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729B1 - 물탱크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물탱크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729B1
KR102140729B1 KR1020190164490A KR20190164490A KR102140729B1 KR 102140729 B1 KR102140729 B1 KR 102140729B1 KR 1020190164490 A KR1020190164490 A KR 1020190164490A KR 20190164490 A KR20190164490 A KR 20190164490A KR 102140729 B1 KR102140729 B1 KR 102140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base frame
frame
dry pa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164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초 프레임 전체가 물탱크의 하중을 모두 지지하여 하중분산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및 비용절감 효과와 더불어 지면이 평탄치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물탱크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 결합홀을 형성하고 있는 하측 플레이트와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과 제1 고정 및 자리홀이 다수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측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다수의 건식패드와, 상기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에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서 절곡된 위치에 형성되되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에 끼움 결합하는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된 다수의 기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어, 모든 기초 프레임이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로 이루어져 재료비 절감에 따른 제작비용의 절감 및 높이조절시 높이 조절 플레이트를 통한 높이 조절이 안정적으로 이루질 수 있는 물탱크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물탱크 지지장치{Suppoting device of water tank}
본 발명은 가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는 기초 프레임 전체가 물탱크의 하중을 모두 지지하여 하중분산에 따른 구조적 안정성 및 비용절감 효과와 더불어 지면이 평탄치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물탱크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탱크는 각종 용수를 대량으로 저장할 필요가 있는 아파트, 학교, 빌딩, 공장 등에 주로 설치되는데, 최근 들어 이러한 물탱크는 현장에서 여러 개의 패널을 사용하여 필요한 크기에 따라 조립설치하는 조립식 물탱크가 많이 사용된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물탱크 시공방법은 먼저 지면으로부터 대략 40~50cm 정도의 높이로 돌출되는 콘크리트 기초 패드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하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 패드 위에 다시 복수 개의 고정 프레임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며, 상기 고정 프레임 위에 담수공간을 형성하도록 복수 개의 패널을 조립하여 만든 물탱크 본체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구성되는 기존의 일반적인 물탱크는, 상기 물탱크 본체의 수평상태가 유지되어야 물을 저장할 때 하중이 물탱크 본체에 고르게 분포되어 파손이나 누수 등을 방지할 수가 있고 수명의 연장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물탱크는 복수 개의 콘크리트 기초 패드가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 프레임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되어 물탱크 본체의 수평이 잘 유지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콘크리트 기초 패드와 고정 프레임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설치 상태가 불안정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이 수평 레벨링이 맞지 않을 경우 낮은 위치에 철판 등의 플레이트를 덧대어 높이를 맞추기도 하였으나 지진 등의 외력 발생시 높이 위치가 맞지 않기 때문에 기초 패드와 물탱크 사이의 철판으로 이루어진 플레이트가 이탈되어 여전히 설치 상태가 불안정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기술이 제안되었다.
즉,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8707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08560호(이하, '특허문헌 2'이라 함)에서와 같이 기초 패드를 높이조절이 가능한 형태의 건식패드를 형성하고 그 상단에 고정 프레임을 결합하여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수평을 맞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0728707 B1 물탱크용 기초 패드
(특허문헌 2) KR10-0808560 B1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이용한 자기수평조정식 물탱크 시공방법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1, 2는 높이조절을 위해 볼트방식으로 축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승하강시키기 때문에 높이가 높아질 수록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건식패드와 물탱크 사이에 고정 프레임이 결합되는데 이 고정 프레임은 어느 한방향으로, 예컨대, 세로, 가로 중 어느 하나가 주재로서 물탱크에서 발생되는 하중을 모두 지지하고 다른 방향의 고정 프레임은 주재인 고정 프레임의 간격만을 유지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는 결합구조로 건식패드에 결합되어 있어 주재인 고정 프레임을 많은 하중이 받을 수 있는 크기 및 재질로 형성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지지장치는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의 가로, 세로 방향으로 결합하는 모든 기초 프레임이 물탱크의 하중을 받을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되어 물탱크를 지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모든 기초 프레임이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기초 프레임 제작시 더 작은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재질 및 크기로 제작하여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물탱크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면의 높이가 상이할 경우 건식패드에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평판형태의 높이 조절 플레이트를 배치하되, 건식패드를 구성하고 있는 상측 플레이트의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2 기초 프레임 결합홈이 포함되어 있는 높이 조절 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제1, 2 기초 프레임 결합홈에 기초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을 결합하기 때문에 높이조절시 구조적 안정성 및 지진과 같은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높이 조절 플레이트가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지진시에도 물탱크를 계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면의 높이가 상이할 때에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배치하는 높이 조절 플레이트와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각각 제1, 2 고정 및 자리홀을 형성하여 건식패드에 높이 조절 플레이트 결합시 건식패드의 제1 고정 및 자리홀에 핀을 결합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 플레이트의 제2 고정 및 자리홀을 핀에 맞춰서 적층 배치하여 건식패드의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과 높이 조절 플레이트의 제2 기초 프레임 결합홈의 위치를 간단히 맞춰서 배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핀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물탱크의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식패드를 구성하는 포스트 상단의 상측 리브에 형성된 제1 장공홈에 볼트/너트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기초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에 고정홀을 형성하여 건식패드의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에 의한 기초 프레임의 결합력과 더불어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되, 높이 조절 플레이트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기초 프레임을 건식패드에 고정 결합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여 물탱크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의 가로, 세로 방향으로 결합하는 모든 기초 프레임이 물탱크의 하중을 받을 수 있는 형태로 배치되어 물탱크를 지지할 수 있는 결합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모든 기초 프레임이 물탱크의 하중을 지지하기 때문에 기초 프레임 제작시 더 작은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재질 및 크기로 제작하여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지면의 높이가 상이할 경우 건식패드에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평판형태의 높이 조절 플레이트를 배치하되, 건식패드를 구성하고 있는 상측 플레이트의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2 기초 프레임 결합홈이 포함되어 있는 높이 조절 플레이트를 배치한 후, 제1, 2 기초 프레임 결합홈에 기초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을 결합하기 때문에 높이조절시 구조적 안정성 및 지진과 같은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높이 조절 플레이트가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지진시에도 물탱크를 계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면의 높이가 상이할 때에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배치하는 높이 조절 플레이트와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각각 제1, 2 고정 및 자리홀을 형성하여 건식패드에 높이 조절 플레이트 결합시 건식패드의 제1 고정 및 자리홀에 핀을 결합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 플레이트의 제2 고정 및 자리홀을 핀에 맞춰서 적층 배치하여 건식패드의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과 높이 조절 플레이트의 제2 기초 프레임 결합홈의 위치를 간단히 맞춰서 배치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핀에 의해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물탱크의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건식패드를 구성하는 포스트 상단의 상측 리브에 형성된 제1 장공홈에 볼트/너트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기초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에 고정홀을 형성하여 건식패드의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에 의한 기초 프레임의 결합력과 더불어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되, 높이 조절 플레이트를 결합한 상태에서도 기초 프레임을 건식패드에 고정 결합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여 물탱크를 지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지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의 물탱크 지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건식패드(10)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어 물탱크의 지지시 기초가 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건식패드(10)는 지면에 결합되어 있는 앵커볼트 형태의 볼트(B)에 결합하기 위한 볼트 결합홀(11a)을 포함하고 있는 하부 플레이트(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11)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포스트(12) 및 상기 포스트(12)의 상측에 하부 플레이트(11)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과 제1 고정 및 자리홀(13b)이 형성되어 있는 상측 플레이트(1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 플레이트(11)에 형성되는 볼트 결합홀(11a)은 다수가 형성되어 건식패드(10)가 지면에서 충분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상측 플레이트(13)에 형성되는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은 대략 직사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4개소가 90도의 각도를 유지한 채로 형성되어 있고, 제1 고정 및 자리홀(13b)은 원형의 홀 형태로 이루어져 총 4개소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건식패드(10)를 구성하는 포스트(12)의 상, 하단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2 장공홈(14a, 15a)을 포함하는 상, 하측 리브(14, 15)가 다수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측 리브(14, 15)는 건식패드(10)의 상측 플레이트(13)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기초 프레임(20)은 상술한 건식패드(10)를 구성하는 상측 플레이트(13)의 상측에 배치되어 물탱크(1)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기초 프레임(20)은 수평 프레임(21)과 수직 프레임(22)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건식패드(10)를 구성하는 상측 플레이트(13)의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에 수직 프레임(22)이 끼움 결합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수직 프레임(22)에는 고정홀(2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홀(23)은 건식패드(10)의 상측 플레이트(13)에 기초 프레임(20)의 수평 프레임(21)이 맞닿은 상태일 때에 건식패드(10)의 상측 리브(14)에 형성된 제1 장공홈(14a)의 가장 낮은 위치와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볼트/너트(B/N)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건식패드(10) 중 지면의 높이가 낮은 위치의 건식패드(10)의 상측 플레이트(13)에 배치하여 다른 위치의 건식패드(10)와 높이를 맞출 수 있는 높이 조절 플레이트(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조절 플레이트(30)는 건식패드(10)를 구성하는 상측 플레이트(13)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높이 조절 플레이트(30)의 내측에는 상측 플레이트(13)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2 기초 프레임 결합홈(31)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1 고정 및 자리홀(13b)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이루어진 제2 고정 및 자리홀(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건식패드(10) 중 지면 높이가 낮은 위치의 건식패드(10)의 상측 플레이트(13)에 높이 조절 플레이트(30)를 배치한 후 기초 프레임(20)의 수직 프레임(22)을 제1, 2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 31)에 끼움 결합함으로써 지진과 같은 외력 발생시에도 높이 조절 플레이트(3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탱크(1)의 하중 지지시 건식패드(10)를 통한 원활한 지지력 형성을 위해 건식패드(10)의 상측 플레이트(13) 또는 건식패드(10)의 상측 플레이트(13)에 배치된 높이 조절 플레이트(30) 상단에 배치하는 레벨 플레이트(4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레벨 플레이트(40)는 기초 프레임(20)의 수평 프레임(21)의 높이와 건식패드(10)의 높이를 맞춰 줌으로써 건식패드(10)에 직접적으로 하중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레벨 플레이트(40)는 특별히 한정짓는 것은 아니지만 기초 프레임(20)과의 간섭을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 건식패드(10)를 구성하는 상측 플레이트(13)의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건식패드(10)에 형성되어 있는 상측 리브(14)의 제1 장공홈(14a)과 이웃하는 위치의 건식패드(10)에 형성되어 있는 하측 리브(15)의 제2 장공홈(15a)을 연결하는 보조바(50)를 더 구성하여 지진 등의 발생시 각각의 건식패드(10)를 지지함으로써 내진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건식패드(10)에 결합하는 기초 프레임(20)의 수평 프레임(21)과 물탱크(1)를 구성하는 리브(1a)에 볼트/너트에 의해 결합하여 물탱크(1)가 거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바(61)와 수직바(62)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스토퍼 브라켓(60)을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지지장치의 작용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물탱크 지지장치(100)의 시공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물탱크 지지장치(100)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물탱크(1)를 설치할 위치의 지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상기에서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작업시에는 지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레벨링 작업도 진행되어야 한다.
한편, 콘크리트의 타설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건식패드(10)를 배치할 위치의 지면에 앵커볼트로 이루어진 볼트(B)를 설치하도록 한 후, 볼트(B)가 설치된 위치에 건식패드(10)를 배치하여 건식패드(10)를 고정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여기서, 지면에 콘크리트 타설시 레벨링 작업을 진행하였지만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시 발생하는 오차에 의해 각각의 건식패드(10)를 구성하는 상측 플레이트(13)의 레벨링이 안맞을 수 있다.
따라서, 건식패드(10)의 설치 완료 후 기초 프레임(20)의 결합시 수평자를 이용하여 높이 위치가 맞는지 확인한 후 기초 프레임(20)을 건식패드(10)에 결합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다.
만약, 어느 하나 이상의 건식패드(10)의 높이위치가 다른 하나 이상의 건식패드(10)의 높이 위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높이가 낮은 건식패드(10)의 상측 플레이트(13)의 상측으로 높이 조절 플레이트(30)를 하나씩 적층하면서 수평자를 이용해 수평을 확인하는 작업을 추가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건식패드(10)의 상측 플레이트(13)에는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이 형성되어 있고, 높이 조절 플레이트(30)에는 제2 기초 프레임 결합홈(31)이 형성되어 이들 홈에 기초 프레임(20)의 수직 프레임(22)을 결합하여 시공이 완료되는데, 다수의 높이 조절 플레이트(30)를 건식패드(10)에 적층하여 시공이 이루어질 경우 제1, 2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 31)의 위치 정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작업자가 이를 정렬하는 작업을 하여야만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의 건식패드(10)의 상측 플레이트(13)에는 제1 고정 및 자리홀(13b)이 구성되어 있어 높이 조절 플레이트(30)의 적층시 제1 고정 및 자리홀(13b)에 핀(P)을 결합한 상태에서 높이 조절 플레이트(30)의 제2 고정 및 자리홀(32)을 제1 고정 및 자리홀(13b)에 결합한 핀(P)의 위치에 맞춰 결합하게 되면 작업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건식패드(10)에 높이 조절 플레이트(3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경우 높이 조절을 위해 플레이트를 승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힘이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축 또는 볼트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수평을 맞추기 위해 물탱크와 기초 프레임 또는 건식패드 사이에 형성한 평판 플레이트가 완전히 고정되지 않음으로써 그 사이에서 빠져나가 물탱크를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높이 조절 플레이트(30)를 건식패드(10)에 완전히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안정적인 물탱크(1)의 하중 지지력을 형성함과 동시에 높이 위치도 안정적으로 맞출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건식패드(1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건식패드(10)의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 및 높이 조절 플레이트(30)가 적층된 건식패드(10)의 제1, 2 기초 프레임 결합홈(13a, 31)에 기초 프레임(20)의 수직 프레임(22)을 끼움 결합한 후 물탱크(1)를 배치하여 결합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기초 프레임(20)의 수직 프레임(22)에 형성된 고정홀(23)과 건식패드(10)의 상측 리브(14)에 형성된 제1 장공홈(14a)에 볼트/너트(B/N)을 결합할 경우 더욱 견고히 건식패드(10)와 기초 프레임(20)을 고정시켜 지진 등의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건식패드(10)에서 높이 조절 플레이트(30)가 낙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초 프레임(20)의 수평 프레임(21)과 물탱크(1)의 리브(1a)에 볼트/너트에 의해 고정 결합가능한 스토퍼 브라켓(60)을 결합하여 기초 프레임(20)에 물탱크(1)를 고정 결합함으로써 지진 등의 거동 발생시에도 물탱크(1)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지면에 건식패드(10)가 고정되고, 상기 건식패드(10)에 기초 프레임(20)이 고정된 상태에서 기초 프레임(20)에 물탱크(1)가 고정되어 있어 내진보강력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기초 프레임(20)을 기초패드(10)에 결합하게 되면 차후 물탱크(1)의 시공시 물탱크(1)의 하중에 기초 프레임(20)에 오로지 전달되며, 특히, 가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모른 기초 프레임(20)에 하중이 전달되기 때문에 모든 기초 프레임(20)의 재질 및 크기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설계반영시에도 각각의 기초 프레임(20)이 더 작은 하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재질 및 크기로의 제작이 가능하여 제작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경우 기초 프레임(20)에 의해서만 건식패드(10)에 하중이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건식패드(10)에 기초 프레임(20)의 배치 이후 기초 프레임(20)의 수평 프레임(21)과 건식패드(10)의 높이 위치가 같은 레벨에 위치하도록 레벨 플레이트(4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초 프레임(20) 뿐만 아니라 건식패드(20) 자체에서도 하중이 지지되어 하중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본 발명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서 자명한 사항임을 명시한다.
10 : 건식패드
11 : 하측 플레이트 11a : 볼트 결합홀
12 : 포스트
13 : 상측 플레이트 13a :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
13b : 제1 고정 및 자리홀
14 : 상측 리브 14a : 제1 장공홈
15 : 하측 리브 15a : 제2 장공홈
20 : 기초 프레임
21 : 수평 프레임 22 : 수직 프레임 23 : 고정홀
30 : 높이 조절 플레이트
31 : 제2 기초 프레임 결합홈 32 : 제2 고정 및 자리홀
40 : 레벨 플레이트
50 : 보조바
60 : 스토퍼 브라켓
61 : 수평바 62 : 수직바
100 : 물탱크 지지장치

Claims (6)

  1. 지면에 볼트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볼트 결합홀을 형성하고 있는 하측 플레이트와,
    상기 하측 플레이트에서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측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과 제1 고정 및 자리홀이 다수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측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다수의 건식패드;
    상기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는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에 결합되는 수평 프레임과 상기 수평 프레임에서 절곡된 위치에 형성되되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형성된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에 끼움 결합하는 수직 프레임으로 구성된 다수의 기초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수의 건식패드의 가로,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기초 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지면의 상태에 따라 각각의 건식패드 중 낮은 위치의 건식패드의 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낮은 지면에 배치되는 건식패드를 구성하는 상측 플레이트에 배치하여 결합하되, 상측 플레이트의 제1 기초 프레임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제2 기초 프레임 결합홈과 제1 고정 및 자리홀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어 핀이 결합할 수 있는 제2 고정 및 자리홀으로 이루어진 높이 조절 플레이트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기초프레임의 수평 프레임 및 물탱크의 리브에 볼트/너트에 의해 결합할 수 있도록 수평바와 수직바가 절곡되어 있는 스토퍼 브라켓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물탱크 지지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 상단 또는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배치된 높이조절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기초 프레임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수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레벨 플레이트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물탱크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패드를 구성하고 있는 포스트의 상, 하단에는 기초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되되, 내측으로 제1, 2 장공홈을 형성하고 있는 상, 하측 리브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상, 하측 리브의 제1, 2 장공홈에 결합하는 보조바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물탱크 지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프레임의 수직 프레임에는 건식패드의 상측 리브에 형성된 제1 장공홈에 볼트/너트에 의해 고정 결합할 수 있는 고정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되, 기초 프레임의 수평 프레임이 건식패드의 상측 플레이트에 맞닿았을 때에 고정홀이 제1 장공홈의 가장 낮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물탱크 지지장치.
  6. 삭제
KR1020190164490A 2019-12-11 2019-12-11 물탱크 지지장치 KR102140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490A KR102140729B1 (ko) 2019-12-11 2019-12-11 물탱크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490A KR102140729B1 (ko) 2019-12-11 2019-12-11 물탱크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729B1 true KR102140729B1 (ko) 2020-08-04

Family

ID=72048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490A KR102140729B1 (ko) 2019-12-11 2019-12-11 물탱크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0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425A (ko) * 2021-04-29 2022-11-07 심연지 건식패드모듈을 이용한 내부 무보강 pdf 물탱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503B1 (ko) * 2012-06-26 2012-11-21 주식회사 시스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KR101955523B1 (ko) * 2018-05-25 2019-03-08 (주)엔아이씨이 조립식 물탱크용 하부 받침 어셈블리
KR20190071060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다원시스템 물탱크용 패드
KR102006932B1 (ko) * 2019-04-09 2019-08-02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물탱크용 내진 기초 건식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3503B1 (ko) * 2012-06-26 2012-11-21 주식회사 시스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물탱크 기초
KR20190071060A (ko) * 2017-12-14 2019-06-24 주식회사다원시스템 물탱크용 패드
KR101955523B1 (ko) * 2018-05-25 2019-03-08 (주)엔아이씨이 조립식 물탱크용 하부 받침 어셈블리
KR102006932B1 (ko) * 2019-04-09 2019-08-02 성일테크원 주식회사 물탱크용 내진 기초 건식 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8425A (ko) * 2021-04-29 2022-11-07 심연지 건식패드모듈을 이용한 내부 무보강 pdf 물탱크 시스템
KR102567409B1 (ko) * 2021-04-29 2023-08-22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청명 건식패드모듈을 이용한 내부 무보강 pdf 물탱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560B1 (ko) 물탱크용 기초 패드를 이용한 자기수평조정식 물탱크시공방법
CN102449248A (zh) 泡罩塔板元件的钢筋结构及制造泡罩塔板元件的方法
US2007000654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 modular building
KR102140729B1 (ko) 물탱크 지지장치
JP2015104245A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JP5635048B2 (ja) ソーラーパネル設置用の基礎
KR20190071060A (ko) 물탱크용 패드
US20050028463A1 (en) Raised flooring system
CN209353366U (zh) 塔吊基础转换件
KR100769556B1 (ko)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JP2018193672A (ja) 増設基礎構造
KR102182445B1 (ko) 기초건식패드를 적용한 smc패널 조립식 물탱크 및 그 물탱크의 시공법
KR102503438B1 (ko)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
KR20100042092A (ko) 조정판을 이용한 건축물의 벽체 시공구조
KR20070060583A (ko) 가설교량의 벤트 시공공법
CN219033280U (zh) 一种施工升降机柱基础结构
JP2015098725A (ja) 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とその据付工法
CN205604282U (zh) 一种输电塔的斜置角锥支架装配式基础
TWI785323B (zh) 地板鋼架支撐裝置
JP2020084467A (ja) ビル免震装置
KR101578563B1 (ko)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이용한 중량물 자세 조정용 정반
TWI748412B (zh) 地板鋼架支撐裝置
KR102419135B1 (ko) 조립식 물탱크용 바닥프레임
CN209760867U (zh) 一种砖混结构建筑物圈梁托换加固结构
KR20080057438A (ko) 기둥 높이 조절용 강관 기초 구조 시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