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993B1 -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993B1
KR102141993B1 KR1020180147040A KR20180147040A KR102141993B1 KR 102141993 B1 KR102141993 B1 KR 102141993B1 KR 1020180147040 A KR1020180147040 A KR 1020180147040A KR 20180147040 A KR20180147040 A KR 20180147040A KR 102141993 B1 KR102141993 B1 KR 102141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eight
based resin
block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574A (ko
Inventor
서동균
박혜진
강동윤
박덕훈
이현섭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99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매트릭스 존재 하에 연속적으로 제조되며 에틸렌 함량이 14~15 중량%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및 (b)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응기에서 에틸렌 함량이 고함량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및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을 혼합함으로써, VOC 방출량을 낮출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며, 나아가 향후 자동차 내장재 뿐만 아니라 충격 강도를 요구하는 다양한 컴파운딩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HAVING LOW VOC EMISSION FOR INJECTION MOLDING}
본 발명은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컴파운드는 자동차 등에 쓰이는 복합 수지의 일종이다. 종래 자동차용 컴파운드 시장에서는 충격 강도 개질을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었으나, 최근 새집증후군, 새차증후군 등에 대한 매스컴 보도로 인해 건축자재 뿐만 아니라 자동차 내장재 분야에서도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이하, 'VOC'라 함.)의 방출이 이슈화 되고 있다.
VOC는 대기 중으로 쉽게 증발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유기화합물을 일컫는 용어로, 페인트, 접착제, 카펫, 벽지, 포장비닐 등의 자재로부터 발생하며, 피부 접촉이나 호흡기 흡입 등을 통해 신경계 장애를 일으키는 발암물질로도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현재 국내를 포함한 세계 각국에서 자동차 내장재의 VOC 규제기준이 엄격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8407호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양호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고 다양한 방식으로 더 가공될 수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를 기재로 한 개방-셀형 발포체 비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뿐, VOC의 방출을 저감시키는 것과 관련된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인식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8407호(2010. 10. 11.)
본 발명은 VOC 방출을 저감시킬 수 있는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기에서 에틸렌 함량이 고함량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및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을 혼합함으로써, VOC 방출량을 낮출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며, 나아가 향후 자동차 내장재 뿐만 아니라 충격 강도를 요구하는 다양한 컴파운딩 시장에 적용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매트릭스 존재 하에 연속적으로 제조되며 에틸렌 함량이 14~15 중량%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및 (b)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a)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40~65 중량%, (b)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은 35~6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200℃ 온도 조건에서 20분 동안 측정한 Head space 상대 흄(fume)과 에틸렌 함량이 7.5~8.5중량%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와의 상대비율이 0.1~0.5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ATD-GC/MS 방법으로 90℃ 온도 조건에서 30분 동안 측정한 VOC 방출량 측정 결과 값이 100~400 ppm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자동차용 내장재 또는 외장재인 것인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특정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및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을 함께 혼합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단독 조성의 경우보다 VOC 방출량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VOC 방출량이 현저히 저감될 수 있는 것은 VOC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자동차용 컴파운드 제품 시장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한 VOC 함량을 확인할 수 있는 Head Space 상대 Fume 측정 결과 및 ATD-GC/MS 측정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한 양태는,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매트릭스 존재 하에 연속적으로 제조되며 에틸렌 함량이 14~15 중량%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및 (b)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외장재용 수지는 고충격에 강한 특성을 요하므로, 이를 위해서는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에틸렌이 함유되어 있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에틸렌이 함유되어 있는 수지의 예로는 JM-360(롯데케미칼 주식회사), JH-350(롯데케미칼 주식회사), JNB-350(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VOC 방출량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과 같은 고분자 비율이 높은 수지 조성물을 함께 블렌딩하여 사용함으로써, VOC 방출량을 유의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인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수지(JM-360) 대비 83%(Head Space 측정 기준), 38%(ATD-GC 측정 기준)의 VOC 방출량의 저감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a)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매트릭스 존재 하에 연속적으로 제조되며 에틸렌 함량이 14~15 중량%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지글러 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충분한 내충격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수지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프로필렌의 공중합에 적합한 중합 공정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익히 공지되어 있고, 벌크 중합, 용액 중합, 슬러리 중합 및 저압 기상 중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내 에틸렌 함량이 14~15 중량%으로 높기 때문에, 에틸렌 함량이 적은 경우보다 고무 같은 물성을 가질 수 있고, 이 때문에 적은 양으로도 충분히 우수한 내충격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가 본 발명의 전체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적은 함량으로 포함되더라도 우수한 저온 충격강도를 충분히 달성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전체 수지 조성물에서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의 함량을 높일 수 있게 됨으로써 저분자들이 VOC로 방출되어 검출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전체 수지 조성물의 VOC 방출량 저감 효과가 우수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필요로 하는 물성을 얻을 수 있도록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예시적으로, 저온에서의 충분한 충격강도를 갖기 위해서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40~65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6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4~57중량% 포함될 수 있다.
(b)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
본 발명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을 포함한다. 상기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은 트리아드 에틸렌(triad ethylene) 지수가 0.5% 이하, 용융피크가 145℃ 이하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40,000~600,000이고, 분자량 분포(Mw/Mn)가 1.0~6.0일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은 반응기에 메탈로센 촉매, 프로필렌 및 에틸렌을 공급하고, 상기 반응기를 가열하여 중합을 실시한 다음, 미반응 기체를 배출하고 반응기에서 수득된 고체상의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수지를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메탈로센 촉매는 헤테로원자가 결합된 페닐기를 포함한 연결다리를 갖는 메탈로센 전이금속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메탈로센 촉매에 대한 종류는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은 일반 지글러 나타 촉매를 사용한 경우보다 고분자 함량이 훨씬 높게 나타나며, 높은 고분자 함량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VOC 검출량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은 필요로 하는 물성을 얻을 수 있도록 적절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으로 함량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예시적으로, 저온에서의 충분한 충격강도를 만족함과 동시에 VOC 방출량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전체 조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은 35~60중량%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5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3~46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a)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및 (b)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이 블렌딩된 것이며,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방법을 통해 블렌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 가지의 다른 종류의 수지를 블렌딩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인, 트윈 압출기(Twin Extrusion)를 이용한 용융 블렌딩(melt blending) 방법을 사용해 블렌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VOC 방출량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저분자들의 경우 VOC로 검출될 확률이 더 높은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의 경우 일반 지글러 나타 촉매를 사용한 경우보다 고분자 함량이 훨씬 높은 이점이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고분자 함량이 높아져 VOC 검출량을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서로 다른 촉매를 사용하여 얻은 이종의 수지 제품을 불렌딩함으로써 추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성형품>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성형품은 사출 형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성형품은 자동차용 내장재 또는 외장재일 수 있다.
그 밖에도,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자동차 내/외장재와 같이 고충격에 강한 특성을 요하며 인체에 무해할 수 있도록 VOC 방출량이 낮은 조건이 필요한 다양한 성형품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제조예
제조예 1: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A) 제조
루프 중합 반응기에 프로필렌 모노머를 넣고 트리에틸 알루미늄, 프탈레이트 촉매, 및 실레인계 전자 공여자를 주입하고 68~75℃의 반응온도 및 28기압 하에서 기상 중합을 실시하여 에틸렌 함량이 7.5~8.5중량%인 임팩트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하였고, 수소에 의해 용융지수가 20g/10min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A)를 얻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A)는 XS 15~20% 조건에서 Izod 충격강도(ASTM D256, -10℃)를 측정했을 때 2~3 kgf·cm/cm2인 특성을 갖는다.
제조예 2: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B) 제조
루프 중합 반응기에 프로필렌 모노머를 넣고 트리에틸 알루미늄, 프탈레이트 촉매, 및 실레인계 전자 공여자를 주입하고 68~75℃의 반응온도 및 28기압 하에서 기상 중합을 실시하여 에틸렌 함량이 11~13중량%인 임팩트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하였고, 수소에 의해 용융지수가 10g/10min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B)를 얻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B)는 XS 25~30% 조건에서 Izod 충격강도(ASTM D256, -10℃)를 측정했을 때 3~5 kgf·cm/cm2인 특성을 갖는다.
제조예 3: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C) 제조
루프 중합 반응기에 프로필렌 모노머를 넣고 트리에틸 알루미늄, 프탈레이트 촉매, 및 실레인계 전자 공여자를 주입하고 68~75℃의 반응온도 및 28기압 하에서 기상 중합을 실시하여 에틸렌 함량이 14~15중량%인 임팩트 블록 코폴리머를 제조하였고, 수소에 의해 용융지수가 10g/10min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C)를 얻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C)는 XS 30~40% 조건에서 Izod 충격강도(ASTM D256, -10℃)를 측정했을 때 60 kgf·cm/cm2이상으로 깨지지 않는(Non-breakble) 특성을 갖는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중량비로 블렌딩하여 얻어진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이 때,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조성은 에틸렌 함량을 같게 설정하였으며, 상기 에틸렌 함량은 자동차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충격강도 및 물성 기준을 만족하는 정도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3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C) 50중량%,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 50중량%를 블렌딩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이 때,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은 용융지수가 30g/10min이고, XS 0.1~0.5% 조건에서 Izod 충격강도(ASTM D256, -10℃)를 측정했을 때 1.5~2 kgf·cm/cm2인 것을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해, 유기 과산화물(디이소부틸 퍼옥사이드) 0.02~0.03중량부, 인계산화방지제(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송원산업) 0.15 중량부, 페놀계 산화방지제(테트라키스[에틸렌-3-(3,5-디-티-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다엔, 송원산업) 0.1중량부 및 중화제(스테아르산칼슘, 송원산업) 0.1중량부를 혼합하여 핸셀 믹서에서 5분간 혼합한 후 180~220℃의 이축 압출기로 압출하여 펠렛 상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A)가 100중량%이고,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을 블렌딩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2에서 제조된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B) 75중량%,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 25중량%를 블렌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 있어서 특성의 측정은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VOC 방출량
VOC 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Head space 상대 fume 측정 방법과 ATD-GC/MS 방법 두가지를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1) Head space 상대 fume 측정 방법
캐리어 성분으로 He 가스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가압하여 증발된 시료 가스양을 상대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Head space 상대 흄(fume)의 양을 측정하였다(측정 조건: 200℃, 20min). 본 방법은 동일 부피 내에 있는 VOC 화합물의 상대비교 방법으로 유용한 방법이다. 상기에서 측정된 흄과 에틸렌 함량이 7.5~8.5중량%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와의 상대비율을 구하였다.
2) ATD-GC/MS 방법
ATD-GC/MS 방법은 자동화된 열탈착(Automated Thermodesorption) 방식을 활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학물을 다공정 고반자 물질(열탈착기)에 흡착시켜 분석하는 방법으로, 고체 시료 속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직접 열을 가하여 탈착하고 이를 GC/MS로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측정 조건: 90℃, 30min).
Izod 충격강도
ASTM D 256 방법으로 -10℃의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구 분 단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제조예 1 (A) wt% - 100 -
제조예 2 (B) wt% - - 75
제조예 3 (C) wt% 50 - -
(D) m-PP wt% 50 - 25
VOC 방출량 측정 결과 Head space 상대 비율 0.17 1 0.67
ATD-GC/MS ppm 267 434 405
Izod 충격강도 (-10℃) kg·cm/cm2 2~3 2~3
2~3
상기 표 1 및 도 1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을 혼합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VOC 방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을 혼합하더라도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도 VOC 방출량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을 혼합하고,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을 모두 만족한 실시예 1의 경우에는 현저하게 VOC 방출량이 저감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적은 함량을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내충격성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고분자 함량이 더 높은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좋된 폴리프로필렌(m-PP)를 전체 조성물 내에 더 많은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충격강도가 우수함과 동시에 우수한 VOC 방출 저감효과를 가질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매트릭스 존재 하에 연속적으로 제조되며 에틸렌 함량이 14~15 중량%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 및
    (b)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
    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전체 100중량%를 기준으로, (a)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40~65 중량%, (b) 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프로필렌(m-PP)은 35~60 중량%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200℃ 온도 조건에서 20분 동안 측정한 Head space 상대 흄(fume)과 에틸렌 함량이 7.5~8.5중량%인 폴리프로필렌계 블록 공중합체와의 상대비율이 0.1~0.5인 것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ATD-GC/MS 방법으로 90℃ 온도 조건에서 30분 동안 측정한 VOC 방출량 측정 결과 값이 100~400 ppm인 것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자동차용 내장재 또는 외장재인 것인 성형품.
KR1020180147040A 2018-11-26 2018-11-26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KR102141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040A KR102141993B1 (ko) 2018-11-26 2018-11-26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040A KR102141993B1 (ko) 2018-11-26 2018-11-26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574A KR20200061574A (ko) 2020-06-03
KR102141993B1 true KR102141993B1 (ko) 2020-08-06

Family

ID=71087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040A KR102141993B1 (ko) 2018-11-26 2018-11-26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9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350B1 (ko) 1995-10-09 1999-10-01 나카히로 마오미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3268191A (ja) 2002-01-08 2003-09-25 Sumitomo Che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JP2013209551A (ja) * 2012-03-30 2013-10-10 Japan Polypropylene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発泡ブロー成形体
KR101385379B1 (ko) * 2012-06-25 2014-04-1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우수한 내충격성, 굴곡탄성율 및 저취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0583A1 (de) 2002-07-05 2004-01-15 Basf Ag Offenzellige Polypropylen-Partikelschäu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2350B1 (ko) 1995-10-09 1999-10-01 나카히로 마오미 자동차 외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3268191A (ja) 2002-01-08 2003-09-25 Sumitomo Che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射出成形体
JP2013209551A (ja) * 2012-03-30 2013-10-10 Japan Polypropylene Corp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発泡ブロー成形体
KR101385379B1 (ko) * 2012-06-25 2014-04-14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우수한 내충격성, 굴곡탄성율 및 저취기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574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71898B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s having high melt ten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0826822B1 (ko)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조성물
KR101871533B1 (ko)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용품
CN108485066B (zh) 一种环保型-低气味车用聚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00324225A1 (en) Controlled-Rheology Polypropylene
TWI638854B (zh) 聚醯胺之改性
EP3990539B1 (en) Coupled post-consumer recycled polypropylene and process to provide same
KR20190022785A (ko) 에틸렌/알파-올레핀/폴리엔계 조성물
EP3394168B1 (en) Partially-crosslinked polyethylene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2141993B1 (ko) Voc 방출이 저감된 사출용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CN111479873B (zh) 热塑性硫化橡胶及其组合物
DE60125940T2 (de) Verwendung von modifizierte olefinpolymere zur herstellung von polyolefinprodukte mit verbesserten zähigkeit, festigkeit und wärmebeständigkeit
KR102150266B1 (ko)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조성물
EP3755747B1 (en) Polypropylene impact copolymers with reduced emission of volatiles
KR102353150B1 (ko) 내열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폴리케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429900B2 (ja) 樹脂組成物
KR102226802B1 (ko) 페달 시뮬레이터용 댐퍼의 고무 조성물
KR101188924B1 (ko) 투명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20220068032A (ko) 우수한 신장점도를 가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제조방법
KR101727672B1 (ko) 블루밍 발생이 없고 그립성이 우수한 부틸고무 복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14539677A (zh) 一种光稳定剂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2023094531A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
KR20230067351A (ko) 성형성이 우수한 사출 연신 블로우 성형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200077149A (ko) 저휘발 및 고충격강도를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