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954B1 -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 - Google Patents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954B1
KR100552954B1 KR1020020053242A KR20020053242A KR100552954B1 KR 100552954 B1 KR100552954 B1 KR 100552954B1 KR 1020020053242 A KR1020020053242 A KR 1020020053242A KR 20020053242 A KR20020053242 A KR 20020053242A KR 100552954 B1 KR100552954 B1 KR 100552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g
ppg
adhesion
weigh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411A (ko
Inventor
이영무
김진홍
이영우
이윤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Priority to KR1020020053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954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31/041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5Hydrogels or hydrocoll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6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02Applications for biomedic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분말 및 그 적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유래 고분자와 열감응성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로 구성된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또는 분말을 제조하고, 이들 중 선택되어지는 어느 하나를 수술 시 및 수술 후 상처 부위에 국소적으로 분사, 주사 및 압착함으로써, 취급의 편리성을 부가하면서도 생체 내에서의 이물반응을 최소화하고 유착방지 효과를 개선시키는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분말 및 그 적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착방지, PEG-PPG-PEG, 생체고분자, 그라프트 중합, 가교결합, 열감응성

Description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Temperature Sensitive Adhesion Prevention Composition, Solution, Film, Sponge and Powder}
도 1은 PEG-PPG-PEG 용액의 온도별 점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PEG-PPG-PEG와 히알루론산 혼합용액의 온도별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감응성 조성물을 동물에게 주사한 사진이다.
도 4는 PEG-PPG-PEG를 그라프트 반응시킨 생체 유래 고분자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을 동물에 적용한 사진이다.
도 6은 PEG-PPG-PEG와 인산염 완충용액의 온도별 점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PEG-PPG-PEG와 히알루론산 혼합용액의 온도별 점도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PEG-PPG-PEG와 히알루론산 혼합용액의 유착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PEG-PPG-PEG 용액의 유착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히알루론산 및 PEG-PPG-PEG를 포함한 유착방지용 용액, 필름, 스폰지, 분말의 유착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유착방지용 필름의 온도에 따른 수팽윤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분말 및 그 적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체유래 고분자와 열감응성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polyethylene glycol, 이하 PEG-PPG-PEG라 한다.)로 구성된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분말을 제조하고, 이들 중 선택되어지는 어느 하나를 수술 시 및 수술 후 상처 부위에 국소적으로 분사, 주사 및 압착함으로써, 취급의 편리성을 부가하면서도 생체 내에서의 이물반응을 최소화하고 유착방지 효과를 개선시키는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분말 및 그 적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착은 염증, 창상, 마찰, 수술에 의한 창상 등 상처의 치유 과정에서 혈액이 유출되어 응고하고, 이에 의해 주변 장기 혹은 조직과 일차적인 유착이 발생하며 여기에 세포가 침투해 들어가 조직화되면 더욱 유착이 강하게 형성된다. 미국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수술 후 유착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소장폐색이 49% 내 지 74%, 불임이 15% 내지 20%, 만성골반통증이 20% 내지 50%, 후속 수술 시 장 천공이 19% 정도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유착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수술 시 상처를 최소화하거나, 항염제의 사용 혹은 피브린의 형성을 막기 위해 조직 플라스미노겐 활성화제(tissue plasminogen activator)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이 있고, 근래에는 장벽(barrier)을 사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장벽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조직의 상처가 치유되는 동안 물리적인 장벽으로 작용하며, 인접한 조직 사이에 유착이 형성되는 것을 막아준다. 한편, 일정기간의 상처 치유가 끝난 후에는 분해 혹은 흡수되어 제거되어야 하며, 장벽용 재료 자체 혹은 그 분해산물이 인체에 무해하여야 한다.
유착방지용 재료로서는 폴록사머(Poloxamer)를 비롯하여 폴리에틸렌글리콜, 셀룰로오스, 콘드로이틴 설페이트와 히알루론산 등의 다당류(polysaccharides),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릭산(polyglycolic acid, PGA), 콜라젠(collagen), 피브린(fibrin) 등이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상업화된 제품들은 다당류의 일종인 산화재생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덱스트란(설페이트), 히알루론산 등이 있고, 합성고분자인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록사머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착방지제용 재료 중 셀룰로오스류나 덱스트란류 등은 천연고분자이지만 생체를 구성하는 성분은 아니므로, 생체 내에 삽입 시 이물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생체 내에 이러한 재료들에 대한 분해효소가 없어 분해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산화를 시키는 방법 등, 가수분해 될 수 있도록 만들어 주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히알루론산을 주 성분으로 하는 유착방지 용액이 사용되고 있으나, 히알루론산은 생체 내에서 반감기가 1 내지 3일로써 쉽게 분해되기 때문에 유착방지 역할에 제약이 있다.
번즈(Burns) 등은 미합중국 특허 제6,294,202호에서 히알루론산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음이온성 다당류와 폴리글리콜라이드의 소수성 고분자를 결합시켜 비수용성의 겔, 막, 폼, 섬유 등의 형태로 제조하였다. 여기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생체 유래 물질이 아니므로 생체 내에서 이물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한편 폴리글리콜라이드는 분해산물로 글리콜릭산을 방출하여 주변의 산도를 산성으로 낮추어 주변 조직을 자극하게 된다. 또한 막 형태로 제조할 경우, 건조상태에서 재료 자체가 유연하지 못하고 딱딱하여 부서지기 쉬우며, 수분에 접촉하는 경우 말리는 등 취급에 불편함이 있다.
한편 합성고분자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은 생체 내에서 분해가 되지 않으므로 분자량이 작은 재료만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흡수되어 대사경로를 거쳐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분자량이 작은 것만을 사용해야 하므로 흡수가 빨리 일어나게 되어 유착방지를 위한 장벽역할을 충분히 오랫동안 지속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는 바스프사(BASF)에서 생산하고 있는 고분자로써, 저온에서는 용액상태로 존재하나 온도가 올라가면 겔화되는 열감응성 재료로 알려져 있다(미합중국특허 제4,188,373호; 제4,478,822호; 제4,474,751호).
폴록사머를 사용한 예로써 브롬버그(Bromberg) 등은 미합중국특허 제5,939,485호에서 산도, 온도, 이온의 세기 등의 자극에 의한 가역적인 겔화가 가 능한 재료에 대해 나타내었다. 스타인라이트너(Steinleitner) 등은 폴록사머를 기본 조성으로 하는 유동성 겔(Flowgel)의 유착방지 성능 평가에 대해 퍼틸러티 앤드 스테릴러티(Fertility and sterility) 57(2):305(1992)에 발표한 바 있다.
일반적으로 폴록사머407로 알려져 있는 PEG-PPG-PEG는 PPG블럭의 분자량이 4000kDa이고, PEG블럭은 대략 7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폴록사머407의 겔화 온도는 25℃ 정도이고(도 1), 겔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폴록사머 등급, 농도, 산도, 첨가제 등이다. 또한 폴록사머407의 융점은 56℃ 이고, 비중은 1.05(77℃)이다.
브롬버그(Bromberg) 등은 미합중국 특허 제5,939,485호에서 산도, 온도, 이온세기 등의 환경적 자극에 감응하는 고분자 네트워크를 개발하였으며, 여기서 이들은 구조성분으로 생체 내 비분해성 고분자인 비닐계 고분자, 아크릴계 고분자 및 우레탄 등을 사용하였으며 감응성 고분자로 폴리옥시알킬렌계 고분자 및 셀룰로오스계 고분자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비분해성 고분자를 구조성분으로 사용할 경우 생분해가 안되고 생체적합성도 낮으므로 이물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플로레(Flore) 등은 미합중국 특허 제6,280,745 B1호에서 유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약물운반용 조성물 및 그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여기에서 그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구조 고분자와 변성용 고분자, 그리고 보조역할의 계면활성제로 구성되며, 여기에 항생제, 항염증제를 포함한 여러 가지 약물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담지 할 수 있다. 이들의 발명에서 구조 고분자로는 폴리옥시알킬렌 블럭공중합체를 사용하였고, 변성용 고분자로는 셀룰로오스 에테르류, 소디움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그리 고 폴리아크릴레이트류를 사용하였으며, 계면활성제로는 지방산 비누계의 소디움올리에이트, 소디움라우레이트, 소디움카프레이트, 소디움카프릴레이트 등이 사용되었다. 반면 사용한 변성용 고분자 중 소디움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생체 유래물질이 아닌 식물에서 얻은 셀룰로오스를 가공하여 제조된 것으로 생체 내에서 이물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폴리아크릴레이트류를 포함한 다른 변성용 고분자들도 생체유래물질이 아니고 생체적합성이 낮으므로 이물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론(Ron) 등은 미합중국 특허 제6,316,011 B1호에서 말단 부분을 변성용 고분자 혹은 올리고머를 결합시킨 열 가역성 조성물을 발명하였으며, 열 가역성 조성물로는 폴록사머로 알려진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를 사용하였고, 말단의 변성용 고분자로는 생체 접착성이 있는 폴리비닐카르복실산을 사용하였다. 여기에 유착방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약물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론(Ron)의 발명에서 생체 접착성 폴리비닐카르복실산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생분해성, 생체적합성이 낮은 재료로써 생체 내에서 이물반응이 일어 날 수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는 유착방지에 성공적으로 사용할 만한 유착방지제가 개발되지 못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더욱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유래 고분자와 열감응성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로 구성된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또는 분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체유래 고분자와 열감응성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로 구성된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분말의 적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은 생체유래 고분자가 0.1중량% 내지 10중량%, PEG-PPG-PEG 블럭공중합체가 5중량%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염용액을 50중량% 내지 94중량%의 양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는 분자량이 5,000Da 이상 100,000Da 이하이며, 이 중 PEG의 함량이 50중량% 내지 90중량%인 PEG-PPG-PEG 블록공중합체를 의미하고, 이로 한정되며, 특히 바스프사로부터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상표명 '플루로닉(Pluronic)' 또는 '폴록사머(Poloxamer)'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는 산도, 온도, 이온세기 등의 환경적 자극에 감응하여 점도 등이 변화하고, 용액상태에서 겔 상태로 점도가 상승하는 등의 열에 대하여 상태가 변화하는 것이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의용재료로 사용하는 기술들이 미합중국 특허 제5,939,485호 및 동 제4,188,373호, 동 제4,478,822호, 그리고 동 제4,474,751호 등에 기술되어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생체유래 고분자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일종인 콘드로이틴 설페이드, 더마탄설페이트, 케라탄설페이트, 헤파란설페이트, 히알루론산 그리고 콜라겐 및 그 분해물인 젤라틴, 엘라스틴, 피브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용 열감응성 조성물은 제조 단계 중 또는 상처부위에 도포 전, 약물을 포함시켜 이루어지며, 체온에 의하여 유착방지용 조성물이 겔화함으로써 약물의 방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약물로는 트롬빈, 아프로티닌, 스테로이드계 및 비스테로이드계 함염증제, 헤파린,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어느 하 나의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용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은 생체유래 고분자와 PEG-PPG-PEG 블럭공중합체가 화학결합을 통해 생성되어진다.
상기 생체유래 고분자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일종인 콘드로이틴설페이드, 더마탄설페이트, 케라탄설페이트, 헤파란설페이트, 히알루론산 그리고 콜라겐 및 그 분해물인 젤라틴, 엘라스틴, 피브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상기 화학결합은 그라프트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교차 공중합체, 가교결합, 및 부분내삽된 고분자 중 선택되어지는 어느 하나의 군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용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은 제조 단계 중 또는 상처부위에 도포 전, 약물을 포함시켜 이루어지며, 체온에 의하여 유착방지용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이 치밀한 구조의 막 형성 및 겔화됨으로써 약물의 방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약물로는 트롬빈, 아프로티닌, 스테로이드계 및 비스테로이드계 함염증제, 헤파린,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어느 하나의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용 열감응성 조성물의 적용방법은 (1) 수술 시 또는 수술 후, 용액상태의 조성물을 적용부위에 분사, 주사 및 압착하는 단계, (2) 체온에 의해 용액상태의 조성물이 겔화되는 단계 및 (3) 체내 분해효소 및 대사에 의한 조성물의 분해 및 배출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유착방지용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의 적용방법은 (1) 수술 시 또는 수술 후, 건조상태 또는 용액상태의 필름, 스폰지, 용액 및 분말을 적용부위에 위치시키는 단계, (2) 체내 수분, 생리식염수 또는 인산염 완충용액에 의해 건조상태 또는 용액상태의 필름, 스폰지, 용액 및 분말이 팽윤되는 단계, (3) 체온에 의한 온도 상승에 의해 치밀한 구조의 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4) 체내 분해효소 및 대사에 의한 상기 유착방지용 재료의 분해 및 배출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외과 수술 시 및/또는 수술 후 유착형성을 감소, 방지 또는 예방 할 뿐만 아니라 체내에서 분해 및 흡수가 가능하고 체외로 완전한 배출이 가능한 유착방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 유래 고분자와 PEG-PPG-PEG 블럭공중합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필름, 스폰지, 용액, 분말 또는 열감응성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들 중 선택된 하나를 수술 시 및 수술 후 상처 부위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착의 형성을 감소 혹은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조성물은 적절한 조성의 생체 고분자와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를 혼합 혹은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제조한다. 상기 유착방지용 재료들은 상처 치유기간 동안 유착방지를 위한 장벽의 역할을 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상처 조직이 치유되면 이 조성물은 분해 및 흡수되어 체내에서 사라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생체유래 고분자를 유착방지를 위한 장벽용 재료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생체유래 고분자가 아닌 재료를 유착방지제로 사용하는 경우에서 나타나는 이물반응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체내에서 분해가 용이하고 재료 자체 혹은 분해산물이 생체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생체유래 고분자로는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일종인 콘드로이틴설페이드, 더마탄설페이트, 케라탄설페이트, 헤파란설페이트 및 히알루론산, 그리고 콜라겐 및 그 분해물인 젤라틴, 엘라스틴, 피브린 또는 이들의 혼합중 선택되어지는 어느 하나의 군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PEG-PPG-PEG의 블럭공중합체는 인체에 무해하고, 그 고유의 특성인 열감응성을 이용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유착방지의 효과를 증진시킨 유착방지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블럭공중합체의 분자량은 5000Da 이상 100,000Da 이하의 것이 선호되며, 특히 분자량 8,000Da 이상 50,000Da 이하의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PEG의 함량은 50중량% 내지 90중량% 정도인 것이 선호되며, 특히 70중량%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열감응성 조성물은 적절한 조성으로 혼합 혹은 화학적으로 결합된 PEG-PPG-PEG 블럭공중합체의 열감응 특성에 의하여, 체온 이하의 저온에서는 용액상태로 존재하다가 체내에 적용되는 경우, 체온에 의해 겔화되어 상처조직 부위에 집중적으로 존재하면서 유착의 형성을 방지하는 장벽으로 작용하게 된다(도 2). 보관온도에서 용액형태로 존재하므로 상처 부위에 적용 시 분사, 주사 또는 압착에 의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적용 후 겔화되어 상처부위에 국소적 으로 집중화되므로 유착에 대한 장벽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도 3).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열감응성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최적의 열감응 겔화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서, 생체유래 고분자는 0.1중량% 내지 10중량%,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는 5중량% 내지 40중량%, 염용액은 50중량% 내지 94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생체유래 고분자 0.3중량% 내지 5중량%, PEG-PPG-PEG 블럭록공중합체 15중량% 내지 30중량%, 염용액 65중량% 내지 84중량%를 혼합 혹은 화학적 결합시켜 사용한다. PEG-PPG-PEG 블럭 공중합체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온도가 증가하여도 겔을 형성하기 어려우며, 농도가 너무 높은 경우는 저온에서도 겔화되어 있어 사용이 불편하다.
본 발명의 유착방지용 열감응성 조성물의 제조에는 식염수 및 인산염 완충용액 등을 포함하는 염용액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체액이 일정량의 염을 포함하는 용액이므로 순수한 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조성물보다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염용액을 사용할 경우 순수한 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조성물 보다 겔화되는 온도를 낮출 수 있으며, 열감응속도도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용액, 필름, 스폰지 혹은 분말 형태의 제품은 PEG-PPG-PEG 블럭공중합체와 생체 유래 고분자가 화학적인 결합을 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이 결합체는 그라프트 공중합체(도 4) 혹은 랜덤공중합체, 교차 공중합체, 가교결합체, 혹은 부분내삽된 고분자 중 선택된 하나의 구조로 만들어진다. 생체 유래 고분자로만 만들어진 필름 혹은 스폰지의 경우 딱딱하여 부러지기 쉽고, 수분에 접 하는 경우 말리는 등 사용이 불편하나,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부드럽고 유연하기 때문에 쉽게 부러지지 않으며, 수분에 접하더라도 쉽게 말리지 않는 등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는 열감응성 특성을 갖는 재료로써 이를 포함한 유착방지제는 생체 내에 삽입될 경우 체온에 의해 열감응성 성분이 수축되어 더욱 치밀한 구조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처조직 및 주변조직 사이에서 장벽으로서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화학적 결합 정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생체 내 분해 속도를 조절하여 각 조직의 치유 기간에 따라 원하는 기간 동안 유착방지 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및 스폰지는 상처 부위에 놓이게 되면 체내의 수분을 흡수하여 팽윤되며, 적용 부위에 따라 체액이 적은 경우, 적용 후 생리식염수 혹은 인산염 완충용액 등의 염용액으로 팽윤시켜 사용할 수 있다(도 5). 필름 혹은 스폰지는 상처 치유 기간동안 주변 조직을 분리시켜 존재하게 하며, 또한 PEG-PPG-PEG의 열감응 특성에 의해 치밀한 구조의 막을 형성하므로 장벽으로서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치유기간 후에는 그 구성 성분들이 분해되어 대사되거나 신장을 통해 체내에서 제거된다. 체내에서 제거되는 시간은 30일 이내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 혹은 스폰지는 단층 구조에 한정되지 않으며, 생체유래 고분자와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로 구성된 하나의 층에 다른 생분해성 및 생체 적합성을 갖는 층을 더한, 이층 이상의 다층구조로 제조 될 수 있다. 다층 구조의 경우 부가되는 층은 여러 가지 기능을 부여할 수 있으며, 헤파린을 사용하여 혈전의 형성을 감소시키거나, 소수성 층을 형성하여 유착방지에 대한 장벽의 기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또는 분말은 약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약물의 투입은 제조 단계 중 혹은 상처부위에 적용하기 전에 흡수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약물로는 조기에 지혈을 촉진할 수 있는 트롬빈, 아프로티닌 등, 그리고 스테로이드계 및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혈전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헤파린, 조직플라스미노겐 활성인자 또는 이들의 혼합물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어지는 어느 하나의 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 또는 스폰지는 제조의 중간단계 혹은 제조 후 약물을 투입하여 완성하고 최종 제품은 수분을 함유하여 팽윤된 상태이며, 이를 상처 부위에 적용하는 경우 온도의 증가에 따라 열감응성 PEG-PPG-PEG 블럭공중합체의 친수성이 감소하여 수축됨에 의해,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체 유래 성분들이 서서히 분해됨으로써 치유기간 동안 약물을 방출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치유의 촉진 및 유착 방지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열감응성 조성물의 제조 및 점도 측정
인산염 완충용액, PEG-PPG-PEG 블럭공중합체 및 히알루론산을 아래 조성과 같이 혼합하여 열감응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대조군으로서 PEG-PPG-PEG만 각각 16중량%와 20중량%가 들어간 조성물과 시험군으로서 히알루론산이 0.5중량%로 함유하고, PEG-PPG-PEG가 각각 16중량%, 18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들의 점 도를 부룩필드(Brookfield) 점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측정결과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만을 사용한 대조군의 경우(도 7)에 비하여 히알루론산을 포함한 조성물(도 6)은 히알루론산의 영향으로 점도가 증가하였으며 온도를 올리면 PEG-PPG-PEG 블럭공중합체에 의하여 겔화되었다.
조성(%) 온도 (℃)
PEG-PPG-PEG 히알루론산 인산염완충용액 5 10 15 20 25 30
16 - 84.0 38 39 39 40 78 145
18 - 82.0
20 - 80.0 68 70 89 125 173 54,300
16 0.5 83.5 1,100 981 733 1,121 1,056 34,570
18 0.5 81.5 1,045 911 736 1,235 364,000 -
20 0.5 79.5
PEG-PPG-PEG 블럭공중합체, 히알루론산 혼합용액의 조성 및 점도변화
표 1의 온도범위 중 15℃ 정도에서 PEG-PPG-PEG 블럭공중합체와 히알루론산 혼합조성물의 점도가 가장 낮았고, 저온에서는 히알루론산에 의해, 고온에서는 PEG-PPG-PEG 블럭공중합체에 의해 점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온도별 점도변화의 폭은 히알루론산이 혼합된 경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실시예 2] : 열감응성 조성물의 유착정도 측정
쥐의 맹장과 복막에 강제유착을 일으키고 상기 표 1의 조성대로 제조된 열감응성 조성물들을 이용하여 쥐의 맹장과 복막에 강제유착을 일으킨 후 그에따른 유착방지효과를 관찰하였다. 유착정도는 0 에서 5까지 구분하여 평가하였고(유착정도 0 = 유착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1 = 점상(focal)의 유착이 일부 일어난 경우, 2 = 점상의 유착이 많은 경우, 3 = 면상의 유착이 발생한 경우, 4 = 면상의 유착이 깊게 발생한 경우, 5 = 면상의 유착과 함께 혈관이 형성된 경우) 그 결과를 도 8과 도 9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 알 수 있듯이 PEG-PPG-PEG 만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히알루론산을 함께 사용한 경우 유착정도가 낮게 나왔으며, 즉 유착방지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 히알루론산과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의 그라프트 중합반응에 의한 유착방지용 용액
물 100ml에 PEG-PPG-PEG의 한 말단에 보호기가 결합된 모노-메틸말단의 PEG-PPG-PEG(분자량 8000Da) 2g, 히알루론산 나트륨 0.5g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1-ethyl-3-(3-dimethylamino propyl) carbodiimide, 이하 'EDAC'라 칭한다.) 0.5g을 용해하고 60℃에서 6시간 반응시킨 뒤, 과량의 아세톤에 반응용액을 부어 침전을 유도하여 여과단계, 에탄올에 의한 세척단계 후 건조단계를 거쳐 유착방지용 재료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0.5% 농도로 생리식염수에 용해시켜 유착방지용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히알루론산과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의 그라프트 중합반응에 의한 유착방지용 필름
히알루론산 나트륨0.5g, PEG-PPG-PEG 2g 및 EDAC 0.5g의 양을 물에 첨가하여 용해한 후, 유리판 위에 2mm 두께로 성형(casting)하고 60℃ 건조오븐에서 6시간 건조한 뒤, 건조된 필름을 증류수에 의한 3차례 세척단계 및 5시간의 건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착방지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필름은 물에 넣었을 때, 녹지 않고 팽윤된다.
[실시예 5] : 히알루론산과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의 그라프트 중합반응에 의한 유착방지용 스폰지
유착방지용 스폰지는 유착방지용 필름과 동일한 조성으로 용액을 제조한 후 2mm 두께로 성형하고 동결건조한 후 건조된 스폰지를 아세톤 용액에 넣고 상온에서 12시간 반응시킨 후 물로 3회 세척하고 다시 동결건조하여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스폰지는 물에 용해되지 않고 팽윤되었다.
[실시예 6] : 히알루론산과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의 그라프트 중합반응에 의한 유착방지용 분말
유착방지용 분말은 유착방지용 필름과 동일한 조성으로 용액을 제조한 후, 과량의 아세톤에 침전시켜 분말형태로 만들고, 이를 60℃ 건조오븐에서 6시간 반응시킨 후 에탄올로 3회 세척하고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유착방지용 재료의 유착정도 측정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6에 따라 제조한 유착방지용 재료를 쥐를 이용한 유착방지 동물실험에 사용하였다. 쥐의 맹장과 복벽을 긁어주어 출혈을 유도하여 유착이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준 후, 두 곳을 고정하여 양쪽의 출혈 면이 맞닿게 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서 유착방지용 재료를 삽입하지 않은 쥐와, 실시 예 3 내지 실시예 6의 유착방지용 재료들을 삽입한 쥐들에 대하여, 2 주 후 유착발생 및 유착정도를 살펴보았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유착방지제를 사용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하여 실시예 3 내지 6에서 제조한 유착방지용 재료를 사용한 경우 유착정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1.5 내지 2배 이상 감 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 : 유착방지용 필름의 온도에 따른 수팽윤도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필름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수팽윤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건조된 필름의 무게(Wdry)를 측정하고 온도에 따라 수분을 포함하여 팽윤된 상태의 무게(Wwet)를 측정하여 수팽윤도(S=Wwet/Wdry)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수팽윤도를 온도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2 및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11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섭씨 25도에서 수팽윤도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따라서 인체 내에 삽입시 체온에 의하여 치밀한 구조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온도(℃) 15 20 25 30 35 40
수팽윤도(Wwet/Wdry) 654 633 274 208 171 139
따라서 본 발명의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은 생체유래의 고분자 물질과 열감응성 PEG-PPG-PEG 블럭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체내 이물반응이 적고 체내에서 분해 및 흡수를 통해 체외로 완전한 배출이 이루어지며, 여러 가지 기능의 약물을 담지하여 사용함으로써 약물을 수술부위에 일정 기간 국부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수술 시 및/또는 수술 후 간편한 적용방법에 의한 조직간 유착형성을 감소시키거나 방지 할 수 있는 유착방지용 필름, 스폰지, 용액, 분말, 열 감응성 조성물 및 그 적용방법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30)

  1.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일종인 콘드로이틴설페이드, 더마탄설페이드, 케라탄설페이드, 헤파란설페이드, 히알루론산, 콜라겐 및 그 분해물인 젤라틴, 엘라스틴 및 피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생체유래고분자가 0.1중량% 내지 10중량%, 분자량이 5,000Da 이상 100,000Da 이하이며, 이 중 PEG의 함량이 50중량% 내지 90중량%인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5중량%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고, 염용액이 50중량% 내지 94중량%의 양으로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온에서는 액체상태로 존재하다가, 체온에서는 겔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열감응성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일종인 콘드로이틴설페이드, 더마탄설페이드, 케라탄설페이드, 헤파란설페이드, 히알루론산, 콜라겐 및 그 분해물인 젤라틴, 엘라스틴 및 피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생체유래고분자와 분자량이 5,000Da 이상 100,000Da 이하이며, 이 중 PEG의 함량이 50중량% 내지 90중량%인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그라프트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교차 공중합체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결합으로 화학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생체유래고분자가 0.1중량% 내지 10중량%, 상기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1중량% 내지 20중량%, 생리식염수가 50중량% 내지 97중량%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온에서는 액체상태로 존재하다가, 체온에서는 겔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용액.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PEG-PPG-PEG는 PEG-PPG-PEG의 한 말단에 보호기가 결합된 모노-메틸말단의 PEG-PPG-PE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용액.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일종인 콘드로이틴설페이드, 더마탄설페이드, 케라탄설페이드, 헤파란설페이드, 히알루론산, 콜라겐 및 그 분해물인 젤라틴, 엘라스틴 및 피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생체유래고분자와 분자량이 5,000Da 이상 100,000Da 이하이며, 이 중 PEG의 함량이 50중량% 내지 90중량%인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그라프트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교차 공중합체, 가교결합 및 부분내삽된 고분자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결합으로 화학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생체유래고분자가 0.5중량% 내지 50중량%, 상기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50중량% 내지 99.5중량%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체내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경우 팽윤되고, 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필름.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일종인 콘드로이틴설페이드, 더마탄설페이드, 케라탄설페이드, 헤파란설페이드, 히알루론산, 콜라겐 및 그 분해물인 젤라틴, 엘라스틴 및 피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생체유래고분자와 분자량이 5,000Da 이상 100,000Da 이하이며, 이 중 PEG의 함량이 50중량% 내지 90중량%인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그라프트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교차 공중합체, 가교결합 및 부분내삽된 고분자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결합으로 화학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생체유래고분자가 0.5중량% 내지 50중량%, 상기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50중량% 내지 99.5중량%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체내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경우 팽윤되고, 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스폰지.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의 일종인 콘드로이틴설페이드, 더마탄설페이드, 케라탄설페이드, 헤파란설페이드, 히알루론산, 콜라겐 및 그 분해물인 젤라틴, 엘라스틴 및 피브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이상 선택되는 생체유래고분자와 분자량이 5,000Da 이상 100,000Da 이하이며, 이 중 PEG의 함량이 50중량% 내지 90중량%인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그라프트 공중합체, 랜덤 공중합체, 교차 공중합체, 가교결합 및 부분내삽된 고분자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화학결합으로 화학결합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생체유래고분자가 0.5중량% 내지 50중량%, 상기 PEG-PPG-PEG 블록공중합체가 50중량% 내지 99.5중량%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체내에서 수분을 흡수하는 경우 팽윤되고, 체온에 의해 겔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착방지용 분말.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020053242A 2002-09-04 2002-09-04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 KR100552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242A KR100552954B1 (ko) 2002-09-04 2002-09-04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242A KR100552954B1 (ko) 2002-09-04 2002-09-04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411A KR20040021411A (ko) 2004-03-10
KR100552954B1 true KR100552954B1 (ko) 2006-02-20

Family

ID=37325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242A KR100552954B1 (ko) 2002-09-04 2002-09-04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95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365B1 (ko) * 2008-07-11 2011-02-21 이진호 미세분말형 조직 유착 방지제
KR20180015415A (ko) 2016-08-03 2018-02-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 방지 필름
KR20190094808A (ko) 2018-02-06 2019-08-14 (주)현우테크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KR20200112746A (ko) 2019-03-21 2020-10-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방지 온도감응형 셀룰로오스 기반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1137B1 (ko) 2022-02-07 2022-09-06 김환철 분해속도 조절이 가능한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하이드로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220B1 (ko) * 2004-12-30 2006-09-14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조직 재생 촉진 효과를 갖는 생분해성 유착방지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5378B1 (ko) * 2005-09-05 2007-12-14 주식회사 바이오레인 다층구조의 유착방지제
WO2007089103A1 (en) * 2006-02-01 2007-08-09 Samyang Corporation Composition for inhibiting adhesion
KR101275262B1 (ko) * 2010-12-30 2013-06-19 주식회사 삼양바이오팜 유착방지기능을 갖는 수술용 메쉬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105387B2 (en) 2014-07-24 2018-10-23 Medytox Inc. Temperature sensitive adhesion prevention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1668349B1 (ko) * 2015-04-02 2016-10-21 주식회사 엠아이텍 유착 방지제
KR101981562B1 (ko) * 2017-05-04 2019-05-24 주식회사 테라시온 바이오메디칼 유착방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5814146B (zh) * 2022-11-01 2023-12-22 山东大学 一种仿生凝血机制的止血粉制备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5287A1 (en) * 1995-10-25 1997-05-01 Macromed, Inc. Thermosensitive biodegradable polymers based on poly(ether-ester) block copolymers
KR100266912B1 (ko) * 1992-02-28 2000-12-01 파라비 레이 조직접촉물질이며 방출조절운반체인 광중합성 생분해성 하이드로겔
KR20010102231A (ko) * 1999-02-19 2001-11-15 야노 쓰네오 히알루론산 겔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함유하는 의용 재료
KR20010107068A (ko) * 2000-05-25 2001-12-07 김정식 유착방지제
KR20020011955A (ko) * 2001-12-26 2002-02-09 김정식 유착방지제
KR20020027747A (ko) * 2000-10-05 2002-04-15 오석송 수용성 생체분해성 고분자 겔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062057A (ja) * 2001-08-29 2003-03-04 Next:Kk 止血・癒着防止性のバイオポリマーの微細粒子
KR20030055927A (ko) * 2001-12-27 2003-07-04 한국과학기술원 약물전달시스템을 위한 생분해성 열감응성 스타형블록공중합체
KR100407592B1 (ko) * 2001-08-28 2003-11-28 주식회사 티씨 싸이언스 단백질 흡착 억제 소프트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6912B1 (ko) * 1992-02-28 2000-12-01 파라비 레이 조직접촉물질이며 방출조절운반체인 광중합성 생분해성 하이드로겔
WO1997015287A1 (en) * 1995-10-25 1997-05-01 Macromed, Inc. Thermosensitive biodegradable polymers based on poly(ether-ester) block copolymers
KR20010102231A (ko) * 1999-02-19 2001-11-15 야노 쓰네오 히알루론산 겔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함유하는 의용 재료
KR20010107068A (ko) * 2000-05-25 2001-12-07 김정식 유착방지제
KR20020027747A (ko) * 2000-10-05 2002-04-15 오석송 수용성 생체분해성 고분자 겔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07592B1 (ko) * 2001-08-28 2003-11-28 주식회사 티씨 싸이언스 단백질 흡착 억제 소프트 콘택트 렌즈의 제조 방법
JP2003062057A (ja) * 2001-08-29 2003-03-04 Next:Kk 止血・癒着防止性のバイオポリマーの微細粒子
KR20020011955A (ko) * 2001-12-26 2002-02-09 김정식 유착방지제
KR20030055927A (ko) * 2001-12-27 2003-07-04 한국과학기술원 약물전달시스템을 위한 생분해성 열감응성 스타형블록공중합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365B1 (ko) * 2008-07-11 2011-02-21 이진호 미세분말형 조직 유착 방지제
KR20180015415A (ko) 2016-08-03 2018-02-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 방지 필름
KR20190094808A (ko) 2018-02-06 2019-08-14 (주)현우테크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WO2019156463A1 (ko) 2018-02-06 2019-08-15 (주)현우테크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KR20200112746A (ko) 2019-03-21 2020-10-05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방지 온도감응형 셀룰로오스 기반 하이드로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1137B1 (ko) 2022-02-07 2022-09-06 김환철 분해속도 조절이 가능한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 하이드로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411A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59631B1 (en) Wound dressing comprising hyaluronic acid-calcium and polylysi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017301A (en) Bioresorbable compositions of carboxypolysaccharide polyether intermacromolecular complexe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reducing surgical adhesions
US6869938B1 (en) Compositions of polyacids and polyether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reducing adhesions
EP1292316B1 (en) Hemostatic compositions of polyacids and polyalkylene oxides and methods for their use
ES2299182T3 (es) Dispositivos medicos bioabsorbibles de polisacaridos oxidados.
EP3003026B1 (en) Biocompatible and bioabsorbable derivatized chitosan compositions
US20030073663A1 (en) Bioabsorbable medical devices from oxidized polysaccharides
KR100552954B1 (ko) 열감응성 유착방지용 조성물, 용액, 필름, 스폰지 및 분말
CA2366880C (en) Compositions of polyacids and polyethers and methods for their use in reducing adhesions
US11413192B2 (en) Hemostatic paste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KR20050045113A (ko) 기포를 포함하는 유착방지제
KR101180286B1 (ko) 히알루론산 에폭사이드 유도체 하이드로겔을 포함하는 유착방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JP6916353B1 (ja) 癒着防止用高分子組成物
Lee et al. Prevention of surgical adhesions using barriers of carboxymethyl cellulose and polyethylene glycol hydrogels synthesized by irrad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8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