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691B1 -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691B1
KR102142691B1 KR1020180053321A KR20180053321A KR102142691B1 KR 102142691 B1 KR102142691 B1 KR 102142691B1 KR 1020180053321 A KR1020180053321 A KR 1020180053321A KR 20180053321 A KR20180053321 A KR 20180053321A KR 102142691 B1 KR102142691 B1 KR 102142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intaglio
standing
bone
roa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8938A (ko
Inventor
이요석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8005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6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9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 E01C23/0993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forming cuts, grooves, or recesses, e.g. for making joints or channels for markings, for cutting-out sections to be removed; for cleaning, treating, or filling cuts, grooves, recesses, or fissures; for trimming paving edges for forming or installing surface markings or signals in the paving, e.g. grooving for striping or for producing rumble strips, forming marker-receiving rec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24Refl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ncorporation in or application to road surface mark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65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처리단계로서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에 음각골부(또는 홈)(10)를 형성하고 재귀반사성능을 가지는 비드(21)가 혼합된 도료(20)를 도포하거나, 기립차선부(30)를 구비하거나, 상기 도료(20) 및 기립차선부(30)를 모두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Intaglio road surface formation system}
본원 발명은 음각노면형성 시스템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음각 노면에 형성된 음각골부에 재귀반사성능을 부여하기 위해 도료를 도포하거나, 재귀 반사성능을 구비하는 기립차선부를 구비하거나, 상기 도료 및 기립차선부를 모두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도로환경에 맞는 다양한 음각노면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로 노면표시는 표지의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도로등이나 차량 헤드라이트로부터 나온 광이 도로 마킹에 충돌한 후 반사되는 재귀반사로 가시성을 확보한다. 재귀반사는 광이 닿는 경우, 그 광을 다시 광원방향으로 반사시키는 성질로서 도로 마킹에 널리 사용 되는데, 우리나라는 차선도색 휘도 기준으로서 일정한 재귀반사 성능 규정을 만족시켜야 한다.
종래 한국공개특허 10-2010-0112585의 도로마킹방법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도로 마킹은 재귀반사성 요소를 포함하는 물품, 시트 또는 테이프의 형태로서 도로표면상에 배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양각 형식의 도로노면 표시방식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차량 타이어와의 마찰로 재귀반사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도로공사의 조사에 의하면, 아래 도표와 같이 백색도료로 도색된 현행 도로는 1년 경과 후 2종 차선도색은 240mcd/(m2ㆍlux)에서 100mcd/(m2ㆍlux), 4,5종 차선은 420mcd/(m2ㆍlux)에서 240mcd/(m2ㆍlux)으로 재귀반사성능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조사된다.
Figure 112018045674010-pat00001
상기한 양각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특허 10-1485488호는 차량 타이어와 마찰을 줄이기 위하여 차선 노면을 일정 깊이로서 파서 차선 홈을 만드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차선 홈의 폭 10~15cm, 길이 300~1000cm, 깊이 1.1~15mm 의 크기로 절삭하고, 도로면 약 0.1~5mm아래에 도로의 상부면이 형성되어 미세한 단층이 형성되도록 도포하여, 차량 타이어와의 마찰을 다소 줄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나, 우천 시에는 차량이 음각 홈의 차선을 밟고 지나는 경우 수막현상으로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그 정도의 미세한 단층만으로는 충분한 내구성을 가질 수 없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99425호는, 미끄러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장 노면(1)에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그루빙( grooving)하는 구성으로서, 단지 스프레드 간격을 조절하여 홈을 파고, 그 홈 내면에 착색을 하여 종래 착색부로 인해 발생하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이처럼 상기 기술은 어디까지나 종래 도료나 시트가 형성된 도로표시부분이, 다른 포장부분보다 마찰저항이 적으므로 미끄러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이므로, 음각방식의 도면형성방법을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없다.
한편, 우리나라 경찰청은 휘도기준 100mcd(㎡.lux) 이 되면 재설치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로 2종 노면표시(문자·기호) 차선도색의 경우 재귀반사 비드가 탈락하여 시공 후 3~6개월이면 최소 휘도기준 이하가 되어 재귀반사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실정이다. 특히 도로의 분기구간 내지 컬러레인( color lane) 구간과 같이 교통사고가 빈번하면서도 도로표시가 복잡한 구간에는 재귀반사성능이 더욱 저하되어 자주 도색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도로정체 및 현장작업의 곤란성으로 인해 시행이 어려워 안전사고의 사각지대가 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의 경부선 금호분기점 부산 방향의 경우, 노면표시의 수는 271개소에 달하고 노면표시의 종류가 13개에 달하여 반복적 작업과 작업의 정형화가 어렵고, 또 교통량의 과다로 노면표시 작업 중 교통체증과 안전사고가 빈번하여 재귀반사성능 기준치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기에 노면표시 작업을 시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 공용 중인 도로의 교통통제 작업은, 작업구간을 일정시간 동안 고정해서 통제하는 방식 (고정통제방식)과 안전관리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방식(이동통제방식)이 있는데, 특히 이동통제방식의 경우 다차로 구간, 곡선 구간, 터널 구간 등에서 작업 시 교통안전 사고율이 높아서 차선 도색 작업 중 노면에 각종 기호, 문자 등을 표시하는 작업들을 작업자들이 기피하는 경향이 심하여 도로 노면표시 관리에 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재귀반사성능을 개선하여 교통안전사고를 방지하면서도 장기간의 수명과 관리가 용이한 다양한 음각방식의 노면표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도로 노면(1)에 차량 주행방향으로 홈파기하여 형성되는 음각골부(10); 상기 음각골부(10)에 재귀반사성능을 가지는 입경크기 600~2,000㎛비드(21)가 혼합된 도료(20)를 도포하거나, 재귀 반사성능을 구비하는 기립차선부(30)를 구비하거나, 상기 도료(20) 및 기립차선부(30)를 모두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료(20)는 2종 수용성 노면 표시용 도료 또는 5종 수지계 2액형 상온경화형 도료인 MMA (methyl metacr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귀 반사성능을 구비하는 기립차선부(30)는 상기 음각골부(10) 바닥면(12)에 고정되어 차량 주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차선베이스부(32) 상면에 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각골부(10)는 하부 폭 대비 상부 폭이 확장 형성되도록 도로 노면(1) 상면과 음각골부(10) 측벽이 접하는 모서리부분이 절삭되어 삭제부(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선베이스부(32)는 음각골부(10) 폭보다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되어, 차선베이스부(32) 측면과 음각골부(10) 측벽 사이에 배수골(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립차선부(30)는 비드 코팅지, 반사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택일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선베이스부(32)는 일면에 기립차선부(30)가 이격 설치된 상태로 권취되어 롤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선베이스부(32)는 일자형 바형태로 형성되어 일면에 기립차선부(30)가 이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립차선부(30)는 도로 종방향으로 사인파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선베이스부(32)는 일정한 간격으로 'ㄷ'형 접힘 성형 또는 형틀성형되어 기립차선부(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각노면 표시(문자·기호) 형성시스템에서 6개월 공용 후 휘도(재귀반사도)가 300mcd(㎡.lux) 이상을 나타내어 기존 차선도색 방식 대비 자동차의 야간 주행 시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음각+기립차선의 경우 도로표지판에 적용하는 반사지의 입사각 방식을 차선에 적용하여 자동차 전조등 불빛을 직립차선 표면에 직각방향으로 비추게 함으로써 재귀반사 효율을 극대화하고, 기존 차선도색의 문제점인 차선휘도 저하와 야간우천 시 수막으로 인한 차선기능 상실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우리나라의 고속도로 노면표시 사례.
도 2 (a) 내지 (f)는 본 발명에 의한 음각형식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각홈부 홈파기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각노면형성 시스템의 음각홈부에 비드가 혼합된 도료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각노면형성 시스템의 음각홈부에 직립차선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각노면형성 시스템의 기립차선부와 차선베이스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각노면형성 시스템의 음각홈부에 기립차선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각노면형성 시스템의 음각홈부에 기립차선부가 적용된 도로의 재귀반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각노면형성 시스템의 삭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각노면형성 시스템의 기립차선부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 우리나라 고속도로 야간 주행 시 강우여부에 따른 차선 시인성의 비교도
본 발명을 도 1 내지 8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차량을 안내하고 지시하는 도로의 표지수단으로는, 도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세로표시인 차선과, 도로의 방향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표시되는 횡단표시와, 기타 화살표, 기호 및 각종 문자를 포함하며, 대단히 많은 종류가 있다.
본 발명은 전처리단계로서 시멘트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로 포장된 도로에 음각골부(또는 홈)(10)를 형성하고 재귀반사성능을 가지는 비드(21)가 혼합된 도료(20)를 도포하거나, 기립차선부(30)를 구비하거나, 상기 도료(20) 및 기립차선부(30)를 모두 채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 및 3을 통해 전처리단계를 간단히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음각노면은 도로 노면(1) 상에 음각으로 형성되는 음각골부(10)와, 도로 노면(10)에서 차량 타이어와 접지되는 접지부 및 음각골부(10)와 접지부 간 또는 벽체에 일정각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음각골부(10)과 접지부 간에 도 2(b)와 같이 동일한 간격 내지 사이즈로 곡면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 2(c)와 같이 음각골부(10)과 접지부 면적의 간격을 달리할 수도 있다. 이때 안정각을 각면으로 형성할 것인지 라운드로 할 것인지 여부는 작업 장비의 시공능력을 고려하되 되도록 라운딩 방식으로 시공하여 음각부 단면의 사단 모서리가 교통하중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설계함이 바랍직하다.
또 현재 타이어의 홈 사이즈가 6~8mm인 점을 고려할 때, 타이어와 차량의 타이어는 접지 면에 닿아 주행되도록 하면서 홈 부 속으로는 거의 타이어가 닿지 않도록, 접지부는 타이어의 홈 사이즈 보다 최소 2mm 이상 크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로 노면(10)에서 음각골부(10)를 형성하는 방법은 그루빙 공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음각골부(10)을 파기 위해서 마킹된 도로 노면(1)을 다이아몬드 그라인딩 등으로 절삭작업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각홈부(10) 홈파기공정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습식 그루빙 장치인 다이몬드사의 CG65모델이나, 건식장치로서 물을 분사하지 않고 밀폐된 절삭장치 공간으로 압축공기를 강제 순환시킴으로서, 절단 톱날의 냉각은 물론 투입된 공기와 함께 절단 분진을 흡입 및 여과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절삭, 냉각, 집진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넓은 작업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적은 인원으로 효율적 작업이 가능하다. 도 2(c)와 같이 엔진에 연결된 톱날의 직경, 톱날을 장착하는 구동축의 길이에 따라 단위 시공 폭은 20~100cm로 조정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보다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를 통해 음각골부(10) 홈파기 작업이 끝나면, 노면(1)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건식 내지 습식장치로 청소정리한 이후, 본 발명의 실시례와 같이 상기 음각골부(10) 에 재귀반사성능을 가지는 입경크기 600~2,000㎛비드가 혼합된 도료를 도포하거나, 재귀 반사성능을 구비하는 기립차선부(30)를 구비하거나, 상기 도료 및 기립차선부를 모두 채택하는 구성을 채택한다.
즉, 상기 도로 노면(1)에 차량 주행방향으로 홈파기하여 형성되는 음각골부(10); 상기 음각골부(10) 바닥면(12)에 고정되어 차량 주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차선베이스부(32); 상기 차선베이스부(32) 상면에 기립 설치되고, 재귀 반사면(31)이 구비되는 기립차선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립차선부(30)는 차선베이스부(32)를 'ㄷ'형 접힘 성형하여 이중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립차선부(30)의 반사면(31)은 차량 주행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면(1) 상면과 음각골부(10) 측벽이 접하는 모서리부분이 절삭되어 삭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삭제부(14)는 음각골부(10)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기립차선부(30)의 반사면(31)에 의한 재귀반사 빛의 반사각도가 확대되도록 구비된다.
먼저 일실시예로서 도료도포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차선도색용 도료는 도로 표지용 도료로서 KS 규격에 준하는 것이여야 한다. KS 기준상 차선 내구성 확보 및 오염물질(VOC) 배출 저감을 위해 2종 및 4종이 사용되고 있고 5종이 신규로 지정되었는데, 4,5종 도료는 내구연한이 2~3년이며 건조시간이 대폭 단축되어 시공성이 유리하다. 상기 5종 도료는 통상 내구성이 2년 이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건조시간은 약 10~15분으로서 작업용이성 및 고기능성의 이점이 있지만, 가격이 고가이므로 교통량이 많은 다차로 구간이나 사고 취약구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종 수지계 상온열 경화형 도료인 MMA (methyl metacrylate)는 비드접착력을 강화시키는 플라스틱 수지가 사용되며, 도포 코팅되어 경화된 후에도 비드 표면에 긴밀하게 접착하여 본 발명이 적용 시 내구성 실험에서 내마모도시험횟수- 재귀반사도가 400만회-300mcd/㎡ㆍlx ( P7-R5)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5종 수지계 MMA를 적용할 경우, 거의 반영구적으로 반사재귀성능을 발휘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 면에서는 우수한 것으로 입증된다.
재귀반사 요소로서 비드(21)는 입경크기에 따라 600㎛ ~ 2000㎛ 상당이 시판되고 있는데, 입경이 클수록 도료와의 밀착성이 떨어지고 및 차량 바퀴에 의해 이탈이나 마모되기가 쉽다. 입경이 큰 것과 작은 것의 반사율은 서로 상이하여 혼합하여 사용하면 난반사의 원인이 되고 휘도가 대폭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입도 분포가 좁도록 일정 입정의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음각골부(10)의 차량 타이어와의 마모 영향권에서 자유로운 부분에 5종 수지계 상온경화형 도료를 사용하면서, 야간 및 우천 시에도 탁월한 재귀반사성능을 발휘하도록 입경크기 600~2,000㎛에 달하는 비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료(20)는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 하는데, 비드(21)는 도료(20)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도색 후 도막 위에 유리알 (그라스 비드)을 살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음각골부(10) 바닥면에 재귀 반사성능을 구비하는 기립차선부(30)가 구비된다. 기립차선부(30)는 비드 코팅지, 반사지 중 선택하여 형성되고, 도 5와 같이 기립차선부(30)의 반사면은 차량 주행방향과 직교하도록 도로 폭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립차선부(30)는 타카 또는 접착제 또는 음각골부(10) 사이에 억지끼움되는 고정방식에 의해 설치되는바, 도 5처럼 각각의 기립차선부(30)를 독립적으로 설치하거나, 도 6과 같이 복수개의 기립차선부(30)를 단일체 묶음으로 모듈화하여 시공하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재귀 반사성능을 구비하는 기립차선부(30)는 상기 음각골부(10) 바닥면(12)에 고정되어 차량 주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차선베이스부(32) 상면에 기립 설치된다. 차선베이스부(32)는 내구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PVC 등 가요성과 내후성을 가지는 시트로 형성되고, 상면에 복수개의 기립차선부(30)를 이격 설치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선베이스부(32)를 음각골부(10) 바닥면에 고정하는 간단한 과정을 거쳐 복수개의 기립차선부(30)를 일정한 간격으로 간단하게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차선베이스부(32)는 일면에 기립차선부(30)가 이격 설치된 상태로 권취되어 롤형태로 구성되어, 현장에서 롤형태의 차선베이스부(32)를 회전시켜 언로딩하면서 시공하므로 기립차선부(30) 시공 작업성 향상 및 자동화를 도모하고, 또 상기 차선베이스부(32)는 일자형 바형태로 형성되어 일면 또는 양면에 기립차선부(30)가 이격 설치되어, 바형태의 차선베이스부(32) 길이에 해당하는 거리만큼씩 이동하면서 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선베이스부(32)를 바형태로 형성시에는 경도를 높여 차선베이스부(32) 전구간 내구성 향상과 더불어 국부적인 들뜸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차선베이스부(32)는 일정한 간격으로 'ㄷ'형 접힘 성형 또는 형틀성형되어 기립차선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베이스부(32)를 'ㄷ'형으로 절곡성형하여 서로 대응하는 중첩면을 부착하여 차선베이스부(32) 상면과 직교하는 기립차선부(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차선베이스부(32)는 해당부위 도장차선과 동일한 색상을 적용한다.
한편, 상기 도료(20) 및 기립차선부(30)를 모두 채택하는 구성도 가능한바, 음각골부(10)에 도료(20)를 도포 후에 기립차선부(30)를 설치하거나, 기립차선부(30)를 선 시공후에 도료(20)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음각골부(10)는 하부 폭 대비 상부 폭이 확장 형성되도록 도로 노면(1) 상면과 음각골부(10) 측벽이 접하는 모서리부분이 절삭되어 삭제부(14)가 구비된다. 도 6 및 도 8에서 삭제부(14)는 도로 노면(1) 상면과 음각골부(10) 측벽이 접하는 'ㄱ'자형 모서리부분을 'ㄴ'자형으로 절삭가공하여 차량 주행 중 타이어를 접지력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킴으로 음각골부(10) 측벽 파손이 미연에 방지됨과 더불어 도료(20) 또는 기립차선부(30)에 의한 재귀반사 빛의 반사각도가 확대된다.
한편, 상기 삭제부(14)는 도 6 및 도 8에서 'ㄴ'자형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도 10과 같이 사선형 모따기, 라운드형 모따기처리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8에서, 상기 차선베이스부(32)는 음각골부(10) 폭보다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되어, 차선베이스부(32) 측면과 음각골부(10) 측벽 사이에 배수골(40)이 형성된다. 이에 우천시 음각골부(10)로 포집되는 우수가 배수골(40)을 타고 신속하게 배수되어 도로 노면 접지면의 수막현상이 방지됨과 더불어 음각골부(10) 내에 물고임 현상이 방지된다. 이때 음각골부(10)는 일정한 간격으로 도로 가장자리부로 연결되는 물빠짐골을 추가로 더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재귀반사기능을 가지는 도료 또는 기립차선부 또는 이들이 복합적으로 음각골부(10) 내에 형성되어 차량 타이어 하중에 노출되더라도 안전하게 보호됨과 더불어 장시간 재귀반사기능을 발휘하고, 특히 도 9와 같이 기립차선부(30)의 반사면이 차량 주행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야간 및 우천시에도 우수한 재귀반사성능을 발휘하는 이점이 있다.
도 11에서, 상기 기립차선부(30)는 사인파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립차선부(30) 측면 형상이 사인파형으로 형성되므로, 전면 반사면으로 차량 전조등 불빛이 조사되면 사인파형 곡선에 의해 전조등 불빛이 광각으로 확산 재귀반사된다. 이에 차종별 전조등 높이 및 운전자 시야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각도에서 기립차선부(30)에 의한 재귀반사 빛이 식별되는 이점이 있고, 도로 주행차량의 주행붕에 의한 이물질 제거와 유지관리 시 물청소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10: 음각홈부 20: 도료
30: 기립차선부 40: 배수골

Claims (9)

  1. 도로 노면(1)에 차량 주행방향으로 홈파기하여 형성되는 음각골부(10);
    상기 음각골부(10) 바닥면(12)에 고정되어 차량 주행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차선베이스부(32);
    상기 차선베이스부(32) 상면에 기립 설치되고, 재귀 반사면(31)이 구비되는 기립차선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기립차선부(30)는 차선베이스부(32)를 'ㄷ'형 접힘 성형하여 이중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립차선부(30)의 반사면(31)은 차량 주행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노면(1) 상면과 음각골부(10) 측벽이 접하는 모서리부분이 절삭되어 삭제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삭제부(14)는 음각골부(10)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기립차선부(30)의 반사면(31)에 의한 재귀반사 빛의 반사각도가 확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각골부(10)에 재귀반사성능을 가지는 입경크기 600~2,000㎛비드(21)가 혼합된 도료(20)가 도포되고, 상기 도료(20)를 도포 후에 차선베이스부(32) 및 기립차선부(30)를 설치하거나, 차선베이스부(32) 및 기립차선부(30)를 선 시공 후에 도료(20)를 도포하며, 상기 도료(20)는 2종 수용성 노면 표시용 도료 또는 5종 수지계 2액형 상온경화형 도료인 MMA (methyl metacryl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베이스부(32)는 음각골부(10) 폭보다 축소된 사이즈로 형성되어, 차선베이스부(32) 측면과 음각골부(10) 측벽 사이에 배수골(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53321A 2018-05-09 2018-05-09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KR102142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21A KR102142691B1 (ko) 2018-05-09 2018-05-09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321A KR102142691B1 (ko) 2018-05-09 2018-05-09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38A KR20190128938A (ko) 2019-11-19
KR102142691B1 true KR102142691B1 (ko) 2020-08-07

Family

ID=6877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321A KR102142691B1 (ko) 2018-05-09 2018-05-09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6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139B1 (ko) * 2020-09-18 2022-05-04 권영대 이중 구조 차선 및 그의 시공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10B1 (ko) * 2007-05-22 2008-05-27 하성민 음각차선을 구비한 노면구조
KR100895652B1 (ko) * 2007-06-22 2009-05-07 주식회사에코비젼 차선과 차선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JP2011226135A (ja) * 2010-04-19 2011-11-10 Sanwa Kogyo:Kk 舗装道路のライン表示構造およびライン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5711A (ko) * 2010-01-21 2011-07-27 이상헌 도로주행 주의환기를 위한 요철
KR101145816B1 (ko) * 2010-03-11 2012-05-16 (주)제우스코리아 요철을 갖는 재귀반사형 포장재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110B1 (ko) * 2007-05-22 2008-05-27 하성민 음각차선을 구비한 노면구조
KR100895652B1 (ko) * 2007-06-22 2009-05-07 주식회사에코비젼 차선과 차선 도색 방법 및 차량용 차선 도색 장치
JP2011226135A (ja) * 2010-04-19 2011-11-10 Sanwa Kogyo:Kk 舗装道路のライン表示構造およびライン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38A (ko) 201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59295A1 (en)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 with improve performance in wet night conditions
US4772155A (en) Safety roadway delineator effective during rainy night-time driving conditions
US5049001A (en) Safety roadway delineator effective during rainy night-time driving conditions
KR102142691B1 (ko) 음각노면형성 시스템
JP4184959B2 (ja) 複合路面標示
US20080232903A1 (en) Pavement marker, kit and method
JP2009127215A (ja) 仮設路面標示テープ
US6217254B1 (en) Marking on roads with a fixed road surface, such as asphalt, concrete or the like for motor vehicles and method for producing road markings
GB2165873A (en) Reflective road markers
KR20030075838A (ko) 포장도로의 도장공법
US20200378076A1 (en) Contrast Surface Marking Devices and Systems
US11047097B2 (en) Temporary flexible pavement marker
Ceifetz et al. Evaluating road delineation practices in Michigan
KR100298684B1 (ko) 기능성노면교통표시시공방법
KR100939536B1 (ko) 차선 표시구
AU2014101250A4 (en) Textured roadmarkings for wet weather visibility and improved skid resistance
WO2008126109A1 (en) A structured element for horizontal and/or lateral road signals
CN214219258U (zh) 一种带玻璃微珠反光层的混凝土侧石
KR20200112366A (ko) 고휘도 반사 부재를 이용한 차선 시공방법
KR200238702Y1 (ko) 노면표시용 반사표시구를 부착한 블록
NL1004432C2 (nl) Een eenvoudig afneembaar, laagvormig horizontale reflecterende belijning ten behoeve van verkeersstromen en/of andere markeertoepassingen.
WO1997001678A1 (en) Retroreflective material
FI109551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struktuurimerkinnän tekemiseksi ja struktuurimerkintä
KR200333932Y1 (ko) 음각도색 노면표시 구조
KR200364200Y1 (ko) 차선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