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563B1 - 차량용 e-래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e-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563B1
KR102130563B1 KR1020190038300A KR20190038300A KR102130563B1 KR 102130563 B1 KR102130563 B1 KR 102130563B1 KR 1020190038300 A KR1020190038300 A KR 1020190038300A KR 20190038300 A KR20190038300 A KR 20190038300A KR 102130563 B1 KR102130563 B1 KR 102130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lever
central axis
protrus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용범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38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30Rotary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05B81/36Geared sectors, e.g. fan-shaped gea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E-래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고, 내측에 제 1, 2, 3 및 4 중심축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며, 단부에 각각 웜 기어가 형성된 제 1 및 2 구동모터; 웜 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기어가 구비되고, 중심부가 제 1 중심축에 끼워져 웜 기어의 회전에 의해 제 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 1 돌출부 및 후크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 제 2 중심축에 끼워져 제 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제 1 돌출부와 접촉되는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후크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제 3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 1 회전부재의 회전 시, 제 3 돌출부가 후크로부터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회전되는 릴리즈 레버; 릴리즈 레버의 전문부에 소정 정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락킹레버; 제 3 중심축에 끼워져 제 3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락킹레버에 의해 회전이 구속 및 구속해제되는 캐치; 및 제 4 중심축에 끼워져 제 4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웜 기어에 맞물리도록 기어가 형성되어 제 2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E-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E-래치{E-La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E-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상황에서도 도어를 오픈시킬 수 있는 차량용 E-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늘날의 차량들은 기계적 릴리즈 메커니즘의 관성 또는 변형으로 인한 차량 충돌 동안의 열림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외부 핸들들을 제거하거나 그 사이즈를 감소시킴으로써 차량의 미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적으로 릴리즈된 도어 래치들과 개발되고 있다. 이틀 타입의 전적으로 릴리즈된 래치들("e-래치들")은 배터리 방전, 정전, 또는 전력의 손실을 초래하는 차량 사고와 같은 긴급 상황들 동안 사용되는 일종의 차량 도어용 백업 시스템이 구비된다. 기계적 및 전자적 긴급 상황용 백업 기능들을 가진 다양한 상이한 타입의 전자 래치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개발된 시스템들은 긴급 상황용 수동 기능 가능성을 갖는 전력 릴리즈, 또는 전자 제어 유닛 및 백업을 위한 에너지 스토리지와 함께 전력 릴리즈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특히, 종래 기술의 개발된 시스템은 해제된 위치와 계합된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수동 릴리즈 레버를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백업 시스템은 차량 내의 어딘가에 종종 배치되어서, 긴급 상황 동안 승객의 릴리즈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요구한다. 상기 긴급 상황들에서, 탑승자들 모두가 명백한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긴급 상황용 릴리즈를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명백하게 위치된 기능이 차일드 락 또는 이중 락킹 기능들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경우가 드물다.
또한, 종래에 개발된 다른 타입의 긴급 백업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완전하게 전자식 시스템으로, 차량 배터리와 별개인 동력원을 요구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력 손실 상황을 감지할 수 있고 긴급 상황 이벤트에서 안전하고 확실한 도어 열림을 제공할 수 있는 래치에 탑재되거나 차량 내의 다른 곳에 위치한 일종의 전자 제어기를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충돌상황 시 기구적으로 도어를 오픈할 수 있는 차량용 E-래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고, 내측에 제 1, 2, 3 및 4 중심축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측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며, 단부에 각각 웜 기어가 형성된 제 1 및 2 구동모터; 상기 웜 기어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기어가 구비되고, 중심부가 상기 제 1 중심축에 끼워져 상기 웜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 1 돌출부 및 후크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 상기 제 2 중심축에 끼워져 상기 제 2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돌출부와 접촉되는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제 3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전부재의 회전 시, 제 3 돌출부가 상기 후크로부터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회전되는 릴리즈 레버; 상기 릴리즈 레버의 전문부에 소정 정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락킹레버; 상기 제 3 중심축에 끼워져 상기 제 3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락킹레버에 의해 회전이 구속 및 구속해제되는 캐치; 및 상기 제 4 중심축에 끼워져 상기 제 4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웜 기어에 맞물리도록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E-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회전부재는, 상기 제 2 회전부재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ㄱ"형상의 제 2 작동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작동레버의 하측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제 2 작동레버를 소정 정도 회전시키는 작동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2 회전부재는 각각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2 구동모터에는, 단부가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걸림부재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2 구동모터의 작동 시, 상기 걸림부재가 상기 돌기에 각각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2 회전부재의 역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는, 긴급시 작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차량의 충돌 발생시 기구적으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 중,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거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의 일반적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차량 충돌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제 1, 2구동모터(120, 130), 제 1 회전부재(140), 릴리즈 레버(150), 락킹레버(160) 제 1 작동레버(170), 캐치(180), 제 2 회전부재(190), 작동 와이어(19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측에 다수의 장착 슬롯(미표기)과, 제 1, 2, 3, 및 4 중심축(111, 112, 113, 1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수의 장착 슬롯과, 제 1, 2, 3 및 4중심축(111, 112, 113, 114)에는 본 실시예의 각 구성들이 장착될 수 있다.
제 1 및 2 구동모터(120, 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측에 각각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및 2 구동모터(120, 130)의 단부에는 각각 웜 기어(121, 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제 1 회전부재(140) 및 제 2 회전부재(18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구동모터(120, 130)는 웜 기어(121, 131)가 정방향 및 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구동모터(120, 130)에 각각 걸림부재(125, 13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재(125, 135)는 제 1 및 제 2 구동모터(120, 130)에 각각 토션 스프링(미표기)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단부가 소정 정도 구부러지도록 형성되어 제 1 및 2 회전부재(140, 180)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 1 회전부재(140) 및 제 2 회전부재(180)의 구성 설명에서 각각 부연하도록 한다.
제 1 회전부재(140)는 중심부가 제 1 중심축(111)에 끼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회전부재(140)는 제 1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 1 회전부재(140)는 기어(미표기)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가 웜 기어(121)와 치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회전부재(140)는 제 1 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는 웜 기어(131)의 회전에 따라 제 1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제 1 회전부재(140)는 상기 기어의 전면부에 돌기(140a)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40a)는 걸림부재(125)의 단부 내측에 걸려 있을 수 있다. 이후, 제 1 회전부재(140)의 회전 시, 돌기(140a)가 걸림부재(125)를 상측으로 가압함과 동시에 걸림부재(125)를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시킨다. 다시 말하면, 돌기(140a)는 걸림부재(125)의 단부 외측에 걸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돌기(140a)가 걸림부재(125)의 단부 외측에 걸리도록 위치됨으로써 제 1 회전부재(140)의 역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회전부재(140)에는 제 1 돌출부(141) 및 후크(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릴리즈 레버(150)의 회전 및 구속을 위한 것으로, 릴리즈 레버(150)의 구성에 부연하도록 한다.
릴리즈 레버(150)는 제 2 중심축(112)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릴리즈 레버(150)는 제 2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릴리즈 레버(150)는 제 2 중심축(112)을 기준으로 상측에 제 2 돌출부(151) 및 제 3 돌출부(152)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돌출부(152)는 제 1 돌출부(141)에 접촉되어 있고, 제 3 돌출부(152)는 후크(142)에 걸려 있는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회전부재(140)가 회전 시, 제 3 돌출부(152)가 후크(142)로부터 걸림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 1 돌출부(141)가 릴리즈 레버(150)를 가압하여 회전됨으로써, 릴리즈 레버(1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락킹레버(160)는 릴리즈 레버(150)의 전면부에 소정 정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락킹레버(160)는 릴리즈 레버(150)의 후면부에 배치되는 제 1 작동레버(17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락킹레버(160)는 제 1 작동레버(170)의 회전에 따라 릴리즈 레버(150)로부터 소정 정도 회전 될 수 있다.
한편, 캐치(180)는 제 3 중심축(113)에 끼워져 제 3 중심축(11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캐치(180)는 일측이 락킹레버(160)에 접촉되어 회전이 구속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락킹레버(160)가 회전됨에 따라 캐치(180)의 회전이 구속 또는 구속해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릴리즈 레버(150)가 제 2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캐치(180)와 접촉해 있던 락킹레버(160) 또한 같이 회전되어 캐치(180)의 회전이 구속 해제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릴리즈 레버(150)의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인 경우, 제 1 작동레버(170)의 회전에 의해 락킹레버(160)가 릴리즈 레버(150)로부터 소정 정도 회전됨으로써, 캐치(180)의 회전이 구속 해제된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 2 회전부재(190)는 전술한 제 1 회전부재(140)와 같이 기어가 및 돌기(190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어가 웜 기어(131)에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회전부재(190)는 제 2 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돌기(190a)는 전술한 돌기(140a)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회전부재(190)에는 "ㄱ"형상의 제 2 작동레버(19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 2 작동레버(191)는 제 2 회전부재(190)로부터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작동레버(191)는 제 2 회전부재(190)에 토션 스프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회전부재(190)를 기준으로 회전된 제 2 작동레버(191)에는 원래 상태로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작동레버(191)의 하측에는 작동 와이어(195)가 배치될 수 있다. 작동 와이어(195)는 제 2 작동레버(191)의 하측부를 잡아당기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작동 와이어(195)에 의해 제 2 작동레버(191)의 하측부가 잡아당겨짐으로써, 제 2 작동레버(191)가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제 2 작동레버(191)가 작동 와이어(195)에 의해 잡아당겨지기 위해서는, 제 2 회전부재(190)가 제 2 구동모터(13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된 상태여야 한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의 일반적인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의 초기상태에서는 캐치(180)가 락킹레버(160)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어 있다(도 4의 (a) 참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구동모터(120)가 작동하면, 웜 기어(121)에 맞물려 있던 제 1 회전부재(1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릴리즈 레버(150)와 접촉해 있던 제 1 돌출부(141)가 회전되어 릴리즈 레버(15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4의 (b) 참고).
이때, 걸림부재(125) 내측에 위치해 있던 돌기(140a)가 제 1 회전부재(140)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재(125) 외측에 위치하게 되어 제 1 회전부재(140)의 역회전이 방지된다(도 4의 (c) 참고).
한편, 릴리즈 레버(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릴리즈 레버(150)에 장착된 락킹레버(160)가 캐치(180)의 회전 구속을 해제 하게된다(도 4의 (d) 참고).
이후, 다시 제 1 구동모터(120)가 작동하여 웜 기어(12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회전부재(14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제 1 회전부재(140) 및 릴리즈 레버(150)가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4의 (e) 참고).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차량 충돌 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는 차량 충돌 시, 제 2 구동모터(130)가 작동하게 된다. 제 2 구동모터(130)가 작동하게 되면 웜 기어(131)에 맞물려 있던 제 2 회전부재(190)가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2 회전부재(190)에 구비된 제 2 작동레버(191)도 같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 2 작동레버(191)가 작동 와이어(195)에 의해 당겨질 수 있도록 위치가 가변된다(도 5의 (b) 참고).
제 2 회전레버(190)의 위치가 가변되면, 작동 와이어(195)가 잡아당겨짐으로써. 제 2 작동레버(19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도 5의 (c) 참고). 이때, 제 2 작동레버(191)가 제 1 작동레버(170)를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제 1 작동레버(170)와 연결된 락킹레버(160)가 시계 방향으로 소정 정도 회전된다. 이로 인해, 락킹레버(160)가 캐치(180)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도 5의 (d) 참고).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E-래치는 차량 충돌 시, 제 2 구동모터를 작동시킴으로써, 기존의 도어 래치와 같이 기구적으로 도어를 오픈 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긴급시 발생할 수 있는 추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E-래치 110:베이스 플레이트
111: 제 1 중심축 112: 제 2 중심축
113: 제 3 중심축 114: 제 4 중심축
120: 제 1 구동모터 121, 131: 웜 기어
125, 135: 걸림부재 130: 제 2 구동모터
140: 제 1 회전부재 140a, 190a: 돌기
141: 제 1 돌출부 142: 후크
150: 릴리즈 레버 151: 제 2 돌출부
152; 제 3 돌출부 160: 락킹레버
170: 제 1 작동레버 180; 캐치
190: 제 2 회전부재 191: 제 2 작동레버
195: 작동 와이어

Claims (4)

  1. 차량의 도어 내부에 장착되고, 내측에 제 1, 2, 3 및 4 중심축(111, 112, 113, 114)이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110);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내측에 장착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며, 단부에 웜 기어(121, 131)가 각각 형성된 제 1 및 2 구동모터(120, 130);
    상기 웜 기어(121)에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기어가 구비되고, 중심부가 상기 제 1 중심축(111)에 끼워져 상기 웜 기어(1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제 1 돌출부(141) 및 후크(142)가 형성된 제 1 회전부재(140);
    상기 제 2 중심축(112)에 끼워져 상기 제 2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제 1 돌출부(141)와 접촉되는 제 2 돌출부(151)가 형성되고 상기 후크(142)에 걸리도록 위치되는 제 3 돌출부(152)가 형성되어 상기 제 1 회전부재(140)의 회전 시, 제 3 돌출부(152)가 상기 후크(142)로부터의 걸림이 해제됨으로써 회전되는 릴리즈 레버(150);
    상기 릴리즈 레버(150)의 전면부에 소정 정도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락킹레버(160);
    상기 릴리즈 레버(150)의 후면부에, 상기 락킹레버(160)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제 1 작동레버(170);
    상기 제 3 중심축(113)에 끼워져 상기 제 3 중심축(11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락킹레버(160)에 의해 회전이 구속 및 구속해제되는 캐치(180); 및
    상기 제 4 중심축(114)에 끼워져 상기 제 4 중심축(114)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웜 기어(131)에 맞물리도록 기어가 형성되어 상기 제 2 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는 제 2 회전부재(19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및 2 회전부재(140, 190)는 각각 돌기(140a, 190a)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2 구동모터(120, 130)에는, 단부가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걸림부재(125, 135)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및 2 구동모터(120, 130)의 작동 시, 상기 걸림부재(125, 135)가 상기 돌기(140a, 190a)에 각각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제 1 및 2 회전부재(140, 190)의 역회전이 방지되는 차량용 E-래치(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회전부재(190)는,
    상기 제 2 회전부재(190)의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ㄱ"형상의 제 2 작동레버(191)가 구비되는 차량용 E-래치(100).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2 작동레버(191)의 하측부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제 2 작동레버(191)를 소정 정도 회전시키는 작동 와이어(195)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E-래치(100).
  4. 삭제
KR1020190038300A 2019-04-02 2019-04-02 차량용 e-래치 KR102130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300A KR102130563B1 (ko) 2019-04-02 2019-04-02 차량용 e-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8300A KR102130563B1 (ko) 2019-04-02 2019-04-02 차량용 e-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563B1 true KR102130563B1 (ko) 2020-07-06

Family

ID=7157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300A KR102130563B1 (ko) 2019-04-02 2019-04-02 차량용 e-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5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3384A1 (en) * 2008-05-26 2012-12-13 Magna Closures S.P.A. Vehicular latch with double pawl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313384A1 (en) * 2008-05-26 2012-12-13 Magna Closures S.P.A. Vehicular latch with double pawl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4184B (zh) 用于车辆的后背门打开和关闭装置
JP5219143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637820B1 (ko) 차량용 리트랙터블 핸들 장치
EP2946051B1 (en) Lock for a motor vehicle
CN1710233A (zh) 机动车辆的锁
US20040036298A1 (en) Door lock device
JP2007535627A (ja) 車両の外側ドアハンドル用ロータリロッキング機構
US10648202B2 (en) Lock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hood, and method
JP2009235845A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US5029915A (en) Vehicle door locking system
CN103556887A (zh) 一种带防误锁功能的中控门锁
JP6338870B2 (ja) 車両用のドアラッチ装置
KR20190092174A (ko) 파워 차일드 록 조작장치
KR102130563B1 (ko) 차량용 e-래치
JP2015209642A (ja) 車両用のドアラッチ装置
PL178100B1 (pl) Zamek uruchamiany elektrycznie, zwłaszcza do drzwi pojazdu
JP6267944B2 (ja) 車両用のドアラッチ装置
CN216641762U (zh) 电动释放闩锁系统
US11365565B2 (en)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TWI524001B (zh) Door machine with direction set assembly
JP2011085006A (ja) 車両用折り畳み幌のロック装置
CN212984940U (zh) 自动门锁的脱离机构
CN211369887U (zh) 车用电动儿童锁
CN203487898U (zh) 一种带防误锁功能的中控门锁
JP3661103B2 (ja) 電気錠の非常解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