의 하단부는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더 들어가 있어서, 복수개의 시린지 브라켓(84)이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내향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로터리 서포터(60)의 위에서 볼 때에 복수개의 시린지 브라켓(84)의 하단부가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모여져 있고 복수개의 시린지 브라켓(84)의 상단부는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에서 벌어진 구조를 취한다.
상기 로터리 서포터(60)에 본딩 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본딩 유닛은 시린지(90)와, 이 시린지(90)에 호스와 같은 연결관을 통해 연결된 본딩액 공급기를 포함한다. 시린지(90)는 본딩 유닛의 주요 구성이다.
상기 시린지(90)는 내부에 중공부가 있는 통형상의 시린지 배럴(92)과, 이 시린지 배럴(92)의 기단부에 결합된 시린지캡(93)과 시린지 니들(95)을 포함한다. 시린지(90)는 시린지 브라켓(84)에 구비된 시린지 홀더(85)에 결합된다. 시린지(90)의 기단부에 구비된 시린지캡(93)에는 관연결홀이 구비되고 시린지(90)의 선단부에는 니들 결합홀이 구비된다. 시린지캡(93)의 관연결홀에 연결관을 통해 본딩액 공급기가 연결된다. 니들 결합홀에 시린지 니들(95)이 결합된다.
상기 시린지 브라켓(84)이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서 시린지(90)도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시린지(90)의 선단부가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더 들어가 있고 시린지(90)의 기단부는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에서 바깥쪽으로 더 나와 있어서 시린지(90)가 로터리 서포터(60)의 옆에서 볼 때에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기울어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시린지(90)의 기단부에 구비된 관연결홀에는 본딩액 공급관이 연결되고, 본딩액 공급관은 미도시된 본딩액 공급기에 연결된다. 시린지(90)의 기단부에 구비된 시린지캡(93)의 관열결홀과 본딩액 공급기 사이에 본딩액 공급관이 연결된다. 시린지캡(93)은 시린지 배럴(92)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시린지캡(93)과 시린지 배럴(92)의 분해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린지 니들(95)은 시린지(90)의 선단부에 구비된 니들 결합홀에 연결된다. 시린지 니들(95)은 내부에 본딩액 통로가 구비된 바늘 형상으로서 시린지 니들(95)의 기단부에는 본딩액 유입홀이 구비되고, 시린지 니들(95)의 선단부에는 본딩액 분사홀이 구비된다. 본딩액 유입홀과 본딩액 분사홀은 본딩액 통로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시린지 니들(95) 기단부의 본딩액 유입홀은 시린지(90) 내부의 중공부와 연통된다. 따라서, 시린지(90) 내부의 중공부로 공급된 본딩액은 시린지 니들(95) 기단부의 본딩액 유입홀을 통해서 시린지 니들(95) 선단부의 본딩액 분사홀을 통해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시린지 니들(95)도 로터리 서포터(60)의 옆에서 볼 때에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경사지게 배열된다. 시린지 니들(95)의 선단부는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더 들어가 있고 시린지 니들(95)의 기단부는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에서 더 바깥쪽으로 나온 상태가 되어서 상기 본딩 니들이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에는 록너트(86)가 구비된다. 록너트(86)의 선단부가 시린지(90)가 장착된 시린지 브라켓(84)의 바깥면과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록너트(86)에는 조절볼트(87)가 결합된다. 상기 조절볼트(87)의 선단부는 시린지(90)가 장착된 시린지 브라켓(84)의 바깥면에 접촉된다.
상기 시린지 브라켓(84)의 바깥면에는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이 구비되고, 상기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의 한쪽 측면에는 옆으로 돌출된 로터리 샤프트(82)가 구비되며, 상기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이 상기 로터리 샤프트(8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로터리 샤프트(82)와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이 시린지 브라켓(84)이 회동할 수 있는 기준점이 힌지부가 된다.
상기 조절볼트(87)의 회전에 의해 록너트(86)에서 조절볼트(87)가 시린지 브라켓(84) 방향으로 전진하면, 조절볼트(87)의 선단부가 시린지 브라켓(84)을 밀게 되는데, 시린지 브라켓(84)은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에 상기 힌지부(다시 말해, 로터리 샤프트(82)와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 부분)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조절볼트(87)가 전진하여 시린지 브라켓(84)을 밀어주면 상기 시린지 브라켓(84)이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시린지 브라켓(84)의 상단부(즉, 기단부)는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전진하도록 회동하고 시린지 브라켓(84)에 장착(정확하게는 시린지 홀더(85)에 장착)된 시린지(90)의 상단부(즉, 기단부)도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회동하고 시린지 니들(95)의 상단부(즉 기단부)도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시린지 브라켓(84)의 하단부(즉, 선단부)와 시린지(90)의 하단부(즉, 선단부) 및 시린지 니들(95)의 하단부(즉, 선단부)는 상기 시린지 브라켓(84)이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에 연결된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에서 멀어지는 방향인 바깥쪽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상기 조절볼트(87)를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조절볼트(87)를 후진시키면 시린지 브라켓(84)의 기단부와 시린지(90)의 기단부 및 시린지 니들(95)의 기단부가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에서 멀어지는 바깥쪽 방향으로 회동하는 한편, 시린지 브라켓(84)의 선단부와 시린지(90)의 선단부 및 시린지 니들(95)의 선단부는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회동된다.
상기 조절볼트(87)를 록너트(86)를 기준으로 풀고 조임에 따라 시린지 브라켓(84)과 시린지(90) 및 시린지 니들(95)이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에 대해 회동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시린지 니들(95)이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에서 벌어지거나 좁아지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복수개의 시린지 니들(95)의 선단부 사이의 거리를 벌리거나 좁힐 수 있게 된다. 복수개의 시린지 니들(95)의 선단부에는 본딩액 분사홀이 구비되므로, 각각의 시린지 니들(95)의 본딩액 분사홀들 사이의 거리를 좁히거나 늘려줄 수 있다.
상기 시린지 홀더(85)에는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이 구비된다. 상기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은 하부 시린지 홀더(85)의 상단부에 연결된다. 시린지 니들(95)의 앞쪽에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이 배치된다.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에는 내부에서 바깥면과 하단부로 개방된 니들 수용홈이 구비되어, 상기 니들 수용홈에 시린지 니들(95)의 일부가 수용된다.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은 시린지 니들(95)의 앞에서 시린지 니들(95)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의 상단부는 하부 시린지 홀더(85)에 구비된 시린지 브라켓 스크류 샤프트(97)에 결합된다. 시린지 브라켓 스크류 샤프트(97)는 외주면에 나사부가 구비된 볼트 형태로서, 시린지 브라켓 스크류 샤프트(97)(44)의 양단부측 외주면이 하부 시린지 홀더(85)에 구비된 좌우 한 쌍의 샤프트 지지편(85SP)에 결합되고, 상기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의 상단부와 인접한 내부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나사홀 형태의 샤프트 결합홀이 구비되어, 상기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의 샤프트 결합홀이 시린지 브라켓 스크류 샤프트(97)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의 상단부측 일부가 상기 한 쌍의 샤프트 지지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 지지편의 바깥면으로 돌출되어 나온 시린지 브라켓 스크류 샤프트(97)의 양단부측 외주면에는 시린지 브라켓 노브(99)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샤프트 지지편에는 시린지 브라켓 가이드핀(98)이 결합되고, 상기 시린지 브라켓 가이드핀(98)에는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의 양면으로 연통된 가이드홀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샤프트 지지편 중에서 한 쪽의 샤프트 지지편의 안쪽면과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의 한쪽면 사이에는 스프링(SP)이 개재된다. 스프링은 시린지 브라켓 가이드핀(98)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시린지 브라켓 스크류 샤프트(97)에 동축적으로 결합된 시린지 브라켓 노브(99)를 파지하고 상기 한 쌍의 샤프트 지지편에 대하여 시린지 브라켓 스크류 샤프트(97)를 돌려주면 상기 시린지 브라켓 가이드핀(98)와 시린지 브라켓 스크류 샤프트(97)를 따라서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의 니들 수용홈에 결합되어 있는 시린지 니들(95)에 맞추어서 상기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에 밀어주는 힘을 작용시켜서 상기 시린지 니들 브라켓(96)의 니들 수용홈에 결합되어 있는 시린지 니들(95)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지지한다.
본 발명은 터치 모니터(110)을 포함한다. 터치 모니터(110)는 터치 모니터 박스에 내장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부 프레임부(25)에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가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터치 모니터 박스에 구비된 터치 박스 브라켓(113)이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에 결합되므로, 상기 터치 모터니터 박스와 터치 모니터(110)이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된 구조를 취한다. 메인 프레임(20)의 상부 프레임부(25)에 터치 모터니터 박스와 터치 모니터(110)가 장착되어 있다. 오토 본딩머신의 각종 제어가 터치 모니터(110)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터치 모니터(110)에는 전원 스위치(115) 및 비상정지 스위치(116)가 구비된다.
상기 비젼카메라 이동장치에 의해 비젼카메라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젼카메라 이동장치는 메인 프레임(20)의 상부 프레임부(25)에 구비되고, 상기 비젼카메라 이동장치에 의해 비젼카메라가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비젼카메라 이동장치에 의해 비젼카메라가 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은 비젼 카메라 이동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비젼 카메라 이동 조절장치는 X축 이동 조절부와 Y축 이동 조절부 및 Z축 이동 조절부를 포함한다.
스테이지 홀더(122)가 메인 프레임(20)을 구성하는 상부 프레임부(25)의 바닥판에 고정된다. 스테이지 홀더(122)는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부 프레임부(25)의 바닥판 상면에 스테이지 홀더(122)가 고정된다.
상기 스테이지 홀더(122)에는 X축 이동부재(123)가 구비된다. X축 이동부재(123)는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X축 이동부재(123)가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X축 이동부재(123)는 X축 엘엠 가이드에 의해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스테이지 홀더(122)에 결합된다. X축은 본딩 유닛이 장착된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할 때에 메인 프레임(20)의 전방과 후방 사이의 방향이다. 도면에서 X로 표시된 방향이 X축 방향이다. X축 방향은 본딩 유닛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비젼 유닛의 주요부인 비젼 카메라(130)가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위에서 볼 때에 비젼 카메라(130)가 전후로 움직이는 방향이 X축 방향이다.
상기 X축 이동부재(123)는 모터의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스테이지 홀더(122)에서 X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터(M)의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공지의 동력전달수단(예를 들어, 랙기와 피니언 기어 등)이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X축 방향으로 X축 이동부재(123)를 X축 엘엠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킨다.
상기 X축 이동부재(123)에는 Y축 이동부재(124)가 결합된다. Y축 이동부재(124)도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Y축 이동부재(124)가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Y축 이동부재(124)는 Y축 엘엠 가이드에 의해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X축 이동부재(123)에 결합된다. Y축은 X축과 직교하는 방향이다. Y축은 본딩 유닛이 장착된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할 때에 메인 프레임(20)의 좌측과 우측 사이의 방향이다. Y축 이동부재(123) 위에 X축 이동부재(122)의 저면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면에서 Y로 표시된 방향이 Y축 방향이다. Y축 방향은 본딩 유닛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비젼 유닛의 주요부인 비젼 카메라(130)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위에서 볼 때에 비젼 카메라(130)가 좌우로 움직이는 방향이 Y축 방향이다.
상기 Y축 이동부재(124)도 모터의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X축 이동부재(123)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X축 이동부재(123) 위에서 Y축 이동부재(124)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모터의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공지의 동력전달수단(예를 들어, 랙기와 피니언 기어 등)이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Y축 방향으로 Y축 이동부재(124)를 Y축 엘엠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Y축 이동부재(124)에는 스테이지 블록(125)이 결합된다. 상기 스테이지 블록(125)의 후면에는 Z축 이동부재(126)가 결합된다. Z축 이동부재(126)도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Z축 이동부재(126)가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Z축 이동부재는 스테이지 블록(125)의 후면에 세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Z축 이동부재는 Z축 엘엠 가이드에 의해 Z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스테이지 블록(125)에 결합된다. Z축은 Y축과 직교하는 수직 방향이다. Z축은 본딩 유닛이 장착된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할 때에 메인 프레임(20)의 상하부 사이의 방향이다. 도면에서 Z로 표시된 방향이 Z축 방향이다. Z축 방향은 본딩 유닛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비젼 유닛의 주요부인 비젼 카메라(130)가 수직 방향으로 움직이는 방향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측면에서 볼 때에 비젼 카메라(130)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방향이 Z축 방향이다.
상기 Z축 이동부재도 모터의 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스테이지 블록(125)에서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스테이지 블록(125)의 후면에서 Z축 이동부재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모터의 샤프트의 회전 운동을 공지의 동력전달수단(예를 들어, 랙기와 피니언 기어 등)이 직선 운동으로 전환하여 Z축 방향으로 Z축 이동부재를 Z축 엘엠 가이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Z축 이동부재(126)에 비젼홀더(127)가 장착된다. 비젼홀더(127)는 좌우폭에 비하여 상하단 사이의 길이가 더 긴 판형상으로서, Z축 이동부재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비젼홀더(127)에 비젼 카메라(130)가 장착된다. 비젼 카메라(130)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비젼홀더(127)에 장착된다. 비젼 카메라(130)의 렌즈는 하부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비젼홀더(127)에 신축 가능한 지지부재(예를 들어, 실린더 등)가 장착되고, 상기 비젼 카메라(130)는 지지부재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가 실린더인 경우에는 비젼 카메라(130)아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에 장착되어,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의 신축에 따라 비젼 카메라(130)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비젼홀더(127)는 비젼 카메라(130) 이동장치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시린지 니들(95)들이 모여 있는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비젼 카메라(130)의 렌즈가 복수개의 시린지 니들(95)들이 모여 있는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이동하여 시린지 니들(95)들의 상태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에는 비젼 카메라 출력 모니터(132)가 장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직립 프레임부(23)에 복수개의 관절 아암을 매개로 비젼 카메라 출력 모니터(132)가 장착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관절 아암에 의해 비젼 카메라 출력 모니터(132)가 상하 좌우 방향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관절 아암들은 조인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관절 아암들이 조인트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면 비젼 카메라 출력 모니터(132)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비젼 카메라 출력 모니터(132)에는 비젼 카메라(130)가 출력한 시린지 니들(95)들의 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 비젼 카메라(130)에서 보여지는 화면 및 비젼의 각종 조작이 비젼 카메라 출력 모니터(132)의 화면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터치 모니터(110)를 포함한다. 터치 모니터(110)는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부 프레임부(25)의 저면에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가 장착된다.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의 상단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부(25)의 저면에 고정된다.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터치 모니터(110)의 후면에는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이 구비된다.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은 내부에 상하면으로 연통된 파이프 결합홀이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 결합홀에서 측면으로 연통된 절개부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은 절개부에서 양면으로 관통된 볼트 결합홀이 구비된다. 상기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의 파이프 결합홀이 상기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터치 모니터(110)이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 박스 장착 블록에 구비된 볼트 결합홀에 볼트를 끼우고, 상기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여 조여주면 상기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의 절개부와 파이프 결합홀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에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이 가압되면서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에 고정되므로, 상기 터치 모니터(110)이 메인 프레임(20)의 상부 프레임부(25)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너트를 풀어주면 상기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의 절개부와 파이프 결합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어서 터치 박스 장착 블록과 함께 터치 모니터(110)을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를 따라 상하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터치 모니터(110)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의 하단부에는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시린지캡(93)이 결합된다. 상기 너트를 풀어주어서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의 절개부와 파이프 결합홀의 직경이 늘어난 상태가 되면 상기 터치 박스 장착 블록과 터치 모니터(110)이 자중에 의해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를 따라 하강하게 되는데, 상기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이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시린지캡(93)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에서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이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터치 박스 장착 블록이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에 걸려 있게 되므로, 상기 터치 박스 브라켓 파이프(114)에서 터치 모니터(110)이 빠지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오토 본딩머신의 각종 제어거 터치 모니터(110)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터치 모니터(110)에는 전원 스위치(115) 및 비상정지 버튼이 구비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에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석션 플레이트(140)가 구비되어,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가 복수개의 시린지 니들(95)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하부 프레임부(21)의 상면에는 X축 방향으로 연장된 X축 가이드 레일(142)이 구비된다. X축이라 함은 하부 프레임부(21)의 전후단 방향이다.
상기 X축 가이드 레일(142)에는 X축 로봇 베이스(14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X축 로봇 베이스(143)는 사각형 판 형상으로서 X축 가이드 레일(142)에 X축 로봇 베이스(143)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X축 로봇 베이스(143)는 메인 프레임(2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X축 로봇 베이스(143)는 공지의 이동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하부 프레임부(21)의 상면에는 X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샤프트가 배치된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스크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X축 로봇 베이스(143)의 저면에는 모터의 샤프트에 구비된 스크류에 결합된 스크류 너트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구비된 스크류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X축 로봇 베이스(143)가 X축 가이드 레일(142)을 따라 X축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X축 로봇 베이스(143)에는 Y축 가이드 레일(144)이 구비된다. Y축이라 함은 메인 프레임(20)의 좌우측 방향이다. X축 로봇 베이스(143)의 상면에 메인 프레임(20)의 좌우측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Y축 가이드 레일(144)이 구비된다.
상기 Y축 가이드 레일(144)에는 석션 플레이트(14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석션 플레이트(140)는 상면에 오목한 홈 형태의 트레이 안착홈(트레이는 본딩 대상물로서 트레이 안착홈을 본딩 대상물 안착홈이라 할 수도 있음)이 구비된 것으로,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의 저면이 Y축 가이드 레일(14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도 공지의 이동 구동유닛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Y축 가이드 레일(144)의 상면에는 Y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샤프트가 배치된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에는 스크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의 저면에는 모터의 샤프트에 구비된 스크류에 결합된 스크류 너트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샤프트에 구비된 스크류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가 Y축 가이드 레일(144)을 따라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가 메인 프레임(20)의 X축 방향과 Y축 방향인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 상면에는 석션 탑플레이트가 구비된다. 석션 탑플레이트는 석션 플레이트(140)의 구성 부분이다. 상기 석션 탑플레이트 상면의 트레이 안착홈에는 본딩 대상물, 다시 말해, 트레이(6)가 안착되며, 트레이(6)는 석션 플레이트(140)가 메인 프레임(20)의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시린지 니들(95)의 하부 쪽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의 내부에는 트레이 안착홈과 연통된 진공홀이 구비되며, 상기 진공홀들은 미도시된 진공장치에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장치에서 진공 흡입력을 작용시킴에 따라 상기 진공홀들을 통해서 트레이 안착홈에 진공 흡입력(진공압)이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 상면의 트레이 안착홈에 트레이(6)가 안착된 상태에서 트레이 안착홈에 진공압에 작용함에 따라 상기 트레이(6)가 진공압에 의해 석션 플레이트(140)에 고정되며, 상기 트레이(6)가 진공압으로 석션 플레이트(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석션 플레이트(140)가 메인 프레임(20)에서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트레이(6)도 상기 시린지 니들(95)의 하부쪽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하부 프레임부(21) 상면에는 컨트롤 스위치 박스(12)가 구비된다. 컨트롤 스위치 박스(12)에는 스타트 버튼과 스탑 버튼이 구비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오토 본딩머신에 의해 본딩 대상물(이하에서는 트레이(6)라 칭함)을 본딩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니들 셋팅 작업을 수행한다. 센터링 지그(CRJ)를 회천축 하부의 핀에 맞추어 부착한다. 회전축과 핀은 별도의 지그에 있다.
센터링 지그(CRJ)를 샘플의 원형 렌즈를 중심으로 수동으로 이동시켜 X, Y 좌표를 체크한 후, X, Y Position 값을 입력한다.
샘플의 원형 렌즈는 실제 작업을 할 렌즈를 비젼에서 사진 촬영후에 본드가 도포될 구간 및 도포후에 정상적으로 도포가 되었는지 검사(본드가 도포된 양,도포된 모양등등)할 수 있는 영역을 설정해주는 것이다.
실제 렌즈가 안착되어 있는 트레이(렌즈를 담아놓는 지그)에 X, Y 피치 값을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입력을 할 경우 PLC가 피치값을 인지하여 렌즈에 센터부위에 대략적으로 찾아가는 기능이다. 센터 부위를 찾아서 X,Y 이동후에 비젼에서 렌즈를 인식후에 X,Y 위치를 조정후 회전축이 회전하여 렌즈에 본드가 도포될 포인트에 자동으로 위치를 맞추는 기능이다. 예를들어 트레이에 20개, 30개, 40개 등이 들어가면 PLC는 트레이에 제품이 몇 개가 있는지 알 수 없다. 그런데, 모델별로 피치값을 저장 해놓으면 수많은 모델을 편리하게 PLC에 불러오기 기능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바로바로 작업할 수 있다.
센터링 지그(CRJ)의 눈금을 이용해서 시린지 니들(95)의 높이와 좌우위치를 맞춘다. 본 발명에서는 네 개의 시린지 니들(95)이 있어서, 네 개의 시린지 니들(95)의 높이와 좌우 위치를 동일하게 맞춘다.
높이와 좌우조절은 시린지(90) 전후진 조절장치와 상하조절장치를 사용하거나 터치 모니터(110)에 티칭값을 입력하여 조절한다.
렌즈는 사출물 이기 때문에 렌즈 모양이 미세하게 다르게 때문에 각 니들에 위치값(바늘을 조정을 해야 되는데 그때 기구적으로 조정하는 방식과 티칭값(터치스크린을 통해서 그값을 조정할수 있는 방법)을 입력하여 조정 할 수 있다.
셋팅이 완료된 후 터치 모니터(110)에 티칭값을 입력하여 Z Low Position 값을 정하여 입력한다.
니들의 높이를 작업자가 입력을 잘못하여 제품보다 더 내려갈 경우 설비하고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 될 수 있다. 그런데, Z Low Position 값을 지정해두면 그 어떤 값에 위치를 넣어도 지정된 값 이하로 Z축이 내려가지 않기 때문에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다음, 비젼의 중심축과 회전축의 중심의 일치 작업을 수행한다. Z Low Position을 입력 후 Z Mid Positon에서 회전축의 Theta 값을 조절하면서 회전하여 시린지 니들(95)이 디스펜스하는 위치의 원형 기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일치시켜 비젼 카메라(130) 이동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세밀하게 조정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토 본딩머신의 조작 순서를 개략적으로 정리하면 계측준비, 계측조건/촬영설정, 계측 윈도우 설정, 시운전, 정식운전 시작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계측준비 단계에서는 기기에 카메라와 모니터 등을 연결한다. 본딩 대상물에 맞는 렌즈 및 조명을 준비한다.
상기 계측조건/촬영설정 단계에서는 본딩 대상물에 맞춰 셔터스피드 등의 촬영조건 및 설정기준이 되는 화상을 등록한다
상기 계측 윈도우 설정 단계에서는 검사 목적에 맞춰 계측윈도우에 계측방법 등을 설정한다. 계측윈도우의 위치보정과 계측결과의 연산, 출력방법도 지정한다. 이때, 계측 윈도우 설정 단계에서는 설정 조건별 표시설정등록을 할 수도 있다. 설정된 계측조건은 설정번호(Program No.)에 저장된다. 필요시 설정번호별로 표시설정을 등록할 수 있다.
상기 시운전 단계에서는 설정된 계측조건에서 원하는 판정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한다. 저장한 화상에 대해 다시 테스트를 하고 판정결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기기 전체의 작동환경설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각종 입출력 설정 등 모든 설정번호에 공통되는 작동 전반에 걸친 설정을 한다.
상기 정식운전 시작 단계에서는 운전모드로 하면 실제 검사운전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오토 본딩머신에 의해 실제로 본딩 대상물을 본딩하는 과정을 재차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딩 대상제품은 트레이(6)로서 이하에서는 트레이(6)를 본딩 대상물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에 본딩 대상물이 고정된 상태에서 석션 플레이트(140)를 상기 시린지 니들(95) 쪽으로 이동시킨다. 석션 플레이트(140)는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본딩 대상물이 장착된 석션 플레이트(140)를 시린지 니들(95)의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본딩 대상물이 시린지 니들(95)의 아래에 배치된 상태에서 시린지 니들(95)의 본딩액 분사홀을 통해서 분사되는 본딩액에 의해 본딩 대상물을 본딩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토 본딩머신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딩 대상물의 본딩 작업시에 본딩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거치함은 물론 카메라를 이용하여 본딩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밀하고 우수한 본딩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에 진공압력으로 본딩 대상물을 석션하여 고정하므로 본딩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카메라에 의해 본딩 대상물의 상태를 확인하여 본딩 대상물을 시린지 니들(95)에 의해 공급되는 본딩액으로 본딩 작업을 실시하므로 본딩 위치의 정확한 확인과 본딩 정밀도를 보장하므로 정밀하면서도 우수한 본딩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젼 카메라(130) 이동 조정장치에 의해 비젼 카메라(130)를 X축 방향과 Y축 방향 및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본딩 대상물의 위치에 따라 비젼 카메라(130)의 이동이 자유로우며, 비젼 카메라(130)의 이동이 자유로움에 따라 비젼 카메라(130)로 촬영하는 본딩 대상물의 상태와 시린지 니들(95)의 상태를 정밀하게 촬영하여 메인 터치 스크린에 표시하므로, 본딩 작업에 있어서 정밀도를 보다 높이고 본딩 작업의 능률을 보다 향상시키며 본딩 제품의 고품질을 보장할 수 있다. 비젼 카메라(130)를 X축 이동장치와 Y축 이동장치 및 Z축 이동장치에 의해 손쉽고 신속하면서도 정밀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시린지 니들(95)의 위치와 각도도 조절할 수 있으며, 시린니 니들의 위치와 각도 조절로 인하여 본딩 대상물에 대한 본딩 작업이 보다 수월하고 본딩 정밀도를 더욱 높이게 된다. 어드 저스트 유닛 푸셔를 볼트를 돌리듯이 회전시킴에 따라 시린지 니들(95)이 장착된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가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에서 멀어지거나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가까워지도록 이동이 가능하고,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에 장착된 조절볼트(87)를 돌려줌에 따라 시린지(90)와 시린지 니들(95)이 장착된 시린지 브라켓(84)이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에서 힌지부를 기준으로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시소식으로 회동 각도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시린니 니들의 위치와 각도 조절로 인하여 본딩 대상물에 대한 본딩 작업이 보다 수월하고 본딩 정밀도를 더욱 높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로터리 모터(67)의 모터축이 회전하여 캠플레이트(67)를 회전시키고, 캠플레이트(67)의 회전에 의해 로터리 서포터(60)의 로터리 베이스(66)에 장착된 상기 시린지(90)들이 회전하기 때문에, 시린지(90)들의 회전에 의해 시린지 니들(95)을 본딩 대상물의 본딩 위치에 신속하고 편리하면서도 정밀하게 맞출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메인 프레임 60. 로터리 서포터
81.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95. 시린지 니들
110. 터치 모니터 130. 비젼 카메라
142. X축 가이드 레일 143. 로봇 베이스
144. Y축 가이드 레일

Claims (6)

  1. 메인 프레임(20);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장착되며 본딩 대상물에 본딩액을 분사하는 시린지 니들(95)을 구비한 본딩 유닛;
    상기 본딩 유닛의 상기 시린지 니들(95) 위치에 상기 본딩 대상물을 이동시켜서 본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동 조절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직립 프레임부(23)에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이 세워진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에 승강 프레임(50)의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50)은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와 Z축 로봇 플레이트(53)와 모터 베이스(5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의 내부에는 상기 매거진 버티칼 베이스(52)가 승강 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Z축 로봇 플레이트(53)는 상기 메거진 버티칼 베이스(52)에 연결되고, 상기 Z축 로봇 플레이트(53)에는 모터 베이스(54)가 연결되고,
    상기 모터 베이스(54)에는 연결 바디(50CB)를 매개로 로터리 서포터(60)가 연결되고, 상기 로터리 서포터(60)는 로터리(62)와 로터리 하우징(64) 및 로터리 베이스(66)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리(62)는 상기 연결 바디(50CB)에 회전지지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 바디(50CB)를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로터리 하우징(64)은 상기 로터리(62)에 연결되고,
    상기 로터리 베이스(66)는 상기 로터리 하우징(64)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로터리 베이스(66)에는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의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이 배치되고,
    상기 본딩 유닛은 상기 로터리 서포터(60)와, 시린지 니들(95)이 구비되어 상기 로터리 서포터(60)에 장착된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와 시린지(9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터리 베이스(66)의 각각의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 장착홀(66H)마다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가 수용되고,
    상기 시린지 수직 플레이트(81)에는 로터리 샤프트(82)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리 샤프트(82)에는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이 결합되고, 상기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은 상기 로터리 샤프트(82)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시린지 베이스 로터리 블록(83)에는 시린지 브라켓(84)이 고정되고, 상기 시린지 브라켓(84)은 상기 로터리 서포터(60)의 옆에서 볼 때에 상기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를 향하여 내향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시린지 브라켓(84)이 복수개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상기 시린지 브라켓(84)이 상기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내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시린지 브라켓(84)에 구비된 시린지 홀더(85)에 상기 시린지(90)가 결합되고, 상기 시린지(90)는 상기 로터리 서포터(60)의 중심부 쪽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승강 서포트 프레임(40)에는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이 구비되고, 상기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센싱홀(48H)이 구비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50)에는 Z축 로봇 센서(52RS)가 구비되고, 상기 Z축 로봇 센서 브라켓(48)에 구비된 상기 센싱홀(48H)에 상기 Z축 로봇 센서(52RS)가 배치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50)의 상하 위치를 센싱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프레임(50)의 상하 위치를 센싱함으로써 상기 승강 프레임(50)과 상기 본딩 유닛의 상하 높이를 자동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본딩 머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대상물을 촬영하는 비젼 카메라(130) 유닛;
    상기 비젼 카메라(130) 유닛에 의해 촬영된 본딩 대상물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터치 모니터(1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본딩머신.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조절유닛은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하부 프레임부(21)의 상면에 구비된 X축 가이드 레일(142)과, 상기 X축 가이드 레일(14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X축 로봇 베이스(143)와, 상기 X축 로봇 베이스(143)에 구비되며 석션 플레이트(14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 Y축 가이드 레일(144)과, 상기 X축 로봇 베이스(143)와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를 각각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시키는 이동 구동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20)에 지지되어 상기 석션 플레이트(140)에 얹혀진 본딩 대상물과 상기 시린지 니들(95)의 배치 상태를 촬영하는 비젼 카메라(130) 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본딩머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딩 유닛의 상기 시린지 니들(95)의 위치를 조절하는 니들 조절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본딩머신.
KR1020170175229A 2017-12-19 2017-12-19 오토 본딩머신 KR102145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229A KR102145603B1 (ko) 2017-12-19 2017-12-19 오토 본딩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229A KR102145603B1 (ko) 2017-12-19 2017-12-19 오토 본딩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958A KR20190073958A (ko) 2019-06-27
KR102145603B1 true KR102145603B1 (ko) 2020-08-18

Family

ID=6705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229A KR102145603B1 (ko) 2017-12-19 2017-12-19 오토 본딩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6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1907B1 (ko) * 2019-08-09 2021-08-23 삼성기전주식회사 본딩 모듈의 일부에 비전을 구비하는 렌즈 조립 장치
KR102291908B1 (ko) * 2019-08-09 2021-08-23 삼성기전주식회사 본딩 모듈의 도포부의 동축상에 비전을 구비하는 렌즈 조립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522A (ja) 1999-05-14 2000-11-24 Hitachi Ltd 上下動装置
KR101634599B1 (ko) * 2014-02-11 2016-06-29 (주)제론 렌즈모듈 본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242A (ko) 1998-12-30 2000-07-15 김영환 다이 본딩머신의 이상 패들 검출방법 및 그 장치
KR200324090Y1 (ko) 2003-06-05 2003-08-21 주식회사아이앰 다이 본딩 머신의 칩 인식장치
JP4264404B2 (ja) * 2004-10-18 2009-05-20 株式会社新川 ボンディ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522A (ja) 1999-05-14 2000-11-24 Hitachi Ltd 上下動装置
KR101634599B1 (ko) * 2014-02-11 2016-06-29 (주)제론 렌즈모듈 본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958A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3480B (zh) 改进的球植入装置和方法
JP2773307B2 (ja) 電子部品の実装方法
US8973255B2 (en) Circuit-substrate-related-operation performing apparatus
JP2002239433A (ja) 高粘性流体塗布装置
KR102145603B1 (ko) 오토 본딩머신
KR20100027113A (ko) 점성 물질을 기판 상에 분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2366268B (zh) 一种高密度led固晶工艺
CN111323420B (zh) 一种用于微光学组件的自动化组装测试装置
CN217369300U (zh) 一种激光芯片测试分选机
CN113156596B (zh) 三件式耦合设备及耦合方法
CN111299086A (zh) 一种点胶机构及显示屏生产线
CN115452058A (zh) 微型元件自动检测机构
JP2002144267A (ja) 電気部品吸着ノズル,倍率検出方法,吸着位置検出方法
TWM627057U (zh) 水滴角量測機
JP2535473B2 (ja) プリント基板用高粘性流体塗布装置
CN112366158B (zh) 一种高密度led固晶设备
US64907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d supplying electrical component
JP3680785B2 (ja) 電子部品のボンディング装置およびボンディング方法
CN212093041U (zh) 一种点胶机构及显示屏生产线
JPH0565229B2 (ko)
KR100724147B1 (ko) 기판의 디스펜서 장치
CN113751989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超声电机定子定位装置及其工作方法
CN219906055U (zh) 一种基于ccd视觉引导定位柔性摆盘机
KR100235455B1 (ko) 전자 부품 실장 장치
CN109384378A (zh) 划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