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366B1 -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366B1
KR101602366B1 KR1020140060384A KR20140060384A KR101602366B1 KR 101602366 B1 KR101602366 B1 KR 101602366B1 KR 1020140060384 A KR1020140060384 A KR 1020140060384A KR 20140060384 A KR20140060384 A KR 20140060384A KR 101602366 B1 KR101602366 B1 KR 101602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mold
resin
conductive material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0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3910A (ko
Inventor
강문식
임채민
박광룡
Original Assignee
(주) 파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파루 filed Critical (주) 파루
Priority to KR1020140060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36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3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26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layers, e.g. deposition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광제와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 가능한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TRANSPARENT ELECTRODE FILM USING BLADING PROCESS}
본 발명은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광제와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 가능한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전계발광소자(ELD; Electro Luminescence Device)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 패널을 컴퓨터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최근에는 터치에 의한 명령이 필수적인 스마트 폰(Smart Phone) 또는 터치 폰(Touch Phone) 등의 통신 단말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터치패널은, 예를 들면, 특허공개 제10-2013-0125469호(2013.11.19일 공개)에 기재된 바와 같은 투명전극 필름으로 구현된다.
상기 투명전극필름은 다 수의 업체에서 독자적인 기술로서 터치패널을 생산함에 따라서 그 제조방법 역시 다양하다. 이와 같은 다양한 방식의 투명전극필름의 제조기술은, 예를 들면, 특허등록 제10-0704915(2007.04.02일 등록)에 기재된 반도체등의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중 일부를 응용하여 제조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이중 종래의 인쇄회로기판의 제조공정을 응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에 직접 감광제를 코팅하고 노광과 현상 공정을 거쳐 음각 패턴을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을 충진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비용이 높아 양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은 포토리소그래피 방식으로 양각 몰드를 만들고 기재에 UV경화수지 또는 열 경화 수지를 코팅하고 양각 몰드로 찍어내어 음각 패턴을 형성하고 전도성 물질을 충진 하여 만들어 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투명전극 제조방법은 몰드를 이용하여 음각필름을 제조한 결과, 음각부위의 밑면과 베이스필름의 사이에도 수지가 존재함에 따라 투과율이 낮아지고, 전도성 물질이 패턴의 음각구조를 이루는 음각부에 충진되어 경화되면, 수지층의 표면보다 전도성 물질이 음각패턴 안쪽 깊숙히 들어감에 따라 터치센서의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물질과 베이스필름의 접착력을 높이고, 양각 형태의 미세패턴으로 터치센서 특성이 좋은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전극필름에서 수지층을 최소화시켜 투명전극필름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는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의 센싱감도를 높일 수 있도록 양각화된 패턴을 구비한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패턴의 폭과 일치되는 양각패턴이 형성된 양각부를 구비한 양각몰드 제조단계; 상기 양각몰드에 액상의 수지를 도포하는 수지도포단계; 상기 수지도포단계 이후에 수지가 도포된 상기 양각몰드를 설정된 높이로서 고정된 블레이드의 하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양각몰드의 양각부에 충진된 외에 도포된 수지를 모두 제거하는 블레이딩 단계; 상기 블레이딩 단계 이후에 베이스필름을 접착하고, 액상의 수지를 경화시켜 상기 베이스필름에 수지층을 접착시키는 베이스필름 접착단계; 상기 베이스필름 접착단계 이후에 상기 양각몰드를 분리시켜 상기 베이스필름에 접착된 수지층의 상면에 패턴의 음각구조를 이루는 음각부를 형성하는 양각몰드 분리단계; 상기 양각몰드 분리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필름에 형성된 상기 수지층의 음각부에 전도성 물질을 충진 및 경화시키는 전도성 물질 충진단계; 및 상기 전도성 물질 충진단계 이후에 상기 수지층을 제거하여 상기 전도성물질만을 잔류시켜 상기 베이스필름에 양각형의 패턴을 형성하는 양각패턴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는 감광제이고, 상기 양각 패턴 형성단계는 상기 감광제를 제거할 수 있는 현상액을 공급하여 상기 수지층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감광제를 이용하여 음각패턴을 형성하고, 현상공정을 통하여 베이스필름을 제외한 나머지 수지층을 제거함에 따라 투과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이 양각된 양각몰드에 도포된 감광제를 경화시켜 패턴의 음각구조를 형성하여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1~10㎛의 미세한 폭을 갖는 패턴의 구현이 가능하고, 베이스필름에 양각된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 터치센서의 특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할 때의 고가의 포토리소그래피 장비와 마스크를 이용한 노광장치에 비하여 보다 저렴한 장비로서 투명전극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 필름의 제조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장치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장치는 양각몰드(100) 및 베이스필름(300)을 이동시키는 이송부(12)와, 상기 이송부(12)에서 이송되는 양각몰드(100)의 상면에 감광제(200, 도 3참조)를 도포하는 감광제도포부(14)와, 상기 베이스필름(300)을 양각몰드(100)에 가압하여 접착시키는 필름공급부(15)와, 상기 감광제(200)를 경화시키는 제1경화부(16)와, 전도성 물질(400)을 경화시키는 제2경화부(16')와, 전도성 물질(400)을 충진시키는 충진부(17)와, 상기 양각몰드에 도포된 감광제(200)를 블레이딩하는 블레이드(13)와, 상기 양각 몰드(100)와 베이스필름(300)을 분리시키는 분리부(18)와, 상기 감광제(200)를 제거하는 현상부(19)를 포함한다.
상기 양각 몰드(100)(도 3 참조)는 상면에서 하나 이상의 패턴이 양각된 양각부(110)(도 3참조)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12)는 상기 양각 몰드(100)를, 예를 들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레일 또는 롤러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이송벨트로서 양각몰드(100) 및 베이스필름(300)을 이송시킨다.
상기 감광제도포부(14)는 상기 양각 몰드(100)의 상면에 감광제(200)를 도포한다. 이때 상기 감광제도포부(14)는 상기 양각몰드(100)의 양각부(110) 사이의 빈 공간 및 그 상면에서 감광제(200)를 도포한다.
상기 블레이드(13)는 상기 이송부(12)의 이송경로에서 고정 설치되어 상기 양각몰드(100)의 상기 양각부(110) 사이에 충진된 감광제(200)를 제외한 나머지를 제거한다.
상기 필름공급부(15)는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필름(300)을 상기 감광제(200)가 도포된 양각몰드(100)의 상면에 공급하고, 상기 베이스필름(300)을 가압하여 접착시킨다.
상기 제1경화부(16)는 상기 감광제(200)의 상면에 상기 필름공급부(15)에서 공급된 베이스필름(300)이 가압 및 접착되어 이송되면, 상기 감광제(200)를 경화시켜 상기 베이스필름(300)과 감광제(200)를 접착 고정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경화부(16)는, 예를 들면, UV램프 또는 열경화기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부(18)는 상기 제1경화부(16)에 의하여 양각몰드(100)의 상면에 접착고정된 베이스필름(300)을 분리시킨다. 이때 상기 분리부(18)는, 예를 들면, 양각몰드(100)를 고정시킨 뒤에 상기 베이스필름(300)을 잡아당겨 상기 양각몰드(100)를 분리시킨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필름(300)은 상기 제1경화부(16)에 의하여 상기 감광제(200)가 경화 및 접착된 상태이다. 아울러 상기 베이스필름(300)은 상기 양각몰드(100)가 분리된 이후에 회전되어 상기 이송부(12)를 통하여 이동된다.
이때 상기 감광제(200)는 상기 양각몰드(110)의 양각부(110) 사이에 충진되어 경화되었기 때문에 상기 양각몰드(110)가 분리되면 패턴의 음각구조를 이루는 음각부(210, 도 3참조)가 형성된다. 상기 음각부(210)는 상기 베이스필름(300)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필름(300)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충진부(17)는 상기 감광제의 음각부(210)에 전도성 물질(400, 도 3참조)을 충진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전도성 물질(400)은 은, 구리, 마그네슘, 티타늄과 같은 전도성 금속분말중 하나 이상이 포함된 전도성 잉크를 적용함도 가능하다.
상기 제2경화부(16')는 상기 충진부(17)에 의하여 음각부(210)에 충진된 전도성 물질(400)을 경화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경화부(16')는, 예를 들면, UV램프 또는 열경화기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상부(19)는 상기 감광제(200)를 제거할 수 있는 현상액을 상기 전도성 물질(400)이 충진된 베이스필름(300)에 도포하여 상기 감광제(200)를 제거한다.
상기 제어부(11)는 조작패널(도시되지 않음)로부터 구동명령이 인가되면, 센서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인가되는 상기 양각몰드(100)의 위치를 확인하여 상기 감광제도포부(14)를 제어하여 감광제(200)를 도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필름공급부(15)를 제어하여 상기 양각몰드(100)에 베이스필름(300)을 공급 및 가압하여 접착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이송부(12)를 통하여 이송된 베이스필름(300)이 상기 제1경화부(16) 및 제2경화부(16')의 설정된 위치에 도달되면, 상기 제1경화부(16)와 제2경화부(16')를 구동시켜 감광제(200) 및 전도성 물질(400)을 경화시키고, 상기 충진부(17)를 제어하여 전도성 물질(400)을 상기 음각부(210)에 충진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12) 내지 현상부(19)는 동업종에 종사하는 종사자에게 공지된 장치를 적용한 것이기에 구체적인 구성이나 동작설명을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달성되는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을 하기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 필름 제조방법의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은 금형을 이용하여 상면에서 다 수개의 양각 패턴으로 이루어진 양각부(110)가 형성되는 양각몰드 제조단계(S10)와, 상기 양각몰드(100)의 상면에 액상의 수지(200, 감광제)를 도포하는 수지도포단계(S20)와, 상기 수지도포단계(S20) 이후에 양각부(110)의 상측에 도포된 액상의 수지중에서 설정된 영역외에 도포된 수지를 제거하는 블레이딩 단계(S30)와, 상기 블레이딩단계(S30) 이후에 베이스필름(300)을 접착 후 경화시켜 수지층을 형성하는 베이스필름 접착단계(S40)와, 상기 베이스필름(300)에서 양각몰드를 분리시키고, 상기 베이스필름(300)의 상면에 경화된 수지층을노출시키는 양각몰드 분리단계(S50)와, 상기 양각몰드 분리단계(S50) 이후에 전도성 물질(400)을 충진하는 전도성 물질(400) 충진단계(S60)와, 상기 전도성 물질(400) 충진 단계 이후에 수지층(200, 감광제)를 제거하여 베이스필름(300)에 양각형의 패턴(410)을 형성하는 양각패턴 형성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양각몰드(100) 제조단계(S10)는 금형을 이용하여 상면에서 다 수개의 양각패턴이 형성되는 양각부(110)를 포함하는 양각몰드(10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양각몰드(100)는 도 3의 (a)에 그 일예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양각부(110)는 제조하고자 하는 패턴(410)의 폭에 일치되는 폭을 갖고 양각된 양각패턴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지도포단계(S20)는 상기 제어부(11)가 상기 이송부(12)를 구동시켜 상기 양각몰드(100)를 상기 감광제도포부(14)의 하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감광제도포부(14)를 제어하여 상기 양각몰드(100)의 상면에 액상의 수지(20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액상의 수지는 현상액에 의해 제거가능한 감광제이다.
상기 감광제도포부(14)는 상기 양각몰드(100)의 상면에서 형성되는 양각부(110) 사이의 빈공간에 감광제(200)를 충진한다. 이때 상기 감광제(200)는 상기 양각부(110)가 수용될 수 있는 양이 충진된다.
상기 블레이딩 단계(S30)는, 도 3의 (b)참조, 상기 수지도포단계(S20)에서 도포된 감광제중 설정된 영역(예를 들면, 두께 및 면적)외에 도포된 감광제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양각몰드(100)는 상기 감광제가 도포된 이후에 상기 이송부(12)에 의해 설정된 높이로서 고정된 블레이드(13)를 통과한다. 상기 블레이드(13)는, 예를 들면, 상기 이송부(12)의 이송경로에 상기 양각부(110)의 높이와 일치된 위치에 끝단의 날이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양각몰드(100)는 상기 이송부(12)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13)의 하측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양각부(110) 사이에 충진된 감광제(200)를 제외한 나머지 감광제(200')가 상기 블레이드(13)에 의해 모두 제거된다.
상기 베이스필름 접착단계(S40)는, 도 3의 (c)참조, 상기 제어부(11)가 상기 필름공급부(12)를 제어하여 상기 블레이드(13)를 통과한 양각몰드(100)에 상기 베이스필름(300)을 접착 및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필름(300)은 상기 블레이딩 단계(S30) 이후에 상기 필름공급부(15)에서 공급되어 상기 양각몰드의 상면에 도포된 감광제의 상면에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필름공급부(15)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양각몰드(100)의 크기에 따라서 절단된 플라스틱 수지계열의 베이스필름(300)을 상기 감광제(200)의 상면에 위치시킨 뒤에 가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필름공급부(15)에서 상기 베이스필름(300)의 접착이 완료되면, 상기 제1경화부(16)를 구동시켜 상기 감광제(200)와 베이스필름(300)이 접착되도록 경화시켜 상기 베이스필름에 상기 감광제(200)에 의한 수지층(200)을 접착시킨다. 상기 제1경화부(16)는, 예를 들면, UV램프 또는 열경화기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양각몰드 분리단계(S50)는, 도 3의 (d) 참조, 상기 제어부(11)가 상기 제1경화부(16)의 경화 이후에 상기 분리부(18)를 제어하여 상기 양각몰드(100)를 상기 베이스필름(30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감광제(200)는 상기 양각몰드의 양각부(110) 사이에 충진된 이후에 분리됨에 따라 패턴의 음각구조를 이루는 음각부(210)가 형성된 수지층(200)을 이루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양각몰드(100)가 분리되면, 상기 이송부(12)를 제어하여 상기 음각부(210)가 상측에 위치되도록 회전시킨다.
상기 전도성 물질(400) 충진단계(S60)는, 도 3의 (e) 참조, 상기 제어부(11)가 상기 충진부(17)를 제어하여 상기 음각부(210)에 전도성 물질(400)을 충진 하는 단계이다. 상기 전도성 물질(400)은, 예를 들면, 전도성 금속분말이 포함된 액상의 전도성 잉크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충진부(17)는, 예를 들면, 전도성 잉크를 공급하는 주입노즐(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주입노즐(도시되지 않음)에서 공급된 전도성 잉크가 음각부(210)외에 다른 영역으로 도포된 전도성 잉크를 제거하는 잉크블레이드(도시되지 않음)로 형성된다. 상기 주입노즐 및 잉크블레이드는 일반적인 장치임에 따라 상세설명과 도면을 생략하였다.
따라서 상기 충진부(17)는 상기 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베이스필름(300)의 상면에서 형성된 음각부(210)에 전도성 물질(400)을 충진한다. 이는 도 3의 (e)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1)는 상기 음각부(210)에 전도성 물질(400)의 충진이 완료되면, 상기 제2경화부(16')를 구동시켜 상기 전도성 물질(400)을 경화시킨다. 이때 상기 제2경화부(16')는, 예를 들면, UV램프 또는 열경화기로서 액상의 전도성 물질(400)을 설정된 시간 동안 경화시킨다.
상기 양각패턴 형성단계(S70)는, 도 3의 (f)참조, 상기 제어부(11)가 상기 이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전도성 물질(400) 충진단계(S60)에서 전도성 물질(400)이 충진된 베이스필름(300)을 상기 현상부(19)로 이동시키고, 상기 현상부(19)에 의해 도포되는 현상액에 의해 상기 감광제(200)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현상부(19)는, 예를 들면, 현상액을 수용하는 탱크 또는 현상액을 분사하는 분사노즐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필름(300)의 음각부(210)에 충진된 전도성 물질(400)을 제외한 나머지 감광제(200)를 모두 제거한다. 즉, 상기 베이스필름(300)은 현상액이 수용된 탱크에 일정 시간 동안 입수되거나 또는 현상액이 분사되는 일정구간에 이동되어 감광제(200)가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필름(300)은, 도 3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서 감광제(200)가 제거됨에 따라 전도성 물질(400)이 경화된 패턴(410)만이 잔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블레이딩 공정을 통해 음각부(221)를 베이스필름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도록 식각함에 따라 상기 음각부에 충진된 전도성 물질(400)과 베이스필름(300)의 접착력을 높이는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음각부가 상기 베이스필름의 상면이 노출되도로 식각함에 따라 전도성 물질(400)과 베이스필름(300)이 직접 접착되기 때문에 상기 양각패턴 형성단계에서 현상액에 의해 감광제(200)를 전부 제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양각몰드에 양각패턴을 구현한 뒤에 감광제로서 음각패턴을 형성하기 때문에 1~10 ㎛ 선폭의 미세패턴의 제조가 용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필름의 상면에서 1~10 ㎛ 선폭의 양각형태의 미세 패턴을 형성함에 따라서 베이스필름을 제외한 수지계열의 구성요소가 포함되지 않기에 투과율이 향상될 수 있고, 터치패널에 적용시에 더욱 민감한 터치의 센싱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 : 제어부 12 : 이송부
13 : 블레이드 14 : 감광제도포부
15 : 필름공급부 16, 16' : 경화부
17 : 충진부 18 : 분리부
19 : 현상부 100 : 양각몰드
110 : 양각부 200, 200' : 감광제
210 : 음각부 300 : 베이스필름
400 : 전도성 물질 410 : 패턴

Claims (3)

  1. 패턴의 폭과 일치되는 양각패턴이 형성된 양각부를 구비한 양각몰드 제조단계;
    상기 양각몰드에 액상의 수지를 도포하는 수지도포단계;
    상기 수지도포단계 이후에 수지가 도포된 상기 양각몰드를 설정된 높이로서 고정된 블레이드의 하측으로 이송시켜 상기 양각몰드의 양각부에 충진된 외에 도포된 수지를 모두 제거하는 블레이딩 단계;
    상기 블레이딩 단계 이후에 베이스필름을 접착하고, 액상의 수지를 경화시켜 상기 베이스필름에 수지층을 접착시키는 베이스필름 접착단계;
    상기 베이스필름 접착단계 이후에 상기 양각몰드를 분리시켜 상기 베이스필름에 접착된 수지층의 상면에 패턴의 음각구조를 이루는 음각부를 형성하는 양각몰드 분리단계;
    상기 양각몰드 분리단계 이후에 상기 베이스필름에 형성된 상기 수지층의 음각부에 전도성 물질을 충진 및 경화시키는 전도성 물질 충진단계; 및
    상기 전도성 물질 충진단계 이후에 상기 수지층을 제거하여 상기 전도성물질만을 잔류시켜 상기 베이스필름에 양각형의 패턴을 형성하는 양각패턴 형성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는 감광제이고,
    상기 양각 패턴 형성단계는 상기 감광제를 제거할 수 있는 현상액을 공급하여 상기 수지층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40060384A 2014-05-20 2014-05-20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KR101602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384A KR101602366B1 (ko) 2014-05-20 2014-05-20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0384A KR101602366B1 (ko) 2014-05-20 2014-05-20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910A KR20150133910A (ko) 2015-12-01
KR101602366B1 true KR101602366B1 (ko) 2016-03-11

Family

ID=54882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0384A KR101602366B1 (ko) 2014-05-20 2014-05-20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247A (ko) * 2018-11-08 2020-05-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센서용 전극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센서용 전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288B1 (ko) * 2017-12-14 2019-10-15 그린산업 주식회사 은 페이스트를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KR102030807B1 (ko) * 2017-12-18 2019-10-10 그린산업 주식회사 은 페이스트 충전용 닥터블레이드
KR102133653B1 (ko) * 2018-12-13 2020-07-21 그린산업 주식회사 은 페이스트의 멀티 충전 방식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44714B2 (en) * 2006-11-20 2010-06-2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aste patterns formation method and transfer film used therein
CN103299396B (zh) * 2011-06-23 2015-11-25 旭化成电子材料株式会社 微细图案形成用积层体及微细图案形成用积层体的制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247A (ko) * 2018-11-08 2020-05-18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센서용 전극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센서용 전극
KR102117950B1 (ko) 2018-11-08 2020-06-02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오센서용 전극 제조방법 및 그 바이오센서용 전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910A (ko) 201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366B1 (ko) 블레이딩 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KR100643934B1 (ko) 인쇄회로기판의 회로패턴 형성방법
KR100688866B1 (ko) 임프린트 장치, 시스템 및 방법
JP4336343B2 (ja) ソフトモールドの製造方法
CN106125352B (zh) 贴合设备的制造方法及贴合设备的制造装置
JP2010182137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CN108257511B (zh) 一种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JP2008522209A (ja) 電子インク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47283A (ja) 微細構造の転写方法および微細構造の転写装置
JP5512061B1 (ja) 貼合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1584199B1 (ko) 플라즈마 에칭공정을 이용한 투명전극필름 제조방법
TWI712666B (zh) 用於黏合基材之方法及藉由彼所製造之用於顯示器之基材
WO2011030718A1 (ja) 貼合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貼合デバイスの貼り合わせ装置
KR101391807B1 (ko) 잉크젯 프린팅과 나노 임프린팅을 이용한 패턴 형성 방법
CN107400851B (zh) 一种掩膜板图形的制备方法及掩膜板
KR102008985B1 (ko) 도전성 페이스트를 충진시켜서 회로기판을 제작하는 방법과 그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회로기판
CN104449429A (zh) 用于在电子设备中用粘合剂粘结结构的方法
KR20120033840A (ko) 인쇄회로기판 제조방법
KR101631253B1 (ko) Ocr 본딩 공정에서 ocr 인쇄량을 조절하기 위한 스크린 프린터
KR20120128396A (ko) 투명 전극 패턴 형성 방법
US20080174052A1 (en) Imprinting apparatus and imprinting method
CN106817845A (zh) 利用凹版印刷方式形成导电图腾的方法
KR10050524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격벽 형성 방법 및 격벽 형성 장치
US20240015891A1 (en) Method of producing circuits of substrate of display device
KR100925793B1 (ko) 돔 시트 및 그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