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738B1 -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 Google Patents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3738B1
KR101683738B1 KR1020140145741A KR20140145741A KR101683738B1 KR 101683738 B1 KR101683738 B1 KR 101683738B1 KR 1020140145741 A KR1020140145741 A KR 1020140145741A KR 20140145741 A KR20140145741 A KR 20140145741A KR 101683738 B1 KR101683738 B1 KR 101683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unit
silver paste
filling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9227A (ko
Inventor
박근노
이문경
Original Assignee
박근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노 filed Critical 박근노
Priority to KR1020140145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37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49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3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 필름을 멈춤 동작없이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인라인 방식으로 은페이스트 및 잉크를 패턴 내에 충진할 수 있는 은페이스트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는, 패턴(P)이 형성된 투명 필름(F)을 권취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 상기 필름 공급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투명 필름(F)을 동일한 속도록 권취하여 회수하는 필름 회수부;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은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패턴(P) 내에 충진하는 은 페이스트 충진부;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와 상기 필름 회수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잉크를 도포하고 패턴(P) 내에 충진하는 잉크 충진부;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와 잉크 충진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표면에 묻어 있는 은 페이스트를 제거하는 제1 필름 클리닝부; 상기 잉크 충진부와 상기 필름 회수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표면에 묻어 있는 잉크를 제거하는 제2 필름 클리닝부; 상기 제2 필름 클리닝부와 상기 필름 회수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충진된 은페이스트 및 잉크를 경화하는 경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은페이스트 충진장치{THE APPARATUS FOR IMPREGNATING A SILVER PASTE}
본 발명은 은페이스트 충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필름을 멈춤 동작없이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인라인 방식으로 은페이스트 및 잉크를 패턴 내에 충진할 수 있는 은페이스트 충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정보화사회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수요과 개발이 집중되면서, 필름 형태의 소재 개발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나 플렉서블 터치스크린 소자 등이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블 소자에는 필연적으로 ITO와 같은, 투명전극 소재가 사용된다.
그런데 이러한 ITO는 산화 인듐의 수급이 불안정한 측면과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과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플렉서블 소재에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한 투명 필름(F)에 패턴(P)을 형성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F) 상의 패턴(P) 내에 전도성 물질(I) 충진하여 전도성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투명 전극 필름을 제조하고자 하는 시도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66359호 등에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생산 방법은 생산 중에 필름 소재의 이동 중단이 많고, 생산 효율이 많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투명 필름을 멈춤 동작없이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은페이스트 및 잉크를 투명 필름 패턴 내에 충진할 수 있는 은페이스트 충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는, 패턴(P)이 형성된 투명 필름(F)을 권취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 상기 필름 공급부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투명 필름(F)을 동일한 속도록 권취하여 회수하는 필름 회수부;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은 페이스트를 도포하고 패턴(P) 내에 충진하는 은 페이스트 충진부;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와 상기 필름 회수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잉크를 도포하고 패턴(P) 내에 충진하는 잉크 충진부;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와 잉크 충진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표면에 묻어 있는 은 페이스트를 제거하는 제1 필름 클리닝부; 상기 잉크 충진부와 상기 필름 회수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표면에 묻어 있는 잉크를 제거하는 제2 필름 클리닝부; 상기 제2 필름 클리닝부와 상기 필름 회수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충진된 은페이스트 및 잉크를 경화하는 경화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에서, 상기 필름 공급부, 은페이스트 충진부, 잉크 충진부 및 필름 회수부는, 상기 필름 공급부와 필름 회수부를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는, 상기 필름(F) 상에 은페이스트를 도포하는 은페이스트 도포모듈; 상기 은페이스트 도포모듈 후측에 설치되며, 상기 투명 필름(F) 상면에 도포된 은페이스트를 스퀴징(squzzing)하여 패턴 내부로 충진하는 충진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충진 모듈은, 상기 필름(F)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의 배면을 지지하는 아이들 롤러; 상기 필름(F)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 롤러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필름 상에 도포된 은페이스트를 패턴(P) 내부로 충진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를 상기 필름 통과 영역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 이동부; 상기 필름 통과 영역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 표면에 묻어 있는 은페이스트를 제거하는 블레이드 클리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충진 모듈은 복수 세트가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블레이드 클리닝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양면을 접촉하여 은페이스트를 제거하는 한쌍의 스폰지; 상기 한쌍의 스폰지를 각각 블레이드 진입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스폰지 수평 구동부; 상기 스폰지 및 스폰지 구동부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폰지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틸팅(tilting)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상기 스폰지의 블레이드 진입측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 양면으로 세정제를 분사하는 세정제 분사부; 상기 스폰지의 세정제 분사부 반대측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 양면으로 건조용 기체를 분사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은페이스트 충진장치에서,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 및 상기 잉크 충진부(140)는 복수개의 세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필름 클리닝부는, 깨끗한 클리닝 와이퍼를 권취한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는 와이퍼 공급롤; 상기 와이퍼 공급롤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 공급롤에 의하여 공급되는 와이퍼를 권취하여 회수하는 와이퍼 회수롤; 상기 와이퍼 공급롤과 와이퍼 회수롤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의 하면을 상기 필름(F) 방향으로 가압하는 와이퍼 가압롤러; 상기 와이퍼 공급롤, 와이퍼 회수롤 및 와이퍼 가압롤러를 상기 필름 진행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수평 왕복이동시키는 클리닝부 수평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은페이스트 충진장치에서, 상기 제1, 2 크리닝부는 복수개의 세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은페이스트 충진장치에 의하면, 투명 필름을 멈춤 동작없이 롤투롤(roll to roll)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은페이스트 및 잉크를 투명 필름 패턴 내에 충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모든 구성요소들이 복수 세트로 구성되어 공정 자체를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하나의 세트에 대한 유지 보수 또는 클리닝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다른 세트에 의하여 공정이 그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도 1, 2 는 투명 전극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클리닝부의 구성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 클리닝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름 크리닝부의 구성 및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필름 크리닝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공급부(110), 필름 회수부(120), 은페이스트 충진부(130), 잉크 충진부(140), 제1 필름 클리닝부(150), 제2 필름 클리닝부(160) 및 경화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필름 공급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장비의 우측에 설치되며, 패턴(P)이 형성된 투명 필름(F)을 권취한 상태에서 이를 일정한 속도로 풀어 주면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한편 상기 필름 회수부(120)는 상기 필름 공급부(110)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투명 필름(F)을 동일한 속도록 권취하여 회수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필름 공급부(110)에서 투명 필름이 풀어지는 속도와 상기 필름 회수부(120)에서 감기는 속도가 동일하게 제어되며, 이렇게 상기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투명 필름이 감기면서 이동되는 속도가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하여 공정이 진행되는 공정 속도인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100)에서는 이렇게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필름이 롤투롤 형태로 멈춤 동작없이 연속적으로 이동하면서 모든 공정을 진행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공정 속도가 빠르고 매우 효율적으로 공정이 진행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100)에서 필름 공급부(110), 필름 회수부(120), 은페이스트 충진부(130), 잉크 충진부(140), 제1 필름 클리닝부(150), 제2 필름 클리닝부(160) 및 경화부(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를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공정 진행 중에 각 구성요소 사이를 이동하는 투명 필름이 하측으로 처지지 않고,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전체적인 장비의 구성요소들이 아치형태를 가지면, 별도의 장력 유지 수단 없이도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면서 공정이 안정적으로 진행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은 페이스트(A)를 도포하고 패턴(P) 내에 충진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에 의하여 도 3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F)에 형성된 패턴(P) 내에 일정한 깊이만큼 은페이스트(A)가 충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은 페이스트 충진부(130)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페이스트 도포모듈(132)과 충진 모듈(1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은페이스트 도포모듈(132)은 상기 필름(F) 상에 은페이스트(A)를 도포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적정량의 은페이스트를 도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은페이스트 도포모듈(132)에는 상기 은페이스트 도포모듈(132)를 상기 투명 필름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수평 이동부(1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충진 모듈(1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은페이스트 도포모듈(132) 후측에 설치되며, 상기 투명 필름(F) 상면에 도포된 은페이스트(A)를 스퀴징(squzzing)하여 패턴 내부로 충진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충진 모듈(134)은 복수 세트가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이, 하나의 충진 모듈이 충진 작업 중일 때, 나머지 하나의 충진 모듈이 클리닝 작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공정 끊김 현상없이 연속적으로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상기 충진모듈(134)을 아이들 롤러(133), 블레이드(135), 블레이드 이동부(137) 및 블레이드 클리닝부(1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아이들 롤러(1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F)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의 배면을 지지하며, 필름의 이동에 의하여 자유 회동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F)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 롤러(133)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필름 상에 도포된 은페이스트(A)를 패턴(P) 내부로 충진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블레이드(135)와 상기 아이들 롤러(133) 사이를 상기 은페이스트가 도포된 필름이 지나가면서 상기 은페이스트가 넓게 퍼지고,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 내부로 충진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블레이드 이동부(13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35)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35)를 상기 필름 통과 영역과 그 외측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35)의 사용 과정에서 클리닝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블레이드(135)를 상기 블레이드 클리닝부(180) 측으로 이동시키고, 클리닝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공정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상기 블레이드 클리닝부(1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통과 영역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35) 표면에 묻어 있는 은페이스트(A)를 제거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블레이드(135)는 은페이스와 직접 접촉하면서 충진 작업을 진행하므로 그 표면에 은페이스트가 묻게되고, 공정을 일정한 시간 진행한 후에는 반드시 이를 클리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 클리닝부(180)는 상기 블레이드(135)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은페이스트를 제거하여 다시 충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블레이드 클리닝부(180)를 구체적으로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폰지(181), 수평 구동부(182), 탄성 지지부(183), 세정제 분사부(184) 및 건조부(18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스폰지18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135)의 양면을 접촉하여 은페이스트(A)를 제거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스폰지(181)는 도 상기 블레이드(135)가 이동하는 방향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복수개의 스폰지(181)가 나란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폰지 수평 구동부(18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스폰지(181)를 각각 블레이드(135) 진입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블레이드(135)가 클리닝 영역으로 진입하는 동안에는 한 쌍의 스폰지(181)은 양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블레이드(135)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블레이드(135)의 진입이 완료된 후에는, 블레이드(135) 방향으로 전진하여 블레이드(135)와 직접 접촉하면서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스폰지 수평 구동부(182)는 클리닝 작업의 진행에 따라 상기 스폰지(181)를 블레이드 방향으로 전후진 시키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 지지부(18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폰지(181) 및 스폰지 구동부(182)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폰지(181)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틸팅(tilting)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스폰지(181)는 상기 블레이드(135)의 다양한 진입 각도 및 위치와 무관하게 클리닝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며, 상기 블레이드(135)의 각도 및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탄성 지지부(183)는 상기 스폰지(181)를 다양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도 탄성력에 의하여 본래 위치로 이동하면서 클리닝 작업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지지부(18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구동을 위한 플레이트(183a), 상기 플레이트(183a)가 탄성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탄성 슬라이딩부(183b), 상기 탄성 슬라이딩부(183b)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 슬라이딩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샤프트(183d), 상기 고정 샤프트(183d)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탄성 슬라이딩부(183b)를 하측 플레이트(183e)에 탄성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수직 스프링(183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정제 분사부(18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폰지(181)의 블레이드(135) 진입측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35) 양면으로 세정제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블레이드(135)의 표면에 묻어 있는 은페이스트가 굳어 있는 경우와 같이, 세정이 어려운 상황에도 확실한 세정을 위하여 아세톤과 같은 세정제를 상기 블레이드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건조부(18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폰지(181)의 세정제 분사부(184) 반대측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35) 양면으로 건조용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건조부는 세정 과정에서 분사된 아세톤과 같은 물질이 완전하게 제거되도록 완벽하게 파티클 등이 제거된 기체를 상기 블레이드(135) 방향으로 분사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에서, 상기 잉크 충진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와 상기 필름 회수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잉크(I)를 도포하고 패턴(P) 내에 충진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잉크 충진부(140)는 도 3의 ④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F)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P) 내에 잉크(I)가 완전하게 채워지는 상태로 충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잉크 충진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필름 클리닝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와 잉크 충진부(14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표면에 묻어 있는 은 페이스트(A)를 제거하는 구성요소이다. 은페이스트(A)를 패턴(P) 내에 충진하는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도 3의 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P) 내부 뿐만아니라, 필름(F)의 표면에도 은페이스트(A) 묻게 된다. 이렇게 필름(F) 표면에 묻어 있는 은페이스트(A)가 상기 제1 필름 클리닝부(150)에 의하여 제거되면 도 3의 ③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P) 내부에만 은페이스트(A) 충진된 상태가 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필름 클리닝부(150)를 구체적으로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151), 와이퍼 공급롤(152), 와이퍼 회수롤(153), 와이퍼 가압롤러(154) 및 클리닝부 수평 이동수단(15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와이퍼(151)는 상기 필름(F) 표면과 직접 접촉하면서 은페이스트(A)를 닦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와이퍼(151)는 일정한 속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롤 형태로 공급되고, 회수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퍼 공급롤(15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깨끗한 클리닝 와이퍼(151)를 권취한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와이퍼 회수롤(153)은 상기 와이퍼 공급롤(152)의 반대편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 공급롤(152)에 의하여 공급되는 와이퍼(151)를 권취하여 회수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와이퍼 가압롤러(154)는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공급롤(152)과 와이퍼 회수롤(153)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151)의 하면을 상기 필름(F) 방향으로 가압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상기 와이퍼 가압롤러(154)가 상기 와이퍼(151)를 상기 필름(F)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클리닝부 수평 이동수단(155)이 와이퍼(151)를 수평이동시키면 상기 필름(F)의 모든 면이 클리닝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클리닝부 수평 이동수단(15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퍼 공급롤(152), 와이퍼 회수롤(153) 및 와이퍼 가압롤러(154)를 상기 필름 진행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수평 왕복이동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클리닝부 수평 이동수단(155)에 의하여 제1 필름 클리닝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 진행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면서 클리닝 작업을 진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필름 클리닝부(150)는 2세트가 나란히 설치되어 클리닝 작업의 완벽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필름 클리닝부(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잉크 충진부(140)와 상기 필름 회수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표면에 묻어 있는 잉크를 제거하는 구성요소이다.
잉크(I)를 패턴(P) 내에 충진하는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도 3의 ④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P) 내부 뿐만아니라, 필름(F)의 표면에도 잉크(I)가 묻게 된다. 이렇게 필름(F) 표면에 묻어 있는 잉크(I)가 상기 제2 필름 클리닝부(160)에 의하여 제거되면 도 3의 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P) 내부에만 잉크(I)가 충진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필름 클리닝부(16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 필름 클리닝부(15)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경화부(1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필름 클리닝부(160)와 상기 필름 회수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충진된 은페이스트(A) 및 잉크(I)를 경화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화부(170)는 일반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구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10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은페이스트 충진부(1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결합제(R)를 도포하고 패턴(P) 내에 충진하는 결합제 충진부(19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제(R)는 도 3의 ①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턴(P) 내에 최초로 충진되어 상기 필름(F)과 은페이스트(A)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결합제 충진부(190)은 상기 은페이스트(A)가 충진되기 전에 먼저 은페이스트 충진과 동일한 방법으로 결합제(R)을 충진하는 것이다.
상기 결합제 충진부(190)의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10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110 : 필름 공급부 120 : 필름 회수부
130 : 은페이스트 충진부 140 : 잉크 충진부
150 : 제1 필름 클리닝부 160 : 제2 필름 클리닝부
170 : 경화부 180 : 블레이드 클리닝부
F : 투명 필름 P : 패턴
A : 은페이스트 I : 잉크

Claims (10)

  1. 패턴(P)이 형성된 투명 필름(F)을 권취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필름 공급부(110);
    상기 필름 공급부(110)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투명 필름(F)을 동일한 속도로 권취하여 회수하는 필름 회수부(120);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은 페이스트(A)를 도포하고 패턴(P) 내에 충진하는 은 페이스트 충진부(130);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와 상기 필름 회수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잉크(I)를 도포하고 패턴(P) 내에 충진하는 잉크 충진부(140);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와 잉크 충진부(14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표면에 묻어 있는 은 페이스트(A)를 제거하는 제1 필름 클리닝부(150);
    상기 잉크 충진부(140)와 상기 필름 회수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표면에 묻어 있는 잉크를 제거하는 제2 필름 클리닝부(160);
    상기 제2 필름 클리닝부(160)와 상기 필름 회수부(12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충진된 은페이스트(A) 및 잉크(I)를 경화하는 경화부(170);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은페이스트 충진부(1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에 의하여 일정한 속도를 가지고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투명 필름(F) 상에 결합제(R)를 도포하고 패턴(P) 내에 충진하는 결합제 충진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필름 공급부(110), 은페이스트 충진부(130), 잉크 충진부(140), 필름 회수부(120) 및 결합제 충진부(190)는, 상기 필름 공급부(110)와 필름 회수부(120)를 기준으로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는,
    상기 필름(F) 상에 은페이스트(A)를 도포하는 은페이스트 도포모듈(132);
    상기 은페이스트 도포모듈(132) 후측에 설치되며, 상기 투명 필름(F) 상면에 도포된 은페이스트(A)를 스퀴징(squzzing)하여 패턴 내부로 충진하는 충진모듈(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모듈(134)은,
    상기 필름(F)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필름의 배면을 지지하는 아이들 롤러(133);
    상기 필름(F)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아이들 롤러(133)의 중심 방향으로 상기 필름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필름 상에 도포된 은페이스트(A)를 패턴(P) 내부로 충진하는 블레이드(135);
    상기 블레이드(135)를 상기 필름 통과 영역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블레이드 이동부(137);
    상기 필름 통과 영역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35) 표면에 묻어 있는 은페이스트(A)를 제거하는 블레이드 클리닝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 모듈(134)은,
    복수 세트가 인접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클리닝부(180)는,
    상기 블레이드(135)의 양면을 접촉하여 은페이스트(A)를 제거하는 한쌍의 스폰지(181);
    상기 한쌍의 스폰지(181)를 각각 블레이드(135) 진입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스폰지 수평 구동부(182);
    상기 스폰지(181) 및 스폰지 구동부(182)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스폰지(181)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틸팅(tilting)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183);
    상기 스폰지(181)의 블레이드(135) 진입측 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35) 양면으로 세정제를 분사하는 세정제 분사부(184);
    상기 스폰지(181)의 세정제 분사부(184) 반대측에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135) 양면으로 건조용 기체를 분사하는 건조부(18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페이스트 충진부(130) 및 상기 잉크 충진부(140)는 복수개의 세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필름 클리닝부(150)는,
    깨끗한 클리닝 와이퍼(151)를 권취한 상태에서 일정한 속도로 공급하는 와이퍼 공급롤(152);
    상기 와이퍼 공급롤(152)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 공급롤(152)에 의하여 공급되는 와이퍼(151)를 권취하여 회수하는 와이퍼 회수롤(153);
    상기 와이퍼 공급롤(152)과 와이퍼 회수롤(153)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퍼(151)의 하면을 상기 필름(F) 방향으로 가압하는 와이퍼 가압롤러(154);
    상기 와이퍼 공급롤(152), 와이퍼 회수롤(153) 및 와이퍼 가압롤러(154)를 상기 필름 진행 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수평 왕복이동시키는 클리닝부 수평 이동수단(1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크리닝부(150, 160)는 복수개의 세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10. 삭제
KR1020140145741A 2014-10-27 2014-10-27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KR101683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741A KR101683738B1 (ko) 2014-10-27 2014-10-27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741A KR101683738B1 (ko) 2014-10-27 2014-10-27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227A KR20160049227A (ko) 2016-05-09
KR101683738B1 true KR101683738B1 (ko) 2016-12-07

Family

ID=56020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741A KR101683738B1 (ko) 2014-10-27 2014-10-27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37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288B1 (ko) * 2017-12-14 2019-10-15 그린산업 주식회사 은 페이스트를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KR102030807B1 (ko) * 2017-12-18 2019-10-10 그린산업 주식회사 은 페이스트 충전용 닥터블레이드
KR102133653B1 (ko) * 2018-12-13 2020-07-21 그린산업 주식회사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690A (ja) 2003-12-24 2004-05-1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グリーンシート製造方法
KR100667882B1 (ko) 2005-10-04 2007-01-11 주식회사 디엠에스 롤프린트 장치
KR101366359B1 (ko) 2013-03-07 2014-03-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전극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314B1 (ko) * 2011-05-26 2013-11-11 (주)제이 앤 엘 테크 그라비아 인쇄 제판 롤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6690A (ja) 2003-12-24 2004-05-1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グリーンシート製造方法
KR100667882B1 (ko) 2005-10-04 2007-01-11 주식회사 디엠에스 롤프린트 장치
KR101366359B1 (ko) 2013-03-07 2014-03-12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전극필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227A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738B1 (ko) 은페이스트 충진장치
US9468946B2 (en) Wiping pad, and nozzle maintenance apparatus and coating treatment apparatus using wiping pad
CN100579333C (zh) 电路基板用部件、电路基板的制造方法及电路基板的制造装置
KR101113737B1 (ko) 표면 보호필름 박리장치
KR101515952B1 (ko) 기판 이중표면 홀 충진 장치
JP2017109766A5 (ko)
US10668496B2 (en) Imprint template treatment apparatus
CN103192579B (zh) 压膜装置及用于平板构件或弯板构件的方法
JP5290852B2 (ja) フラックス塗布装置およびフラックス塗布方法
CN108031619A (zh) 一种可除涂布暗痕的锂电池极片涂布方法
TWI710411B (zh) 清掃系統、透明基板的清掃方法及電子設備的製造方法
CN104597663A (zh) 一种贴布机及采用该贴布机的贴布方法
KR101640124B1 (ko) 접촉식 세정 장치
KR20070113524A (ko) 슬릿 다이 노즐부 세정 장치
CN112547598B (zh) 一种清洁装置及清洁方法
KR102138746B1 (ko) 필름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필름 처리 방법
JP2014144386A (ja) 塗布装置および塗布方法
KR100987082B1 (ko) 각도 설정이 가능한 패드 인쇄장치
KR20150027600A (ko) 세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의 제조 방법
JP5872239B2 (ja) 塗布装置を用いた塗布方法
KR101328566B1 (ko) 목재패널의 측면 코팅장치
JPH10241671A (ja) コーティング帯状電極のコーティング層除去方法及び装置
CN203467072U (zh) 可实现电路板膜体湿贴的装置
CN114653631A (zh) 擦拭装置及其控制方法
CN108054340A (zh) 一种可除涂布暗痕的锂电池极片涂布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