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6190B1 - 주형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주형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6190B1
KR102136190B1 KR1020190087355A KR20190087355A KR102136190B1 KR 102136190 B1 KR102136190 B1 KR 102136190B1 KR 1020190087355 A KR1020190087355 A KR 1020190087355A KR 20190087355 A KR20190087355 A KR 20190087355A KR 102136190 B1 KR102136190 B1 KR 102136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guide rail
pressing member
bogie
pi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희
박군희
Original Assignee
박승희
박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희, 박군희 filed Critical 박승희
Priority to KR1020190087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6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6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3/00Equipment for handling moulds
    • B22D33/04Bringing together or separating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 B22C21/02Sectional flasks, i.e. with divided, articulated, or interchangeable side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22C9/068Semi-permanent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3/00Equipment for handling moulds
    • B22D33/06Burdening or relieving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Devices For Mo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형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주형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이송장치는, 대차(10)와 순환유닛(A)을 이용하여 주형(1)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자가 주형(1)의 내부에 용탕을 주입하게 됨으로, 작업자가 주형(1)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주형(1)에 용탕을 주입하여 주조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순환유닛(A)에 의해 이송되는 주형(1)의 상면에는 가압부재이송수단(C)에 의해 자동으로 가압부재(20)가 올려짐으로, 가압부재(20)가 주형(1)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주형(1)을 구성하는 하형과 상형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주형(1)의 주입구(3)로 용탕을 주입할 때, 용탕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주형이송장치{mold transfer apparatus}
본 발명은 주형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주형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에 사용되는 캘리퍼는 금속재로 구성된 캘리퍼하우징과, 상기 캘리퍼하우징에 구비된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상기 캘리퍼하우징은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 것으로, 주형에 형성된 토형의 내부로 금속을 용융시킨 용탕을 주입하여 냉각시키는 주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도 1은 이와 같이, 캘리퍼하우징을 주조할 때 사용되는 주형(1)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주형(1)은 주물사와 주물사가 상호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접착성분이 혼합된 원료로 구성된 것으로, 내부에는 제조할 캘리퍼하우징에 대응되는 형태의 도형(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도형(2)의 내부로 용탕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와,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주형(1)은 상형과 하형으로 분할되도록 제조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상형과 하형을 자동으로 제조한 후, 상형과 하형을 상호 즉층하여 배출하는 주형제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주형제조장치에서 주형(1)이 제조되어 배출되면, 작업자가 제조된 주형(1)을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킨 후, 용탕을 상기 주입구(3)를 통해 주형(1)의 내부로 공급하고, 용탕이 주입된 주형(1)은 다시 다른 장소로 이동시켜 일정시간동안 냉각시킨 후, 주형(1)을 분쇄하여 주형(1)의 내부에서 제조된 주조품을 꺼내고, 주조품을 후가공함으로써, 캘리퍼하우징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으로 캘리퍼하우징을 제조할 경우, 금형을 여러번에 걸쳐 이동시켜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작업자가 주형(1)을 이동시키는데 힘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주형(1)은 상형과 하형으로 제작되어 상호 측증됨으로, 주형(1)의 이동중, 또는 주형(1)의 내부에 용탕을 주입할 때, 상형이 유동되어, 완성된 주품품의 형상에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418923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형을 효과적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주형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이송장치는, 주형제조장치(B)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주형(1)이 상면에 올려지는 대차(10)와, 상기 대차(10)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닛(A)과, 상기 순환유닛(A)에 의해 순환되는 대차(10)의 이송경로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용탕의 주입이 완료된 주형(1)의 상면에 올려진 가압부재(20)를 용탕이 주입되지 않은 주형(1)의 상면으로 옮겨놓는 가압부재이송수단(C)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닛(A)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면에 상기 대차(10)가 올려지는 제1 가이드레일(31) 및 제2 가이드레일(32)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20)는 상기 주형(1)의 상면 넓이에 비해 넓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주형(1)의 상면에 형성된 주입구(3)와 배출구(4)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구부(21)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형(1)의 상면에 올려지며, 작업자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주형(1)에 용탕을 주입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이송수단(C)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면에 상기 가압부재(2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20)의 하면 넓이보다 작은 넓이의 상면을 갖는 거치대(41)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상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재(42)와, 상기 가이드부재(4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43a)에 의해 측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이송대(43)와, 상기 이송대(43)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45)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44)와, 상기 승강대(44)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는 주형(1)에 올려진 가압부재(20)를 픽업하여 상기 거치대(41)에 올려놓거나 상기 거치대(41)에 올려진 가압부재(20)를 픽업하여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주형(1)의 상면에 올려놓는 제1 피커(46) 및 제2 피커(4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커(46)와 상기 제2 피커(47)는 상단이 상기 승강대(44)의 하측에 인접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인접면에는 상기 가압부재(20)의 양측면 하측에 걸리는 걸림턱(46b,47b)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바(46a,47a)와, 상기 회동바(46a,47a)에 연결되어 회동바(46a,47a)를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46c,47c)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커(46)와 상기 제2 피커(47)는 상기 주형(1)의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가압부재(20)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상기 걸림턱(46b,47b)으로 걸어 상기 주형(1)에 올려진 상기 가압부재(20)를 픽업하고, 상기 제1 피커(46)와 상기 제2 피커(47)는 상기 거치대(41)의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가압부재(20)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상기 걸림턱(46b,47b)으로 걸어 상기 주형(1)에 올려진 상기 가압부재(20)를 픽업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순환유닛(A)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방에 구비되어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방에 위치된 대차(10)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대차(10)가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푸셔(33)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과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후방으로 배출된 대차(10)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34)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송수단(34)에 의해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방으로 이송된 대차(10)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대차(10)가 제2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푸셔(35)와,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과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전방으로 배출된 대차(10)를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수단(3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푸셔(33,35)는 상기 대차(10)를 대차(10)의 전후방향 간격만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형제조장치(B)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대차(10)의 상면에 제조된 주형(1)을 올려놓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이송장치는, 대차(10)와 순환유닛(A)을 이용하여 주형(1)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자가 주형(1)의 내부에 용탕을 주입하게 됨으로, 작업자가 주형(1)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주형(1)에 용탕을 주입하여 주조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순환유닛(A)에 의해 이송되는 주형(1)의 상면에는 가압부재이송수단(C)에 의해 자동으로 가압부재(20)가 올려짐으로, 가압부재(20)가 주형(1)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주형(1)을 구성하는 하형과 상형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주형(1)의 주입구(3)로 용탕을 주입할 때, 용탕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형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이송장치을 도시한 평면구성도,
도 3은 도 2의 G-G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4의 H-H선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이송장치의 가압부재이송수단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이송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이송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주물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주형(1)을 순환시켜 캘리퍼하우징을 제조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주형(1)은 내부에는 제조할 캘리퍼하우징에 대응되는 형태의 도형(2)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도형(2)의 내부로 용탕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3)와,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가 형성되며, 상형과 하형으로 분할되도록 제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이송장치는 주형제조장치(B)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주형(1)이 상면에 올려지는 대차(10)와, 상기 대차(10)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닛(A)과, 상기 순환유닛(A)에 의해 순환되는 대차(10)의 이송경로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용탕의 주입이 완료된 주형(1)의 상면에 올려진 가압부재(20)를 용탕이 주입되지 않은 주형(1)의 상면으로 옮겨놓는 가압부재이송수단(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대차(10)는 상면이 상기 주형(1)에 비해 넓은 사각형의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양측에는 휠(11)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순환유닛(A)의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순환유닛(A)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면에 상기 대차(10)가 올려지며 상호 측방향으로 평행을 구비도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과,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방에 구비되어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방에 위치된 대차(10)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대차(10)가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푸셔(33)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과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후방으로 배출된 대차(10)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34)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송수단(34)에 의해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방으로 이송된 대차(10)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대차(10)가 제2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푸셔(35)와,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과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전방으로 배출된 대차(10)를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수단(3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상기 대차(10)의 휠(11)이 삽입되는 오목부(31a,32a)가 형성된 덕트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면에 다수개의 대차(10)가 전후면이 상호 밀착되도록 올려진다.
이때,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송되는 대차(10)에 올려진 주형(1)의 내부에 주입된 용탕이 충분히 냉각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푸셔(33,35)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의 전후단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후방 또는 전방으로 연장된 피스톤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대차(10)의 전후면에 밀착되는 가압판(33a,35a)이 구비된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34,36)에 의해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의 전방 또는 후방에 대차(10)가 이송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푸셔(33,35)를 신장시키면,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에 올려진 다수개의 대차(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어낸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푸셔(33,35)는 신장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에 올려진 대차(10)를 대차(10)의 전후방향 폭만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34,36)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의 전후방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보조가이드레일(34a,36a)과, 상기 보조가이드레일(34a,36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의 전후단으로 배출된 대차(10)가 상면에 올려지는 왕복대(34b,36b)와, 상기 왕복대(34b,36b)에 연결되어 왕복대(34b,36b)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유압실린더(34c,36c)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이송수단(36)의 왕복대(36b)의 상면에 상기 대차(10)가 올려진 상태에서, 제1 및 제2 이송수단(34,36)의 왕복대(34b,36b)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후방에 위치되면, 상기 제1 푸셔(33)가 신장되어, 상기 제2 이송수단(36)의 왕복대(36b)에 올려진 대차(10)를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로 밀어내고,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에 올려진 다수개의 대차(10)가 동시에 후방으로 밀리면서, 제1 가이드레일(31)에 올려진 대차(10) 중에서 가장 후방의 대차(10)가 상기 제1 이송수단(34)의 왕복대(34b)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34,36)의 왕복대(34b,36b)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2 푸셔(35)를 신장시키면, 상기 제1 이송수단(34)의 왕복대(34b)에 올려진 대차(10)가 전방으로 밀려나가면서, 제2 가이드레일(32)에 올려진 대차(10)중에서 가장 전방의 대차(10)가 상기 제2 이송수단(36)의 왕복대(36b)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이송수단(34,36)의 왕복대(34b,36b)를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고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에 올려진 다수개의 대차(10)가 순차적으로 대차(10)의 전후방향 폭만큼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순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형제조장치(B)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중간부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대차(10)의 상면에 제조된 주형(1)을 올려놓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재(20)는 상기 주형(1)의 상면넓이에 비해 넓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주형(1)의 상면에 형성된 주입구(3)와 배출구(4)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구부(21)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주형(1)의 상면에 형성된 주입구(3)와 배출구(4)가 상기 개구부(21)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주형(1)의 상면에 가압부재(20)를 올려놓으면, 가압부재(20)가 주형(1)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주형(1)을 구성하는 하형과 상형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주형(1)의 주입구(3)로 용탕을 주입할 때, 용탕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압부재이송수단(C)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면에 상기 가압부재(2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거치대(41)와,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의 상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재(42)와, 상기 가이드부재(4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43a)에 의해 측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이송대(43)와, 상기 이송대(43)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45)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44)와, 상기 승강대(44)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는 주형(1)에 올려진 가압부재(20)를 픽업하여 상기 거치대(41)에 올려놓거나 상기 거치대(41)에 올려진 가압부재(20)를 픽업하여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주형(1)의 상면에 올려놓는 제1 및 제2 피커(46,47)로 구성된다.
상기 거치대(41)는 상면이 상기 대차(10)에 올려진 주형(1)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42)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31,32)의 상측에 위치된 수평가이드(42a)와, 상기 수평가이드(42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평가이드(42a)를 지지하는 수직바(42b)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대(43)는 상기 수평가이드(42a)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3a)은 상기 수평가이드(42a)에 구비되며 상기 이송대(43)에 연결되어 작동에 따라 상기 이송대(43)를 정해진 간격만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실린더기구를 이용한다.
상기 승강대(44)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구동수단(45)은 상기 이송대(43)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44)에 연결되어 신축에 따라 승강대(44)를 승강시키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한다.
상기 제1 및 제2 피커(46,47)는 상단이 상기 승강대(44)의 하측에 인접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인접면에는 상기 가압부재(20)의 양측면 하측에 걸리는 걸림턱(46b,47b)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바(46a,47a)와, 상기 회동바(46a,47a)에 연결되어 회동바(46a,47a)를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46c,47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피커(46,47)는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레일(32)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거치대(41)의 중앙부까지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구동수단(43a)은 상기 이송대(43)를 상기 제1 또는 제2 가이드레일(32)의 중앙부로부터 상기 거치대(41)의 중앙부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측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대(41)의 상면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송되는 대차(10)에 올려진 주형(1)의 상면에 각각 가압부재(20)가 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제2 피커(47)가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송대(43)를 측방향으로 이송시키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대(44)를 승강시키면서 상기 제1 및 제2 피커(46,47)를 이용하여 거치대(41)의 상면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송되는 대차(10)에 올려진 주형(1)의 상면에 구비된 가압부재(20)를 상측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피커(46)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송대(43)를 측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승강대(44)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피커(46,47)에 의해 들어올려진 가압부재(20)를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송되는 대차(10)에 올려진 주형(1)의 상면과, 상기 거치대(41)의 상면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순환유닛(A)과 가압부재이송수단(C)을 이용하여 상기 주형(1)의 내부에 용탕을 주입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대차(10)가 상기 주형제조장치(B)의 하측에 위치되면, 상기 주형제조장치(B)에서 제조된 주형(1)이 상기 대차(10)의 상면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면에 주형(1)이 올려진 대차(10)가 상기 가압부재이송수단(C)의 하측으로 이송되면, 상기 거치대(41)에 올려진 가압부재(20)가 가압부재이송수단(C)에 의해 상기 대차(10)의 상면에 올려진다.
그리고, 상면에 가압부재(20)가 올려진 대차(10)가 상기 제1 푸셔(33)에 의해 후방으로 이송되면, 작업자가 가압부재(20)의 개구부(21)를 통해 상기 주형(1)의 내부에 용탕을 공급한다.
그리고, 내부에 용탕이 공급된 주형(1)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된 후, 상기 제1 이송수단(34)과 제2 푸셔(35)에 의해 제2 가이드레일(32)로 공급된 후, 제2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주형(1)에 공급된 용탕이 점차 냉각됨으로써, 주형(1)의 내부에서 주조품이 완성된다.
그리고, 상측에 가압부재(20)가 올려진 주형(1)이 상기 가압부재이송수단(C)의 하측으로 이송되면, 가압부재이송수단(C)이 주형(1)에 올려진 가압부재(20)를 상기 거치대(41)로 이송한다.
그리고, 주형(1)이 대차(10)와 함께 제2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점차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충분히 냉각되면, 작업자가 대차(10)에 올려진 주형(1)을 들어낸다.
그리고, 주형(1)이 제거된 대차(10)는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을 전방으로 배출된 후, 상기 제2 이송수단(36)과 제1 이송수단(34)에 의해 제1 가이드레일(31)로 공급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형이송장치에 따르면, 대차(10)와 순환유닛(A)을 이용하여 주형(1)을 자동으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자가 주형(1)의 내부에 용탕을 주입하게 됨으로, 작업자가 주형(1)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주형(1)에 용탕을 주입하여 주조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순환유닛(A)에 의해 이송되는 주형(1)의 상면에는 가압부재이송수단(C)에 의해 자동으로 가압부재(20)가 올려짐으로, 가압부재(20)가 주형(1)의 상면을 하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주형(1)을 구성하는 하형과 상형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주형(1)의 주입구(3)로 용탕을 주입할 때, 용탕이 주변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가압부재(20)의 하측면에는 상기 주형(1)의 상면에 대응되는 오목홈(22)이 형성되어, 가압부재(20)를 상기 주형(1)의 상면에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가압부재이송수단(C)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제1 가이드레일(31)의 중간부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주형(1)의 위치에 대응되는 관통공(72a)이 형성되어 상면에 올라선 작업자가 상기 관통공(72a)을 통해 주형(1)의 내부로 용탕을 주입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F)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F)는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측으로 연장된 승강가이드(71a)가 구비된 고정판(71)과, 상기 승강가이드(71a)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관통공(72a)이 형성된 승강판(72)과, 상기 승강판(72)에 연결되어 승강판(72)을 승강시키는 실린더기구(7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72a)은 상기 가압부재(20)의 개구부(21)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승강판(72)의 하측면 둘레부에는 상기 가압부재(20)의 둘레부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연장장되는 지지부재(72b)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72)이 상승된 상태에서,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주형(1)과 가압부재(20)가 상기 승강판(72)의 하측으로 이송되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판(72)이 하강된다.
이와 같이 승강판(72)이 하강되면, 승강판(72)의 하측면이 가압부재(20)의 상면에 밀착되어 가압부재(20)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부재(72b)가 가압부재(20)의 둘레부를 지지하여 가압부재(2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작업자는 상기 관통공(72a)을 통해 주형(1)의 내부에 용탕을 주입할 수 있다.
그리고, 용탕의 주입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판(72)이 상승되어 상기 대차(10)가 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며, 다음번 대차(10)와 주형(1) 및 가압부재(20)가 승강판(72)의 하측으로 이송되면, 상기 승강판(72)이 하강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대차(10)에 올려진 주형(1)의 내부에 용탕을 주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주형이송장치는 승강판(72)이 승강되면서, 주형(1)에 올려진 가압부재(20)의 상면과 둘레면을 지지함으로, 주형(1)에 용탕을 주입할 때, 작업자가 실수로 가압부재(20)를 밀어 가압부재(2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주형(1)의 상형을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대차 20. 가압부재
A. 순환유닛 B. 주형제조장치
C. 가압부재이송수단

Claims (2)

  1. 주형제조장치(B)에서 제조되어 배출된 주형(1)이 상면에 올려지는 대차(10)와, 상기 대차(10)를 순환시키는 순환유닛(A)과,
    상기 순환유닛(A)에 의해 순환되는 대차(10)의 이송경로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용탕의 주입이 완료된 주형(1)의 상면에 올려진 가압부재(20)를 용탕이 주입되지 않은 주형(1)의 상면으로 옮겨놓는 가압부재이송수단(C)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유닛(A)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면에 상기 대차(10)가 올려지는 제1 가이드레일(31) 및 제2 가이드레일(32)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20)는 상기 주형(1)의 상면 넓이에 비해 넓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구성되고, 중앙부에는 주형(1)의 상면에 형성된 주입구(3)와 배출구(4)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구부(21)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주형(1)의 상면에 올려지며,
    작업자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주형(1)에 용탕을 주입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이송수단(C)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면에 상기 가압부재(20)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가압부재(20)의 하면 넓이보다 작은 넓이의 상면을 갖는 거치대(41)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 및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상측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재(42)와, 상기 가이드부재(42)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구비되며 슬라이드구동수단(43a)에 의해 측방향으로 왕복이송되는 이송대(43)와, 상기 이송대(43)의 하측에 구비되며 승강구동수단(45)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대(44)와, 상기 승강대(44)에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는 주형(1)에 올려진 가압부재(20)를 픽업하여 상기 거치대(41)에 올려놓거나 상기 거치대(41)에 올려진 가압부재(20)를 픽업하여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주형(1)의 상면에 올려놓는 제1 피커(46) 및 제2 피커(4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피커(46)와 상기 제2 피커(47)는 상단이 상기 승강대(44)의 하측에 인접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 인접면에는 상기 가압부재(20)의 양측면 하측에 걸리는 걸림턱(46b,47b)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바(46a,47a)와, 상기 회동바(46a,47a)에 연결되어 회동바(46a,47a)를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46c,47c)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피커(46) 또는 상기 제2 피커(47)는 상기 주형(1)의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가압부재(20)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상기 걸림턱(46b 또는 47b)으로 걸어 상기 주형(1)에 올려진 상기 가압부재(20)를 픽업하고,
    상기 제1 피커(46) 또는 상기 제2 피커(47)는 상기 거치대(41)의 상부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기 가압부재(20)의 하부면 가장자리를 상기 걸림턱(46b 또는 47b)으로 걸어 상기 주형(1)에 올려진 상기 가압부재(20)를 픽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유닛(A)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방에 구비되어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방에 위치된 대차(10)를 후방으로 밀어내어 대차(10)가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1 푸셔(33)와,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과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후방으로 배출된 대차(10)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방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수단(34)과,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송수단(34)에 의해 제2 가이드레일(32)의 후방으로 이송된 대차(10)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대차(10)가 제2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2 푸셔(35)와,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과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2 가이드레일(32)의 전방으로 배출된 대차(10)를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전방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수단(36)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푸셔(33,35)는 상기 대차(10)를 대차(10)의 전후방향 간격만큼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형제조장치(B)는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의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레일(31)을 따라 후방으로 이송되는 대차(10)의 상면에 제조된 주형(1)을 올려놓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형이송장치.
KR1020190087355A 2019-07-19 2019-07-19 주형이송장치 KR102136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355A KR102136190B1 (ko) 2019-07-19 2019-07-19 주형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355A KR102136190B1 (ko) 2019-07-19 2019-07-19 주형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6190B1 true KR102136190B1 (ko) 2020-07-21

Family

ID=7183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355A KR102136190B1 (ko) 2019-07-19 2019-07-19 주형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6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0551A (zh) * 2021-07-16 2021-10-29 郑浩源 一种合金铜生产用合金液浇铸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4867A (ja) * 2007-03-29 2008-11-06 Sintokogio Ltd 鋳物製品の鋳造設備
KR20140060004A (ko) * 2012-11-09 2014-05-19 박장원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1418923B1 (ko) 2013-10-11 2014-07-11 주식회사 디알액시온 중력 주조용 금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4867A (ja) * 2007-03-29 2008-11-06 Sintokogio Ltd 鋳物製品の鋳造設備
KR20140060004A (ko) * 2012-11-09 2014-05-19 박장원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1418923B1 (ko) 2013-10-11 2014-07-11 주식회사 디알액시온 중력 주조용 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0551A (zh) * 2021-07-16 2021-10-29 郑浩源 一种合金铜生产用合金液浇铸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48994B (zh) 用于铸造机的立式压机和铸造机
KR102136190B1 (ko) 주형이송장치
JP2006346679A (ja) ボルスター段替装置
KR102277400B1 (ko) 메인 롤러를 구비한 대면적 성형 장치
CN109530597B (zh) 重型模具运输双u型小车及快速更换系统和方法
JPH09169032A (ja) 金型交換用搬送台車
CN209796683U (zh) 一种物料盘运送机构
CN109129168B (zh) 研磨工件自动上下料系统
KR102022833B1 (ko) 캘리퍼하우징 주조시스템
JP2000246373A (ja) 金型交換装置
CN106044154A (zh) 一种砌块生产用的木板自动供给装置
CN213859738U (zh) 一种木板自动上下料装置
CN109570431B (zh) 多向双动挤压液压机的重型模具预热炉底及模具装卸方法
EP1125708A1 (en) Tire vulcanization facility and its metal mold opening/closing and vulcanizing stations
CN214418033U (zh) 一种多头点焊机
JP3901283B2 (ja) パンチングプレスにおける金型交換装置
JP2018111125A (ja) 注湯済み鋳型冷却装置
CN109604571B (zh) 一种铸造砂型输送线
JP2002273533A (ja) パンチングプレスにおける金型交換装置
KR200467818Y1 (ko) 융착기용 자동 몰드 교환장치
KR102346741B1 (ko) 저압 주조 장치
JP2532830Y2 (ja) 金型等の移載装置
JP2001018232A (ja) エア浮上式金型交換搬送装置
CN213568546U (zh) 移动式升降伸缩装卸车输送机
CN214991695U (zh) 一种表面激光热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