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330B1 - 유착 방지 필름 - Google Patents
유착 방지 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1330B1 KR101921330B1 KR1020170029418A KR20170029418A KR101921330B1 KR 101921330 B1 KR101921330 B1 KR 101921330B1 KR 1020170029418 A KR1020170029418 A KR 1020170029418A KR 20170029418 A KR20170029418 A KR 20170029418A KR 101921330 B1 KR101921330 B1 KR 1019213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layer
- polyethylene oxide
- adhesion
- polyethylene glycol
- film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Adhesive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1/00—Use of polyethers, e.g. PEEK, i.e. polyether-etherketone or PEK, i.e. polyetherketone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71/02—Polyalkylene oxides, e.g. PEO, i.e. polyethylene oxide,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착 방지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고 휘어지거나 수축하지 않으며, 우수한 유착 방지 특성을 나타내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층의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사용함으로써,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층을 가교시킴으로써 가교밀도가 증가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상처를 치유하는 동안 유착방지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고 휘어지거나 수축하지 않으며, 우수한 유착 방지 특성을 나타내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층의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사용함으로써,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층을 가교시킴으로써 가교밀도가 증가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상처를 치유하는 동안 유착방지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착 방지 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유착방지막, 창상피복제 등의 의료 분야에 생분해성 고분자를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다.
유착이란 외과적 개복수술 후 복강 내부에 형성된 상처의 치유과정에서 섬유조직이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혈액이 유출되어 응고함으로써 주변의 장기 또는 조직과 상처 부위가 서로 결합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유착이 발생하면 환자에게 각종 후유증이나 2차적인 질병을 유발하며 유착이 발생한 조직은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없게 된다.
유착방지제는 유착이 예상되는 부위에 물리적 장벽을 형성하여 수술 부위와 정상 조직 사이에서 유착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유착방지제로는 필름 형태와 겔 형태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필름 형태는 복잡한 형상의 수술 부위에는 적용이 어려우며 겔 형태는 상처가 치유되기 전에 분해 또는 흡수되어 유착방지제로서의 효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유착방지제에 관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10572호는 a) 생체적합성 고분자 및 다가알콜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 수용액을 동결 및 해동하여 예비 수화겔을 성형하는 단계; b)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고분자 필름, 부직포 또는 섬유 상에 코팅하고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폴리비닐알콜이 코팅된 고분자 필름, 부직포 또는 섬유 상에 상기 예비 수화겔을 붙여 압착하는 단계; 및 d) 포장재료를 사용하여 상기 압착된 수화겔을 포장하고,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기술을 이용한 상처 치료용 수화겔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552954호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일종인 콘드로이틴설페이드, 더마탄설페이드, 케라탄설페이드, 헤파란설페이드, 히알루론산, 콜라겐 및 그 분해물인 젤라틴, 엘라스틴 및 피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생체유래고분자와 분자량이 5,000Da 이상 100,000Da 이하이며, 이 중 PEG의 함량이 50중량% 내지 90중량%인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그라프트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교차 공중합체, 가교결합 및 부분 내삽된 고분자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결합으로 화학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생체유래고분자가 0.5중량% 내지 50중량%, 상기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50중량% 내지 99.5중량%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체내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경우 팽윤되고, 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필름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일본공개특허 제09-263671호는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을 성형 건조하고 열처리한 후, 이를 수용액에 함침하여 팽창시킨 다음 방사선을 조사하여 하이드로 겔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콜 수용액 및/또는 열처리 후의 함침 수용액에,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메틸비닐에테르 무수물 공중합체 및 이소부틸렌 무수 말레산 공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성 폴리비닐알콜 하이드로 겔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필름은 점막에 대한 점착력이 낮아 사용 시 창상에 오랫동안 잔류하지 못하므로 유착 방지 특성이 불량하다.
또한 필름의 강도가 약하여 쉽게 휘어지거나 수축할 수 있어 유착 방지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고 휘어지거나 수축하지 않으며, 우수한 유착 방지 특성을 나타내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층의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사용함으로써,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층을 가교시킴으로써 가교밀도가 증가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상처를 치유하는 동안 유착방지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비는 70~95:5~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카르복실기로 전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트산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제1지지층;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제2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층 및 제2지지층의 일축 연신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여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지지층에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1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2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층 및 제2지지층의 일축 연신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유착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 막, 창상피복제, 마스크 팩, 분리막, 콘택트 렌즈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고 휘어지거나 수축하지 않으며, 우수한 유착 방지 특성을 나타내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층의 성분으로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사용함으로써,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착 방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지지층을 가교시킴으로써 가교밀도가 증가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상처를 치유하는 동안 유착방지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생분해성, 기계적 특성, 점착성, 유연성 등이 우수하여 유착 방지막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가소제로 작용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가공성을 개선하고 필름의 연신율 및 생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비는 70~95:5~30이고, 바람직하게는 85~95:5~15이다. 중량비가 95:5를 초과하면 가공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70:30 미만인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1,00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착 방지 필름의 기계적 강도, 유연성, 점착성, 유착방지 특성 등이 저하된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2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자량이 2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2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카르복실기로 전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르복실기가 도입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NaClO, KMnO4, K2Cr2O7, H2Cr2O7, H2CrO4 등의 산화제로 산화시켜 제조되거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와 말레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등의 산무수물 또는 숙신산,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1,000,000 g/mol이고, 분자량이 100,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1,0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500,000 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200,000g/mol이다. 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5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트산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생분해성을 개선하고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200,000 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100,000g/mol이다. 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2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기계적 강도 및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200,000 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100,000g/mol이다. 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인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2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유도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카르복실기로 전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르복실기가 도입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유도체는 상기 공중합체를 NaClO, KMnO4, K2Cr2O7, H2Cr2O7, H2CrO4 등의 산화제로 산화시켜 제조되거나 상기 공중합체와 말레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등의 산무수물 또는 숙신산,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상기 공중합체의 유도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공중합체 유도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200,000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100,000g/mol이다. 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2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한 후 이를 연신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층의 두께는 30~5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제1지지층;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제2지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층 및 제2지지층을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열압착하여 지지층을 제조하거나 제1지지층과 제2지지층을 공압출하여 지지층을 제조하거나 또는 제1지지층을 제조한 후 제1지지층 위에 제2지지층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여 지지층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층 및 제2지지층의 일축 연신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층만으로 유착 방지 필름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필름은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쉽게 휘어지거나 수축할 수 있으며, 이를 상처 부위에 적용 시 상처 부위에서 쉽게 이탈하여 유착 방지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지지층을 일축 연신 방향이 서로 수직인 제1지지층과 제2지지층으로 구성함으로써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켜 쉽게 휘어지거나 수축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층은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켜 제조될 수 있다.
제조된 지지층에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킴으로써 가교밀도가 증가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필름의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처를 치유하는 동안 유착방지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을 가교시키는 동안 아세트산 또는 이산화탄소를 퍼지하여 지지층의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함으로써 지지층의 점착성을 개선하여 점막에 대한 부착력 및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착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빔, 감마선 또는 자외선을 조사할 때 아세트산 또는 이산화탄소를 퍼지하면 지지층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막아 지지층이 가교 전에 녹아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기존에는 가교 시 질소나 아르곤으로 퍼지하여 지지층의 표면 산화를 방지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필름의 점착성이 불량하여 유착 방지 막으로 사용된 필름은 수술 부위의 점막에서 쉽게 이탈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상기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지지층의 강도 및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층만으로 유착 방지 필름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필름은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쉽게 휘어지거나 수축할 수 있으며, 이를 상처 부위에 적용 시 상처 부위에서 쉽게 이탈하여 유착 방지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접착층을 형성함으로써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켜 쉽게 휘어지거나 수축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는 생분해성, 기계적 특성, 점착성, 유연성 등이 우수하여 유착 방지막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가소제로 작용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가공성을 개선하고 필름의 연신율 및 생분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알지네이트는 접착력이 우수하여 필름의 점착력을 개선할 수 있고, 키토산은 필름의 접착력과 지혈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1~20중량부, 알지네이트 1~10중량부 및 키토산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필름의 기계적 강도 및 점착성이 향상된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1,00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유착 방지 필름의 기계적 강도, 유연성, 점착성, 유착방지 특성 등이 저하된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00~2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고, 분자량이 2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2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카르복실기로 전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르복실기가 도입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를 NaClO, KMnO4, K2Cr2O7, H2Cr2O7, H2CrO4 등의 산화제로 산화시켜 제조되거나 폴리에틸렌옥사이드와 말레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등의 산무수물 또는 숙신산,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0~1,000,000 g/mol이고, 분자량이 100,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1,0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메타크릴산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500,000 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200,000g/mol이다. 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5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트산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생분해성을 개선하고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200,000 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100,000g/mol이다. 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2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공중합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기계적 강도 및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공중합체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200,000 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100,000g/mol이다. 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인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2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도체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점막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유도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카르복실기로 전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르복실기가 도입된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유도체는 상기 공중합체를 NaClO, KMnO4, K2Cr2O7, H2Cr2O7, H2CrO4 등의 산화제로 산화시켜 제조되거나 상기 공중합체와 말레산 무수물, 숙신산 무수물 등의 산무수물 또는 숙신산, 아디프산 등의 디카르복실산을 반응시켜 제조된다.
상기 공중합체의 유도체는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공중합체 유도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0~200,000g/mol이고, 바람직하게는 50,000~100,000g/mol이다. 분자량이 10,000g/mol 미만인 경우 점착성 및 유착 방지 특성이 저하되고, 200,000g/mol를 초과하는 경우 기계적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한 후 이를 연신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1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착 방지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지지층 및 접착층을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열압착하여 제조하거나 지지층과 접착층을 공압출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지지층을 제조한 후 지지층 위에 접착층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여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지층 및 접착층을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열압착하여 유착 방지 필름을 제조하거나 지지층과 접착층을 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하거나 또는 지지층을 제조한 후 지지층 위에 접착층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여 필름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층 및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트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및/또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의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착 방지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10~1,00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지지층에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지지층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조된 지지층에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킴으로써 가교밀도가 증가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며 필름의 분해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처를 치유하는 동안 유착방지 특성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층을 가교시키는 동안 아세트산 또는 이산화탄소를 퍼지하여 지지층의 표면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함으로써 지지층의 점착성을 개선하여 점막에 대한 부착력 및 생체적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접착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1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2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층 및 제2지지층을 각각 제조한 후, 이를 열압착하여 지지층을 제조하거나 제1지지층과 제2지지층을 공압출하여 지지층을 제조하거나 또는 제1지지층을 제조한 후 제1지지층 위에 제2지지층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여 지지층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지지층 및 제2지지층의 일축 연신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층만으로 유착 방지 필름을 구성하는 경우, 상기 필름은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쉽게 휘어지거나 수축할 수 있으며, 이를 상처 부위에 적용 시 상처 부위에서 쉽게 이탈하여 유착 방지 특성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지지층을 일축 연신 방향이 서로 수직인 제1지지층과 제2지지층으로 구성함으로써 필름의 강도를 향상시켜 쉽게 휘어지거나 수축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착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유착 방지 막 또는 창상피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착 방지 필름은 기계적 강도, 유연성, 점착성, 세포독성, 생분해성, 생체적합성, 유착방지 특성 등이 우수하여 유착방지막, 창상피복제, 마스크 팩, 분리막, 콘택트 렌즈 등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g/mol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g/mol인 폴리에틸렌글리콜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압출하여 두께 100㎛의 지지층을 제조하였다.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g/mol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g/mol인 폴리에틸렌글리콜 10중량부, 알지네이트 5중량부 및 키토산 3중량부를 혼합한 후 압출하여 두께 50㎛의 접착층을 제조하였다.
접착층/지지층/접착층의 3층을 배치한 후 열압착하여 유착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카르복실기로 전환한 것) 5중량부를 추가하여 지지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착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지지층에 300kGy의 전자빔(전류 5mA, 에너지 0.7MeV)을 조사하여 지지층을 가교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착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을 압출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1지지층을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을 압출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2지지층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1지지층과 제2지지층의 일축 연신 방향을 서로 수직으로 배치한 후 열압착하여 지지층을 제조하였다.
지지층으로 제1지지층과 제2지지층의 2층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착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트산 공중합체 5중량부를 추가하여 접착층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착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g/mol인 폴리에틸렌옥사이드 100중량부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g/mol인 폴리에틸렌글리콜 10중량부를 혼합한 후 압출하여 두께 100㎛의 지지층을 제조하였다.
접착층 없이 지지층만으로 유착 방지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유착 방지 필름의 기계적 특성 및 점착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기계적 특성)
필름의 인장강도 및 인장 탄성율은 인장시험기 (Instron 2710-105, USA)를 사용하여 10mm/min의 일정한 연신속도로 측정되었다.
(열수축률)
필름을 종방향으로 300㎜, 횡방향으로 200㎜으로 자른 후 150℃로 유지되는 열풍 오븐에 20분간 열처리 한 후 길이를 측정하여 아래 식에 따라서 열수축률을 측정하였다.
열수축률(%)=(수축 전의 길이-수축 후의 길이)/(수축 전의 길이)×100
(점착강도)
소의 내장을 이용한 조직 접착성 실험은 인장 시험 기계(tensile test machine(Instron 4464, UK))를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제조된 필름을 1인치의 너비와 7인치의 길이로 준비하여 접은 후 양 말단을 1/2인치 마스트 테이프를 이용해서 물방울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붙인 후 위 그립에 고정했다.
소의 내장(소장)을 1 평방 인치(square inch)가 되도록 잘라 아래의 그립에 고정하고 크로스헤드를 아래로 움직여 필름과 소의 내장을 5분간 접촉시켰다.
필름과 소장을 분리하는데 필요한 최대의 힘을 측정하였다.
구분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1 | |
인장강도 (MPa) |
0.34 | 0.37 | 0.41 | 0.44 | 0.36 | 0.26 |
인장탄성율 (MPa) |
1.8 | 1.9 | 2.0 | 2.2 | 1.9 | 1.5 |
열수축률 (%) |
3.5 | 3.2 | 2.4 | 2.1 | 3.3 | 7.1 |
점착강도 (cN) |
6.8 | 6.9 | 7.1 | 7.0 | 8.1 | 5.6 |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5의 유착 방지 필름은 기계적 강도, 열수축률 및 점막에 대한 점착성이 우수하여 유착 방지 막, 창상피복제 등에 안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은 실시예 1 내지 5에 비해 기계적 강도, 열수축률 및 점막에 대한 점착성이 열등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포함하는 지지층; 및
상기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형성되고,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접착층을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중량비는 70~95: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 유도체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의 말단 하이드록실기를 카르복실기로 전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락트산 공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제1지지층;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제2지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층 및 제2지지층의 일축 연신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
-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여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층의 한 면 또는 양 면에,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글리콜, 알지네이트 및 키토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지지층에 방사선, 전자빔, 감마선 및 자외선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조사하여 가교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1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캐스팅, 용융압출 또는 블로우 몰딩하고 일축 연신하여 제2지지층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지층 및 제2지지층의 일축 연신 방향은 서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 방지 필름의 제조방법.
- 제1항의 유착 방지 필름을 포함하는 제품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유착 방지 막 또는 창상피복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9418A KR101921330B1 (ko) | 2017-03-08 | 2017-03-08 | 유착 방지 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9418A KR101921330B1 (ko) | 2017-03-08 | 2017-03-08 | 유착 방지 필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2808A KR20180102808A (ko) | 2018-09-18 |
KR101921330B1 true KR101921330B1 (ko) | 2018-11-22 |
Family
ID=63718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9418A KR101921330B1 (ko) | 2017-03-08 | 2017-03-08 | 유착 방지 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133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3317B1 (ko) | 2000-03-03 | 2002-04-25 | 장인순 | 방사선 이용 수화겔 드레싱 제조방법 |
JP5578874B2 (ja) | 2010-02-10 | 2014-08-27 | グンゼ株式会社 | 生体吸収性自己接着型癒着防止材料 |
KR101607849B1 (ko) | 2015-11-10 | 2016-03-31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KR101613571B1 (ko) | 2013-07-02 | 2016-04-20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착방지막 용도의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 및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
-
2017
- 2017-03-08 KR KR1020170029418A patent/KR10192133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33317B1 (ko) | 2000-03-03 | 2002-04-25 | 장인순 | 방사선 이용 수화겔 드레싱 제조방법 |
JP5578874B2 (ja) | 2010-02-10 | 2014-08-27 | グンゼ株式会社 | 生体吸収性自己接着型癒着防止材料 |
KR101613571B1 (ko) | 2013-07-02 | 2016-04-20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착방지막 용도의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 및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의 제조 방법 |
KR101607849B1 (ko) | 2015-11-10 | 2016-03-31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02808A (ko) | 2018-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42720B1 (ko) |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 |
KR101923734B1 (ko) | 유착 방지용 가교 필름 | |
US6897245B2 (en) | Medical materials sterilized by radiation and their ways in use | |
KR101461652B1 (ko) | 유착방지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유착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메쉬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0847960B1 (ko) | 연성과 통기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필름 | |
KR101607849B1 (ko) | 생분해성 고분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84863B1 (ko) | 히알루론산염이 코팅된 고 기능성 봉합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 기능성 봉합사 | |
KR101291950B1 (ko) | 유착 방지재의 제조방법 | |
Jiang et al. | Mussel-inspired nanofibrous sheet for suture-less stomach incision surgery | |
US20160015852A1 (en) | Composite material | |
KR101921330B1 (ko) | 유착 방지 필름 | |
KR101868136B1 (ko) | 유착 방지 필름 | |
KR20190123132A (ko) | 유착방지필름 | |
CN116373417A (zh) | 一种可吸收材料、其制备方法及可吸收结扎夹 | |
US20070233277A1 (en) | Bioabsorbable tub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US20030091646A1 (en) | Medical materials sterilized by radiation and their ways in use | |
KR102414535B1 (ko) | 전기방사 및 열압착에 의해 제조한 단층구조의 나노섬유상 유착방지막 및 그 제조방법 | |
EP3000489B1 (en) | Method for preparing an anti-adhesion barrier film | |
KR102543048B1 (ko) | 유착방지필름의 제조 방법 | |
KR102380400B1 (ko) | 사용성이 개선된 유착방지막 및 그 제조방법 | |
US11135823B2 (en) | Method of laminating absorbable semi-crystalline polymeric films | |
WO2015049800A1 (ja) | 生体内付着性の医療用フィルム | |
JP6987836B2 (ja) | 医療装置と可塑化ナイロン材料 | |
KR20240134450A (ko) | 항균 안면조직 고정용 실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30118469A (ko) |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부목 및 이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