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538B1 -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538B1
KR102128538B1 KR1020190058361A KR20190058361A KR102128538B1 KR 102128538 B1 KR102128538 B1 KR 102128538B1 KR 1020190058361 A KR1020190058361 A KR 1020190058361A KR 20190058361 A KR20190058361 A KR 20190058361A KR 102128538 B1 KR102128538 B1 KR 102128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turntable
gripp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8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연대문
Original Assignee
디에스이디아이 주식회사(Ds Edi)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이디아이 주식회사(Ds Edi) filed Critical 디에스이디아이 주식회사(Ds Edi)
Priority to KR1020190058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 B23K1/0008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23K1/0016Brazing of electro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는 제1부재와 제2부재를 포함하는 고정커넥터를 제조하는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 있어서, 턴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부재파지모듈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턴테이블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유닛과, 턴테이블유닛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1부재를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1피더유닛과, 턴테이블유닛과 제1피더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2부재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2피더유닛과, 제1피더유닛에서 배출되는 제1부재를 하나씩 파지하여 부재파지모듈에 전달하는 제1부재이송유닛과, 제1부재이송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부재파지모듈이 파지한 제1부재에서 용접수평부에 용가재를 공급하는 용가재공급유닛과, 용가재공급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제2피더유닛에서 배출되는 제2부재를 흡착하여 용접수평부에 공급된 용가재에 제2부재를 적층하는 제2부재이송유닛과, 제2부재이송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용접수평부에 제2부재를 브레이징하는 브레이징유닛 및 브레이징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부재파지모듈로부터 제2부재가 브레이징된 제1부재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부재배출유닛을 포함하고, 부재파지모듈은 용접수평부가 부재파지모듈로부터 돌출되도록 지지수평부를 파지한다.

Description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AUTOMATIC BRAZING DEVICE FOR FIXED CONNECTOR}
본 발명은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커넥터에서 제1부재의 용접수평부에 제2부재를 적층하여 정밀하게 접합하기 위한 브레이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작업 공정을 개선하고, 생산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레이징(Brazing)은 접합하고자 하는 두 금속 사이의 접합부에 용가재를 투입하고, 고주파 또는 화염 등에 의한 고온의 열을 가하면, 용가재가 녹으면서 모세혈관 효과에 의해 접합부로 미세하게 스며들도록 하는 야금학적 결합방식이다.
브레이징은 냉장고, 에어컨, 냉동/냉장기기, 자동차, 건축용품 등의 다양한 분야의 장치들을 구성하는 부품을 접합하는데 유용하게 적용되며, 동일 종류의 금속성 부재를 접합하거나, 접합하고자 하는 두 부재가 서로 다른 이종의 금속을 접합할 수도 있어서 더욱더 폭넓은 접합가공이 가능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00755호(발명의 명칭 : 튜브 접합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2009. 09. 24.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커넥터에서 제1부재의 용접수평부에 제2부재를 적층하여 정밀하게 접합하기 위한 브레이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작업 공정을 개선하고, 생산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는 지지수평부와, 상기 지지수평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지지수평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되는 용접수평부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브레이징에 의해 상기 용접수평부에 적층 고정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고정커넥터를 제조하는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부재파지모듈과, 다수의 부재파지모듈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턴테이블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턴구동모듈을 포함하는 턴테이블유닛; 상기 턴테이블유닛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부재를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1피더유닛; 상기 턴테이블유닛과 상기 제1피더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2피더유닛; 상기 제1피더유닛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부재를 하나씩 파지하여 상기 부재파지모듈에 전달하는 제1부재이송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부재이송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부재파지모듈이 파지한 상기 제1부재에서 상기 용접수평부에 용가재를 공급하는 용가재공급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용가재공급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피더유닛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2부재를 흡착하여 상기 용접수평부에 공급된 용가재에 상기 제2부재를 적층하는 제2부재이송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2부재이송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용접수평부에 상기 제2부재를 브레이징하는 브레이징유닛; 및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브레이징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부재파지모듈로부터 상기 제2부재가 브레이징된 상기 제1부재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부재배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부재파지모듈은, 상기 용접수평부가 상기 부재파지모듈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수평부를 파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피더유닛은, 상기 제1부재가 수용되고, 수용된 상기 제1부재를 배출하는 제1피더모듈; 상기 제1피더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1부재 중 기설정된 배출 조건을 만족하는 제1부재를 일렬로 정렬하여 배출시키는 제1부재정렬모듈; 및 상기 제1부재정렬모듈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제1부재이송유닛에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제1부재이송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피더유닛은, 상기 제2부재가 수용되고, 수용된 상기 제2부재를 배출하는 제2피더모듈; 상기 제2피더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2부재를 일렬로 정렬하여 배출시키는 제2부재정렬모듈; 및 상기 제2부재정렬모듈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2부재이송유닛에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제2부재이송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재파지모듈은, 상기 턴테이블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로드부재; 상기 가이드로드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적층되고, 상기 가이드로드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를 향해 상기 승강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파지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지지수평부가 안착되는 지지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파지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수평부를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턴테이블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노출되는 베이스가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가압홀과 연통되는 승강가압홀;이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이송유닛은, 상기 제1피더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부재를 하나씩 분리하는 낱개분리모듈; 상기 낱개분리모듈에 안착된 상기 제1부재를 파지하여 상기 부재파지모듈에 전달하는 파지운반모듈; 및 상기 파지운반모듈이 파지한 상기 제1부재의 상기 지지수평부가 상기 지지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안착승강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낱개분리모듈은, 상기 제1피더유닛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상기 제1부재들 중 하나의 제1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부재의 배출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피더유닛의 단부에 구비되는 부재안착부재; 상기 부재안착부재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부재안착부재가 상기 턴테이블 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피더유닛의 단부를 폐쇄하는 배출저지부재; 및 상기 제1피더유닛의 단부와 상기 턴테이블 사이에서 상기 부재안착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낱개분리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용가재공급유닛은, 상기 용가재를 배출하는 용가재노즐; 상기 용가재노즐을 승강 이동시키는 노즐승강모듈; 및 상기 용가재노즐에서 배출되는 용가재를 정량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용가재공급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부재이송유닛은, 상기 제2피더유닛의 배출 단부에서 정렬된 상기 제2부재 중 하나를 노출시키는 부재노출모듈; 상기 부재노출모듈에 노출된 상기 제2부재를 흡착하여 상기 부재파지모듈이 파지한 상기 제1부재의 상기 용접수평부에 전달하는 흡착운반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징유닛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브레이징을 위한 열이 발생되도록 고주파 전류를 유도가열코일에 인가하는 유도가열모듈; 상기 유도가열코일을 향해 상기 제2부재가 적층된 상기 제1부재를 승강 이동시키는 부재승강모듈;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하측에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제1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용접수평부를 지지하는 불연지지모듈; 상기 용접수평부에서 상기 제2부재가 브레이징될 때, 상기 용접수평부에 적층된 상기 제2부재를 가압하는 부재가압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재배출유닛은, 상기 부재파지모듈에서 상기 제1부재의 파지력이 해제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배출승강모듈; 및 상기 배출승강모듈에 의해 상기 부재파지모듈에서 분리되는 상기 제1부재가 저장되는 저장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 따르면, 고정커넥터에서 제1부재의 용접수평부에 제2부재를 적층하여 정밀하게 접합하기 위한 브레이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작업 공정을 개선하고, 생산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피더유닛을 통해 기하 행태를 갖는 제1부재에 대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기설정된 배출 조건에 따라 정렬할 수 있고, 정렬된 제1부재를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피더유닛을 통해 제2부재를 일렬로 정렬할 수 있고, 정렬된 제2부재를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파지모듈을 통해 제1부재에서 지지수평부를 파지함으로써, 용접수평부가 부재파지모듈의 외측으로 안정되게 돌출되도록 하고, 브레이징을 위해 턴테이블이 간헐적으로 회전될 때, 각각의 유닛들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닛들과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파지모듈을 통해 제1부재의 파지 동작, 제1부재의 파지 해제 동작, 제1부재의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하고, 용접수평부의 돌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턴테이블에 대하여 베이스부재와 승강부재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턴테이블에서 베이스부재와 승강부재가 안정되게 적층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블럭과 로드블럭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제1부재의 변형에 순응하여 제1부재의 종류에 따라 부품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안착부를 통해 베이스부재에서 제1부재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가압홀과 승강가압홀의 구성을 통해 안착승강모듈 도는 배출승강모듈이 턴테이블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베이스부재와 승강부재의 탄성 가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가압홀과 승강가압홀의 직경 차이를 통해 동축 상에서 베이스부재 또는 승강부재를 안정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부재이송유닛을 통해 제1피더유닛의 제1부재이송모듈로부터 낱개의 제1부재를 분리할 수 있고, 정위치된 부재파지모듈이 하나의 제1부재를 안정되게 파지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낱개분리모듈을 통해 제1부재이송모듈로부터 제1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낱개의 제1부재를 안정되게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포크이동홈을 통해 파지운반모듈이 하나의 제1부재를 안정되게 파지하도록 한다. 또한, 낱개분리모듈에서 부재안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제1부재이송모듈과 낱개분리모듈 사이로 제1부재가 끼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운반모듈을 통해 낱개의 제1부재를 운반할 때, 제1부재가 이탈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승강모듈을 통해 부재파지모듈에서 베이스부재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승강부재를 안정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가재공급유닛을 통해 정량의 용가재를 용접수평부에서 정위치에 공급할 수 있고, 용가재가 공급될 때, 부재파지모듈에서 제1부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부재이송유닛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2피더유닛의 제2부재이송모듈로부터 낱개의 제2부재를 분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제2부재를 낱개로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노출모듈을 통해 제2부재이송모듈에서 제2부재를 낱개로 노출시키고, 흡착노즐이 제2부재를 낱개로 흡착할 수 있으며, 제2부재이송모듈에서 흡착되는 제2부재 이외에 인접한 다른 제2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착운반모듈을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제2부재를 안정되게 흡착하여 용접수평부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조정모듈을 통해 용접수평부에 제2부재를 정위치시키고, 흡착력에 의해 제2부재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예열유닛을 통해 용가재 및 제1부재의 가열 시간을 단축하고, 제1부재가 턴테이블의 간헐적 회전과 함께 이동할 때, 제1부재에서 제2부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레이징유닛을 통해 브레이징 과정을 자동화하고, 제1부재가 브레이징유닛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며, 브레이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도가열모듈을 통해 제1부재와 용가재와 제2부재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승강모듈을 통해 턴테이블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승강부재가 적층 지지된 베이스부재를 간편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부재승강모듈이 턴테이블의 간헐적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불연지지모듈을 통해 용접수평부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용접수평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가압모듈을 통해 제1부재와 용가재와 제2부재가 가열될 때, 제1부재와 용가재와 제2부재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제1부재와 제2부재 사이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완성된 고정커넥터에서 브레이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유닛을 통해 제2부재가 브레이징된 제1부재를 냉각시키고, 뜨거운 제1부재에 의해 화상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배출유닛을 통해 부재파지모듈로부터 제1부재를 안정되게 분리하고, 제1부재에 제2부재가 브레이징됨에 따라 완성된 고정커넥터를 안정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승강모듈을 통해 부재파지모듈에서 베이스부재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승강부재를 안정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운반모듈을 통해 낱개의 제1부재를 운반할 때, 제1부재가 이탈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모듈을 통해 완성된 고정커넥터가 자중에 의해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운반모듈이 운반하는 제1부재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출모듈의 위치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장모듈을 통해 배출운반모듈이 배출하는 고정커넥터를 추가 냉각시키고, 미처 냉각되지 못한 고정커넥터에 의해 화상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서 완성된 고정컨넥터를 도시한 평면도(a)와 측면도(b)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서 턴테이블유닛에 구비된 부재파지모듈을 도시한 측면도(a)와 정면단면도(b)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서 제1부재이송유닛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서 용가재공급유닛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서 제1부재이송유닛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서 브레이징유닛을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서 부재배출유닛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는 브레이징 공정의 자동화를 통해 고정커넥터(C)를 제조한다.
고정커넥터(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C1)와, 제2부재(C2)를 포함한다.
제1부재(C1)는 도체로 이루어진다.
제1부재(C1)는 지지수평부(C11)와, 지지수평부(C11)에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C12)와, 지지수평부(C11)와 평행하도록 절곡부(C12)에서 연장되는 용접수평부(C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용접수평부(C13)에는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되는 용접부(W)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부재(C2)는 도체 또는 부도체로 이루어진다. 제2부재(C2)는 브레이이징에 의해 용접수평부(C13)에 적층 고정된다.
여기서, 용접수평부(C13)와 제2부재(C2) 사이에는 용가재(F)가 삽입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는 동종 재질의 제1부재(C1)와 제2부재(C2)를 브레이징하거나, 이종 재질의 제1부재(C1)와 제2부재(C2)를 브레이징함으로써, 고정커넥터(C)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유닛(10)과, 제1피더유닛(21)과, 제2피더유닛(22)과, 제1부재이송유닛(30a)과, 용가재공급유닛(40)과, 제2부재이송유닛(30b)과, 브레이징유닛(60)과, 부재배출유닛(80)을 포함할 수 있다.
턴테이블유닛(10)은 제1부재(C1)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부재(C1)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킨다. 턴테이블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1)과, 부재파지모듈(12)과, 턴구동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
턴테이블(11)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턴테이블(11)에는 베이스가압홀(111)이 관통 형성된다. 베이스가압홀(111)은 부재파지모듈(12)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턴테이블(11)의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된다. 베이스가압홀(111)에는 부재파지모듈(12)의 베이스부재(122)가 노출된다.
부재파지모듈(12)은 다수 개가 턴테이블(11)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부재파지모듈(12)은 기설정된 브레이징 공정에 대응하여 턴테이블(1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획되는 6개 영역 또는 8개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설정된 브레이징 공정에 대응하여 부재파지모듈(12)은 8개의 영역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도시하였다.
부재파지모듈(12)은 턴테이블(11)의 간헐적 회전에 대응하여 턴테이블(11)의 회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구획되는 5개 영역 또는 6개 영역 또는 8개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영역에서 턴테이블(11)의 가장자리에는 베이스가압홀(111)이 관통 형성되고, 부재파지모듈(12)에 1:1로 대응하여 베이스가압홀(111)이 배치할 수 있다.
좀더 자세하게, 턴테이블(11)의 가장자리는 제1부재(C1)가 파지되는 파지영역과, 용가재(F)가 공급되는 용가재공급영역과, 제2부재(C2)가 공급되는 적층영역과, 제1부재(C1)와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되는 브레이징영역과, 브레이징이 완료된 고정커넥터(C)가 배출되는 배출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파지영역으로의 복귀를 위해 대기하는 버퍼영역이 부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부재(C1)와 제2부재(C2)와 용가재(F)를 예열하는 경우, 적층영역과 브레이징영역 사이에는 예열을 위해 제1부재(C1)와 제2부재(C2)와 용가재(F)에 열이 공급되는 예열영역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C1)와 제2부재(C2)의 브레이징에 따라 브레이징 부위를 냉각하는 경우, 브레이징영역과 배출영역 사이에는 냉각을 위해 브레이징 부위가 냉각되는 냉각영역이 부가될 수 있다.
부재파지모듈(12)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가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돌출되도록 지지수평부(C11)를 파지하게 된다. 부재파지모듈(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로드부재(121)와, 베이스부재(122)와, 승강부재(123)와, 파지탄성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로드부재(121)는 턴테이블(11)에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로드부재(121)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되고, 한 쌍의 가이드로드부재(121) 사이에는 상술한 베이스가압홀(111)이 관통 형성되도록 한다.
베이스부재(122)는 가이드로드부재(121)에 승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베이스부재(122)에는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가 안착되는 지지안착부(122-1)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이스부재(122)에는 지지안착부(122-1)가 함몰 형성되는 지지블럭(122-3)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블럭(122-3)에서 지지안착부(122-1)가 구비된 부분은 베이스부재(122)를 기준으로 턴테이블(1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용접수평부(C13)가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충분히 돌출되도록 한다.
베이스부재(122)에는 베이스가압홀(111)과 연통되는 승강가압홀(122-2)이 관통 형성된다. 승강가압홀(122-2)에는 베이스부재(122)에 적층되는 승강부재(123)가 노출된다. 이때, 승강가압홀(122-2)은 베이스가압홀(111)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됨으로써, 후술하는 안착승강모듈(33)을 통해 승강부재(123)만을 승강 이동시키거나, 후술하는 부재승강모듈(62)을 통해 베이스부재(122)와 승강부재(123)를 동시에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승강가압홀(122-2)은 베이스가압홀(111)과 실질적으로 동축을 이루도록 한다.
승강부재(123)는 가이드로드부재(121)에 승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이때, 승강부재(123)는 베이스부재(122)에 적층되도록 한다. 승강부재(123)는 베이스부재(122)의 지지안착부(122-1)에 안착된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를 지지할 수 있다. 승강부재(123)에는 베이스부재(122)의 지지안착부(122-1)에 안착된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를 지지하는 파지지지로드(123-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승강부재(123)에는 파지지지로드(123-1)가 돌출 형성되는 로드블럭(123-2)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로드블럭(123-2)에서 파지지지로드(123-1)가 구비된 부분은 승강부재(123)를 기준으로 턴테이블(1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용접수평부(C13)가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충분히 돌출되도록 하고, 지지안착부(122-1)에 안착된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파지탄성부재(125)는 베이스부재(122)를 향해 승강부재(123)를 탄성 가압한다. 그러면, 파지탄성부재(125)의 탄성력을 통해 승강부재(123)는 자중과 함께 지지안착부(122-1)에 안착된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를 탄성 가압하게 된다. 파지탄성부재(125)는 승강부재(123)의 탄성 가압을 통해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가 부재파지모듈(12)에 안정되게 파지되도록 하고,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제1부재(C1)의 유동 또는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부재파지모듈(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토퍼(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스토퍼(124)는 가이드로드부재(121)의 단부에 구비된다. 탄성스토퍼(124)는 코일 형상으로 가이드로드부재(121)를 감싸는 파지탄성부재(125)의 일측 단부를 지지한다.
턴구동모듈(13)은 다수의 부재파지모듈(12)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턴테이블(11)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킨다. 다시 말해, 턴구동모듈(13)은 기설정된 브레이징 공정에 대응하여 턴테이블(11)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턴테이블(11)의 간헐적 회전에 대응하여 턴테이블(11)의 가장자리에서 부재파지모듈(12)은 상술한 6개의 영역 또는 8개의 영역에 정위치된다.
제1피더유닛(21)은 턴테이블유닛(10)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제1피더유닛(21)은 제1부재(C1)를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한다.
제1피더유닛(2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더모듈(211)과, 제1부재정렬모듈(212)과, 제1부재이송모듈(2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피더모듈(211)은 제1부재(C1)가 수용된다. 제1피더모듈(211)은 수용된 제1부재(C1)를 배출시킨다. 제1피더모듈(211)은 진동에 의해 제1부재(C1)를 이동시킨다. 도면부호 214는 제1부재(C1)가 수용되고, 제1피더모듈(21)에 제1부재(C1)를 공급하는 부재호퍼이다.
제1부재정렬모듈(212)은 제1피더모듈(211)로부터 전달되는 제1부재(C1) 중 기설정된 배출 조건을 만족하는 제1부재(C1)를 일렬로 정렬하여 배출시킨다. 제1부재정렬모듈(212)은 제1피더모듈(211)로부터 전달되는 제1부재(C1) 중 기설정된 배출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제1부재(C1)를 회전시키거나, 제1피더모듈(211)로 떨어뜨릴 수 있다.
제1부재이송모듈(213)은 제1부재정렬모듈(212)에서 배출되는 제1부재(C1)를 제1부재이송유닛(30a)에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제1부재이송모듈(213)은 이송레일(201)과, 지지수평지지부(202)와, 용접수평지지부(203)를 포함하고, 지지브라켓(2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레일(201)은 기설정된 배출 조건에 대응하여 제1부재(C1)가 이송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이송레일(201)에는 적어도 지지수평부(C11)를 지지하는 이송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수평지지부(202)는 이송레일(201)에서 이격 배치된다. 지지수평지지부(202)는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를 지지한다. 지지수평지지부(202)는 이송레일(201)에서 지지수평부(C11)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
용접수평지지부(203)는 지지수평지지부(202)에서 이격 배치된다. 용접수평지지부(203)는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를 지지한다. 용접수평지지부(203)는 이송레일(201)에서 용접수평부(C13)를 정위치시킬 수 있다.
지지브라켓(204)은 지지수평지지부(202)와 용접수평지지부(2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송레일(201)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제1부재이송모듈(213)은 제1부재이송유닛(30a)이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를 안정되게 파지하도록 한다.
제2피더유닛(22)은 턴테이블유닛(10)과 제1피더유닛(21)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제2피더유닛(22)은 제2부재(C2)를 순차적으로 배출한다.
제2피더유닛(2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피더모듈(221)과, 제2부재정렬모듈(222)과, 제2부재이송모듈(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피더모듈(221)은 제2부재(C2)가 수용된다. 제2피더모듈(221)은 수용된 제2부재(C2)를 배출시킨다. 제2피더모듈(221)은 진동에 의해 제2부재(C2)를 이동시킨다.
제2부재정렬모듈(222)은 제2피더모듈(221)로부터 전달되는 제2부재(C2)를 일렬로 정렬하여 배출시킨다. 제2부재정렬모듈(222)은 제2부재의 진행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에 인접한 제2부재(C2) 또는 2단에 적층된 제2부재(C2)에 대하여 제2부재(C2)의 진행 방향에서 인접한 두 제2부재(C2) 사이로 끼워넣거나 제2피더모듈(221)로 떨어뜨릴 수 있다.
제2부재이송모듈(223)은 제2부재정렬모듈(222)에서 배출되는 제2부재(C2)를 제2부재이송유닛(30b)에 순차적으로 전달한다.
제1부재이송유닛(30a)은 제1피더유닛(21)에서 배출되는 제1부재(C1)를 하나씩 파지하여 부재파지모듈(12)에 전달한다.
제1부재이송유닛(3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낱개분리모듈(31)과, 파지운반모듈(32)과, 안착승강모듈(33)을 포함할 수 있다.
낱개분리모듈(31)은 제1피더유닛(21)의 제1부재이송모듈(213)로부터 배출되는 제1부재(C1)를 하나씩 분리한다.
낱개분리모듈(31)은 부재안착부재(311)와, 배출저지부재(312)와, 낱개분리구동부(313)를 포함하고, 낱개분리가이드(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안착부재(311)는 제1부재(C1)의 배출 방향에 대응하여 제1피더유닛(21)의 단부에 구비된다. 부재안착부재(311)는 제1피더유닛(21)의 제1부재이송모듈(213)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제1부재(C1)들 중 제1부재이송모듈(213)의 끝단에서 배출되는 하나의 제1부재(C1)가 안착된다.
부재안착부재(311)에는 제1부재(C1)가 삽입 안착되는 부재안착부(315)가 구비될 수 있다.
부재안착부재(311)에는 파지운반모듈(32)의 운반파지부재(321)가 삽입 또는 이탈 가능하도록 포크이동홈(31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포크이동홈(316)은 부재안착부(315)와 연통되어 운반파지부재(321)의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배출저지부재(312)는 부재안착부재(311)에서 돌출 형성된다. 부재안착부재(311)가 턴테이블(11) 쪽으로 이동되면, 배출저지부재(312)는 제1피더유닛(21)의 제1부재이송모듈(213)의 끝단부를 폐쇄한다.
낱개분리구동부(313)는 제1피더유닛(21)의 단부와 턴테이블(11) 사이에서 부재안착부재(311)를 왕복 이동시킨다. 낱개분리구동부(313)는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부재안착부재(3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낱개분리모듈(31)은 부재안착부재(311)의 왕복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낱개분리가이드(3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운반모듈(32)은 낱개분리모듈(31)에 안착된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를 파지하여 부재파지모듈(12)에 전달한다.
파지운반모듈(32)은 운반파지부재(321)와, 운반파지구동부(322)와, 운반승강구동부(323)와, 운반수평구동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운반파지부재(321)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된다. 운반파지부재(321)는 용접수평부(C13)를 파지하거나, 용접수평부(C13)에 구비되는 용접부(W)를 파지할 수 있다.
운반파지구동부(322)는 운반파지부재(321)가 용접수평부(C13) 또는 용접부(W)를 파지하도록 한 쌍의 운반파지부재(321)를 이동시킨다. 운반파지구동부(322)는 한 쌍의 운반파지부재(321)를 상호 접근시키거나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운반승강구동부(323)는 운반파지부재(321)를 승강 이동시킨다. 운반승강구동부(323)는 운반파지구동부(322)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운반파지부재(32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승강구동부(323)는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운반파지부재(32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수평구동부(324)는 운반파지부재(321)를 수평 이동시킨다. 운반수평구동부(324)는 운반승강구동부(323)를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운반파지부재(321)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운반수평구동부(324)는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운반파지부재(321)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안착승강모듈(33)은 부재파지모듈(12)에서 승강부재(123)를 베이스부재(122)로부터 이격시킨다. 승강부재(123)가 베이스부재(12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안착승강모듈(33)은 파지운반모듈(32)이 파지한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를 지지안착부(122-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안착승강모듈(33)은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승강부재(123)를 베이스부재(12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안착승강모듈(33)은 턴테이블(11)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착승강로드(331)와, 안착승강로드(331)를 승강 이동시키는 안착승강구동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승강구동부(332)는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안착승강로드(33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안착승강구동부(332)의 구동에 따라 안착승강로드(331)가 승강 이동되고, 안착승강로드(331)가 상승되면, 안착승강로드(331)는 베이스가압홀(111)과 승강가압홀(122-2)을 차례로 통과하여 승강부재(123)를 가압함으로써, 승강부재(123)를 베이스부재(12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가 지지안착부(122-1)에 안착되면, 안착승강모듈(33)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승강부재(123)는 파지탄성부재(125)의 탄성력에 의해 베이스부재(122)로 이동하므로, 승강부재(123) 또는 승강부재(123)의 파지지지로드(123-1)는 지지안착부(122-1)에 안착된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를 지지할 수 있다.
용가재공급유닛(40)은 턴테이블(1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제1부재이송유닛(30a)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용가재공급유닛(40)은 부재파지모듈(12)이 파지한 제1부재(C1)에서 용접수평부(C13)에 용가재(F)를 공급한다.
용가재공급유닛(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가재노즐(41)과, 노즐승강모듈(42)과, 용가재공급모듈(43)을 포함할 수 있다.
용가재노즐(41)은 용가재(F)를 배출한다. 여기서, 용가재(F)는 액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가재노즐(41)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따라 정위치되는 제1부재(C1)의 상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노즐승강모듈(42)은 용가재노즐(41)을 승강 이동시킨다. 노즐승강모듈(42)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따라 용가재노즐(41)의 하측에 제1부재(C1)가 정위치되면, 용가재노즐(41)을 하강시키고, 용가재노즐(41)에서 용가재(F)가 배출되면, 용가재노즐(41)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노즐승강모듈(42)은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용가재(F)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용가재공급모듈(43)은 용가재노즐(41)에서 배출되는 용가재(F)를 정량으로 조절하여 공급한다.
용가재공급유닛(40)은 부재지지모듈(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지지모듈(44)은 용가재노즐(41)과 마주보도록 용가재노즐(41)의 하측에 이격 배치되고, 턴테이블(11)의 회전에 따라 정위치되는 제1부재(C1)의 하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부재지지모듈(44)은 턴테이블(11)의 간헐적 회전에 따라 정위치되는 제1부재(C1)에 대해 용접수평부(C13)를 지지한다. 부재지지모듈(44)은 정위치된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부재지지로드와, 제1부재(C1)의 정위치 여부에 따라 부재지지로드를 승강 이동시키는 부재지지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부재이송유닛(30b)은 턴테이블(1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용가재공급유닛(40)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제2부재이송유닛(30b)은 제2피더유닛(22)에서 배출되는 제2부재(C2)를 흡착하고, 용접수평부(C13)에 공급된 용가재(F)에 제2부재(C2)를 적층한다.
제2부재이송유닛(30b)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노출모듈(34)과, 흡착운반모듈(35)과, 부재조정모듈(36)을 포함할 수 있다.
부재노출모듈(34)은 제2피더유닛(22)의 배출 단부(제2부재이송모듈(223)의 단부)에서 정렬된 제2부재(C2) 중 하나의 제2부재(C2)를 노출시킨다. 부재노출모듈(34)에는 낱개의 제2부재(C2)가 노출되는 부재노출홀(341)이 구비되어 흡착운반모듈(35)이 낱개의 제2부재(C2)를 안정되게 흡착할 수 있고, 인접한 다른 제2부재(C2)가 흡착력에 의해 제2피더유닛(22)의 단부(제2부재이송모듈(223)의 단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착운반모듈(35)은 부재노출모듈(34)에 노출된 제2부재(C2)를 흡착하고, 부재파지모듈(12)이 파지한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에 제2부재(C2)를 전달한다.
흡착운반모듈(35)은 흡착노즐(351)과, 흡착승강구동부(352)와, 흡착수평구동부(353)와, 흡착구동부(354)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노즐(351)은 부재노출모듈(34)에 노출된 제2부재(C2)를 흡착 지지한다.
흡착승강구동부(352)는 흡착노즐(351)을 승강 이동시킨다. 흡착승강구동부(352)는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흡착노즐(351)을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흡착수평구동부(353)는 흡착노즐(351)을 수평 이동시킨다. 흡착수평구동부(353)는 흡착승강구동부(352)를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흡착노즐(351)을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흡착수평구동부(353)는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흡착노즐(351)을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흡착구동부(354)는 흡착노즐(351)에 흡착력을 제공한다.
제2부재이송유닛(30b)은 부재조정모듈(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조정모듈(36)은 용접수평부(C13)에 적층되는 제2부재(C2)를 정위치로 조정한다.
부재조정모듈(36)은 조정파지부재(361)와, 포크구동부(362)와, 포크승강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파지부재(361)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된다. 조정파지부재(361)는 제2부재(C2)를 정위치로 조정한다. 조정파지부재(361)는 용접수평부(C13)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2부재(C2)를 정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포크구동부(362)는 조정파지부재(361)가 제2부재(C2)를 정위치로 조정하도록 한 쌍의 조정파지부재(361)를 이동시킨다. 포크구동부(362)는 한 쌍의 조정파지부재(361)를 상호 접근시키거나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포크승강부(363)는 조정파지부재(361)를 승강 이동시킨다. 포크승강부(363)는 포크구동부(362)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조정파지부재(36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포크승강부(363)는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조정파지부재(36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브레이징유닛(60)은 턴테이블(1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제2부재이송유닛(30b) 또는 후술하는 예열유닛(50)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브레이징유닛(60)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에 제2부재(C2)를 브레이징한다. 브레이징유닛(60)은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을 통해 용가재(F)를 용융시켜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에 제2부재(C2)를 브레이징할 수 있다.
브레이징유닛(6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모듈(61)과, 부재승강모듈(62)과, 불연지지모듈(63)과, 부재가압모듈(64)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가열모듈(61)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와 제2부재(C2)의 브레이징을 위한 열을 발생시킨다. 유도가열모듈(61)에는 고주파 전류에 의해 열이 발생되는 유도가열코일(611)이 돌출 형성된다. 유도가열코일(611)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따라 제1부재(C1)가 정위치될 때,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의 상측에 이격 배치된다. 그러면, 유도가열모듈(61)은 고주파 전류를 유도가열코일(611)에 인가함으로써, 유도가열코일(611)에서는 브레이징을 위한 열이 발생된다.
부재승강모듈(62)은 유도가열코일(611)을 향해 제2부재(C2)가 적층된 제1부재(C1)를 승강 이동시킨다. 부재승강모듈(62)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따라 제1부재(C1)가 정위치될 때, 부재파지모듈(12)의 베이스부재(122)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부재파지모듈(12)이 파지한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는 유도가열코일(611)에 접근하고, 용접수평부(C13)와 용가재(F)와 제2부재(C2)는 유도가열코일(611)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도록 한다.
부재승강모듈(62)은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부재파지모듈(12)이 파지한 제1부재(C1)를 유도가열코일(611)에 접근시킬 수 있다. 부재승강모듈(62)은 턴테이블(11)의 하측에 구비되는 부재승강로드(621)와, 부재승강로드(621)를 승강 이동시키는 부재승강구동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재승강구동부(622)는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부재승강로드(62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부재승강구동부(622)의 구동에 따라 부재승강로드(621)가 승강 이동되고, 부재승강로드(621)가 상승되면, 부재승강로드(621)는 베이스가압홀(111)을 통과하여 베이스부재(122)를 가압함으로써, 베이스부재(122)와 승강부재(123)를 적층된 상태로 상승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에서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되면, 부재승강모듈(62)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베이스부재(122)와 승강부재(123)는 파지탄성부재(125)의 탄성력에 의해 턴테이블(11)로 이동하므로, 부재파지모듈(12)이 파지한 제1부재(C1)를 초기 위치에 정위치시킬 수 있다.
불연지지모듈(63)은 유도가열코일(611)의 하측에서 승강 이동된다. 불연지지모듈(63)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따라 제1부재(C1)가 정위치될 때, 제1부재(C1)의 하부에서 용접수평부(C13)를 지지한다. 불연지지모듈(63)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와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되거나,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와 제2부재(C2)가 가열될 때,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를 지지한다.
불연지지모듈(63)은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를 지지할 수 있다. 불연지지모듈(63)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따라 정위치되는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의 하측에 구비되는 불연지지로드(631)와, 불연지지로드(631)를 승강 이동시키는 불연승강구동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불연지지모듈(63)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를 지지하도록 불연지지로드(631)의 단부에 구비되는 불연지지부(6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불연지지부(632)는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가 가열될 때, 열이 불연지지로드(631)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열된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에 의해 불연지지부(632)에서 연기 또는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1부재(C1)가 유도가열코일(611)을 향해 상승되면, 불연승강구동부(633)의 구동에 따라 불연지지로드(631)가 승강 이동되고, 불연지지로드(631)가 상승하면, 불연지지부(632)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와 제2부재(C2)의 브레이징이 완료되면, 불연지지모듈(63)은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부재가압모듈(64)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에서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될 때,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에 적층된 제2부재(C2)를 가압한다.
부재가압모듈(64)은 부재가압핀(641)과, 부재가압로드(642)와, 가압승강구동부(643)를 포함하고, 가압탄성부(6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재가압핀(641)은 정위치된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의 상측에 이격 배치된다. 부재가압핀(641)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부재가압핀(641)이 제2부재(C2)를 가압할 때, 열이 부재가압로드(64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유도가열코일(611)의 열에 의해 부재가압핀(641)에서 연기 또는 냄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재가압로드(642)는 부재가압핀(641)이 구비된다.
가압승강구동부(643)는 부재가압로드(642)를 승강 이동시킨다.
가압탄성부(644)는 부재가압로드(642)를 기준으로 부재가압핀(641)을 탄성 지지한다. 가압탄성부(644)는 부재가압핀(641)이 제2부재를 가압할 때, 부재가압핀(641)에 탄성력을 부여하여 부재가압핀(641)이 제2부재(C2)를 탄성 가압하도록하고, 열이 부재가압로드(642)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유도가열코일(611)에 의해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와 용가재(F)와 제2부재(C2)가 가열될 때, 가압승강구동부(643)의 구동에 따라 부재가압로드(642)가 승강 이동되고, 부재가압로드(642)가 하강하면, 부재가압핀(641)이 가압탄성부(644)의 탄성력과 함께 제2부재(C2)를 탄성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와 제2부재(C2)의 브레이징이 완료되면, 부재가압모듈(64)은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브레이징유닛(60)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에서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될 때, 유도가열코일(61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배기모듈(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모듈(65)은 브레이징 부위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부재배출유닛(80)은 턴테이블(1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브레이징유닛(60) 또는 후술하는 냉각유닛(70)으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부재배출유닛(80)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따라 정위치된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된 제1부재(C1)를 분리하여 배출한다.
부재배출유닛(8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승강모듈(81)과, 저장모듈(84)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승강모듈(81)은 부재파지모듈(12)에서 제1부재(C1)의 파지력이 해제되도록 승강부재(123)를 베이스부재(122)로부터 이격시킨다. 승강부재(123)가 베이스부재(122)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배출운반모듈(82)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를 파지하여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된 제1부재(C1)를 분리할 수 있다.
배출승강모듈(81)은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승강부재(123)를 베이스부재(12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배출승강모듈(81)은 턴테이블(11)의 하측에 구비되는 분리승강로드(811)와, 분리승강로드(811)를 승강 이동시키는 분리승강구동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분리승강구동부(812)의 구동에 따라 분리승강로드(811)가 승강 이동되고, 분리승강로드(811)가 상승하면, 분리승강로드(811)는 베이스가압홀(111)과 승강가압홀(122-2)을 차례로 통과하여 승강부재(123)를 가압함으로써, 승강부재(123)를 베이스부재(122)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부재(C1)가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분리되면, 배출승강모듈(81)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승강부재(123)는 파지탄성부재(125)의 탄성력에 의해 베이스부재(122)로 이동하므로, 배출승강모듈(81)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고, 부재파지모듈(12)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따라 파지영역으로 이동하여 후속하는 제1부재(C1)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저장모듈(84)은 배출승강모듈(81)에 의해 부재파지모듈(12)에서 분리되는 제1부재(C1) 또는 배출운반모듈(82)에 의해 배출되는 제1부재(C1)가 저장된다. 저장모듈(84)에는 냉각수가 수용되어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된 제1부재(C1)를 냉각시킬 수 있다. 저장모듈(84)은 배출모듈(83)의 배출경로부의 하단 쪽에 구비될 수 있다.
부재배출유닛(80)은 배출운반모듈(82)과 배출모듈(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운반모듈(82)은 파지력이 해제된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를 파지하여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제1부재(C1)를 분리 배출시킨다.
배출운반모듈(82)은 배출파지부재(821)와, 배출파지구동부(822)와, 배출승강구동부(8823)와, 배출수평구동부(824)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파지부재(821)는 한 쌍이 상호 이격 배치된다. 배출파지부재(821)는 용접수평부(C13)를 파지하거나, 용접수평부(C13)에 구비되는 용접부(W)를 파지할 수 있다.
배출파지구동부(822)는 배출파지부재(821)가 용접수평부(C13) 또는 용접부(W)를 파지하도록 한 쌍의 배출파지부재(821)를 이동시킨다. 배출파지구동부(822)는 한 쌍의 배출파지부재(821)를 상호 접근시키거나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배출승강구동부(823)는 배출파지부재(821)를 승강 이동시킨다. 배출승강구동부(823)는 배출파지구동부(822)를 승강 이동시킴으로써, 배출파지부재(82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승강구동부(823)는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배출파지부재(821)를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수평구동부(824)는 배출파지부재(821)를 수평 이동시킨다. 배출수평구동부(824)는 배출승강구동부(823)를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배출파지부재(821)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수평구동부(824)는 실린더 방식, 랙기어 방식, 리니어 방식으로 구동되어 배출파지부재(821)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모듈(83)은 배출운반모듈(82)에 의해 배출되는 제1부재(C1)의 배출 경로를 형성한다. 배출모듈(83)은 턴테이블(11)로부터 하향 경사를 이루는 배출경로부가 구비되어 제1부재(C1)가 자중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배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는 예열유닛(50)과 냉각유닛(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열유닛(50)은 턴테이블(1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제2부재이송유닛(30b)과 브레이징유닛(60) 사이에 이격 배치된다. 예열유닛(50)은 제2부재(C2)의 브레이징 부위를 예열한다. 예열유닛(50)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와 용접수평부(C13)에 적층된 제2부재(C2)와 용가재(F)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가열할 수 있다.
냉각유닛(70)은 턴테이블(11)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브레이징유닛(60)과 부재배출유닛(80) 사이에 이격 배치된다. 냉각유닛(70)은 제2부재(C2)의 브레이징 부위를 냉각시킨다. 냉각유닛(70)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와 용접수평부(C13)에 브레이징된 제2부재(C2)와 용가재(F)를 직접 또는 간접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턴구동모듈(13)의 구동에 따라 턴테이블(11)이 간헐적으로 회전되고, 턴테이블(11)의 가장자리에서 부재파지모듈(12)은 각 영역에 정위치된다.
또한, 제1피더유닛(21)은 제1부재(C1)를 정렬하여 배출함으로써, 제1부재이송모듈(213)에는 제1부재(C1)가 기설정된 배출 조건에 따라 정렬되어 일렬로 나열된다.
또한, 제2피더유닛(22)은 제2부재(C2)를 순차적으로 배출함으로써, 제2부재이송모듈(223)에는 제2부재(C2)가 일렬로 나열된다.
여기서, 부재파지모듈(12)이 파지영역에 정위치되면, 안착승강모듈(33)의 구동에 따라 베이스부재(122)로부터 승강부재(123)가 이격된다. 이때, 낱개분리모듈(31)은 제1부재이송모듈(213)로부터 하나의 제1부재(C1)를 분리하여 부재파지모듈(12) 쪽으로 이동시키고, 파지운반모듈(32)은 낱개분리모듈(31)에 안착된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 또는 용접수평부(C13)의 용접부(W)를 파지하여 부재파지모듈(12)로 운반한다. 그리고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가 지지안착부(122-1)에 안착되면, 안착승강모듈(33)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승강부재(123)가 파지탄성부재(125)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하므로, 승강부재(123) 또는 파지지지로드(123-1)가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를 탄성 가압하여 지지하게 된다. 낱개분리모듈(31)에서 제1부재(C1)가 분리되면, 낱개분리모듈(31)은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후속하는 제1부재(C1)가 다시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부재파지모듈(12)이 제1부재(C1)의 지지수평부(C11)를 파지하면, 파지운반모듈(32)은 제1부재(C1)에서 분리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후속하는 제1부재(C1)를 다시 파지하도록 한다. 그러면, 제1부재이송유닛(30a)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부재(C1)를 파지한 부재파지모듈(12)이 용가제공급영역에 정위치되면, 부재지지모듈(44)의 구동에 따라 부재지지로드는 제1부재(C1)의 하부에서 용접수평부(C13)를 지지하고, 노즐승강모듈(42)의 구동에 따라 용가재노즐(41)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의 용접부(W)로 하강하며, 용가재공급모듈(43)을 통해 용접수평부(C13)의 용접부(W)에 용가재(F)를 정량 공급한다. 용가재(F)의 공급이 완료되면, 부재지지모듈(44)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용가재노즐(41)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면, 용가재공급유닛(40)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용가재(F)가 공급된 제1부재(C1)를 파지한 부재파지모듈(12)이 적층영역에 정위치되면, 흡착운반모듈(35)의 구동에 따라 흡착노즐(351)은 부재노출홀(341)에 노출된 제2부재(C2)를 흡착하여 용접수평부(C13)의 용접부(W)에 전달한다. 이때, 부재조정모듈(36)의 구동에 따라 조정파지부재(361)는 용접수평부(C13)에 적층된 제2부재(C2)를 파지하여 정위치시킨다. 그리고 제2부재(C2)가 용접수평부(C13)에 적층되어 정위치가 완료되면, 흡착운반모듈(35)에서 흡착력이 해제되고, 흡착운반모듈(35)이 초기 상태로 복귀하고, 부재조정모듈(36)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면, 제2부재이송유닛(30b)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부재(C2)가 적층된 제1부재(C1)를 파지한 부재파지모듈(12)이 예열영역에 정위치되면, 예열유닛(50)의 구동에 따라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와 제2부재(C2)와 용가재(F)를 예열한다.
또한, 제2부재(C2)가 적층된 제1부재(C1)를 파지한 부재파지모듈(12) 또는 예열된 제1부재(C1)를 파지한 부재파지모듈(12)이 브레이징영역에 정위치되면, 브레이징유닛(60)의 구동에 따라 제1부재(C1)와 제2부재(C2)를 브레이징한다. 이때, 부재승강모듈(62)은 부재파지모듈(12)에서 제1부재(C1)의 파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베이스부재(122)와 승강부재(123)를 상승시키고, 불연지지모듈(63)의 구동에 따라 불연지지부(632)는 제1부재(C1)의 하부에서 용접수평부(C13)를 지지하며, 유도가열모듈(61)의 구동에 따라 유도가열코일(611)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와 제2부재(C2)와 용가재(F)를 가열하고, 부재가압모듈(64)은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의 상측에서 제2부재(C2)를 탄성 가압한다. 여기서, 배기모듈(65)은 유도가열코일(611)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브레이징 부위에 불활성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부재(C1)와 제2부재(C2)의 브레이징이 완료되면, 부재승강모듈(62)과, 불연지지모듈(63)과, 부재가압모듈(64)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면, 브레이징유닛(60)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브레이징이 완료된 제1부재(C1)를 파지한 부재파지모듈(12)이 냉각영역에 정위치되면, 냉각유닛(70)의 구동에 따라 브레이징 부위를 냉각한다.
또한, 브레이징이 완료된 제1부재(C1)를 파지한 부재파지모듈(12) 또는 냉각된 제1부재(C1)를 파지한 부재파지모듈(12)이 배출영역에 정위치되면, 부재배출유닛(80)의 구동에 따라 브레이징이 완료된 제1부재(C1)를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분리하여 배출시킨다. 이때, 배출승강모듈(81)의 구동에 따라 베이스부재(122)로부터 승강부재(123)가 이격되고, 배출운반모듈(82)의 구동에 따라 배출파지부재(821)는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를 파지한 다음,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분리하여 배출시킨다. 그리고 부재파지모듈(12)이 파지한 제1부재(C1)의 배출이 완료되면, 배출승강모듈(81)과 배출운반모듈(82)이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면, 부재배출유닛(80)은 턴테이블(11)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부재(C1)가 배출된 부재파지모듈(12)이 버퍼영역에 정위치되었다가 다시 파지영역으로 복귀하여 상술한 동작을 순환 반복하게 된다.
상술한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 따르면, 고정커넥터(C)에서 제1부재(C1)의 용접수평부(C13)에 제2부재(C2)를 적층하여 정밀하게 접합하기 위한 브레이징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작업 공정을 개선하고, 생산성 및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피더유닛(21)을 통해 기하 행태를 갖는 제1부재(C1)에 대하여 방향성을 가지고 기설정된 배출 조건에 따라 정렬할 수 있고, 정렬된 제1부재(C1)를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피더유닛(22)을 통해 제2부재(C2)를 일렬로 정렬할 수 있고, 정렬된 제2부재(C2)를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부재파지모듈(12)을 통해 제1부재(C1)에서 지지수평부(C11)를 파지함으로써, 용접수평부(C13)가 부재파지모듈(12)의 외측으로 안정되게 돌출되도록 하고, 브레이징을 위해 턴테이블(11)이 간헐적으로 회전될 때, 각각의 유닛들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닛들과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부재파지모듈(12)을 통해 제1부재(C1)의 파지 동작, 제1부재(C1)의 파지 해제 동작, 제1부재(C1)의 승강 동작을 원활하게 하고, 용접수평부(C13)의 돌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고, 턴테이블(11)에 대하여 베이스부재(122)와 승강부재(123)의 승강 이동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턴테이블(11)에서 베이스부재(122)와 승강부재(123)가 안정되게 적층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지지블럭(122-3)과 로드블럭(123-2)의 탈부착 구조를 통해 제1부재(C1)의 변형에 순응하여 제1부재(C1)의 종류에 따라 부품 교체를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안착부(122-1)를 통해 베이스부재(122)에서 제1부재(C1)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가압홀(111)과 승강가압홀(122-2)의 구성을 통해 안착승강모듈(33) 도는 배출승강모듈(81)이 턴테이블(11)의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고, 베이스부재(122)와 승강부재(123)의 탄성 가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가압홀(111)과 승강가압홀(122-2)의 직경 차이를 통해 동축 상에서 베이스부재(122) 또는 승강부재(123)를 안정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제1부재이송유닛(30a)을 통해 제1피더유닛(21)의 제1부재이송모듈(213)로부터 낱개의 제1부재(C1)를 분리할 수 있고, 정위치된 부재파지모듈(12)이 하나의 제1부재(C1)를 안정되게 파지하도록 한다.
또한, 낱개분리모듈(31)을 통해 제1부재이송모듈(213)로부터 제1부재(C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낱개의 제1부재(C1)를 안정되게 추출하여 분리할 수 있으며, 포크이동홈(316)을 통해 파지운반모듈(32)이 하나의 제1부재(C1)를 안정되게 파지하도록 한다. 또한, 낱개분리모듈(31)에서 부재안착부재(311)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제1부재이송모듈(213)과 낱개분리모듈(31) 사이로 제1부재(C1)가 끼워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운반모듈(32)을 통해 낱개의 제1부재(C1)를 운반할 때, 제1부재(C1)가 이탈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승강모듈(33)을 통해 부재파지모듈(12)에서 베이스부재(122)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승강부재(123)를 안정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용가재공급유닛(40)을 통해 정량의 용가재를 용접수평부(C13)에서 정위치에 공급할 수 있고, 용가재(F)가 공급될 때, 부재파지모듈(12)에서 제1부재(C1)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부재이송유닛(30b)의 세부 구성을 통해 제2피더유닛(22)의 제2부재이송모듈(223)로부터 낱개의 제2부재(C2)를 분리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제2부재(C2)를 낱개로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부재노출모듈(34)을 통해 제2부재이송모듈(223)에서 제2부재(C2)를 낱개로 노출시키고, 흡착노즐(351)이 제2부재(C2)를 낱개로 흡착할 수 있으며, 제2부재이송모듈(223)에서 흡착되는 제2부재(C2) 이외에 인접한 다른 제2부재(C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흡착운반모듈(35)을 통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제2부재(C2)를 안정되게 흡착하여 용접수평부(C1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부재조정모듈(36)을 통해 용접수평부(C13)에 제2부재(C2)를 정위치시키고, 흡착력에 의해 제2부재(C2)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열유닛(50)을 통해 용가재(F) 및 제1부재(C1)의 가열 시간을 단축하고, 제1부재(C1)가 턴테이블(11)의 간헐적 회전과 함께 이동할 때, 제1부재(C1)에서 제2부재(C2)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징유닛(60)을 통해 브레이징 과정을 자동화하고, 제1부재(C1)가 브레이징유닛(6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며, 브레이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모듈(61)을 통해 제1부재(C1)와 용가재(F)와 제2부재(C2)를 충분히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부재승강모듈(62)을 통해 턴테이블(11)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승강부재(123)가 적층 지지된 베이스부재(122)를 간편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부재승강모듈(62)이 턴테이블(11)의 간헐적 회전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불연지지모듈(63)을 통해 용접수평부(C13)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용접수평부(C1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화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부재가압모듈(64)을 통해 제1부재(C1)와 용가재(F)와 제2부재(C2)가 가열될 때, 제1부재(C1)와 용가재(F)와 제2부재(C2)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제1부재(C1)와 제2부재(C2) 사이에서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며, 완성된 고정커넥터(C)에서 브레이징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유닛(70)을 통해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된 제1부재(C1)를 냉각시키고, 뜨거운 제1부재(C1)에 의해 화상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재배출유닛(80)을 통해 부재파지모듈(12)로부터 제1부재(C1)를 안정되게 분리하고, 제1부재(C1)에 제2부재(C2)가 브레이징됨에 따라 완성된 고정커넥터(C)를 안정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배출승강모듈(81)을 통해 부재파지모듈(12)에서 베이스부재(122)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승강부재(123)를 안정되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운반모듈(82)을 통해 낱개의 제1부재(C1)를 운반할 때, 제1부재(C1)가 이탈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모듈(83)을 통해 완성된 고정커넥터(C)가 자중에 의해 배출되도록 하고, 배출운반모듈(82)이 운반하는 제1부재(C1)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출모듈(83)의 위치 조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저장모듈(84)을 통해 배출운반모듈(82)이 배출하는 고정커넥터(C)를 추가 냉각시키고, 미처 냉각되지 못한 고정커넥터(C)에 의해 화상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C: 고정커넥터 C1: 제1부재 C11: 지지수평부
C12: 절곡부 C13: 용접수평부 W: 용접부
F: 용가재 C2: 제2부재
10: 턴테이블유닛 11: 턴테이블 111: 베이스가압홀
12: 부재파지모듈 121: 가이드로드부재 122: 베이스부재
122-1: 지지안착부 122-2: 승강가압홀 122-3: 지지블럭
123: 승강부재 123-1: 파지지지로드 123-2: 로드블럭
124: 탄성스토퍼 125: 파지탄성부재 13: 턴구동모듈
21: 제1피더유닛 211: 제1피더모듈 212: 제1부재정렬모듈
213: 제1부재이송모듈 214: 부재호퍼 22: 제2피더유닛
221: 제2피더모듈 222: 제2부재정렬모듈 223: 제2부재이송모듈
30a: 제1부재이송유닛 31: 낱개분리모듈 311: 부재안착부재
312: 배출저지부재 313: 낱개분리구동부 314: 낱개분리가이드
315: 부재안착부 316: 포크이동홈 32: 파지운반모듈
321: 운반파지부재 322: 운반파지구동부 323: 운반승강구동부
324: 운반수평구동부 33: 안착승강모듈 331: 안착승강로드
332: 안착승강구동부 30b: 제2부재이송유닛 34: 부재노출모듈
341: 부재노출홀 35: 흡착운반모듈 351: 흡착노즐
352: 흡착승강구동부 353: 흡착수평구동부 354: 흡착구동부
36: 부재조정모듈 361: 조정파지부재 362: 포크구동부
363: 포크승강부 40: 용가재공급유닛 41: 용가재노즐
42: 노즐승강모듈 43: 용가재공급모듈 44: 부재지지모듈
50: 예열유닛 60: 브레이징유닛 61: 유도가열모듈
611: 유도가열코일 62: 부재승강모듈 621: 부재승강로드
622: 부재승강구동부 63: 불연지지모듈 631: 불연지지로드
632: 불연지지부 633: 불연승강구동부 64: 부재가압모듈
641: 부재가압핀 642: 부재가압로드 643: 가압승강구동부
644: 가압탄성부 65: 배기모듈 70: 냉각유닛
80: 부재배출유닛 81: 배출승강모듈 811: 분리승강로드
812: 분리승강구동부 82: 배출운반모듈 821: 배출파지부재
822: 배출파지구동부 823: 배출승강구동부 824: 배출수평구동부
83: 배출모듈 84: 저장모듈

Claims (10)

  1. 지지수평부와, 상기 지지수평부에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와, 상기 지지수평부와 평행하도록 상기 절곡부에서 연장되는 용접수평부로 이루어진 제1부재와, 브레이징에 의해 상기 용접수평부에 적층 고정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고정커넥터를 제조하는 자동 브레이징 장치에 있어서,
    원판 형상의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부재파지모듈과, 다수의 부재파지모듈의 배치 간격에 대응하여 상기 턴테이블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턴구동모듈을 포함하는 턴테이블유닛;
    상기 턴테이블유닛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부재를 정렬하여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1피더유닛;
    상기 턴테이블유닛과 상기 제1피더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를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제2피더유닛;
    상기 제1피더유닛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부재를 하나씩 파지하여 상기 부재파지모듈에 전달하는 제1부재이송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부재이송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부재파지모듈이 파지한 상기 제1부재에서 상기 용접수평부에 용가재를 공급하는 용가재공급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용가재공급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2피더유닛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2부재를 흡착하여 상기 용접수평부에 공급된 용가재에 상기 제2부재를 적층하는 제2부재이송유닛;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2부재이송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용접수평부에 상기 제2부재를 브레이징하는 브레이징유닛; 및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브레이징유닛으로부터 이격 배치되고, 상기 부재파지모듈로부터 상기 제2부재가 브레이징된 상기 제1부재를 분리하여 배출하는 부재배출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부재파지모듈은, 상기 용접수평부가 상기 부재파지모듈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지지수평부를 파지하며,
    상기 제1피더유닛은,
    상기 제1부재가 수용되고, 수용된 상기 제1부재를 배출하는 제1피더모듈;
    상기 제1피더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1부재 중 기설정된 배출 조건을 만족하는 제1부재를 일렬로 정렬하여 배출시키는 제1부재정렬모듈; 및
    상기 제1부재정렬모듈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제1부재이송유닛에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제1부재이송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피더유닛은,
    상기 제2부재가 수용되고, 수용된 상기 제2부재를 배출하는 제2피더모듈;
    상기 제2피더모듈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2부재를 일렬로 정렬하여 배출시키는 제2부재정렬모듈; 및
    상기 제2부재정렬모듈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2부재를 상기 제2부재이송유닛에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제2부재이송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파지모듈은,
    상기 턴테이블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로드부재;
    상기 가이드로드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에 적층되고, 상기 가이드로드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를 향해 상기 승강부재를 탄성 가압하는 파지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지지수평부가 안착되는 지지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파지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지지수평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는,
    상기 베이스부재가 노출되는 베이스가압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노출되고, 상기 베이스가압홀과 연통되는 승강가압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이송유닛은,
    상기 제1피더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제1부재를 하나씩 분리하는 낱개분리모듈;
    상기 낱개분리모듈에 안착된 상기 제1부재를 파지하여 상기 부재파지모듈에 전달하는 파지운반모듈; 및
    상기 파지운반모듈이 파지한 상기 제1부재의 상기 지지수평부가 상기 지지안착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안착승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낱개분리모듈은,
    상기 제1피더유닛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출되는 상기 제1부재들 중 하나의 제1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1부재의 배출 방향에 대응하여 상기 제1피더유닛의 단부에 구비되는 부재안착부재;
    상기 부재안착부재에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부재안착부재가 상기 턴테이블 쪽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피더유닛의 단부를 폐쇄하는 배출저지부재; 및
    상기 제1피더유닛의 단부와 상기 턴테이블 사이에서 상기 부재안착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낱개분리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가재공급유닛은,
    상기 용가재를 배출하는 용가재노즐;
    상기 용가재노즐을 승강 이동시키는 노즐승강모듈; 및
    상기 용가재노즐에서 배출되는 용가재를 정량으로 조절하여 공급하는 용가재공급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이송유닛은,
    상기 제2피더유닛의 배출 단부에서 정렬된 상기 제2부재 중 하나를 노출시키는 부재노출모듈;
    상기 부재노출모듈에 노출된 상기 제2부재를 흡착하여 상기 부재파지모듈이 파지한 상기 제1부재의 상기 용접수평부에 전달하는 흡착운반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징유닛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브레이징을 위한 열이 발생되도록 고주파 전류를 유도가열코일에 인가하는 유도가열모듈;
    상기 유도가열코일을 향해 상기 제2부재가 적층된 상기 제1부재를 승강 이동시키는 부재승강모듈;
    상기 유도가열코일의 하측에서 승강 이동되어 상기 제1부재의 하부에서 상기 용접수평부를 지지하는 불연지지모듈;
    상기 용접수평부에서 상기 제2부재가 브레이징될 때, 상기 용접수평부에 적층된 상기 제2부재를 가압하는 부재가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배출유닛은,
    상기 부재파지모듈에서 상기 제1부재의 파지력이 해제되도록 상기 승강부재를 상기 베이스부재로부터 이격시키는 배출승강모듈; 및
    상기 배출승강모듈에 의해 상기 부재파지모듈에서 분리되는 상기 제1부재가 저장되는 저장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KR1020190058361A 2019-05-17 2019-05-17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KR102128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61A KR102128538B1 (ko) 2019-05-17 2019-05-17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8361A KR102128538B1 (ko) 2019-05-17 2019-05-17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538B1 true KR102128538B1 (ko) 2020-06-30

Family

ID=7112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8361A KR102128538B1 (ko) 2019-05-17 2019-05-17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5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09758A (zh) * 2021-11-26 2022-01-11 西安莱特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弯管焊接装置
WO2023003105A1 (ko) * 2021-07-23 2023-01-2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브레이징 시스템 및 브레이징 방법
CN116160190A (zh) * 2023-02-21 2023-05-26 潜江除尘设备有限公司 一种喷嘴自动焊接机器人
CN116638172A (zh) * 2023-07-19 2023-08-25 苏州凯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智能加工焊接装置及焊接方法
KR20230127042A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우림월드 전기 단자대의 접속단자 고주파 가열 용접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860A (ko) * 2002-06-15 2003-12-24 주식회사 우진 열전대 소자와 하우징 조립장치
KR20090100755A (ko)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엠티에스 튜브 접합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KR101694471B1 (ko) * 2016-08-26 2017-01-11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다품종 단자용 브레이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징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5860A (ko) * 2002-06-15 2003-12-24 주식회사 우진 열전대 소자와 하우징 조립장치
KR20090100755A (ko) 2008-03-21 2009-09-24 주식회사 엠티에스 튜브 접합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KR101694471B1 (ko) * 2016-08-26 2017-01-11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다품종 단자용 브레이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브레이징 공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105A1 (ko) * 2021-07-23 2023-01-26 엘에스일렉트릭 주식회사 브레이징 시스템 및 브레이징 방법
KR20230015749A (ko) * 2021-07-23 2023-01-31 엘에스일렉트릭(주) 브레이징 시스템 및 브레이징 방법
KR102636906B1 (ko) * 2021-07-23 2024-02-14 엘에스일렉트릭(주) 브레이징 시스템 및 브레이징 방법
CN113909758A (zh) * 2021-11-26 2022-01-11 西安莱特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弯管焊接装置
CN113909758B (zh) * 2021-11-26 2023-10-13 西安莱特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弯管焊接装置
KR20230127042A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우림월드 전기 단자대의 접속단자 고주파 가열 용접장치
KR102579554B1 (ko) * 2022-02-24 2023-09-18 주식회사 우림월드 전기 단자대의 접속단자 고주파 가열 용접장치
CN116160190A (zh) * 2023-02-21 2023-05-26 潜江除尘设备有限公司 一种喷嘴自动焊接机器人
CN116160190B (zh) * 2023-02-21 2023-09-15 潜江除尘设备有限公司 一种喷嘴自动焊接机器人
CN116638172A (zh) * 2023-07-19 2023-08-25 苏州凯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智能加工焊接装置及焊接方法
CN116638172B (zh) * 2023-07-19 2023-11-10 苏州凯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pcb板智能加工焊接装置及焊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538B1 (ko) 고정커넥터용 자동 브레이징 장치
CN107709014B (zh) 印刷装置及对基板作业装置
EP0002884B1 (en) Apparatus for soldering chips singly to a substrate providing a multiplicity of chip sites
KR20140001118A (ko) 본딩장치
US20200215645A1 (en) Mask Changing Unit for Laser Bonding Apparatus
JP2015038947A (ja) 端子接合装置
JP2004537853A (ja) 基板に半導体素子を取り付けるための工程、装置、及びこれに必要な部品
JP5608829B1 (ja) 部品実装装置
KR20160093043A (ko) 전자 디바이스의 핸들러
CN102067742B (zh) 自动锡焊装置
JP2012074584A (ja) 電子部品実装装置、並びにトレイ分離装置およびトレイ分離方法
TW20094757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
JP4146417B2 (ja) リードの溶着方法
JP5535395B1 (ja) 部品実装装置
KR20050022193A (ko) 열교환기 조립장치
KR102117766B1 (ko) 개량형 리플로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합 방법
JP2005347703A (ja) 太陽電池セルのタブリード付け装置
JP3314659B2 (ja) チップのボンディング装置
JP5874428B2 (ja) キャリブレート用ターゲット治具および半導体製造装置
JPH0215872A (ja) 半田付装置
JP7486617B2 (ja) マルチポジション作業ディスペンサー及びその作業方法
JP4825360B2 (ja) ワイヤー自動整列機
JP4145615B2 (ja) 部品挿入装置
JP2751585B2 (ja) 共晶ボンディング装置
CN215188141U (zh) 汽车内饰小灯的透镜与pcb电路板全自动热熔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