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156B1 - 식물숙성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숙성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156B1
KR102129156B1 KR1020160088427A KR20160088427A KR102129156B1 KR 102129156 B1 KR102129156 B1 KR 102129156B1 KR 1020160088427 A KR1020160088427 A KR 1020160088427A KR 20160088427 A KR20160088427 A KR 20160088427A KR 102129156 B1 KR102129156 B1 KR 102129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aging
honey
liquid
month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8271A (ko
Inventor
안수정
Original Assignee
안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수정 filed Critical 안수정
Priority to KR102016008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1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8Oligosacchar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자원에 설탕, 올리고당 및 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이상 선택된 당을 혼합한 후 6개월 내지 18개월간 숙성하여 1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숙성액에 꿀을 중량비 기준 3∼5 : 1 비율로 혼합한 후 6개월 내지 18개월간 숙성하여 2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 식물숙성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물숙성액은 항산화 성분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이 우수한 음료, 고추장, 된장, 김치, 와인 등의 식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곤충, 특히 꿀벌에게 급이할 경우 꿀벌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부저병 등의 세균성질병에 노출된 꿀벌이 집단 폐사되는 것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숙성액 및 그 제조방법{Plant Aged Liqui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능성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음료, 고추장 등의 식품과 곤충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활용 가능한 식물숙성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체를 당과 함께 섞어 일정기간 숙성시킨 후 원료를 여과하여 얻은 액을 의미하는 식물숙성액은 최근 건강에 대한 국민적 관심 증대와 기능성 효과의 기대감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식물숙성액은 일부 논문 및 특허문헌에서 기능성 검정 및 그 기능성을 이용한 제품이 제시된 것처럼 과학적 근거 마련과 함께 이를 기초로 한 산업화가 병행 추진되고 있다. 예컨대 정지숙 (감귤과즙을 이용한 산형음료 발효 및 발효음료의 향균효과, 2009), 양철영 (강황 발효액이 고지방 섭취 흰쥐의 비만에 미치는 효과, 2011), 이영준 (산야초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 2012) 등의 연구논문에는 식물발효액의 항산화성, 항균성, 항비만, 항암, 항당뇨 등에 관한 효과가 제시되어 있고, 한국특허출원번호제2012-0027135호, 제2011-0115679호, 제2011-0006641호 등에는 식물밸효액을 이용한 음료, 화장품, 액비, 세정제 등의 제품이 공지되어 있다.
식물숙성액은 이를 제조하는 업체의 영세성 및 위생·안정성 문제 등의 위험요소가 병존하고는 있으나, 제품화 과정이 용이하다는 장점과 함께 최근 일반식품으로 품목이 변화됨으로써 향후 그 활용도는 다양할 것으로 기대된다. 즉 식물숙성액은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에 속하여 30여 가지 식품군 중 식물추출물숙성식품 유형으로 제품화되었으나, 2011년 식물추출물숙성식품 유형이 건강기능식품에서 삭제됨으로써 식물숙성액을 활용한 제품화는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기대를 반영하듯, 최근 당의 첨가량, 숙성기간, 당의 농도, 원료 배합 등 식물숙성액의 품질 또는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만 이와같은 연구는 주로 단일 인자만을 기초로 그 영향을 규명한 기초수준의 연구가 대부분으로, 특정 기능의 최적화 조건을 여러 인자로부터 종합적으로 도출해 산업화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종래의 많은 연구는 1차 숙성만을 이용한 식물숙성액 제조방법을 제시하고 있을 뿐 2차 이상의 숙성과정에 따른 품질 및 기능을 검정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다.
한편 식물숙성액을 활용하여 고품질의 벌꿀을 얻거나, 고추장, 된장 등의 식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제2010-0017497호에는 산야초 효소 등을 벌에게 급이 하여 기능성 벌꿀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고, 한국특허출원번호제2010-0105842호에는 오가피 열매열매 숙성액을 이용하여 영양성, 기능성이 우수한 고추장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다만 한국특허출원번호제2010-0017497호의 경우 밀원이 줄어드는 시기에 설탕물 대용으로 산야초 효소를 급이해 고품질 벌꿀을 제조함으로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부저병, 석고병과 같은 질병으로 꿀벌이 집단 폐사해 농가가 겪는 어려움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고 있으며, 한국특허출원번호제2010-0105842호와 같이 식물숙성액을 이용하여 식품을 제조하더라도 섭취를 통해 기능적 효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기능성 성분이 제품 내에 일정수준 함유되어 있어야 하는데 기존의 식물숙성액은 대부분 그러한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항산화성분 등 기능성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고추장, 되장, 음료 등의 식품으로 응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으면서도, 특히 꿀벌에 급이할 경우 면역력이 향상되어 부저병과 같은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면서도 고품질의 벌꿀을 생산할 수 있는 식물숙성액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하였다. 그 결과 식물자원의 종류, 당 종류, 숙성 횟수 등을 조절할 경우 원하는 물성 및 효능을 지닌 식물숙성액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높고 곤충의 면역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물숙성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곤충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면서, 꿀벌에게 급이할 경우 고품질의 벌꿀을 얻을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식물숙성액을 이용하여 얻어진 벌꿀, 음료, 고추장, 된장 또는 와인 등의 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물자원에 설탕, 올리고당 및 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당을 혼합한 후 숙성하여 1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숙성액에 꿀을 혼합한 후 숙성하여 2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숙성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1차 및 2차 숙성기간은 6개월 내지 18개월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는 2차 숙성액에 밤꿀을 중량비를 기준으로 3∼5 : 1 비율로 혼합한 후 3개월 내지 6개월간 숙성하여 3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식물숙성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식물자원은 오가피 열매, 엄나무, 쑥, 두충, 송순, 솔잎, 송화가루, 질경이, 함초, 뽕나무잎, 다래잎, 헛개잎, 삽초, 감나무잎, 익모초, 은행잎, 민들레, 토끼풀, 까마중, 두릅순, 더덕순, 도라지순, 칡순, 당귀순, 산초잎, 씀바귀, 담쟁이 덩굴, 녹차잎, 신선초, 어성초, 삼백초, 산머루, 찔레순, 돈나무 또는 잔대이고, 상기 2차 숙성액은 상기 식물자원 각각을 1차 및 2차 숙성한 후 사용목적에 따라 적절히 혼합하여 얻어진다. 특히 식물자원으로 오가피 열매, 엄나무, 쑥, 두충, 송순, 및 솔잎을 사용하고 이들 각각을 1차, 2차 숙성 후 모든 숙성물을 혼합하여 얻은 식물숙성액은 꿀벌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보다 탁월한 효능을 갖으며, 상기 35 종류의 식물자원을 모두 혼합할 경우 그 효과가 최적화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식물숙성액에 매실추출물 및 꿀을 중량비 기준 10:20∼40:1∼5 비율로 혼합한 후 곤충, 바람직하게는 꿀벌에 급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숙성액을 이용한 곤충 질병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식물숙성액, 매실추출물, 그리고 설탕, 올리고당 및 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당을 포함하는 곤충질병, 바람직하게는 꿀벌에서 나타나는 미국부저병, 유럽부저병 등의 세균성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식물숙성액을 꿀벌에게 급이 및 채밀하여 얻어진 벌꿀을 제공하며, 또 다른 일 양태에서는 상기 식물숙성액을 포함하는 음료, 고추장, 김치 또는 와인 등의 식품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은 항산화 성분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능성이 우수한 음료, 고추장, 된장, 와인 등의 식품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 및 이에 매실추출물 및 꿀을 첨가한 조성물은 곤충, 특히 꿀벌에게 급이할 경우 꿀벌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미국부저병, 유럽부저병과 같은 세균성질병에 노출된 꿀벌이 집단 폐사되는 것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2차 숙성이 완료된 식물숙성액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이 포함된 조성물을 꿀벌에게 급이하지 않은 것과 급이한 것을 비교한 사진으로, 급이한 곳에서 벌꿀 색상이 맑고 활동이 왕성함을 보여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물숙성액 및 그 제조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은 식물자원에 설탕, 올리고당 및 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당을 혼합한 후 6개월 내지 18개월간 숙성하여 1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1차 숙성액에 꿀을 중량비 기준 3∼5 : 1 비율로 혼합한 후 6개월 내지 18개월간 숙성하여 2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2차 숙성액에 밤꿀을 중량비 기준 3∼5 : 1 비율로 혼합한 후 3개월 내지 6개월간 숙성하여 3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식물자원’은 당에 의한 농도 차로 삼투압 작용이 일어날 경우 폴리페놀 등의 기능성 성분을 배출할 수 있는 식물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식물공정에서 식품으로 사용이 허가된 식물 또는 줄기, 잎, 뿌리 등의 식물부위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물자원은 유용한 성분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건조, 동결, 증숙 등의 가공이 없는 채집 후 3일 이내 상태의 식물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식물자원은 숙성기간을 6개월 내지 18개월간 진행할 경우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 등이 다량 함유하면서도 곤충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효능이 좋은 35종류의 식물체로, 사용 목적에 따라 특정 식물체를 조합할 경우 그 효과는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는 오가피 열매, 엄나무, 쑥, 두충, 송순, 솔잎, 송화가루, 질경이, 함초, 뽕나무잎, 다래잎, 헛개잎, 삽초, 감나무잎, 익모초, 은행잎, 민들레, 토끼풀, 까마중, 두릅순, 더덕순, 도라지순, 칡순, 당귀순, 산초잎, 씀바귀, 담쟁이 덩굴, 녹차잎, 신선초, 어성초, 삼백초, 산머루, 찔레순, 돈나무 또는 잔대로부터 선택하되, 만약 오가피 열매, 엄나무, 쑥, 두충, 송순 및 솔잎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곤충, 특히 꿀벌의 세균성 질병을 예방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1차 숙성과정에서 사용하는 당은 설탕, 올리고당, 꿀 또는 그 조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삼투압 작용을 일으키면서 유용 미생물에 의해 숙성을 진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 2차 숙성을 위해 첨가한 꿀은 항산화 성분을 다량 유지하는 역할에 필요하고, 3차 숙성을 위해 첨가하는 벌꿀은 면역력을 향상시켜 곤충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효능이 발휘할 수 있도록 선별한 당의 종류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대부분 연구가 1차 숙성과정만 진행한 것과는 달리 2차 이상의 숙성을 진행함에 따라 성분의 변화 및 효과를 살펴본데 차별성이 있다. 이는 김나미 등(식물자원 발효액의 품질과 기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발효기간의 영향, 2005)이 무, 가지, 양배추 등을 가지고 실험한 연구논문에서 1차 숙성만 진행할 경우 아밀라아제, 인버타아제 등의 효소는 6개월 경과 후에 활성이 높은 반면,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도는 4개월을 기점으로 점차 낮아지고, 점도, pH, Bx 등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짐을 밝힌 연구결과에 착안한 것이다. 즉 효소의 활성을 유지하면서도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른 항산화활성도, 점도 등이 저해되는 문제점을 2차 이상의 숙성과정을 진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1차 숙성기간을 6개월 내지 18개월간, 바람직하게는 10개월 내지 14개월간 진행하고, 2차 숙성기간을 6개월 내지 18개월간 진행하였다. 2차 숙성기간은 목적에 따라 최적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2차 숙성만 진행 후 바로 음용,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라면 6개월 내지 8개월간 숙성하여 기능성 성분을 배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차 숙성을 진행하여 곤충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라면 12개월 내지 18개월간 숙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3차 숙성을 진행할 경우에는 3개월 내지 6개월간으로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숙성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기능이 우수한 식물숙성액을 얻기 위해서는 식물자원에 첨가하는 당의 배합비율도 중요한 요소이다. 1차 숙성과정을 위한 식물자원과 설탕, 올리고당 및 꿀의 바람직한 배합비율은 식물자원의 종류에 따라 편차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중량비 기준 1: 0.5 내지 2 비율을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2차 숙성과정을 위한 1차 숙성액과 꿀은 중량비 기준 3∼5 : 1 비율로 혼합한다. 만약 1차 숙성액이 꿀 대비 3배 미만이면 점도가 높고 당성분이 많아 음료, 식품 첨가제로 활용하는데 소비자의 기호도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고, 5배를 초과할 경우 2차 숙성 진행속도가 늦어지고 항산화물질 등의 함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차 숙성과정을 위한 2차 숙성액과 밤꿀은 중량비 기준 3∼5 : 1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본 수치범위를 벗어난 경우 곤충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현저히 낮아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식물자원을 모두 혼합한 후 당과 혼합하여 1차 숙성을 진행할 수도 있으나, 각각의 식물자원에서 유용한 성분이 추출되는 조건이 달라 숙성을 개별적으로 진행함이 바람직하다. 다만 곤충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목적의 식물숙성액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각각의 2차 숙성물을 혼합한 후 밤꿀을 넣어 3차 숙성을 진행하는 것이 효능이 보다 우수한 식물숙성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방법으로 제조한 식물숙성액에 매실추출물 및 꿀을 중량비 기준 10:20∼40:1∼5 비율로 혼합한 후 꿀벌에 급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숙성액을 이용한 꿀벌 질병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3차 숙성과정을 거친 식물숙성액 자체만으로도 꿀벌의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매실추출물 및 꿀을 첨가할 경우 꿀벌의 섭취 선호도 및 섭취량이 많아 개체의 면역증가와 함께 고품질의 꿀을 다량 얻을 수 있다. 식물숙성액에 첨가하는 매실추출물 및 꿀은 중량비 기준 10:20~40:1~5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하는 꿀은 설탕물로 대체할 수는 있으나 그 경우 효과 면에서는 꿀에 비해 다소 저감된다.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 매실추출물 및 꿀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꿀벌에 급이하면 곤충의 질병, 바람직하게는 미국부저병 또는 유럽부저병의 세균성질병을 억제하는데 탁월한 효능을 얻을 수 있으며, 항생제가 함유되지 않으면서도 사양꿀을 급이하여 얻은 꿀과 비교하여 고품질의 꿀을 다량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은 항산화성분이 높고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자원만을 이용하기에 음료, 고추장, 된장, 김치, 와인 등의 식품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식물숙성액의 제조: 실시예 1-4
전남 보성의 야산 또는 재래시장으로부터 채집 후 3일이 경과하지 않은 신선한 35종류의 식물자원(오가피 열매, 엄나무, 쑥, 두충, 송순, 솔잎, 송화가루, 질경이, 함초, 뽕나무잎, 다래잎, 헛개잎, 삽초, 감나무잎, 익모초, 은행잎, 민들레, 토끼풀, 까마중, 두릅순, 더덕순, 도라지순, 칡순, 당귀순, 산초잎, 씀바귀, 담쟁이 덩굴, 녹차잎, 신선초, 어성초, 삼백초, 산머루, 찔레순, 돈나무 및 잔대)을 구입하였다. 꿀을 각각의 식물자원에 1:1 중량비로 혼합한 후 밀봉된 전통항아리에서 약 1년간 1차 숙성을 진행시켰다. 이후 식물자원의 고형성분을 제거하여 1차 숙성액을 얻고 이에 꿀을 4:1 비율로 혼합한 후 2차 숙성을 진행하였다. 2차 숙성 기간은 6개월, 8개월, 10개월, 12개월 차별화를 주되, 오가피 열매에 대해서는 기간별 2차 숙성액 샘플을 확보하였다(실시예 1-4)
식물숙성액의 제조: 비교예 1-4
오가피 열매 재료에 대해서만 상기 실시예와 동일방법으로 식물숙성액을 제조하되, 1차 숙성만 진행한 샘플(비교예 1), 2차 숙성 전 꿀 대신 설탕을 첨가한 샘플(비교예 2), 2차 숙성을 4개월(비교예 3) 또는 24개월(비교예 4) 진행한 샘플을 확보하였다.
* 곤충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개별 식물자원의 2차 숙성액을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재료를 선택 및 혼합한 후, 이에 당(밤꿀, 아카시아꿀 또는 설탕)을 4:1 중량비율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표 1에 나타난 기간에 따라 3차 숙성을 진행시켰다. 또한 3차 숙성 전 2차 숙성액 간의 혼합이 곤충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실험하기 위해 오가피 열매, 엄나무, 쑥, 두충, 송순 및 솔잎 식물자원을 개별 3차 숙성을 진행한 후 혼합한 조성물도 확보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식물자원 오가피열매+엄나무 오가피열매+엄나무+쑥+두충+송순+ 솔잎 35종류 식물자원 오가피열매+엄나무+쑥+두충+송순+ 솔잎 오가피열매+엄나무+쑥+두충+송순+ 솔잎 오가피열매+엄나무+쑥+두충+송순+ 솔잎 오가피열매+엄나무+쑥+두충+송순+ 솔잎
밤꿀 밤꿀 밤꿀 밤꿀 아카시아꿀 설탕 밤꿀
3차 숙성기간 4개월 4개월 4개월 8개월 4개월 4개월 4개월
2차 숙성액 혼합 유무 x
식물숙성액의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 함량 측정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의 식물숙성액에 대한 항산화활성 검정을 실험하였다. 먼저 식물자원 숙성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가하고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징액을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항산화활성은 블로이스(Blois) 방법으로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1mL가 1분 동안에 흡광도 값을 0.01 감소시키는 것을 1unit로 나타내었다 (Blois, 1958). 총페놀화합물은 표준용액으로 카페인산을 사용하여 Folin-Denis 크로마토법으로 측정하였다(Joslyn, 1970).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의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 화합물 함량은 표2와 같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항산화활성
(전자공여능(%))
946 1046 826 781 564 687 554 602
총페놀 함량
(%W/V)
0.24 0.26 0.19 0.18 0.14 0.14 0.15 0.13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산화활성 및 총페놀 함량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숙성기간이 8개월까지 증가하다 그 이후 점차 낮아지는 추세를 나타냈다. 비교예와 비교하여 숙성기간이 6개월, 12개월 구간이 4개월 24개월과 비교해 항산화활성이 우수하고 총페놀 함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6개월 내지 8개월 구간에서 효능이 우수해 기능성 음용, 식품 첨가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숙성기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곤충질병 예방 또는 치료 효과 검증
실시예 5-8 및 비교예 5-7의 곤충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이용해 벌의 미국부저병, 유럽 부저병 등의 세균성질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양봉 수행 농가 4업체의 벌통에 먹이통을 설치한 후, 상기 조성물을 1군당 1회 60g 정도를 주 2회 밀원이 줄어드는 시기인 7월~9월 3개월간 꿀벌에 급이 하였고 이를 3년간 반복 실험하였다. 그리고 부저병 등 세균성질병으로 인해 벌이 죽는 빈도수를 계산해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벌의 질병 예방, 치료 효과에 대하여 느끼는 만족도를 10점 척도로 측정토록 하였다. 아울러 꿀벌이 생산한 꿀의 맛, 색상, 향 등을 종합한 고품질 정도를 10점 척도로 부여토록 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질병 예방/치료 8.0 9.1 9.4 7.9 7.2 6.0 5.4
꿀 품질 8.2 8.5 7.8 8.2 7.9 6.4 6.9
표 3을 통해 벌의 질병 예방 및 치료 효과와 꿀의 품질간의 유의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그러나 실시예 5-7을 통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부저병 등의 세균성 질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식물자원으로 오가피열매, 엄나무, 쑥, 두충, 송순 및 솔잎을 사용할 경우 벌 질병을 예방하는데 어느 수준 이상의 만족도를 얻을 수 있으며, 35종류의 식물자원을 활용하면 그 효과는 보다 우수해짐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3차 숙성기간이 6개월을 초과하면 그 효능이 점차 낮아져 적절한 3차 숙성기간을 준수함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꿀의 품질과 관련하여 전반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할 경우 고품질의 꿀을 얻을 수 있으나, 35종류의 식물자원을 이용한 숙성액에서는 상기 5종류의 식물과 비교하여 다소 낮은 수치를 보였다.
곤충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 개선을 위한 성분 탐색
상기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벌 질병의 예방 및 치료뿐 아니라 고품질 벌꿀 생산에 효과가 있는 실시예 7의 조성물을 이용해 효능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는 성분을 탐색하였다. 관찰을 통해 실시예 7이 설탕물만을 급이한 것과 비교해 꿀벌의 섭취 선호도가 낮음을 확인하고, 꿀벌의 기호도 향상을 통한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물질을 선택하였다. 그 결과 3차 숙성액에 매실추출물 및 설탕을 10:20~40:5의 중량비(최적비율: 10:30:5)로 급이할 경우 꿀의 질병 예방 및 치료 만족도가 9.3으로 향상되었으며, 아울러 꿀 품질 또한 8.7로 향상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식물숙성액을 이용한 식품 제조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을 이용해 음료, 고추장, 와인, 김치 등의 식품을 제조하였다.
음료는 실시예 1-4의 식물숙성액에 물을 1:5배 희석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설탕, 꿀 등의 당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고추장은 식물숙성액을 가열하여 부피가 1/3 내지 1/2로 줄어들 때까지 진하게 졸였다. 엿기름물 1㎏을 10 ~ 20분간 끓이고 상기 졸인 숙성액 1㎏을 혼합하여 10 ~ 20분 정도 더 끓인 다음, 찹쌀밥 1㎏을 섞어 걸쭉한 죽을 제조하였다. 죽이 뜨거울 때, 고춧가루 2㎏, 소금 500g을 첨가하여 잘 섞어준 다음, 30 ~ 40℃ 정도로 식었을 때 고추장용 메주가루 500g을 섞어 충분히 저어 주고 용기에 담아 3주 정도 숙성 및 숙성시켜 기능성이 향상된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와인 제조과정 중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을 첨가해 숙성 또는 숙성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한 와인을 얻었으며, 김치 제조시 양념에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을 첨가하거나, 배추는 절이는 과정에 본 발명의 식물숙성액을 천일염과 함께 혼합함으로써 식감이 보다 우수한 김치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오가피 열매, 엄나무, 쑥, 두충, 송순 및 솔잎에 각각 꿀을 중량비 기준 1 : 1 비율로 혼합한 후 12개월간 숙성하여 1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
    상기 1차 숙성액 각각에 꿀을 중량비 기준 4 : 1 비율로 혼합한 후 8개월간 숙성하여 2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
    상기 2차 숙성액 각각을 혼합한 혼합물에 밤꿀을 중량비 기준 4 : 1 비율로 혼합한 후 4개월간 숙성하여 3차 숙성액을 얻는 단계; 및
    상기 3차 숙성액에 매실추출물 그리고 설탕, 올리고당 및 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당을 중량비 기준 10:20~40:1~5 비율로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숙성액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88427A 2016-07-13 2016-07-13 식물숙성액 및 그 제조방법 KR102129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27A KR102129156B1 (ko) 2016-07-13 2016-07-13 식물숙성액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8427A KR102129156B1 (ko) 2016-07-13 2016-07-13 식물숙성액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607A Division KR20150119516A (ko) 2014-04-15 2014-04-15 식물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271A KR20160088271A (ko) 2016-07-25
KR102129156B1 true KR102129156B1 (ko) 2020-07-02

Family

ID=56616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8427A KR102129156B1 (ko) 2016-07-13 2016-07-13 식물숙성액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8976A (zh) * 2021-08-26 2021-11-23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具有清除自由基活性的花椒叶发酵饮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839B1 (ko) * 2006-10-31 2008-07-02 한국식품연구원 가시오가피를 포함하는 혈압강하용 음료조성물 및 그의제조방법
KR101136085B1 (ko) * 2009-06-12 2012-04-17 강선아 식물발효추출액 제조방법
KR101303724B1 (ko) * 2010-09-15 2013-09-04 권순걸 꿀벌에 기능성 물질 추출액을 투여하여 친환경 벌꿀을 생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생산된 친환경 벌꿀
KR20130103133A (ko) * 2012-03-09 2013-09-23 주식회사 인시즌 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271A (ko) 201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ttanachaikunsopon et al. Antimicrobial activity of basil (Ocimum basilicum) oil against Salmonella enteritidis in vitro and in food
KR20150111141A (ko) 삼채가 함유된 저염 젓갈의 제조방법
KR100411927B1 (ko) 매실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쌀 및 그 제조방법
KR101947475B1 (ko) 포도와인 식초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포도와인 식초
KR100988387B1 (ko) 산돌배 발효주 제조 방법
KR102129156B1 (ko) 식물숙성액 및 그 제조방법
KR101906471B1 (ko) 홍화씨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천연 항균 세척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76275B1 (ko) 마늘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신선편이 채소의 미생물 저감화 방법
KR100988378B1 (ko) 산돌배 증류주 제조 방법
Esfahlan et al. Morphology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40 genotypes of almond (Amygdalus communis L.) fruits
KR100795997B1 (ko) 매실 당침출액을 첨가한 복분자 발효주 및 그 제조방법
CN106036659A (zh) 一种辣椒叶的腌制方法
KR20150119516A (ko) 식물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Saleh et al. Vital Value of Coriander and Fennel Volatile Oils on Quality Beef Burger During Cryopreservation
KR101019235B1 (ko) 오미자 및 복분자 당절임 즙을 함유하는 콜로이드 입자형 김치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2058134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김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62150B1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고추장
Nithiyananthan et al. Formulation of ready to serve drink from palmyrah (Borrasus flabellifer L) fruit and modification of its process to improve some of its selected properties.
KR101757221B1 (ko) 배추청잎 함유 김치양념 및 이를 포함한 항산화 기능성 김치
KR20070076561A (ko) 해초식초제조방법
KR101704004B1 (ko) 벌나무 식초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숙취해소용 벌나무 식초
KR101880672B1 (ko) 아마씨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선편이 채소 세척용 세척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신선편이 채소의 미생물 저감화 방법
KR101748131B1 (ko) 삼채 및 재거리를 포함하는 맛술 및 이의 제조방법
ERKAÇ et al. Application of Gallic Acid Produced from Horse Chestnut (Aesculus hippocastanum) Shell in Table Olive Maturation
Ukeyima et al. Antioxidant, Miner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Wine from Blends of Roselle Calyces Extract and Pineapple Ju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