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326B1 -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326B1
KR102129326B1 KR1020180159702A KR20180159702A KR102129326B1 KR 102129326 B1 KR102129326 B1 KR 102129326B1 KR 1020180159702 A KR1020180159702 A KR 1020180159702A KR 20180159702 A KR20180159702 A KR 20180159702A KR 102129326 B1 KR102129326 B1 KR 102129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pindle
swivel assembly
rot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2009A (ko
Inventor
조찬기
우현철
김동화
조경민
최훈희
이용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이원컴포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이원컴포텍(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180159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32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문건은 상품성(내구성, 경량성, 조립성, 심미성 등)이 우수한 구조를 갖는,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는, 중앙에 제1 스핀들부가 구비된 메인하판; 중앙에 상기 제1 스핀들부에 포개지는 제2 스핀들부가 구비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메인하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서브하판; 상기 제2 스핀들부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링부와, 상기 회전링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회전판 - 상기 회전링부는, 상기 서브하판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상기 제2 스핀들부의 옆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가짐 - ; 상기 제1 스핀들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하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스퍼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면, 상기 브릿지에 결합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AUTOMATED SEAT SWIVEL ASSEMBLY}
본 개시(Disclosure)는, 차량 등의 시트 하부에 설치되는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Seat Swivel Assembly)와 관련된다.
본 섹션(Section)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되는 종래기술을 기재된다. 다만, 공지여부에 대한 명확한 언급이 없는 한, 기재된 종래기술이 출원 전 공지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미니밴(Minivan) 또는 고속철도와 같이, 실내 공간이 넓은 교통수단은, 이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 시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통상적으로, 시트 하부와 시트가 설치될 바닥 사이에 구비되어, 시트를 회전 가능하게 만드는 장치를,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또는 시트 스위블)라 부른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4104호 및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80251호는 전술한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KR 10-0554104 B1 (2006.02.22. 공고) KR 10-0780251 B1 (2007.11.27. 공고)
상품성(내구성, 경량성, 조립성, 심미성 등)이 우수한 구조를 갖는,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는, 중앙에 제1 스핀들부가 구비된 메인하판; 중앙에 상기 제1 스핀들부에 포개지는 제2 스핀들부가 구비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메인하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서브하판; 상기 제2 스핀들부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링부와, 상기 회전링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회전판 - 상기 회전링부는, 상기 서브하판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상기 제2 스핀들부의 옆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가짐 - ; 상기 제1 스핀들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하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스퍼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면, 상기 브릿지에 결합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링부는,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메인하판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커버프레임과, 상기 제1 커버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커버프레임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커버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면을 감싸는 링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면을 감싸는 원통부로 구성된 마찰저감기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철저감기재는, 상기 링플레이트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등분으로 분할된 것일 수 있고, 상기 링플레이트의 분할된 등분 각각에는 윤활제가 도포되는 홈이 더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는, 종래의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배경기술에 언급된 공보들에 개시된 것)에 비하여, 내구성, 경량성, 조립성, 심미성 등이 우수하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마찰저감기재(160)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100)는, 메인하판(110), 서브하판(120), 회전판(130), 액추에이터(140) 및 브릿지(150)를 포함한다.
메인하판(110)은 원형 또는 다각 형태를 갖는다. 메인하판(110)의 중앙에는 상방을 향해, 제1 스핀들부(112)가 돌출 형성된다. 제1 스핀들부(112)는 도넛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제1 스핀들부(112)의 중앙에는 홀(빈 공간)이 형성된다.
서브하판(120)은 메인하판(110)에 비하여, 좁은 면적을 갖는다. 서브하판(120)의 중앙에는 제1 스핀들부(112)에 포개지는 제2 스핀들부(122)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제2 스핀들부(122)의 중앙에는 홀(빈 공간)이 형성된다.
서브하판(120)은 메인하판(110)의 상부에 고정 결합된다. 서브하판(120)의 가장자리는 메인한판(110)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직 또는 수직에 가깝게 절곡 형성된다.
회전판(130)은 서브하판(12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으로, 제2 스핀들부(122)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링부(132)와, 회전링부(132)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플레이트부(134)를 포함한다. 회전링부(132)는 서브하판(120)의 상면[제2 스핀들부(122)와 절곡 형성된 외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부분]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제2 스핀들부(122)의 옆면과 마주하는 제2 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갖는다.
한편, 회전판(130)은 내측 가장자리가 메인하판(110)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커버프레임(132a)과, 제1 커버프레임(132a)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가 제1 커버프레임(132a)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커버프레임(132b)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커버프레임(132a)과, 제2 커버프레임(132b)가 형성하는 공간에는 링 형태의 코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코어를 경량성이 지닌 합성수지 재질로 채택하고, 제1 커버프레임(132a)과 제2 커버프레임(132b)을 강성을 지닌 금속 재질로 채택하면, 경량성과 높은 내구성을 가진 회전판(130)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100)는, 회전링부(132)의 제1 면과 제2 면을 감싸는 마찰저감기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찰저감기재(160)는 베어링볼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회전링부(132)의 제1 면을 감싸는 링플레이트부(162)와, 회전링부(142)의 제2 면을 감싸는 원통부(164)로 구성된다. 마철저감기재(160)는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다.
또한, 마철저감기재(160)는, 링플레이트부(16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등분으로 분할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로 등분된 마찰저감기재(160) 조각이 독립적으로 일정 범위 움직일 수 있으므로, 마찰저감 효과가 극대화 된다.
한편, 링플레이트(162)의 분할된 등분 각각에는 윤활제가 도포되는 홈(162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평평한 형태를 갖는 마철저감기재(160)는 일반적인 베어링볼에 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설치가 용이하다.
액추에이터(140)는 제1 스핀들부(112)의 내측 빈 공간에 위치되는 피니언기어(142)를 구비하고, 메인하판(110)에 결합된다.
브릿지(150)는 양단이 회전판(130)의 상부에 결합된다. 브릿지(150)의 중앙 하부에는 피니언기어(142)와 치합되는 스퍼기어(152)가 구비된다.
실시예에 따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100)의 작동을 간략히 설명한다.
액추에이터(140)가 작동하여, 피니언기어(142)가 회전하면, 피니언기어(142)와 치합된 스퍼기어(152)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브릿지(150)에 결합된 회전판(130)이 서브하판(120)의 상방에서 제자리 회전된다.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100)는, 각 구성요소가 구조적으로 복잡하지 않고, 평평한 형태이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고장날 우려가 적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얇고 가볍게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재된다.
한편,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110)는 회전판(130)이 시트의 하부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나, 그 작동원리를 고려하면, 메인하판(110)이 시트의 하부와 결합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본 개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청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110 : 메인하판
112 : 제1 스핀들부
120 : 서브하판
122 : 제2 스핀들부
130 : 회전판
132 : 회전링부
132a : 제1 커버프레임
132b : 제2 커버프레임
134 : 연장플레이트부
140 : 액추에이터
142 : 피니언기어
150 : 브릿지
152 : 스퍼기어
160 : 마찰저감기재
162 : 링플레이트부
162a : 홈
164 : 원통부

Claims (5)

  1. 중앙에 제1 스핀들부가 구비된 메인하판;
    중앙에 상기 제1 스핀들부에 포개지는 제2 스핀들부가 구비되고, 가장자리가 상기 메인하판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서브하판;
    상기 제2 스핀들부의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회전링부와, 상기 회전링부의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회전판 - 상기 회전링부는, 상기 서브하판과 마주하는 제1 면과, 상기 제2 스핀들부의 옆면과 마주하는 제2 면을 가짐 - ;
    상기 제1 스핀들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피니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하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스퍼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결합되는 브릿지;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가 작동하면, 상기 브릿지에 결합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 면을 감싸는 링플레이트부와, 상기 제2 면을 감싸는 원통부로 구성된 마찰저감기재;를 더 포함하는,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기재는, 상기 링플레이트부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등분으로 분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플레이트의 분할된 등분 각각에는 윤활제가 도포되는 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부는,
    내측 가장자리가 상기 메인하판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커버프레임과, 상기 제1 커버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고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가 상기 제1 커버프레임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커버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KR1020180159702A 2018-12-12 2018-12-12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KR102129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702A KR102129326B1 (ko) 2018-12-12 2018-12-12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702A KR102129326B1 (ko) 2018-12-12 2018-12-12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009A KR20200072009A (ko) 2020-06-22
KR102129326B1 true KR102129326B1 (ko) 2020-07-02

Family

ID=7114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702A KR102129326B1 (ko) 2018-12-12 2018-12-12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3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262B1 (ko) 2020-08-13 2022-01-14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102446466B1 (ko) 2021-06-23 2022-09-23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20240041057A (ko) 2022-09-22 2024-03-29 대원정밀공업(주) 백래쉬가 저감된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8980A (zh) * 2021-02-19 2021-05-28 上海东尚机械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汽车座椅电动转动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790A (ja) * 2008-08-07 2010-02-18 Shiroki Corp 回転シート
KR101826513B1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전동식 시트 회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104B1 (ko) 2004-03-08 2006-02-22 (주)디에스시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KR100780251B1 (ko) 2005-12-27 2007-11-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790A (ja) * 2008-08-07 2010-02-18 Shiroki Corp 回転シート
KR101826513B1 (ko) * 2016-07-29 2018-02-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전동식 시트 회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262B1 (ko) 2020-08-13 2022-01-14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102446466B1 (ko) 2021-06-23 2022-09-23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KR20240041057A (ko) 2022-09-22 2024-03-29 대원정밀공업(주) 백래쉬가 저감된 차량용 시트 스위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2009A (ko) 2020-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9326B1 (ko) 전동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KR101260338B1 (ko) 조정 피팅
US9410606B2 (en) Gear arrangement
KR101420842B1 (ko) 차량 시트용 피팅
CN107323361B (zh) 储物总成
JP4831308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20060006716A1 (en) Vehicle seat articulation mechanism and seat comprising such a mechanism
CN102848938A (zh) 车辆座椅的角度调整装置
JP5579685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CN105291907A (zh) 用于车辆座椅的角度调节装置
KR102057465B1 (ko) 시트 스위블 어셈블리
JP2014520723A (ja) 自動車シート用シート取付具
JP6371608B2 (ja) ギアードモータおよび自動開閉ユニット
CN101267136B (zh) 轴承组件和使用该轴承组件的电机
US20140008956A1 (en) Continuous manual recliner with integrated lock
US20120306254A1 (en) Reclining device
JP2007131168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CN104603522A (zh) 用于装配嵌灯的装配环以及带有装配环的嵌灯
US8702551B2 (en) Wobble mechanism
JP2018039417A (ja) 駆動装置
JP6540638B2 (ja) 巻き取り式のエレベーターかご用巾木
JP4619919B2 (ja) アームレストヒンジ部構造
US10807505B1 (en) Vehicle seating assembly
JP6382581B2 (ja) 電動格納ユニットのギヤ構造
KR101271035B1 (ko) 차량 시트용 브레이크 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