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132B1 -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해양자원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 Google Patents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해양자원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132B1
KR102183132B1 KR1020180146197A KR20180146197A KR102183132B1 KR 102183132 B1 KR102183132 B1 KR 102183132B1 KR 1020180146197 A KR1020180146197 A KR 1020180146197A KR 20180146197 A KR20180146197 A KR 20180146197A KR 102183132 B1 KR102183132 B1 KR 102183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l
weight
hybrid patch
parts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0960A (ko
Inventor
윤국로
홍상은
최선호
이범희
박지은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아이투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아이투비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4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13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0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0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26Glycosaminoglycans, i.e. muco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4Algi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61K31/737Sulfated polysaccharides, e.g. chondroitin sulfate, dermatan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태 추출물,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으로부터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자원 추출물을 사용하여 보습력, 습윤 특성, 항알레르기성, 항산화특성 등이 우수하고, 나노섬유를 사용하여 기계적 특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고 관절부위에 부착하는 경우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아토피(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완화,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해양자원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A multi-layered hydrogel-nanofiber hybrid patch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y comprising marine resources extract}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태 추출물,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으로부터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에 관한 것이다.
아토피란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직접 접촉 없이 신체가 극도로 민감해지는 알레르기 반응을 의미한다.
아토피의 증상으로서는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등이 있다.
현재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아토피 치료제는 스테로이드제, 항히스타민제 등이 있는데, 이들은 다양한 부작용을 나타내어 아토피 환자들에게 2차 고통을 유발할 수 있다.
한편 최근 건강과 웰빙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천연물질을 이용한 아토피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7009호
본 발명은 해양자원 추출물을 사용하여 보습력, 습윤 특성, 항알레르기성, 항산화특성 등이 우수하고, 나노섬유를 사용하여 기계적 특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고 관절부위에 부착하는 경우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아토피(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완화,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태 추출물,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으로부터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지네이트 1~10중량부, 후코이단 1~20중량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1~20중량부, 감태 추출물 1~20중량부 및 가교제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은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에 있어서,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태 추출물,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용액으로부터 제조되는 하이드로겔; 및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도입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는 아토피의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양자원 추출물을 사용하여 보습력, 습윤 특성, 항알레르기성, 항산화특성 등이 우수하고, 나노섬유를 사용하여 기계적 특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고 관절부위에 부착하는 경우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아토피(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완화,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인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나타낸다. (a) 하이드로겔 용액, (b) 하이드로겔, (c)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도 2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FE-SEM을 나타낸다. (a)~(c): 패치의 단면, (d)~(i): 패치의 나노섬유 부분.
도 3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도 4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TGA를 나타낸다.
도 5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FT-IR을 ATR mode에서 측정한 것이다. (a) 패치의 하이드로겔 부분, (b) 패치의 나노섬유 부분, (c) 하이드로겔, (d) 나노섬유.
도 6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접촉각(Contact angle)을 나타낸다. (A) 나노섬유, (B) 패치의 나노섬유 부분, (C) 패치의 하이드로겔 부분.
도 7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피부 경피 수분 손실량을 나타낸다.
도 8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압축 강도를 나타낸다. (a) 하이드로겔, (b) 패치.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a)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태 추출물,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으로부터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자원 추출물(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태 추출물)을 사용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함으로써, 보습력, 습윤 특성, 항알레르기성, 항산화특성 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은 3차원 그물망의 구조를 가지므로, 유효성분 및 약물을 효과적으로 함유할 수 있고, 이를 지속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나노섬유를 방사하여 나노섬유를 도입함으로써, 기계적 특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는 얇은 두께로 제조가 가능하고 관절부위에 부착하는 경우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아토피(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완화,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는 하이드로겔과 나노섬유를 반복적으로 적층한 다층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태 추출물, 가교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용매로는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및 감태 추출물을 용해할 수 있는 물, 증류수, 알코올, 케톤, 아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증류수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지네이트의 분자량은 10,000~100,000Da 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10,000Da 미만인 경우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되고, 분자량이 100,000Da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고분자와 균일한 혼합을 형성할 수 없다.
상기 후코이단의 분자량은 10,000~100,000Da 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10,000Da 미만인 경우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되고, 분자량이 100,000Da을 초과하는 경우 다른 고분자와 균일한 혼합을 형성할 수 없다.
상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분자량은 10,000~100,000Da 인 것이 바람직하며, 분자량이 10,000Da 미만인 경우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되고, 분자량이 100,000Da을 초과하는 경우 균일한 혼합을 형성하기 어렵게 된다.
상기 감태 추출물은 감태를 용매로 가열 추출하고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한 다음 농축액을 동결 건조하여 제조된다.
상기 가열 추출은 감태 100중량부에 대하여 용매 500~2,000중량부를 가하고 40~95℃에서 1~10시간 가열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용매로 1~3시간씩 1~5번 반복해서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주정, 에탄올,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및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가열 추출 후 기공의 직경이 0.2~1㎛인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액을 감압 농축기로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모두 제거한 다음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 후 동결 건조하여 감태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가교제는 하이드로겔을 가교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탄산칼슘, 글루코노 델타락톤(glucono delta-lacto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탄산칼슘과 글루코노 델타락톤이 동시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탄산칼슘과 글루코노 델타락톤의 중량비는 60~80:20~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하이드로겔의 가교도가 최적화되어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열적 특성 및 약물 방출특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지네이트 1~10중량부, 후코이단 1~20중량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1~20중량부, 감태 추출물 1~20중량부 및 가교제 0.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지네이트의 함량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혼화성 및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후코이단의 함량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혼화성 및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의 함량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혼화성 및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감태 추출물의 함량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1~2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혼화성 및 가공성이 저하된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하이드로겔의 가교도가 저하되어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하이드로겔의 가교도가 지나치게 높아 하이드로겔의 유효성분 및 약물이 방출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드로겔 용액에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하이드로겔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하이드로겔의 방출특성이 안정적으로 발현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PPO-PEO) 블록 공중합체,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등이고,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2중량부를 초과하면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된다.
상기 (b) 단계는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소수성 고분자 및 용매를 혼합하여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로는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락트산, 폴리글리콜산 등의 생분해성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상기 소수성 고분자를 용해할 수 있는 물, 클로로포름, 알코올, 케톤, 아미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클로로포름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수성 고분자 용액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수성 고분자 5~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수성 고분자의 함량이 5중량부 미만인 경우 패치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되고, 함량이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가공하기가 어렵게 된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으로부터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20~80℃에서 10~200분 반응을 수행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도입하는 단계로서, 노즐을 통하여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토출시켜 전기방사하며, 상기 전기방사를 통해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나노섬유가 도입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방사는 코어-쉘 구조를 가지는 이중 구조로 구성된 노즐을 사용하여, 내부노즐로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토출시키고, 외부노즐로 에탄올을 토출시켜 전기방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탄올은 하이드로겔과 나노섬유 사이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적층체, 특히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는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태 추출물,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용액으로부터 제조되는 하이드로겔; 및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도입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는 하이드로겔과 나노섬유를 반복적으로 적층한 다층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노섬유/하이드로겔, 나노섬유/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드로겔/나노섬유/하이드로겔, 나노섬유/하이드로겔/나노섬유/하이드로겔/나노섬유 등의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는 아토피,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 완화,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증류수 100중량부, 알지네이트 3중량부, 후코이단 10중량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10중량부, 감태 추출물 5중량부, 탄산칼슘 1중량부를 혼합하여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였다.
클로로포름 100중량부와 폴리카프로락톤 10중량부를 혼합하여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을 40℃에서 1시간 반응하여 하이드로겔을 제조하였다.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도입함으로써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조하였다.
도 1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이미지로서, (a)는 하이드로겔 용액이고, (b)는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을 가교하여 제조되는 하이드로겔이며, (c)는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나노섬유를 도입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나타낸다.
도 2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FE-SEM을 나타낸다. (a)~(c)는 패치의 단면으로서, 나노섬유층과 하이드로겔층이 적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d)~(i)는 패치의 나노섬유 부분으로서 나노섬유가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대조군인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는 2.45MPa의 인장강도와 4.13mm/mm의 변형률을 나타내고 있다. 반면 본 발명의 패치는 0.12MPa의 인장강도와 2번의 파단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1.41mm/mm에서 하이드로겔의 파단이 일어나고 2.83mm/mm에서 나노섬유의 파단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도 4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TGA를 나타낸다.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는 약 400~450℃에서 대부분 열분해 되며, 하이드로겔은 100℃ 미만에서 1차 열분해 되기 시작하여 전체 5개의 열분해 커브가 존재하는데, 이를 통해 하이드로겔에 다양한 성분이 포함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는 하이드로겔과 비교할 때, 400℃까지는 상대적으로 열적안정성이 높지만, 400℃ 이상에서는 하이드로겔보다 열적안정성이 저하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FT-IR을 ATR mode에서 측정한 것으로서, (a)는 패치의 하이드로겔 부분, (b)는 패치의 나노섬유 부분, (c)는 하이드로겔, (d)는 나노섬유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패치는 하이드로겔의 피크 및 나노섬유의 피크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1,200cm-1 부근의 S=O asymmetric stretching 피크는 후코이단과 글리코사미노글리칸에 포함된 황산기의 피크이다.
도 6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접촉각(Contact angle)로서, (A)는 나노섬유, (B)는 패치의 나노섬유 부분, (C)는 패치의 하이드로겔 부분을 나타낸다.
패치의 친수성을 확인하기 위해, 패치의 표면에 증류수를 떨어뜨린 후 30초 동안 패치 표면의 접촉각 변화를 분석하였다.
폴리카프로락톤 나노섬유는 소수성으로서 30초 동안 약 0.6°의 접촉각 변화가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패치는 위쪽 층과 아래쪽 층의 구성이 상이한데, 나노섬유로 구성된 위쪽 층은 평균 62.5°로서 소수성이고, 하이드로겔로 구성된 아래쪽 층은 초기 접촉각이 26.2°에서 30초 후 증류수가 완전히 흡수되어 접촉각이 없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7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피부 경피 수분 손실량을 나타낸다.
만 19~59세의 여성 20명을 시험대상자로 하여, 시험제품 사용 전(Before), 시험제품 24시간 첩포 후 제거직후(1mim), 제거 10분 후(10min), 제거 20분 후(20min), 제거 30분 후(30min)에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시험 부위는 좌측 전박 굴측 부분이고, Vapometer를 사용하여 경피수분손실량(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패치는 24시간을 첩포 한 다음 제거 30분 후까지 경피 수분 손실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8은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압축 강도를 나타낸다.
하이드로겔(a)과 본 발명의 패치(b)의 압축강도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패치는 압축 변형에 따른 압축 응력이 장기간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후코이단 0.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후코이단 2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탄산칼슘 1중량부 대신에 탄산칼슘 0.7중량부 및 글루코노 델타락톤 0.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후코이단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글리코사미노글리칸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감태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를 제조하였다.
(방출 특성)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제조된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시간에 따라 유효성분이 방출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UV-Vis spectroscopy로 분석하였다.
600nm에서 220nm 범위에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한 스펙트럼으로부터, 600s 이내에서 빠른 방출이 일어나는 경우 탁월, 800s 이내에서 방출이 일어나는 경우 우수, 800s 이후에 방출이 일어나는 경우 보통으로 표시하였다.
방출 특성 인장강도(MPa)
실시예 1 우수 0.12
실시예 2 보통 0.07
실시예 3 보통 0.08
실시예 4 우수 0.15
비교예 1 보통 0.03
비교예 2 보통 0.05
비교예 3 보통 0.04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방출 특성 및 인장강도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 및 4는 상기 특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a)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태 추출물,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으로부터 하이드로겔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용액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알지네이트 1~10중량부, 후코이단 1~20중량부, 글리코사미노글리칸 1~20중량부, 감태 추출물 1~20중량부 및 가교제 0.1~5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은 용매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수성 고분자 5~2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 용액은 폴리카프로락톤(PCL) 및 클로로포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의 제조방법.
  4. 제1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에 있어서,
    알지네이트, 후코이단, 글리코사미노글리칸, 감태 추출물, 가교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용액으로부터 제조되는 하이드로겔; 및
    상기 하이드로겔의 표면에 소수성 고분자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도입되는 나노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는 아토피의 증상 완화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KR1020180146197A 2018-11-23 2018-11-23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해양자원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KR102183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97A KR102183132B1 (ko) 2018-11-23 2018-11-23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해양자원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97A KR102183132B1 (ko) 2018-11-23 2018-11-23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해양자원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960A KR20200060960A (ko) 2020-06-02
KR102183132B1 true KR102183132B1 (ko) 2020-11-25

Family

ID=71090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197A KR102183132B1 (ko) 2018-11-23 2018-11-23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해양자원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1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248B1 (ko) * 2014-01-14 2016-1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의 전기방사 섬유가 복합된 하이드로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009B1 (ko) 2009-05-01 2012-08-28 강성식 알긴산 추출 방법 및 상기 알긴산 올리고머를 이용한 아토피 치료 조성물
KR101379460B1 (ko) * 2011-06-14 2014-03-3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감태(Ecklonia cava )유래 마이톨과 fucoidan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84587B1 (ko) * 2012-05-22 2015-01-2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미역귀와 멍게껍질의 혼합물 추출액을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5248B1 (ko) * 2014-01-14 2016-12-0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층의 전기방사 섬유가 복합된 하이드로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0960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6361A1 (en) Hydrophilic polyurethane nano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Hsu et al. Novel flexible nerve conduits made of water‐based biodegradable polyurethane for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DE60018480T2 (de) Mehrschicht-kollagenmatrix zur geweberekonstruktion
EP1563855B1 (de) Chitosanhaltige Wundauflagen
Wan et al. Porous‐conductive chitosan scaffolds for tissue engineering, 1
KR20090130355A (ko) 친수성 폼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된 친수성 폼 드레싱재
CN108465130B (zh) 引导组织再生膜及其制备方法
KR102142720B1 (ko) 점착성이 우수한 유착 방지 필름
KR100780846B1 (ko) 약물함유층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그의제조방법
CN110664439A (zh) 一种可提取皮肤组织液的微针及其制备方法
Hong et al. Development of asymmetric gradational-changed porous chitosan membrane for guided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KR102183132B1 (ko)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해양자원 추출물을 함유하는 다층구조의 하이드로겔-나노섬유 하이브리드 패치
Moradkhannejhad et al. Electrospun curcumin loaded poly (lactic acid) nanofiber mat on the flexible crosslinked PVA/PEG membrane film: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release kinetic study
JP4703283B2 (ja) 創傷被覆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Zhu et al. Electrospun polylactic acid nanofiber membranes containing Capparis spinosa L. extracts for potential wound dressing applications
Zhang et al. Development of highly oil-absorbent polylactic-acid microfibers with a nanoporous structure via simple one-step centrifugal spinning
CN107320782B (zh) 可吸收的生物医用聚乳酸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Pinho et al. Dextran-based tube-guides for the regeneration of the rat sciatic nerve after neurotmesis injury
EP1787664A1 (en) Process for producing collagen sponge, process for producing artificial skin, artificial skin and cell tissue culture substrate
Campelo et al. Agaricus blazei Murill extract‐loaded in alginate/poly (vinyl alcohol) films prepared by Ca2+ cross‐linking for wound healing applications
KR101413510B1 (ko) 생체 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이식용 재료의 제조방법
KR101973806B1 (ko) 전기방사를 이용한 코어-쉘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316833B1 (ko) 열린 기공의 매크로/마이크로 이중 기공 구조형 3차원 다공성 지지체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매크로/마이크로 이중 기공구조형 3차원 다공성 지지체
KR20180075812A (ko) 항균성 폴리우레탄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8136B1 (ko) 유착 방지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