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011B1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011B1
KR102130011B1 KR1020160044805A KR20160044805A KR102130011B1 KR 102130011 B1 KR102130011 B1 KR 102130011B1 KR 1020160044805 A KR1020160044805 A KR 1020160044805A KR 20160044805 A KR20160044805 A KR 20160044805A KR 102130011 B1 KR102130011 B1 KR 102130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secondary
copper foil
secondary battery
electrolytic copper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324A (ko
Inventor
김승민
김수열
김대영
이정길
Original Assignee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HUE16814582A priority Critical patent/HUE048431T2/hu
Priority to PCT/KR2016/004924 priority patent/WO2016208869A1/ko
Priority to EP16814582.9A priority patent/EP3316364B1/en
Priority to US15/315,765 priority patent/US10530007B2/en
Priority to CN201680000864.0A priority patent/CN107078304B/zh
Priority to JP2017565755A priority patent/JP6581219B2/ja
Priority to PL16814582T priority patent/PL3316364T3/pl
Priority to TW105119056A priority patent/TWI613860B/zh
Publication of KR2017000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1Metal or alloys, e.g. alloy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은,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집전체로 적용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으로서, x-y 이차원 그래프 상에서 변수 x에 해당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열처리 온도 값과 변수 y에 해당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연신 증가비 값의 상관 관계를 y = ax + b (100 ≤ x ≤ 200) 과 같이 나타내었을 때, 상기 a 값이 0.0009 내지 0.0610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Electrolytic copper foi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열처리 온도에 대한 연신 증가비의 증가율이 일정 범위로 조절됨으로써 전지 제조 공정에서 코팅 후에 무지부에 주름이 발생되지 않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차전지는 여타의 이차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높고, 작동전압이 높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보존 및 수명특성을 보이는 등 많은 장점이 있어 개인용 컴퓨터, 캠코더,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CD 플레이어, PDA 등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전지는 전해질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양극은 양극 집전체에 양극 활물질이 부착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음극은 음극 집전체에 음극 활물질이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음극 집전체의 소재로는 주로 전해동박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전해동박은 이차전지의 충방전에 따라 이차전지 내부에 가혹 조건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더라도 이차전지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우수한 물성을 가져야 한다.
상기 전해동박이 가져야 할 물성으로는, 예를 들어, 충방전에 따른 가혹 조건이 반복되더라도 찢김이 발생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전해 동박의 우수한 물성은 여러가지 인자들의 조절에 따라 확보될 수 있는데, 어떠한 인자를 어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물성을 얻을 수 있는지 밝혀내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요청에 따라 창안된 것으로서,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공정 및 사용과정에서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에 기재된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를 지속하였으며, 그 결과 열처리 온도에 대한 연신 증가비의 증가율이 일정 범위로 조절된 전해동박 및 이를 집전체로 하여 제조된 이차전지가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은,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집전체로 적용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으로서, x-y 이차원 그래프 상에서 변수 x에 해당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열처리 온도 값과 변수 y에 해당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연신 증가비 값의 상관 관계를 y = ax + b (100 ≤ x ≤ 200) 과 같이 나타내었을 때, 상기 a 값이 0.0009 내지 0.0610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을 100℃에서 30분 열처리 한 후에 측정된 연신율은 3%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은, 양 면 상에 크롬(Cr), 실란 화합물 및 질소 화합물 중 어느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방청 층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두께는 3㎛ 내지 30㎛ 범위일 수 있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양 면의 표면조도는 Rz 기준으로 3.5㎛ 이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이 음극 집전체로 적용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전지 제조 과정에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에 주름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이 음극 집전체로 적용된 리튬 이차전지가 반복된 충방전을 거치는 과정에서 전해동박에 찢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표면에 코팅 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에 대한 열처리 온도값을 x로 하고, 특정 온도에서의 연신 증가비 값을 y로 하여 산출된 x-y 이차원 그래프이다.
도 4는, 전지 제조 공정에 있어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에 주름이 발생한 경우와 발생되지 않은 경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은,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집전체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음극 활물질과 결합되는 음극 집전체로는 전해동박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과 결합되는 양극 집전체로는 알루미늄(Al)으로 이루어진 박(foil)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이 리튬 이차전지에 적용되는 음극 집전체에 해당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이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받는 열이력은 통상 100℃ 내지 200℃ 범위이다. 이 공정에서 동박의 연신율이 적정수준을 유지할 수 있어야 공정에서 무지부의 주름 발생 및 리튬 이차전지를 제작한 후의 충방전 과정에서 전해동박의 찢김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에 대한 누적적인 열이력 구현을 위해서는 상술한 100℃ 내지 200℃의 온도범위에서 대략 일정한 온도간격으로 복수회, 바람직하게는 3회 이상의 열처리가 요구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에 대한 누적적인 열이력 구현을 위해 대략 25℃ 간격으로 대략 100℃ 에서 30분, 대략 125℃ 에서 30분, 대략 150℃ 에서 30분, 대략 175℃ 에서 30분 및 대략 200℃ 에서 30분 열처리 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온도에서 열처리 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의 연신율을 측정함으로써 열처리 온도와 연신 증가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이차원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신 증가비라 함은, [연신증가비 = 초기온도 100℃ 부터 해당 온도까지의 누적 열처리 후 측정된 전해동박의 연신율/초기온도 100℃에서 30분 열처리 후 측정된 전해동박의 연신율]과 같이 정의된다.
여기서는, 5 point 열처리 방법을 예로 들었으나, 열처리 온도와 연신 증가비와의 상관관계의 도출을 위한 누적 열처리 횟수를 더 줄이거나 더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실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열처리 온도와 연신율 증가비에 대해 회귀선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x-y 이차원 그래프 상에 나타나는 y = ax + b 의 수식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의 경우 a 값의 범위가 대략 0.0009 내지 0.0610 을 유지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a 값이 0.0009 미만인 경우에는 이차전지의 충방전 과정에서 전해동박의 찢김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a 값이 0.061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해동박의 무지부에 주름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이 이러한 a 값 범위를 유지하는 경우,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전해동박의 무지부에 대한 주름 발생 및/또는 완성된 리튬 이차전지의 충방전 반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집전체로 적용된 전해동박에 대한 찢김 발생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전해동박 및 리튬 이차전지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은, 상기와 같은 a 값 범위를 만족함과 동시에 대략 100℃ 에서 대략 30분간 열처리 한 이 후에 측정된 연신율이 대략 3.0% 이상이 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과정에서 전해동박의 찢김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의 양 면의 표면조도는, Rz(십점 평균거칠기) 기준으로 대략 0.2㎛ 내지 3.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조도가 대략 0.2㎛ 미만인 경우에는 전해동박과 활물질 간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처럼 전해동박과 활물질 간의 밀착성 저하가 발생되면 리튬 이차전지의 사용 과정에서 활물질 탈리 현상이 발생될 위험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상기 표면조도가 대략 3.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은 조도로 인해 전해동박의 표면(1a)에 활물질의 균일한 코팅이 이루어질 수 없어 밀착력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처럼 활물질의 균일한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의 방전용량 유지율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의 두께는 대략 3㎛ 내지 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동박의 두께가 대략 3㎛ 미만으로 너무 얇은 경우에는 전지 제조공정에서 전해동박의 핸들링(handling)이 어려워져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반대로 전해동박의 두께가 대략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해동박이 집전체로 사용되었을 때 집전체의 두께로 인한 체적 증가로 인해 고용량의 전지를 제조하기가 곤란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은 그 표면(1a)에 형성된 방청 층(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청 층(2)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의 방청 처리를 위해 전해동박의 표면(1a)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크롬(Cr), 실란 화합물 및 질소 화합물 중 어느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방청 층(2)은,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1)에 대한 방청 특성뿐만 아니라, 내열 특성 및/또는 활물질과의 결합력 증대 특성을 부여하는 역할 또한 할 수 있다.
< 실시예 비교예 >
이하에서, 본 발명의 특성을 만족하는 실시예와 이에 비교되는 비교예의 전해동박을 제조하고, 이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해동박간의 물성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은, 전해조 내에 회전드럼 및 드럼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갖고 위치하는 양극판을 포함하는 구조의 제박기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때, 양극판과 회전드럼간의 간격은 대략 5 내지 20mm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며, 간격의 표준편차는 2mm 이내에서 제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제박기를 이용한 제박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전해액은 황산동이 이용될 수 있으며, 유기 첨가제로는 젤라틴과, HEC(Hydroxyethyl Cellulse)와, sulfide계 화합물, 질화물을 첨가제로 사용하거나 또는 유기 첨가제를 사용하지 않고 제박공정에서 원박을 생산한다. 특히, 제조 과정에서 TOC 및 Ag의 농도를 관리해야 본 발명에서 소망하는 물성을 갖는 전해동박의 수득이 가능하다.
전해액의 조성과 관련하여 50 ~100g/L의 동, 50 ~150g/L의 황산을 포함하는 황산동내에 TOC 의 농도가 1g/L 이하가 되는 조건 및/또는 Ag 농도가 0.5g/L 이하가 되는 조건 및/또는 동박의 전착 시에 적용되는 전류 밀도가 30ASD 내지 80ASD 범위내인 조건 및 전해액의 온도가 40~70℃인 조건 하에서 전해동박을 제조함으로써 실시예에 해당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을 제조한다.
반면, 비교예에 해당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제조방법과는 다른 방법이 적용되며, 구체적으로는, 제박 과정에서 전해액으로 이용되는 황산동(50 ~100g/L의 동, 50 ~150g/L의 황산)내의 TOC의 농도가 1g/L 이상이 되는 조건 및/또는 전해액 내의 Ag 농도가 0.5g/L를 초과하는 조건 및/또는 동박의 전착 시에 적용되는 전류 밀도가 30ASD 내지 80ASD 범위를 벗어나는 조건 하에서 전해동박을 제조함으로써 비교예에 해당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을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해동박을 제박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해액의 조성과 조건은 다음과 같다.
구리 : 75g/L
황산 : 100g/L
전해액 온도 : 55℃
전류밀도 : [표 1]참조
전해액 내의 TOC 농도 : [표 1]참조
전해액 내의 Ag의 농도 : [표 1]참조
구분 TOC(g/L) Ag(g/L) 전류밀도(ASD)
실시예 1 0.6 0.4 40
실시예 2 0.3 0.4 40
실시예 3 0.5 0.2 50
실시예 4 0.7 0.1 50
실시예 5 0.8 0.3 60
실시예 6 0.3 0.2 60
비교예 1 1.2 0.4 30
비교예 2 1.5 0.2 40
비교예 3 1.7 0.2 40
비교예 4 2 0.4 50
비교예 5 0.5 1 60
비교예 6 0.7 0.4 20
비교예 7 0.6 0.7 80
상기 [표 1]에 나타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전해동박에 대해 누적적 열처리에 따라 얻어진 a 값의 범위 및 100℃에서의 열처리 이 후에 전해동박이 갖는 연신율 값의 범위에 따라 전해동박이 갖게 되는 물성에 의한 효과 차이를 [표 2]를 통해 살펴 본다.
전해동박 및 리튬 이차전지의 성능 평가
음극 활물질용으로 시판되는 카본 100 중량부에 대해 SBR(스티렌부타디엔고무) 2 중량부 및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2 중량부를 혼합하고, 증류수를 용제로 이용하여 슬러리를 조제하고, 20cm 폭으로 준비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전해동박 상에 이 슬러리를 음극재로서 코팅 및 건조한 후 원통형 18650 규격의 리튬 이차전지를 제작하였다.
전지 제조공정에서 음극재 코팅 기준 300m 작업 시에 음극재가 코팅되지 않은 부분에서 주름이 발생된 경우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해당 공정으로 원통형 리튬 이차전지를 제조한 후 0.2C 에서 200회 충방전 테스트를 진행한 후 리튬 이차전지를 분해하여 음극재가 코팅된 전해동박의 찢김 여부를 확인하였고, 찢어진 경우 불량으로 판단하였다.
1) UTM 측정 조건:
- 샘플의 폭: 12.7mm
- Grip 간 거리: 50mm
- 측정 속도: 50mm/min
2) 시편 및 열처리 조건:
- 시편을 12.7mm 폭으로 절단 후 열처리 함
- 열처리 온도범위 100 ~ 200℃
- 열처리 시간: 30분
- 회귀선 산출 방법: 100 ~ 200℃ 범위에서 등간격으로 5 point 이상 동박의 열처리 후 연신율을 측정한다. 단, 열처리 시에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의 열이력이 모사될 수 있도록 누적적으로 열처리 해야 한다.
- 5 point 열처리 방법: 100℃ 에서 30분 열처리 후 연신율을 측정하고, 100℃ 30분 열처리한 샘플을 다시 125℃ 30분 열처리 한 후 연신율 측정하고, 100℃ 에서 30분 그리고 125℃ 에서 30분 열처리된 샘플을 연속적으로 다시 150℃ 에서 30분간 열처리한 샘플의 연신율을 측정하고, 마찬가지로 다시 175℃ 및 200℃ 에서 추가적으로 누적 열처리를 진행한 샘플의 연신율을 각각 측정하는 방식으로 하여, 5지점의 온도에서 측정된 연신증가비 값들로부터 a 값을 구한다.
- 그래프: 실측된 데이터에 대해 열처리 온도와 연신율 증가비에 대한 회귀선을 삽입하면 y = ax + b (x: 열처리 온도, y: 연신 증가비, 100 ≤ x ≤ 200) 의 수식으로 나타나는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 연신 증가비: 100 ~ 200℃ 범위에서 열처리 후 측정된 연신율 100℃ 에서 열처리 후 측정된 연신율로 나눔으로써 얻어지는 값이다.
Figure 112016035137976-pat00001
상기 [표 2]의 실시예 1과 비교예 4를 상호 비교해 보면 a 값이 적어도 0.0009 이상은 되어야 전해동박 및/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리튬 이차전지의 품질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표 2]의 실시예 6과 비교예 5를 비교해 보면 a 값이 0.0610 이하가 되어야 전해동박 및/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리튬 이차전지의 품질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2]의 실시예 1과 비교예 1, 실시예 2와 비교예 2, 실시예 3과 비교예 3을 상호 비교해 보면 100℃에서 30분간 열처리를 거친 전해동박에 대해 측정된 연신율이 적어도 3% 이상은 되어야 전해동박의 품질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으로 판단해 보면,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에 대해 측정된 a 값의 범위와 대략 100℃ 에서 대략 30분간 열처리 후에 측정된 연신율의 범위가 대략 0.0009 ≤ a ≤ 0.0610 및 연신율 ≥ 3.0% 를 만족하는 경우에 전해동박 및/또는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리튬 이차전지의 제품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1a: 동박 표면
2: 방청 층

Claims (6)

  1.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집전체로 적용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에 있어서,
    x-y 이차원 그래프 상에서 변수 x에 해당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열처리 온도 (℃) 값과 변수 y에 해당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연신 증가비 값의 상관 관계를 y = ax + b (100℃ ≤ x℃ ≤ 200℃) 과 같이 나타내었을 때,
    상기 a 값은 0.0009 내지 0.0610 범위이고,
    연신 증가비 y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고,
    [y (연신 증가비) = 초기온도 100℃ 부터 해당 온도까지의 누적 열처리 후 측정된 전해동박의 연신율/초기온도 100℃에서 30분 열처리 후 측정된 전해동박의 연신율],
    상기 상관 관계는 열처리 온도 (℃)가 초기 온도 100℃에서부터 25℃의 간격으로 200℃까지 증가하고 각 열처리 온도 (℃)에서 30분 동안 열처리되는 것을 누적함으로써 얻으며,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을 100℃에서 30분 열처리 한 후에 측정된 연신율은 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은,
    양 면 상에 크롬(Cr), 실란 화합물 및 질소 화합물 중 어느 1종 이상을 함유하는 방청 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두께는 3㎛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의 양 면의 표면조도는 Rz 기준으로 3.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6. 제1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이 음극 집전체로 적용된 리튬 이차전지.
KR1020160044805A 2015-06-23 2016-04-12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130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E16814582A HUE048431T2 (hu) 2015-06-23 2016-05-11 Elektrolitikus réz fólia lítium akkumulátorhoz, és lítium akkumulátor, amely magában foglalja ezt
PCT/KR2016/004924 WO2016208869A1 (ko) 2015-06-23 2016-05-11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EP16814582.9A EP3316364B1 (en) 2015-06-23 2016-05-11 Electrolytic copper foi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US15/315,765 US10530007B2 (en) 2015-06-23 2016-05-11 Electrolytic copper foi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CN201680000864.0A CN107078304B (zh) 2015-06-23 2016-05-11 用于锂二次电池的电解铜箔及包含该电解铜箔的锂二次电池
JP2017565755A JP6581219B2 (ja) 2015-06-23 2016-05-11 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電解銅箔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PL16814582T PL3316364T3 (pl) 2015-06-23 2016-05-11 Elektrolityczna folia miedziana do akumulatora litowego oraz zawierający ją akumulator litowy
TW105119056A TWI613860B (zh) 2015-06-23 2016-06-17 用於鋰二次電池的電解銅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927 2015-06-23
KR20150088927 2015-06-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324A KR20170000324A (ko) 2017-01-02
KR102130011B1 true KR102130011B1 (ko) 2020-07-03

Family

ID=5781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805A KR102130011B1 (ko) 2015-06-23 2016-04-12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530007B2 (ko)
EP (1) EP3316364B1 (ko)
JP (1) JP6581219B2 (ko)
KR (1) KR102130011B1 (ko)
CN (1) CN107078304B (ko)
HU (1) HUE048431T2 (ko)
PL (1) PL3316364T3 (ko)
TW (1) TWI6138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7291B1 (ko) * 2017-03-03 2022-03-21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주름과 찢김이 최소화된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2424266B1 (ko) * 2017-04-20 2022-07-21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친수성 고분자층을 가져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429088B1 (ko) * 2017-04-20 2022-08-03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이미다졸 화합물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접착력을 갖는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518398B1 (ko) * 2018-06-20 2023-04-04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고신뢰성 동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및 그것의 제조 방법
US20210135233A1 (en) * 2019-10-30 2021-05-06 Chang Chun Petrochemical Co., Ltd. Copper foi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propert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3214B2 (ja) * 1997-11-14 2007-07-11 日鉱金属株式会社 銀を含む電解銅箔
JP3850155B2 (ja) * 1998-12-11 2006-11-29 日本電解株式会社 電解銅箔、二次電池の集電体用銅箔及び二次電池
JP4273309B2 (ja) * 2003-05-14 2009-06-03 福田金属箔粉工業株式会社 低粗面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MY158819A (en) * 2007-04-20 2016-11-15 Jx Nippon Mining & Metals Corp Electrolytic copper foil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copper foil
TWI499116B (zh) 2009-05-08 2015-09-01 Furukawa Electric Co Lt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negativ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a copper foil for an electrode, a secondary battery, and a negative electrode for a secondary battery
JP5103496B2 (ja) 2010-03-09 2012-12-19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666839B2 (ja) * 2010-06-30 2015-02-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2次電池用負極、負極集電体、2次電池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5373970B2 (ja) 2010-07-01 2013-12-1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5352542B2 (ja) * 2010-07-15 2013-11-27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集電体用銅箔
KR101669087B1 (ko) * 2011-07-29 2016-10-25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전해 동합금박, 그 제조 방법, 그것의 제조에 이용하는 전해액, 그것을 이용한 2차 전지용 음극 집전체, 2차 전지 및 그 전극
WO2013065699A1 (ja) * 2011-10-31 2013-05-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高強度、高耐熱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95972A (ja) * 2011-11-02 2013-05-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解銅箔、該電解銅箔を使用した配線板及び電池
JP5777661B2 (ja) * 2013-06-12 2015-09-09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LS Mtron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集電体用銅箔
KR101571063B1 (ko) 2013-11-28 2015-11-24 일진머티리얼즈 주식회사 전해동박, 이를 포함하는 전기부품 및 전지, 및 전해동박 제조방법
KR102122425B1 (ko) * 2015-06-18 2020-06-12 케이씨에프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03324A (zh) 2017-01-16
KR20170000324A (ko) 2017-01-02
US10530007B2 (en) 2020-01-07
EP3316364A4 (en) 2018-12-12
CN107078304B (zh) 2022-04-05
EP3316364A1 (en) 2018-05-02
JP2018519632A (ja) 2018-07-19
TWI613860B (zh) 2018-02-01
CN107078304A (zh) 2017-08-18
HUE048431T2 (hu) 2020-07-28
PL3316364T3 (pl) 2020-07-27
US20180212268A1 (en) 2018-07-26
JP6581219B2 (ja) 2019-09-25
EP3316364B1 (en) 2019-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011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10283778B2 (en) Copper foil for current collector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improved wrinkle characteristics
US10218004B2 (en) Electrolytic copper foi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KR101660335B1 (ko) 전해 동박
US20170005339A1 (en) Copper foil for current collector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122425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JP2016207636A (ja)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陽極及びこれを利用し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2017526115A (ja) 電解銅箔及びその製造方法、該電解銅箔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用集電体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11367876B2 (en) Copper foil for secondary batter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5777661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の集電体用銅箔
KR20170085425A (ko) 동박, 그 제조방법, 그것을 포함하는 전극,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109379B1 (ko) 전해 동박과, 이 전해 동박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리튬 이차전지
JP2014143008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集電体用銅箔、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の製造方法、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負極集電体用銅箔の評価方法
KR102456668B1 (ko) 높은 파괴 에너지를 갖는 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816801B1 (ko) 이차전지용 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2524929B1 (ko) 높은 파괴 에너지를 갖는 동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