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279B1 - 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279B1
KR102135279B1 KR1020180141930A KR20180141930A KR102135279B1 KR 102135279 B1 KR102135279 B1 KR 102135279B1 KR 1020180141930 A KR1020180141930 A KR 1020180141930A KR 20180141930 A KR20180141930 A KR 20180141930A KR 102135279 B1 KR102135279 B1 KR 102135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ies
battery module
battery
tension band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215A (ko
Inventor
마사츠구 가와카미
히데토시 오카다
야스마사 오구마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90077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81Compression means other than compression means for stacks of electrodes and separators
    • H01M2/1077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01M2/106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전지의 충방전에 수반하여, 전지의 팽창 및 수축에 기인하는 전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한다.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와, 복수의 전지를 구속하는 구속 부품를 가지는 전지 모듈에 있어서, 구속 부품은,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와,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복수의 전지를 가압 상태로 구속하는 텐션 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텐션 밴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를 가지는 전지 모듈.

Description

전지 모듈{BATTERY MODULE}
본 개시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와, 복수의 전지를 구속하는 구속 부품을 가지는 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지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복수의 단전지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전지 블록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엔드 플레이트 및 엔드 플레이트의 단부를 연결하고 있는 금속 밴드를 이용하여, 당해 전지 블록을 고정하는 전지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전지 스택의 적층 방향 양측에, 당해 전지 스택을 사이에 두고 엔드 플레이트가 배치되며, 당해 엔드 플레이트끼리를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구비한 연료 전지의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서는, 전지 적층체가, 가압 플레이트, 변형 플레이트, 및 엔드 플레이트에 의해 구속된 전지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4에서는, 돌기 영역을 가지는 엔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연료전지의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207553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003636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076188호 공보 일본국 특허 제4621815호 공보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를 구속하고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전지 모듈에서는, 충방전에 수반하여, 전지의 팽창 및 수축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및 당해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복수의 전지를 가압 상태로 구속하는 텐션 밴드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복수의 전지를 구속하고 있는 경우, 전지의 팽창 및 수축에 수반하여, 텐션 밴드에 적절한 구속력 이상의 부하가 걸려, 그에 의하여 텐션 밴드가 소성 변형하여, 파손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이와 같은 문제를 억제할 수 있는 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이하의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양태 1>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와, 상기 복수의 전지를 구속하는 구속 부품를 가지는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품은, 상기 복수의 전지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전지를 가압 상태로 구속하는 텐션 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 밴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를 가지는 전지 모듈.
<양태 2>
상기 요철부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는, 양태 1에 기재된 전지 모듈.
<양태 3>
상기 복수의 전지의 사이에, 중간 플레이트를 더 가지는 양태 1 또는 2에 기재된 전지 모듈.
<양태 4>
상기 요철부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적어도 1개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는, 양태 3에 기재된 전지 모듈.
<양태 5>
상기 텐션 밴드는, 금속,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는, 양태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지 모듈.
<양태 6>
상기 요철부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 것인, 양태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지 모듈.
<양태 7>
상기 복수의 전지는, 전고체전지인, 양태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지 모듈.
본 개시의 전지 모듈에 의하면, 전지의 팽창 및 수축에 기인하는 텐션 밴드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의 일 형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전지 모듈의 텐션 밴드가 소성 변형하는 일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와 관련되는 요철부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와 관련되는 요철부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을 차량에 탑재할 때의 일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이하의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무엇보다, 이하의 도면에 나타내는 형태는, 본 개시의 예시이며,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은,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와, 복수의 전지를 구속하는 구속 부품를 가지는 전지 모듈에 있어서,
구속 부품은,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및 한 쌍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복수의 전지를 가압 상태로 구속하는 텐션 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텐션 밴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를 가진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탄성 변형」이란, 물체에 외력을 가하여 변형시키고, 그 후, 외력을 없애면, 원래대로 돌아가는 변형을 의미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소성 변형」이란, 물체에 외력을 가하여 변형시키고, 그 후, 외력을 없애도 남는 변형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의 일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지 모듈(100)은,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10)와, 복수의 전지(10)를 구속하고 있는 구속 부품을 가지며, 이 때의 구속 부품은,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10)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 및 12), 및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11 및 12)를 연결하며, 복수의 전지(10)를 가압 상태로 구속하고 있는 텐션 밴드(13 및 14)로 구성되어 있다. 텐션 밴드(13)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13a)를 가지고, 텐션 밴드(1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14a)를 가진다.
또한, 도 2는,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의 일 형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지 모듈(200)에 있어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20)와, 구속 부품과, 그 외의 부품으로서의 복수의 전지(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중간 플레이트(25)를 가진다. 이 때의 구속 부품은, 복수의 전지(20)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21 및 22), 및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21 및 22)를 연결하며, 복수의 전지(20)를 가압 상태로 구속하고 있는 텐션 밴드(23 및 24)로 구성되어 있다. 텐션 밴드(23)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23a)를 가진다. 요철부(23a)는, 텐션 밴드(23)의, 중간 플레이트(25)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텐션 밴드(2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24a)를 가진다. 요철부(24a)는, 텐션 밴드(24)의, 중간 플레이트(25)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25)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은, 전지의 팽창 및 수축에 기인하는 텐션 밴드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메커니즘은,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메커니즘은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전지의 충방전에 수반하여, 전지의 팽창 및 수축이 생길 경우에서는, 종래의 전지 모듈에 이용되는 텐션 밴드에 걸리는 하중이, 적절한 구속력 이상이 되면, 텐션 밴드는, 임의의 개소에서 소성 변형하여, 파손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전지 모듈(300)은,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30)와, 복수의 전지(30)를 구속하는 구속 부품을 가지며, 이 때의 구속 부품은, 복수의 전지(30)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31 및 32), 및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31 및 32)를 연결하며, 복수의 전지(30)를 가압 상태로 구속하는 텐션 밴드(33 및 3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텐션 밴드(33 및 34)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를 가지고 있지 않다. 복수의 전지(30)의 팽창 및 수축이 생기면, 도 3(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텐션 밴드(33 및 34)는, 임의의 개소에서 소성 변형하여, 파손되어 버린 개소도 있다.
종래의 전지 모듈에 대하여,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은, 텐션 밴드가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를 가진다. 이 때문에, 전지의 팽창 및 수축이 생길 경우에, 이러한 요철부가 우선적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와 같이, 요철부는, 전지의 팽창 및 수축으로 생긴 치수 변화의 텐션 밴드에 대한 하중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텐션 밴드가, 소성 변형하여 파손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지 모듈(100)에서는, 복수의 전지(10)의 팽창 및 수축이 생겨도, 텐션 밴드(13)의 요철부(13a), 및 텐션 밴드(14)의 요철부(14a)가 우선적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텐션 밴드(13 및 14)의 소성 변형에 의한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복수의 전지≫
전지 모듈은,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를 가진다.
여기에서, 「복수」란, 2 이상을 의미한다. 즉,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은, 2 이상이 적층되어 있는 전지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복수의 전지의 수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지 모듈의 사용 용도·목적에 따라 설정하면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전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일차전지, 이차전지, 또는 연료전지여도 된다. 이들 중에서, 본 개시와 관련되는 복수의 전지는, 전해질을 포함하여 전지를 구성하는 부품의 모두가 고체로 되어 있는 전고체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고체전지>
이하에서는, 본 개시와 관련되는 복수의 전지가 전고체전지인 경우를 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고체전지의 종류로서는, 전고체 리튬 전지, 전고체 나트륨 전지, 전고체 마그네슘 전지 및 전고체 칼슘 전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전고체 리튬 전지 및 전고체 나트륨 전지가 바람직하고, 특히, 전고체 리튬 전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전고체전지는, 일차전지여도 되고, 이차전지여도 되지만, 그 중에서도, 이차전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고체전지는, 1 이상의 단위 전고체전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단위 전고체전지는, 정극집전체층, 정극활물질층, 고체전해질층, 부극활물질층, 및 부극집전체층을 이 순서로 적층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고체전지는, 2 이상의 단위 전고체전지를 가지는 경우, 각 구성 요소의 적층준에 의해, 바이폴라형이어도 되고, 모노폴라형이어도 된다.
또한, 정극집전체층, 정극활물질층, 고체전해질층, 부극활물질층, 및 부극집전체층의 각각의 구성 부재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전고체전지에 적용가능한 공지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구속 부품≫
전지 모듈은, 상기 서술한 복수의 전지를 구속하는 구속 부품을 가진다.
구속 부품은,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및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전지를 가압 상태로 구속하는 텐션 밴드로 구성되어 있다.
<텐션 밴드>
텐션 밴드는, 복수의 전지를 가압 상태로 구속할 수 있는 부재이면, 공지의 것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금속,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금속으로서는 스테인리스강을 들 수 있다. 또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글라스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이 이용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텐션 밴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이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를 단지 「요철부」라고도 약칭한다.
(요철부)
본 개시에 있어서, 요철부는, 텐션 밴드의 임의인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나 있는 전지 모듈(100)에서는, 요철부(13a)는, 적층 방향에 있어서의 복수의 전지(10)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 및 엔드 플레이트(11 및 12)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의 전체에 걸쳐서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나 있는 요철부(13a 와 14a)는, 대칭적으로 그려져 있지만, 비대칭인 장소에 각각이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요철부는, 텐션 밴드의,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또한,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이란,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과 직교하는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이다.
텐션 밴드의 요철부가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는 전지 모듈은, 상기 서술한 전지의 팽창 및 수축에 기인하는 텐션 밴드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강한 외력(예를 들면, 차량의 측돌(側突) 등)을 가하였을 경우, 이러한 요철부가 우선적으로 좌굴(座屈)되어 탄성 변형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소성 변형함으로써, 텐션 밴드의 전체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강한 외력을 가하였을 경우, 텐션 밴드가 변형되는 부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텐션 밴드가 변형된 부분과 전지의 접촉에 의한 전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에서의 강한 외력에 의해, 전지가 압축되고, 그에 의하여, 텐션 밴드가 좌굴되는 경우, 텐션 밴드에 요철부가 존재하면, 텐션 밴드의 좌굴은, 우선적으로 요철부에서 생긴다. 즉, 가령 요철부가 좌굴되어 버려도, 요철부가 텐션 밴드의,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좌굴된 부분이 전지와 접촉할 일이 없기 때문에, 좌굴된 부분의 접촉에 의한 전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나 있는 전지 모듈(400)에서는, 텐션 밴드(43)의 요철부(43a 및 43b)는, 각각 텐션 밴드(43)의, 엔드 플레이트(41 및 42)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의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텐션 밴드(44)의 요철부(44a 및 44b)는, 각각 텐션 밴드(44)의, 엔드 플레이트(41 및 42)의 측면과 대향하는 측의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다.
전지 모듈(400)에 있어서, 복수의 전지(40)의 팽창 및 수축이 있는 경우에는, 요철부(43a,43b,44a 및 44b)가 우선적으로 탄성 변형하고, 텐션 밴드(43 및 44)는, 소성 변형하여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지 모듈(400)의 복수의 전지(40)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강한 외력을 받을 경우, 요철부(43a,43b,44a 및 44b)가 우선적으로 변형한다. 이 경우, 요철부(43a,43b,44a 및 44b)가 좌굴되어도, 텐션 밴드의 좌굴된 부위(요철부(43a,43b,44a 및 44b) 중 어느 1 이상의 부위)는, 복수의 전지(40)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전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은, 1 이상의 텐션 밴드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의 텐션 밴드의 적어도 하나가, 요철부를 가진다. 필요로 하는 전지 모듈의 목적 및 용도 등에 맞춰서, 1 또는 복수의 텐션 밴드 중 어느 하나의 임의의 개소에, 요철부를 위치시킬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텐션 밴드의 요철부는, 탄성 변형가능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어떠한 형태여도 된다. 요철부는, 오목부만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볼록부만으로 구성되어도 되고, 오목부와 볼록부를 조합시킨 것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5의 (a)~(e)에서는, 몇개의 요철부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5(a)에 나타나 있는 요철부(3a)를 예로서 설명한다. 요철부(3a)는, 4개의 볼록부(3a1,3a2,3a3, 및 3a4)를 포함하고 있다. 각 볼록부는,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탄성 변형가능하다. 또한, 4개의 볼록부(3a1,3a2,3a3, 및 3a4)는, 각각 같은 크기 및 방향이어도 되고, 다른 크기 및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도 5(a)에서는, 4개의 볼록부(3a1,3a2,3a3, 및 3a4)는, 균등한 간격을 가지고 있지만, 균등한 간격이 아니어도 되며, 또한, 4개의 볼록부(3a1,3a2,3a3, 및 3a4)는 연속하여 있어도 된다.
또한, 도 5(a)에 나타나 있는 요철부(3a)의 사시도는, 도 6에 나타나있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요철부(3a)의 예에서는, 요철부(3a)의 폭(d)은, 텐션 밴드의 폭(D)과 같다. 즉, 텐션 밴드의 폭(D)의 끝에서 끝까지, 요철부(3a)를 마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텐션 밴드의 폭이란,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과 직교하는 면의 길이를 가리키며, 요철부의 폭이란, 텐션 밴드의 폭과 평행하는 면의 요철형상의 길이를 가리킨다. 또한, 본 개시의 효과를 손상하지 않는 한, 요철부의 폭은, 텐션 밴드의 폭보다 작게 설정하여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텐션 밴드의 요철부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요철형상을 추가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요철부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엔드 플레이트>
본 개시의 전지 모듈에 있어서,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는,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으며, 텐션 밴드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서술한 텐션 밴드로부터 구속 부품을 구성하고 있다.
엔드 플레이트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것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금속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금속으로서는 스테인리스강을 들 수 있다. 또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 글라스 섬유 강화 플라스틱 등이 이용되지만,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외의 부품≫
본 개시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 및 복수의 전지를 구속하는 구속 부품 이외에, 전지 모듈의 사용 용도·목적에 따라, 전지 모듈은, 그 외의 부품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전지의 사이에, 중간 플레이트를 더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그 외의 부품으로서, 중간 플레이트를 가지는 경우의 본 개시 모듈의 양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중간 플레이트>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은, 중간 플레이트를 더 가질 수 있다. 중간 플레이트는 복수의 전지의 사이의 절연 보증을 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은, 중간 플레이트를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전지를, 중간 플레이트에 의해, 각각이 복수의 전지를 가지는 복수의 전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나눠진 전지 그룹을, 다른 전지 그룹과 접속하여, 고전압화 및 고용량화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가령 1개의 전지 그룹이 파손되어도, 나머지의 전지 그룹으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전지 그룹의 각각을, 전륜 및 후륜의 구동용에 이용함으로써, 4륜 구동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전지 모듈이 중간 플레이트를 더 가지는 경우에서는, 텐션 밴드의 요철부는, 엔드 플레이트 및 중간 플레이트의 적어도 1개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텐션 밴드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강한 외력을 받을 경우의 전지의 파손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텐션 밴드의 복수의 전지에 대한 구속 효과와의 밸런스의 관점에서, 텐션 밴드의 요철부는, 중간 플레이트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중간 플레이트의 측면이란, 복수의 전지의 적층 방향과 직교하는 중간 플레이트의 측면이다.
복수의 전지의 사이에 중간 플레이트를 더 가지는 경우의 일 형태의 예는, 도 7에 나타나있다. 전지 모듈(700)은, 복수의 전지(70)의 사이에, 중간 플레이트(75)를 더 가지고 있다. 이 경우, 텐션 밴드(73)의 요철부(73a)는, 중간 플레이트(75)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텐션 밴드(74)의 요철부(74a)는, 중간 플레이트(75)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양태에 의해, 텐션 밴드(73 및 74)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전지(70)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강한 외력을 받을 경우의 전지의 파손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해, 복수의 전지(70)의 적층 방향으로부터 강한 외력을 받을 경우의 전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전지 모듈(700)을 차량에 탑재할 때의 일 형태를 도시한 개략도는, 도 8에 나타나있다. 이 도 8에 나타나 있는 양태에서는, 텐션 밴드(73 및 74)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선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들의 사이에 전지 적층체가 배치되어 있다. 다만, 전지 적층 방향을 축으로서 90° 회전한 형태, 즉 텐션 밴드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들의 사이에 전지 적층체가 배치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8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전지 모듈(700)에서는, 텐션 밴드(73 및 74)의 요철부(73a 및 74a)는, 중간 플레이트(75)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가령, 차량의 측돌에 의한 강한 외력에 의해, 요철부(73a 및 74a)가 좌굴되어도, 이러한 좌굴 부위(요철부(73a 및/또는 74a))는, 복수의 전지(70)와 접촉하는 일이 없어, 전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10,20,30,40,70 복수의 전지
11,12,21,22,31,32,41,42 엔드 플레이트
13,14,23,24,33,34,43,44,73,74 텐션 밴드
3a,13a,14a,23a,24a 요철부
3a1,3a2,3a3,3a4 볼록부
43a,43b,44a,44b,73a,74a 요철부
25,75 중간 플레이트
100,200,300,400,700 전지 모듈

Claims (7)

  1. 적층되어 있는 복수의 전지와, 상기 복수의 전지를 구속하는 구속 부품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전지의 사이에, 중간 플레이트를 더 가지는 전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구속 부품은, 상기 복수의 전지 적층 방향의 양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를 연결하며, 상기 복수의 전지를 가압 상태로 구속하는 텐션 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텐션 밴드는, 탄성 변형 가능한 요철부를 가지고, 상기 요철부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 및 상기 중간 플레이트의 적어도 1개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는, 전지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측면과 대향하는 부분에만 위치하고 있는, 전지 모듈.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 밴드는, 금속, 또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 모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엠보싱 가공에 의한 것인, 전지 모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지는, 전고체전지인, 전지 모듈.
KR1020180141930A 2017-12-25 2018-11-16 전지 모듈 KR102135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248220 2017-12-25
JP2017248220A JP7056142B2 (ja) 2017-12-25 2017-12-25 電池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215A KR20190077215A (ko) 2019-07-03
KR102135279B1 true KR102135279B1 (ko) 2020-07-17

Family

ID=66949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930A KR102135279B1 (ko) 2017-12-25 2018-11-16 전지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50832B2 (ko)
JP (1) JP7056142B2 (ko)
KR (1) KR102135279B1 (ko)
CN (1) CN1099621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10102B2 (ja) * 2018-03-22 2022-01-2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全固体電池
US20220173470A1 (en) * 2019-03-29 2022-06-02 Sanyo Electric Co., Ltd. Power source device, and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employing same
DE102019109715B4 (de) * 2019-04-12 2023-08-3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7226229B2 (ja) * 2019-09-27 2023-0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スタ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JP7230758B2 (ja) * 2019-09-27 2023-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構造物の拘束構造
JP7131523B2 (ja) 2019-10-16 2022-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モジュール
JP7172947B2 (ja) * 2019-10-29 2022-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DE102020201494B3 (de) * 2020-02-07 2021-03-1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Hochvoltbatterie für ein elektrisch betriebenes Fahrzeug
JP2022075318A (ja) 2020-11-06 2022-05-18 愛三工業株式会社 支持構造
KR20220070961A (ko) * 2020-11-23 2022-05-3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2224461A1 (ja) * 2021-04-23 2022-10-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システム
JP2023003072A (ja) * 2021-06-23 2023-0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CN115149187A (zh) * 2022-06-02 2022-10-04 远景动力技术(江苏)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及电子装置
DE102022118906B4 (de) 2022-07-28 2024-03-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für eine Traktions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621815Y1 (ko) 1967-09-09 1971-07-28
US6087036A (en) * 1997-07-25 2000-07-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hermal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solid-state energy storing device
US6099986A (en) * 1997-07-25 2000-08-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situ short circui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high-energy electrochemical cells
JP2001511592A (ja) * 1997-07-25 2001-08-14 ミネソタ マイニング アンド 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 カンパニー 圧力システムと再充電可能な薄膜電気化学電池
CN2450785Y (zh) * 2000-11-17 2001-09-26 天津和平海湾电源集团有限公司 方型密封电池紧固组装结构
JP4609623B2 (ja) 2003-05-26 2011-01-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結束具
DE102006028440B4 (de) * 2006-06-21 2015-03-12 Elringklinger Ag Brennstoffzellenstapel
JP2010003636A (ja) 2008-06-23 2010-01-07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システム
DE102008059966B4 (de) * 2008-12-02 2011-06-22 Daimler AG, 70327 Batterie mit mehreren in einem Zellenverbund angeordneten Batteriezellen und Verwendung einer Batterie
CN101990720B (zh) 2009-03-17 2013-05-0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燃料电池组
JP5485578B2 (ja) 2009-04-07 2014-05-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密閉式角形電池を用いた電池モジュール
DE102009030016A1 (de) * 2009-06-23 2010-12-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Spannungsversorung eines Kraftfahrzeugs mit einem Kühlerblock
JP2011023302A (ja) 2009-07-17 2011-02-03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組電池用のバインドバー
KR101108190B1 (ko) * 2009-12-23 2012-01-3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엔드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DE102011013618A1 (de) * 2011-03-11 2012-09-13 Li-Tec Battery Gmbh Energiespeichervorrichtung
DE102011016048A1 (de) 2011-04-04 2012-10-04 Li-Tec Battery Gmbh Energiespeichervorrichtung mit einer Temperiereinrichtung
US9379408B2 (en) * 2013-03-05 2016-06-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emmed fuel cell stack enclosure
DE202013003672U1 (de) * 2013-04-10 2014-07-11 Reinz-Dichtungs-Gmbh Zellstapel
JP6149670B2 (ja) 2013-10-07 2017-06-2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池モジュール
JP6028231B2 (ja) 2014-04-11 2016-11-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組電池
CN106233497B (zh) 2014-04-25 2019-04-26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池组及具有电池组的车辆
KR102030119B1 (ko) * 2015-03-27 2019-10-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가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14477A (ja) 2019-07-11
US10950832B2 (en) 2021-03-16
CN109962192B (zh) 2022-04-05
KR20190077215A (ko) 2019-07-03
JP7056142B2 (ja) 2022-04-19
CN109962192A (zh) 2019-07-02
US20190198830A1 (en)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5279B1 (ko) 전지 모듈
US11450917B2 (en) Power storage device
US9786965B2 (en) Power source device
KR102330872B1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US10205143B2 (en) Battery pack
KR101182129B1 (ko)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모듈
WO2020004039A1 (ja) 電池モジュール用緩衝シート
KR20180068379A (ko)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케이스
US20190148689A1 (en) Battery pack including fixing part
EP3067978B1 (en) Flexible battery cell
CN109830627A (zh) 一种电池模组
WO2019021778A1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装備する車両
WO2014103746A1 (ja) 電池モジュール
JP2009059535A (ja) 燃料電池
JP7033255B2 (ja) 組電池
CN115084771B (zh) 一种高性能电池箱防护结构、汽车
JP2020177747A (ja) 電池モジュール
JP6948564B2 (ja) 電池モジュール
CN115298885B (zh) 电池模块、包括该电池模块的电池组以及车辆
JP2019164968A (ja) 拘束部材および全固体電池アセンブリ
US9437898B2 (en) Secondary battery including plurality of electrode assemblies
US10797272B2 (en) Electrode stack restraint
EP4027423A1 (en) Battery cell comprising protection member
CN217983579U (zh) 电池模组弹性捆扎结构
JP7176816B2 (ja)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