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809B1 -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 Google Patents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809B1
KR102130809B1 KR1020190090680A KR20190090680A KR102130809B1 KR 102130809 B1 KR102130809 B1 KR 102130809B1 KR 1020190090680 A KR1020190090680 A KR 1020190090680A KR 20190090680 A KR20190090680 A KR 20190090680A KR 102130809 B1 KR102130809 B1 KR 10213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room pouch
pouch body
cooling
auxiliary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호
김유성
정경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르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르맹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르맹
Priority to KR1020190090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7/0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thermophore, i.e. self-heating, e.g. using a chemical re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 B65D75/44Individual packages cut from webs or tubes
    • B65D75/48Individual packages cut from webs or tubes containing liquids, semiliquids, or pastes, e.g. cushion-shap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61Flexible containers having several compart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16Materials undergoing chemical reactions when us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 A45D2200/155Heating or cooling means, i.e. for storing or applying cosmetic products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 부재 및 후면 부재에 해당하는 2겹으로 내부에 제 1 물질을 포함하기 위한 제 2 룸 파우치 몸체에 비해 넓은 영역의 제 1 룸을 형성하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 및 상기 제 1 룸 파우치 몸체 상의 격벽을 형성하여 외부 또는 내부의 촉매제에 의해 흡열반응 또는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흡열반응 물질 또는 발열반응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룸 파우치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스크팩 시트 파우치를 중간에 격벽으로 막아 2개의 룸을 형성한 뒤, 상대적으로 큰 영역에는 에센스 물질과 마스크팩 시트를 넣고,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는 우레아 성분을 넣은 뒤, 우레아가 들어가는 쪽에는 물 주머니를 넣되 물 주머니에 대한 의도적인 터트림을 수행할 경우 잘 터질 뿐만 아니라, 우레아 성분을 담은 영역은 잘 터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우레아 성분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고, 2개의 룸을 형성하기 위한 격벽과 파우치 간의 실링을 확실하게 수행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경우 물 주머니만 터지고 격벽은 터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겨울철 추운 장소에 있을 때 차가운 마스크팩 시트 보다는 따뜻한 마스크팩 시트가 선호되므로, 쿨링 기능 뿐만 아니라 히팅 기능도 갖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Hybrid two-room pouch with cooling or heating function}
본 발명은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우치를 중간에 격벽으로 막아 2개의 룸을 형성한 뒤, 상대적으로 큰 영역에는 제 1 물질을 넣고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는 쿨링 또는 히팅 성분을 형성하여 쿨링 또는 히팅 성분이 피부에 직접적 접촉 없이 제 1 물질에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 등산이나 캠핑을 갈 경우 마스크팩 시트는 외부 기온에 많이 노출되므로 온도가 올라간다. 이를 사용할 경우에는 미지근해진 상태이므로 사용시 느낌이 좋지 않으므로 쾌적함이 떨어진다.
따라서 여름철에 냉장고가 없을 경우에도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마스크팩에 대한 요구가 큰 상황이며 이를 위해 사용시 시원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쿨링 기능을 갖는 파우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기존에는 마스크팩 시트 파우치 내에 쿨링 기능을 갖는 우레아 성분을 넣고 여기에 물 주머니를 넣어서 물을 터트림에 의해 우레아와 혼합되어 쿨링이 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하나의 주머니 안에 에센스, 마스크팩 시트를 넣고 또 그 주머니 안에 우레아 주머니를 넣되 우레아 주머니 안에 물 주머니를 넣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이 경우 우레아 주머니 안의 물 주머니를 터트려야 하는데, 물 주머니를 터트리는 과정에서 우레아 주머니가 터지는 경우가 있어 우레아 성분이 에센스와 혼합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였다.
우레아 성분은 성분의 특성상 인체에 직접적으로 닿는 경우 악영향을 미치므로 우레아 주머니가 터지면 마스크팩 시트의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흡열반응을 수행하는 우레아 성분이 아니라 발열반응을 수행하는 다른 성분에서도 동일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냉열 팩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 마스크(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5-0016905호)는 냉열 팩 조성물은 물에 용해시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자일리톨(Xylitol), 에리쓰리톨(Elythritol)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당알코올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사용시 물을 첨가하면 함유된 자일리톨 및/또는 에리쓰리톨 성분이 물에 용해되어 흡열반응을 일으킴으로써, 피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수분 투과에 대하여 방향성을 지닌 시트를 이용한 마스크팩(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7-0095135호)은 수분 투과에 대하여 방향성을 가지는 시트를 이용한 마스크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흡수층, 수분전이층, 수분확산층으로 구성되는 마스크시트를 포함하며, 각 층의 친수성이나 밀도의 차이에 의한 수분의 일방향 이동성을 이용함으로써 화장료나 약물 등의 활성성분의 피부흡수를 촉진하여 미용효과를 나타내고, 자극받은 피부에 냉열감을 부여하여 피부진정효과를 나타내는 마스크팩에 관한 것이다.
또한, 쿨링 마스크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쿨링 마스크 시트 팩(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19061호)은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면서, 피부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으면서도, 피부와의 부착성이 우수한 쿨링 마스크 시트,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 상기 쿨링 마스크 시트 사용시, 냉감 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마스크 시트 팩에 관한 것이다.
한편, 핫팩형 스프(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10099호)는 3중 코팅팩에 들어있는 스프로, 겉은 포장지가 감싸고 있으며 그 속엔 핫팩과 유사한 고온 철가루가 있으며, 포장지를 제거하면 순간적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철가루가 산화하면서 발열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가장 안쪽에 들어있는 액상 스프가 따뜻해지게 되는 핫팩형 스프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흡열물질 또는 발열물질에 대한 분리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제공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5-0016905호 "냉열 팩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 마스크(Pack composition for dropping heat and a Mask containing the s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7-0095135호 "수분 투과에 대하여 방향성을 지닌 시트를 이용한 마스크팩(MASK PACK USING THE WATER-VAPOR CONTROLLABLE SHEE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19061호 "쿨링 마스크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쿨링 마스크 시트 팩(Cooling mask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oling masksheet pack containing the s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10099호 "핫팩형 스프(Hot pack soup)"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마스크팩 시트 파우치를 중간에 격벽으로 막아 2개의 룸을 형성한 뒤, 상대적으로 큰 영역에는 에센스 물질과 마스크팩 시트를 넣고,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는 우레아 성분을 넣은 뒤, 우레아가 들어가는 쪽에는 물 주머니를 넣되 물 주머니에 대한 의도적인 터트림을 수행할 경우 잘 터질 뿐만 아니라, 우레아 성분을 담은 영역은 잘 터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우레아 성분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한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개의 룸을 형성하기 위한 격벽과 파우치 간의 실링을 확실하게 수행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경우 물 주머니만 터지고 격벽은 터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겨울철 추운 장소에 있을 때 차가운 마스크팩 시트 보다는 따뜻한 마스크팩 시트가 선호되므로, 쿨링 기능 뿐만 아니라 히팅 기능도 갖도록 하기 위한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는, 전면 부재 및 후면 부재에 해당하는 2겹으로 내부에 제 1 물질을 포함하기 위한 제 2 룸 파우치 몸체에 비해 넓은 영역의 제 1 룸을 형성하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 및 상기 제 1 룸 파우치 몸체 상의 격벽을 형성하여 외부 또는 내부의 촉매제에 의해 흡열반응 또는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흡열반응 물질 또는 발열반응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룸 파우치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룸 파우치 몸체를 이루는 배면과 상기 제 1 룸 파우치 몸체의 후면 부재 사이에서 제 1 물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물질이, 에센스 물질을 머금고 있는 마스크팩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열반응 물질은, 우레아(Urea)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열반응 물질은, 미세 철가루 분상체, 석산소다 또는 나트륨 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는, 마스크팩 시트 파우치를 중간에 격벽으로 막아 2개의 룸을 형성한 뒤, 상대적으로 큰 영역에는 에센스 물질과 마스크팩 시트를 넣고, 상대적으로 작은 영역에는 우레아 성분을 넣은 뒤, 우레아가 들어가는 쪽에는 물 주머니를 넣되 물 주머니에 대한 의도적인 터트림을 수행할 경우 잘 터질 뿐만 아니라, 우레아 성분을 담은 영역은 잘 터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직접적으로 우레아 성분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는, 2개의 룸을 형성하기 위한 격벽과 파우치 간의 실링을 확실하게 수행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경우 물 주머니만 터지고 격벽은 터지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는, 겨울철 추운 장소에 있을 때 차가운 마스크팩 시트 보다는 따뜻한 마스크팩 시트가 선호되므로, 쿨링 기능 뿐만 아니라 히팅 기능도 갖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에서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a)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a)에서 B-B'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 10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에서 A-A'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 마스크팩 시트(130), 물 주머니(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는 전면 부재 및 후면 부재에 해당하는 2겹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내부에 마스크팩 시트(130)와 에센스 물질을 넣기 위한 제 1 룸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의 상단 영역의 양 측부 실링단에 절취부(111)가 형성됨으로써, 두 개의 절취부(1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 상단을 수평 길이 방향으로 절취시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가 형성된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 중단 및 하단 영역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 내부의 에센스 물질이 묻은 마스크팩 시트(130)를 빼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와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전면 및 후면의 이중면으로 형성되어 상,하,좌,우 4측 모서리 영역이 실링되어 형성되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 중 전면 부재 중 상단 영역에서의 미리 설정된 높이에 1겹으로 형성되는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 상단이 실링되고,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를 이루는 전면 부재와 후면 부재가 실링되는 하단의 모서리 영역에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전면 부재와 후면 부재 사이에 1겹으로 형성되는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의 하단이 실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 내부, 즉,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전면 부재와의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에 이루는 공간에는 우레아(Urea) 물질(121)이 포함될 뿐만 아니라,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 중 하부 끝단 영역에는 물 주머니(14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 주머니(140)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의 하부 끝단, 즉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의 전면 부재의 하부 끝단과 후면 부재의 하부 끝단을 동시에 외력으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 물 주머니(140)의 상단의 곡면 영역을 통해 물이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 내부에 있는 우레아 물질(121)로 유입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물 주머니(140)가 일정 부분에 고정된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물 주머니(14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고정된 형태가 아니라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에서 우레아 물질(121) 내에 떠다닐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파우치 인 파우치 인 파우치(pouch in pouch in pouch)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우레아는 흡열물질(133)로 물과 반응하여 흡열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다른 실시예로, 무기염, 무기암모늄염(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산성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인산수소 2암모늄, 메타바나드산 암모늄, 염화암모늄, 브롬화암모늄, 요오드암모늄 등), 알칼리 금속염(질산나트륨, 질산칼륨 등), 질산금속염 등으로 변형하여 제공될 수 있다.
마스크팩 시트(130)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전면 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의 배면 영역과,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후면 부재 사이에 상하의 1자로 놓이며, 동일한 영역에 에센스 물질이 함께 담지됨으로써,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의 배면 영역과,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후면 부재 사이에서 에센스 물질을 머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 1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의 사용자가 물 주머니(140)를 터트려 내부의 물이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룸으로 흘러들어가서 우레아 성분과 흡열반응을 일으키면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의 배면과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후면 부재 사이에서 에센스 물질을 머금고 있는 마스크팩 시트(130)에 쿨링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여름철이나, 특정된 에센스 물질 중 쿨링시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 보다 구체적인 예로 오이성분으로 피부 진정 효과 등이 있는 경우에 보다 효과적으로 마스크팩 시트(130)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절취부(111)를 통해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상단 영역을 절취하여 에센스를 머금은 채 쿨링 상태에 있는 마스크팩 시트(130)를 빼내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a)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a)에서 B-B'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a)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 마스크팩 시트(130), 물 주머니(140), 공기 차단용 스티커(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a)의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와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의 구조는 도 1 및 도 2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에서의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와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의 구조와 동일하나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의 하단 영역에 물 주머니가(140)가 형성되지 않으며,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 2 룸인 내부, 즉,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전면 부재와의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에 이루는 공간에는 미세 철가루 분상체(12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 중 전면 부재 상에서 배면으로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에 의한 제 2 룸 공간이 형성되는 영역에는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있는 발열 반응물질(121)(예: 미세 철가루 분상체, 석산소다, 나트륨 아세테이트 등)과의 반응을 통해 발열반응을 일으키도록 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유입홀(122)을 막아 놓은 공기 차단용 스티커(15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의 전면 부재에서 공기 차단용 스티커(150)를 제거시 순간적으로 공기 중의 산소가 공급됨으로써,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 있는 발열반응 물질(121)이 산화하면서 발열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의 배면과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의 후면 재질 사이에 위치한 마스크팩 시트(130)가 히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열반응 물질(121)은 산소를 만나야 산화반응이 일어나 발열이 일어나므로 공기 구멍인 공기 유입홀(122)을 만들어야 하는데 음료수 빨대를 꽂을 수 있도록 된 구멍인 공기 유입홀(122)을 생성하고 여기를 공기 차단용 스티커(150)로 막았다가 사용 직전 공기 차단용 스티커(150)를 뜯어서 공기를 넣고 비벼주면 발열이 일어나므로 제 2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a)가 온열 마스크팩이 될 수 있다.
한편, 마스크팩 시트(130)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전면 부재의 배면에 형성된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의 배면 영역과,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후면 부재 사이에 상하의 1자로 놓이고, 같이 담지된 에센스 물질의 성분을 상시 머금은 형태로 있다가,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 내부에 위치하는 발열반응 물질(121)이 산화에 따른 발열시 온도가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 2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b)의 사용자가 공기 차단용 스티커(150)를 제거하여 공기 유입홀(122)로 공기가 유입되어 발열반응 물질(121)이 발열반응을 일으키면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의 배면과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후면 부재 사이에서 에센스 물질을 머금고 있는 마스크팩 시트(130)에 히팅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겨울철이나, 특정된 에센스 물질 중 히팅시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 보다 구체적인 예로 아로마 성분으로 근육 이완 효과 등이 있는 경우에 보다 효과적으로 마스크팩 시트(130)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절취부(111)를 통해 제 1 룸 파우치 몸체(120)의 상단 영역을 절취하여 에센스를 머금은 채 히팅 상태에 있는 마스크팩 시트(130)를 빼내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 100a)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100, 100a)는 도 1 내지 도 4의 파우치 구성요소에 단열 시트층(160), 보조 실링부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열 시트층(160)은 "
Figure 112019076852518-pat00001
" 와 같은 형상으로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의 전면 부재의 배면에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와 고주파 융착(High Frequency Welding) 또는 초음파 융착(Ultrasonic Welding)으로 접착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단열 시트층(160)은 폴리프로필렌 재질과 PLA 재질을 혼합한 복합체 조성물을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열 시트층(160)를 구성하는 복합체 조성물은 친환경 재생재료에 해당하는 PLA(PolyLactic Acid) 기반 원료,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PLA(PolyLactic Acid) 기반 원료를 구성하는 각 원료구성의 중량비는 주문자 요청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다른 주원료를 기반으로도 제작될 수 있다.
PLA(PolyLactic Acid) 기반 원료 중 PLA는 재생 가능한 옥수수 등 식물을 발효시켜 얻은 락타이드 또는 락트산을 중합하여 제조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로서 화석 자원 고갈에 무관할 뿐만 아니라 사용 후 매립 등 방식으로 쉽게 분해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특성을 가진다.
PLA는 락트산 또는 락타이드를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글리콜화합물, 에탄디오산(ethanedioic acid) 또는 테레프탈산 등의 디카복실산, 글리콜산 또는 2-히드록시벤조산 등의 히드록시카르본산 또는 카프로락톤 또는 프로피오락톤 등의 락톤류와 같은 적절한 단량체와 공중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PLA는 통상적으로 D,L-PLA, meso-PLA, D-PLA, L-PLA 등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상술한 PLA를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PLA(PolyLactic Acid) 100 중량부에 대해서 폴리에틸렌 20 내지 35 중량부에 대해서 에틸렌비닐초산 코폴리머(EVA) 3 내지 5 중량부, 폴리우레탄 5 내지 6 중량부로 구성되는 수지조성물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상과 같은 수지조성물에 의해 제조되는 PLA 기반 합성수지 소재는 PLA만을 사용한 친환경 재생재료에 비해 인장강도, 굴곡강도, 하중변형온도, 아이죠드 충격강도에서 향상된 성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조성 재료 자체가 저렴하여 제조하는 원가를 낮출 수 있다.
여기서, PLA(PolyLactic Acid) 기반 원료에 추가적으로 PLA 제 1 중량비에 대해서 방수제, 표면보호제, PHA 수지, 난연제를 추가하여 압출장치를 이용해 압출하여 압출 용융물을 형성시 제 2 중량비, 제 3 중량비, 제 4 중량비, 제 5 중량비로 혼합한 PLA(PolyLactic Acid) 기반 복합수지를 생성한 뒤, 주물에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기의 표 1과 같은 시험결과에 따라 6 내지 7 : 0.5 내지 1 : 0.5 내지 1 : 0.25 내지 0.75 : 0.75 내지 1.25로 형성되는 것이 다른 실시예에 비교하여 인장강도 및 내절강도, 그리고 파열강도에 대한 측정의 결과가 모두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인장강도는 TAPPI T 404 om-87에 따라 Hounsfield사의 인장강도 측정기를 사용하고 내절강도는 TAPPI T 511 om-83에 의하여 MIT 형을 사용한다. 내절강도 측정시 인장하중은 0.4 kg으로 하였고 stiffness는 TAPPI T 451 cm-84에 따라 Clark 형을 사용하며, 파열강도는 TAPPI T 403 om-85에 따라 Mullen 저압형 시험기를 사용한다.
항목 제1중량비 제2중량비 제3중량비 제4중량비 제5중량비 인장강도
(kN/m)
내절강도
(log10)
파열강도
(mN)
실시예1 1 1 1 2 5 5 2 43
실시예2 2 4 1 1 2 4 4 44
실시예3 3 3 2 1 1 3 5 48
실시예4 4 2 1 2 1 4 6 51
실시예5 5 1 1 1 2 6 3 43
실시예6 6 1 1 1 1 5 4 54
실시예7 6 1 1 0.75 1.25 8 7 73
실시예8 7 1 1 0.25 0.75 9 7 69
실시예9 7 0.5 0.5 0.75 1.25 9 8 72
실시예10 8 0.5 0.5 0.5 0.5 4 3 56
실시예11 9 0.25 0.25 0.25 0.25 5 6 34
실시예12 9 0.5 0.5 0.25 0.25 4 4 43
실시예13 9 0.25 0.25 0.5 0.5 5 5 41
이와 같은 조성물로 형성되어 압출을 통해 시트 형태로 제작되는 단열 시트층(160)은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 내부에 형성되는 흡열물질 또는 발열물질에 의한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에 있는 마스크팩 시트(130)에 대한 쿨링 또는 히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보조 실링부재(170)은 제 1 보조 실링부재(171), 제 2 보조 실링부재(172), 제 3 보조 실링부재(17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보조 실링부재(171)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전면 부재,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를 구성하는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부재층,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후면 부재에 대한 실링을 위해 3겹의 접착면의 외측으로 트위스트된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고주파 융착(High Frequency Welding) 또는 초음파 융착(Ultrasonic Welding)으로 접착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트위스트된 폴리프로필렌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시트에 대한 가열 방식 연신, 니들 스플릿(needle split) 방식에 의한 메쉬(mesh) 공정에 따라 다이아몬드 격자 구조를 생성한 것을 활용함으로써, 접착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제 2 보조 실링부재(172)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의 상부 끝단에 형성되는 전면 부재,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의 상부 끝단에 형성되는 후면 부재에 대한 실링을 위해 2겹의 접착면의 외측으로 트위스트된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고주파 융착(High Frequency Welding) 또는 초음파 융착(Ultrasonic Welding)으로 접착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 3 보조 실링부재(173)는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를 구성하는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부재층 영역의 외층과,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의 전면 부재의 배면 중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를 구성하는 하부 끝단과 맞닿는 영역 부재층과 실링된 영역의 외층에 "
Figure 112019076852518-pat00002
" 형태로 보강 실링을 위해 트위스트된 폴리프로필렌 재질을 고주파 융착(High Frequency Welding) 또는 초음파 융착(Ultrasonic Welding)으로 접착시켜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보조 실링부재(171), 제 2 보조 실링부재(172), 제 3 보조 실링부재(173)를 포함하는 보조 실링부재(170)에 의해,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에 있는 물 주머니(140)의 위치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 물 주머니(140)만 터지며, 제 1 룸 파우치 몸체(110) 자체의 실링단과,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과의 관계에서의 실링단이 견고하게 체결을 유지하여 터지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물 주머니(140)는 위사와 경사로 형성된 펄프 재질 등의 친환경 소재를 3겹 내지 5겹 사이로 겹쳐서 형성할 수 있으며, 혹시라도 물 주머니(140)가 터지더라고 제 2 룸 파우치 몸체(120)에 의한 격벽에 의해 마스크팩 시트(140)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110 : 제 1 룸 파우치 몸체 120 : 제 2 룸 파우치 몸체
130 : 마스크팩 시트 140 : 물 주머니
150 : 공기 차단용 스티커 160 : 단열 시트층
170 : 보조 실링부재 171 : 제 1 보조 실링부재
172 : 제 2 보조 실링부재 173 : 제 3 보조 실링부재

Claims (5)

  1. 전면 부재 및 후면 부재에 해당하는 2겹으로 내부에 제 1 물질을 포함하기 위한 제 2 룸 파우치 몸체에 비해 넓은 영역의 제 1 룸을 형성하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 및
    상기 제 1 룸 파우치 몸체 상의 격벽을 형성하여 외부 또는 내부의 촉매제에 의해 흡열반응 또는 발열반응을 일으키는 흡열반응 물질 또는 발열반응 물질을 포함하는 제 2 룸 파우치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로서,
    상기 제 2 룸 파우치 몸체를 이루는 배면과 상기 제 1 룸 파우치 몸체의 후면 부재 사이에서 제 1 물질로서 에센스 물질을 머금고 있는 마스크팩 시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흡열반응 물질은 우레아(Urea) 물질, 상기 발열반응 물질은 미세 철가루 분상체, 석산소다 또는 나트륨 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룸 파우치 몸체의 전면 부재의 배면에 단열 시트층을 포함하되, 상기 단열 시트층을 폴리프로필렌 재질과 PLA(PolyLactic Acid) 재질을 혼합한 복합체로 형성되며,
    상기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는 보조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실링부재는 제 1 보조 실링부재, 제 2 보조 실링부재 및 제 3 보조 실링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보조 실링부재는 상기 제 1 룸 파우치 몸체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전면 부재, 제 2 룸 파우치 몸체를 구성하는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부재층 및 제 1 룸 파우치 몸체의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후면 부재에 대한 실링을 위해 3겹의 접착면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보조 실링부재는 제 1 룸 파우치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면 부재, 제 1 룸 파우치 몸체의 상부 끝단에 형성되는 후면 부재에 대한 실링을 위해 2겹의 접착면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 3 보조 실링부재는 제 2 룸 파우치 몸체를 구성하는 하부 끝단에 형성되는 부재층 영역의 외층과, 제 1 룸 파우치 몸체의 전면 부재의 배면 중 제 2 룸 파우치 몸체를 구성하는 하부 끝단과 맞닿는 영역 부재층과 실링된 영영의 외층에 보강 실링을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 보조 실링부재, 제 2 보조 실링부재 및 제 3 보조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보조 실링부재에 의해 제 2 룸 파우치 몸체에 있는 물 주머니의 위치로 압력을 가할 경우 물 주머니만 터지며 제 1 룸 파우치 몸체 자체의 실링단과 제 2 룸 파우치 몸체와의 관계에서의 실링단이 견고하게 체결을 유지하여 터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90680A 2019-07-26 2019-07-26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KR10213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80A KR102130809B1 (ko) 2019-07-26 2019-07-26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0680A KR102130809B1 (ko) 2019-07-26 2019-07-26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809B1 true KR102130809B1 (ko) 2020-07-08

Family

ID=71599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680A KR102130809B1 (ko) 2019-07-26 2019-07-26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8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65B1 (ko) 2022-11-22 2023-02-13 정현채 핫팩 파우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572A (ko) * 2007-04-17 2008-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열마스크를 구비한 마스크 팩
KR20110114762A (ko) * 2010-04-14 2011-10-20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스탠딩 파우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572A (ko) * 2007-04-17 2008-10-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발열마스크를 구비한 마스크 팩
KR20110114762A (ko) * 2010-04-14 2011-10-20 주식회사 케이에스피 스탠딩 파우치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5-0016905호 "냉열 팩 조성물 및 이를 실장한 마스크(Pack composition for dropping heat and a Mask containing the s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7-0095135호 "수분 투과에 대하여 방향성을 지닌 시트를 이용한 마스크팩(MASK PACK USING THE WATER-VAPOR CONTROLLABLE SHEET)"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5-0119061호 "쿨링 마스크 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쿨링 마스크 시트 팩(Cooling maskshee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Cooling masksheet pack containing the same)"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10099호 "핫팩형 스프(Hot pack sou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9165B1 (ko) 2022-11-22 2023-02-13 정현채 핫팩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8773C (en) Self-heating flexible package
JP2926717B2 (ja) シート状脱酸素剤
KR101344551B1 (ko) 이열성 수축 필름, 이열성 라미네이트 필름, 이열성 봉투,및 이열성 수축 필름의 제조 방법
JP2001520609A (ja) 手使用の袋内発泡包装方式
KR102130809B1 (ko) 쿨링 또는 히팅 기능을 갖는 하이브리드 투룸 파우치
CN103079966B (zh) 隔热包装薄膜、包装袋及带开口部件的包装袋
US20120328746A1 (en) Package
JP4550352B2 (ja) 透明包装袋及びこれで外包装された液状製剤包装体
JP5739383B2 (ja) 易裂性延伸フィルム、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易裂性袋、及び易裂性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0355079A (ja) 炭酸ガス吸収積層体、これを用いた容器及び食品類の保存方法
JP2007039664A (ja) 易裂性延伸フィルム、易裂性ラミネートフィルム、易裂性袋、及び易裂性延伸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7105163A (ja) 使い捨てカイロ
JP2004169006A (ja) 高周波融着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及びその積層体
JPH0752296A (ja) 多層シート及び該シートよりなる多層容器
JP5376144B2 (ja) 分配包装体
JPH0686109B2 (ja) レトルト殺菌包装材料用複合フィルム積層体
JPH10315409A (ja) 高速ヒートシール性を有する包装材料
JP2005238760A (ja) 吸湿性パッキング材
JPH10175645A (ja) 多成分用樹脂容器
JPH03191957A (ja) 医療用支持体
JP2004352255A (ja) 吸湿容器
US20050228465A1 (en) Thermal device for activatable thermochemical compositions
JP2004217759A (ja) 高周波融着性に優れた樹脂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H1015385A (ja) 酸素吸収性樹脂および該酸素吸収性樹脂を用いた包装用シート
CN215884816U (zh) 一种用于食品饮料封装的复合膜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