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844B1 -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844B1
KR101752844B1 KR1020150157339A KR20150157339A KR101752844B1 KR 101752844 B1 KR101752844 B1 KR 101752844B1 KR 1020150157339 A KR1020150157339 A KR 1020150157339A KR 20150157339 A KR20150157339 A KR 20150157339A KR 101752844 B1 KR101752844 B1 KR 10175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 removing
snow
loading box
load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051A (ko
Inventor
유상희
정상열
유성훈
임현호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한림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한림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15015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84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7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or applying liquid or semi-liquid thawing material or spreading granular material on wintry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을 후진시켜 적재함의 단부가 전방 지지대를 밀면서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부를 적재함의 바닥면에 밀착시킨 다음 지속적으로 후진하면서 제설장치를 적재함에 상차하고, 차량을 전진시켜 전방 지지대가 자연스럽게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바닥면에 세워지도록 한 다음 전진하여 제설장치를 적재함으로부터 하차시키며, 적재함에 제설장치가 상차되면 상기 결속장치를 통해 제설장치를 적재함 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가 흔들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LOADING AND UNDLOADING SYSTEM OF SNOW REMOVAL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을 후진시켜 적재함의 단부가 전방 지지대를 밀면서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부를 적재함의 바닥면에 밀착시킨 다음 지속적으로 후진하면서 제설장치를 적재함에 상차하고, 차량을 전진시켜 전방 지지대가 자연스럽게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바닥면에 세워지도록 한 다음 전진하여 제설장치를 적재함으로부터 하차시키며, 적재함에 제설장치가 상차되면 상기 결속장치를 통해 제설장치를 적재함 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가 흔들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설장치는 모래와 염화칼슘의 혼합재인 제설재를 차량에 상차(탑재)하여 도로에 살포함으로써 눈을 녹이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으로, 트럭등의 적재함에 상차시켜 이동하면서 결빙도로에 제설재를 살포시킴으로써 차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이에따라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의 제설장치는 내부에 제설제가 채워지는 호퍼형의 제설제 적재함이 구비되고, 상기 제설제 적재함의 일측에는 제설제를 살포할 수 있는 살포기가 배치되며, 이러한 제설장치는 눈이 많이 내리는 동절기에 주로 사용하므로 필요시 차량의 적재함에 상차하여 사용하였다.
상기의 살포장치는 차량의 적재함 높이보다 더 높이 제설제 적재함이 배치되도록 상기 제설제 적재함에 탈착이 가능한 복수의 지지대를 필수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종래의 제설제 적재함을 차량에 상차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적재함이 제설제 적재함 아래로 들어가도록 차량을 이동시킨 후 복수의 지지대를 제거하여 차량의 적재함에 상차하였고, 차량에서 상기 제설제 적재함을 하차시키는 경우 상기 지지대를 차량의 적재함보다 제설제 적재함이 높게 위치하도록 배치한 후 차량을 이동시켜 제설제 적재함의 하차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제설제 적재함은 지지대를 탈착하는 것이 번거롭고 또한, 차량의 적재함에 상, 하차 할 경우 지지대를 이용하여 그 높이를 조정해야 하므로 지지대의 높이를 조정하는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9708호에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 제설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의 제설장치는 제설제를 수납할 수 있는 제설제 적재함과; 상기 제설제 적재함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설제 적재함의 제설제를 살포하는 제설제 살포기와; 상기 제설제 적재함의 바닥측에 세워지거나 접혀질 수 있도록 흰지 결합되는 제1, 2지지대와; 상기 복수의 지지대와 일정한 거리가 띄워져 상기 제설제 적재함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며, 착, 탈이 가능한 제3, 4지지대와; 상기 제1, 2지지대가 상기 제설제 적재함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설제 적재함을 일정한 높이에 세울 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힘이 작용하도록 상기 제1, 2지지대와 상기 제설제 적재함의 바닥측에 결합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차량을 후진시켜 상기 지지대를 밀면서 차량의 적재함에 제설제 적재함을 탑재하고, 반대로 차량을 전진시키면 상기 지지대가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바닥에 세워지도록 하여 제설제 적재함을 하차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의 제설장치에는 차량 적재함에 적재(상차)된 제설제 적재함이 적재함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장치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차량 주행시 제설제 적재함이 차량의 적재함 내부에서 전후좌우로 흔들려 주행에 어려움을 줄 수 있고, 제설제 적재함이 이탈하여 도로에 떨어지면 후방에서 진행중인 차량에 방해가 될 수 있고,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 충전된 제설제가 무분별하게 뿌려지면서 자원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제설장치는 그 폭이 차량 적재함 내부의 폭보다 미세하게 좁기 때문에 좌우측 간격을 유지하면서(적재시 적재함과 제설장치 사이에 약 10cm의 폭이 형성됨) 제설장치를 상차하는 작업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제설장치와 적재함 사이의 좌우측 폭이 상이하여 좌우 균형이 맞지 않은 상태로 염화물이 채워진 제설장치가 적재함 내에 상차되면 주행시 쏠림(Rolling)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정중앙 진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그런데, 상기의 제설장치는 차량 후진시 적재함의 외주면이 지지대와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지지대를 밀어 올려 적재함 내에 상차할 수는 있으나, 상차시 제설장치와 적재함 사이의 좌우 폭이 균일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차량의 후방에서 별도로 작업자가 운전자에게 수신호를 해야 하므로 인력이 소모되고, 번거로우며, 운전자가 좌우 균형을 맞추기 위해 반복하여 탑재를 시도할 수 있으므로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적재함 내부에 제설장치를 상차한 다음 결속장치를 통해 상기 제설장치를 적재함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하여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가 흔들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의 폭이 차량 적재함 내부의 폭보다 미세하게 좁아서 적재함에 제설장치를 상차할 때 제설장치를 적재함의 정위치(제설장치와 적재함 사이의 좌우측 폭이 동일한 위치)에 상차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적재함에 제설장치를 상차한 상태에서 주행할 때 차량이 과속방지턱이나 노면이 불균일한 도로를 통과하는 경우 그 진동이 제설장치에 전달되어 제설장치가 흔들리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과 후면이 개방형성되는 적재함이 구비되는 차량과;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 상차되는 것으로, 내부에 제설제가 채워지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결합되어 호퍼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접혀지거나 세워질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는 전방 지지대와, 상기 전방 지지대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호퍼가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후방 지지대와, 상기 호퍼 내부에 채워진 제설제를 살포하기 위한 살포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차량을 후진시키면 적재함이 전방 지지대를 밀면서 적재함에 상차되는 제설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을 후진시켜 적재함의 단부가 전방 지지대를 밀면서 베이스프레임의 전단부 바닥면이 적재함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점차 후진하면서 제설장치를 적재함에 상차하고, 차량을 전진시켜 전방 지지대가 자연스럽게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바닥면에 세워지도록 한 다음, 차량을 계속 전진하면서 제설장치를 적재함에서 하차시키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길이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부로 구성되는 트위스트 락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와 끼움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트위스트 락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몸체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트위스트 락 지지구가 하나의 조를 이루어 구성되는 결속장치와;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는 상기 트위스트 락과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속홈;이 형성되어, 차량을 후진시켜 제설장치의 상차가 완료되어 적재함과 트위스트 락 지지구가 마주보게 되면 상기 트위스트 락을 밀어서 끼움부가 결속홈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몸체를 회전시켜 끼움부가 결속홈의 외주면에 결속되도록 하여 제설장치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가 적재함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설장치의 전방 외주면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형상의 돌출부가 결합되고, 상기 적재함의 전방측 내주면에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막혀있고 바닥면이 개방형성되는 도킹 브라켓이 결합되어, 상기 도킹 브라켓이 돌출부의 상면과, 양측면을 지지하여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의 전방측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에는 적재함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제설장치를 적재함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러의 외주면 하단이 상기 프레임의 저면과 동일면에 위치하도록 롤러를 결합하여 제설장치의 상차시 제설장치의 하중이 프레임 전체에 등분포 하중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롤러의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확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 양측 단부에는 제설장치를 적재함 내부에 상차할 때 제설장치와 적재함 사이의 좌우측 폭이 동일한 상태로 진입하여 정위치에 적재될 수 있도록 모서리를 따라 가이드레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태의 유도부가 형성되며, 제설장치가 적재함 내부에 초기 진입시 롤러가 상기 유도부를 따라 자연스럽게 가이드레일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정위치에 적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단면이 "∧"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이 주행중 흔들리더라도 제설장치가 흔들리거나 적재함의 측벽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후방 지지대는 베이스프레임의 후방 외주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핀을 삽입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핀 삽입공이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핀 삽입공이 상하 다단으로 형성되어 후방 지지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도킹 브라켓의 양측면 입구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태의 유도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도킹 브라켓 내부로 초기 진입시 유도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자연스럽게 도킹 브라켓 내부로 투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설장치의 외주면에는 운전자가 제설장치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제설장치를 상차할 수 있도록 유도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도안테나는 제설장치가 적재함에 상차될 때 적재함의 측벽 내주면에 가압되면서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적재함 내부에 제설장치를 상차한 다음 결속장치를 통해 상기 제설장치를 적재함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가 흔들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위스트 락과, 트위스트 락 지지구 및 결속홈을 통해 제설장치를 적재함에 신속용이하게 그리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를 통해 제설장치가 적재함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고, 롤러의 외주면 하단이 프레임의 저면과 동일면에 위치하여 제설장치의 하중이 프레임 전체에 등분포 하중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롤러의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가 상차될 때 상기 가이드레일이 제설장치를 가이드하여 정위치에 적재되도록 하고, 상기 제설장치가 적재함 내부에 진입할 때 좌우측 폭이 서로 다른 상태로 진입하더라도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 형성된 유도부를 따라 자연스럽게 가이드레일 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차작업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면이 "∧"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이 주행중 흔들리더라도 제설장치가 흔들리거나 좌우 모서리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지지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도로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높이를 선택하여 후방 지지대를 세울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 브라켓이 돌출부의 상면과 양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제설장치의 전방측을 고정함으로써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의 전방측이 좌우로 흔들리거나 상하로 들썩이면서 적재된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킹 브라켓의 입구에 형성된 유도부를 통해 돌출부가 도킹 브라켓 내부로 자연스럽게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안테나를 통해 운전자가 제설장치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 혼자서도 제설장치를 신속용이하게 상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제설장치를 적재함에 상하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설장치가 적재함에 상차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장치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 및 도킹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하여 적재함을 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유도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적재함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도킹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9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설장치를 적재함에 상차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겨울철 적설 및 결빙도로에 모래와 염화칼슘의 혼합재인 제설제를 살포하기 위한 제설장치를 차량의 적재함에 상차(上車) 또는 하차((下車)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차량을 후진시켜 적재함의 단부가 전방 지지대를 밀면서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부를 적재함의 바닥면에 밀착시킨 다음 지속적으로 후진하면서 제설장치를 적재함에 상차하고, 차량을 전진시켜 전방 지지대가 자연스럽게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지면에 세워지도록 한 다음 전진하여 제설장치를 적재함으로부터 하차시키며, 적재함에 제설장치가 상차되면 상기 결속장치를 통해 제설장치를 적재함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가 흔들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2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은 차량(100)과, 제설장치(200) 및 결속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100)은 제설장치가 내부에 상차될 수 있도록 상면과 후면이 개방형성되고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는 적재함(110)이 구비된다.
상기 제설장치(200)는 겨울철 적설 및 결빙도로에 모래와 염화칼슘의 혼합재인 제설제를 살포하기 위한 통상의 장치로써, 내부에 제설제가 채워지는 호퍼(210)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결합되어 호퍼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2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접혀지거나 세워질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는 전방 지지대(230)와, 상기 전방 지지대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호퍼가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후방 지지대(240)와, 상기 호퍼 내부에 채워진 제설제를 살포하기 위한 살포기(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설장치는 호퍼 내부에 채워진 제설제를 잘게 분쇄시키기 위한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제설제를 살포기 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 등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설장치(200)는 상기 전방 지지대(230)와, 후방 지지대(24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전방 지지대(23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220)의 일측(제설장치의 전방측)에 힌지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밀착되어 접혀지거나 세워져 제설장치를 일정 높이에 배치된 상태로 지지한다.
상기 후방 지지대(2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제설장치의 후방측)에 결합되어 지면으로부터 세워져 제설장치를 일정 높이에 배치된 상태로 지지한다.
상기 후방 지지대(240)는 도 3과 같이 베이스프레임의 후방 외주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핀을 삽입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핀 삽입공이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고정대(241)와, 상기 고정대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핀 삽입공이 상하 다단으로 형성되어 후방 지지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대(24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대(241)는 위에서 바라봤을 때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높이조절대와 핀 결합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소정두께와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대(242)는 상기 고정대(241) 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 지지대(240)는 고정대(241)와 높이조절대(242)가 핀(고정핀)을 매개로 탈, 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도로의 상황(현장상황)에 따라 높이조절대(242)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후방 지지대를 지면에 세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방 지지대(230)의 측방에서 전방 지지대를 지지하는 보조 지지대(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설장치(200)는 눈이 오거나 결빙구간이 발생하는 겨울철에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봄, 여름, 가을에는 주로 차고 등에서 보관한다. 제설장치(200)를 보관할 때에는 전방 지지대(230) 및 후방 지지대(240)를 기립시켜 세워 두는데, 상기 후방 지지대(240)는 핀 결합되어 있어서 지지력이 우수한 반면, 전방 지지대(230)는 이러한 수단이 없다. 따라서, 상기 전방 지지대의 측면에 볼트공이 형성된 브라켓(231)을 결합하고 상기 보조 지지대의 단부에도 볼트공이 형성된 브라켓(261)을 결합하여 상기 브라켓(231,261)을 볼트결합하여 전방 지지대(230)의 측방에서 전방 지지대를 지지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300)를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결속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상기 결속장치(300)는 적재함(110)에 상차된 제설장치(200)를 고정하여 제설장치가 주행중 흔들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트위스트 락(310)과, 트위스트 락 지지구(320)이 하나의 조를 이루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적재함(110)의 후면에는 상기 트위스트 락과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313)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속홈(111)이 형성된다.
상기 트위스트 락(310)은 소정길이의 몸체(311)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312)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부(313)로 구성된다.
상기 트위스트 락 지지구(32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후방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와 끼움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트위스트 락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홈(321)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몸체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트위스트 락(310)은 트위스트 락 지지구(320)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며, 끼움부(313)가 가이드홈(321) 내부에 위치할 때에는 회전 불가능하고, 몸체가 전진하여 끼움부(313)가 가이드홈(321) 내부에서 빠져나오면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321)은 트위스트 락(310)의 전후진시에 직진성을 부여하고,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은 차량(100)을 후진시켜 제설장치(200)의 상차가 완료되면 적재함(110)과 트위스트 락 지지구가 마주보게 되면 상기 트위스트 락을 적재함(110) 측으로 밀어서 끼움부(313)가 결속홈(111)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손잡이를 잡고 몸체를 회전시켜 끼움부가 결속홈의 외주면에 결속되도록 하여 제설장치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200)가 흔들리거나, 쏠림 현상이 발생하거나, 또는 적재함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도 9 내지 11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220)의 전방에는 적재함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제설장치를 적재함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롤러(221)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221)를 베이스프레임(220)에 결합할 때에는 롤러의 외주면 하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220)의 저면과 동일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는 상기 제설장치(200)를 적재함(110)에 상차할 때 제설장치(200)의 하중이 베이스프레임 전체에 등분포 하중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롤러(221)의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확보(연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롤러(221)의 외주면 하단이 베이스프레임(220)의 저면보다 낮게 위치한다고 가정하면 제설장치(200)가 이동할 때 제설장치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이 롤러(221)에 고스란히 전달되기 때문에 롤러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밖에 없고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상기 롤러(221)의 외주면 하단이 베이스프레임(220)의 저면과 동일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롤러에 가해지는 하중이 하중이 분산되기 때문에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고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롤러(221)를 활용한 제설장치의 상차 과정을 도 9 내지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전방 지지대(230) 및 후방 지지대(240)가 기립된 상태로 제설장치(200)가 일정 높이에 배치되어 있고, 제설장치(200)의 전방에서 차량(100)이 후진한다.
차량(100)이 후진할 때에는 적재함을 소정각도로 상승시켜 적재함(110)의 바닥면이 베이스프레임(220)의 저면보다 낮은 상태로 진입하여 제설장치(200)가 적재함(110) 내부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차량(100)이 후진하여 적재함(110)의 끝단이 전방 지지대(230)를 밀면 전방 지지대(230)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상기 롤러(221)와 베이스프레임(220)의 바닥면이 적재함(110)의 바닥면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제설장치가 적재함의 바닥면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후방 지지대(240)는 지면에 고정된 상태로 제설장치(200)의 후방을 지지하고 있다.
계속해서 차량을 후진시키면 상기 롤러(221)와, 베이스프레임(220)의 바닥면이 적재함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 및 슬라이딩하면서 제설장치를 적재함 내부로 이동시키고, 상기 전방 지지대(230)는 적재함(11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220) 측으로 회전이동되어 적재함의 바닥면에 수납된다.
상기 제설장치(200)가 적재함(110)에 상차되면 고정대(241)와 높이조절대(242)를 결속한 핀을 제거하여 높이조절대(242)를 상승시킨 다음 핀 결합하여 고정한다. 이후, 상기 트위스트 락(310)을 통해 결속하여 제설장치의 상차작업을 완료한다.
반대로, 제설장치(200)의 하차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고정대(241)와 높이조절대(242)를 결속한 핀을 제거하여 높이조절대를 하강시켜 지면에 밀착시킨 후 핀으로 고정한 다음 트위스트 락(310)을 풀어준다. 상기 트위스트 락을 먼저 풀어 준 다음 높이조절대의 높낮이 조절을 할 수도 있으나 미연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대비하여 트위스트 락을 풀어주는 작업을 나중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지지대(240)를 지면에 기립시킨 후 차량을 전진시킨다. 그러면 상기 롤러(221)와 베이스프레임(220)이 차량의 적재함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 및 슬라이딩하면서 제설장치를 적재함으로부터 점차 빠져나오게 한다. 계속해서 차량을 전진시키면 상기 전방 지지대(230)가 적재함(110)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지면에 기립되어 제설장치의 전방측을 지지하고, 차량이 완전히 빠져나오면서 제설장치의 하차작업이 완료된다.
본 발명은 상기 결속장치(300)를 통해 상차된 제설장치(200)를 적재함(110)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200)가 흔들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제설장치가 적재함의 정위치에 적재되도록 하는 가이드레일(120)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20)은 상기 적재함(110)의 바닥면 양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설장치(200)를 적재함(110)에 상차할 때 제설장치와 적재함 사이의 좌우측 폭이 동일한 상태로 진입하여 정위치에 적재되도록 가이드한다. 여기에서, 정위치에 적재된다는 것은 제설장치(200)가 적재함에 적재되었을 때 제설장치와 적재함 사이의 좌우측 폭이 동일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단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태의 유도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유도부(121)는 제설장치가 적재함에 초기 진입시에 좌우측 폭이 서로 다른 상태로 진입한 경우 롤러를 자연스럽게 가이드레일 측으로 안내하여 제설장치가 적재함의 정위치에 적재되도록 한다.
종래에는 운전자가 제설장치(200)의 상차를 위해 차량을 후진할 때, 제설장치의 측면 또는 후방에서 안내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운전자에게 수신호 등을 통해 알려줌으로써 정위치에 근접하게 상차하였고, 제설장치(200)가 적재함(110) 내에서 흔들리지 않도록 복수의 결속장치(예를 들면 턴버클)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만 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제설장치(200)가 적재함에 진입할 때 좌우측 폭이 서로 다른 상태로 진입하더라도 상기 유도부가 제설장치를 가이드레일 측으로 안내하므로 상차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은 단면이 "∧"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주행중 차량이 흔들리더라도 롤러(221)나 베이스 프레임(220)이 이동을 제한하여 제설장치(200)가 흔들리거나 적재함의 측벽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설장치(200)가 적재함에 초기 진입시 롤러가 가이드레일의 경사면 위에 올라탄 상태가 되더라도 적재함 내부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제설장치의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정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설장치의 전방 외주면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형상의 돌출부(270)가 결합되고, 상기 적재함의 전방측 내주면에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막혀있고 바닥면이 개방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도킹 브라켓(130)이 결합된다.
상기 제설장치의 상차가 완료되면 결속장치(300)를 통해 제설장치(200)의 후단부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흔들림이나 이탈을 방지한다. 그런데, 상기 제설장치(200)의 전단부를 결속하는 장치나 수단이 없다면 과속방지턱을 넘거나 노면이 불균일한 도로를 주행할 때 차량의 떨림이 그대로 전달되어 제설장치가 흔들리면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주행중 이러한 현상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전방측이 좌 또는 우측으로 점차 쏠리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도킹 브라켓(130)은 제설장치가 적재함 내에 완전히 진입하여 돌출부(270)가 내부로 삽입되면 돌출부의 상면과, 양측면을 지지하여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의 전방측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설장치가 적재함 내에서 움직이는 것을 차단하고 쏠림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도킹 브라켓의 양측면 입구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태의 유도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도킹 브라켓의 유도부(131)는 가이드레일의 유도부(121)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즉, 돌출부(270)가 도킹 브라켓(130)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진입하지 않더라도 유도부(131)가 돌출부(270)를 도킹 브라켓 내부로 가이드하여 자연스럽게 들어가도록 안내한다.
상기 유도부(131)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곡선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돌출부(270)가 유도부(131)에 밀착된 상태에서 차량이 점차 후진하면 자연스럽게 유도부(131)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도킹 브라켓 내부로 투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설장치(200)의 외주면에는 운전자가 제설장치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제설장치를 상차할 수 있도록 유도안테나(280)가 구비된다.
상기 유도안테나(280)는 운전자가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통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설장치의 측면에 폭 방향을 따라 결합되며, 제설장치가 적재함에 상차될 때 적재함의 측벽 내주면에 가압되면서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좋다. 또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유도안테나(280)의 외주면에 시인성 향상용 식별 띠를 부착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제설장치(200)의 후방이나 측면에서 차량의 주행방향(진입상태)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별도의 안내자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유도안테나(280)가 제설장치(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운전자 혼자서도 상,하차 작업을 할 수 있어 인력을 절감할 수 있고, 상하차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차량 110 : 적재함
111 : 결속홈
120 : 가이드레일 121 : 유도부
130 : 도킹 브라켓 131 : 유도부
200 : 제설장치 210 : 호퍼
220 : 베이스프레임 221 : 롤러
230 : 전방 지지대 231 : 브라켓
240 : 후방 지지대 241 : 고정대
242 : 높이조절대 250 : 살포기
260 : 보조 지지대 261 : 브라켓
270 : 돌출부 280 : 유도안테나
300 : 결속장치 310 : 트위스트 락
311 : 몸체 312 : 손잡이
313 : 끼움부
320 : 트위스트 락 지지구 321 : 가이드홈

Claims (12)

  1. 상면과 후면이 개방형성되는 적재함(110)이 구비되는 차량(100)과;
    상기 차량의 적재함에 상차되는 것으로, 내부에 제설제가 채워지는 호퍼(210)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결합되어 호퍼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22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접혀지거나 세워질 수 있도록 힌지결합되는 전방 지지대(230)와, 상기 전방 지지대로부터 소정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호퍼가 일정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후방 지지대(240)와, 상기 호퍼 내부에 채워진 제설제를 살포하기 위한 살포기(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차량을 후진시키면 적재함이 전방 지지대를 밀면서 적재함에 상차되는 제설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차량(100)을 후진시켜 적재함(110)의 단부가 전방 지지대(230)를 밀면서 베이스프레임(220)의 전단부 바닥면이 적재함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점차 후진하면서 제설장치를 적재함에 상차하고, 차량(100)을 전진시켜 전방 지지대(230)가 자연스럽게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바닥면에 세워지도록 한 다음, 차량을 계속 전진하면서 제설장치(200)를 적재함에서 하차시키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에 있어서,
    소정길이의 몸체(311)와, 상기 몸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손잡이(312) 및 상기 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끼움부(313)로 구성되는 트위스트 락(3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20)의 후방 저면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와 끼움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트위스트 락을 지지하는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상기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가이드홈(321)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몸체가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몸체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트위스트 락 지지구(320)가 하나의 조를 이루어 구성되는 결속장치(300)와;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는 상기 트위스트 락과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결속홈(111);이 형성되어, 차량을 후진시켜 제설장치의 상차가 완료되어 적재함과 트위스트 락 지지구가 마주보게 되면 상기 트위스트 락을 밀어서 끼움부가 결속홈을 관통하도록 한 다음 몸체를 회전시켜 끼움부가 결속홈의 외주면에 결속되도록 하여 제설장치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가 적재함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설장치의 전방 외주면에는 전방측으로 돌출되도록 소정형상의 돌출부(270)가 결합되고,
    상기 적재함의 전방측 내주면에는 단면이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이 막혀있고 바닥면이 개방형성되는 도킹 브라켓(130)이 결합되어, 상기 도킹 브라켓이 돌출부의 상면과, 양측면을 지지하여 차량 주행시 제설장치의 전방측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방에는 적재함의 바닥면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제설장치를 적재함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시키는 롤러(2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외주면 하단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저면과 동일면에 위치하도록 롤러를 결합하여 제설장치의 상차시 제설장치의 하중이 프레임 전체에 등분포 하중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롤러의 파손을 방지하고 수명을 확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바닥면 양측 단부에는 제설장치를 적재함에 상차할 때 제설장치와 적재함 사이의 좌우측 폭이 동일한 상태로 진입하여 정위치에 적재될 수 있도록 모서리를 따라 가이드레일(12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단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형태의 유도부(121)가 형성되며, 제설장치가 적재함에 초기 진입시 롤러가 상기 유도부를 따라 자연스럽게 가이드레일 측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정위치에 적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단면이 "∧"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이 주행중 흔들리더라도 제설장치가 흔들리거나 적재함의 측벽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지지대는 베이스프레임의 후방 외주면에 결합되며 일측에 핀을 삽입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핀 삽입공이 형성되는 소정길이의 고정대(241)와, 상기 고정대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주면에 복수의 핀 삽입공이 상하 다단으로 형성되어 후방 지지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대(24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브라켓의 양측면 입구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게 형태의 유도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도킹 브라켓 내부로 초기 진입시 유도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자연스럽게 도킹 브라켓 내부로 투입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설장치의 외주면에는 운전자가 제설장치의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제설장치를 상차할 수 있도록 유도안테나(28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안테나는 제설장치가 적재함에 상차될 때 적재함의 측벽 내주면에 가압되면서 자연스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플렉시블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KR1020150157339A 2015-11-10 2015-11-10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KR101752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339A KR101752844B1 (ko) 2015-11-10 2015-11-10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339A KR101752844B1 (ko) 2015-11-10 2015-11-10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051A KR20170055051A (ko) 2017-05-19
KR101752844B1 true KR101752844B1 (ko) 2017-07-12

Family

ID=5904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339A KR101752844B1 (ko) 2015-11-10 2015-11-10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8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690A (ko) 2019-11-27 2021-06-04 한국도로공사 제설제 살포장치용 다목적 이송장치
KR102403761B1 (ko) 2020-12-02 2022-05-27 임창훈 제설장치 수평 이동형 상하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0540B1 (ko) * 2018-06-29 2020-08-05 주식회사 새한산업 스마트 살포기능을 구비하는 차량용 제설제 살포기
KR102130539B1 (ko) * 2018-06-29 2020-08-05 주식회사 새한산업 안정적 전원 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차량용 전기 제설제 살포기
KR102417592B1 (ko) * 2019-10-14 2022-07-05 김현옥 트랙터용 다기능 트레일러
KR102600793B1 (ko) * 2023-06-16 2023-11-10 리텍 주식회사 스왑 시스템 기술이 적용된 다목적 도로관리차
KR102600794B1 (ko) * 2023-06-16 2023-11-10 리텍 주식회사 스왑 시스템 기술이 적용된 특수한 장비를 갖추어 특수한 용도에 쓰이는 자동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708Y1 (ko) * 2004-05-20 2004-08-21 대진특장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 제설장치
KR101430641B1 (ko) * 2013-01-29 2014-09-25 주식회사 대산 화물운반차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708Y1 (ko) * 2004-05-20 2004-08-21 대진특장 주식회사 차량에 탑재할 수 있는 제설장치
KR101430641B1 (ko) * 2013-01-29 2014-09-25 주식회사 대산 화물운반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5690A (ko) 2019-11-27 2021-06-04 한국도로공사 제설제 살포장치용 다목적 이송장치
KR102403761B1 (ko) 2020-12-02 2022-05-27 임창훈 제설장치 수평 이동형 상하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051A (ko) 2017-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2844B1 (ko) 제설장치의 상하차 시스템
US10583847B2 (en) Raisable carrying device
JP3698267B2 (ja) 地表、特に道路を粉砕するための装置
DE102018213613B3 (de) Transportvorrichtung für eine mobile Ladesäule und mobiles Ladesäulensystem
CN106894322B (zh) 铣刨单元的运输装置、运输车辆及运输铣刨单元的方法
EP2266827B1 (de) Elektromotorisch antreibbares Flughafenbodenfahrzeug
GB2293362A (en) Mine Vehicle Battery Changer
US20070020076A1 (en) Cargo lifting apparatus for a vehicle
JPH01502897A (ja) 運搬車
CN105292890A (zh) 一种高效仓储缓冲防护卸货传输装置
CA1038115A (en) Portable stock loading chute
EP0070663B1 (en) Skip trailer
CN103935278B (zh) 半倾斜货箱卸载系统
US6857840B2 (en) Removable load bed for a vehicle
RU2282548C2 (ru) Поворачивающее опорное основание для поворотной несущей конструкции вагона-платформы для комбинированных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и шоссейных транспортировок
WO2017149043A1 (en) An assembly for handling barriers
KR102320699B1 (ko) 제설제 살포장치용 다목적 이송장치
US10532689B2 (en) Ramp system and method thereof
CA1291071C (en) Mechanism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onto and off a road vehicle
KR0139700Y1 (ko) 화물차량의 덤핑장치
CN219487511U (zh) 一种房屋建设用建材运输装置
KR100683037B1 (ko) 원판형 부재 운송용 트레일러
CN214929347U (zh) 专用车及其爬梯装置
EP1396409B1 (fr) Ensemble de ferroutage et son procédé de manutention
JP4963098B2 (ja) 車両後押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