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743B1 -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 Google Patents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743B1
KR102139743B1 KR1020200039082A KR20200039082A KR102139743B1 KR 102139743 B1 KR102139743 B1 KR 102139743B1 KR 1020200039082 A KR1020200039082 A KR 1020200039082A KR 20200039082 A KR20200039082 A KR 20200039082A KR 102139743 B1 KR102139743 B1 KR 102139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wing
iron plate
gripp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암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03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02D5/03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 E02D5/04Prefabricated parts, e.g. composite sheet piles made of steel
    • E02D5/08Locking forms; Edge joints; Pile crossings; Branch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동일한 조건에서 H빔 파일에 비해 지반에 삽입되는 강관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가 원형 강관을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a) 양측에 날개부(20a)를 구비한 날개형 철판(20)의 상부 중앙에 파지용 지그(40)를 조립하는 단계(S10), (b) 굴삭기에 장착된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로 단일 돌출판(11)을 구비한 강관(10)의 지지부재(13)를 파지한 후, 강관(10)을 지반에 삽입하는 단계(S20), (c)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로 상기 날개형 철판(20)의 파지용 지그(40)를 파지한 후, 서로 인접하는 강관(10)의 단일 돌출판(11)에 날개형 철판(20)의 날개부(20a)를 끼우는 단계(S30), (d) 공사가 완료된 후, 상기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가 상기 파지용 지그(40)의 수평부(43)를 걸어 날개형 철판(20)을 지반으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지반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상기 강관(10)은, 원형 강관으로서, 강관의 상단부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12)와, 상기 절개부(12)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3)와, 강관의 외주면 양쪽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철판이 끼워지도록 하는 돌출판(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SOIL RETAINING METHOD USING STEEL PIPE FOR RETAINING GROUND SOIL AND STEEL PLATE}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을 시공하거나 상,하수도관 매립공사를 위해 흙막이 공사를 할 때 사용되는 흙막이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H빔 파일에 비해 강관 삽입 간격을 넓혀 지반에 삽입되는 강관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진동식 해머로 원형의 강관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삽입할 수 있으며, 강관 사이에 철판을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한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을 신축하거나 상,하수도관 매립공사 및 교체공사를 위해 터파기 공사를 할 때에는, 굴착지반의 토압을 지지하고 지하수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흙막이 공사를 하게 된다.
상기한 흙막이 공법으로는, 토류판 공법, CIP 공법, SCW 공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토류판 공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 파일(1)을 지반에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하고, 서로 인접하는 H빔 파일(1) 사이에 다수의 토류판(2)을 적층한 후에 지반을 굴착한다.
상기한 토류판 공법은, 시공방법이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토류판(2)은, 통상 나무 판재로 구성되어 있어 사용 수명이 짧고, 일정한 폭의 판재를 적층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적층된 토류판(2) 사이로 지하수가 새어나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지반을 깊게 굴착하는 경우나, 완벽한 차수를 요하는 공사에서는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토류판 공법은, 다수의 토류판을 일일이 삽입하여 적층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지연되고, 흙막이 구조물 뒤편의 지반이 안정화되기 어려워 지반이 침하되거나 붕괴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H빔 파일(1) 사이에 목재 토류판 대신 흙막이 철판을 끼우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한 흙막이 철판에 의하면, 높은 토압을 지지할 수 있고, 흙막이 철판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H빔 파일(1) 대신에 원형 강관의 외부에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강관을 연속적으로 조립하는 방식도 제안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강관 연결방식은, 굴삭기의 선단에 장착된 진동식 해머(통상 '바이브로 해머'라 부른다)의 편평한 클램핑부로 강관을 파지하기가 어려워, 별도의 장비를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공사가 완료된 후, 지반에 박혀있는 강관을 인출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CIP(Cast In Place Pile) 공법은, 오거 머신(Auger Machine)으로 지반을 천공하고, 그 구멍에 철근망이나 H빔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터파기를 하는 방식이다.
상기한 CIP 공법은, 견고한 콘크리트 벽을 형성하게 되므로, 차수 효과가 높고 굴착에 따르는 지반 침하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SCW(Soil Cement Wall) 공법은, 상기 CIP 공법과 유사한 방식으로서 3축 오거 머시인으로 시멘트 벽체를 연속적으로 형성해 나가는 방식이다.
상기 SCW 공법 역시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고 시공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975824 B1 KR 10-2012-0054171 A KR 10-2008-0026014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토압 조건에서 동일한 폭의 철판을 사용하는 경우에, H빔 파일에 비해 강관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반에 삽입되는 강관의 개수를 감소시켜 시공비를 절감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굴삭기에 장착할 수 있는 진동식 해머에 의해 강관을 견고하게 파지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사가 완료된 후 지반에 박힌 철판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빼낼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공법은,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 (a) 양측에 날개부를 구비한 날개형 철판의 상부 중앙에 파지용 지그를 조립하는 단계(S10), (b) 굴삭기에 장착된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로 단일 돌출판을 구비한 강관의 지지부재를 파지한 후, 강관을 지반에 삽입하는 단계(S20), (c)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로 상기 날개형 철판의 파지용 지그를 파지한 후, 서로 인접하는 강관의 단일 돌출판에 날개형 철판의 날개부를 끼우는 단계(S30), (d) 공사가 완료된 후, 상기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가 상기 파지용 지그의 수평부를 걸어 날개형 철판을 지반으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지반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상기 강관은, 원형 강관으로서 강관의 상단부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강관의 외주면 양쪽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철판이 끼워지도록 하는 돌출판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는, 강관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폭 및 높이는,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가 상기 지지부재의 양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판은 단일 돌출판으로서, 상기 지지부재와 평행한 방향으로 강관의 양쪽에서 각각 돌출되어 날개형 철판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날개형 철판은, 제1 라운딩부와 제2 라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라운딩부는 전방 날개부에 형성되고, 제2 라운딩부는 후방 날개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라운딩부는, 철판 본체의 하부 양쪽 모서리에 원호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운딩부는, 철판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날개부의 하부 일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제2 라운딩부보다 곡률이 큰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형 철판에 조립되는 파지용 지그는, 볼트 조립부와, 상기 볼트 조립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머 클램핑부가 파지하도록 하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고, 날개형 철판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공법은, (a) 평철판의 상부 중앙에 파지용 지그를 조립하는 단계(S40), (b) 이중 돌출판을 구비한 강관의 지지부재를 진동식 해머로 파지한 후, 강관을 지반에 삽입하는 단계(S50), (c)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진동식 해머로 상기 평철판의 파지용 지그를 파지한 후, 서로 인접하는 강관의 이중 돌출판의 틈에 평철판의 양 측부를 끼우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공법은, (a) 양측에 날개부를 구비한 날개형 철판과 평철판의 상부 중앙에 파지용 지그를 각각 조립하는 단계(S70), (b) 단일 돌출판을 구비한 강관의 지지부재와, 이중 돌출판을 구비한 강관의 지지부재를 진동식 해머로 파지한 후 지반에 삽입하는 단계(S80), (c) 상기 S80 단계 이후에, 진동식 해머로 날개형 철판의 파지용 지그를 파지하여 서로 인접하는 강관의 돌출판에 날개형 철판의 날개부를 끼우고, 평철판의 파지용 지그를 파지하여 서로 인접하는 강관의 이중 돌출판의 틈에 평철판의 양 측부를 끼우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형 강관과 철판을 사용하여 흙막이 공사를 할 때, 동일한 토압 조건에서 철판의 폭이 동일한 경우, H빔 파일에 비해 강관 사이의 간격을 늘려 지반에 삽입되는 강관의 개수를 줄일 수가 있다.
이로써 장비 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삭기의 선단에 장착되는 진동식 해머로 원형 강관의 상부를 견고하게 파지하여 지반에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반의 굴착작업에 사용되는 굴삭기의 선단에 진동식 해머를 장착하여, 강관의 삽입작업 및 철판의 삽입 및 인출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가 있다.
이로써 장비 사용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흙막이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지반에 박힌 강관 및 철판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목재 토류판을 사용한 종래의 흙막이 공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 및 날개형 철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강관 및 평철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관, 날개형 철판 및 평철판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지용 지그가 날개형 철판에 조립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종래기술의 H빔 파일과 본 발명의 강관의 삽입개수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강관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공사용 원형강관(이하 간단히 '강관'이라 한다)은, 건물 신축이나 상,하수도관 매립 및 교체공사를 위해 지반을 터파기 하기 전에, 흙막이 공사를 위해 지반(S)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강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절개부(12)와, 상기 절개부(12)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3)와, 강관의 외주면 양쪽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철판이 끼워지도록 하는 돌출판(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단면이 U자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개부의 폭(w) 및 높이(h)는, 진동식 해머(도시 생략)의 클램핑부(C)(도 11 참조)가 상기 지지부재(13)의 양면을 파지(把持)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가 상기 강관(10)의 상부를 견고하게 파지하여 지반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3)의 일측에는, 절개된 강관의 일측 양단부와 지지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보강부재(14) 및 제2 보강부재(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3)의 타측에는, 절개된 강관의 타측 양단부와 지지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제3 보강부재(16) 및 제4 보강부재(17)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보강부재 내지 제4 보강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3)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절개된 강관의 강성을 보강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돌출판(11)은, 단일의 돌출판으로서, 상기 지지부재(13)와 평행한 방향으로 강관(10)의 양쪽에 1개씩 돌출된다.
상기 제1 실시예의 강관(10)을 제작할 때에는, 먼저 강관의 상부를 일부 절개하여 절개부(12)를 형성한 후, 절개부(12)의 오픈된 공간을 이용하여 지지부재(13)를 강관의 내부에 삽입한 다음 그 연결부위를 용접한다.
이어서 상기 제1 보강부재(14) 내지 제4 보강부재(17)를 상기 지지부재(13) 및 절개된 강관의 단부와 용접한다.
이때 상기 제1 보강부재(14) 내지 제4 보강부재(17)가 강관(10)의 외주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용접한다.
이어서 강관(10)의 양 측부에 돌출판(11)을 각각 1개씩 용접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강관(10)의 제작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판(11)의 길이(H)는, 강관(10)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즉 철판이 끼워지는 위치까지만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공법은, 흙막이 공사용 강관(10)과 철판을 사용하여 흙막이 공사를 하는 방법으로서,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날개부(20a)를 구비한 날개형 철판(20)의 상부 중앙에 파지용 지그(40)를 조립한다(S10).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돌출판(11)을 구비한 강관(10)의 지지부재(13)를 굴삭기 선단에 장착된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로 파지한 후, 강관(10)을 지반(S)에 일정 간격으로 삽입한다(S20).
이어서 진동식 해머로 상기 날개형 철판(20)의 파지용 지그(40)를 파지한 후, 서로 인접하는 강관(10)의 단일 돌출판(11)에 날개형 철판(20)의 날개부(20a)를 끼워나간다.
날개형 철판(20)의 삽입이 완료되면, 굴삭기로 지반(S)을 굴착한 후에 필요한 공사를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파지용 지그(4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구비되는 파지부(42)와, 상기 파지부(42)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3)를 포함하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어, 날개형 철판(20)의 상부 중앙에 용접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파지용 지그(40)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날개형 철판(20)의 상부 중앙에 조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파지용 지그(40)는 수평부(43) 없이 파지부(42)만으로 형성되어 날개형 철판(20)의 상부에 조립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형 철판(2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날개부의 하부에는 제1 라운딩부(20e)와 제2 라운딩부(20f)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라운딩부(20e)는 전방 날개부(20a)에 형성되고, 제2 라운딩부(20f)는 후방 날개부(20a)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라운딩부(20f)는, 철판 본체의 하부 양쪽 모서리에 원호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라운딩부(20e)는, 철판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전방 날개부(20a)의 하부 일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제2 라운딩부(20f)보다 곡률이 큰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라운딩부(20e) 및 제2 라운딩부(20f)에 의해, 날개형 철판(20)을 강관(10)의 돌출판(11)에 쉽게 끼워넣을 수가 있다.
통상 바이브로 해머라 부르는 진동식 해머는,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굴삭기의 단부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H빔 파일 등을 지반에 삽입할 때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굴삭기의 선단에 진동식 해머를 장착하여 H빔 파일을 삽입하게 되면, 항타기 등 별도의 장비가 필요없으므로 장비 사용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다.
그러나 원형의 강관은, 상기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로 파지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설사 원호상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원형의 강관을 파지한다 하여도, 강관에 진동을 가하면서 지반에 삽입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공사가 완료 후, 지반에 박혀 있는 원형 강관을 파지하여 빼내는 데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원형 강관을 지반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굴삭기에 장착될 수 있는 진동식 해머가 아닌 다른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강관의 상부를 절개하여 평판상의 지지부재(13)를 용접함으로써,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가 상기 지지부재(13)를 견고하게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일반 굴삭기의 선단에 진동식 해머를 장착하여, 원형의 강관을 지반에 쉽게 삽입할 수 있고, 지반으로부터 쉽게 빼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토압 조건에서 동일한 폭의 날개형 철판(20)을 H빔 파일(1)의 플랜지에 끼우는 경우에 비하여, 강관(10)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가 있다.
즉 H빔 파일(1)이 7개 필요한 구간에서(도 12a 참조), 본 발명의 강관(20)은 6개만 삽입해도 된다(도 12b 참조).
이에 따라 수십 킬로미터의 관로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장비 사용비용을 대록 절감할 수 있고, 공사기간도 현저히 단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판 사이에 끼워지는 철판의 상부 중앙에 파지용 지그(40)를 조립하고,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가 상기 파지용 지그(40)를 파지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해머 클램핑부(C)가 상기 파지용 지그(40)를 파지하기만 하면, 철판의 좌우 균형이 자동적으로 맞추어지게 된다.
이로써 폭이 넓은 철판을 좁은 돌출판 사이로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용 지그(40)의 상부에 수평부(43)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해머 클램핑부(C)가 파지용 지그(40)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날개형 철판(20)을 지반으로부터 인출할 때, 해머 클램핑부(C)가 상기 수평부(43)를 걸고 올라오는 구조이므로, 지반에 박혀있는 날개형 철판(20)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출할 수가 있다.
<제2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공사용 강관은,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 돌출판(11)을 이중 돌출판으로 형성한 것이다.
즉 상기 돌출판을 강관(10)의 양측에 각각 2개씩 구비하고, 상기 돌출판(11)의 틈새에 평철판(30)을 삽입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공법은, (a) 평철판(30)의 상부 중앙에 파지용 지그(40)를 조립하는 단계(S40)와, (b) 굴삭기 선단에 장착된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로 이중 돌출판을 구비한 강관(10)의 지지부재(13)를 파지한 후, 강관(10)을 지반에 삽입하는 단계(S50)와, (c) 상기 S50 단계 이후에,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로 상기 평철판(30)의 파지용 지그(40)를 파지한 후, 서로 인접하는 강관(10)의 이중 돌출판(11)의 틈에 평철판(30)의 양 측부를 끼우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일반 평철판(30)을 사용하므로 철판의 양측에 별도의 날개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강관은, 상기한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를 혼합한 방식이다.
즉 제3 실시예의 돌출판(11)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관(10)의 일측에는 1개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2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일 돌출판 사이에는 날개형 철판(20)이 끼워지고, 이중 돌출판 사이에는 평철판(30)이 끼워진다.
또한 제3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공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양측에 날개부(20a)를 구비한 날개형 철판(20)과 평철판(30)의 상부 중앙에 파지용 지그(40)를 각각 조립하는 단계(S70)와, (b) 굴삭기 선단에 장착된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로 단일 돌출판(11)을 구비한 강관(10)의 지지부재(13)와, 이중 돌출판을 구비한 강관(10)의 지지부재(13)를 각각 파지한 후, 각 강관(10)을 지반에 삽입하는 단계(S80)와, (c) 상기 S80 단계 이후에, 진동식 해머의 클램핑부(C)로 날개형 철판(20)의 파지용 지그(40)를 파지하여 서로 인접하는 강관(10)의 돌출판(11)에 날개형 철판(20)의 날개부(20a)를 끼우고, 평철판(30)의 파지용 지그(40)를 파지하여 서로 인접하는 강관(10)의 이중 돌출판(11)의 틈에 평철판(30)의 양 측부를 끼우는 단계(S9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하면, 강관(10)끼리 서로 연결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강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가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4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철판을 사용하지 않고 강관(10)만을 계속 연결하여 흙막이를 하는 것이다.
즉, 단일 돌출판을 구비한 강관과 이중 돌출판을 구비한 강관을 번갈아 가면서 삽입하여, 단일 돌출판이 이중 돌출판 사이에 틈새에 끼워지도록 한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 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H빔 파일(Pile) 2: 토류판
10: 강관 11: 돌출판
12: 절개부 13: 지지부재
14: 제1 보강부재 15: 제2 보강부재
16: 제3 보강부재 17: 제4 보강부재
20: 날개형 철판 20a: 날개부
20b: 끼움홈 20c: 관통공
20e: 제1 라운딩(Rounding)부 20f: 제2 라운딩부
30: 평철판 40: 파지용 지그(Jig)
42: 파지부 42a: 용접 홀(Hole)
43: 수평부 C: 해머 클램핑(Hammer Clamping)부
S: 지반

Claims (2)

  1. 흙막이 공사용 강관(10)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
    (a) 양측에 날개부(20a)를 구비한 날개형 철판(20)의 상부 중앙에 파지용 지그(40)를 조립하는 단계(S10),
    (b) 굴삭기에 장착된 진동식 해머 클램핑부(C)로 단일 돌출판(11)을 구비한 강관(10)의 지지부재(13)를 파지한 후, 강관(10)을 지반에 삽입하는 단계(S20),
    (c)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진동식 해머 클램핑부(C)로 상기 날개형 철판(20)의 파지용 지그(40)를 파지한 후, 서로 인접하는 강관(10)의 단일 돌출판(11)에 날개형 철판(20)의 날개부(20a)를 끼우는 단계(S30),
    (d) 공사가 완료된 후, 상기 진동식 해머 클램핑부(C)가 상기 파지용 지그(40)의 수평부(43)를 걸어 날개형 철판(20)을 지반으로부터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지반에 간격을 두고 삽입되는 상기 강관(10)은, 원형 강관으로서,
    강관의 상단부 일부를 절개한 절개부(12)와,
    상기 절개부(12)의 내부에 구비되는 지지부재(13)와,
    강관의 외주면 양쪽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철판이 끼워지도록 하는 돌출판(11)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부(12)는,
    강관(10)의 상단부를 수평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의 폭(w) 및 높이(h)는, 진동식 해머 클램핑부(C)가 상기 지지부재(13)의 양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판(11)은,
    단일 돌출판으로서, 상기 지지부재(13)와 평행한 방향으로 강관(10)의 양쪽에서 각각 돌출되어 날개형 철판(20)이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날개형 철판(20)은, 제1 라운딩부(20e)와 제2 라운딩부(20f)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라운딩부(20e)는 전방 날개부(20a)에 형성되고, 제2 라운딩부(20f)는 후방 날개부(20a)에 형성되며,
    상기 제2 라운딩부(20f)는, 철판 본체의 하부 양쪽 모서리에 원호상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라운딩부(20e)는, 철판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날개부(20a)의 하부 일부가 제거되도록 상기 제2 라운딩부(20f)보다 곡률이 큰 포물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날개형 철판(20)에 조립되는 파지용 지그(40)는,
    볼트 조립부와, 상기 볼트 조립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해머 클램핑부(C)가 파지하도록 하는 파지부(42)와, 상기 파지부(42)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43)를 포함하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고,
    날개형 철판(2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3)의 일측에, 절개된 강관의 일측 양단부와 지지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제1 보강부재(14) 및 제2 보강부재(15)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재(13)의 타측에, 절개된 강관의 타측 양단부와 지지부재를 각각 연결하는 제3 보강부재(16) 및 제4 보강부재(1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20200039082A 2020-03-31 2020-03-31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2139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082A KR102139743B1 (ko) 2020-03-31 2020-03-31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082A KR102139743B1 (ko) 2020-03-31 2020-03-31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30 Division 2019-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743B1 true KR102139743B1 (ko) 2020-07-30

Family

ID=7183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082A KR102139743B1 (ko) 2020-03-31 2020-03-31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74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3612A (ja) * 1993-11-10 1995-05-23 Nippon Steel Corp 鋼管杭の製造方法及び該鋼管杭を用いた基礎杭工法
JPH0860660A (ja) * 1994-08-17 1996-03-05 Giken Seisakusho Co Ltd
JP2000213275A (ja) * 1999-01-25 2000-08-02 Ryoji Honma 土圧壁の構成方法及び土圧壁構成用管
JP3139588U (ja) * 2007-12-06 2008-02-21 六郎 海野 土留用杭
KR20080026014A (ko) 2006-09-19 2008-03-24 주식회사 영창토건 흙막이 구조물 설치방법
KR100975824B1 (ko) 2008-05-16 2010-08-13 김영수 흙막이 판부재
KR20120054171A (ko) 2010-11-19 2012-05-30 주식회사 영창토건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방법
KR20140015019A (ko) * 2012-07-27 2014-02-06 (주)써포텍 아치형 흙막이 벽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3612A (ja) * 1993-11-10 1995-05-23 Nippon Steel Corp 鋼管杭の製造方法及び該鋼管杭を用いた基礎杭工法
JPH0860660A (ja) * 1994-08-17 1996-03-05 Giken Seisakusho Co Ltd
JP2000213275A (ja) * 1999-01-25 2000-08-02 Ryoji Honma 土圧壁の構成方法及び土圧壁構成用管
KR20080026014A (ko) 2006-09-19 2008-03-24 주식회사 영창토건 흙막이 구조물 설치방법
JP3139588U (ja) * 2007-12-06 2008-02-21 六郎 海野 土留用杭
KR100975824B1 (ko) 2008-05-16 2010-08-13 김영수 흙막이 판부재
KR20120054171A (ko) 2010-11-19 2012-05-30 주식회사 영창토건 흙막이 구조물 및 그것의 시공방법
KR20140015019A (ko) * 2012-07-27 2014-02-06 (주)써포텍 아치형 흙막이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392B1 (ko) 소구경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US20060179730A1 (en) Wall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wall structure
JP6632028B2 (ja) コンクリート組立擁壁
JP6355148B1 (ja) ボックスカルバート挿入補助器具
KR102139743B1 (ko) 흙막이 공사용 강관과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2134366B1 (ko) H빔 파일과 날개형 철판을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2184900B1 (ko) 원형강관을 이용한 가설 흙막이 벽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6477565B2 (ja) 既設鋼矢板壁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20210007412A (ko) 흙막이 공사용 마름모형 파일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KR102236927B1 (ko) 가이드프레임 및 스틸 파이프가 구비된 복합흙막이 공법용 구조물
KR20060099173A (ko) 흙막이 조립체
JP3228199U (ja) 土留支保工の施工構造
KR20230084677A (ko) 마름모형을 이용한 흙막이공사 공법
KR20110078445A (ko) 띠장 연결장치
JP2007277975A (ja) ソイルセメント柱列壁用の芯材の建込み治具およびこの建込み治具を使用したソイルセメント柱列壁用の芯材の建込み方法
KR100716278B1 (ko) 흙막이 조립체
KR101047257B1 (ko) 복합시트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조성공법
KR102410765B1 (ko) 플랜지 보강이 가능한 흙막이 가시설
KR101915188B1 (ko) 흙막이 구조물
KR100732944B1 (ko) 흙막이 조립체
JP4146250B2 (ja) オープンケーソンの底盤築造方法
KR101266160B1 (ko) 2열말뚝흙막이공법 및 그 말뚝 연결구
KR101915189B1 (ko) 흙막이 구조물
KR102268882B1 (ko) 3방향 엄지말뚝 보강형 자립식 흙막이 시공방법
KR102078794B1 (ko)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