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493B1 - 전자 부품 - Google Patents

전자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493B1
KR102128493B1 KR1020187033399A KR20187033399A KR102128493B1 KR 102128493 B1 KR102128493 B1 KR 102128493B1 KR 1020187033399 A KR1020187033399 A KR 1020187033399A KR 20187033399 A KR20187033399 A KR 20187033399A KR 102128493 B1 KR102128493 B1 KR 102128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case
raised portion
case
raised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505A (ko
Inventor
다카야 사카이
미쓰루 요네다
가즈히로 야스카와
유이치 가나야마
신고 사카타
Original Assignee
니치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3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0Sealing, e.g. of lead-in 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48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03Protection against electric or thermal overload; cooling arrangements; means for avoiding the formation of cathode fil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Diaphragms;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42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G9/0425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42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G9/045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ased on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48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H01G9/055Etched foil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4Electrodes or formation of dielectric layers thereon
    • H01G9/06Mounting in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양극박과 음극박을 중첩하여 감아서 이루어지는 콘덴서 부품을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외장 케이스와, 외장 케이스의 개구부를 봉지하는 탄성 밀봉재를 구비한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로서, 외장 케이스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 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의 깊이가 얕아지는 테이퍼형의 오목부를 외주면에 복수 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오목부의 이면에 위치하는 내주면에 직경 방향 중심 측을 향하여 융기되는 테이퍼형의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융기부에 의해 콘덴서 부품을 맞닿음 지지한다.

Description

전자 부품
본 발명은, 전기 기기(機器) 및 차량 등에 사용되는 전자 부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 외에 전기 기기에 있어서도 전자 부품이 사용되는 환경은 다양화 되고 있다. 그러므로, 전기 기기 등에 사용되는 전자 부품에 대해서도 내환경 성능이 강하게 요구된다. 구체적으로는,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진성(耐振性)이 우수한 전자 부품이 요구된다. 그러나, 전해 콘덴서, 전기 이중층 콘덴서, 리튬 이온 커패시터 등의 원통형 전자 부품은, 회로 기판에 직립시켜 전극 단자를 땜납 등으로 고정하므로, 진동에 약한 경향이 있다.
이에, 상기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이하와 같은 형태가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소자를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금속 케이스의 내측 바닥부 코너부를 클래드형으로 하여 내측 바닥면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원통형의 소자 외주를 상기 원통 길이보다 긴 세퍼레이터로 피복하고, 원통부로부터 밀려나오는 세퍼레이터를 테이퍼부에 압압하여 부수는 것에 의해 소자의 코너부를 보호하면서 삽입 선단 측을 고정하고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15-16247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케이스는, 원통형 소자의 삽입 선단 측의 코너부를 테이퍼부에 접촉시켰을 뿐이므로, 외부로부터 강한 진동을 반복하여 받으면, 소자가 테이퍼부를 타고 넘을 만큼 변형되어 소자의 진폭이 커지고, 소자에 접속되어 있던 인출 단자가 파단된다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또한, 소자가 테이퍼부에 균등하게 압압되지 않을 경우, 테이퍼부에 치우친 콘덴서 부품의 코너부는, 세퍼레이터로 피복되어 있었다고 해도 국소적으로 압압이 작용하여 파손된다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간소한 구조로 내진성이 우수한 전자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전자 부품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전자 부품은,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양극박과 음극박을 중첩하여 감아서 이루어지는 소자와,
상기 소자를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외장 케이스와,
상기 외장 케이스의 개구부를 봉지(封止)하는 봉지체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으로서,
상기 외장 케이스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 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의 깊이가 얕아지는 테이퍼형의 제1 오목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오목부의 이면에 위치하는 외장 케이스의 내주면(內周面)에 직경 방향 중심 측을 향하여 융기되는 테이퍼형의 제1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융기부에 의해 상기 소자를 맞닿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자가 외장 케이스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융기부에 의해 중앙에 배치되면서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 측에 수납된다. 즉, 제1 융기부가 얼라인먼트 및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또한, 복수 개의 제1 융기부는, 외장 케이스의 내주면에 복수 개, 예를 들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소자의 직경 또는 형상에 불균일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외형 크기가 큰 개소가 있는 경우에 상기 개소가, 접촉하는 융기부에서 멀어져 이웃하는 융기부끼리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안내 유도된다. 따라서, 제1 융기부와의 접촉에 의해 소자에 과잉의 압압이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소자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자의 선단부터 기단을 향하는 주위면(circumferential surface)은, 제1 융기부와 소정의 면적에서 접촉하고 있으므로, 소자로의 압압이 분산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의 외주단(外周端)으로부터 상기 바닥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신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외장 케이스 축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오목부의 이면에 위치하는 외장 케이스 바닥면의 이면에 케이스 개구 측을 향하여 융기되는 제2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자의 삽입 선단 측이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 이면 측에 형성된 제2 융기부와 접촉하므로, 외장 케이스의 내주면과 내측 바닥면에 의해 소자를 보다 안정적으로 맞닿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자의 외주만을 제1 융기부에 의해 맞닿음 지지하는 경우에 비하여 내진성이 보다 높아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소자는, 상기 음극박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양극박보다 축 방향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감기고, 상기 제2 융기부가 상기 음극박 및 상기 세퍼레이터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양극박보다 바닥면 측으로 돌출된 음극박과 세퍼레이터가,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 측의 융기부와 접촉하므로, 상기 융기부를 통하여 외장 케이스를 히트 싱크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열 효과가 우수한 전자 부품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1 융기부의 직경 방향 중심 측의 정상부가, 상기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 측의 외주단을 기점으로 하여 축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상기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바닥면 측의 외주단으로부터 융기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형의 융기부보다 융기부와 소자의 접촉 길이가 길어지므로,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소한 구성으로 기계적 강도가 높고, 내진성 등의 내환경 성능이 높은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본 발명에 의한 전해 콘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본 발명에 의한 전해 콘덴서에서 사용되는 콘덴서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본 발명에 의한 전해 콘덴서에서 사용되는 외장 케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본 발명에 의한 전해 콘덴서의 사용되는 외장 케이스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5] 본 발명에 의한 전해 콘덴서의 콘덴서 부품을 외장 케이스에 수납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6] 본 발명에 의한 전해 콘덴서의 콘덴서 부품을 외장 케이스에 수납하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7] 본 발명에 의한 변형예의 전해 콘덴서에 사용되는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도이다.
[도 8] 본 발명에 의한 변형예의 전해 콘덴서에 사용되는 외장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9] 도 8에 나타내는 전해 콘덴서의 A-A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10] 본 발명에 의한 변형예의 전해 콘덴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 본 발명에 의한 변형예의 전해 콘덴서에 사용되는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자 부품으로서 전해 콘덴서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해 콘덴서(1)는 콘덴서 소자(2)와, 탄성 밀봉재(3)와, 외장 케이스(4)를 포함한다. 그리고, 콘덴서 소자(2)는 본 발명의 소자에 상당하고, 탄성 밀봉재(3)는 본 발명의 봉지체에 상당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 소자(2)는 양극박(5)과, 음극박(6)이 세퍼레이터(전해지)(7)를 통하여 감긴 권회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2)의 최외주는, 세퍼레이터(7)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양극박(5)과 음극박(6)에는 평탄형의 리드 탭(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이 리드 탭을 통하여 양극박(5) 및 음극박(6)으로부터 각각 리드부(8)가 인출되고 있다. 2개의 리드부(8)는, 콘덴서 소자(2)의 한쪽의 단면(端面)으로부터 도출되고 있다. 각 리드부(8)는, 리드 탭의 선단에 연결된 둥근 봉형의 접속부(8A)와, 접속부(8A)의 선단부에 용접된 리드선(8B)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극박(5)은 알루미늄, 탄탈, 니오브 등의 밸브 작용 금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극박(5)의 표면은, 에칭 처리에 의해 조면화(粗面化)되고, 또한 양극 산화[화성(化成)]에 의한 양극 산화 피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음극박(6)도 양극박(5)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고, 그 표면은 조면화되고, 또한 자연 산화 피막(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음극박(6)으로는 양극 산화 피막을 형성한 박, 티탄, 질화티탄 등을 표면에 증착한 박, 카본이나 티탄 등을 담지한 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7)에는 구동용 전해액이 유지되고 있다. 이에 의해, 양극박(5)과 세퍼레이터(7) 사이에 구동용 전해액이 유지되고, 음극박(6)과 세퍼레이터(7) 사이에도 구동용 전해액이 유지되고 있다. 구동용 전해액은 콘덴서 소자(2)를 구동용 전해액 중에 함침시키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 소자(2)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외장 케이스(4)에 수납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4)는 알루미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외장 케이스(4)를 기재하고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바닥면을 상향으로 하고 있다. 상기 외장 케이스(4)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바닥면(4A)으로부터 개구 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의 깊이가 얕아지는 테이퍼형의 오목부(9A)(제1 오목부에 상당)를 외주면(4B)에 소정 간격(본 실시형태에서는 등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9A)의 이면에 위치하는 내주면에는, 바닥면(4A)으로부터 개구 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 중심 측으로의 융기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형의 융기부(10A)(제1 융기부에 상당)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융기부(10A)도 오목부(9A)와 마찬가지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융기부(10A)의 정상부는 외장 케이스(4)의 중심을 향하고 적합하고 있다. 이 때, 오목부(9A)의 외장 케이스(4)의 바닥면 원주 상의 폭은, 예를 들면, [외장 케이스의 원주/오목부의 개수]×N%로 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N은 외장 케이스의 사이즈 등 외형 크기에 따라서 1∼30%의 범위로 적당히 설정된다. 또한, 오목부(9A)의 개수는, 예를 들면 3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6개 이상이면 콘덴서 소자(2)의 리드부(8)가 오목부(9A)에 대하여 어디에 위치해도 내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융기부(10A)는 도 1,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 소자(2)를 맞닿음 지지한다.
또한, 오목부(9A)의 깊이 D(도 5)는, 콘덴서 소자(2)의 파손 및 단선이 생기지 않는 범위에서 콘덴서 소자(2)에 대하여 융기부(10A)의 접촉 부분의 일부를 파고들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품과 같이 외장 케이스(4)의 직경이 18㎜, 길이 40㎜인 경우, 융기부(10A)가 콘덴서 소자(2)에 파고들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융기부(10A)가 콘덴서 소자(2)에 파고드는 깊이는, 소자에 과잉의 스트레스를 주지 않도록 콘덴서 소자(2)의 직경의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기부(10)는, 외장 케이스(4)의 개구 측으로부터 콘덴서 소자(2)를 수납하는 과정에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덴서 소자(2)의 외주면의 삽입 선단으로부터 리드부 측의 기단을 향하여 융기부(10A)의 길이 방향의 접촉 면적과, 리드부 측의 기단으로부터 외주면의 삽입 선단을 향하여 융기부(10A)의 폭 방향의 접촉 면적의 각각을 서서히 증가시키면서 콘덴서 소자(2)를 맞닿음 지지해 간다. 바꾸어 말하면, 융기부(10A)가, 약간이긴 하지만 콘덴서 소자(2)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콘덴서 소자(2)를 맞닿음 지지한다.
또한, 융기부(10A), 콘덴서 소자(2)의 수납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콘덴서 소자(2)에 직경이나 형상 등 부분적으로 외형 크기가 큰 개소가 있는 경우, 융기부(10A)와 접촉에 의해 상기 개소에 작용하는 압압이 다른 부분에 작용하는 압압보다 커진다. 따라서, 융기부(10A)의 정상부 부근이 면취(面取)되어 있고, 또한 콘덴서 소자(2)의 탄성 변형에 따르는 복원력(반발력)에 의하여, 콘덴서 소자(2)의 외형이 큰 개소가 멀어져 이웃하는 융기부끼리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안내 유도된다.
외장 케이스(4)의 개구부는, 2개의 리드부(8)가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탄성 밀봉재(3)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탄성 밀봉재(3)는, 외장 케이스(4)의 개구부에 형성된 감아조임부(11)에 의해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장 케이스(4)의 바닥부에는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내압이 상승했을 때, 상기 밸브가 개방되어 내압을 외부에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탄성 밀봉재(3)에는, 2개의 리드부(8)[접속부(8A)]가 각각 관통되는 2개의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밀봉재(3)에 힘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무부하 상태에서의 관통공(12)의 직경은, 접속부(8A)의 외경보다 약간 작다.
탄성 밀봉재(3)는 고무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기재(基材)로 하는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탄성 밀봉재(3)를 구성하는 고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EPT(에틸렌프로필렌 터폴리머), EPDM(에틸렌프로필렌 디엔 모노머 공중합체), IIR(이소프렌 이소부틸렌 고무)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해 콘덴서(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전해 콘덴서(1)와 종래품의 비교 실험의 결과에 대하여 상술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외장 케이스(4)에 콘덴서 소자(2)를 수납한 전해 콘덴서(1)를 제작하였다. 상기 전해 콘덴서(1)의 사이즈는 직경 18㎜, 길이 40㎜이다. 또한, 콘덴서 소자(2)의 직경은 16.2㎜, 외장 케이스(4)의 오목부(9A)의 길이는 15㎜, 융기부(10A)는 콘덴서 소자(2)의 바닥부에서 0.1㎜ 파고드는 깊이로 하였다.
<비교예>
본 비교예에 있어서는, 외장 케이스(4)의 외주면에 오목부 및 내면에 융기부를 갖지 않는 원통형의 종래의 전해 콘덴서를 이용하였다. 상기 전해 콘덴서(1)의 사이즈는,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직경 18㎜, 길이 40㎜이다.
<진동 시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사양의 테스트품을 3개씩 제작하고, 진동 시험을 행하였다. 이 진동 시험은, 전해 콘덴서에 대하여, 10∼2000Hz의 범위에서 50G로 되는 XYZ 방향으로 왕복 진동을 15분간, 각 방향 2시간, 합계 6시간 실시하고, 내부에서의 단선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 진동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 기재된 ○는 단선 미검출의 정상 및 ×는 단선 검출있음의 이상(異常)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18114738377-pct00001
표 1로부터 이하의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외장 케이스(4)를 이용하여 작성된 실시예의 전해 콘덴서는, 3개 모두 내부에서의 단선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의 전해 콘덴서에서는, 3개 모두 내부에서의 단선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실시예에 의하여, 비교예에서는 미달이었던 상기 진동 시험 조건을 달성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전해 콘덴서(1)에 있어서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바닥면(4A)으로부터 개구 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의 깊이가 얕아지는 테이퍼형의 오목부(9A)를 외주면(4B)에 복수 개 형성함으로써, 콘덴서 소자(2)를 적절하게 압압 지지함으로써 내진성을 높이고, 또한 외장 케이스 자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외장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융기부(10A)가, 외장 케이스(4)의 축 중심을 향하여 융기되어 있으므로, 콘덴서 소자(2)를 외장 케이스(4)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로서 기능하고, 또한 콘덴서 소자(2)를 얼라인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특히, 콘덴서 소자(2)에 부분적으로 외형 크기가 큰 개소가 있는 경우, 상기 개소가 융기부(10A)로부터 멀어져 이웃하는 융기부끼리의 사이에 들어가도록 안내 유도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전해 콘덴서(1)는, 콘덴서 소자(2)와 융기부(10A)의 접촉에 의해 상기 콘덴서 소자(2)에 과잉의 압압이 작용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콘덴서 소자(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덴서 소자(2)의 삽입 선단으로부터 리드부 측 기단을 향하는 외주면은, 융기부(10A)의 정상부와 소정 길이 및 소정 면적에서 접촉하고 있으므로, 콘덴서 소자(2)으로의 압압이 분산되고, 나아가서는 콘덴서 소자(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구성도 개시하고 있다.
(1) 상기 실시형태의 외장 케이스(4)에 형성된 오목부(9A)는, 오목한 만곡 형상이었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4)의 바닥면(4A)으로부터 볼 때 직사각형이고, 바닥면(4A)으로부터 개구 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테이퍼형의 쐐기 형상이어도 된다.
(2) 외장 케이스(4)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면(4A)의 외주에서 개구 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는 오목부(9A)와, 오목부(9A)와 동일한 형상이고, 오목부(9A)와 연결하는 태양(態樣)에서 바닥면(4A)의 외주로부터 그 중심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는 오목부(9B)(제2 오목부에 상당)를 구비한 구성이어도 된다. 즉,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바닥면(4A)으로부터 개구 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의 깊이가 얕아지는 테이퍼형의 오목부(9A)와, 바닥면(4A)의 외주 측에서 상기 오목부(9A)와 연결하여 바닥면(4A)의 중심을 향하여 축 방향의 깊이가 얕아지는 테이퍼형으로 오목부(9B)를 형성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외장 케이스(4)의 외주면(4B)에 형성된 오목부(9A)의 이면에 위치하는 내주면은, 바닥면(4A)으로부터 개구 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 중심 측으로의 융기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형의 융기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바닥면(4A)의 이면 외주에서 중심을 향하여 축 방향 개구 측으로의 융기 높이가 낮아지는 테이퍼형의 융기부(10B)(제2 융기부에 상당)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9B)와 융기부(10B)의 형상은,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바닥면(4A)으로부터 축 방향 개구 측을 향하여 깊이(높이)가 동일해도 된다.
바닥면(4A)에 형성된 오목부(9B)의 길이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외장 케이스(4)의 직경이 18㎜인 경우, 예를 들면 4㎜로 설정된다. 즉, 상기 실시예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오목부(9B)의 길이는 외장 케이스(4)의 바닥면(4A)의 직경에 대하여, 예를 들면 25% 이내로 설정된다. 그리고, 바닥면(4A)에 밸브(예를 들면, 십자밸브)를 설치하는 경우, 밸브와 오목부(9B)가 중첩되지 않도록 오목부(9B)를 바닥면(4A)에 형성한다.
상기 외장 케이스(4)를 이용하여 전해 콘덴서(1)를 작성하는 경우, 콘덴서 소자(2)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음극박(6) 및 세퍼레이터(7)의 선단이 양극박(5)보다 돌출되어 외장 케이스(4)의 바닥면(4A)의 이면에 형성된 융기부(10B)와 접촉한다. 본 구성에 있어서, 음극박(6)의 폭(축 방향의 길이)을 양극박(5)의 폭보다 길게 해도 되고, 또는 음극박(6)의 폭이 양극박(5)과 같은 폭인 경우에는, 양극박(5)에 대하여 음극박(6)을 외장 케이스(4)의 바닥면 측으로 비켜 놓도록 구성하면 된다. 이들 양극박(5), 음극박(6) 및 세퍼레이터(7)을 감아서 콘덴서 소자(2)를 구성한다. 그리고, 세퍼레이터(7)는 양극박(5)과 음극박(6)이 접촉하지 않는 폭을 가지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본 구성에 의하면, 콘덴서 소자(2)의 선단 측과 외장 케이스(4)가 접촉하므로, 전해 콘덴서(1)의 내진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극박(6)과 외장 케이스(4)가 접촉하고 있으므로, 외장 케이스(4)가 히트 싱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방열성에도 우수한 전해 콘덴서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외장 케이스(4)의 바닥면 측의 이면에 형성한 융기부(10B)의 일부를 콘덴서 소자(2)의 상부와 평행하게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3) 상기 각 실시형태의 외장 케이스(4)에 형성된 융기부(10)는, 바닥면(4A) 측을 기단으로 하여 케이스 개구를 향하여 직경 방향 중심 측으로의 융기 높이가 연속적으로 낮아지도록 구성하고 있었으나,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4)의 내주면 측에 융기부(10A)의 정상부가, 바닥면(4A) 측의 외주단을 기점으로 하여 소정 길이를 외장 케이스(4)의 바닥면(4A)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실시예의 일례로서, 전해 콘덴서(1)의 외형 치수는 다음과 같다. 외장 케이스(4)의 외경이 18.0㎜, 융기부(10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 있어서의 외장 케이스(4)의 내경이 17.3㎜, 오목부(9A)는 바닥면(4A)의 주위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6개 형성되고, 콘덴서 소자(2)의 직경이 16.2㎜이다.
상기 전해 콘덴서(1)의 경우, 오목부(9A)의 직경 방향의 깊이 D1을 0.6㎜, 축 방향의 길이 L1을 15.0㎜, 융기부(10A)의 콘덴서 소자(2)와의 접촉 길이 L2를 10.0㎜, 콘덴서 소자(2)로의 융기부(10A)의 파고들어감 D2를 0.05㎜로 설정하였다. 또한, 양극박(5) 및 음극박(6)으로부터 세퍼레이터(7)을 밀려나오게 하여 외장 케이스(4)의 바닥면(4A)의 이면 측과 접촉하도록 설정하였다. 이 때의 양쪽 박(5, 6)으로부터의 세퍼레이터(7)의 축 방향의 돌출 길이 L3을 1.0㎜로 설정하였다.
상기 조건의 전해 콘덴서(이하 「변형예」라고 함)를 작성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에서의 진동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도, 전해 콘덴서의 내부에서 파단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구성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에 비하여 융기부(10A)의 콘덴서 소자(2)와의 접촉 길이가 길어지므로, 한층 더 내진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4) 상기 실시형태의 외장 케이스(4)에 있어서, 융기부(10)는 바닥면(4A)의 주위 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융기부(10)를 근접시킨 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세트를 등간격으로 복수 세트를 형성해도 된다.
(5)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해 콘덴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해 콘덴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기 이중층 콘덴서, 리튬 이온 커패시터 등의 원통형 외장 케이스로 소자를 봉지하는 전자 부품에, 상기 각 실시형태에 기재된 외장 케이스(4)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1 :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
2 : 콘덴서 부품
3 : 탄성 밀봉재
4 : 외장 케이스
4A : 바닥면
4B : 외주면
5 : 양극박
6 : 음극박
7 : 세퍼레이터
8 : 리드부
9A, 9B : 오목부
10A, 10B : 융기부
11 : 감아조임부

Claims (4)

  1.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양극박과 음극박을 중첩하여 감아서 이루어지는 소자;
    상기 소자를 수납하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 외장 케이스;
    상기 외장 케이스의 개구부를 봉지(封止)하는 봉지체
    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으로서,
    상기 외장 케이스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상기 바닥이 있는 원통형의 바닥면으로부터 개구 측을 향하여 직경 방향의 깊이가 얕아지는 테이퍼형의 제1 오목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 오목부의 이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내주면(內周面)에 직경 방향 중심 측을 향하여 융기되는 테이퍼형의 제1 융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융기부에 의해 상기 소자를 맞닿음 지지하는,
    전자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상기 바닥면의 외주단(外周端)으로부터 상기 바닥면의 중심을 향하여 연신하여 형성되고, 또한 상기 외장 케이스의 축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오목부의 이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의 이면에 상기 외장 케이스의 개구 측을 향하여 융기되는 제2 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자 부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상기 음극박과 상기 세퍼레이터를 상기 양극박보다 축 방향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감기고, 상기 제2 융기부가 상기 음극박 및 상기 세퍼레이터에 접촉하고 있는, 전자 부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융기부의 직경 방향의 중심 측의 정상부가, 상기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 측의 외주단을 기점으로 하여 축 방향을 따라서 소정 길이를 상기 외장 케이스의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하고 있는, 전자 부품.
KR1020187033399A 2016-04-19 2017-04-11 전자 부품 KR102128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83421A JP6845495B2 (ja) 2016-04-19 2016-04-19 電子部品
JPJP-P-2016-083421 2016-04-19
PCT/JP2017/014834 WO2017183521A1 (ja) 2016-04-19 2017-04-11 電子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505A KR20180133505A (ko) 2018-12-14
KR102128493B1 true KR102128493B1 (ko) 2020-06-30

Family

ID=6011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399A KR102128493B1 (ko) 2016-04-19 2017-04-11 전자 부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72565B2 (ko)
EP (1) EP3447780B1 (ko)
JP (1) JP6845495B2 (ko)
KR (1) KR102128493B1 (ko)
CN (2) CN206726964U (ko)
HU (1) HUE051379T2 (ko)
TW (1) TWI640024B (ko)
WO (1) WO20171835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5495B2 (ja) 2016-04-19 2021-03-17 ニチコン株式会社 電子部品
JP2019083236A (ja) * 2017-10-28 2019-05-30 株式会社アプトデイト コンデンサ用外装ケース
USD1011294S1 (en) * 2021-06-23 2024-01-16 Samwha Electric Co., Ltd. Capacitor
CN114743799A (zh) * 2022-04-02 2022-07-12 珠海格力新元电子有限公司 一种铝电解电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086A (ja) * 1998-10-20 2000-04-28 Nippon Chemicon Corp コンデンサ
JP2003243266A (ja) * 2002-02-21 2003-08-29 Nippon Chemicon Corp 電解コンデンサ及び電解コンデンサ用外装ケース
CN102509644A (zh) * 2011-11-30 2012-06-20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圆柱形超级电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4083C (de) * 1942-05-09 1954-02-15 Siemens Ag Elektrischer Kondensator, insbesondere mit einem zylinderfoermigen Metallgehaeuse
US3386014A (en) * 1965-10-22 1968-05-28 Sprague Electric Co Decoupling and locating anchor for electrolytic capacitor
US3509427A (en) * 1968-05-21 1970-04-28 Gen Electric Electrolytic capacitor casing structure
JPS5418646U (ko) * 1977-07-08 1979-02-06
JPS5462044U (ko) * 1977-10-12 1979-05-01
JPS5462044A (en) 1977-10-24 1979-05-18 Janome Sewing Machine Co Ltd Buttonhole sewing controller for sewing machine
JPS5910748Y2 (ja) * 1978-03-02 1984-04-04 ニチ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素子固定装置
JPS57195827U (ko) * 1981-06-06 1982-12-11
JPS6127231U (ja) * 1984-07-18 1986-02-18 日通工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用ケ−ス
JPS6127231A (ja) 1984-07-18 1986-02-06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フツ素樹脂フイルムの製造法
JPH1022176A (ja) * 1996-06-28 1998-01-23 Aputodeito:Kk コンデンサ用アルミケース
JPH10223477A (ja) * 1997-01-31 1998-08-21 Hitachi Aic Inc ケース入りコンデンサ
JPH11251201A (ja) * 1998-02-27 1999-09-17 Nippon Chemicon Corp 電解コンデンサ
JP2003173942A (ja) * 2001-12-06 2003-06-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ルミ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332093B4 (de) * 2003-07-15 2017-09-14 Epco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sowie die elektrochemische Zelle
KR101420468B1 (ko) * 2007-03-30 2014-07-16 니폰 케미콘 가부시키가이샤 전해 콘덴서
US8390986B2 (en) * 2010-03-24 2013-03-05 Samhwa Capacitor Co., Ltd. Super capacitor for high power
WO2011128992A1 (ja) * 2010-04-14 2011-10-20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CN103081047B (zh) * 2010-08-18 2017-07-04 日本贵弥功株式会社 电容器、电容器的制造方法以及制造程序
CN102737854A (zh) * 2011-04-07 2012-10-17 周旺龙 一种电容器铝壳内固定芯包的固定槽
CN102723210A (zh) 2012-06-25 2012-10-10 南通新三能电子有限公司 抗震动的大型铝电解电容器
WO2014080638A1 (ja) * 2012-11-26 2014-05-30 日本ケミコン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162471A (ja) * 2014-02-26 2015-09-07 エルナー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
JP6845495B2 (ja) 2016-04-19 2021-03-17 ニチコン株式会社 電子部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4086A (ja) * 1998-10-20 2000-04-28 Nippon Chemicon Corp コンデンサ
JP2003243266A (ja) * 2002-02-21 2003-08-29 Nippon Chemicon Corp 電解コンデンサ及び電解コンデンサ用外装ケース
CN102509644A (zh) * 2011-11-30 2012-06-20 天津力神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圆柱形超级电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7780A4 (en) 2020-01-08
US10672565B2 (en) 2020-06-02
CN107452508A (zh) 2017-12-08
JP2017195241A (ja) 2017-10-26
WO2017183521A1 (ja) 2017-10-26
KR20180133505A (ko) 2018-12-14
HUE051379T2 (hu) 2021-03-01
EP3447780A1 (en) 2019-02-27
TW201738913A (zh) 2017-11-01
CN206726964U (zh) 2017-12-08
JP6845495B2 (ja) 2021-03-17
TWI640024B (zh) 2018-11-01
US20190131078A1 (en) 2019-05-02
CN107452508B (zh) 2020-09-22
EP3447780B1 (en)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493B1 (ko) 전자 부품
US6721170B1 (en) Packaged hybrid capacitor
JP6037196B2 (ja) 蓄電素子の製造方法
US20130196229A1 (en) Energy storage element, metal component, and energy storage element manufacturing method
EP3270442A1 (en) Part for serial connection in battery pack, and battery pack
JP2008109074A (ja) 電解コンデンサ
US20040260354A1 (en) Miniature compression feedthrough assembly for electrochemical devices
CN114342024A (zh) 电容器及其制造方法、电容器的安装方法
US10741821B2 (en) Secondary battery
JP4590911B2 (ja) 電池
JP6704826B2 (ja) 電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部品
KR102142732B1 (ko) 콘덴서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261247A1 (en) Cylindrical type secondary battery
JP6910234B2 (ja) 電子部品
JP6893123B2 (ja) 電子部品
JP5235599B2 (ja) 電解コンデンサおよび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6689721B2 (ja) 電子部品
JP5697076B2 (ja) 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2008210823A (ja) リード線およびこれを含む電子部品
JP6191015B2 (ja) 電解コンデンサ
JP5891689B2 (ja) コンデンサ
US20180047969A1 (en) Electrode assembly
JP2004335834A (ja) コンデンサ用接続コネクタ
JP2009088211A (ja) コンデ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