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653B1 -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653B1
KR102133653B1 KR1020180160627A KR20180160627A KR102133653B1 KR 102133653 B1 KR102133653 B1 KR 102133653B1 KR 1020180160627 A KR1020180160627 A KR 1020180160627A KR 20180160627 A KR20180160627 A KR 20180160627A KR 102133653 B1 KR102133653 B1 KR 102133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ver paste
curable resin
film
manufacturing
transpar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722A (ko
Inventor
정병홍
이근우
김동현
서상진
김수영
Original Assignee
그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653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2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 페이스트을 다방향으로 충전시켜 은 페이스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판에 나노패턴이 형성되는 금속몰드를 준비하는 몰드준비단계; 상기 금속몰드 위에 경화성수지를 도포하고 베이스필름을 접착시키는 필름접착단계; 상기 금속몰드로부터 상기 경화성수지가 접착된 상기 베이스필름을 탈거시키는 필름탈거단계; 상기 경화성수지를 경화시키는 수지경화단계; 평판에 상기 경화성수지가 상부를 향하게 상기 베이스필름을 고정시키는 필름고정단계;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측에 각각 일정량의 은페이스트를 위치시키는 은페이스트준비단계;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은페이스트를 상기 경화성수지의 패턴에 충전시키는 페이스트충전단계; 상기 은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페이스트경화단계; 및 상기 경화성수지의 표면을 세척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경화성수지의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은페이스트를 제거시키는 페이스트세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parent conductive film using multi-charging type for silver paste}
본 발명은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은 페이스트을 다방향으로 충전시켜 은 페이스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은 페이스트를 이용한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6359호'에 투명전극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6359호'는 롤 코터에 대향하는 하부에 지지롤러를 제공함으로써 대면적의 투명전극필름에 정확하게 인쇄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정밀하게 양산 가능한 투명전극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7893호'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투명유연전극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7893호'는 경화성 수지층에 형성된 음각패턴 내부에 도포되는 전도성 페이스트의 충진성을 높인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투명유연전극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6359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7893호'은 롤투롤 방식의 기술로, 단시간에 대량 제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고 원료의 손실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은 페이스트는 초고가의 재료로 전도성 필름의 가격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은 페이스트는 최소의 양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롤투롤 방식의 전도성 필름 제조방법들은 수율에 있어 한계가 있고, 은 페이스트의 사용량 및 손실량이 많다는 큰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66359호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0789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은 페이스트을 다방향으로 충전시켜 은 페이스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은, 금속판에 나노패턴이 형성되는 금속몰드를 준비하는 몰드준비단계; 상기 금속몰드 위에 경화성수지를 도포하고 베이스필름을 접착시키는 필름접착단계; 상기 금속몰드로부터 상기 경화성수지가 접착된 상기 베이스필름을 탈거시키는 필름탈거단계; 상기 경화성수지를 경화시키는 수지경화단계; 평판에 상기 경화성수지가 상부를 향하게 상기 베이스필름을 고정시키는 필름고정단계;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측에 각각 일정량의 은페이스트를 위치시키는 은페이스트준비단계;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은페이스트를 상기 경화성수지의 패턴에 충전시키는 페이스트충전단계; 상기 은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페이스트경화단계; 및 상기 경화성수지의 표면을 세척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경화성수지의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은페이스트를 제거시키는 페이스트세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속몰드는 니켈로 형성되고, 상기 경화성수지는 자외선경화성수지이며, 상기 베이스필름은 PET필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은페이스트준비단계의 상기 은페이스트는 슬릿 또는 공동이 형성된 스크린에 상기 은페이스트를 위치시키고 스퀴즈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측에 각각 일정량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척도구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세척면이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세척면에 잔량의 상기 은페이스트를 수용가능한 나선형 형상의 미세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형상의 미세패턴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척도구는 상기 세척면을 세척액에 침지시켜서, 나선형 형상의 상기 미세패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은페이스트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 각각은 공압 또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의 반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수단과, 상기 경화성수지의 표면에 접촉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상단부에 그 닥터블레이드의 좌우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 각각은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을 통해 상기 공압 또는 상기 탄성체의 반력을 보정하며,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들을 수집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보정에 반영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은, 은 페이스트을 다방향으로 충전시켜 은 페이스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필름접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필름탈거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은페이스트준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페이스트충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페이스트세척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은페이스트준비단계의 스크린 및 스퀴즈의 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세척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세척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세척도구의 세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서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서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서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은 페이스트가 충전된 상태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닥터블레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닥터블레이드의 탄성식 완충수단의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필름접착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필름탈거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은페이스트준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페이스트충전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페이스트세척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은, 금속판에 나노패턴이 형성되는 금속몰드(100)를 준비하는 몰드준비단계(S100)와, 금속몰드(100) 위에 경화성수지(200)를 도포하고 베이스필름(300)을 접착시키는 필름접착단계(S200)와, 금속몰드(100)로부터 경화성수지(200)가 접착된 베이스필름(300)을 탈거시키는 필름탈거단계(S300)와, 경화성수지(200)를 경화시키는 수지경화단계(S400)와, 평판(400)에 경화성수지(200)가 상부를 향하게 베이스필름(300)을 고정시키는 필름고정단계(S500)와, 베이스필름(300)의 양측에 일정량의 은페이스트(A, A')를 각각 위치시키는 은페이스트준비단계(S600)와, 제1 닥터블레이드(710A) 및 제2 닥터블레이드(710B)를 순차 이용하여 은페이스트(A, A')를 경화성수지(200)의 패턴에 충전시키는 페이스트충전단계(S700)와, 은페이스트(A, A')를 경화시키는 페이스트경화단계(S800)와, 경화성수지(200)의 표면을 세척도구(600)를 이용하여 경화성수지(200)의 표면에 잔존하는 은페이스트를 제거시키는 페이스트세척단계(S9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금속몰드는 니켈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경화성수지는 자외선경화성수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베이스필름은 PET필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 있어, 몰드준비단계(S100) 및 필름접착단계(S200) 및 수지경화단계(S400)는 롤투롤 방식으로 시행되어도 무방하나, 필름고정단계(S500) 및 은페이스트준비단계(S600) 및 페이스트충전단계(S700) 및 페이스트경화단계(S800) 및 페이스트세척단계(S900)는 베이스필름(300)을 평판(400) 위에 위치 및 고정시켜서 시행된다.
이는 정확한 양의 은페이스트(A, A')를 베이스필름(300) 상의 양단부 측에 위치시키고, 보다 정밀하게 은페이스트(A, A')를 충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페이스트세척단계(S900)를 이행하는데 있어서도, 필름의 손상은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잔존하는 은페이스트(A, A')를 제거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지경화단계(S400)에서 경화성수지(200)를 경화시키는데는 자외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은페이스트준비단계의 스크린 및 스퀴즈의 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은페이스트준비단계(S600)에 있어서, 은페이스트(A, A')는 슬릿(510) 또는 공동이 형성된 스크린(500)의 양단부 각각에 은페이스트(A, A')를 위치시키고 스퀴즈(520)로 밀어냄으로써 베이스필름(300)의 양측에 각각 일정량이 위치된다.
상기 스크린과 스크린에 형성되는 상기 슬릿 또는 공동은, 실크스크린 방식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고, 실크스크린에서 잉크를 스퀴즈로 밀어내는 것과 같이 스크린에서 은페이스트를 스퀴즈로 밀어내는 방식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은 페이스트를 이용한 투명전국필름을 제조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은 페이스트를 나노패턴에 충전되는만 소모시키고 손실 또는 낭비를 예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은, 한정된 면적의 베이스필름(300)을 평판(400) 위에 위치시키고, 상기 한정된 면적의 베이스필름(300)에 각인된 한정된 체적의 나노패턴을 충전시킬 정확한 양의 은페이스트(A, A')를 베이스필름(300)의 양측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나노패턴의 한정된 체적과 일치되는 은페이스트(A, A')를 준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슬릿(510) 또는 공동이 형성된 스크린(500)을 통해 은페이스트(A, A')를 준비하는 것이다.
도 7에서 도면부호 510번으로 표기된 부분이 슬릿을 나타내는데, 상기 슬릿은 다수의 공동으로 대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슬릿(510)은 미세하게 형성되어 다수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슬릿 또는 공동이 형성되는 부분의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준비되는 은페이스트(A, A')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스크린(500)과 슬릿 또는 공동이 형성되는 부분을 통해 공급되는 은페이스트(A, A')의 정확한 량은, 슬릿 또는 공동이 형성되는 부분의 면적을 다르게 한 시료들을 시험하여 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스크린의 재질과 슬릿의 물리적 특성과 공동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슬릿 또는 공동을 거쳐 공급되는 은 페이스트의 양이 달라서, 정확한 예측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슬릿 또는 공동이 형성되는 부분의 면적을 조절하는 용이한 방법으로 정확한 양의 은 페이스트를 공급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닥터블레이드(700: 700A, 700B)가 은페이스트(A, A')를 경화성수지(200) 상에서 밀면서 은페이스트(A, A')를 이동시킬 때, 은페이스트(A, A')의 분포가 변화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응하기 위해 슬릿 또는 공동은 스크린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테면 본 발명에 있어 스크린(5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슬릿 또는 공동은 스크린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대신 마름모 또는 사다리꼴 등의 형상이 가능한 것은 물론인 것이다. 이에 더해 일정 형상으로 군집된 다수의 슬릿 또는 다수의 공동에 있어서, 슬릿의 크기 또는 공동의 크기는 부분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슬릿의 분포 또는 공동의 분포 또한 부분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다. 이것은 나노패턴의 형상 및 나노패턴의 분포에 대응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세척도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세척도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세척도구(600)는, 세척면(610)이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세척면에 잔량의 은페이스트를 수용가능한 나선형 형상의 미세패턴(611)이 형성되며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세척도구(600)의 나선형 형상의 미세패턴(611)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세척도구(600)는, 나선형 형상의 미세패턴(611)에 잔존하는 은페이스트(A, A')를 수용하여 잔존하는 은페이스트(A, A')를 제거시킨다.
나노패턴의 외부에 잔존하는 은페이스트(A, A')를 제거시키는 것은 투명전극필름 제조에 있어 중요한 후처리 과정으로 투명전극필름의 품질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미세패턴(611)은 1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잔존하는 은페이스트(A, A')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공간에 1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세척도구의 세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세척도구(600)는 세척면(610)을 세척액(601)에 침지시켜서 나선형 형상의 미세패턴(611) 내부에 수용된 은페이스트(A, A')를 제거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세척액(601)은 은페이스트(A, A')에 포함된 수지의 용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도구(600)는 세척액(601)에 세척됨으로써 재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서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서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충전하는 과정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서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은 페이스트가 충전된 상태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700: 710A, 710B)는, 1차적으로 제1 닥터블레이드(710A)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킨 다음, 2차적으로 제2 닥터블레이드(710B)를 타측에서 일측으로 이동시켜서 충전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710A, 710B)는 공압 또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닥터블레이드의 반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수단(7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700: 710A, 710B)는, 경화성수지의 표면에 접촉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720)를 포함하여, 센서(720)에서 측정된 압력을 통해 공압 또는 탄성체의 반력을 보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닥터블레이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닥터블레이드(700)는, 닥터블레이드(700)의 상부에 닥터블레이드(700)의 좌우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730)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수단(730)은 닥터블레이드(700)의 양측에 쌍으로 형성되어 닥터블레이드(700)의 양측의 높이 편차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은, 닥터블레이드(700)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720)에서 측정된 압력값들을 수집하여 높이조절수단(730)의 보정에 반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의 닥터블레이드(700)는, 완충수단(710) 또는 센서(720) 또는 높이조절수단(730)을 포함할 수 있고, 센서(720)에서 측정된 압력을 완충수단(710) 또는 높이조절수단(730)에 즉시 반영시키거나, 센서(720)에서 수집된 압력값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완충수단(710) 또는 높이조절수단(730)에 반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은 보다 정밀하게 닥터블레이드(700)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닥터블레이드(700)로 은페이스트(A, A')를 닥터링하는데 있어서, 은페이스트(A, A')의 손실이 가장 적은 최적을 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닥터블레이드(700)로 은페이스트(A, A')를 반복적으로 닥터링하게 되면, 온도의 변화 또는 닥터블레이드의 마모 등의 작은 변수만으로도 닥터블레이드(700)의 압력이 미세하게 변화하게 된다. 인쇄 등의 공정에 있어 닥터블레이드(700)는 미세하게 압력이 변화하더라도 결과물에 차이가 거의 없으나, 나노패턴에 은페이스트(A, A')를 충전시키는 미세 공정에 있어서 이러한 미세한 압력 변화는 결과물에 큰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상기에 서술된 바와 같은 변화되는 미세한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닥터블레이드(700)의 압력을 제어하는 수단들이 필요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 있어서 닥터블레이드의 탄성식 완충수단의 보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은, 닥터블레이드에 탄성식으로 완충수단을 적용시키는 경우 탄성체(740)의 일측에 유압장치(750)를 부설하여 탄성체의 탄성력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완충수단(710)은 공압 또는 탄성력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완충수단(710)이 공압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완충수단(710)을 구성하는 공압실린더 내의 공압을 조절하여 완충수단(710)의 반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완충수단(710)이 탄성식으로 형성되는 경우, 공압식과 같은 방식의 반력 보정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은, 완충수단(710)의 탄성체(740)의 일측에 유압장치(750)를 부설하여 탄성체(740)의 반력을 손쉽게 보정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은, 평판 상에서 은페이스트준비단계 및 페이스트충전단계를 시행하여, 은 페이스트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은페이스트
100...금속몰드
200...경화성수지
300...베이스필름
400...평판
500...스크린
510...슬릿
520...스퀴즈
600...세척도구
610...세척면
611...미세패턴
601...세척액
700, 710A, 710B...닥터블레이드
710...완충수단
720...센서
730...높이조절수단
740...탄성체
750...유압장치

Claims (5)

  1. 금속판에 나노패턴이 형성되는 금속몰드를 준비하는 몰드준비단계;
    상기 금속몰드 위에 경화성수지를 도포하고 베이스필름을 접착시키는 필름접착단계;
    상기 금속몰드로부터 상기 경화성수지가 접착된 상기 베이스필름을 탈거시키는 필름탈거단계;
    상기 경화성수지를 경화시키는 수지경화단계;
    평판에 상기 경화성수지가 상부를 향하게 상기 베이스필름을 고정시키는 필름고정단계;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측에 각각 일정량의 은페이스트를 위치시키는 은페이스트준비단계;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를 순차적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은페이스트를 상기 경화성수지의 패턴에 충전시키는 페이스트충전단계;
    상기 은페이스트를 경화시키는 페이스트경화단계; 및
    상기 경화성수지의 표면을 세척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경화성수지의 표면에 잔존하는 상기 은페이스트를 제거시키는 페이스트세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도구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세척면이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며, 상기 세척면에 잔량의 상기 은페이스트를 수용가능한 나선형 형상의 미세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형상의 미세패턴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척면을 세척액에 침지시켜서 나선형 형상의 상기 미세패턴 내부에 수용된 상기 은페이스트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 각각은 공압 또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의 반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완충수단과, 상기 경화성수지의 표면에 접촉하는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단부에 그 닥터블레이드의 좌우편차를 보정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닥터블레이드 각각은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을 통해 상기 공압 또는 상기 탄성체의 반력을 보정하며,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압력값들을 수집하여 상기 높이조절수단의 보정에 반영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몰드는 니켈로 형성되고,
    상기 경화성수지는 자외선경화성수지이며,
    상기 베이스필름은 PET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페이스트준비단계의 상기 은페이스트는 슬릿 또는 공동이 형성된 스크린에 상기 은페이스트를 위치시키고 스퀴즈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베이스필름의 양측에 각각 일정량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0627A 2018-12-13 2018-12-13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KR102133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27A KR102133653B1 (ko) 2018-12-13 2018-12-13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627A KR102133653B1 (ko) 2018-12-13 2018-12-13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22A KR20200072722A (ko) 2020-06-23
KR102133653B1 true KR102133653B1 (ko) 2020-07-21

Family

ID=71138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627A KR102133653B1 (ko) 2018-12-13 2018-12-13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6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015B1 (ko) * 2012-12-28 2015-09-22 주식회사 잉크테크 전도성 패턴의 형성방법
KR101366359B1 (ko) 2013-03-07 2014-03-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전극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02366B1 (ko) * 2014-05-20 2016-03-11 (주) 파루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KR101683738B1 (ko) * 2014-10-27 2016-12-07 박근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KR20160107893A (ko) 2015-03-06 2016-09-19 한국전기연구원 전도성 페이스트를 이용한 투명유연전극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032288B1 (ko) * 2017-12-14 2019-10-15 그린산업 주식회사 은 페이스트를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722A (ko) 202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1590B1 (ko) 음각 인쇄에 의한 미세패턴 인쇄방법
CN101547748A (zh) 用于将薄片应用到基板的方法和设备
JP6584176B2 (ja) インプリント装置、インプリント方法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US20070178237A1 (en) Method for patterning coatings
KR102133653B1 (ko)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CN113238456A (zh) 一种采用具厚度变化的可挠式模仁的压印方法
KR101921032B1 (ko) 임프린트 방법 및 물품의 제조 방법
KR102032288B1 (ko) 은 페이스트를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TW201341210A (zh) 用柔版印刷滾輪組態之柔版印刷
JP2011233652A (ja) インプリント装置及び物品の製造方法
KR19980071550A (ko) 凹판 인쇄방법 및 그 장치, 및 터치패널
CN101103441A (zh) 用于涂层图形化的方法
US11254158B2 (en) Blanket manufacturing apparatus and blanket manufacturing method
KR101736542B1 (ko) 오프셋 인쇄장치와 인쇄방법
KR102030807B1 (ko) 은 페이스트 충전용 닥터블레이드
US11072163B2 (en) Printing blanket,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rint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240058411A (ko) 소프트 블랑켓이 포함된 그라비아 옵셋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센서 제조 방법
JP6521518B2 (ja) 導電性材料・微細構造体付き物品の製造装置および導電性材料・微細構造体付き物品の製造方法
KR20190071444A (ko) 은 페이스트를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세척방법
JP6472046B2 (ja) グラビア印刷機
KR100789569B1 (ko) 코팅물의 패턴화 방법
JP7041699B2 (ja) インプリント装置の情報出力方法、インプリント装置、情報出力方法および装置
KR100818491B1 (ko) 코팅물의 패턴화 장치
KR100860476B1 (ko) 임프린트용 레진 양면 디스펜싱 방법
KR20160092359A (ko) 그라비어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라비어 인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