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157B1 -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 - Google Patents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157B1
KR102139157B1 KR1020200036215A KR20200036215A KR102139157B1 KR 102139157 B1 KR102139157 B1 KR 102139157B1 KR 1020200036215 A KR1020200036215 A KR 1020200036215A KR 20200036215 A KR20200036215 A KR 20200036215A KR 102139157 B1 KR102139157 B1 KR 10213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ckaging case
manufacturing
original plate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파
강종철
이홍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우
Priority to KR102020003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59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 B31B50/592Shaping sheet material under pressure using punches or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60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 B31B50/62Uniting opposed surfaces or edges; Taping by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50/814Applying closure elements to blanks, webs or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56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 B29L2031/565Stoppers or lids for bottles, jars, or the like, e.g. closur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62Boxes, cartons, c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 내부를 방사형으로 절개하고, 접착제를 이용하여 복수 장을 적층한 후 금형으로 프레스하여 성형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 기존의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성형이 어려운 단점을 극복한,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종이 내부에 방사형 홈(11)을 천공하고 재단하여 성형 전 원판(1)을 제작하는 재단 단계, 상기 성형 전 원판(1)을 적어도 두 겹이상 적층하는 적층 단계 및 상기 적층된 성형 전 원판(1)을 금형 장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 전 원판(1)의 너비보다 작은 면적의 금형으로 프레스하여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Method of manufacturing package box made of paper and package box by this}
본 발명은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성형하는 과정에서 종이의 터짐이나 찢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내부가 방사형으로 절개된 종이를 절개된 방사부위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복수 장을 적층한 후 금형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소비자들은 다양한 소비분야에서 편의성을 추구하고 있고, 특히 최근 들어 배송 분야에 있어 많은 편의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 및 업체들은 고객의 니즈를 맞추기 위해 다양한 상품을 배송하고 있으며, 그 배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새벽 배송 시스템을 운영하는 등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향은 일반 공산품에서 나아가 식품의 배송에도 확장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음식 배달 서비스 플랫폼의 개발에 힘입어 대부분의 음식이나 식재료를 스마트폰의 터치 몇 번으로 하루 만에 배송 받을 수 있는 정도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상품과 음식물의 배송에 관한 물류, 배송 산업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관련 기반시설이나 업체도 함께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이에 대한 부작용으로서 물류, 배송 산업의 증가와 함께 상품이나 음식물의 포장에 이용되는 케이스나, 완충재 등으로 인한 환경문제가 심화되고 있어 문제가 된다.
배송 상품의 포장에 이용되는 포장 케이스, 완충재 등은 연질의 플라스틱이나 펄프, 스티로폼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전술한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상기 재료들을 이용하는 것이 제도적으로나 환경적으로 많은 제약이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등에서는 이러한 포장재의 재질이나 구조 등에 대한 제약을 규정하고 있으며, 이후에도 이러한 규제와 제약은 계속되거나 강화될 것으로 예견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조에 대응하여 친환경적인 재료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 등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를 대체할 재료로서 펄프에 비해 경제적, 실용적 기능이 우수한 종이 재료가 가장 유력하게 제시되고 있으나, 종이의 경우 요구되는 형상으로 성형하거나 필요 강도를 갖도록 제조하는 점에 있어 난점이 있으므로 이를 극복함과 동시에 종이 케이스 등을 대량으로 양산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당면 과제로 떠오르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606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종이를 이용하여 포장용 케이스를 제조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절감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포장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내부에 방사형으로 절개된 종이를 이용하여 금형에 의해 가압되어도 찢어지거나 터지지 않아, 요구되는 형상대로 케이스를 성형할 수 있도록 하여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상기 절개된 종이를 복수장 이용함으로써 내구성과 가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 케이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종이 내부에 방사형 홈(11)을 천공하고 재단하여 성형 전 원판(1)을 제작하는 재단 단계, 상기 성형 전 원판(1)을 적어도 두 겹이상 적층하는 적층 단계 및 상기 적층된 성형 전 원판(1)을 금형 장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 전 원판(1)의 너비보다 작은 면적의 금형으로 프레스하여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사형 홈(11)은 중앙에 홀(12)이 형성되고 상기 홀(12)을 중심으로 홈이 방사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성형 전 원판(1)이 방사형 홈(11)이 서로 교차하도록 두 겹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성형 전 원판(1)이 방사형 홈(11)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적어도 세 겹 이상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재단 단계는 성형 전 원판(1)을 접철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성형 전 원판(1)이 복수개 형성되도록 종이를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 단계는 적층된 성형 전 원판(1)의 양 외부면 및 사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속지(2)를 추가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적층 단계는 성형 전 원판(1)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어도 한 겹이상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성형 단계는 접착제가 융해될 수 있을 정도로 금형으로 프레스하면서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성형된 포장용 케이스에 대응되도록 덮개(3)를 제조하는 덮개(3)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용 케이스와 덮개(3)는 서로 결합되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3)과 고정걸이(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성형 단계는 포장 케이스의 테두리가 볼록하게 상향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케이스는 상기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종이를 이용한 포장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케이스는, 종이를 원재로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포장 케이스를 제조함으로써 환경문제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이의 내부에 방사형으로 종이를 절개하여 이용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성형되는 도중 절개부위를 따라 종이가 양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포장 케이스가 찢어지거나 터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절개된 복수의 종이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한 후 프레스 성형하되, 프레스 장치에 열을 가하므로, 접착제가 융해된 후 응고되면서 종이의 접착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의 성형성, 내구성, 가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전 원판(1)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종이에 여러 개의 성형 전 원판(1)이 형성되도록 재단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전 원판(1)에 속지(2)가 추가 적층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단계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케이스의 전체 형상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케이스와 대응되는 덮개(3)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케이스와 덮개(3)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2단 금형 장치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도면.
발명자는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적절한 용어나 단어를 선택하거나 정의하여 설명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있어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에 한정하여 해석할 것이 아니라, 발명자의 의도를 참작하여 발명에서 구현된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에 한정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이하 상술되는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거나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므로 통상의 기술자의 입장에서 용이하게 대체 가능한 요소 및 균등범위에 해당하는 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종이 내부에 방사형 홈(11)을 천공하고 재단하여 성형 전 원판(1)(原版)을 제작하는 재단 단계, 상기 성형 전 원판(1)을 적어도 두 겹이상 적층하는 적층 단계 및 상기 적층된 성형 전 원판(1)을 금형 장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 전 원판(1)의 너비보다 작은 면적의 금형으로 프레스하여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이는 외부의 충격에 약해 쉽게 찢어지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종이를 금형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하는 경우 종이의 재질 특성상 프레스 성형 과정 중 터지거나 찢어지게 된다. 따라서, 금형 장치에 의한 외력에 견딜 수 있는 완충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완충 수단으로, 종이의 재질을 성형이 가능할 정도로 가공하거나, 충분히 질긴 종이를 이용할 수 있고, 종이를 성형 가능하도록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종이는 장섬유 재질의 종이일 수 있다. 장섬유 재질의 종이는 대부분 순수 나무로만 제조되는 종이로서, 식물 등에서 추출해낸 섬유질의 길이가 유지되는 등, 여러 물성이 크게 변형되지 아니한 상태로 제조되는 종이이다. 단섬유 재질의 종이를 이용하면 쉽게 찢어지는 것에 비하여, 이처럼 장섬유 재질의 종이를 이용하는 경우, 외부 변형에 대해 강성을 갖게 되므로 찢어짐이나 터짐 현상이 방지 내지 경감된다.
상기와 같은 장섬유 재질의 종이 중, 특히 종이컵 등에 이용되는 재질의 종이, 소위 '컵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컵지는 장섬유 종이에 코팅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수분이나 유분이 있는 제품이나 음식물 등의 포장에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컵지는 사람이 섭취하는 물이나 음료에 이용되는 제품이므로,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바람직하다. 다만, 충분한 깊이를 갖는 케이스가 제조되기 위하여, 일반 종이컵에 이용되는 종이에 비해 같은 재질이지만, 두께는 더욱 두꺼운 종이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종이의 재질 외에 또 다른 외부 충력에 대한 완충 수단으로서, 성형을 할 종이에 홈 등을 천공하여 미리 찢어지거나 접히는 부분을 정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을 제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종이 내부에 방사형 홈(11)을 천공하고 재단하여 성형 전 원판(1)을 제작하는 재단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성형 전 원판(1)은 내부에 방사형 홈(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홀(12)이 형성되고, 상기 홀(12)을 중심으로 홈이 방사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 전 원판(1)이 제조되는 경우, 이후 성형 단계에서 금형 장치로 프레스할 때 성형 전 원판(1)의 내부가 안쪽으로 접혀 들어가면서 내측에 공간을 형성하며 종이가 밀려 들어가게 되어, 예기치 못한 부위가 찢어지거나 터지는 현상 없이 전체적인 케이스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성형 전 원판(1)을 한 장만 성형하는 경우, 방사형 홈(11)으로 인해 제조된 포장 케이스에 틈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분말, 액체, 음식물, 작은 사이즈의 제품의 경우 이 틈을 통해 외부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케이스의 역할이 이루어질 수 없다. 또한, 한 장만으로 제조되는 경우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성형 전 원판(1)을 적어도 두 겹이상 적층하는 적층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성형 전 원판(1)을 적층함으로써 필요한 충분한 내구성을 갖춘 포장 케이스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성형 전 원판(1)의 방사형 홈(11)을 서로 엇갈리게 함으로써, 즉, 하나의 성형 전 원판(1)에 형성된 방사형 홈(11)으로 인한 틈을 다른 성형 전 원판(1)에 의해 메움으로써 틈을 제거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적층 단계의 일 실시예로서 성형 전 원판(1)이 방사형 홈(11)이 서로 교차하도록 두 겹이 적층될 수 있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두 장의 성형 전 원판(1)에 각각 방사형 홈(11)을 천공한 후 각 홈이 서로 엇갈려 교차하도록, 바람직하게는 한 성형 전 원판(1)의 두 방사형 홈(11) 가운데에 다른 성형 전 원판(1)의 방사형 홈(11) 하나가 위치할 수 있도록 배치할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적층 단계는 방사형 홈(11)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적어도 세 겹 이상이 적층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각 방사형 홈(11)이 서로 겹쳐지지 않음으로써 적층된 성형 전 원판(1)에 분말이나 작은 제품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적층 단계는 성형 전 원판(1)을 개별적으로 재단한 후 복수 장을 적층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전 원판(1)을 접철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한장의 종이에 성형 전 원판(1)이 복수개 형성되도록 종이를 재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재단된 종이를 접음으로써 복수의 성형 전 원판(1)이 용이하게 적층될 수 있으며, 재단 종이를 접혔을 때 방사형 홈(11)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겹치지 않거나, 서로 엇갈리도록 하기 위해 접을 선에 칼집을 내는 등의 방법으로 정확한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는 이와 결합되는 덮개(3)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때, 포장 케이스와 덮개(3)가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홈(13) 또는 고정걸이(31)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고정홈(13) 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 전 원판(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적층 단계에서 고정홈(13) 등이 대응되도록 하기 위하여, 성형 전 원판(1)은 방사형 홈(11)이 고정홈(13) 등에 대해 상대적으로 다른 위치에 위치하도록 여러 장이 제조되서 적층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되는 부분이 고정홈(13)이 될 수 있도록 재단되고, 이때, 접철을 통해 적층되었을 때 방사형 홈(11)이 서로 엇갈리도록 두 성형 전 원판(1)은 방사형 홈(11)이 상대적으로 서로 일정 각만큼 회전한 상태로 형성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물론, 접철되는 부분이 고정홈(13)이 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손잡이(14)가 될 수도 있고, 이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성형 전 원판(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중심에 홀(12)이 형성되고, 홀(12)을 중심으로 방사형 홈(11)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복수 장이 적층되더라도 액체나 분말 등이 배출될 수 있는 홀(12)이나 틈이 형성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된 성형 전 원판(1)의 양 외부면 및 사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속지(2)를 추가 적층할 수 있다. 이처럼 속지(2)를 추가 적층함으로써 성형 단계를 거쳐 포장 케이스가 제조되는 경우 바닥면에 홀(12)이나 틈이 제거되어 분말이나 액체가 흘러내리지 않을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속지(2)를 포장 케이스의 성형 전 원판(1) 외면에 적층한 후 프레스하면서 열을 가하는 경우, 열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점 모양이나 방사형 홈(11)과 대응되는 돌출무늬(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열에 의해 접착제가 융해되었다가 굳으면서 발생되며, 이에 의해 피자와 같은 음식물이 본 발명에 따른 포장 케이스에 의해 포장되는 경우 미끄럼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또한, 특정 제품이나 음식물 등을 포장하는 경우, 특히 피자나 돈까스 등의 음식물을 포장하는 경우에는 돌출무늬(21)에 의해 음식물의 전체가 바닥면에 닿지 않아, 통풍이 가능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수분이나 기름이 유통할 수 있는 유로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 단계는 성형 전 원판(1)과 필요에 따라 속지(2)를 단순히 겹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접착제는 각 종이의 접촉면을 서로 부착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채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는 음식물 등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전분가루가 포함된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는 경우 형상 유지가 용이하며, 금형에 종이가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어 기능적이며, 친환경적인 효과 또한 누릴 수 있게 된다.
성형 단계는 적층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 장치를 이용하여 성형 전 원판(1)을 프레스하여 포장 케이스의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프레스를 수행하는 금형은 성형 전 원판(1)의 너비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오목한 형상의 받침 금형에 성형 전 원판(1)을 위치 시킨 후 프레스하게 되면 내부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면서 그릇 형상의 포장 케이스가 성형될 수 있다.
성형 단계는 필요에 따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성형 단계와 제2성형 단계로 이루어진 2단계의 성형 단계로 구별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금형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 금형 장치일 수 있고, 성형 전 원판(1)의 테두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금형(411)과 제조된 포장 케이스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2금형(412) 및 성형 전 원판(1)이 올려질 수 있는 하측 금형(4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성형 단계는 제1금형(411)을 이용하여 성형 전 원판(1)의 테두리를 고정하는 단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성형 단계가 제2성형 단계보다 선행될 수 있다. 제1금형(411)이 성형 전 원판(1)을 테두리를 따라 먼저 고정하게 되면, 제2금형(412)은 성형 전 원판(1)의 내부를 하향 압착하여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이를 둔 상태로 금형으로 압착성형하는 경우에는 종이가 균일하게 끌려들어오지 아니하므로 전체적인 형상이 뭉게지거나, 특정 부분에 주름이 집중될 수 있고, 상황에 따라 일부가 찢어지거나 터지는 등 균일한 형상으로 제조되기 어렵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종이 재질적 특성과 제1금형(411)의 고정에 의해 성형 전 원판이 균일하게 내부로 끌려들어가면서 전체적으로 뒤틀림 없이 균형있게 종이 케이스가 제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단계에서는 상기 적층 단계에서 이용된 접착제를 융해시킬 수 있을 정도로 금형으로 프레스 하면서 열을 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금형 장치에서 프레스를 수행하는 상측 금형(41)과 받침 역할을 하는 하측 금형(4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열선을 구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종이는 복원력을 가지고 있는 재질로서, 종이 한 장이나 복수를 단순히 적층하여 성형하는 경우 형상이 유지되지 아니하고 일그러지거나 원래 형상으로 되돌아갈 확률이 높다. 이에 대응하여 본 발명과 같이 접착제를 이용하여 성형 전 원판(1)을 접착/적층한 후 성형 단계에서 열을 가해 접착제를 융해시킨 후 다시 굳히면 접착제의 접착력과 부착력에 의해 성형된 포장 케이스는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종이 재질의 경우 직접적으로 물이 닿거나 습한 환경에 오랜 시간 노출되면 종이가 견고성을 잃어 흐물거리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접착제를 이용하여 성형 전 원판을 적층한 후 성형단계에서 열을 가하는 경우 접착제의 재응고로 인해 견고함이 매우 큰 폭으로 향상하게 되며, 물에 의해 견고성을 잃게 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방수 코팅이 추가될 수 있는데, 방수 코팅을 하는 경우 물에 대한 저항력이 더욱 향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덮개(3)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성형된 포장용 케이스에 대응되도록 덮개(3)를 제조하는 덮개(3)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덮개(3)를 구비하여, 포장 케이스 내부에 포장된 제품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 개가 적재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 케이스와 덮개(3)는 필요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13)과 고정걸이(31)가 형성될 수 있다. 포장 케이스에 고정홈(13)이 형성되고, 덮개(3)에 고정걸이(31)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 실시예로서, 덮개(3)를 포장 케이스에 덮은 후 회전 함으로써 락(lock)여부를 조절하는 방법이 채용될 수도 있다. 즉, 일정 홈과 돌기를 형성하여 회전에 의해 홈이 돌기에 삽입되어 락되고, 반대 방향의 회전을 통해 언락(unlock)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단계는 필요에 따라 포장 케이스의 테두리가 볼록하게 상향 돌출되도록 성형할 수 있다. 예컨대, 하측 금형(42)에 케이스의 테두리를 따라 돌출부(32)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측 금형(41) 즉, 제1금형(411)은 이 테두리 부분을 압착하여 성형할 수 있는 별도의 금형 부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상향 돌출된 돌출부(32)가 구비됨으로써, 이와 대응되는 덮개(3)가 덮이는 경우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케이스 내부에 분말이나 액체 등이 가득 차더라도, 테두리가 그 표면보다 더 높게 형성되므로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2)가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포장 케이스는 견고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실제로, 돌출부(32)와 같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부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견고성이 상대적으로 약해지게 되므로 포장 케이스 내부에 고중량의 제품을 담은 후 포장 케이스를 들게 되면 접히거나 구겨질 수 있고, 무게 지탱이 용이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와는 달리, 돌출부(32)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견고성을 보강할 수 있으며, 포장 케이스를 파지하는 경우에도 손가락이 돌출부에 걸리면서 사람의 손으로 하여금 더욱 용이하게 파지하여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성형 단계 이후, 필요에 따라 포장 케이스와 덮개에 추가 가공을 하는 추가 가공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채색을 하거나, 세척, 스티커 등의 부착 등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는 전술한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는 종이를 이용하므로 친환경적이며, 접착제를 통해 성형성, 내구성 등이 향상되고, 음식물에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는, 일반적으로 음식물의 포장에 이용되는 톰슨된 포장 상자를 접어서 제조하는 종이 케이스와는 달리, 금형 장치를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부피를 적게 차지하게 되므로 서로 겹쳐져 쌓일 수 있어 공간을 덜 차지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포장 케이스가 옆면 또는 저면이 일부 각을 가지고 있어, 더욱 적층되기 용이할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도면과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 또는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고, 이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의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성형 전 원판 3: 덮개
11: 방사형 홈 31: 고정걸이
12: 홀 32: 돌출부
13: 고정홈 41: 상측 금형
14: 손잡이 411: 제1금형
2: 속지 412: 제2금형
21: 돌출무늬 42: 하측 금형

Claims (12)

  1. 종이 내부에 방사형 홈(11)을 천공하고 재단하여 성형 전 원판(1)을 제작하는 재단 단계;
    상기 성형 전 원판(1)을 적어도 두 겹이상 적층하는 적층 단계; 및
    상기 적층된 성형 전 원판(1)을 금형 장치에 위치시키고 상기 성형 전 원판(1)의 너비보다 작은 면적의 금형으로 프레스하여 성형하는 성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사형 홈(11)은 중앙에 홀(12)이 형성되고 상기 홀(12)을 중심으로 홈이 방사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성형 전 원판(1)이 방사형 홈(11)이 서로 교차하도록 두 겹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는,
    상기 성형 전 원판(1)이 방사형 홈(11)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적어도 세 겹 이상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단 단계는,
    성형 전 원판(1)을 접철하여 적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성형 전 원판(1)이 복수개 형성되도록 종이를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는,
    적층된 성형 전 원판(1)의 양 외부면 및 사이면 중 적어도 하나에 속지(2)를 추가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단계는,
    성형 전 원판(1)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단계는,
    접착제가 융해될 수 있을 정도로 금형으로 프레스하면서 열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성형된 포장용 케이스에 대응되도록 덮개(3)를 제조하는 덮개(3) 제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 케이스와 덮개(3)는 서로 결합되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3)과 고정걸이(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단계는,
    포장 케이스의 테두리가 볼록하게 상향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
KR1020200036215A 2020-03-25 2020-03-25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 KR10213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15A KR102139157B1 (ko) 2020-03-25 2020-03-25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215A KR102139157B1 (ko) 2020-03-25 2020-03-25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157B1 true KR102139157B1 (ko) 2020-07-29

Family

ID=71893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215A KR102139157B1 (ko) 2020-03-25 2020-03-25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1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152A (ko)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신우 상부면 및 하부면의 형성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종이케이스
KR20230119825A (ko) * 2022-02-08 2023-08-16 주식회사 신우 3층 적층 구조의 종이 케이스 및 종이 케이스 제조 방법
KR20230123710A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신우 다단 형태의 종이 케이스 및 종이 케이스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985A (ja) * 1999-03-04 2000-09-19 Toyo Aluminium Foil Products Kk 板紙原紙及び紙容器の製造方法
JP2001322678A (ja) * 2000-03-10 2001-11-20 Kondo Machinery Co 包装用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6060B1 (ko) 2004-11-03 2007-01-09 전연호 종이 도시락용기의 제조방법
KR20150000857A (ko) * 2014-10-31 2015-01-05 신한재 과일 용기
KR102068694B1 (ko) * 2019-09-27 2020-01-21 주식회사 신우 종이 재질의 포장용 완충 트레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완충 트레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4985A (ja) * 1999-03-04 2000-09-19 Toyo Aluminium Foil Products Kk 板紙原紙及び紙容器の製造方法
JP2001322678A (ja) * 2000-03-10 2001-11-20 Kondo Machinery Co 包装用内装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6060B1 (ko) 2004-11-03 2007-01-09 전연호 종이 도시락용기의 제조방법
KR20150000857A (ko) * 2014-10-31 2015-01-05 신한재 과일 용기
KR102068694B1 (ko) * 2019-09-27 2020-01-21 주식회사 신우 종이 재질의 포장용 완충 트레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완충 트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2152A (ko) 2020-08-18 2022-02-25 주식회사 신우 상부면 및 하부면의 형성이 용이한 포장용 종이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종이케이스
KR20230119825A (ko) * 2022-02-08 2023-08-16 주식회사 신우 3층 적층 구조의 종이 케이스 및 종이 케이스 제조 방법
KR102634800B1 (ko) 2022-02-08 2024-02-07 주식회사 신우 3층 적층 구조의 종이 케이스 및 종이 케이스 제조 방법
KR20230123710A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신우 다단 형태의 종이 케이스 및 종이 케이스 제조 방법
KR102640448B1 (ko) 2022-02-17 2024-02-27 주식회사 신우 다단 형태의 종이 케이스 및 종이 케이스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157B1 (ko) 종이를 이용한 포장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 케이스
MX2010012258A (es) Empaque para alimentos.
AU2023266265A1 (en) Lid body
DK2393659T3 (en) COMPOSITIONS FOR PACKAGING ARTICLES AND PROCEDURES FOR PREPARING SUCH
KR102068694B1 (ko) 종이 재질의 포장용 완충 트레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완충 트레이
JP2006248530A (ja) 紙製容器用の紙製蓋
EP2996965B1 (en) Packaging unit and method for packing products
JP6109948B2 (ja) スコア線を有する容器
JP2009126536A (ja) 隠蔽情報付き容器
US9908690B2 (en) Package for eggs
KR102139158B1 (ko) 2단 금형을 이용한 포장용 종이 케이스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용 종이 케이스
US2021009542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per buffer tray for packaging and buffer tray manufactured thereby
JP2010126209A (ja) 開封機能付き紙容器
JP5369452B2 (ja) 二重容器
JPH11342982A (ja) 取手付き断熱容器
KR102417085B1 (ko) 일부가 겹쳐 적층된 복수 개의 종이를 포함하는 포장용 종이 케이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4131091A (ja) 絞り成型前駆体および絞り成型体
EP2994396B1 (en) Pop-out constructible utensil
JP7465571B2 (ja) 紙系素材、蓋体、蓋体付き容器、及び蓋体と容器の組み合わせ
JP4088059B2 (ja) 成形容器
JP5878437B2 (ja) 紙製容器
JP4625563B2 (ja) 遮光性紙製容器
JP2004345665A (ja) 複合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155103A (ja) おかずケース包装体
KR20230120847A (ko) 친환경 상품 포장 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