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942B1 -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 Google Patents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942B1
KR102131942B1 KR1020180093114A KR20180093114A KR102131942B1 KR 102131942 B1 KR102131942 B1 KR 102131942B1 KR 1020180093114 A KR1020180093114 A KR 1020180093114A KR 20180093114 A KR20180093114 A KR 20180093114A KR 102131942 B1 KR102131942 B1 KR 10213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etachable
unit
bliste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7781A (ko
Inventor
주정일
이승현
이원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로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로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로조
Priority to KR102018009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9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16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 B65B35/18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8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packaging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은 렌즈 탈부착 실린더, 좁은 피치에 대응하기 위해 2열로 구분 배치되는 제1 승강 실린더, 제2 승강 실린더 및 렌즈 탈부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탈부착 유닛은 렌즈 탈부착 석션부, 렌즈 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는 렌즈를 흡착 시 렌즈에 남겨진 식염수를 동시에 흡입한 후 상기 렌즈를 탈착 시킴으로써 블리스터 내 식염수의 정량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Contact lens transfer unit and transfer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완성된 렌즈를 블리스터에 이송하되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효과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추가 및 변경한 이송유닛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 포장공정은 작업자가 제조 및 검사 공정이 완료된 콘택트렌즈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블리스터 패키지에 옮기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핀셋과 같은 도구로 비교적 강도가 약한 콘택트렌즈를 집어서 이동시킴으로 콘택트렌즈의 찢어짐, 스크래치 등의 파손이 빈번히 발생하며 콘택트렌즈를 일일이 옮겨야 함으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도 비교적 오래 걸려 공정의 효율 및 신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0909호에는 렌즈 형상 제품의 볼록 면을 지지하는 지지 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1지지부로부터 제품의 볼록 면을 수용하는 수용 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 2지지부 상의 센터링된 위치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로서, 긴 본체, 긴 본체의 하단에 있고 접촉 면이 마련되어 있는 팁 및 본체를 통하여 연장되어 진공 공급원에 연결되고 팁의 접촉면에 있는 개구에서 종결되는 도관으로 구성된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의 긴 본체를 둘러싸는 슬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슬리브와 플런저는 서로에 대해 활주 가능하며, 상기 제 2지지부는 플런저 슬리브의 내경과 대체로 일치하는 외경을 갖는 부분이 있는 것인 이송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콘택트렌즈를 이송할 경우 발생하는 콘택트렌즈의 찢어짐, 스크래치 등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이 역시 콘택트렌즈를 일일이 이송해야 함으로 이송 작업에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한 등록번호 제10-1800406호(2017.11.22. 공고)가 있으나 이송된 콘택트렌즈를 포크를 이용하여 탈착 시킴으로써 렌즈의 접힘과 표면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콘택트렌즈를 블리스터에 탈착하는 경우 렌즈에 남아 있는 식염수가 블리스터에 동시에 유입됨으로써 블리스터 내 식염수의 정량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번호 제10-1800406호(2017.11.22.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효과적인 이송이 가능한 콘택트렌즈의 이송유닛 및 이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은 렌즈 탈부착 실린더, 좁은 피치에 대응하기 위해 2열로 구분 배치되는 제1 승강 실린더, 제2 승강 실린더 및 렌즈 탈부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탈부착 유닛은 렌즈 탈부착 석션부, 렌즈 탈착부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는 렌즈를 흡착 시 렌즈에 남겨진 식염수를 동시에 흡입한 후 상기 렌즈를 탈착 시킴으로써 블리스터 내 식염수의 정량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는 렌즈를 흡착 및 탈착하되 상기 렌즈와 접하는 탈부착 석션부 헤드는 상기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로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를 이송하여 상기 블리스터에 탈착하는 경우 상기 렌즈 탈착부 석션부의 진공 흡입 기능을 제거하고, 상기 렌즈 탈착부가 상기 탈부착 선셕부 헤드에서 상기 블리스터 방향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 탈착부는 십자 형태의 단면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며,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 Ethylene), HMWPE, HDPE 내지 LDP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방법은 렌즈 탈부착 실린더의 구동 및 진공 흡입을 이용하여 완성된 렌즈를 렌즈 탈부착 석션부에 흡착시키는 단계; 흡착된 상기 렌즈를 포장용 블리스터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블리스터에 렌즈를 탈착하기 위해 진공 흡입을 제거하는 단계; 좁은 피치에 대응하기 위해 2열로 구분 배치된 승강 실린더가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에서 렌즈 탈착부를 상기 블리스터 방향으로 돌출시키며 흡착된 렌즈를 이탈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블리스터에 상기 렌즈가 수용되어 포장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는 렌즈를 흡착 시에 렌즈에 남겨진 식염수를 동시에 흡입하여 상기 렌즈를 탈착 시킴으로써 블리스터의 식염수를 정량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는 렌즈를 흡착 및 탈착하되 상기 렌즈와 접하는 탈부착 석션부 헤드는 상기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렌즈 탈착부는 단면이 십자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승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며,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 Ethylene), HMWPE, HDPE 내지 LDP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방법은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효과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추가 및 변경한 이송유닛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의 포크 부분을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렌즈 탈부착 석션부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렌즈 탈착부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렌즈 탈부착 유닛이 렌즈를 흡착 및 탈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렌즈 탈부착 유닛을 아래방향에서 바라본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의 사용에 대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송방법에 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탈착부, 탈착, 부착, 유닛, 설비 등은 명칭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하 설명하는 용어나 명칭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1)은 완성된 콘택트렌즈를 포장용 블리스터에 이송하기 위한 설비이다. 즉 종래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10)를 이용하여 렌즈를 탈착시킴에 따라 렌즈가 접히거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은 렌즈 탈부착 실린더(100), 좁은 피치에 대응하기 위해 2열로 구분 배치되는 제1 승강 실린더(200), 제2 승강 실린더(300) 및 렌즈 탈부착 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 탈부착 실린더(100)는 공압(에어) 실린더를 이용하되 경우에 따라서 유압 실린더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렌즈 탈부착 실린더(100)는 완성된 렌즈를 팔레트(미도시)에서 흡착, 부착 등을 하고 블리스터(30)에 탈착하기 위한 상하 이동을 한다.
또한, 일정한 크기의 동력으로 업, 다운을 반복하도록 설계가 되며, 필요 시 렌즈의 두께, 종류 및 환경에 따라 상기 동력은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상기 승강 실린더(200, 300)는 2열로 배치되어 제1 승강 실린더(200), 제2 승강 실린더(300)로 구분되어 좁은 피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각각 5개의 렌즈를 탈부착 가능하므로 총 10개의 렌즈를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실린더(200, 300)는 각각 렌즈 탈부착 유닛(400)에 연결되어 렌즈의 탈부착을 위해 구동되며 필요 시 제1, 제2 및 제3 등 복수로 마련되고 각각 연결되는 상기 렌즈 탈부착 유닛(400)의 개수도 변경하여 한꺼번에 이송 가능한 렌즈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렌즈 탈부착 유닛(400)은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 렌즈 탈착부(210, 310)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와 직접 접촉하여 탈 부착하는 부분으로서, 복수의 흡입구(121)를 통해 진공 흡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렌즈의 흡착 및 탈착 시 상기 흡입구(121)를 통해 공기의 유입 및 배출이 일어나며, 상기 흡입구(121)를 통해 이동하는 기체는 온도, 종류, 부피 등이 다양하게 선택 변경 될 수 있다.
예컨대, 질소 기체만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기체의 소정 온도 이하로 유지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일괄적인 유입 내지 간헐적인 유입 내지 배출을 통해 효과적인 렌즈의 탈부착을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는 렌즈를 흡착 시 렌즈에 남겨진 식염수를 동시에 흡입한 후 상기 렌즈를 탈착 시킴으로써 블리스터 내 식염수의 정량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렌즈를 이송하여 블리스터에 집어 넣는 경우 렌즈의 오목한 형태로 인해 또는 표면장력에 의해 렌즈에 남아 있는 식염수가 렌즈와 함께 블리스터에 유입됨으로써 블리스터 내 식염수의 정량이 유지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렌즈 탈착부(210)의 단부는 상기 렌즈와 접촉하는 부분이 렌즈의 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진 곡면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의 흡입구(121)로 유입된 식염수는 별도의 저장부(미도시)로 이동되거나 상기 팔레트에 수용될 수 있으며, 흡입된 상기 식염수의 재 사용을 위한 별도의 필터 장치(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는 렌즈를 흡착 및 탈착하되 상기 렌즈와 접하는 탈부착 석션부 헤드(120)는 상기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부착 석션부 헤드(120)는 상기 실리콘 재질 이외에도 렌즈의 표면 스크레치 등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예컨대, 소정의 탄성계수를 가지는 탄성체로 마련되거나 연성 재질의 부재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렌즈를 이송하여 상기 블리스터(30)에 탈착하는 경우 상기 렌즈 탈착부 석션부(110)의 진공 흡입 기능을 제거하고, 상기 렌즈 탈착부(210, 310)가 상기 탈부착 선셕부 헤드(120)에서 상기 블리스터(30) 방향으로 돌출하면서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로부터 이탈시킨다.
종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형태로 렌즈를 밀어 넣다 보니 표면손상, 접힘 현상 등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 흡입을 제거하거나 필요 시 공기를 불어 넣어 탈착시키고 나아가 상기 렌즈 탈착부(210, 310)를 돌출 시키면서 렌즈를 이탈시키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탈착부(210, 310)는 십자 형태의 단면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 실린더(200, 300)에 의해 구동되며,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 Ethylene), HMWPE, HDPE 내지 LDP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렌즈를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에서 흡입 부착한 후 이송하여 블리스터에 수용시키기 위해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에서 상기 렌즈 탈착부(210, 310)가 돌출되며 렌즈를 이탈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상기 렌즈 탈부착 유닛(400)을 저면에서 바라본 것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 헤드(120)의 중앙 부에 십자 형태의 상기 렌즈 탈착부(210, 310)가 마련되고 상기 탈부착 석션부 헤드(120)에 진공 흡입 및 배출을 위한 흡입구(121)가 마련된다. 또한, 석션 연결부(130)가 마련되어 상기 흡입구(121)로 기체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1)에 의해 렌즈가 상기 블리스터(30)에 이송 포장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이송유닛의 승강실린더는 2열 이외에도 복수로 마련하여 동시에 이송 가능한 렌즈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완성된 콘택트렌즈를 포장용 블리스터에 이송하는 콘택트렌즈 이송방법은 렌즈 탈부착 실린더(100)의 구동 및 진공 흡입을 이용하여 완성된 렌즈를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에 흡착시키는 단계(S200); 흡착된 상기 렌즈를 포장용 블리스터(30)로 이송하는 단계(S300); 상기 블리스터(30)에 렌즈를 탈착하기 위해 진공 흡입을 제거하는 단계(S400); 및 상기 블리스터에 상기 렌즈가 수용되어 포장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 흡입을 제거하여 렌즈를 탈착하는 단계(S400)는 2열로 구분 배치된 승강 실린더(200, 300)가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에서 렌즈 탈착부(210, 310)를 상기 블리스터 방향으로 돌출시키며 흡착된 렌즈를 이탈시키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는 렌즈를 흡착 시에 렌즈에 남겨진 식염수를 동시에 흡입하여 상기 렌즈를 탈착 시킴으로써 블리스터(30)의 식염수를 정량으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는 렌즈를 흡착 및 탈착하되 상기 렌즈와 접하는 탈부착 석션부 헤드(120)는 상기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렌즈 탈착부(210, 310)는 단면이 십자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승강 실린더(200, 300)에 의해 구동되며,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 Ethylene), HMWPE, HDPE 내지 LDP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은 다양한 규격, 모양 및 기준에 적용될 수 있도록 변경 및 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방법은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효과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추가 및 변경한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송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10: 포크 20: 렌즈
30: 블리스터 100: 렌즈 탈부착 실린더
110: 렌즈 탈부착 석션부 120: 탈부착 석션부 헤드
121: 흡입구 130: 석션 연결부
200: 제1 승강 실린더 210: 제1 렌즈 탈착부
300: 제2 승강 실린더 310: 제2 렌즈 탈착부
230: 승강실린더 연결부 400: 렌즈 탈부착 유닛(110, 210, 310)

Claims (6)

  1. 완성된 콘택트렌즈를 포장용 블리스터에 이송하는 콘택트렌즈 이송유닛에 있어서,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며 상부에 마련되는 렌즈 탈부착 실린더(100);
    상기 렌즈 탈부착 실린더의 하부 또는 측면에 설치되며 좁은 피치에 대응하기 위해 2열로 구분 배치되는 제1 승강 실린더(200)와 제2 승강 실린더(300); 및
    상기 제1 승강 실린더와 제2 승강 실린더의 하부에 연결되는 렌즈 탈부착 유닛(400)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탈부착 유닛(400)은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 렌즈 탈착부(210)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는 복수의 흡입구(121)를 통해 렌즈를 진공 흡착하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이동하는 기체는 소정 온도 이하의 질소 기체를 사용하되 온도 및 부피는 선택적으로 변경 가능하고 상기 기체의 일괄적인 유입, 배출과 간헐적인 유입, 배출을 선택 가능케 하여 상기 렌즈의 탈부착을 효율적으로 진행하며, 오목한 형상의 렌즈에 남겨진 식염수를 상기 렌즈 흡착 시 동시에 흡입한 후 상기 렌즈를 탈착 시킴으로써 블리스터 내 식염수의 정량을 유지하며, 흡입된 상기 렌즈의 남겨진 식염수는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된 후 필터 장치를 통해 여과하여 재활용 하며,
    상기 렌즈를 이송하여 상기 블리스터에 탈착하기 위해서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의 진공 흡입 기능을 제거하고, 상기 렌즈 탈착부(210)가 상기 탈부착 석션부 헤드에서 상기 블리스터 방향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로부터 이탈시키고,
    상기 렌즈 탈착부(210)의 단부는 상기 렌즈와 접촉하는 부분이 렌즈의 곡면을 따라 밀착되도록 일정한 곡률을 가진 곡면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110)는 렌즈를 흡착 및 탈착하되 상기 렌즈와 접하는 탈부착 석션부 헤드(120)는 상기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 탄성체 및 연성재질을 결합하여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탈착부(210)는 십자 형태의 단면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승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며,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 Ethylene), HMWPE, HDPE 내지 LDP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5. 제 1항에 따른 콘텍트렌즈 이송유닛을 이용하여 완성된 콘택트렌즈를 포장용 블리스터에 이송하는 콘택트렌즈 이송방법에 있어서,
    렌즈 탈부착 실린더의 구동 및 진공 흡입을 이용하여 완성된 렌즈를 렌즈 탈부착 석션부에 흡착시키는 단계;
    흡착된 상기 렌즈를 포장용 블리스터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블리스터에 렌즈를 탈착하기 위해 진공 흡입을 제거하는 단계;
    좁은 피치에 대응하기 위해 2열로 구분 배치된 승강 실린더가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에서 렌즈 탈착부를 상기 블리스터 방향으로 돌출시키며 흡착된 렌즈를 이탈시키는 단계; 및
    상기 블리스터에 상기 렌즈가 수용되어 포장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는 렌즈를 흡착 시에 렌즈에 남겨진 식염수를 동시에 흡입하여 상기 렌즈를 탈착 시킴으로써 블리스터의 식염수를 정량으로 유지하는 것이 특징인 콘택트렌즈 이송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탈부착 석션부는 렌즈를 흡착 및 탈착하되 상기 렌즈와 접하는 탈부착 석션부 헤드는 상기 렌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렌즈 탈착부는 단면이 십자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 및 제2 승강 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며, UHMWPE(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 Ethylene), HMWPE, HDPE 내지 LDPE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택트렌즈 이송방법.

KR1020180093114A 2018-08-09 2018-08-09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KR10213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114A KR102131942B1 (ko) 2018-08-09 2018-08-09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114A KR102131942B1 (ko) 2018-08-09 2018-08-09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781A KR20200017781A (ko) 2020-02-19
KR102131942B1 true KR102131942B1 (ko) 2020-07-09

Family

ID=6966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114A KR102131942B1 (ko) 2018-08-09 2018-08-09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363B1 (ko) * 2020-11-04 2021-06-03 주식회사 아이코디 수화렌즈 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1966A1 (en) * 2003-07-24 2005-02-10 Provis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contact lens manufacture and packag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7187A (ko) * 2016-03-15 2017-09-25 최병일 콘텍트렌즈 포장 장치
KR101938392B1 (ko) * 2016-12-22 2019-01-14 뉴바이오 (주) 콘택트렌즈 이송장치
KR101800406B1 (ko) 2017-03-09 2017-11-22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1966A1 (en) * 2003-07-24 2005-02-10 Provis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use in contact lens manufacture and pack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781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12877B (zh) 工件搬運方法及工件搬運裝置
KR102446947B1 (ko) 반도체 패키지 절단 및 분류 장치
WO2011031624A2 (e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moving wet ophthalmic lenses during their manufacture
KR102131942B1 (ko)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CN207542224U (zh) 晶圆固定装置
KR20170043997A (ko) 반도체 패키지 처리장치
CA2734110A1 (en) Gripper for a manipulator
KR101647877B1 (ko) 반도체 패키지들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 조립체
KR101630039B1 (ko) 반도체 패키지들을 지지하기 위한 팔레트 테이블
JP3949955B2 (ja) ボトルハンドリング装置、ボトルハンドリング方法、パレタイズ装置、デパレタイズ装置、コンビネーションパレタイズ装置
TW202101640A (zh) 半導體製造裝置
KR101489373B1 (ko) 반도체 장치용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이물질 제거장치
CN219464079U (zh) 一种中框去毛刺检测系统
TWI777375B (zh) 拾取装置
KR101800406B1 (ko) 콘택트렌즈 분리장치
KR20100096591A (ko) 조립불량 렌즈모듈의 글라스렌즈 재생장치
CN214444447U (zh) 一种撕膜装配一体式流水线
JP2002292642A (ja) 成形品の加工・搬送装置
JPH02127229A (ja) 箱内容器の取出し装置
CN105552015B (zh) 处理半导体封装体的装置及用该装置获其位置信息的方法
KR102383666B1 (ko) 웨이퍼 필름과 링의 분리 장치
JP2015155318A (ja) 青果物吸着保持具
KR102437861B1 (ko) 웨이퍼 및 링의 회수 시스템
KR101347226B1 (ko) 반도체자재 절단장치 및 반도체자재의 절단방법
KR102158825B1 (ko) 반도체 패키지 픽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