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3438B1 -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 - Google Patents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3438B1
KR102503438B1 KR1020220114522A KR20220114522A KR102503438B1 KR 102503438 B1 KR102503438 B1 KR 102503438B1 KR 1020220114522 A KR1020220114522 A KR 1020220114522A KR 20220114522 A KR20220114522 A KR 20220114522A KR 102503438 B1 KR102503438 B1 KR 10250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ar
tilt correction
pergola
support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진완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덕성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덕성
Priority to KR102022011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3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3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36Structures movable as a whole, e.g. mobile home structures
    • E04B1/34352Base structures or support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 침하에 의해 기울어진 기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기울기보정유닛인 기둥지지부재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주춧돌에 대한 기둥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기둥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정자본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기둥지지부재의 상면과 접하는 기둥의접촉면확장부재의 하면이 기둥지지부재의 상면보다 적은 곡률을 갖는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정자본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Pergolas with tilt compens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반 침하에 의해 기울어진 기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에 관한 것이다.
퍼걸러는 휴식을 취하거나 주위의 자연 경관 감상 용도로 선조들이 애용해 온 건축물로, 자연과의 조화를 위해 전면을 개방향 형태를 취하며, 장방형, 육각형, 팔각형 등의 다양한 편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퍼걸러는 바닥의 각 모서리에 기둥을 세우고, 상부에 지붕을 설치하며, 기둥의 일정높이에는 앉아 쉴 수있는 마루를 설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의 형태인데, 도심에 적용되면서 다양한 구조로 개량되고 있다. 바닥의 모서리측에 세워진 기둥들은 지면에 놓여진 주춧돌에 지지된다.
그런데, 퍼걸러는 하중이 커 지반이 약한 곳에서는 부분 침하가 발생되어, 기울어지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퍼걸러가 기울어진 경우, 종래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수평하게 들어올린 후, 주춧돌과 기둥 사이에 발생되는 틈을 채울 수 있는 부재를 놓거나 메꾼다. 하지만, 퍼걸러의 바닥이 수평하게 기둥이 직립되도록 조절하는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1230호에는 기둥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연결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연결 구조는 지반 침하 시 기둥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9552호에는 기둥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기둥의 중심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봉이 주춧돌에 연결된 볼조인트에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지지봉에 하중이 집중될 수 있어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지지봉 휨 발생 시 기울기 조절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1230호 : 목조 건축물의 높이 조절형 기둥 연결구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9552호 : 개량된 연결구조를 갖는 정자 구조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지반 침하에 의해 기울어진 기둥을 직립되게 보정할 수 있으면서, 기둥과 접촉면적이 확보되어 기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기울기 보정수단을 갖는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가장자리에 복수의 기둥들이 직립되게 배치되는 정자본체와; 지반에 고정되어 상기 기둥들을 지지하는 다수의 주춧돌과; 상기 주춧돌과 상기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지반 침하에 의해 기울어진 상기 기둥을 직립되게 보정할 수 있는 기울기 보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기울기 보정유닛은 하부가 상기 주춧돌에 고정되며 상기 주춧돌의 상면에 대해 직립되게 상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기둥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된 수용홈으로 수용되며 상기 수용홈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승강지지바와, 중심측으로 상기 승강지지바가 관통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주춧돌에 대해 승강가능하여, 직립되게 조절된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기둥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둥지지부재는 상기 승강지지바가 관통나사결합되며 다각 기둥형상의 승강조절너트부와, 상기 승강조절너트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측으로 상기 승강지지바가 관통되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주춧돌에 대해 기울어진 상기 기둥과 면접가능한 기울기 보정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상기 기둥의 하면에 결합되며 중심측에 상기 승강지지바가 관통되게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거나 보다 큰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되 상기 기울기보정지지부보다 적은 곡률을 갖는 오목한 곡면으로 인입형성되어 상기 기울기보정지지부와 면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가이드홈이 형성된 접촉면 확장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울기 보정유닛은 하나의 상기 기둥을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의 상기 주춧돌에 정방형태로 배열되거나 원주방향 또는 정방형태로 배열되게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지지가이드홈은 상기 기울기보정유닛에 대응되게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상기 기둥의 하부 양측부에서 상기 수용홈으로 진입된 상기 승강지지바의 양측에 접하도록 상호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에 대한 상기 승강지지바의 유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쌍의 유동방지바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기울기보정유닛인 기둥지지부재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주춧돌에 대한 기둥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기둥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정자본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기둥지지부재의 상면과 접하는 기둥의접촉면확장부재의 하면이 기둥지지부재의 상면보다 적은 곡률을 갖는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접촉면적이 확보되므로, 정자본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에 대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퍼걸러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퍼걸러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4는 침하된 지반에 기둥이 직립되게 보정된 도 1의 퍼걸러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침하된 지반에 기둥이 직립되게 보정된 도 5의 퍼걸러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8은 침하된 지반에 기둥이 직립되게 보정된 도 7의 퍼걸러에 대한 일부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1)는 지반에 고정된 다수의 주춧돌(2)과; 주춧돌(2)에 각각 지지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며 원주방향으로상호 이격되는 다수 개의 기둥(10)과, 다수의 기둥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보(20)와, 사용자들이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평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기둥(10)들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하는 공간(5) 내에 위치되게 기둥(10)들의 하부와 연결되는 마루(30)와, 공간(5)의 상방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보(20)와 기둥(10)들에 지지되어 그늘을 형성하는 지붕(36)을 포함하는 정자본체(7)와; 주춧돌(2)과 기둥(10) 사이에 설치되어, 지반 침하에 의해 기울어진 기둥(10)을 직립되게 보정할 수 있는 기울기 보정유닛(50)와; 기울기보정유닛(50)을 감싸는 커버유닛(80)을 구비한다.
각 기둥(10)은 하면 중심측에서 상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인입된 수용홈(11)이 형성된다.
기울기 보정유닛(50)은 베이스(52)와, 승강지지바(55)와, 기둥지지부재(57)를 구비한다.
베이스(52)는 사각 판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고정볼트(54)에 의해 주춧돌(2)에 고정된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베이스(52)는 기둥(10)에 대응되는 폭을 갖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기둥보다 큰 폭을 가져 베이스고정볼트(54)가 기둥(10)의 둘레에서 베이스(52)를 주춧돌(2)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고정볼트(54)의 헤드부(54a)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베이스(52)에 대해 돌출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승강지지바(55)는 베이스(52)와 일체로 형성되는데, 주춧돌의 상면에 대해 직립되게 베이스(52)의 중심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승강지지바(55)는 상부가 수용홈(11)으로 수용되며 수용홈(11)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기둥지지부재(57)는 직립되게 조절된 기둥(10)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중심측으로 승강지지바(55)가 관통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주춧돌(2)에 대해 승강가능하며 다각 기둥형상의 승강조절너트부(58)와, 하면이 승강조절너트(58)의 상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며 중심측으로 승강지지바(55)가 관통되며 상면이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주춧돌(2)에 대해 기울어진 기둥(10)과 면접가능한 기울기 보정지지부(60)를 구비한다.
기울기보정지지부(60)는 중심측이 승강지지바(55)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형성되며,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외주면이 승강조절너트부(58)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다.
기울기보정지지부(60)는 관통되는 조절바 결합볼트(61)에 의해 승강조절너트부(58)에 고정결합될 수 있는데, 조절바결합볼트(62)의 헤드부(62a)가 매립 지지되게 관통된 제1볼트관통공(6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1)는 기둥(10)의 하단에 결합되어 기울기보정지지부(60)와 접하는 접촉면 확장부재(70)를 더 구비한다.
접촉면 확장부재(70)는 하면에 상방으로 인입되되 기울기보정지지부(60)의 상면보다 적은 곡률을 갖는 오목한 곡면으로 인입형성되며 인입된 중심측이 수용홈(11)과 마주하는 지지가이드홈(71)이 형성되고, 지지가이드홈(71)의 중심측으로 관통형성되되 수용홈(11)에 대응되거나 큰 직경으로 관통형성되어 승강지지바(55)가 관통연장되는 조절바 관통공(7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면 확장부재(70)는 기둥과 결합을 위한 기둥결합볼트(77)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되어 기둥(10)가 나사결합되면서 고정될 수 있는데, 기둥결합볼트(77)의 헤드부(77a)가 지지가이드홈(71)에 대해 돌출되지 않게 제2볼트관통공(75)이 형성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볼트관통공(75)은 기둥결합볼트(77)의 몸체부(77b)가 나사결합되는 나사결합부와, 나사결합부의 하방에서 몸체부(77b)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되어 헤드부(77a)가 수용되는 헤드수용부를 구비한다.
커버유닛(80)은 기울기 보정유닛(50)을 수용하는 관통 홀(81)이 형성된다. 커버유닛(80)은 상호 결합 및 양분될 수 있는 제1커버(81)와, 제2커버(85)를 구비한다. 커버유닛(80)은 도시된 바와 다르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54205호에 게시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지반이 침하되어 기둥(10)이 기울어지면, 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통해 정자본체(7)를 수평하게 들어올린 후, 기둥지지부재(57)를 상승시켜, 접촉면확장부재(70)와 접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1)는 기울기보정유닛(50)인 기둥지지부재(57)의 상면이 상방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 있어, 주춧돌(2)에 대한 기둥(10)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기둥(10)과의 접촉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정자본체(7)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1)는 기둥지지부재(57)의 상면과 접하는 접촉면확장부재(70)의 하면이 기둥지지부재(57)의 상면보다 적은 곡률을 갖는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접촉면적이 확보되므로, 정자본체(7)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101)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101)는 하나의 기둥(110)에 다수의 수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기둥(10)이 다수의 기울기 보정유닛(50')에 분산 지지되고, 접촉면확장부재(170)에 다수의 지지가이드홈(171)이 형성된다.
다수의 수용홈(11)은 기둥(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열되거나 또는 정방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수의 기울기보정유닛(5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보정유닛(5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되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다수의 기울기보정유닛(50')은 다수의 수용홈(11)의 배열에 대응되게 주춧돌에 정방형태로 배열되거나 원주방향 또는 정방 형태로 배열되게 장착된다.
접촉면적확장부재(170)는 기울기보정유닛의 개수에 대응되는 다수의 지지가이드홈(171)이 형성된다.
지지가이드홈(171)은 접촉면 확장부재(17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되 기울기보정지지부(60)의 상면보다 적은 곡률을 갖는 오목한 곡면으로 인입형성되며 인입된 중심측이 수용홈(11)과 마주한다.
접촉면적확장부재(170)는 지지가이드홈(171)의 중심측으로 관통형성되되 수용홈(11)에 대응되거나 큰 직경으로 관통형성되어 승강지지바(55)가 관통연장되는 다수의 조절바 관통공(7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101)는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기둥(10)을 지지하는 다수의 기울기보정유닛(50')의 각 기둥지지부재(57)의 승강위치를 달리하여 접촉면적확장부재(170)의 각 지지가이드홈(171)에 기둥지지부재(57)가 접촉시킬 수 있어, 주춧돌(2)에 대해 기울어진 기둥(10)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20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201)는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유동방지바(291)를 더 구비하고, 유동방지바(291)와 접하는 승강지지바(255)의 상부에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1)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201)의 기둥(10)은 하부 양측면 또는 각 면에 수용홈(11)으로 연통되게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수평관통공(13)이 형성된다.
승강지지바(155)는 기둥지지부재(57)를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 형성부(156)와, 나사선 형성부(156)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나사선 형성부(156)보다 작은 폭을 갖는 사각기둥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각 측면이 사각형상의 기둥(10)의 각면에 나란한 바 간섭부(158)를 구비한다.
한 쌍의 유동방지바(291)는 마주하는 수평관통공(13)에 나사결합되어 수용홈(11) 내로 진입되어 승강지지바(155)의 바 간섭부(158)의 양측면에 접하여 승강지지바(55)의 유동을 방지한다.
유동방지바(291)는 두 쌍이 마련되어 바간섭부(158)의 각 면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방지바(291)는 주춧돌(2)에 대해 기둥(10)이 기울어졌을 때, 승강지지바(155)의 각 면에 접할수 있도록, 기둥의 폭 보다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승강지지바(155)와 접하는 유동방지바(291)의 단부는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단부는 자력을 갖는 자석이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201)는 유동방지바(291)들이 승강지지바(155)와 접하고 있어, 기둥(10)이 지면에 직립되거나 기울어졌을 때, 기둥지지부재에 대해 기둥(10)이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정자본체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구조에 유동방지바(291)가 더 구비된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의 구조에, 기둥(110)의 각 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사결합되어 대응되는 위치의 수용홈(11)으로 관통되어 승강지지바와 접하는 유동방지바(29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기둥(110)의 각 면에 유동방지바가 한 쌍 씩 동일 높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유동방지바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유동방지바(291)와 동일한 구조를 갖되, 작은 직경 및 길이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의 승강지지바는 크기를 달리하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승강지지바(155)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커버유닛이 주름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구조와 동일하되, 기둥지지부재가 승강조절너트부(58)만 구비되어, 승강조절너트부(58)가 접촉면 확장부재(70)에 직접 접촉되는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촉면 확장부재(70)는 지지가이드홈(71)이 형성되지 않고 하면이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정자
2 : 주춧돌 7 : 정자본체
10 : 기둥 50 : 기울기 보정유닛
52 : 베이스 55 : 승강지지바
57 : 기둥지지부재 58 : 승강조절너트부
60 : 기울기 보정지지부 70 : 접촉면 확장부재
80 : 커버유닛

Claims (5)

  1. 가장자리에 복수의 기둥들이 직립되게 배치되는 정자본체와;
    지반에 고정되어 상기 기둥들을 지지하는 다수의 주춧돌과;
    상기 주춧돌과 상기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지반 침하에 의해 기울어진 상기 기둥을 직립되게 보정할 수 있는 기울기 보정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기울기 보정유닛은
    하부가 상기 주춧돌에 고정되며 상기 주춧돌의 상면에 대해 직립되게 상방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부가 상기 기둥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된 수용홈으로 수용되며 상기 수용홈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승강지지바와,
    중심측으로 상기 승강지지바가 관통 나사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주춧돌에 대해 승강가능하여, 직립되게 조절된 상기 기둥을 지지하는 기둥지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지지부재는
    상기 승강지지바가 관통나사결합되며 다각 기둥형상의 승강조절너트부와,
    상기 승강조절너트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중심측으로 상기 승강지지바가 관통되며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주춧돌에 대해 기울어진 상기 기둥과 면접가능한 기울기 보정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하면에 결합되며 중심측에 상기 승강지지바가 관통되게 상기 수용홈에 대응되거나 보다 큰 직경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하면에서 상방으로 인입되되 상기 기울기보정지지부보다 적은 곡률을 갖는 오목한 곡면으로 인입형성되어 상기 기울기보정지지부와 면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가이드홈이 형성된 접촉면 확장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 보정유닛은
    하나의 상기 기둥을 분산 지지할 수 있도록, 하나의 상기 주춧돌에 정방형태로 배열되거나 원주방향 또는 정방형태로 배열되게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지지가이드홈은
    상기 기울기보정유닛에 대응되게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하부 양측부에서 상기 수용홈으로 진입된 상기 승강지지바의 양측에 접하도록 상호 마주하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기둥에 결합되어 상기 기둥에 대한 상기 승강지지바의 유동을 방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유동방지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승강지지바는
    상기 기둥지지부재를 관통하며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 나사선 형성부와,
    상기 나사선 형성부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상기 나사선 형성부보다 작은 폭을 갖는 사각기둥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되 각 측면이 사각형상의 상기 기둥의 각면에 나란하여 상기 유동방지바에 적어도 양측면이 접하는 바 간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울기 보정기능이 있는 퍼걸러.
KR1020220114522A 2022-09-08 2022-09-08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 KR102503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522A KR102503438B1 (ko) 2022-09-08 2022-09-08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522A KR102503438B1 (ko) 2022-09-08 2022-09-08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3438B1 true KR102503438B1 (ko) 2023-02-24

Family

ID=8533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522A KR102503438B1 (ko) 2022-09-08 2022-09-08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34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52B1 (ko) 2013-10-10 2014-02-11 주식회사 신우랜드 개량된 연결구조를 갖는 정자 구조체
KR101821230B1 (ko) 2015-12-28 2018-01-24 주식회사 천지콘텍 목조 건축물의 높이 조절형 기둥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9552B1 (ko) 2013-10-10 2014-02-11 주식회사 신우랜드 개량된 연결구조를 갖는 정자 구조체
KR101821230B1 (ko) 2015-12-28 2018-01-24 주식회사 천지콘텍 목조 건축물의 높이 조절형 기둥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438B1 (ko) 기울기 보정 기능이 있는 퍼걸러
KR101940788B1 (ko) 데크로드용 멍에 고정 장치
KR102119224B1 (ko) 물탱크용 건식패드
KR20190071060A (ko) 물탱크용 패드
JP2014148871A (ja) 架台の支持構造
KR101316592B1 (ko) 마루패널장선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루패널설치방법
US11242694B2 (en) Base for a fence post
KR102004321B1 (ko) 높이와 수평조절이 용이한 물탱크용 기초패드
KR10255357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용 접합박스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40729B1 (ko) 물탱크 지지장치
KR20210008629A (ko) 높이 및 경사 조절이 가능한 밸브실 맨홀구조체
KR102218166B1 (ko) 철근받침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JP7280606B2 (ja) 耐震構造
JP5388001B2 (ja) 球形タンクの脚部構造及び球形タンクの脚部構造の形成方法
KR20140009808A (ko) 기초용 철근 스페이서
CN113323447A (zh) 一种钢结构吊装施工的临时支撑装置
KR20220057814A (ko) X-브레이스 탑재용 서포트 지주
KR101857077B1 (ko) 아치형 건물의 지주 설치 고정용 고정유닛 및 그 고정유닛을 이용한 지주 설치 고정방법
KR20100042092A (ko) 조정판을 이용한 건축물의 벽체 시공구조
JP7299793B2 (ja) ユニット建物
KR102382182B1 (ko) 이중 마루용 레벨링 포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 마루 설치 구조
KR20220057812A (ko) C-레그 탑재용 서포트 지주
KR20230161622A (ko) 철근받침구조체
JP3242701U (ja) 筋交いアングル組立治具
JP3888291B2 (ja) 鉄骨柱用のアンカーポスト及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