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539B1 -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 - Google Patents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539B1
KR102130539B1 KR1020180075739A KR20180075739A KR102130539B1 KR 102130539 B1 KR102130539 B1 KR 102130539B1 KR 1020180075739 A KR1020180075739 A KR 1020180075739A KR 20180075739 A KR20180075739 A KR 20180075739A KR 102130539 B1 KR102130539 B1 KR 102130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upport
unit
amount
sn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338A (ko
Inventor
정성규
유충현
박종현
이윤호
이호익
류혜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한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한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한산업
Priority to KR102018007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53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5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의 모터 및 상기 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제설제를 측 방향으로 비산시키는 비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용배터리;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비산부에서 요구되는 전압이 충족되지 않을 때에 추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태양열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집열판; 및 상기 태양열집열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비산부에서 요구되는 전원이 충족되지 않을 때에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비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 {SNOW REMOVAL ELECTRIC SPRAY APPARATUS FOR VEHICLES WITH RELIABLE POWER SUPPLY}
본 발명은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고, 차량의 시동을 개시하는 등과 같이 급격히 많은 전원이 차량 주행에 사용될 때에 제설제 살포기에 공급되던 전기에너지가 부족하게 되면 태양열에너지로부터 제공되어 저장되는 전기에너지가 제설제 살포기에 공급되도록 하면서 안정적인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의 도로 위에 쌓이는 눈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설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으로 염화나트륨을 뿌려 눈을 녹이거나, 전면부에 삽날이 설치된 제설차량을 운행하면서 도로면에 삽날을 밀착시켜 도로에 쌓인 눈을 도로의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제설작업을 행하고 있다.
일반적인 살포기는 염화칼슘이 저장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로부터 염화칼슘을 배출시키는 공급구동부를 포함한다.
살포기가 설치되는 차량이 주행하면서 공급구동부가 구동되면 저장탱크에 담겨진 염화칼슘이 도로에 분사되면서 제설작업을 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1997-0065896호(1997년 10월 13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도로 보수트럭을 이용한 모래(염화칼슘혼합)자동 살포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제설제 살포기는, 별도의 에너지 공급부 없이 차량용 배터리에서 제공하는 전기에너지만을 사용하며 구동되었기 때문에 차량의 기동을 개시하거나 냉방기 등의 전기장치를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가 충분치 않게 공급되어 제설제 살포기의 구동이 불완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고, 차량의 시동을 개시하는 등과 같이 급격히 많은 전원이 차량 주행에 사용될 때에 제설제 살포기에 공급되던 전기에너지가 부족하게 되면 태양열에너지로부터 제공되어 저장되는 전기에너지가 제설제 살포기에 공급되도록 하면서 안정적인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구동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의 모터 및 상기 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제설제를 측 방향으로 비산시키는 비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용배터리;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비산부에서 요구되는 전압이 충족되지 않을 때에 추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태양열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집열판; 및 상기 태양열집열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비산부에서 요구되는 전원이 충족되지 않을 때에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비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차량용배터리로부터 상기 구동배터리 측으로 전기에너지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용배터리와 상기 구동배터리 사이에는 아이솔레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본체케이스는, 베이스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모서리에 각각 지지대가 설치되는데, 상기 본체케이스의 투입구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에는 한 쌍의 제1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토출구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단에는 한 쌍의 제2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는, 선택연결부에 의해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선택연결부는, 상기 베이스플레임 일측에 설치되고, 힌지홀부 및 거치홀부가 형성되는 연결케이스; 및 상기 연결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상기 제2지지대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홀부와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케이스는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배면과 저면이 개구되며, 양측면에 상기 연결홀부와 연결부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힌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케이스의 개구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상기 제2지지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밀착되게 접혀진 후에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상기 제2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거치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는, 태양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저장하는 태양열집광판 및 구동배터리가 구비되므로 차량용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불안정할 때에는 구동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살포기에서 요구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는, 본체케이스에 저장되는 제설제의 토출량을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는 감지부와, 본체케이스에 투입된 제설제의 양을 입력할 수 있고, 도로에 쌓인 눈의 적설량 및 도로폭을 입력할 수 있는 조작부와,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와, 감지부로부터 수신되는 토출량 정보를 판단하여 제설작업 가능한 도로의 길이를 표시할 수 있어 작업자가 제설제 창고와의 거리를 판단하면서 제설차량의 효과적인 운행을 계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는, 본체케이스로부터 제설제를 토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에 체인부재 및 벨트부재가 이중으로 설치되므로 제설제에 의해 금속재질의 체인부재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설제의 하중에 의해 벨트부재가 팽창되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컨베이어의 오작동 및 파손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승차작업이 도시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컨베이어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컨베이어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컨베이어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전원공급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제1지지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선택연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제1지지대 펼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제1지지대 접힌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승차작업이 도시된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컨베이어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컨베이어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컨베이어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전원공급부가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제1지지대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선택연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제1지지대 펼친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의 제1지지대 접힌 상태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는, 제설제가 담수되는 저장탱크를 제공하고, 투입구(12) 및 토출구(14)가 구비되는 본체케이스(10)와, 투입구(12)를 통해 본체케이스(10) 내부로 공급되는 제설제를 토출구(14) 측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30)와, 토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제설제를 사방으로 넓게 펼치면서 비산시켜 도로 전체에 제설제를 도포시키는 비산부(50)와, 토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제설제의 양을 판단하도록 컨베이어(30)의 구동량을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감지부(56)와, 감지부(56)로부터 수신되는 컨베이어(30)의 구동량, 및 작업자가 입력하는 적설량 및 도로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설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 거리를 판단하는 제어부(100)와,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가능 거리를 표시하고, 적설량 및 도로폭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7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본체케이스(10)에 제설제를 투입하여 저장탱크를 채우고, 제설작업을 개시하면 컨베이어(30)에 동력이 공급되면서 본체케이스(10)에 저장되는 제설제가 토출구(14) 측으로 이동되면서 도로에 뿌려지게 되는데, 이때 비산부(50)의 작동에 의해 제설제가 양측 방향으로 비산되면서 도로 전체에 제설제가 뿌려지게 된다.
본 실시예는 감지부(56)의 작동에 의해 토출구(14)를 통해 비산되는 제설제의 양을 감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입력하는 정보에 따라 현재 제설차량이 통과하는 도로의 적설량 및 도로폭을 판단하여 컨베이어(30)의 구동정도를 결정하게 되고, 본체케이스(10)에 저장되는 제설제의 양과 단위 시간 내에 토출되는 제설제의 양을 계산하여 디스플레이부(70)에 제설작업이 가능한 도로의 길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설 차량을 운전하는 작업자는 현재 본체케이스(10)에 저장된 제설제의 잔량과 그 제설제 잔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제설작업 가능한 도로의 길이를 확인하면서 제설제를 보충할 수 있는 창고까지의 거리와 비교하여 효과적인 제설차량의 주행경로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설작업 가능한 거리가 10Km인 경우에 창고까지의 거리가 20Km이면, 10Km 내에서 제설제를 보충할 수 있는 다른 창고나 기착지까지 운행한 후에 제설제를 보충하고 다음의 경로를 결정할 수 있게 되므로 제설제를 살포하지 않고 차량만 주행하게 되는 작업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컨베이어(30)는, 투입구(12)를 통해 공급되는 제설제가 안착되도록 본체케이스(10)에 토출구(14) 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제설제가 안착되는 벨트부재(36)와, 벨트부재(36)를 지지하도록 벨트부재(36)에 내벽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체인부재(34)와, 체인부재(34)를 순환되게 지지하고, 구동부의 동력이 전달되는 복수 개의 스프로킷(32)을 포함한다.
본체케이스(10)의 저면에는 한 쌍 또는 3개 이상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는데, 본체케이스(10) 일단에 구비되는 토출구(14) 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와, 토출구(14) 반대 측 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에는 각각 한 쌍의 스프로킷(32)이 설치되어 4개의 스프로킷(32)을 감싸도록 폐곡선 모양의 체인부재(34)가 설치된다.
따라서 모터(54)의 작동에 의해 하나의 가이드롤러가 회전되면 가이드롤러 양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로킷(32)이 동시에 회전되면서 복수 개의 가이드롤러에 권취된 체인부재(34)가 회전되면서 순환하게 된다.
체인부재(34)의 외벽에는 벨트부재(36)가 밀착되게 설치되어 체인부재(34)와 함께 순환되므로 본체케이스(10) 내부에 투입되는 제설제는 벨트부재(36)의 상면에 안착되고, 모터(54)의 동력이 가이드롤러에 제공되면 가이드롤러, 스프로킷(32), 체인부재(34) 및 벨트부재(36)가 회전되면서 제설제를 토출구(14) 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본체케이스(10)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설제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체인부재(34)와 접촉되지 않고 체인부재(34)를 감싸는 합성수지재질의 벨트부재(36)와 제설제가 접촉되므로 제설제에 의해 체인부재(34)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설제가 본체케이스(10) 내부로 투입될 때에 낙하되는 제설제가 탄성재질을 포함하는 벨트부재(36)에 안착되면서 제설제 낙하에 의한 충격이 벨트부재(36)의 압축 팽창 작용에 의해 상쇄되면서 체인부재(34)에 전달되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체인부재(34)에 전달되는 충격이 감소되고, 체인부재(34)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컨베이어(30)의 수명 및 컨베이어(30)에 전달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감지부(56)는, 스프로킷(32)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송신하는 근접센서(58)를 포함하므로 단위 시간당 돌출부(32a)가 근접센서(58)를 통과하는 개수를 측정하여 스프로킷(32)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고, 스프로킷(32)의 회전량과, 토출구(14)의 단면적 곱하여 단위 시간당 제설제의 토출량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근접센서(58)는, 스프로킷(32)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스프로킷(32)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 개의 돌출부(32a)가 측정 시간 내에 근섭센서를 통과하는 횟수를 감지하여 송신하므로 단위 시간 동안 근접센서(58)를 통과하는 돌출부(32a)의 횟수에 따라 벨트부재(36)의 회전속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70)에 입력되는 제설제의 저장량과, 적설량 및 도로폭을 입력하면 적설량에 비례하여 스프로킷(32)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제설제의 토출량을 증가시키고, 도로폭이 넓을수록 제설제의 토출량을 증가시켜 비산부(50)의 작동에 의해 측 방향으로 비산되는 제설제의 양을 증가시키면서 제설제가 도로의 양측 단부까지 고르게 살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설제의 토출량이 증가되면 제설작업 가능한 도로의 길이가 감소하게 되고, 이는 디스플레이부(70)의 가능거리표시부(78)에 작업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표시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설작업이 가능한 거리를 확인하면서 제설제를 보충할 수 있는 창고와의 거리와 같이 감안하여 제설차량의 주행 경로를 효과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디스플레이부(70)는, 본체케이스(10)에 적재된 제설제의 양을 입력하고, 본체케이스(10)에 적재된 제설제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72)와, 도로에 누적되는 눈의 적설량을 입력하고, 적설량을 표시하는 적설량표시부(74)와,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는 도로의 폭을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도로의 폭을 표시하는 도로폭표시부(76)와, 잔량표시부(72), 적설량표시부(74) 및 도로폭표시부(76)에 입력되는 신호를 취합하여 본체케이스(10)에 수납되는 제설제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는 제설작업 가능한 도로의 길이를 표시하는 작업거리표시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70)를 이루는 표시창은 제설제 살포장치가 안착되는 차량의 운전석 대시보드에 설치되어 제설제 살포장치를 탑재한 제설차량을 주행자가 운행하는 경우에는 운적석에서 확인 가능한 디스플레이부(70)를 조작 또는 확인하면서 제설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본체케이스(10)는, 베이스프레임(10a)에 지지되도록 베이스프레임(10a) 상면에 본체케이스(10)가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10a)의 모서리에 각각 지지대가 설치되는데, 투입구(12)에 대향되는 베이스프레임(10a)의 일측 모서리에는 한 쌍의 제1지지대(17)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지지대(17)와 베이스프레임(10a) 사이에는 출몰실린더(17a)가 설치된다.
따라서 출몰실린더(17a)로부터 로드가 돌출되게 하면 제1지지대(17)가 베이스프레임(10a)으로부터 하측으로 회전되면서 펼쳐지면서 본체케이스(10)를 지지하게 되고, 본체케이스(10)를 차량에 실을 때에는 본체케이스(10)의 저면으로 차량의 수납부가 삽입되게 하면 차량의 수단부 단부가 제1지지대(17)를 본체케이스(10) 저면으로 가압하면서 회전시키게 된다.
출몰실린더(17a)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어 본체케이스(10)가 차량의 수납부 내측으로 슬라이딩될 때에는 본체케이스(10)의 단부가 차량의 수납부와 간섭되지 않도록 본체케이스(10) 하단 모서리로부터 측방향으로 한 쌍의 연장대(16a)가 설치되고, 연장대(16a)의 단부에 이송롤러(16)가 설치되므로 작업자는 제1지지대(17)를 본체케이스(10) 저면으로 회전시킨 후에 본체케이스(10)의 모서리를 차량의 수납부에 안착시키는데, 이때, 이송롤러(16)가 차량 수납부에 안착되어 본체케이스(10)를 차량 수납부 내부로 쉽게 슬라이딩시키면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차량을 후진시켜 수납부의 단부를 투입구(12) 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지지대(18)가 외측으로 접혀지면서 본체케이스(10) 전체가 차량의 수납부에 안착되게 되고, 상측으로 회전되어 본체케이스(1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대(18)는 삽입대(18a) 내측으로 삽입시켜 차량의 수납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원공급부(80)는, 차량의 구동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88)와, 발전기(88)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본체케이스(10)에 설치되는 컨베이어(30)의 모터(54) 및 컨베이어(30)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제설제를 측 방향으로 비산시키는 비산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용배터리(87)와, 모터(54) 또는 비산부(50)에서 요구되는 전압이 충족되지 않을 때에 추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태양열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집열판(82)과, 태양열집열판(82)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모터(54) 또는 비산부(50)에서 요구되는 전원이 충족되지 않을 때에 모터(54) 또는 비산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배터리(84)를 포함한다.
모터(54)는, 토출구(14) 외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비산팬(52)에 동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제설제는 차량의 양측 방향으로 비산되면서 토출되어 도로 전체에 살포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차량 주행 중에 컨베이어(30)와 비산팬(52)이 구동되면 컨베이어(30)를 따라 토출구(14) 측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제설제는 비산팬(52)과 충돌되면서 측 방향으로 비산되게 되고, 차량용배터리(87)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부족한 경우에는 태양열집열판(82)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모터(54)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컨베이어(30) 및 비산팬(52)의 구동에 요구되는 전기에너지는 차량용배터리(87)로부터 공급되는데, 차량의 시공을 개시하거나 야간 운행으로 라이트를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는 등의 경우와 같이 차량 운행에 요구되는 전기에너지가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컨베이어(30) 및 비산팬(52) 구동에 요구되는 전기에너지가 부족하게 되는데, 이때, 구동배터리(84)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컨베이어(30) 및 비산팬(52)을 구동시키는 모터에 안정적인 전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차량용배터리(87)와 구동배터리(84) 사이에는 아이솔레이터(89)가 설치되므로 차량용배터리(87)로부터 구동배터리(84) 측으로 전기에너지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구동배터리(84)에는 충전기(86)가 연결되어 전기 차량과 같이 전기에너지를 충전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54)는, 벨트, 체인, 기어 또는 풀리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사용하여 하나의 모터(54)로부터 컨베이어(30)에 동력을 제공하면서, 비산팬(52))에 동력을 제공하여 동력 제공을 위한 기술구성을 간소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제1지지대(17) 및 제2지지대(18)는, 선택연결부(20)에 의해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로 베이스프레임(10a)에 설치되므로 차량에 적재하게 전에는 제1지지대(17) 및 제2지지대(18)를 펼친 상태로 유지시켜 본체케이스(10)를 지지하고, 차량의 수납부에 적재시킬 때에는 제1지지대(17) 및 제2지지대(18)를 베이스프레임(10a)에 밀착되게 접어 편리한 적재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선택연결부(20)는, 베이스플레임(10a) 일측에 설치되고, 힌지홀부(22a) 및 거치홀부(22b)가 형성되는 연결케이스(22)와, 연결케이스(22) 내부로 삽입되는 제1지지대(17) 또는 제2지지대(18) 단부에 형성되고, 힌지홀부(22a)와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부(17a)를 포함한다.
연결케이스(22)는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배면과 저면이 개구되며, 양측면에 연결홀부(17a)와 연결부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힌지홀부(22a)가 형성되고, 연결케이스(22)의 개구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지지대(17) 또는 제2지지대(18)가 베이스프레임(10a)에 밀착되게 접혀진 후에 제1지지대(17) 또는 제2지지대(18)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거치홀부(22b)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케이스(22)와 베이스프레임(10a) 사이에는, 연결케이스(22)의 상면과 베이스프레임(10a)의 상면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연결케이스(22)의 연결강도를 향상시키는 제1리브(24)와, 연결케이스(22)의 측면을 감싸고 베이스프레임(10a)에 연결되어 연결케이스(22)의 연결강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제2리브(26)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1지지대(17) 및 제2지지대(18)를 베이스프레임(10a)에 펼친 상태와 접힌 상태로 선택하여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미설명 부호 72a는 본체케이스(10) 내부에 공급되는 제설제의 양을 작업자가 입력하는 제1입력부(72a)이고, 74a는 작업자가 적설량을 입력하는 제2입력부(74a)이고, 76a는 작업자가 도로폭을 입력하는 제3입력부(76a)이고, 88은 차량의 구동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차량용배터리(87)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88)이다.
이로써,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제공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고, 차량의 시동을 개시하는 등과 같이 급격히 많은 전원이 차량 주행에 사용될 때에 제설제 살포기에 공급되던 전기에너지가 부족하게 되면 태양열에너지로부터 제공되어 저장되는 전기에너지가 제설제 살포기에 공급되도록 하면서 안정적인 전기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살포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케이스 10a : 베이스프레임
12 : 투입구 14 : 토출구
16 : 이송롤러 16a : 연장대
17 : 제1지지대 17a : 출몰실린더
18 : 제2지지대 18a : 삽입대
30 : 컨베이어 32 : 스프로킷
32a : 돌기부 34 : 체인부재
36 : 벨트부재 50 : 비산부
52 : 비산팬 54 : 구동부
56 : 감지부 58 : 근접센서
70 : 디스플레이부 72 : 잔량표시부
72a : 제1입력부 74 : 적설량표시부
74a : 제2입력부 76 : 도로폭표시부
76a : 제3입력부 78 : 작업거리표시부
80 : 전원공급부 82 : 태양열집열판
84 : 구동배터리 86 : 충전기
87 : 차량용배터리 88 : 발전기
89 : 아이솔레이터 100 : 제어부

Claims (5)

  1. 차량의 구동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발전기;
    상기 발전기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본체케이스에 설치되는 컨베이어의 모터 및 상기 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토출되는 제설제를 측 방향으로 비산시키는 비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용배터리;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비산부에서 요구되는 전압이 충족되지 않을 때에 추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태양열에너지를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태양열집열판; 및
    상기 태양열집열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비산부에서 요구되는 전원이 충족되지 않을 때에 상기 모터 또는 상기 비산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동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케이스는, 베이스프레임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모서리에 각각 지지대가 설치되는데, 상기 본체케이스의 투입구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에는 한 쌍의 제1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본체케이스의 토출구에 대향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단에는 한 쌍의 제2지지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지지대 및 상기 제2지지대는, 선택연결부에 의해 펼쳐진 상태 또는 접혀진 상태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선택연결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일측에 설치되고, 힌지홀부 및 거치홀부가 형성되는 연결케이스; 및
    상기 연결케이스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상기 제2지지대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홀부와 연결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용배터리로부터 상기 구동배터리 측으로 전기에너지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용배터리와 상기 구동배터리 사이에는 아이솔레이터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케이스는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배면과 저면이 개구되며, 양측면에 상기 연결홀부와 연결부재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힌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케이스의 개구부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상기 제2지지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밀착되게 접혀진 후에 상기 제1지지대 또는 상기 제2지지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삽입되는 거치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제설제의 양을 판단하도록 상기 컨베이어(30)의 구동량을 감지하여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감지부(56);
    상기 감지부(56)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컨베이어(30)의 구동량, 및 작업자가 입력하는 적설량 및 도로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설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 거리를 판단하는 제어부(100); 및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송신되는 가능 거리를 표시하고, 적설량 및 도로폭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70)는,
    상기 본체케이스(10)에 적재된 제설제의 양을 입력하고, 상기 본체케이스(10)에 적재된 제설제의 잔량을 표시하는 잔량표시부(72);
    도로에 누적되는 눈의 적설량을 입력하고, 적설량을 표시하는 적설량표시부(74);
    제설작업이 이루어지는 도로의 폭을 입력하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도로의 폭을 표시하는 도로폭표시부(76); 및
    상기 잔량표시부(72), 상기 적설량표시부(74) 및 상기 도로폭표시부(76)에 입력되는 신호를 취합하여 상기 본체케이스(10)에 수납되는 제설제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는 제설작업 가능한 도로의 길이를 표시하는 작업거리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5739A 2018-06-29 2018-06-29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 KR102130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39A KR102130539B1 (ko) 2018-06-29 2018-06-29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5739A KR102130539B1 (ko) 2018-06-29 2018-06-29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38A KR20200002338A (ko) 2020-01-08
KR102130539B1 true KR102130539B1 (ko) 2020-08-05

Family

ID=6915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5739A KR102130539B1 (ko) 2018-06-29 2018-06-29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522B1 (ko) * 2021-07-20 2022-12-08 주식회사 자동기 제설제 살포기 전력 공급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059A (ja) * 2004-01-23 2005-08-04 Shin Meiwa Ind Co Ltd 道路維持補修用車輌の運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462B1 (ko) * 2000-07-01 2002-12-11 김승경 수륙양용 청소차
KR101365159B1 (ko) * 2012-03-14 2014-03-12 주식회사 자동기 전기식 제설제 살포기
KR101752844B1 (ko) * 2015-11-10 2017-07-12 한국도로공사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6059A (ja) * 2004-01-23 2005-08-04 Shin Meiwa Ind Co Ltd 道路維持補修用車輌の運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338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540B1 (ko) 스마트 살포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제설제 살포기
KR102130539B1 (ko)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
US9855924B2 (en) Autonomous ecologic rainwater collection system for replenishing washer fluid in a motor vehicle
CN108286219A (zh) 电子标线机
JP4852467B2 (ja) 建設機械のタンク装置
JP2003268802A (ja) 旋回型作業機械
US20130266408A1 (en) On board rock duster scoop bucket
CN214929241U (zh) 一种运输车
KR102054474B1 (ko) 세차전용 트럭 시스템
JP6822883B2 (ja) 塵芥収集車
JP2011098576A (ja) 水タンクを備えた貨物自動車
CN201002547Y (zh) 自卸车
KR200481277Y1 (ko) 차량용 클립의 식모사 부착장치
JP2016013784A (ja) 自動車の洗浄装置
KR200359707Y1 (ko) 차량에 탑재된 제설제 살포장치
IT201900010311A1 (it) Stazione mobile di lavaggio sostanzialmente a secco, in particolare per veicoli inclusi piccoli velivoli
KR20210157490A (ko) 충전 기능을 갖는 카트 로봇
IT201900010320A1 (it) Stazione mobile di lavaggio sostanzialmente a secco, in particolare per veicoli inclusi piccoli velivoli
JP5517881B2 (ja) 車両用充電装置
KR200476845Y1 (ko) 덤프 트럭의 리어 게이트 고정장치
FR3074452B1 (fr) Ensemble pour chassis de vehicule hybride facilitant l'acces a un reservoir
JP3117914B2 (ja) 清掃作業車
CN213109202U (zh) 一种传感器装置及车辆
US10682941B2 (en) Material handling system for facilitating selective material movement and methods for employing such a system
CN207809180U (zh) 一种动车电机定子、转子智能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