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720B1 -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 Google Patents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720B1
KR102142720B1 KR1020180014393A KR20180014393A KR102142720B1 KR 102142720 B1 KR102142720 B1 KR 102142720B1 KR 1020180014393 A KR1020180014393 A KR 1020180014393A KR 20180014393 A KR20180014393 A KR 20180014393A KR 102142720 B1 KR102142720 B1 KR 102142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dhesion
weight
composition
polyethylene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4808A (ko
Inventor
김진운
김진태
Original Assignee
(주)현우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현우테크 filed Critical (주)현우테크
Priority to KR1020180014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720B1/ko
Priority to EP19751332.8A priority patent/EP3750570A4/en
Priority to CN201980011913.4A priority patent/CN111683696A/zh
Priority to US16/967,607 priority patent/US20210269638A1/en
Priority to PCT/KR2019/001489 priority patent/WO2019156463A1/ko
Publication of KR20190094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2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6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12Chemical modification
    • C08J7/123Treatment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4Algi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40Preparation and treatment of biological tissue for implantation, e.g. decellularisation, 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0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J2401/00 or C08J2403/00
    • C08J2405/04Alginic acid;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착 방지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류수,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알지네이트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압착된 필름에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며,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착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압착한 후 압착된 필름을 가교시켜 제조되며, 기계적 강도, 유연성, 점착성, 세포독성,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유착방지 특성 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A adhesion prevention film with excellent adhesion property}
본 발명은 유착 방지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류수,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알지네이트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압착된 필름에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며,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착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착방지막, 창상피복제 등의 의료 분야에 생분해성 고분자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유착이란 외과적 개복수술 후 복강 내부에 형성된 상처의 치유과정에서 섬유조직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혈액이 유출되어 응고함으로써 주변의 장기 또는 조직과 상처 부위가 서로 결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유착이 발생하면 환자에게 각종 후유증이나 2차적인 질병을 유발하며 유착이 발생한 조직은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유착방지제는 유착이 예상되는 부위에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여 수술 부위와 정상 조직 사이에서 유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유착방지제로는 필름 형태와 겔 형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필름 형태는 복잡한 형상의 수술 부위에는 적용이 어려우며 겔 형태는 상처가 치유되기 전에 분해 또는 흡수되어 유착방지제로서의 효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착방지제에 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10572호, 한국등록특허 제10-0552954호, 일본공개특허 제09-263671호).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필름은 점막에 대한 점착력이 낮아 사용 시 창상에 오랫동안 잔류하지 못하므로 유착 방지 특성이 불량하다.
또한 필름의 강도가 약하여 쉽게 휘어지거나 수축할 수 있어 유착 방지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없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7-0010572A 한국등록특허공보 10-0552954B1 일본공개특허공보 09-263671A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증류수,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알지네이트를 포함하고,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압착한 후 압착된 필름을 가교시켜 제조되며, 기계적 강도, 유연성, 점착성, 세포독성,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유착방지 특성 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증류수,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알지네이트를 포함하고,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10중량부 및 알지네이트 1~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알지네이트의 중량비는 60~90: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압착된 필름에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알지네이트의 중량비는 60~90:10~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압착된 필름에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압착하는 단계의 압력은 50~150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착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유착방지막, 창상피복제, 마스크 팩, 약물전달시스템, 조직공학용 소재, 카테터, 코팅소재, 분리막 또는 콘택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류수,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알지네이트를 포함하고,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압착한 후 압착된 필름을 가교시켜 제조되며, 기계적 강도, 유연성, 점착성, 세포독성,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유착방지 특성 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증류수,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알지네이트를 포함하고,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착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10중량부 및 알지네이트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류수는 조성물의 농도를 조절하고, 필름 제조 시에 필름을 팽윤시키고 동결 건조 동안 증발되어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생분해성, 기계적 특성, 유연성 등이 우수하여 유착 방지막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점막에 대한 점착성이 낮아서 유착 방지막으로 사용 시 창상에 오랫동안 잔류하지 못하므로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1,00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분자량이 1,0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성이 불량하여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함량은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성 및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알지네이트는 접착력이 우수하여 필름의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알지네이트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100,000g/mol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30,000g/mol이다. 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1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성이 불량하여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알지네이트의 함량은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알지네이트의 중량비는 60~90:1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량비가 90:10을 초과하면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60:40 미만인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팩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펙틴은 D-갈락투론산의 중합체로서 분자 내에 다수의 카르복실기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카르복실기는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켜 유착 방지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펙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0~10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2,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1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분산성이 불량하여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팩틴의 함량은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함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알지네이트 및 펙틴을 사용하는 경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알지네이트 및 펙틴의 중량비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지네이트 20~50중량부 및 펙틴 10~3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필름의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카르복실기로 전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르복실기가 도입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NaClO, KMnO4, K2Cr2O7, H2Cr2O7, H2CrO4 등의 산화제로 산화시켜 제조되거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와 말레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등의 산무수물 또는 숙신산,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조성물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트산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생분해성을 개선하고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압착된 필름에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착 방지 필름은 조성물을 혼합한 후 캐스팅하거나 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한 다음 가교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가교된 필름을 유착방지용 필름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필름을 물로 팽윤시킨 후에 유착방지 부위에 부착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필름이 유착방지 부위에 부착된 후 인체 내의 수분에 의해 팽윤된다.
상기 가교된 필름을 팽윤시켜 사용하거나 사용 중에 팽윤되는 경우 필름의 가로, 세로 및 높이는 각각 2~3배 팽창하며, 이러한 팽창에 의해 필름의 강도와 연신율이 감소하여 사용 중에 필름이 쉽게 찢어지거나 필름이 유착방지 부위에서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만일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일반적인 건조공정으로 건조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캐스팅 초기에 팽윤된 필름은 건조공정 동안 수분이 증발하면서 가로, 세로 및 높이가 수축하게 되며, 이렇게 제조된 가교 필름을 유착방지용 필름으로 사용하게 되면 기존 필름의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가교된 필름을 팽윤시켜 사용하거나 사용 중에 팽윤되는 경우 필름의 가로, 세로 및 높이는 각각 2~3배 팽창하며, 이러한 팽창에 의해 필름의 강도와 연신율이 감소하여 사용 중에 필름이 쉽게 찢어지거나 필름이 유착방지 부위에서 쉽게 이탈할 수 있다.
한편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는 경우에는, 상기 캐스팅 초기에 팽윤된 필름은 건조공정 동안 수분이 증발하더라도 가로, 세로 및 높이가 팽창된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즉, 스펀지 형태의 필름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필름 내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을 20~40중량%로 조절한 후에 동결 건조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결 건조 전에 필름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이 20중량% 미만인 경우 점착성이 감소하고, 40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감소된다.
상기 동결 건조된 스펀지 형태의 필름은 압착하는 단계를 통하여 필름의 높이 즉, 두께를 원래 크기로 회복시킬 수 있다. 즉, 동결 건조된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일정압력으로 압착하여 필름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는 팽창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필름의 두께만 원래의 크기로 수축하게 된다.
상기 압착하는 단계의 압력은 50~150kgf/cm2 인 것이 바람직하며, 압력이 50kgf/cm2 미만인 경우 유착 방지 특성이 감소하고, 150kgf/cm2 을 초과하면 필름의 기계적 강도가 감소한다.
또한 상기 압착하는 단계의 압력을 2단계로 나누어 수행할 수 있으며, 먼저 압력을 50~80kgf/cm2 로 하여 1차 압착한 다음, 압력을 100~130kgf/cm2 로 하여 2차 압착할 수도 있다. 압력을 2단계로 인가함으로써 필름의 점착성과 기계적 강도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압착된 필름에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킴으로써 가교밀도가 증가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필름의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처를 치유하는 동안 유착방지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필름을 가교시키는 동안 아세트산 또는 이산화탄소를 퍼지하여 필름의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함으로써 필름의 점착성을 개선하여 점막에 대한 부착력 및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교 시 광원의 방사선량은 150~400kGy 인 것이 바람직하며, 방사선량이 150kGy 미만인 경우 필름의 가교밀도가 감소하여 점착성이 저하되고, 400kGy를 초과하면 필름의 생분해성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필름을 유착방지용 필름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필름을 팽윤시켜 사용하거나 사용 중에 상기 필름이 팽윤되는데, 이때 필름의 가로 및 세로는 동결 건조에 의하여 이미 팽윤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 팽윤되지 않고, 필름의 높이만 약간 팽창하게 되며, 따라서 필름의 강도와 연신율이 유지되어 사용 중에 필름이 쉽게 찢어지지 않고 필름이 유착방지 부위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압착된 필름에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착 방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50~500㎛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착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유착방지막, 창상피복제, 마스크 팩, 약물전달시스템, 조직공학용 소재, 카테터, 코팅소재, 분리막 또는 콘택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착 방지 필름은 기계적 강도, 유연성, 점착성, 세포독성,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유착방지 특성 등이 우수하여 유착방지막, 창상피복제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증류수 100중량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7중량부 및 알지네이트 3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100kgf/cm2 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압착된 필름에 250kGy의 전자빔(전류 5mA, 에너지 0.7MeV)을 조사하여 가교함으로써 두께가 100㎛ 인 유착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알지네이트 0.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알지네이트 7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펙틴 2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카르복실기로 전환한 것) 5중량부를 추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70kgf/cm2 의 압력으로 1차 압착한 후, 110kgf/cm2 의 압력으로 2차 압착하여 필름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알지네이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증류수 100중량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7중량부 및 알지네이트 3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혼합된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자연 건조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에 250kGy의 전자빔(전류 5mA, 에너지 0.7MeV)을 조사하여 가교함으로써 두께가 100㎛ 인 유착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필름의 기계적 특성 및 점착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기계적 특성)
필름의 인장강도 및 인장 탄성율은 인장시험기 (Instron 2710-105, USA)를 사용하여 10mm/min의 일정한 연신속도로 측정되었다.
(열수축률)
필름을 종방향으로 300㎜, 횡방향으로 200㎜으로 자른 후 150℃로 유지되는 열풍 오븐에 20분간 열처리 한 후 길이를 측정하여 아래 식에 따라서 열수축률을 측정하였다.
열수축률(%)=(수축 전의 길이-수축 후의 길이)/(수축 전의 길이)×100
(점착강도)
소의 내장을 이용한 조직 접착성 실험은 인장 시험 기계(tensile test machine(Instron 4464, UK))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인치의 너비와 7인치의 길이로 준비하여 접은 후 양 말단을 1/2인치 마스트 테이프를 이용해서 물방울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붙인 후 위 그립에 고정했다.
소의 내장(소장)을 1 평방 인치(square inch)가 되도록 잘라 아래의 그립에 고정하고 크로스헤드를 아래로 움직여 필름과 소의 내장을 5분간 접촉시켰다.
필름과 소장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최대의 힘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1 2
인장강도
(MPa)
0.35 0.28 0.29 0.36 0.36 0.39 0.23 0.25
인장탄성율
(MPa)
1.9 1.8 2.0 2.2 1.9 2.3 1.5 1.4
열수축률
(%)
3.6 3.9 4.0 3.1 3.3 2.9 7.1 6.9
점착강도
(cN)
6.9 6.3 6.4 7.0 7.3 7.6 5.6 5.5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6의 유착 방지 필름은 기계적 강도, 열수축률 및 점막에 대한 점착성이 우수하여 유착 방지 막, 창상피복제 등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6의 필름은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반면 비교예 1 및 2는 실시예 1 내지 6에 비해 기계적 강도, 열수축률 및 점막에 대한 점착성이 열등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증류수,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알지네이트를 혼합하여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착 방지용 조성물을 캐스팅한 후 동결 건조하여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스펀지 형태의 필름을 압착하는 단계; 및
    상기 압착된 필름에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착 방지용 조성물은 증류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10중량부 및 알지네이트 1~10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알지네이트의 중량비는 60~90:10~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하는 단계의 압력은 50~150kgf/cm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5. 제3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유착 방지 필름.
  6. 삭제
  7. 제5항의 유착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유착방지막, 창상피복제, 마스크 팩, 약물전달시스템, 조직공학용 소재, 카테터, 코팅소재, 분리막 또는 콘택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KR1020180014393A 2018-02-06 2018-02-06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KR102142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93A KR102142720B1 (ko) 2018-02-06 2018-02-06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EP19751332.8A EP3750570A4 (en) 2018-02-06 2019-02-06 ADHESION PREVENTING FILM WITH EXCELLENT SURFACE PULL RESISTANCE
CN201980011913.4A CN111683696A (zh) 2018-02-06 2019-02-06 粘结性优秀的防粘连膜
US16/967,607 US20210269638A1 (en) 2018-02-06 2019-02-06 Adhesion prevention film with excellent adhesive property
PCT/KR2019/001489 WO2019156463A1 (ko) 2018-02-06 2019-02-06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393A KR102142720B1 (ko) 2018-02-06 2018-02-06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808A KR20190094808A (ko) 2019-08-14
KR102142720B1 true KR102142720B1 (ko) 2020-08-07

Family

ID=6754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393A KR102142720B1 (ko) 2018-02-06 2018-02-06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69638A1 (ko)
EP (1) EP3750570A4 (ko)
KR (1) KR102142720B1 (ko)
CN (1) CN111683696A (ko)
WO (1) WO2019156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42815B2 (ja) 2010-10-08 2016-12-14 ザ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テキサス システム 生物医学的応用のためのアルギン酸塩及びヒアルロン酸を用いる抗癒着性バリア膜
WO2012048283A1 (en) 2010-10-08 2012-04-12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One-step processing of hydrogels for mechanically robust and chemically desired features
WO2018165327A1 (en) 2017-03-08 2018-09-13 Alafair Biosciences, Inc. Hydrogel medium for the storage and preservation of tissue
KR102414535B1 (ko) * 2020-02-20 2022-06-30 주식회사 원바이오젠 전기방사 및 열압착에 의해 제조한 단층구조의 나노섬유상 유착방지막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849B1 (ko) 2015-11-10 2016-03-3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3671A (ja) 1996-03-29 1997-10-07 Japan Atom Energy Res Inst 粘着性pvaハイドロゲルの製造方法
US20050074495A1 (en) * 1997-06-17 2005-04-07 Fziomed, Inc. Compositions of polyacid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reducing adhesions
KR20010107067A (ko) * 2000-05-25 2001-12-07 김정식 유착방지제
KR100552954B1 (ko) 2002-09-04 2006-02-20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
KR100565881B1 (ko) * 2003-07-24 2006-03-29 이진호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이용한 조직유착 방지제
EP1666503B1 (en) * 2003-09-12 2010-05-05 Seikagaku Corporation Polysaccharide pseudo-sponge
KR100676937B1 (ko) * 2005-06-01 2007-02-02 주식회사 제닉 피부미용 및 상처치료용 수용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4346A (ko) * 2005-06-22 2006-12-28 한국원자력연구소 키토산계 미세다공성 폼 드레싱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8348B1 (ko) 2005-07-19 2007-08-09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한 상처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
KR101468287B1 (ko) * 2013-02-06 2014-12-02 주식회사 제네웰 고분자 조성물 및 이로부터 탄성 창상피복재의 제조방법
KR101649792B1 (ko) * 2014-07-16 2016-08-22 주식회사 제네웰 비압박 지혈용 고분자 폼 제조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비압박 지혈용 고분자 폼의 제조방법 및 비압박 지혈 팩킹용 고분자 폼
EP3159019A4 (en) * 2014-07-24 2018-02-21 Medytox Inc. Temperature sensitive adhesion preventio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849B1 (ko) 2015-11-10 2016-03-3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im Duckil, Choi Geun joo et al., "Characterization of Anti-Adhesion Properties of Alginate/Polyethylene Oxide Film to Reduce Postsurgical Peritoneal Adhesions", Science of Advanced Materials(2017), 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9638A1 (en) 2021-09-02
CN111683696A (zh) 2020-09-18
EP3750570A4 (en) 2021-04-07
KR20190094808A (ko) 2019-08-14
WO2019156463A1 (ko) 2019-08-15
EP3750570A1 (en)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720B1 (ko)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KR101923734B1 (ko) 유착 방지용 가교 필름
DE69628783T2 (de) Hydrogelbildende, selbst-solvatisierende, absorbierbare Polyestercopolymere sowie Verfahren zu deren Verwendung
US6897245B2 (en) Medical materials sterilized by radiation and their ways in use
CN103857417B (zh) 橡胶增韧的可生物再吸收聚合物外周支架
JPH0552749B2 (ko)
JPS6012068A (ja) 可変の生体内の物理的性質を達成するためのポリグリコ−ル酸の構造的外科的要素の変性
KR20080034181A (ko) 유착 방지막
WO2017082446A1 (ko)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160015852A1 (en) Composite material
CN112516372A (zh) 一种用于可吸收手术缝合线的复合载药纤维
JP2003525703A (ja) 人および獣の医薬に使用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性質を備えた新規な天然ポリマーを基材とする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68136B1 (ko) 유착 방지 필름
KR101921330B1 (ko) 유착 방지 필름
EP4218840A1 (en) Biocompatibl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16136884A1 (ja) 医療用材料及び癒着防止材
US20070233277A1 (en) Bioabsorbable tub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KR102183132B1 (ko)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해양자원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CN112608586B (zh) 一种可降解形状记忆医用夹板及其制备方法
KR102414535B1 (ko) 전기방사 및 열압착에 의해 제조한 단층구조의 나노섬유상 유착방지막 및 그 제조방법
CN115337465B (zh) 防粘连膜材及其制备方法
Islam et al. Polymer Matrixes Used in Wound Healing Applications
US20230142889A1 (en) Biodegradable polymer-gelatin hydrogel composit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medical implant comprising biodegradable polymer-gelatin hydrogel composite
US20210060214A1 (en) Electrospun anti-adhesion barrier
Bhat et al. Synthetic poly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