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570B1 - 밸브체 및 고온용 밸브 - Google Patents

밸브체 및 고온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570B1
KR102143570B1 KR1020167019420A KR20167019420A KR102143570B1 KR 102143570 B1 KR102143570 B1 KR 102143570B1 KR 1020167019420 A KR1020167019420 A KR 1020167019420A KR 20167019420 A KR20167019420 A KR 20167019420A KR 102143570 B1 KR102143570 B1 KR 102143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valve
holding member
cutout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9696A (ko
Inventor
게이스케 이시바시
미치오 야마지
츠요시 다니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킨
Publication of KR20160099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9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one side of the piston being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16K31/122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the fluid circulating through the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코킹 구조를 사용하여,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의 회전 방지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밸브체 및 이러한 밸브체를 구비한 고온용 밸브를 제공한다. 밸브체(3)는, 통로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통로 개구를 막는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13)와, 접촉 부재(13)가 끼워지는 오목부(15a)를 갖는 유지 부재(14)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14)가 코킹됨으로써 접촉 부재(13)가 유지 부재(14)에 유지되어 있다. 유지 부재(14)의 코킹되는 부분에 복수의 절결부(22)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밸브체 및 고온용 밸브{VALVE BODY AND HIGH TEMPERATURE VALVE}
본 발명은 밸브체 및 고온용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 수지제의 접촉 부재 및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밸브체 및 이러한 밸브체를 구비한 고온용 밸브에 관한 것이다.
벨로우즈 밸브, 리프트 밸브 등으로 불리고 있는 밸브에서 사용되는 밸브체로서, 통로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통로 개구를 막는 원반형의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와, 접촉 부재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가 코킹(caulking)됨으로써 접촉 부재가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이러한 밸브체에서는, 밸브에 온도 사이클(고온→저온→고온의 반복)이 가해지면,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가 상대적으로 큰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접촉 부재가 유지 부재에 가하는 압박력이, 팽창시에는 가압, 수축시에는 감압을 반복함으로써, 유지 부재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있는 둘레벽이 접촉 부재를 누르는 힘이 약해져, 유지 부재와 접촉 부재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접촉 부재가 유지 부재에 대해 회전(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
접촉 부재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에 의한 시일성의 저하나, 상대 회전시의 슬라이딩에 의해 파티클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유지 부재로부터 접촉 부재가 탈락할 가능성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성 제1-26936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체에 의하면, 유지 부재를 코킹함으로써, 유지 부재에 대한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의 끼움을 압입으로 하는 경우에 비해, 접촉 부재에 대한 회전 방지력이 커진다. 그러나, 밸브의 사용 온도가 예컨대 200℃ 정도의 고온이 되면, 코킹 구조라도, 유지 부재에 대한 접촉 부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코킹 구조를 대신하는 회전 방지 구조로 하기 위해서는, 치수 변경이 필요해지는 등의 새로운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코킹 구조를 사용하여,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의 회전 방지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밸브체 및 이러한 밸브체를 구비한 고온용 밸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는, 통로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통로 개구를 막는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와, 접촉 부재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가 코킹됨으로써 접촉 부재가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밸브체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코킹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는, 통로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통로 개구를 막는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와, 접촉 부재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가 코킹됨으로써 접촉 부재가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밸브체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코킹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가 형성되고, 접촉 부재가 유지 부재에 끼워지는 방향에서의 절결부의 위치에 있어서의 접촉 부재의 코킹 전의 상기 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의 외곽선이 원이고, 상기 원의 중심으로부터, 코킹 후의 상기 단면의 외곽선 상의 1점까지의 거리와,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외곽선 상의 다른 1점까지의 거리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의 유지 부재에 형성된 절결부는, 커팅부, 구멍, 리세스 또는 홈 등이다.
유지 부재는, 예컨대,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다. 유지 부재의 오목부의 둘레면(유지 부재의 둘레벽의 내주면)은, 접촉 부재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원통면으로 되고, 종래에는 원통면 상태로 유지되었던 오목부의 둘레면에, 절결부가 추가된다. 절결부는 유지 부재의 둘레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도 좋고, 또한, 유지 부재의 외주를 남기도록 홈 형상으로 되어도 좋다. 절결부의 수는 하나여도 좋고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도 좋다. 유지 부재의 외주면은, 예컨대 원통면으로 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코킹은, 원통형의 선단부만을 코킹하기 때문에, 코킹한 후에도 원통형을 유지하게 되어, 회전에 대한 회전 방지력은 마찰력만이 된다. 이 때문에, 크게 코킹했다고 해도, 회전 방지력을 올리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지 부재(절결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것)를 코킹함으로써, 절결부가 없는 부분에 대응하는 접촉 부재의 부분은 유지 부재와 함께 직경이 축소되고, 절결부가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접촉 부재의 부분은 직경이 축소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접촉 부재의 외주면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접촉 부재의 회전에 대해서는, 마찰력 이외에, 접촉 부재의 단차가 유지 부재에 있어서의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는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걸어맞춰짐에 따르는 회전 방지력(맞물림에 의한 기계적인 힘)이 발생한다.
절결부는, 둘레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보다 바람직하게는 2개∼4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밸브체는, 접촉 부재로서는 종래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유지 부재에 절결부를 추가하는 것 이외의 공정은 그대로여도 좋다. 유지 부재의 치수(오목부의 직경이나, 외경 등)는 변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용을 억제하고, 회전 방지 기능을 대폭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밸브체는, 140℃를 넘는 것과 같은 고온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고온하에서 사용되는 경우, 합성 수지제의 접촉 부재에 온도 사이클(고온→저온→고온의 반복)이 가해짐으로써, 코킹에 의한 회전 방지력이 조기에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밸브체는, 회전 방지력 기능이 대폭 향상되어 있음으로써, 이러한 고온하에서도 장기간에 걸쳐 접촉 부재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 부재의 재료가 되는 합성 수지는, PTFE, PFA 등의 불소계 수지, PEEK재(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 등으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용 밸브는, 유체 통로가 형성된 밸브 박스와,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하고, 밸브체가 상기한 밸브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밸브로서는, 시일 부재로서 벨로우즈를 구비한 벨로우즈 밸브라고 불리고 있는 것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가지 타입의 밸브에 대해, 상기한 밸브체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고온용 밸브에 있어서, 밸브 시트는, 밸브 박스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이 경우, 밸브 시트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 밸브 박스와는 별개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이 경우, 밸브 시트는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제여도 좋고, 합성 수지제여도 좋다). 밸브 시트의 재료가 되는 합성 수지는, 접촉 부재와 동일해도 좋고, 상이해도 좋다.
본 발명의 밸브체에 의하면, 유지 부재를 코킹함으로써, 절결부가 없는 부분에 대응하는 접촉 부재의 부분은 유지 부재와 함께 직경이 축소되고, 절결부가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접촉 부재의 부분은 직경이 축소되지 않는 것이 되기 때문에, 접촉 부재의 외주면에 단차가 형성되고, 접촉 부재의 회전에 대해서는, 접촉 부재의 단차가 유지 부재에 있어서의 절결부를 형성하고 있는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큰 회전 방지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코킹 구조를 사용하여,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의 회전 방지 기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를 벨로우즈 밸브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로서, 폐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를 도시한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의 유지 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종단면도, (b)는 저면도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의 접촉 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의 코킹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저면도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를 다른 밸브에 적용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부터 도 6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 및 이 밸브체를 구비한 밸브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밸브(1)는, 벨로우즈 밸브라고 불리고 있는 것으로, 유체 유입 통로(2a) 및 유체 유출 통로(2b)가 형성된 밸브 박스(2)와, 유체 유입 통로(2a)의 둘레 가장자리에 압박 또는 이격되어 유체 유입 통로(2a)를 개폐하는 밸브체(3)와, 밸브 박스(2)의 상측에 보닛 너트(5)에 의해 고정된 보닛(4)과, 하단에 밸브체(3)가 고정되고 보닛(4)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밸브 로드(6)와, 밸브 로드(6)를 하향으로 압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압박 부재)(7)과, 보닛(4)의 상측에 설치된 통형의 케이싱(8)과, 보닛(4)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밸브 로드(6)의 부분에 일체로 설치되고 케이싱(8) 내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피스톤(9)과, 유체가 밸브체(3)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벨로우즈(10)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박스(2)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상방 돌출부(2c)를 갖고 있다. 상방 돌출부(2c)에, 보닛 너트(5)에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박스(2)에는, 유체 유입 통로(2a)와 외부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입구측 관 조인트(11)와, 유체 유출 통로(2b)와 외부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출구측 관 조인트(12)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3)는, 도 3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유입 통로(2a)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유체 유입 통로(2a)의 개구를 막는 접촉 부재(13)와, 접촉 부재(13)를 유지하는 유지 부재(14)를 포함한다.
유지 부재(14)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대직경 축부(15)와, 대직경 축부(1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소직경 축부(16)를 포함한다.
접촉 부재(13)는 디스크 패킹이라고도 불리고 있는 것으로, 합성 수지제로 되어 있고, 도 5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원반형을 이루고 있다. 접촉 부재(13)의 재료가 되는 합성 수지는, 예컨대 PTFE, PFA 등의 불소계 수지여도 좋고, 암모니아 등에 대한 부식성을 높이기 위해서, PEEK재(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여도 좋다.
유지 부재(14)의 대직경 축부(15)는, 하측 부분의 직경이 큰 단차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대직경 축부(15)의 하측 부분에, 하향으로 개구되어 있으며 접촉 부재(13)가 끼워지는 오목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14)의 소직경 축부(16)는, 그 상단부가 밸브 로드(6)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밸브체(3)는 밸브 로드(6)와 일체로 상하 이동한다.
유지 부재(14)의 소직경 축부(16)의 상단 근방 부분에, 벨로우즈 고정링(17)이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링(17)과 유지 부재(14)의 대직경 축부(15)의 상면 사이에, 벨로우즈(10)가 배치되어 있다.
벨로우즈(10)는, 예컨대, 금속을 디스크형으로 펀칭하여 정밀한 파(波)형의 플레이트를 형성하고, 그 파형 플레이트의 내주 및 외주를 용접함으로써 제작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싱(8)은, 하부 케이싱(18)과, 하부 케이싱(18)과 접속된 상부 케이싱(19)을 포함하고, 하부 케이싱(18)의 바닥벽과 상부 케이싱(19)의 정상벽에 의해, 피스톤(9)의 배치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9)의 하면과 하부 케이싱(18)의 바닥벽 사이가 압축 공기 도입실(20)로 되어 있다.
상부 케이싱(19)의 정상벽에는, 압축 공기 도입용의 관통 통로(19a)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9)은, 관통 통로(19a)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상방 돌출부(9a)를 갖고 있고, 피스톤(9)에는, 상방 돌출부(9a)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압축 공기 도입실(20)에 연통(連通)되는 압축 공기 도입 통로(21)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1)는, 압축 공기 도입실(20)에 압축 공기가 도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압축 코일 스프링(7)의 하향 압박력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3)의 접촉 부재(13)가 유체 유입 통로(2a)의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유체 유입 통로(2a)의 개구를 막는 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싱(19)의 정상벽의 관통 통로(19a) 및 피스톤(9)의 압축 공기 도입 통로(21)를 통해 압축 공기 도입실(20)에 압축 공기가 도입되면, 피스톤(9), 피스톤(9)과 일체의 밸브 로드(6) 및 밸브 로드(6)에 고정된 밸브체(3)가 일체로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3)의 접촉 부재(13)가 유체 유입 통로(2a)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이격되어 유체 유입 통로(2a)의 개구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가 얻어진다. 케이싱(8)에 형성된 관통 통로(19a)는, 여기서는 상부 케이싱(19)의 정상벽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 통로가 상부 케이싱(19) 또는 하부 케이싱(18)의 측벽에 구성되어 있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밸브체(본 발명에 따른 밸브체)(3)에서는, 유지 부재(14)의 대직경 축부(15)의 오목부(15a)를 형성하고 있는 둘레벽(15b)의 하단부가 코킹(직경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는 힘이 부여되어 소성 변형)됨으로써, 접촉 부재(13)가 유지 부재(14)에 유지되어 있다. 여기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직경 축부(15)의 둘레벽(15b)의 하단부, 즉, 유지 부재(14)의 코킹되는 부분에는, 적어도 하나(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4개)의 절결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22)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유지 부재(14)의 대직경 축부(15)의 둘레벽(15b)의 하단부가 코킹된 경우, 접촉 부재(13)가 코킹에 따라 압축된다. 여기서, 절결부(22)의 부분에 대응하는 접촉 부재(13)의 부분은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도 6에 모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부재(14)의 오목부(15a)의 직경=접촉 부재(13)의 코킹 부분(13a)의 외경<접촉 부재(13)의 비코킹 부분(13b)의 외경이 된다. 이에 의해, 접촉 부재(13)에 단차(13c, 13d)가 형성되고(도면에서는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음), 이 단차(13c, 13d)에 둘레 방향으로부터 절결부(22)의 벽면(22a, 22b)이 걸어맞춰지게 된다.
즉, 접촉 부재(13)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절결부(22)의 반시계 방향측의 벽면(22a)이 스토퍼가 되어, 접촉 부재(13)의 반시계 방향측의 단차(13c)에 걸어맞춰져, 회전 방지력을 발생시키고, 또한, 접촉 부재(13)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대해서는, 절결부(22)의 시계 방향측의 벽면(22b)이 스토퍼가 되어, 접촉 부재(13)의 시계 방향측의 단차(13d)에 걸어맞춰져, 회전 방지력을 발생시킨다. 이렇게 해서, 접촉 부재(13)가 유지 부재(14)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밸브체(3) 및 밸브(1)는, 140℃를 넘는 것과 같은 고온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이러한 고온하에서는, 합성 수지제의 접촉 부재(13)에 온도 사이클(고온→저온→고온의 반복)이 가해짐으로써, 종래의 것에서는, 코킹에 의한 회전 방지력이 조기에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밸브체(3)는, 절결부(22)에 의해, 회전 방지력기능이 대폭 향상되어 있고, 고온하에서도 장기간에 걸쳐 접촉 부재(13)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접촉 부재(13)를 PEEK재로 하는 경우에는, 고온에서의 탄성률의 저하가 염려되지만, 상기 밸브체(3)와 PEEK재를 조합함으로써, 고온 사양에 적합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절결부(22)는, 도 6에 도시된 코킹 상태에 있어서, 접촉 부재(13)에 단차(13c, 13d)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면 되고, 따라서, 그 형상이나 수는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컨대, 절결부는, 유지 부재(14)의 외주를 남기도록, 유지 부재(14)의 대직경 축부(15)의 둘레벽(15b)의 내주에 홈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한편, 상기에서는, 밸브(1)로서, 벨로우즈 밸브를 예시하였으나, 상기 밸브체(3)는, 벨로우즈를 갖고 있지 않은 밸브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접촉 부재(13)를 받치는 밸브 시트에 대해서는, 밸브 박스(2)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고, 밸브 박스(2)와는 별도의 부재로 되어도 좋다.
밸브 시트(30)를 밸브 박스(2)와 별도의 부재로 한 실시형태를 도 7에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있어서, 유체 유입 통로(2a)의 둘레 가장자리에 위치하도록 밸브 박스(2)에 합성 수지제의 환형의 밸브 시트(30)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3)의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13)는, 환형의 밸브 시트(30)에 접촉 또는 이격됨으로써, 유체 유입 통로(2a)를 개폐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13)가 스테인리스강제의 밸브 박스(2)와 접촉하는 데 비해, 도 7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13)가 합성 수지제의 밸브 시트(30)와 접촉한다.
밸브 시트(30)의 재료가 되는 합성 수지는, 예컨대 PTFE, PFA 등의 불소계 수지여도 좋고, 암모니아 등에 대한 부식성을 높이기 위해서, PEEK재(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수지)여도 좋다.
한편, 합성 수지제의 밸브 시트(30)의 사용에 맞춰, 다른 구성을 변경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소위 상시 폐쇄형(노멀 클로즈)의 밸브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것이 상시 개방형(노멀 오픈)의 밸브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밸브체 및 고온용 밸브에 대해, 특히, 합성 수지제의 접촉 부재 및 이것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밸브체 및 이러한 밸브체를 구비한 고온용 밸브에 대해, 접촉 부재의 회전 방지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밸브체 및 이러한 밸브체를 구비한 고온용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밸브체 및 고온용 밸브의 장수명화를 실현할 수 있다.
1: 밸브 2: 밸브 박스
2a: 유체 유입 통로 2b: 유체 유출 통로
3: 밸브체 13: 접촉 부재
14: 유지 부재 15a: 오목부
22: 절결부 30: 밸브 시트

Claims (6)

  1. 통로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통로 개구를 막는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와, 접촉 부재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가 접촉 부재를 향하여 코킹됨으로써 접촉 부재가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밸브체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코킹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접촉 부재를 향해서 코킹되고, 상기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응하는 접촉 부재는 직경이 축소되며, 상기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접촉 부재는 직경이 축소되지 않고 상기 접촉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절결부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체.
  2. 통로 개구 가장자리부에 접촉하여 통로 개구를 막는 합성 수지제 접촉 부재와, 접촉 부재가 끼워지는 오목부를 갖는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유지 부재가 접촉 부재를 향하여 코킹됨으로써 접촉 부재가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밸브체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코킹되는 부분에 적어도 하나의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접촉 부재를 향해서 코킹되고, 상기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응하는 접촉 부재는 직경이 축소되며, 상기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 대응하는 접촉 부재는 직경이 축소되지 않고 상기 접촉 부재의 일부가 상기 절결부에 수용되어 있으며,
    접촉 부재는 절결부의 위치에서 접촉 부재가 유지 부재에 끼워지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단면을 갖고, 코킹 전의 상기 접촉 부재의 상기 단면은 외곽선이 원이고, 상기 원의 중심으로부터 코킹 후의 상기 단면의 외곽선 상의 1점 까지의 거리가, 상기 절결부가 있는 위치와 상기 절결부가 없는 위치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결부는, 커팅부, 구멍 또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절결부는 둘레 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체.
  5. 유체 통로가 형성된 밸브 박스와, 유체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하고, 고온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밸브로서,
    밸브체가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밸브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유체 통로의 둘레 가장자리에, 밸브 박스와 별개체의 환형의 합성 수지제 밸브 시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용 밸브.
KR1020167019420A 2014-02-20 2015-02-18 밸브체 및 고온용 밸브 KR1021435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30411 2014-02-20
JP2014030411A JP6280765B2 (ja) 2014-02-20 2014-02-20 弁体および高温用弁
PCT/JP2015/054456 WO2015125828A1 (ja) 2014-02-20 2015-02-18 弁体および高温用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9696A KR20160099696A (ko) 2016-08-22
KR102143570B1 true KR102143570B1 (ko) 2020-08-12

Family

ID=5387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420A KR102143570B1 (ko) 2014-02-20 2015-02-18 밸브체 및 고온용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31763B2 (ko)
JP (1) JP6280765B2 (ko)
KR (1) KR102143570B1 (ko)
CN (1) CN105874251B (ko)
TW (1) TWI644045B (ko)
WO (1) WO20151258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4667B2 (ja) * 2016-03-28 2021-06-30 ナブテスコ株式会社 シール構造、弁及びシール構造の製造方法
CN108119694B (zh) * 2016-11-28 2021-06-01 株式会社山田制作所 热敏阀的制造方法和热敏阀
CN108119662B (zh) * 2016-11-28 2020-12-25 株式会社山田制作所 热敏阀和油泵
JP6866042B2 (ja) * 2017-09-27 2021-04-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液体の吐出方法
DE102020134037A1 (de) * 2020-12-17 2022-06-23 Arianegroup Gmbh Ventil für Fluidleitung mit verbesserter Dichtwirkung und Druckbehälter mit verbessertem Ventil
DE102022114019A1 (de) 2022-06-02 2023-12-07 ECO Holding 1 GmbH Kolben für ein Ventil, elektromagnetisches Ventil und Brennstoffzellen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032A (ja) * 2004-03-18 2005-09-29 Hamai Industries Ltd シート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5047A (en) * 1956-02-14 Antivibration solenoid structure
US1409127A (en) * 1920-07-26 1922-03-07 Graham Valve Company Valve
US1485508A (en) * 1922-05-11 1924-03-04 Ohio Brass Co Valve
US1651942A (en) * 1927-02-17 1927-12-06 George J Belknap Valve
US2311009A (en) * 1938-04-18 1943-02-16 Kenneth M Urquhart Double seated valve
US2271391A (en) * 1940-06-03 1942-01-27 Drake Lewis Driver Valve
US2348548A (en) * 1942-08-05 1944-05-09 Gustave J Kochler Fluid valve
US2617621A (en) * 1946-03-29 1952-11-11 Hobbs James Clarence Valve
US2619115A (en) * 1947-03-22 1952-11-25 John A Dondero Spring biased relief valve
US2740425A (en) * 1951-06-20 1956-04-03 Frick Co High capacity, gas tight seating, adjustable safety valve
US2861569A (en) * 1955-04-01 1958-11-25 John H Emerson Valve apparatus for dispensing gas
US3356335A (en) * 1965-03-31 1967-12-05 Whitey Research Tool Co Sample cylinder valve
US3831900A (en) * 1969-05-07 1974-08-27 Whitey Research Tool Co Valve with sealing seat abutting a soft annular ring and stem
JPH0126936Y2 (ko) * 1985-01-18 1989-08-11
JPS6426936A (en) 1987-07-23 1989-0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processor
JPH0260772U (ko) * 1988-10-27 1990-05-07
US5193577A (en) * 1990-06-25 1993-03-16 Holthuis B.V Sludge pump valve
US5417373A (en) * 1994-02-10 1995-05-23 Siemens Automotive L.P. Electromagnet for valves
US5450876A (en) * 1994-05-11 1995-09-19 Marotta Scientific Controls, Inc. Magnetically linked valve construction
JPH08121615A (ja) * 1994-10-19 1996-05-17 Nabco Ltd 弁構造
JP3020569U (ja) * 1995-03-30 1996-02-02 味の素株式会社 バルブの弁体部構造
JPH0932934A (ja) * 1995-07-21 1997-02-07 Cam:Kk 水栓用のバルブ体
US5709369A (en) * 1996-07-05 1998-01-20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Inc. Self-aligning valve disc assembly
JP3287316B2 (ja) * 1998-04-23 2002-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慣性圧入方法
JP2002113539A (ja) * 2000-10-11 2002-04-16 Yamaho Kogyo Kk 金属管と継手部材との接合構造
FR2834770B1 (fr) * 2002-01-11 2004-06-25 Gce Sas Dispositif d'obturation utilisable dans un dispositif de robinet pour bouteille de gaz sous pression
JP2003314370A (ja) * 2002-04-26 2003-11-06 Zama Japan Kk 開閉弁の弁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00345B2 (ja) * 2002-09-02 2009-07-22 株式会社フジキン 制御器
CN2826095Y (zh) * 2005-08-15 2006-10-11 宁波志清实业有限公司 一种液化石油气瓶阀
EP1906066A1 (fr) * 2006-09-28 2008-04-02 Luxembourg Patent Company S.A. Robinet, notamment pour bouteille de gaz ultra-haute pureté
EP2076698B1 (en) * 2006-10-13 2011-01-12 Parker-Hannifin Corporation Three-way poppet valve
JP2009079623A (ja) * 2007-09-25 2009-04-16 Jtekt Corp 弁装置および手動開閉弁装置
JP4510865B2 (ja) * 2007-10-24 2010-07-28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通電時閉型電磁弁
DE102008009815B4 (de) 2008-02-19 2016-09-29 Robert Bosch Gmbh Rückzugkugel für eine hydrostatische Kolbenmaschine und System aus einer solchen Rückzugskugel und aus einer Vielzahl von Federn
US8302622B2 (en) * 2010-02-24 2012-11-0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Unbalanced inlet fuel tube for a fuel pressure regulator
CN202140588U (zh) * 2011-06-21 2012-02-08 镇江市华阳机电制造有限公司 活动铆接式阀芯
CN102305297A (zh) * 2011-09-07 2012-01-04 江苏永兴集团 一种高温高压的截止阀
JP5802540B2 (ja) * 2011-12-15 2015-10-28 株式会社不二工機 複合弁
JPWO2013129140A1 (ja) * 2012-02-27 2015-07-30 Ckd株式会社 てこ式切替弁
CN202955217U (zh) * 2012-12-11 2013-05-29 四川制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内铆式体套配合结构
US9709998B2 (en) * 2013-03-14 2017-07-18 Marshall Excelsior Co. Pressure regulator
WO2014160594A1 (en) * 2013-03-28 2014-10-02 Borgwarner Inc. Wastegate ball-valve
US9353866B2 (en) * 2014-04-17 2016-05-31 Caterpillar Inc. Seal assembly with complementary surface deformations
JP6333086B2 (ja) * 2014-06-26 2018-05-30 株式会社不二工機 三方電磁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5032A (ja) * 2004-03-18 2005-09-29 Hamai Industries Ltd シート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55714A (ja) 2015-08-27
WO2015125828A1 (ja) 2015-08-27
KR20160099696A (ko) 2016-08-22
TWI644045B (zh) 2018-12-11
JP6280765B2 (ja) 2018-02-14
CN105874251B (zh) 2019-05-17
TW201544740A (zh) 2015-12-01
CN105874251A (zh) 2016-08-17
US10731763B2 (en) 2020-08-04
US20170184204A1 (en) 201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570B1 (ko) 밸브체 및 고온용 밸브
CN105546208B (zh) 减压阀
JP5875694B2 (ja) バルブ
TW201309949A (zh) 逆止閥
CN104358884B (zh) 用于流体阀的密封组件
JP6316075B2 (ja) リミットスイッチ
JP7216001B2 (ja)
US10234035B2 (en) Seal structure of regulating valve gland portion
US9395019B2 (en) Device for sealing a valve
KR101584479B1 (ko) 유체 제어기용 액추에이터
JP2013196399A (ja) 減圧弁
CN109690160B (zh) 柔性阀杆波纹管组件
TW201920862A (zh) 密封裝置
WO2015137371A1 (ja) アキュムレータ
US20140138082A1 (en) Thermally-sensitive triggering mechanism for selective mechanical energization of annular seal element
JP2005321061A (ja) 高温用弁
JP2009243522A (ja) 安全弁及びシール構造
EP3112661A1 (en) Sealing arrangement
US2722232A (en) Check valve
US10041593B2 (en) Piston ring assembly
US9777854B2 (en) Safety valve
JP2020502455A (ja)
US9677679B2 (en) Valve with force generating element
US20190211933A1 (en) A butterfly valve disc arrangement
JP6313856B2 (ja) 液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147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430

Effective date: 20200427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