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363B1 - 수화렌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화렌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363B1
KR102260363B1 KR1020200146098A KR20200146098A KR102260363B1 KR 102260363 B1 KR102260363 B1 KR 102260363B1 KR 1020200146098 A KR1020200146098 A KR 1020200146098A KR 20200146098 A KR20200146098 A KR 20200146098A KR 102260363 B1 KR102260363 B1 KR 102260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tion
lens
hydration lens
packaging container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코디
백병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코디, 백병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코디
Priority to KR102020014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3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65B11/52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one sheet being rendered plastic, e.g. by heating, and forced by fluid pressure, e.g. vacuum, into engagement with the other sheet and contents, e.g. skin-, blister-, or bubbl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8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packaging of contact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36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 B65B35/38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by grippers by suction-operated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yeglass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성형공정 후 수화렌즈를 포장용기로 이송시키는 수화렌즈 공급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수화렌즈 공급장치는 볼록한 단부에 복수의 흡착홀이 형성되어 수화렌즈를 진공흡착하되, 상기 복수의 흡착홀은 상기 단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의 둘레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진공흡착시 상기 이송유닛의 내부에 유지되고, 상기 포장용기에 상기 수화렌즈를 놓기 위해 상기 복수의 흡착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수화렌즈와 복수의 접촉점에서 접촉하여 상기 단부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상기 포장용기로 투입시키는 복수의 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화렌즈 공급장치{HYDRATION LENS SUPPLY DEVICE}
본 발명은 수화렌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화렌즈를 포장용기에 공급시에 용이하고 정확하게 공급하는 수화렌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렌즈는 안경 대신에 눈의 각막에 직접 붙여서 사용하는 렌즈로서, 안경으로는 시력 교정 효 과가 적은 심한 근시, 원시, 난시 따위의 교정을 위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미용을 목적으로 사 용하기도 한다.
콘택트렌즈는 재질에 따라 딱딱한 하드렌즈와 부드러운 소프트렌즈가 있으며, 하드렌즈는 산소가 잘 투과되는 RGP 렌즈가 있고, 소프트렌즈는 매일 빼고 자는 매일 착용 렌즈, 3 ~ 4 일 계속 끼고 잘 수 있는 연속착용 렌즈, 그리고 하루 착용하는 일회용렌즈가 있으며, 소프트렌즈 위에 칼라를 착색한 미용렌즈 등이 있다.
소프트 콘택트 렌즈의 사용의 증가에 따라 그 제조에 대한 여러 가지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중합되었을 때 양호한 광학적 특성을 갖는 적당한 재료로 구성된 단량체가 암형 주형에 위치된다. 상기 암형 주형 위로 수형 부재가 위치된다. 단량체는 주형을 자외 선광에 노출시키거나 가열시키므로써 중합될 수 있다. 중합후 렌즈는 주형으로부터 제거되어 욕조에 담겨져서 수화된다.
수화후 렌즈는 세척되어 염용액에 위치된다. 이후 처리가 완료된 렌즈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포장된다.
예를 들어, 성형 완료된 렌즈가 수화되고, 하나씩 컬러 콘택트렌즈 포장용기의 중심에 수납된다. 수화상태의 콘택트렌즈(수화렌즈)는 물외부에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작된 트레이에 콘택트렌즈를 놓고 초음파기기에 담궈놓은 상태에서 상하운동을 느리게 5분정도 반복한다. 그러면 수화렌즈가 트레이의 중앙에 위치된다. 이 수화렌즈가 담긴 트레이를 수화렌즈 자동 공급장치에 투입시킨다.
종래에도 수화렌즈를 들어서 이송 및 투입하는 것을 자동화로 진행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지만, 수화렌즈를 담는 트레이의 유격이 크고, 수화렌즈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수화렌즈를 집어가는 것이 일정하지 않고, 특정위치에서 수화렌즈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수화렌즈를 이송하여 포장용기에 공급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동작 및 수화렌즈를 균일하게 취급하는 공정이 충분히 개발되지 못하여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화렌즈를 집고 이송하고 포장용기에 투입하는 일련의 과정을 정확하고 용이하며, 대량으로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화렌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성형공정 후 수화렌즈를 포장용기로 이송시키는 수화렌즈 공급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수화렌즈 공급장치는 볼록한 단부에 복수의 흡착홀이 형성되어 수화렌즈를 진공흡착하되, 상기 복수의 흡착홀은 상기 단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의 둘레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이송유닛; 및 상기 이송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진공흡착시 상기 이송유닛의 내부에 유지되고, 상기 포장용기에 상기 수화렌즈를 놓기 위해 상기 복수의 흡착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수화렌즈와 복수의 접촉점에서 접촉하여 상기 단부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상기 포장용기로 투입시키는 복수의 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의 단부는 반구형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부의 중심의 흡착홀 및 상기 둘레의 흡착홀들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핀은 상기 수화렌즈를 균일하게 밀어서 원형 형태로 펼치면서 상기 포장용기로 투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착홀은 상기 중심에 1개 및 상기 둘레에 6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수화렌즈가 정렬되는 수화렌즈 트레이; 및 상기 포장용기로서 블라스터 용기 복수개가 정렬된 포장용기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이송유닛이 상기 수화렌즈 트레이 상에 정렬되며, 복수의 상기 이송유닛이 함께 하강하며 복수의 수화렌즈를 진공흡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 트레이 상측에서 각 블라스터 용기에 대해 정렬된 후 하강하며 상기 복수의 핀이 돌출되며, 각 수화렌즈를 상기 블라스터 용기에 투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흡착 전에 상기 복수의 핀이 상기 복수의 흡착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화렌즈 트레이에 수용된 수화렌즈를 위치고정 시킨 후, 상기 이송유닛이 하강하여 상기 볼록한 단부가 상기 수화렌즈에 밀착되면서 상기 복수의 핀이 상기 이송유닛의 내부로 후퇴되고, 진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복수의 흡착홀에 의해 상기 수화렌즈가 진공흡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각 상기 블라스터 용기의 기준점과 상기 이송유닛의 단부의 중심의 흡착홀을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송유닛이 수화렌즈를 진공흡착하고 복수의 핀에 의한 복수의 접촉점에서 균일한 접촉을 통해 포장용기에 투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화렌즈를 집고 이송하고 포장용기에 투입하는 일련의 과정을 정확하고 용이하며, 대량으로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수화렌즈 공급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렌즈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이송유닛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복수의 수화렌즈가 안착되는 수화렌즈 트레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포장용기 트레이에 배열된 포장용기에 복수의 이송유닛이 수화렌즈를 투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송유닛에 의해 포장용기에 수화렌즈가 투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이송유닛에 의한 수화렌즈의 진공흡착 및 복수의 핀에 의한 수화렌즈의 분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화렌즈 공급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형 몰드를 사용하여 콘택트렌즈들이 유동성 단량체로부터 성형될 수 있다. 단량체는 경화되고, 주형면은 분리되며, 콘택트렌즈는 수화되어, 검열 및 포장된다.
수화렌즈 공급장치(100)는 콘택트렌즈 성형공정 후, 수화된 콘택트렌즈(이하, 수화렌즈(30))를 포장용기로 이송시키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수화렌즈 공급장치(100)는 이송유닛(110) 및 복수의 핀(130)을 포함한다.
이송유닛(110)은 봉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송유닛(110)의 볼록한 하단부에 복수의 흡착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송유닛(110)의 내부에 진공이 형성되면서, 수화렌즈(30)가 흡착홀(111)에 의한 진공흡착에 의해 이송유닛(110)의 볼록한 하단부에 흡착될 수 있다. 흡착홀(111)은 복수로 형성되며, 이송유닛(110)의 하단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의 둘레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핀(130)은 상기 이송유닛(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각 흡착홀(11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거나 이송유닛(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핀(130)의 전진 및 후퇴를 위한 액츄에이터가 이송유닛(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핀(130)은 수화렌즈(30)의 진공흡착시 상기 이송유닛(110)의 내부에 유지될 수 있다. 즉, 이송유닛(110)의 볼록한 하단부에 형성된 복수의 흡착홀(111)에 수화렌즈(30)가 진공흡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핀(130)은 포장용기(310)에 상기 수화렌즈(30)를 놓기 위해 상기 복수의 흡착홀(11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핀(130)은 돌출되면서 그 선단이 상기 수화렌즈(30)와 복수의 접촉점에서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핀(130)은 상기 이송유닛(110)의 하단부로부터 수화렌즈(30)를 이격시키면서 상기 포장용기(310)로 투입시킬 수 있다.
도 2는 이송유닛(11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유닛(110)의 하단부는 반구형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부의 중심 및 그 하단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중심의 사이 영역에 복수의 흡착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중심의 흡착홀(111) 및 상기 둘레의 흡착홀(111)들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핀(130)은 상기 수화렌즈(30)를 균일하게 밀어서 원형 형태로 펼치면서 상기 포장용기(310)로 투입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흡착홀(111)은 상기 중심에 1개 및 상기 둘레에 6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수화렌즈(30)가 안착되는 수화렌즈 트레이(2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이송유닛(110)에 의해 포장용기(310)에 수화렌즈(30)가 투입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수화렌즈 공급장치(100)는 복수의 상기 수화렌즈(30)가 정렬되는 수화렌즈 트레이(200)와, 상기 포장용기(310)로서 블라스터 용기 복수개가 정렬되는 포장용기 트레이(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화렌즈 트레이(200)에는 주형이 되는 복수의 몰드(210)가 구비되어 있고, 물이 공급되어 있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수화상태의 콘택트렌즈는 트레이(200)에 위치시킬 경우, 트레이(200)의 설정된 부분(일 예로 단면을 기준으로, 트레이의 중앙 부분, 도 6 참조)에 정확하게 안착(위치)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어려움이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수화렌즈 트레이(200)에 콘택트렌즈를 놓고 초음파기기에 담궈놓은 상태에서 상하운동을 느리게 5분정도 반복한다. 이를 통해 수화된 콘택트렌즈(수화렌즈(30))가 수화렌즈 트레이(200)의 설정된 부분(일 예로 중앙 부분)에 보다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포장용기(310)로서 블라스터 용기 복수개가 포장용기 트레이(300)에 안착될 수 있다.
수화렌즈 공급장치(100)는 수화렌즈 트레이(200)에서 수화렌즈(30)를 들어올려서 포장용기 트레이(300) 상에서 정렬한 후, 하강하여 블라스터 용기에 수화렌즈(30)를 투입할 수 있다. 트레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수화렌즈(30)와 복수의 포장용기(310)를 정열하고, 복수의 이송유닛(110)이 한꺼번에 다수의 수화렌즈(30)를 집어서 포장용기(310)에 투입할 수 있다.
도 5는 포장용기 트레이(300)에 배열된 포장용기(310)에 복수의 이송유닛(110)이 수화렌즈(30)를 투입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이송유닛(110)에 의한 수화렌즈(30)의 진공흡착 및 복수의 핀(130)에 의한 수화렌즈(30)의 분리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상기 이송유닛(110)이 상기 수화렌즈 트레이(200) 상에 정렬되며, 복수의 상기 이송유닛(110)이 함께 하강하며 복수의 수화렌즈(30)를 진공흡착할 수 있다(도 5 및 도 6의 좌측 그림 참조).
예를 들어, 복수의 핀(130)이 이송유닛(110)의 내부에 유지된 체로 이송유닛(110)의 반구형 단부가 수화렌즈 트레이(200)에 담겨진 수화렌즈(30)에 접촉하여 진공흡착을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다른 예로, 진공흡착 전에 상기 복수의 핀(130)이 상기 복수의 흡착홀(11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화렌즈 트레이(200)에 수용된 수화렌즈(30)를 살짝 눌러서 위치고정 시킨 후, 상기 이송유닛(110)이 하강하여 상기 볼록한 단부가 상기 수화렌즈(30)에 밀착되면서 상기 복수의 핀(130)이 상기 이송유닛(110)의 내부로 후퇴되고, 진공이 형성되면서 상기 복수의 흡착홀(111)에 의해 상기 수화렌즈(30)가 진공흡착될 수도 있다.
진공흡착 이후 이송유닛(110)이 이동되어 포장용기 트레이(300) 상에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상기 블라스터 용기의 기준점과 상기 이송유닛(110)의 단부의 중심의 흡착홀(111)을 기준으로 정렬될 수 있다.
복수의 이송유닛(110)이 상기 포장용기 트레이(300) 상측에서 각 블라스터 용기에 대해 정렬된 후 하강하며 상기 복수의 핀(130)이 돌출되며(도 6 우측 그림 참조), 각 수화렌즈(30)를 상기 블라스터 용기에 투입시킬 수 있다. 핀은 수지, 실리콘, 고무, 금속 등 필요에 따라 재질이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복수의 핀(130)은 중심에 위치한 핀(130)과 그 둘레에 대칭적으로 다수의 핀(130)이 배열되어 있어서, 여러 개의 접촉점에서 수화렌즈(30)를 접촉하면서 균일하게 펴면서 포장용기(310)에 투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포장용기(310)에 수화렌즈(30) 투입공정이 보다 정확하고 용이해지며, 투입상태가 균일해지며 불량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 : 수화렌즈
100 : 수화렌즈 공급장치
110 : 이송유닛
111 : 흡착홀
130 : 핀
200 : 수화렌즈 트레이
210 : 성형 몰드
300 : 포장용기 트레이
310 : 포장용기

Claims (8)

  1. 성형공정 후 수화렌즈를 포장용기로 이송시키는 수화렌즈 공급장치에 있어서,
    볼록한 단부에 복수의 흡착홀이 형성되어 수화렌즈를 진공흡착하되, 상기 복수의 흡착홀은 상기 단부의 중심과 상기 중심의 둘레로 배열되도록 형성된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내부에 구비되며, 진공흡착시 상기 이송유닛의 내부에 유지되고, 상기 포장용기에 상기 수화렌즈를 놓기 위해 상기 복수의 흡착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수화렌즈와 복수의 접촉점에서 접촉하여 상기 단부로부터 이격시키면서 상기 포장용기로 투입시키는 복수의 핀;
    복수의 상기 수화렌즈가 정렬되는 수화렌즈 트레이; 및
    상기 포장용기로서 블라스터 용기 복수개가 정렬된 포장용기 트레이;를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이송유닛이 상기 수화렌즈 트레이 상에 정렬되며,
    복수의 상기 이송유닛이 함께 하강하며 복수의 수화렌즈를 진공흡착하고,
    진공흡착 전에 상기 복수의 핀이 상기 복수의 흡착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수화렌즈 트레이에 수용된 수화렌즈를 위치고정 시킨 후, 상기 이송유닛이 하강하여 상기 볼록한 단부가 상기 수화렌즈에 밀착되면서 상기 복수의 핀이 상기 이송유닛의 내부로 후퇴되고, 상기 복수의 흡착홀에 의해 상기 수화렌즈가 진공흡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렌즈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의 단부는 반구형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단부의 중심의 흡착홀 및 상기 둘레의 흡착홀들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핀은 상기 수화렌즈를 균일하게 밀어서 원형 형태로 펼치면서 상기 포장용기로 투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렌즈 공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흡착홀은 상기 중심에 1개 및 상기 둘레에 6개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렌즈 공급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이송유닛이 상기 포장용기 트레이 상측에서 각 블라스터 용기에 대해 정렬된 후 하강하며 상기 복수의 핀이 돌출되며, 각 수화렌즈를 상기 블라스터 용기에 투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렌즈 공급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상기 블라스터 용기의 기준점과 각 상기 이송유닛의 단부의 중심의 흡착홀을 기준으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화렌즈 공급장치.
KR1020200146098A 2020-11-04 2020-11-04 수화렌즈 공급장치 KR102260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98A KR102260363B1 (ko) 2020-11-04 2020-11-04 수화렌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098A KR102260363B1 (ko) 2020-11-04 2020-11-04 수화렌즈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363B1 true KR102260363B1 (ko) 2021-06-03

Family

ID=76396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098A KR102260363B1 (ko) 2020-11-04 2020-11-04 수화렌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3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1755A1 (en) * 2013-09-11 2015-03-12 Novartis Ag Gripper for a contact lens and process for transporting a contact lens
KR20200017781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71755A1 (en) * 2013-09-11 2015-03-12 Novartis Ag Gripper for a contact lens and process for transporting a contact lens
KR20200017781A (ko) * 2018-08-09 2020-02-19 주식회사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이송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1483B2 (en) Delensing of ophthalmic lenses using gas
US5578332A (en) Contact lens mould
US5916494A (en) Rotational indexing base curve deposition array
TW201501916A (zh) 用於將剛性植入物封裝至隱形眼鏡中以矯正散光視力之方法及設備
EP1107861B1 (en) Automated cast mold hydrating device
US20020163095A1 (en) Mold and method for casting ophthalmic lenses
KR101134141B1 (ko) 콘택트렌즈 반몰드식 제조 자동화 시스템
US2009030924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an Opthalmic Lens
EP3797982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a lens assembly
KR102260363B1 (ko) 수화렌즈 공급장치
JP2001264706A (ja) コンタクトレンズ取り出し装置
US1013761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ophthalmic lenses
US20210094251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king a lens assembly
US20070158865A1 (en) Method for producing contact lenses
GB2237241A (en) Contact lens casting and packaging
CN115245404B (zh) 用于生产可调节人工晶状体的方法
US20230191731A1 (en) Method and an Assembly for Removing an Intraocular Lens from an Injection Molded Mold Half
KR20090106464A (ko) 안과용 렌즈의 이형을 촉진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00014731A (ko) 안과용 렌즈를 이형 및 수화시키는 방법
WO2008005201A2 (en) Reduction of excess polymeric flash ring
US20040104494A1 (en) Toric lens manufacture
CN107107499A (zh) 用于制造眼科镜片的方法及设备
GB2237240A (en) A packaged cast contact lens, provided with absorbed drug or med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