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794B1 -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8794B1 KR102078794B1 KR1020190091868A KR20190091868A KR102078794B1 KR 102078794 B1 KR102078794 B1 KR 102078794B1 KR 1020190091868 A KR1020190091868 A KR 1020190091868A KR 20190091868 A KR20190091868 A KR 20190091868A KR 102078794 B1 KR102078794 B1 KR 10207879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derground
- space
- clock
- inner casing
- ste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278 benton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0 benton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SVPXDRXYRYOSEX-UHFFFAOYSA-N bentoquatam Chemical compound O.O=[Si]=O.O=[Al]O[Al]=O SVPXDRXYRYOSE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435 ro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78 shot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36 steel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지중 부벽에 비하여 상기 지중 부벽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어, 비교적 깊은 굴착 공사에서도 지보재가 필요없는 자립식 흙막이의 시공이 가능하며, 지보재가 필요하더라도 설치 단수를 최소화하여 굴착 공사 및 구조물 공사의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구조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흙막이 구조체를 형성하기 위한 주열형 지중 공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지중 부벽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지중 부벽을 형성하기 위한 천공 작업에 사용되는 내부 케이싱들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지중 부벽의 시공 순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내부 케이싱이 채움재의 타설 이전에 제거되는 경우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지중 부벽의 시공 순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내부 케이싱이 채움재의 타설 이후에 제거되는 경우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지중 부벽의 시공 순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안정액이 채움재의 타설 이전에 주입되는 경우이다.
도 9는 채움재의 타설 이후에 구조재를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부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흙막이 구조체의 도면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전방 강재에 공간 확보 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전방 강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재의 다양한 실시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중 부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지중 부벽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인 흙막이 구조체의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인 흙막이 구조체의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00: 흙막이 구조체
10: 현장 타설 말뚝
20: 지중 부벽
21: 채움재
22: 구조재
221: 전방 강재
222: 후방 강재
223: 연결 강재
224: 공간 확보 부재
225: 고정 부재
226: 연결 고리
227: 스터드 볼트
228: 간벽 삽입 공간
229: 전방 강판
1: 내부 케이싱
2: 원호형 홈
3: 케이싱
4: 채움재 순환용 파이프
5: 펌프
C1: 제1 방향
C2: 제2 방향
C3: 제3 방향
E: 굴착 공간
G: 후방 지중
H: 단위 천공 구멍
N: 노출 부벽
Q: 안정액
S: 주열형 지중 공간
Claims (11)
- 굴착 공간과 마주하는 일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전면 간벽과, 상기 전면 간벽에 결합되되 상기 일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중 부벽을 포함하는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단위 천공 구멍을 연속적으로 중첩하여 천공하여 상기 전면 간벽 및 지중부벽의 설치 공간을 마련하는 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천공단계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외부 케이싱을 이용하여 첫 번째 단위 천공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의 내부에 파이프형의 내부 케이싱을 삽입하고, 상기 외부 케이싱은 상기 첫 번째 단위 천공 구멍으로부터 제거하며, 상기 내부 케이싱이 남아 있는 상태에서 상기 첫 번째 단위 천공 구멍과 겹치도록 상기 외부 케이싱을 배치하여 단위 천공 구멍을 중첩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단위 천공 구멍을 중첩하여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천공 구멍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3시 방향에 내측으로 함몰된 원호형 홈이 형성된 내부 케이싱을 삽입하고, 상기 외부 케이싱은 상기 내부 케이싱이 삽입된 단위 천공 구멍과 겹쳐지도록 하여 일방향으로 단위 천공 구멍을 천공하여 전면 간벽용 지중 공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일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단위 천공 구멍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상기 단위 천공 구멍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3시 방향 및 6시 방향에 내측으로 함몰된 원호형의 홈이 각각 형성된 내부케이싱을 삽입하고 상기 외부 케이싱은 상기 3시 및 6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내부케이싱이 삽입된 상기 단위 천공 구멍과 겹쳐지도록 하여 상기 일방향과 동일한 3시 방향 및 상기 일방향과 수직한 6시 방향으로 단위 천공 구멍을 후속하여 천공하거나, 또는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3시 방향, 6시 방향, 및 12시 방향에 내측으로 함몰된 원호형의 홈이 각각 형성된 내부 케이싱을 삽입하고 상기 외부 케이싱은 상기 3시, 6시, 및 12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내부 케이싱이 삽입된 단위 천공 구멍과 겹쳐지도록 하여 상기 일방향과 동일한 3시 방향 및 상기 일방향과 수직한 6시 및 12시 방향으로 단위 천공 구멍을 후속하여 천공하여 상기 전면 간벽 및 상기 지중 부벽용 지중 공간을 함께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천공 완료 후 천공된 벽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천공된 공간에 안정액을 채우는 단계;
상기 내부 케이싱 및 외부 케이싱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천공된 공간으로 구조재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구조재가 삽입된 천공 공간에 상기 안정액과 치환되는 채움재를 채워서 상기 전면 간벽 또는 상기 지중 부벽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을 제거하고,
상기 천공된 공간에 구조재를 삽입한 후 채움재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된 공간에 채움재를 주입한 후, 상기 내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을 제거하고,
상기 천공된 공간에 구조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싱 및 상기 외부 케이싱을 제거한 후, 상기 천공된 공간에 채움재를 주입하며,
상기 채움재가 주입된 공간으로 구조재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를 삽입할 때, 상기 천공된 공간에서 상기 채움재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천공된 공간의 상부에서 하부까지 연장되는 채움재 순환용 파이프를 삽입하고,
상기 채움재 순환용 파이프와 연결된 펌프를 작동시며 상기 천공된 공간의 하부에 있는 채움재를 상기 천공된 공간의 상부로 순환시키면서 상기 구조재를 침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재는, 콘크리트, 시멘트 몰탈, 또는 소일 시멘트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는, 철골 또는 철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는, 상기 천공된 공간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세로철근과, 상기 전단부의 세로철근과 상기 후단부의 세로철근을 둘러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전단부의 세로철근과 상기 후단부의 세로철근을 연결하는 가로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는,
상기 천공된 공간의 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전방강재;
상기 천공된 공간의 후단부에 상하방향으로 상기 전방강재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후방강재; 및
상기 전방강재와 상기 후방강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중 부벽의 전면에는 스터드 볼트가 굴착면을 향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의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868A KR102078794B1 (ko) | 2019-07-29 | 2019-07-29 |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1868A KR102078794B1 (ko) | 2019-07-29 | 2019-07-29 |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8090A Division KR20180124795A (ko) | 2018-08-22 | 2018-08-22 |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2355A KR20190092355A (ko) | 2019-08-07 |
KR102078794B1 true KR102078794B1 (ko) | 2020-02-18 |
Family
ID=67621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1868A Active KR102078794B1 (ko) | 2019-07-29 | 2019-07-29 |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879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59156B1 (ko) * | 2023-03-31 | 2025-01-23 | 주식회사 코아에너지시스템즈 | 부벽말뚝으로 지지하는 겹침주열말뚝벽체 시공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1977A (ja) * | 1999-11-08 | 2001-05-15 | Taisei Corp | 親杭横矢板工法 |
KR100691890B1 (ko) * | 2006-01-03 | 2007-03-09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엄지말뚝 매립형 말뚝 유닛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주열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
KR101425030B1 (ko) * | 2013-03-21 | 2014-08-01 |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래티스 구조체를 이용한 흙막이 벽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3313B1 (ko) * | 2010-03-18 | 2012-06-07 | 박정태 | 보조케이싱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차수벽 시공방법 |
-
2019
- 2019-07-29 KR KR1020190091868A patent/KR10207879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31977A (ja) * | 1999-11-08 | 2001-05-15 | Taisei Corp | 親杭横矢板工法 |
KR100691890B1 (ko) * | 2006-01-03 | 2007-03-09 |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 엄지말뚝 매립형 말뚝 유닛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주열식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
KR101425030B1 (ko) * | 2013-03-21 | 2014-08-01 | 주식회사 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래티스 구조체를 이용한 흙막이 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92355A (ko) | 2019-08-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6814B1 (ko) | Cft말뚝을 이용한 cip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 |
KR100794609B1 (ko) |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 |
KR20140055639A (ko) | 흙막이 겸용 건축빔 구조체의 시공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건축빔 구조체 | |
KR20180124795A (ko) |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777176B1 (ko) |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진 스틸관들을 이용한 cip 공법 | |
KR101793037B1 (ko) |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 |
KR100927186B1 (ko) | 흙막이 및 차수용 연속 벽체 시공방법 | |
KR101901392B1 (ko) | 소구경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공법 | |
KR102580200B1 (ko) | 흙막이 구조물 및 그에 따른 시공공법 | |
KR101324231B1 (ko) | 소일 시멘트벽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20070076553A (ko) | 충전강관 루프와 콘크리트 벽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축조방법 | |
KR101021915B1 (ko) |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 |
JP2000352296A (ja) |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 |
KR102078794B1 (ko) | 지중 부벽을 구비한 흙막이 구조체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0849226B1 (ko) | ClP에 의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 시공 방법 | |
KR101181619B1 (ko) | 어스앵커의 재인장을 통한 대규모 지하구조물 높은 옹벽의 축조 공법 | |
KR102021496B1 (ko) |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 |
JP4407716B2 (ja) | 土留め壁の構築方法 | |
KR20040031451A (ko) | 혁신적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공법 | |
KR101021913B1 (ko) |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 |
KR101047257B1 (ko) | 복합시트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조성공법 | |
KR200308716Y1 (ko) | 프리스트레스트 가시설 | |
KR100673475B1 (ko) |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KR100654973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체 및이의 시공 방법 | |
KR100477357B1 (ko) | 차수벽 흙막이 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7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80822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8009809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001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00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