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129B1 -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129B1
KR102133129B1 KR1020190088984A KR20190088984A KR102133129B1 KR 102133129 B1 KR102133129 B1 KR 102133129B1 KR 1020190088984 A KR1020190088984 A KR 1020190088984A KR 20190088984 A KR20190088984 A KR 20190088984A KR 102133129 B1 KR102133129 B1 KR 102133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uel tank
float
valve chamber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757A (ko
Inventor
밍리앙 헤
샤오후이 수이
요스케 와시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20001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05Three-way check or safety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6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 B67D7/362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combined with over-fill preventing means
    • B67D7/365Arrangements of flow- or pressure-control valves combined with over-fill preventing means using 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3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actuated in consequence of extraneous circumstances, e.g. shock, change of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F16K21/18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 F16K21/185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closed when a rising liquid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with electrical or magnetical means, e.g. with magnetic floats, for sensing the liquid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16K24/04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the float being rigidly connected to the valve element, the assembly of float and valve element following a substantially translational movement when actuated, e.g. also for actuating a pilot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1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sensor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17Fuel level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89Float valves; Floa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96Pressure regul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과제) 밸브장치에 있어서, 이것을 구성하는 플로트의 규칙적인 상승을 확보 함과 아울러, 연료탱크 밖으로 연료를 분출시키는 것 같은 사태를 가급적 방지한다.
(해결수단) 연료탱크(T) 내외를 연통하는 밸브구와, 상기 밸브구 아래에 형성되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 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로트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밸브실은 유체의 통과부를 가진 상기 플로트의 지지부(3a)의 하측에 개방단(3e)을 위치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3a)에는 오리피스(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실에 형성된 분할 절결부(23)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3a)보다도 하측이면서 또한 상기 개방단(3e)보다도 상측에 상기 오리피스(22)에 연통하는 오리피스용 통기로(24)의 입구(24a)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연료탱크용 밸브장치{VALVE DEVICE FOR FUEL TANK}
본 발명은 자동차나 이륜 자동차 등의 연료탱크에 장착되어 이 연료탱크의 통기유로(通氣流路)의 일부를 이룸과 아울러, 밸브개방상태에서 연료탱크 내외를 연통시키도록 기능하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하단에 메인 유입부를 구비한 하부실 내에, 캐니스터에 연통된 상부실과의 연통부를 상기 메인 유입부로의 연료의 유입에 의해서 상승시켜서 폐쇄하는 플로트체를 수납하여 이루어지는 과급유 방지밸브로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에 의하면,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 레벨이 상기 메인 유입부에 도달하였을 때에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실 내로 유입되는 연료에 의해서 상기 플로트체를 상승시켜서 상기 연통부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서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레벨을 상승시켜서 급유 건의 센서에 1회째의 만탱크를 검지시킴으로써 급유의 오토 스톱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도 7∼도 10에 나타내는 밸브에서는 상기 메인 유입부의 상측에 측부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회째의 만탱크 검지에 의해서 급유가 정지된 후에는 상기 측부 오리피스에서의 통기에 의해서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레벨을 하강시킴으로써, 연료의 액면 레벨이 측부 오리피스의 레벨에 도달할 때까지의 추가 급유를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의 밸브에서는, 상기 플로트체가 상승할 때에 상기측부 오리피스에서 상기 하부실 내로 들어가는 연료탱크 내의 기체(증기)가 하부실 내로 유입된 연료 내에 세찬 거품을 일으키기 때문에, 첫째로, 이 기체가 상기 플로트체의 규칙적인 상승에 적지않게 영향을 준다. 또, 둘쩨로, 상기 플로트체가 상승하여 상기 연통부를 폐쇄하기 전에 상기 기체가 상기 플로트체의 측방을 통과하여 상기 하부실 내의 연료를 상기 연통부에서 외부로 분출시키는 사태를 일으킬 수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3911185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주된 문제점은, 이러한 종류의 밸브장치에 있어서, 이것을 구성하는 플로트의 규칙적인 상승을 확보하여 상기 1회째의 만탱크 검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밸브장치를 통해서 연료탱크 밖으로 연료를 분출시키는 것 같은 사태를 가급적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밸브장치에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를, 연료탱크 내외를 연통하는 밸브구와, 상기 밸브구 아래에 형성되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 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로트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밸브실은 유체의 통과부를 가진 상기 플로트의 지지부의 하측에 개방단을 위치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에는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실에 형성된 분할 절결부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보다도 하측이면서 또한 상기 개방단보다도 상측에 상기 오리피스에 연통하는 오리피스용 통기로의 입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1회째의 만탱크 검지가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에서 밸브실 내로 연료탱크 내의 기체가 들어가 밸브실 내로 유입된 연료 내에 세찬 거품을 일으키지만, 오리피스는 플로트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리피스를 통해서 들어가는 기체가 플로트의 규칙적인 상승에 영향을 주는 사태를 가급적 줄일 수 있다. 또, 플로트가 상승하여 밸브구를 폐쇄하기 전에 상기 기체가 플로트의 측방을 통과하여 밸브실 내의 연료를 밸브구에서 외부로 분출시키는 것 같은 사태도 가급적 줄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에서는 밸브실의 개방단에 연료의 액면 레벨이 도달함과 동시에 플로트를 상승시켜서 밸브구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1회째의 만탱크 검지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만탱크 검지에 의해서 급유가 정지되어 연료탱크 내의 압력이 저하된 후에는, 플로트의 하강에 의해서 밸브구가 개방됨과 동시에 오리피스용 통기로, 오리피스, 밸브구를 통한 통기에 의해서 오리피스용 통기로의 입구에 연료의 액면 레벨이 도달할 때까지의 추가 급유가 허용된다.
상기 밸브실의 상기 개방단에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 레벨이 도달하였을 때에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켜서 급유 건 측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킴과 동시에, 이 만탱크 검지 후의 추가 급유를 상기 오리피스용 통기로의 상기 입구에 상기 액면 레벨이 도달할 때까지 허용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 형태가 된다.
또, 상기 지지부에 2개 이상의 상기 오리피스가 형성됨과 아울러, 각 상기 오리피스에 각각 대응한 상기 오리피스용 통기로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 형태가 된다.
또, 상기 오리피스를 상기 플로트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사이에 둔 대칭 위치에 각각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일 형태가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플로트의 규칙적인 상승을 확보하여 상기 1회째의 만탱크 검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밸브장치를 통해서 연료탱크 밖으로 연료를 분출시키는 것 같은 사태를 가급적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밸브장치에 효과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장치의 사시도이며, 밸브장치를 하측에서 보고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상기 밸브장치의 단면도이며, 연료탱크의 상부 및 밸브장치에 접속되는 관을 상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밸브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A-A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B-B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몸통체의 요부 파단 사시도이며, 제 1 플로트의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도 7은 상기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장치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몸통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몸통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몸통체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C-C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몸통체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있어서의 D-D선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파츠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밸브장치를 구성하는 하부 파츠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1∼도 15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밸브장치(V)는 자동차나 이륜 자동차 등의 연료탱크(T)에 장착되어 당해 연료탱크(T)의 통기유로의 일부를 이룸과 아울러, 밸브개방상태에서 연료탱크(T) 내외를 연통시키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상기 밸브장치(V)는, 전형적으로는 연료탱크(T)의 상부(Ta)에 장착되어 연료탱크(T)의 통기유로의 일부를 구성한다. 상기 밸브장치(V)는 도시한 예와 같이 연료탱크(T)에 형성한 장착구멍(Tb)을 이용하여, 혹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료탱크(T) 내에 설치한 브래킷 등을 이용하여 연료탱크(T)에 구비시킬 수 있다.
밸브장치(V)는 연료탱크 내외를 연통하는 제 1 밸브구(1) 및 제 2 밸브구(2)와, 상기 제 1 밸브구(1) 아래에 형성되는 제 1 밸브실(3)과, 상기 제 2 밸브구(2) 아래에 형성됨과 아울러 격벽(5)에 의해서 상기 제 1 밸브실(3)과 구분된 제 2 밸브실(4)과, 상기 제 1 밸브실(3) 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플로트(6)와, 상기 제 2 밸브실(4) 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플로트(7)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밸브실(3)은 유체의 통과부(3d)를 가진 제 1 플로트(6)의 지지부(3a)의 하측에 개방단(3e)를 위치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 밸브실(4)은 상기 제 1 밸브실(3)의 상기 개방단(3e)보다 약간 상측에 유체의 통과부(4b)를 가진 제 2 플로트(7)의 지지부(4a)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밸브실(3)과 제 2 밸브실(4)은 상기 격벽(5)에 의해서 기밀 상태로 구분되어 있다. 제 1 밸브실(3)은 제 1 밸브구(1)를 통해서 외부에 연통하고, 제 2 밸브실(4)은 제 2 밸브구(2)를 통해서 외부에 연통한다. 제 1 밸브실(3)은 개방단(3e)과 후술하는 상부 오리피스(9)를 통해서 연료탱크(T) 내에 있어서의 연료의 액면 레벨보다도 상측의 공간에 연통되어 있고, 제 2 밸브실(4)은 지지부(4a)의 통과부(4b)와 후술하는 통기 창구멍(8)을 통해서 연료탱크(T) 내에 있어서의 연료의 액면 레벨보다도 상측의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밸브장치(V)에 의하면, 연료탱크(T) 내의 연료 레벨(액위(液位))이 제 1 밸브실(3)의 개방단(3e)에 도달하였을 때에는(도 4에서의 도면부호 L1으로 나타내는 레벨), 연료탱크(T)의 내압 상승과 이것에 수반되는 제 1 밸브실(3) 내로의 연료의 유입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제 1 플로트(6)를 상승시켜서 제 1 밸브구(1)를 폐쇄하고, 연료탱크(T)의 내압 상승에 의해서 도시하지 않은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레벨을 상승시켜서 도시하지 않은 급유 건(급유 노즐)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킴으로써 급유를 정지시킬 수 있다(1회째의 만탱크 검지).
또, 상기 1회째의 만탱크 검지에 의해서 급유가 정지된 후에는, 제 2 밸브실(4)과 제 2 밸브구(2)를 통한 통기에 의해서 연료탱크(T)의 내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 2 밸브실(4)의 측부에 있어서 지지부(4a)의 상측에 통기 창구멍(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급유 정지 후에는 주로 상기 통기 창구멍(8)과 제 2 밸브구(2)를 통해서 통기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제 1 밸브실(3)의 측부에 있어서 지지부(3a)의 상측에 상부 오리피스(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급유 정지 후에는 상기 상부 오리피스(9)와 후술하는 플랜지 형성체(10a)와 몸통체(10b) 사이의 간극을 통한 통기에 의해서 제 1 밸브실(3)의 내압이 저하되어 제 1 밸브실(3) 내의 연료 레벨이 내려감으로써 제 1 플로트(6)가 하강하여 제 1 밸브구(1)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필러 파이프 내의 연료 레벨이 내려감으로써 추가 급유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밸브실(3)이 후술하는 오리피스(22)와 오리피스용 통기로(24)를 가지고 있으며, 이 오리피스용 통기로(24)의 입구(24a)가 상기 제 1 밸브실(3)의 상기 개방단(3e)에 형성된 분할 절결부(23)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3a)보다도 하측이면서 또한 상기 제 1 밸브실(3)의 개방단(3e)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 레벨이 오리피스용 통기로(24)의 입구(24a)에 도달할 때까지 추가 급유가 허용된다. 추가 급유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 레벨이 오리피스용 통기로(24)의 입구(24a)에 도달하면(도 4에서의 도면부호 L2로 나타내는 레벨), 연료탱크(T)의 내압 상승과 제 1 밸브실(3) 내로의 연료의 유입이 다시 발생하여 급유 건의 센서에 다시 만탱크를 검지시킴으로써 급유를 정지시킬 수 있다(2회째의 만탱크 검지).
또, 차량에 큰 기울어짐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제 1 플로트(6) 및 제 2 플로트(7)에 의해서 제 1 밸브구(1) 및 제 2 밸브구(2)를 폐쇄하여 연료탱크(T) 밖으로 연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플로트(6)는 만탱크 검지밸브의 밸브 본체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제 2 플로트(7)는 롤 오버 밸브의 밸브 본체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밸브장치(V)는 상기 제 1 밸브실(3) 및 상기 제 2 밸브실(4)을, 상기 제 1 밸브구(1) 및 상기 제 2 밸브구(2)를 구비한 장치 상부(10)에 대해서 상기 제 1 플로트(6)의 상기 지지부(3a), 상기 개방단(3e) 및 상기 제 2 플로트(7)의 상기 지지부(4a)를 구비한 하부 파츠(11)를 끼워맞춤에 의해서 형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밸브장치(V)에서는 상기 장치 상부(10)의 구성을 변경하는 일 없이 하부 파츠(11)만을 교체함에 의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검지되는 연료탱크(T) 내의 만탱크가 되는 연료의 액면 레벨의 레벨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제 1 밸브실(3)의 개방단(3e)의 레벨을 높게 하는 하부 파츠(11)를 장치 상부(10)에 조합하도록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검지되는 연료탱크(T) 내의 만탱크가 되는 연료의 액면 레벨의 레벨이 높아지게 되고, 제 1 밸브실(3)의 개방단(3e)의 레벨을 낮게 하는 하부 파츠(11)를 장치 상부(10)에 조합하도록 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검지되는 연료탱크(T) 내의 만탱크가 되는 연료의 액면 레벨의 레벨이 낮아지게 된다.
장치 상부(10)는 플랜지 형성체(10a)와 몸통체(10b)를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플랜지 형성체(10a)는, 상단을 폐색시키고 하단을 개방시킨 원통형상체(10c)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외측 턱부(10d)를 형성한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상단과 외측 턱부(10d) 사이에는, 일단을 플랜지 형성체(10a) 내의 공간에 연통시키고 측방으로 연장되는 접속관부(10e)가 형성되어 있다.
몸통체(10b)는, 플랜지 형성체(10a)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구비한 원통형상체(10g)의 상단에 횡방향 격벽(10h)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횡방향 격벽(10h)과 하단 사이에 걸쳐서 몸통체(10b)의 내부를 2분 하는 상기 격벽(5)이 되는 종방향 격벽(5a)을 구비한 형태로 되어 있다.
횡방향 격벽(10h)의 중앙을 사이에 둔 일측에 제 1 밸브구(1)가 형성되어 있고, 횡방향 격벽(10h)의 중앙을 사이에 둔 타측에 제 2 밸브구(2)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 1 밸브구(1)는 횡방향 격벽(10h)를 상하로 관통하는 원형 구멍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시한 예에서는, 제 2 밸브구(2)는 횡방향 격벽(10h)의 하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밸브구(2)의 상측에는 체크밸브가 되는 밸브체(14)의 수납실(13)이 형성되어 있다. 체크밸브를 구성하는 밸브체(14)는 축형상의 내측 밸브체(14a)와 통형상의 외측 밸브체(14b)로 구성되어 있다. 외측 밸브체(14b)는 수납실(13)의 상하방향 중간 정도의 위치에 형성된 상향의 주회 단차면(13a)에 도면부호 15로 나타내는 스프링의 탄지에 의해서 상측에서부터 눌려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내측 밸브체(14a)는, 외측 밸브체(14b)의 하단 개구연부(14c)에 도면부호 16으로 나타내는 스프링의 탄지에 의해서 하측에서부터 눌려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연료탱크(T) 내가 소정의 고압으로 되면, 외측 밸브체(14b)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회 단차면(13a)의 밀봉을 해제하므로, 연료탱크(T) 내의 기체가 제 2 밸브구(2)를 통해서 연료탱크(T) 밖으로 배기되도록 되어 있다. 또, 연료탱크(T) 내가 소정의 저압으로 되면, 내측 밸브체(14a)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외측 밸브체(14b)의 하단 개구연부(14c)의 밀봉을 해제하므로, 연료탱크(T) 밖의 외기가 제 2 밸브구(2)를 통해서 연료탱크(T) 내로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몸통체(10b)의 외경은 플랜지 형성체(10a)의 원통형상체(10c)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어 있다. 몸통체(10b)의 외측에는 상기 플랜지 형성체(10a)의 하단측을 수납하는 간극을 형성하는 외측벽(10i)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외측벽(10i)의 창구멍(10j)에 상기 원통형상체(10c)의 외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0f)를 걸어맞춤으로써, 플랜지 형성체(10a)와 몸통체(10b)가 조합되도록 되어 있다(도 7). 이 조합 상태에 있어서, 플랜지 형성체(10a)의 내부 공간과 몸통체(10b)의 내부 공간은 제 1 밸브구(1)와 제 2 밸브구(2)를 통해서만 연통된다. 도 2에 있어서, 도면부호 17은 상기 플랜지 형성체(10a)의 내면과 상기 몸통체(10b)의 외면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링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연료탱크(T)에 형성된 장착구멍(Tb)에 상기 플랜지 형성체(10a)의 외측 턱부(10d)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을 수납함과 동시에 이 외측 턱부(10d)를 연료탱크(T)의 외면부에 용착시킴으로써, 연료탱크(T)에 밸브장치(V)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속관부(10e)는 상기 통기유로를 구성하는 관(P)에 삽입되며, 이것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외는 밸브장치(V)를 통해서 연통된다(도 2).
상기 종방향 격벽(5a)은 몸통체(10b)를 좌우로 2분 하는 가상의 수직면(S)(도 3 참조)을 사이에 둔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이 일측에 위치하는 몸통체(10b)의 측면과의 사이에 수평 단면의 윤곽 형상을 타원형으로 하는 제 1 밸브실(3)이 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종방향 격벽(5a)은 상기 가상의 수직면(S)을 사이에 둔 타측을 만곡 외측으로 하는 만곡을 가진 형태로 되어 있다(도 7, 도 9, 도 11).
상기 몸통체(10b)에 있어서의 종방향 격벽(5a)의 만곡 외측에 상기 제 2 밸브실(4)이 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 2 밸브실(4)이 되는 공간은 수평 단면의 윤곽 형상을 초승달 형상으로 한다(도 7, 도 9, 도 11).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밸브실(3)이 되는 공간을 구성하는 종방향 격벽(5a) 및 몸통체(10b)의 일부의 하단은, 제 2 밸브실(4)이 되는 공간을 구성하는 몸통체(10b)의 하단보다도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7, 도 9).
한편, 하부 파츠(11)는 제 1 플로트(6)의 지지부(3a)의 상측을 원통 형상으로 함과 아울러, 이 지지부(3a)의 하측에 스커트부(11d)와 제 2 플로트(7)의 지지부(4a)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하부 파츠(11)에 있어서의 제 1 플로트(6)의 지지부(3a)의 상측이 되는 상측 부분(11a)은 그 내경을 장치 상부(10)의 몸통체(10b)의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하부 파츠(11)의 상측 부분(11a)에 형성된 창구멍(11b)에 도면부호 10k로 나타내는 상기 몸통체(10b)의 외측에 형성된 걸어맞춤돌기(10k)를 걸어맞춤으로써, 장치 상부(10)와 하부 파츠(11)가 조합되도록 되어 있다(도 1 참조).
하부 파츠(11)에 있어서의 제 1 플로트(6)의 지지부(3a)의 하측이 되는 하측 부분(11c)은, 하부 파츠(11)를 좌우로 2분 하는 가상의 수직면(S)(도 3 참조)을 따르는 일측에 있어서는 수평 단면의 윤곽 형상을 실질적으로 반원 형상으로 하는 스커트부(11d)로 되어 있다.
또, 하부 파츠(11)에 있어서의 하측 부분(11c)은, 하부 파츠(11)를 좌우로 2분 하는 가상의 수직면(S)을 따르는 타측에 있어서는 수평 단면의 윤곽 형상을 실질적으로 사각형으로 하는 제 2 플로트(7)의 각통형상 수납부(11e)로 되어 있다.
스커트부(11d)의 하단이 상기 개방단(3e)으로서 기능한다. 또, 각통형상 수납부(11e)의 하단을 덮는 횡방향 판부가 제 2 플로트(7)의 지지부(4a)로서 기능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하부 파츠(11)의 상측 부분(11a)과 하측 부분(11c)을 구분하는 횡방향 격벽(11f)에는, 상기 가상의 수직면(S)을 사이에 둔 일측에 있어서는 타원형 관통구멍(11g)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상의 수직면(S)을 사이에 둔 타측에 있어서는 상기 각통형상 수납부(11e)에 연통하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인 사각형 관통구멍(11a)이 형성되어 있다(도 15).
타원형 관통구멍(11g)은 상기 제 1 밸브실(3)이 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절반은 실질적으로 하부 파츠(11)의 측면(11i)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나머지 절반이 되는 개소는 상기 횡방향 격벽(11f)의 상면측에 있어서 주연벽부(11j)에 의해서 둘러처져 있다(도 14, 도 15). 또,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구멍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주연벽부(11j)의 약간 하측이 되는 개소에 상향의 단차면(11k)이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중심을 둘러싸는 둘레방향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상부(10)에 하부 파츠(11)를 상기한 바와 같이 조합하였을 때에, 장치 상부(10)의 몸통체(10b)에 있어서의 제 1 밸브실(3)이 되는 공간을 구성하는 종방향 격벽(5a) 및 몸통체(10b)의 일부의 하단{이하, 이 하단을 "피끼워맞춤부(18)"라 한다}이 하부 파츠(11)의 타원형 관통구멍(11g)을 둘러싸는 하부 파츠(11)의 측면(11i) 및 주연벽부(11j){이하, 이것들을 "끼워맞춤부(19)"라 한다} 내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제 1 밸브실(3)과 상기 제 2 밸브실(4)을 양자 간이 기밀하게 밀봉된 상태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밸브실(3)을 형성하는 상기 장치 상부(10)의 피끼워맞춤부(18)를 그 수평 단면의 윤곽 형상을 타원형으로 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장치 상부(10)와 상기 하부 파츠(11)를 끼워맞출 때에 상기 피끼워맞춤부(18)에 끼워맞춰지는 상기 하부 파츠(11)의 끼워맞춤부(19)의 수평 단면의 윤곽 형상을 상기 피끼워맞춤부(18)의 상기 윤곽 형상에 실질적으로 정합한 타원형으로 하고 있다.
끼워맞춤부(19) 및 피끼워맞춤부(18)의 수평 단면의 윤곽 형상이 직선적인 부분을 가질 경우, 양자의 치수 정밀도를 높게 확보하지 않으면 양자를 끼워맞출 때에 양자 간에 일정한 끼워맞춤력을 작용시키기 어려운 부분이 생기기 쉽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부(19) 및 피끼워맞춤부(18)의 수평 단면의 윤곽 형상을 타원형으로 함으로써, 양자를 끼워맞출 때에 상기 타원형의 중심을 둘러싸는 각 위치에 있어서 양자를 가능한 한 일정한 끼워맞춤력으로 밀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장치 상부(10)와 하부 파츠(11)를 단순히 조합하는 것만으로, 밀봉 링이나 용착 등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장치 상부(10)와 하부 파츠(11)에 의해서 제 1 밸브실(3)과 제 2 밸브실(4)을 양자 간에 가급적 통기를 일으키지 않는 상태로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이것과 더불어, 이와 같이 함으로써, 수평 단면의 윤곽 형상을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하는 밸브장치(V) 내에 형성되는 상기 제 1 밸브실(3)의 단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끼워맞춤부(18)와 상기 끼워맞춤부(19)는 기밀 상태로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밀"이란, 제 1 밸브실(3)과 제 2 밸브실(4) 사이에 밸브장치(V)의 기능을 해치는 레벨의 통기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완전한 기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피끼워맞춤부(18)와 상기 끼워맞춤부(19)는 이것들의 일방의 내측에 이것들의 타방이 위치하도록 하여 서로 끼워맞춰져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장치 상부(10) 및 상기 하부 파츠(11)를 합성수지로 구성함과 아울러, 상기 피끼워맞춤부(18) 및 상기 끼워맞춤부(19)의 쌍방 또는 어느 일방을 얇게 구성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피끼워맞춤부(18)와 이것보다 상측의 몸통체(10b)의 내면 간에 제 1 밸브실(3) 내에 있어서 단차(20)가 형성되도록 상기 피끼워맞춤부(18)를 얇게(즉, 두께가 얇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도 9 참조). 이것에 의해서, 상기 끼워맞춤시에 피끼워맞춤부(18) 측을 탄성 변형하기 쉽게 함과 아울러, 끼워맞춤 개소가 다른 개소에 비해서 가능한 한 두껍게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하부 파츠(11)의 횡방향 격벽(10h)에 형성된 타원형 관통구멍(11g) 내에 제 1 플로트(6)의 지지부(3a)가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제 1 플로트(6)의 지지부(3a)는 상기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중앙에 배치되는 원판형상체(3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판형상체(3b)는 제 1 플로트(6)의 바닥부의 직하에 위치하도록 하부 파츠(11) 내에 형성된 지지기둥부(21)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지지기둥부(21)는 하부 파츠(11)의 스커트부(11d)의 내측에서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중심측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지지기둥부(21)는 스커트부(11d)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기둥부(21)의 내부는 중공으로 되어 있다. 또, 지지기둥부(21)의 하단(21a)은 개방되어 있고, 지지기둥부(21)의 상단(21b)은 폐색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지지기둥부(21)는 스커트부(11d)에 있어서의 상기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단축과 마주보는 개소에서 각각 상기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중심으로 향해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도시한 예에서는, 지지기둥부(21)는 스커트부(11d)를 수평 단면으로 한 상태에 있어서 상하방향에 걸친 어느 위치에서나 실질적으로 같은 윤곽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파츠(11)의 측면(11i)과 마주보며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벽면(21c)과, 이 벽면(21c)과 상기 측면(11i) 사이에 길게 형성되되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중심측에 가까워짐에 따라서 점차 폭이 좁아지는 편평 사각형상의 공간을 형성하는 2개의 벽면(21d)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원판형상체(3b)는 1쌍의 지지기둥부(21)의 상기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중심측에 위치하는 상단(21b)에 원판형상체(3b)의 하면을 일체화시킴으로써, 1쌍의 지지기둥부(21)에 의해서 상기 타원형 관통구멍(11g)의 중앙에 부도(浮島)형태로 지지되어 있다. 타원형 관통구멍(11g)과 원판형상체(3b)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제 1 플로트(6)의 지지부(3a)의 유체의 통과부(3d)로서 기능한다.
원판형상체(3b)에는 지지기둥부(21)의 내부와 연통하는 오리피스(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지지기둥부(21)의 하단(21a)은, 스커트부(11d)의 내측에서는 스커트부(11d)의 개방단(3e)과 일치하지만{상기 벽면(21c, 21d)의 하단}, 스커트부(11d)의 외측에서는 스커트부(11d)를 구성하는 외곽{하부 파츠(11)의 측면(11i)}의 일부를 하측에서부터 잘라낸 분할 절결부(23)에 의해서 스커트부(11d)의 개방단(3e)보다도 약간 상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분할 절결부(23)의 상연부(23a){스커트부(11d)의 외측의 지지기둥부(21)의 하단(21a); 후술하는 오리피스(22)용 통기로(24)의 입구(24a)}는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며, 분할 절결부(23)의 좌연부 및 우연부는 실질적으로 연직(鉛直)을 이루며, 분할 절결부(23)는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1회째의 만탱크 검지가 이루어질 때에는, 상기 오리피스(22)에서 제 1 밸브실(3) 내로 연료탱크(T) 내의 기체가 들어가 제 1 밸브실(3) 내로 유입된 연료 내에 세찬 거품을 일으키지만, 오리피스(22)는 제 1 플로트(6)의 하측에 위치하는 지지부(3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오리피스(22)를 통해서 들어가는 기체가 제 1 플로트(6)의 규칙적인 상승에 영향을 주는 사태를 가급적 줄일 수 있다. 또, 제 1 플로트(6)가 상승하여 제 1 밸브구(1)를 폐쇄하기 전에 상기 기체가 제 1 플로트(6)의 측방을 통과하여 제 1 밸브실(3) 내의 연료를 제 1 밸브구(1)에서 외부로 분출시키는 것 같은 사태도 가급적 줄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밸브실(3)의 개방단(3e)에 연료의 액면 레벨이 도달함과 동시에 제 1 플로트(6)를 상승시켜서 제 1 밸브구(1)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1회째의 만탱크 검지를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만탱크 검지에 의해서 급유가 정지되고, 제 2 밸브실(4)과 제 2 밸브구(2)를 통한 통기에 의해서 연료탱크(T) 내의 압력이 저하된 후에는, 제 1 플로트(6)가 하강하여 제 1 밸브구(1)가 개방됨과 동시에 지지기둥부(21)의 하단, 오리피스(22), 제 1 밸브구(1)를 통한 통기도 확보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분할 절결부(23)의 상연부(23a)에 연료의 액면 레벨을 도달시킬 때까지의 추가 급유가 허용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지지부(3a)에는 오리피스(22)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1 밸브실(3)의 상기 개방단(3e) 측에 형성된 분할 절결부(23)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3a)보다도 하측이면서 또한 상기 개방단(3e)보다도 상측에 상기 오리피스(22)에 연통하는 오리피스용 통기로(24)의 입구(24a)를 형성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지지기둥부(21)의 내부가 상기 오리피스용 통기로(24)로서 기능하고, 지지기둥부(21)의 하단(21a)의 일부가 오리피스용 통기로(24)의 입구(24a)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밸브실(3)의 개방단(3e)에 상기 연료탱크(T) 내의 연료의 액면 레벨이 도달하였을 때에 연료탱크(T)의 내압을 상승시켜서 급유 건 측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킴과 동시에, 이 만탱크 검지 후의 추가 급유를 상기 오리피스용 통기로(24)의 입구(24a)에 상기 액면 레벨이 도달할 때까지 허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지지부(3a)에 2개 이상의 상기 오리피스(22)가 형성됨과 아울러, 각 오리피스(22)에 각각 대응한 상기 오리피스용 통기로(24)를 형성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오리피스(22)를 상기 제 1 플로트(6)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부(3a)의 중심(3c),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원판형상체(3b)의 중심(3c)을 사이에 둔 대칭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로트(6)의 바닥부의 직하가 되는 개소에 각각 형성하고 있다(도 3 참조).
제 1 플로트(6)는 원기둥형상을 이루는 주체부(6a)와, 이 주체부(6a)의 상부에 조합된 가동부재(6b)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1 플로트(6)는 그 하단이 제 1 밸브실(3)의 지지부(3a)에 접하는 하강위치와 상기 가동부재(6b)에 의해서 상기 제 1 밸브구(1)를 폐쇄하는 상승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 1 밸브실(3) 내에 수납되어 있다. 도면부호 25로 나타내는 것은 상기 지지부(3a)와 제 1 플로트(6) 사이에 개재하여 제 1 플로트(6)에 일정한 상향의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이다. 제 1 플로트(6)와 스프링(25)은 장치 상부(10)에 하부 파츠(11)를 조합하기 전에 양자 사이에 수납된다. 장치 상부(10) 내에는 제 1 플로트(6)를 제 1 밸브구(1)의 직하에 위치시키는 상하방향을 따른 리브(26)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리브(26) 사이가 각각 상기 통기유로의 일부가 된다. 제 1 밸브실(3) 내로 연료가 유입되면, 제 1 플로트(6)는 상승위치까지 이동하여 가동부재(6b)의 상면에 의해서 제 1 밸브구(1)를 폐쇄한다. 급유가 정지되어 제 1 밸브실(3) 내에서 연료가 유출되면, 제 1 플로트(6)는 하강위치까지 이동하고, 제 1 밸브구(1)는 개방된다. 이 때, 제 1 밸브구(1)에 가동부재(6b)가 들러붙는 것 같은 힘이 작용하더라도, 주체부(6a)의 자중에 의해서 가동부재(6b)에 기울어짐을 일으키면서 제 1 밸브구(1)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2 플로트(7)는 원기둥형상을 이룸과 아울러, 그 상부에 원추형상의 돌출부(7a)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 2 플로트(7)는 그 하단이 제 2 밸브실(4)의 지지부(4a)에 접하는 위치와 상기 돌출부(7a)가 상기 제 2 밸브구(2)에 끼워져서 이 제 2 밸브구(2)를 폐쇄하는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제 2 밸브실(4) 내에 수납되어 있다. 제 2 밸브실(4)의 지지부(4a)에는 유체의 통과부(4b)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27로 나타내는 것은 상기 지지부(4a)와 제 2 플로트(7) 사이에 개재하여 제 2 플로트(7)에 일정한 상향의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이다. 제 2 플로트(7)와 스프링(27)은 장치 상부(10)에 하부 파츠(11)를 조합하기 전에 양자 사이에 수납된다. 장치 상부(10) 내에는 제 2 플로트(7)를 제 2 밸브구(2)의 직하에 위치시키는 상하방향을 따른 리브(28)가 복수 형성되어 있다. 서로 인접하는 리브(28) 사이가 각각 상기 통기유로의 일부가 된다. 차량에 큰 기울어짐 등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제 2 플로트(7)는 제 2 밸브구(2)를 폐쇄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상기 돌출부(7a)에 의해서 제 2 밸브구(2)를 폐쇄한다.
또한, 당연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모든 실시형태를 포함하는 것이다.
T - 연료탱크 1 - 제 1 밸브구(밸브구)
3 - 제 1 밸브실(밸브실) 3a - 지지부
3e - 개방단 6 - 제 1 플로트(플로트)
22 - 오리피스 23 - 분할 절결부
24 - 오리피스용 통기로 24a - 입구

Claims (4)

  1. 연료탱크 내외를 연통하는 밸브구와, 상기 밸브구 아래에 형성되는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 내에 상하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플로트를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밸브실은 유체의 통과부를 가진 상기 플로트의 지지부의 하측에 개방단을 위치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에는 오리피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실에 형성된 분할 절결부에 의해서 상기 지지부보다도 하측이면서 또한 상기 개방단보다도 상측에 상기 오리피스에 연통하는 오리피스용 통기로의 입구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실의 상기 개방단에 상기 연료탱크 내의 연료의 액면 레벨이 도달하였을 때에 연료탱크의 내압을 상승시켜서 급유 건 측의 센서에 만탱크를 검지시킴과 동시에, 이 만탱크 검지 후의 추가 급유를 상기 오리피스용 통기로의 상기 입구에 상기 액면 레벨이 도달할 때까지 허용하도록 하여 이루어지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 2개 이상의 상기 오리피스가 형성됨과 아울러, 각 상기 오리피스에 각각 대응한 상기 오리피스용 통기로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를 상기 플로트의 중심축 상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부의 중심을 사이에 둔 대칭 위치에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KR1020190088984A 2018-07-27 2019-07-23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KR102133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41151A JP2020016210A (ja) 2018-07-27 2018-07-27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JP-P-2018-141151 2018-07-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757A KR20200012757A (ko) 2020-02-05
KR102133129B1 true KR102133129B1 (ko) 2020-07-10

Family

ID=67253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8984A KR102133129B1 (ko) 2018-07-27 2019-07-23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13650B2 (ko)
EP (1) EP3599122B1 (ko)
JP (2) JP2020016210A (ko)
KR (1) KR102133129B1 (ko)
CN (1) CN110778751B (ko)
MX (1) MX2019008685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6705A (en) 1995-06-30 1996-10-22 Stant Manufacturing Inc. Snap-closure float valve assembly
US20030189110A1 (en) 2002-04-05 2003-10-09 Nifco Inc. Over-fueling prevention valve
US20050229967A1 (en) 2004-04-14 2005-10-20 Nifco Inc. Valve for fuel tank
US20100218748A1 (en) 2006-01-26 2010-09-02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A.) Device for the Venting Circuit of a Liquid Tank and Valve Incorporating Sai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11185A (en) 1974-09-26 1975-10-07 Du Pont High ring and ball softening point hot melt backsize adhesive composition
JP2547846B2 (ja) * 1988-09-21 1996-10-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防止装置
JP3201253B2 (ja) * 1996-03-28 2001-08-2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燃料貯蔵装置
US6035884A (en) * 1997-09-16 2000-03-14 Stant Manufacturing Inc. Liquid fuel baffle for vent apparatus
JP5242440B2 (ja) * 2008-04-18 2013-07-24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弁装置及び燃料タンク用過給油防止装置
JP5179431B2 (ja) * 2009-04-21 2013-04-10 八千代工業株式会社 満タン検知手段を備える弁装置の構造
JP5437784B2 (ja) * 2009-12-17 2014-03-12 株式会社ニフコ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5244217B2 (ja) * 2011-06-21 2013-07-24 八千代工業株式会社 通気制御バルブの通気方法
JP5786788B2 (ja) * 2011-09-26 2015-09-30 京三電機株式会社 満タン制御弁装置
US10369882B2 (en) * 2014-08-25 2019-08-06 Piolax, Inc. Valve case mounting structure
CN106812984A (zh) * 2017-02-23 2017-06-09 慈溪市华龙电子有限公司 一种通气切断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6705A (en) 1995-06-30 1996-10-22 Stant Manufacturing Inc. Snap-closure float valve assembly
US20030189110A1 (en) 2002-04-05 2003-10-09 Nifco Inc. Over-fueling prevention valve
US20050229967A1 (en) 2004-04-14 2005-10-20 Nifco Inc. Valve for fuel tank
US20100218748A1 (en) 2006-01-26 2010-09-02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arch (S.A.) Device for the Venting Circuit of a Liquid Tank and Valve Incorporating Sai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13650B2 (en) 2021-02-09
CN110778751B (zh) 2022-11-04
EP3599122A1 (en) 2020-01-29
US20200031659A1 (en) 2020-01-30
KR20200012757A (ko) 2020-02-05
JP7202428B2 (ja) 2023-01-11
JP2020016210A (ja) 2020-01-30
EP3599122B1 (en) 2021-03-10
JP2022001763A (ja) 2022-01-06
CN110778751A (zh) 2020-02-11
MX2019008685A (es) 202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7840B2 (en) Valve device
JP5786788B2 (ja) 満タン制御弁装置
KR102213446B1 (ko)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JP5437784B2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US9333851B2 (en) Fuel cutoff valve
US8490603B2 (en) Fuel tank valve device and fuel tank ventilation device
US4926914A (en) Vent control valve attached to fuel filler tube
KR20140084270A (ko) 벤트 밸브
JP6157376B2 (ja) 弁装置
JP2004257264A (ja) 満タン制御弁構造
JP2010143498A (ja) 燃料遮断弁
KR102133129B1 (ko) 연료탱크용 밸브장치
JP2020165318A (ja) 燃料タンク用弁装置
JP5123816B2 (ja) フロート弁装置
JP6020661B2 (ja) 満タン制御弁装置
US7509949B2 (en) Vaporized fue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with the same
CN214119121U (zh) 一种用于燃油箱的油量控制阀
JP2011131710A (ja) 燃料遮断弁
JP7488918B2 (ja) 弁装置
JP2022111735A (ja) 弁装置
JP6060609B2 (ja) 通気制御弁装置
JP2022111436A (ja) 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